KR102170963B1 - 계측기기의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방식을 이용해 원격 진단서비스가 가능한 스마트 타입의 계측제어 및 원격감시시스템 - Google Patents

계측기기의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방식을 이용해 원격 진단서비스가 가능한 스마트 타입의 계측제어 및 원격감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0963B1
KR102170963B1 KR1020190128848A KR20190128848A KR102170963B1 KR 102170963 B1 KR102170963 B1 KR 102170963B1 KR 1020190128848 A KR1020190128848 A KR 1020190128848A KR 20190128848 A KR20190128848 A KR 20190128848A KR 102170963 B1 KR102170963 B1 KR 102170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ter level
water treatment
control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8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진희
Original Assignee
(주)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테크 filed Critical (주)리테크
Priority to KR1020190128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09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0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0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6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measuring frequency, phase shift or propagation time of electromagnetic or other waves, e.g. using ultrasonic flow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05Val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2Compensating or correcting for variations in pressure, density or tempera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the variations of parameters of electromagnetic or acoustic waves applied directly to the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 G01F23/296Acoustic 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펌프장, 배수지, 정수장, 하수 및 오,폐수처리시설, 재이용수시설 등과 같은 수처리시설에 설치되는 수위계, 유량계, 농도계, 계면계, 수질분석기와 같은 수처리장치를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자가진단 수처리 제어장치(2)와, 상기 자가진단 수처리 제어장치(2)에 의해 관리되는 수처리장치의 제어정보를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통신에 의해 외부로 전송하여 원격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외부출력부(110)와, 상기 외부출력부(110)에 의해 송신되는 수처리시설의 제어정보를 수신한 후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원격지로 전송하는 무선단말기(120)와, 지역별로 설치된 자가진단 수처리 제어장치(2)의 제어정보를 무선단말기(120)를 통해 전송받아 다수의 수처리시설의 제어정보를 확인한 후 각 지역에 설치된 자가진단 수처리 제어장치(2)를 통합관리하여 수처리시설의 상태를 통합제어하는 통합관제센터(100)로 구성됨으로써 수위계, 유량계, 농도계, 계면계, 수질분석기와 같은 수처리장치가 설치되는 계측제어시스템을 통해 원격지에서 수처리시설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계측기기의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방식을 이용해 원격 진단서비스가 가능한 스마트 타입의 계측제어 및 원격감시시스템{MEASUREMENT CONTROL AND REMOTE MONITORING SYSTEM OF SMART TYPE WITH REMOTE DIAGNOSIS SERVICE USING BLUETOOTH AND WI-FI OF MEASURE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정수 및 오,폐수, 재이용수 등 수처리시설의 계측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계측기기의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방식을 이용해 원격 진단서비스가 가능한 스마트 타입의 계측제어 및 원격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위계, 유량계, 농도계, 계면계, 수질분석기가 설치되는 수처리시설이나 기타 액체의 관리가 필요한 산업현장에서는 이를 계측하고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이 기본적으로 필요한 장치이다. 이러한 계측제어시스템은 센싱된 값을 이용하여 수처리상태를 지속적,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게 된다.
예를 들면, 수처리 공정에 있어서 일정량 이상의 수위가 되어야만 공정이 진행되도록 하거나 일정량 이하의 수위에서는 공정을 중단하여 불필요한 작업 및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오작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도 수위관리는 비용절감, 공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도 필요한 것이다.
또한, 수위센서는 단순히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한정된 저장소 내에 일정량 이상의 액체가 유입되면 액체를 유출시키고 일정량 이하가 되면 액체를 유입시켜 수위를 일정하게 관리하기 위해 펌프 등 다양한 제어기와 연결함으로써 복합적인 수위조절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계측제어시스템은 도서벽지에 설치되거나 도심의 오,폐수 처리시설 및 재이용수 시설 등 하수구와 같이 설치장소가 다양함에 따라 기기의 고장시 즉각적인 수리가 불가능하고, 더욱이 유지보수에 많은 인력과 비용이 필요하여 유지보수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0-780819호, '초음파 수위측정장치'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수 및 오,폐수, 재이용수 등 수처리시설에 설치된 계측제어시스템을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계측기기의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방식을 이용해 원격 진단서비스가 가능한 스마트 타입의 계측제어 및 원격감시시스템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센서에 의해 측정된 불필요한 송신값을 필터링하여 계측기기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계측기기의 블루투스 및 와이아피 방식을 이용해 원격 진단서비스가 가능한 스마트 타입의 계측제어 및 원격감시시스템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오수펌프장, 배수지, 정수장, 하수 및 오,폐수처리시설, 재이용수시설 등과 같은 수처리시설에 설치되는 수위계, 유량계, 농도계, 계면계, 수질분석기와 같은 수처리장치를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자가진단 수처리 제어장치(2)와, 상기 자가진단 수처리 제어장치(2)에 의해 관리되는 수처리장치의 제어정보를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여 원격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외부출력부(110)와, 상기 외부출력부(110)에 의해 송신되는 수처리시설의 제어정보를 수신한 후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원격지로 전송하는 무선단말기(120)와, 지역별로 설치된 자가진단 수처리 제어장치(2)의 제어정보를 무선단말기(120)를 통해 전송받아 다수의 수처리시설의 제어정보를 확인한 후 각 지역에 설치된 자가진단 수처리 제어장치(2)를 통합관리하여 수처리시설의 상태를 통합제어하는 통합관제센터(10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위계, 유량계, 농도계, 계면계, 수질분석기와 같은 수처리장치가 설치되는 계측제어시스템을 통해 원격지에서 수처리시설을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계측기기의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방식을 이용해 원격 진단서비스가 가능한 스마트 타입의 계측제어 및 원격감시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자가진단 수처리 제어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위측정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량측정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수위측정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수위필터링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유량필터링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수위정보제공부의 상세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외부출력부의 상세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계측제어시스템이 수위와 유량을 측정하는 수처리시설에 설치된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수위계, 유량계, 농도계, 계면계, 수질분석기와 같은 수처리장치가 설치되는 수처리시설에 모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오수펌프장, 배수지, 정수장, 하수 및 오,폐수처리시설, 재이용수시설 등과 같은 수처리시설에 설치되는 수위계, 유량계, 농도계, 계면계, 수질분석기와 같은 수처리장치를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자가진단 수처리 제어장치(2)와, 상기 자가진단 수처리 제어장치(2)에 의해 관리되는 수처리장치의 제어정보를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여 원격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외부출력부(110)와, 상기 외부출력부(110)에 의해 송신되는 수처리시설의 제어정보를 수신한 후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원격지로 전송하는 무선단말기(120)와, 지역별로 설치된 자가진단 수처리 제어장치(2)의 제어정보를 무선단말기(120)를 통해 전송받아 다수의 수처리시설의 제어정보를 확인한 후 각 지역에 설치된 자가진단 수처리 제어장치(2)를 통합관리하여 수처리시설의 상태를 통합제어하는 통합관제센터(100)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자가진단 수처리 제어장치(2)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가진단 수처리 제어장치(2)는 수위측정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수위측정부(4)를 통해 수신된 초음파중에서 매질에 반사되어 오는 초음파만을 이용하여 수위를 측정하도록 수처리시설 내의 구조물에 반사된 초음파는 필터링하여 제거하는 수위측정 필터링부(8)와, 유량측정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유량측정부(6)를 통해 측정된 전압 검출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유량측정 필터링부(10)와, 상기 수위측정 필터링부(8)와 유량측정 필터링부(10)에 의해 신뢰성있는 측정값이 도출된 수위,유량정보를 이용하여 수처리시설의 수위를 제어하는 수위조절부(12)와, 상기 수위조절부(12)에 의한 수처리시설의 수위조절시 수처리시설의 후단에 위치하는 관로에 설치되어 유체의 배수가 필요한 경우 유체가 관로를 통해 배출되도록 함과 함께 수처리시설에 수위가 미리 설정된 높이 이상이면 유체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배출밸브개폐제어부(14)와, 상기 배출밸브개폐제어부(14)가 열린 상태에서 수처리시설의 유체를 배출하도록 하는 펌프작동제어부(16)와, 관로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압력을 감지하여 실제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확인함과 동시에 유체가 배출되지 않도록 배출밸브개폐제어부(14)가 잠긴 상태에서 오작동에 의해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압력감지수신부(18)와, 상기 수위조절부(12)로 입력된 수위,유량정보와 함께 수위조절부(12)를 통해 제어되는 수처리시설의 수위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수처리정보제공부(20)와, 자가진단 수처리 제어장치(2)의 오작동시에 이를 자체적으로 확인하여 통합관제선터에 오작동신호를 송신하고 오작동을 해결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통합관제선터로부터 수신함으로서 자가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가진단처리부(22)로 구성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계측제어시스템의 일 실시 예인 수위측정부(4)의 구성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수위측정부(4)는 수위측정을 위해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초음파센싱부(34)와, 상기 초음파센싱부(34)에 의해 수신된 초음파 신호를 이용하여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변환부(24)로 구성하며, 상기 수위변환부(24)는 초음파 신호의 송수신을 관리하는 제어연산부(26)와, 제어연산부(26)에 의해 제어되어 초음파를 송수신하는 초음파송신부(30), 레벨수신부(28)와, 송수신되는 초음파의 전송타이밍을 제어하는 초음파송수신전환제어부(32)로 구성한다.
상기 제어연산부(26)는 수위변환부(24)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것으로, 특히 측정하고자 하는 수위에 따라 초음파센싱부(34)의 설정 주파수대역에 맞는 초음파를 관리하며, 기존의 아날로그 필터 방식이 아닌 디지털 필터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수신신호의 잡음이 적어 측정성능이 향상되고 주파수대역이 좁아져 측정거리도 늘어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위변환부(24)는 주파수대역의 변조를 위해 디지털 필터 방식(가산기, 승산기, 시프트 레지스터)을 채용하여 기존의 물리적인 방식(코일, 콘덴서, 저항)이 아닌 소프트웨어적인 CPU제어 방식을 채택한 것이다.
따라서 제어연산부(26)를 통해 다양한 주파수대역의 출력이 가능하며, 측정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의 초음파를 송신하는 초음파센싱부(34)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제어연산부(26)는 설치된 초음파센싱부(34)의 주파수대역 10~50㎑ 대의 초음파를 설정하며, 초음파송신부(30)와 레벨수신부(28)를 통해 설정된 초음파를 관리한다.
상기 초음파송신부(30)는 제어연산부(26)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대역의 초음파를 초음파센싱부(34)로 송신될 수 있도록 전달하고, 레벨수신부(28)는 초음파센싱부(34)에 의해 송신된 초음파가 매질에 반사되어 되돌아온 수신 초음파를 제어연산부(26)로 전달한다.
초음파송신부(30), 레벨수신부(28)와 초음파센싱부(34)를 통해 송수신되는 초음파는 초음파송수신전환제어부(32)를 통해 관리되어 제어연산부(26)에서 이를 거리값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한다.
초음파송수신전환제어부(32)는 제어연산부(26)와 초음파센싱부(34) 사이에서 제어연산부(26)를 통해 초음파센싱부(34)의 주파수대역에 맞게 설정되어 초음파송신부(30)를 통해 초음파센싱부(34)로 출력되는 송신 초음파와 초음파센싱부(34)를 통해 송신된 후 매질에 반사되어오는 수신 초음파의 신호전송 타이밍을 제어하여 원활하게 초음파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계측제어시스템의 다른 일 실시 예인 유량측정부(6)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량측정부(6)는 수처리시설로 유체가 유입되는 관로에 설치되는 것으로, 관로 내에서 흐르는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여 자가진단 수처리 제어장치(2)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유량측정부(6)는 관로에 설치되어 관로의 양단에 설치된 전자석(58)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여 관로를 통과하는 유체에 의해 발생하는 전압(기전력)을 측정하는 전압검출부(56)와, 상기 전압검출부(56)에 의해 측정된 전압 수치를 이용하여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변환부(36)로 구성한다.
상기 전압검출부(56)에 설치되는 전자석(58)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전류를 공급할 수 있으며, 전자석(58)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의 형태를 서로 다르게 하여 관로 내에 고르게 분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자석(58)을 형성하기 위한 코일을 서로 다른 형태로 감아 자기장이 각기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게 한다.
상기 전자석(58)을 형성하는 코일의 형태는 코일의 굵기, 권선수, 가닥 수, 코일 감는 방향 등이 될 수 있으며, 자기장의 형성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유량변환부(36)는 전압검출부(56)의 데이터 송수신을 관리함과 함께 계측된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유체의 유량을 계산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유량제어부(38)와, 전압검출부(56)에 의한 전압 검출신호를 수신하는 검출신호수신부(44)와, 자기장을 형성하는 전자석(58)에 여자전류를 공급하여 자기장이 관로 내에 형성되도록 하는 여자전류공급부(42)와, 상기 전압검출부(56)에 의해 계측된 전압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유체의 유량을 산출하는 유량연산부(46)와, 상기 유량연산부(46)에 의한 유량의 산출시 유체의 편류나 난류에 의한 전압검출부(56)의 오차범위를 보정하는 자계신호보상부(40)와, 유량변환부(36)의 기능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신호입력부(48)와, 측정된 유체의 유량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계측정보표시부(50)와, 유량측정부(6)의 기기 이상을 실시간으로 판단하여 외부로 알림과 함께 자체적으로 교정하는 자가진단부(52)와, 전압검출부(56)와 유량변환부(36)를 통해 생성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54)로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상기 유량변환부(36)는 전압검출부(56)와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유량변환부(36)와 전압검출부(56)가 분리되어 이격되게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검출신호수신부(44)는 유체가 관로 내에서 흐름에 따라 전압검출부(56)에 의해 전자석(58)에서 발생한 전압을 측정한 다수의 검출신호를 전압검출부(56)로부터 전송받아 유량제어부(38)로 전송한다.
상기 여자전류공급부(42)는 전자석(58)에 전류를 공급하는 것으로, 전자석(58)은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에서는 자기장이 형성되지 않으며, 여자전류공급부(42)에 의해 여자전류를 흘려주면 자기장을 형성하여 유체의 흐름에 의해 전압이 발생하도록 한다.
상기 유량연산부(46)는 전압검출부(56)에 의해 측정된 전압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유체의 유속을 계산하여 얻은 후 상기 유속과 관로 내측의 직경을 연산하여 최종적으로 유체의 유량을 계산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유량연산부(46)에 의한 유량의 연산시에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석(58)을 관로에 설치하여 다수의 자기장에 의해 계측한 전압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연산하게 된다.
도 5 내지 도 6은 수처리시설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수위측정부(4)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5에서와 같이 수위측정시 구조물이 없어 수신된 초음파를 이용하여 수위측정이 용이한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도 6과 같이 유체 뿐만 아니라 설치된 구조물에 초음파가 반사되어 옴에 따라 수위측정의 신뢰성을 보장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수위측정 필터링부(8)의 구성을 상세 설명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자가진단 수처리 제어장치(2)는 수위측정부(4)를 통해 측정된 초음파 신호에 포함된 수위측정의 간섭신호, 예를 들면 구조물에 반사되어 오는 초음파를 필터링하여 수위측정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위측정 필터링부(8)와 초기설정부(60)는 초음파센싱부(34)가 설치된 곳의 수위측정시 미리 수위측정범위를 설정하기 위해 매질에 반사되어 초음파센서(6)로 수신되는 주파수 중에서 실제 매질에 부딪혀 반사되는 주파수 신호의 범위를 측정하여 초기값으로 설정하는 초기설정부(60)와, 초음파센싱부(34)를 통해 수신된 주파수 측정값을 초기 주파수 신호값과 비교가능하도록 초음파센싱부(34)를 통해 송신된 후 반사되어온 수신 주파수를 실시간으로 읽어들여 주파수 측정값으로 입력하는 수위스캔부(62)와, 상기 초기설정부(60)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 신호값과 수위스캔부(62)를 통해 입력받은 수신 주파수 측정값을 비교하여 초기설정부(60)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 신호값을 벗어나는 주파수인 구조물에 반사되어오는 수신 주파수를 구별하는 매칭부(64)와, 상기 매칭부(64)를 통해 초기 설정된 주파수 신호값을 벗어나는 수신 주파수 측정값 수신 주파수에서 제외하는 마스킹부(66)로 구성한다.
즉, 수위측정함에 있어 간섭의 요인이 되는 설치된 구조물에 반사되어오는 수신 주파수는 무시하고, 실제 매질에 반사되어온 주파수 측정값만을 수위측정시에 사용함으로써 수위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하는 초기 주파수 신호값은 초기설정부(60)에 의해 미리 설정되는 기준값이며, 수신 주파수 측정값은 초음파센싱부(34)를 통해 수신한 주파수값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유량측정 필터링부(10)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관로 내에 다수 설치된 전자석(58)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을 통해 측정되는 전압 검출신호를 하나의 검출신호로 보상함으로써 관로 내의 유량을 측정하여 정확성을 높이게 된다.
이를 위해 각각의 전자석(58)에 의해 구분되어 형성된 자기장을 통합하여 관로 내에서 흐르는 유체 흐름의 평균값인 균등자계 검출신호를 디지털 필터 방식(가산기, 승산기, 시프트 레지스터)으로 추출하여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량측정 필터링부(10)는 전압검출부(56)를 통해 측정된 전압 검출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하드웨어 필터를 이용하여 1차로 제거하는 검출신호필터링부(70)와, 노이즈가 1차로 제거된 전압 검출신호를 전자석(58)이 설치된 형태에 따라 발생한 자기장별로 분류하는 검출신호분석부(72)와, 상기 검출신호분석부(72)에 의해 자기장별로 전압 검출신호를 분류한 후 각각의 검출신호 중에서 전압의 변화없이 신호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간을 필터링하는 검출신호추출부(74)와, 상기 검출신호추출부(74)에 의해 필터링된 검출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소프트웨어 필터를 이용하여 2차로 제거하는 다중샘플링부(76)와, 노이즈가 2차로 제거된 각 구간별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자기장을 통합한 전체 검출신호를 생성하여 유체가 흐르는 관로 내측의 전체에 자기장이 고르게 분포된 것과 같은 균등자계 검출신호를 생성하는 균등자계신호생성부(78)로 구성한다.
상기 유량측정 필터링부(10)는 각각의 구획으로 나누어져 형성된 자기장을 통합하여 균등자계 검출신호를 생성함에 따라 유체가 흐르는 관로 전체에 자기장이 고르게 분포된 것과 같은 보정값을 얻을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유체의 유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전압검출부(56)에 측정된 전압 검출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하드웨어 필터를 이용하여 1차로 노이즈를 제거한 후, 다시 소프트웨어 필터를 이용하여 2차로 제거하여 검출신호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검출신호필터링부(70)에 의해 하드웨어적으로 전압 검출신호를 필터링하는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는 것으로, 다수의 전자석(58)에 의해 발생한 자기장에 감지되는 다수의 전압 검출신호를 입력받는 검출신호입력부(80)와, 노이즈로 판단되는 검출신호의 상하 범위값을 기본으로 미리 설정하고 상기 검출신호입력부(80)를 통해 입력받는 전압 검출신호와 상기 범위값을 비교연산하는 전압스캔부(82)와, 상기 전압스캔부(82)를 통해 비교연산된 비교값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값을 벗어나는 전압 검출신호는 제거하여 검출신호를 1차 필터링하는 전압추출부(84)와, 상기 전압추출부(84)에 의해 1차 필터링된 전압 검출신호를 검출신호분석부(72)를 통해 다수의 자기장별로 측정된 전압 검출신호로 분류하도록 하는 검출신호출력부(86)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검출신호필터링부(70)를 통해 1차로 노이즈가 제거된 검출신호를 검출신호분석부(72)와 검출신호추출부(74)를 통해 자기장 별로 분류한 후 다중샘플링부(76)에 의해 2차로 노이즈를 제거한다.
상기 다중샘플링부(76)는 전압검출부(56)에 의해 측정된 검출신호를 검출신호추출부(74)에 의해 각각의 검출신호 중에서 전압의 변화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간을 필터링한 후, 유량계측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필터링한 구간 다수를 취합하여 보정함으로써 검출신호를 2차로 필터링하여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수처리정보제공부(20)의 상세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수처리정보제공부(20)는 시간의 추이에 따른 초음파센싱부(34)의 송,수신주파수 파형을 표시하여 초음파의 수신감도를 설정하고 출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파형을 통해 수신되는 초음파의 노이즈를 체크함으로써 수위측정의 오차를 줄일수 있도록 하는 파형출력부(90)와, 수위측정부(4)에 의해 측정된 수위값의 아날로그 출력(mA)값을 표시하고 수위측정의 오작동시 수위측정부(4)의 고장인지 자가진단 수처리 제어장치(2)의 제어신호 오류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위측정부(4)에서 자가진단 수처리 제어장치(2)에 강제적으로 전류를 출력하여 전류값이 관제센터에 정확히 전달되는 경우에는 수위측정부(4)의 고장을 확인하고 전류값이 다를 경우에는 자가진단 수처리 제어장치(2)와 수위측정부(4) 사이의 제어신호의 오류에 의한 오작동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아날로그출력부(91)와, 수위측정부(4)에 의해 측정되는 수위정보 및 수위변환부(24)와 초음파센싱부(34)의 데이터정보를 저장하여 수위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수위측정값, 수위변환부(24)와 초음파센싱부(34)의 온도정보, 시간의 흐름에 따른 측정된 수위의 변화 추이, 초음파센싱부(34)의 송수신 초음파의 데이터정보를 저장하는 수위정보저장부(92)와, 온도차에 의해 초음파송수신 출력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위변환부(24)와 초음파센싱부(34)에 설치된 온도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된 온도값을 통해 상호 간의 온도차이를 보정하는 온도보정부(93)와, 측정된 수위와 유량정보를 포함하는 수처리정보를 전달받아 현재 수위상태 모니터링을 관리하는 메인제어부(94)와, LCD, LED를 통해 자가진단 수처리 제어장치(2)의 작동정보를 외부에 알려주는 상태표시부(96)로 구성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외부출력부(110)는 자가진단 수처리제어장치(2)의 제어정보를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통신에 의해 무선단말기(120)로 송신하기 위한 블루투스통신모듈(111)과, 자가진단 수처리제어장치(2)를 통해 수집되는 수위와 유량 제어정보인 아날로그 데이터를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통신에 의해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112)와, 데이터의 송신시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통신에 의한 최적화 데이터전송을 위해 데이터를 자동으로 압축하는 송신데이터자동압축부(113)와, 자가진단 수처리제어장치(2)의 인근에 위치하는 다수의 무선단말기(120) 중에서 제어정보의 송수신이 허가된 무선단말기(120)만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사전에 무선단말기(120)의 정보를 자가진단 수처리제어장치(2)에 등록하여 관리하는 인증관리부(114)와, 무선단말기(120)와의 데이터 송수신시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통신이 가능한 위치에 무선단말기(120)가 위치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에코신호를 송신한 후 응답신호가 수신되는가를 확인하는 통신상태확인부(115)와, 무선단말기(120)와의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통신시 제어정보가 무선단말기(120)로 송신이 완료되었는 지를 확인하는 수신완료확인부(116)와, 외부출력부(110)와 무선단말기(120) 사이의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통신에 의한 제어정보 송신을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무선통신제어부(117)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외부출력부(110)는 수처리시설의 수위와 유량 제어정보를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통신을 통해 무선단말기(120)로 자동으로 전송되며, 무선단말기(120)로 전송된 제어정보는 무선단말기(120)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원격지의 통합관제센터(100)로 전송된다.
자가진단 수처리제어장치(2)를 통해 원격지의 통합관제센터(100)에 바로 제어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4G, 5G와 같은 데이터통신망을 이용하여야 하며, 이 경우 별도의 데이터 사용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하게 되어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단말기(120)에 제공되는 데이터통신을 이용하여 자가진단 수처리제어장치(2)의 제어정보를 원격지의 통합관제센터(100)에 전송할 수 있어 데이터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자가진단 수처리제어장치(2)의 제어정보는 무선단말기(120)로 블루투스통신모듈(111)을 이용하여 전송된다.
상기 블루투스통신모듈(111)은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제어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단말기(120)에 내장된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모듈을 통해 자가진단 수처리제어장치(2)의 제어정보를 무선단말기(120)로 전송하며, 전송된 제어정보는 무선단말기(120)의 이동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의 통합관제센터(100)로 전송되는 것이다.
상기 신호변환부(112)는 자가진단 수처리제어장치(2)에 수집되는 아날로그신호 형태의 제어정보를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통신으로 송신하기 위한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게 된다.
상기 송신데이터자동압축부(113)는 수위와 유량의 제어정보를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원격지의 통합관제센터(100)에 전송하는 경우 전송시간이 오래 걸리면서 데이터사용량도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압축 혹은 비압축 형태가 될 수 있도록 자동으로 데이터를 압축한다.
텍스트파일은 압축률이 90%이상으로 우수함에 따라 무선통신을 통한 전송시 반드시 압축된 상태로 전송되어야 하며 미디어 파일의 경우 자체 압축형식에 의해 미리 압축이 된 상태가 대부분임에 따라 다시 압축한다 해도 압축률이 낮거나 오히려 압축 후 파일 크기가 증가하게 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압축하는 과정과 해제하는 과정의 반복으로 인해 처리시간의 지연만 발생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송신데이터자동압축부(113)에서는 미리 설정된 압축방법에 따라 구분된 제어정보들을 압축하거나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바로 송신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압축여부를 확인하여 압축하게 된다.
예를 들어, txt, log, dat, doc, htm, obj, wav, wmv, bmp 등의 텍스트 파일이나 압축 가능 미디어파일은 압축하게 되고, mp4, avi, H264, H265 등의 압축 미디어, mp3와 같은 압축 오디오 등은 이미 압축되어 있거나 압축후 데이터 크기가 증가할 수 있음에 따라 압축하지 않도록 한다.
즉, 압축효율을 고려하여 압축하여 전송되어야 하는 파일의 확장자와, 압축하지 않은 상태로 전송되어야할 파일의 확장자를 미리 설정한 후 해당 파일의 전송시 자동으로 압축되어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인증관리부(114)는 자가진단 수처리제어장치(2)의 인근에 위치하는 다수의 무선단말기(120) 중에서 미리 허가된 무선단말기(120)로 제어정보가 송신될 수 있도록 데이터 송수신이 허가된 무선단말기(120)의 인증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상기 무선단말기(120)의 인증정보는 관리자가 소지한 무선단말기(120)의 맥어드레스(MAC address)와 같은 무선단말기(120)의 고유정보나 무선단말기(120)에 설치된 전용 앱을 통한 로그인 정보일 수 있으며, 인증된 무선단말기(120)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잘못된 제어정보의 송신을 차단할 수 있고 관리자 이외의 사용자에게 불필요하게 제어정보가 송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통신상태확인부(115)는 무선단말기(120)로의 제어신호 송신시 무선단말기(120)와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통신이 가능한지를 확인한 후 통신가능 상태가 확인되면 제어정보를 송신하도록 하여 데이터 송수신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자가진단 수처리제어장치(2)의 인근인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통신에 의해 데이터송수신 가능 거리 내에 인증된 무선단말기(120)가 위치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에코신호를 송신하게 되며, 에코신호를 수신한 무선단말기(120)에서는 데이터 송수신 대기임을 확인하는 응답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무선단말기(120)에서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통신이 가능한 상태임을 확인한 후 제어정보를 송신하며, 무선통신시 신호가 끊어져 데이터송수신이 중단되는 경우에는 이를 확인하고 무선통신이 재개되는 시점에 자동으로 이어받기 기능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신완료확인부(116)는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통신에 의해 무선단말기(120)로 전송된 제어정보의 수신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으로, 무선단말기(120)로의 제어정보 전송이 완료되면 별도의 수신완료 메시지를 수신하여 데이터전송의 완료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2)-- 자기진단 수처리 제어장치 (4)-- 수위측정부
(6)-- 유량측정부 (8)-- 수위측정 필터링부
(10)-- 유량측정 필터링부 (12)-- 수위조절부
(14)-- 배출밸브개폐제어부 (16)-- 펌프작동제어부
(18)-- 압력감지수신부 (20)-- 수처리정보제공부
(22)-- 자가진단처리부 (24)-- 수위변환부
(26)-- 제어연산부 (28)-- 레벨수신부
(30)-- 초음파송신부 (32)-- 초음파송수신전환제어부
(34)-- 초음파센싱부 (36)-- 유량변환부
(38)-- 유량제어부 (40)-- 자계신호보상부
(42)-- 여자전류공급부 (44)-- 검출신호수신부
(46)-- 유량연산부 (48)-- 작동신호입력부
(50)-- 계측정보표시부 (52)-- 자가진단부
(54)-- 데이터저장부 (56)-- 검출부
(58)-- 전자석 (60)-- 초기설정부
(62)-- 수위스캔부 (64)-- 매칭부
(66)-- 마스킹부 (70)-- 검출신호필터링부
(72)-- 검출신호분석부 (74)-- 검출신호추출부
(76)-- 다중샘플링부 (78)-- 균등자계신호생성부
(80)-- 검출신호입력부 (82)-- 전압스캔부
(84)-- 전압추출부 (86)-- 검출신호출력부
(90)-- 파형출력부 (91)-- 아날로그출력부
(92)-- 수위정보저장부 (93)-- 온도보정부
(94)-- 데이터송수신부 (95)-- 메인제어부
(97)-- 상태표시부 (100)-- 통합관제센터
(110)-- 외부출력부 (111)-- 블루투스통신모듈
(112)-- 신호변환부 (113)-- 송신데이터자동압축부
(114)-- 인증관리부 (115)-- 통신상태확인부
(116)-- 수신완료확인부 (117)-- 무선통신제어부
(120)-- 무선단말기

Claims (7)

  1. 오수펌프장, 배수지, 정수장, 하수 및 오,폐수처리시설, 재이용수시설 등과 같은 수처리시설에 설치되는 수위계, 유량계, 농도계, 계면계, 수질분석기와 같은 수처리장치를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자가진단 수처리 제어장치(2)와,
    상기 자가진단 수처리 제어장치(2)에 의해 관리되는 수처리장치의 제어정보를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여 원격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외부출력부(110)가 구성되되,
    상기 외부출력부(110)는 자가진단 수처리제어장치(2)의 제어정보를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통신에 의해 무선단말기(120)로 송신하기 위한 블루투스통신모듈(111)과, 자가진단 수처리제어장치(2)를 통해 수집되는 수위와 유량 제어정보인 아날로그 데이터를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통신에 의해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112)와, 데이터의 송신시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통신에 의한 최적화 데이터전송을 위해 압축효율을 고려하여 압축하여 전송되어야 하는 파일의 확장자와 압축하지 않은 상태로 전송되어야할 파일의 확장자를 미리 설정한 후 해당 파일의 전송시 데이터를 자동으로 압축하는 송신데이터자동압축부(113)와, 자가진단 수처리제어장치(2)의 인근에 위치하는 다수의 무선단말기(120) 중에서 제어정보의 송수신이 허가된 무선단말기(120)만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사전에 무선단말기(120)의 맥어드레스와 같은 고유정보, 무선단말기(120)에 설치된 전용앱을 통한 로그인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자가진단 수처리제어장치(2)에 등록하여 관리하는 인증관리부(114)와, 무선단말기(120)와의 데이터 송수신시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통신이 가능한 위치에 무선단말기(120)가 위치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에코신호를 송신한 후 응답신호가 수신되는가를 확인하는 통신상태확인부(115)와, 무선단말기(120)와의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통신시 제어정보가 무선단말기(120)로 송신이 완료되었는 지를 확인하는 수신완료확인부(116)와, 외부출력부(110)와 무선단말기(120) 사이의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통신에 의한 제어정보 송신을 전체적으로 관리하는 무선통신제어부(117)로 구성되며,
    상기 외부출력부(110)에 의해 송신되는 수처리시설의 제어정보를 수신한 후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원격지로 전송하는 무선단말기(120)와,
    지역별로 설치된 자가진단 수처리 제어장치(2)의 제어정보를 무선단말기(120)를 통해 전송받아 다수의 수처리시설의 제어정보를 확인한 후 각 지역에 설치된 자가진단 수처리 제어장치(2)를 통합관리하여 수처리시설의 상태를 통합제어하는 통합관제센터(10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기의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방식을 이용해 원격 진단서비스가 가능한 스마트 타입의 계측제어 및 원격감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진단 수처리 제어장치(2)는 수위측정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수위측정부(4)를 통해 수신된 초음파중에서 매질에 반사되어 오는 초음파만을 이용하여 수위를 측정하도록 수처리시설 내의 구조물에 반사된 초음파는 필터링하여 제거하는 수위측정 필터링부(8)와,
    유량측정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유량측정부(6)를 통해 측정된 전압 검출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유량측정 필터링부(10)와,
    상기 수위측정 필터링부(8)와 유량측정 필터링부(10)에 의해 신뢰성있는 측정값이 도출된 수위, 유량정보를 이용하여 수처리시설의 수위를 제어하는 수위조절부(12)와,
    상기 수위조절부(12)에 의해 제어되고 수처리시설의 수위조절시 수처리시설의 후단에 위치하는 관로에 설치되어 유체의 배수가 필요한 경우 유체가 관로를 통해 배출되도록 함과 함께 수처리시설에 수위가 미리 설정된 높이 이상이면 유체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배출밸브개폐제어부(14)와,
    상기 수위조절부(12)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배출밸브개폐제어부(14)가 열린 상태에서 수처리시설의 유체를 배출하도록 하는 펌프작동제어부(16)와,
    관로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의 압력을 감지하여 실제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확인함과 함께 유체를 배출하지 않도록 제어된 상태에서 오작동에 의해 유체가 배출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압력감지수신부(18)와,
    상기 수위조절부(12)로 입력된 수위,유량정보와 함께 수위조절부(12)를 통해 제어되는 수처리시설의 수위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수처리정보제공부(20)와,
    자가진단 수처리 제어장치(2)의 오작동시에 이를 자체적으로 확인하여 통합관제선터에 오작동신호를 송신하고 오작동을 해결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통합관제선터로부터 수신함으로서 자가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가진단처리부(22)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기의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방식을 이용해 원격 진단서비스가 가능한 스마트 타입의 계측제어 및 원격감시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측정부(6)는 관로의 일단에 설치되어 관로의 양단에 설치된 전자석(58)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여 관로를 통과하는 유체에 의해 발생하는 전압(기전력)을 측정하는 전압검출부(56)와, 상기 전압검출부(56)에 의해 측정된 전압 수치를 이용하여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변환부(36)로 구성하며,
    상기 유량변환부(36)는 전압검출부(56)의 데이터 송수신을 관리함과 함께 계측된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유체의 유량을 계산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유량제어부(38)와,
    전압검출부(56)에 의한 전압 검출신호를 수신하는 검출신호수신부(44)와, 자기장을 형성하는 전자석(58)에 여자전류를 공급하여 자기장이 관로 내에 형성되도록 하는 여자전류공급부(42)와,
    상기 전압검출부(56)에 의해 계측된 전압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유체의 유량을 산출하는 유량연산부(46)와,
    상기 유량연산부(46)에 의한 유량의 산출시 유체의 편류나 난류에 의한 전압검출부(56)의 오차범위를 보정하는 자계신호보상부(40)와,
    유량변환부(36)의 기능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신호입력부(48)와, 측정된 유체의 유량정보를 외부로 표시하는 계측정보표시부(50)와,
    유량측정부(6)의 기기 이상을 실시간으로 판단하여 외부로 알림과 함께 자체적으로 교정하는 자가진단부(52)와,
    전압검출부(56)와 유량변환부(36)를 통해 생성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54)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기의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방식을 이용해 원격 진단서비스가 가능한 스마트 타입의 계측제어 및 원격감시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측정 필터링부(8)는 초기설정부(60)는 초음파센싱부(34)가 설치된 곳의 수위측정시 미리 수위측정범위를 설정하기 위해 매질에 반사되어 초음파센서(6)로 수신되는 주파수 중에서 실제 매질에 부딪혀 반사되는 주파수 신호의 범위를 측정하여 초기값으로 설정하는 초기설정부(60)와,
    초음파센싱부(34)를 통해 수신된 주파수 측정값을 초기 주파수 신호값과 비교가능하도록 초음파센신부를 통해 송신된 후 반사되어온 수신 주파수를 실시간으로 읽어들여 주파수 측정값으로 입력하는 수위스캔부(62)와,
    상기 초기설정부(60)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 신호값과 수위스캔부(62)를 통해 입력받은 수신 주파수 측정값을 비교하여 초기설정부(60)에 의해 설정된 주파수 신호값을 벗어나는 주파수인 구조물에 반사되어오는 수신 주파수를 구별하는 매칭부(64)와,
    상기 매칭부(64)를 통해 초기 설정된 주파수 신호값을 벗어나는 수신 주파수 측정값 수신 주파수에서 제외하는 마스킹부(66)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기의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방식을 이용해 원격 진단서비스가 가능한 스마트 타입의 계측제어 및 원격감시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측정 필터링부(10)는 전압검출부(56)를 통해 측정된 전압 검출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하드웨어 필터를 이용하여 1차로 제거하는 검출신호필터링부(70)와,
    노이즈가 1차로 제거된 전압 검출신호를 전자석(58)이 설치된 형태에 따라 발생한 자기장별로 분류하는 검출신호분석부(72)와,
    상기 검출신호분석부(72)에 의해 자기장별로 전압 검출신호를 분류한 후 각각의 검출신호 중에서 전압의 변화없이 신호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간을 필터링하는 검출신호추출부(74)와,
    상기 검출신호추출부(74)에 의해 필터링된 검출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소프트웨어 필터를 이용하여 2차로 제거하는 다중샘플링부(76)와,
    노이즈가 2차로 제거된 각 구간별 검출신호를 이용하여 자기장을 통합한 전체 검출신호를 생성하여 유체가 흐르는 관로 내측의 전체에 자기장이 고르게 분포된 것과 같은 균등자계 검출신호를 생성하는 균등자계신호생성부(78)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기의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방식을 이용해 원격 진단서비스가 가능한 스마트 타입의 계측제어 및 원격감시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신호필터링부(70)는 다수의 전자석(58)에 의해 발생한 자기장에 감지되는 다수의 전압 검출신호를 입력받는 검출신호입력부(80)와,
    노이즈로 판단되는 검출신호의 상하 범위값을 기본으로 미리 설정하고 상기 검출신호입력부(80)를 통해 입력받는 전압 검출신호와 상기 범위값을 비교연산하는 전압스캔부(82)와,
    상기 전압스캔부(82)를 통해 비교연산된 비교값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값을 벗어나는 전압 검출신호는 제거하여 검출신호를 1차 필터링하는 전압추출부(84)와,
    상기 전압추출부(84)에 의해 1차 필터링된 전압 검출신호를 검출신호분석부(72)를 통해 다수의 자기장별로 측정된 전압 검출신호로 분류하도록 하는 검출신호출력부(86)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기의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방식을 이용해 원격 진단서비스가 가능한 스마트 타입의 계측제어 및 원격감시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처리정보제공부(20)는 시간의 추이에 따른 초음파센싱부(34)의 송,수신주파수 파형을 표시하여 초음파의 수신감도를 설정하고 출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파형을 통해 수신되는 초음파의 노이즈를 체크함으로써 수위측정의 오차를 줄일수 있도록 하는 파형출력부(90)와,
    수위측정부(4)에 의해 측정된 수위값의 아날로그 출력(mA)값을 표시하고 수위측정의 오작동시 수위측정부(4)의 고장인지 자가진단 수처리 제어장치(2)의 제어신호 오류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위측정부(4)에서 자가진단 수처리 제어장치(2)에 강제적으로 전류를 출력하여 전류값이 관제센터에 정확히 전달되는 경우에는 수위측정부(4)의 고장을 확인하고 전류값이 다를 경우에는 자가진단 수처리 제어장치(2)와 수위측정부(4) 사이의 제어신호의 오류에 의한 오작동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아날로그출력부(91)와,
    수위측정부(4)에 의해 측정되는 수위정보 및 수위변환부(24)와 초음파센싱부(34)의 데이터정보를 저장하여 수위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수위측정값, 수위변환부(24)와 초음파센싱부(34)의 온도정보, 시간의 흐름에 따른 측정된 수위의 변화 추이, 초음파센싱부(34)의 송수신 초음파의 데이터정보를 저장하는 수위정보저장부(92)와,
    온도차에 의해 초음파송수신 출력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위변환부(24)와 초음파센싱부(34)에 설치된 온도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된 온도값을 통해 상호 간의 온도차이를 보정하는 온도보정부(93)와,
    측정된 수위와 유량정보를 포함하는 수처리정보를 전달받아 현재 수위상태 모니터링을 관리하는 메인제어부(94)와,
    LCD, LED를 통해 자가진단 수처리 제어장치(2)의 작동정보를 외부에 알려주는 상태표시부(96)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기의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방식을 이용해 원격 진단서비스가 가능한 스마트 타입의 계측제어 및 원격감시시스템.
KR1020190128848A 2019-10-17 2019-10-17 계측기기의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방식을 이용해 원격 진단서비스가 가능한 스마트 타입의 계측제어 및 원격감시시스템 KR102170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848A KR102170963B1 (ko) 2019-10-17 2019-10-17 계측기기의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방식을 이용해 원격 진단서비스가 가능한 스마트 타입의 계측제어 및 원격감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8848A KR102170963B1 (ko) 2019-10-17 2019-10-17 계측기기의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방식을 이용해 원격 진단서비스가 가능한 스마트 타입의 계측제어 및 원격감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0963B1 true KR102170963B1 (ko) 2020-10-28

Family

ID=73018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8848A KR102170963B1 (ko) 2019-10-17 2019-10-17 계측기기의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방식을 이용해 원격 진단서비스가 가능한 스마트 타입의 계측제어 및 원격감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09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14520A (zh) * 2020-11-06 2021-02-26 常州市成丰流量仪表有限公司 一种流量计的故障检测系统
CN114933340A (zh) * 2022-07-22 2022-08-23 四川锦美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边缘计算的污水处理远程监控诊断系统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819B1 (ko) 2007-05-10 2007-11-30 (주)씨엠엔텍 초음파 수위측정장치
KR20150019827A (ko) * 2013-08-16 2015-02-25 (주)와콘 지능형 수도계량기 다항목 검침 시스템
KR101758248B1 (ko) * 2017-04-14 2017-07-14 (주)리테크 디지털 필터 기능의 수위계를 이용하여 오수펌프장, 배수지의 원격제어진단이 가능한 계측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819B1 (ko) 2007-05-10 2007-11-30 (주)씨엠엔텍 초음파 수위측정장치
KR20150019827A (ko) * 2013-08-16 2015-02-25 (주)와콘 지능형 수도계량기 다항목 검침 시스템
KR101758248B1 (ko) * 2017-04-14 2017-07-14 (주)리테크 디지털 필터 기능의 수위계를 이용하여 오수펌프장, 배수지의 원격제어진단이 가능한 계측제어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14520A (zh) * 2020-11-06 2021-02-26 常州市成丰流量仪表有限公司 一种流量计的故障检测系统
CN114933340A (zh) * 2022-07-22 2022-08-23 四川锦美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边缘计算的污水处理远程监控诊断系统及方法
CN114933340B (zh) * 2022-07-22 2022-11-18 四川锦美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边缘计算的污水处理远程监控诊断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8248B1 (ko) 디지털 필터 기능의 수위계를 이용하여 오수펌프장, 배수지의 원격제어진단이 가능한 계측제어시스템
KR102170963B1 (ko) 계측기기의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방식을 이용해 원격 진단서비스가 가능한 스마트 타입의 계측제어 및 원격감시시스템
RU252536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вышения в реальном времени эффективности работы трубопровода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текучей среды
CN102410847B (zh) 噪声检测和避免
US85949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lecting, analyzing, recording, and transmitting fluid hydrocarbon production monitoring and control data
CN111578149B (zh) 燃气管道泄漏监测方法、设备、系统及存储介质
US20210215158A1 (en) A monitoring module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 operating scenario in a wastewater pumping station
CN101243318A (zh) 具有对固体的自动指示的工业现场设备
CN101692301B (zh) 油汽管道漏磁检测器超低频信号传输方法
US201300541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measurement signals in spatially extensive supply networks
CN105446246A (zh) 城市供水管网的远程监控防渗漏系统及方法
KR102365920B1 (ko) Iot 기반 디지털필터방식의 유속, 레벨을 이용한 비접촉방식의 관거용 유량조절장치
KR101589127B1 (ko) 체크밸브 개폐특성 모니터링 및 진단을 수행하는 장치
US9205293B2 (en) Fluid flow testing system
EP2177884B1 (en) Flow rate measuring apparatus and flow rate measuring method
CN203759504U (zh) 污水排放监控系统
JP2015064766A (ja) 携帯端末および機器診断方法
US20190376510A1 (en) Remote pump managing device
CN203549409U (zh) 一种中低压燃气调压器在线安全预警装置
KR101382231B1 (ko) 음의 연속성을 이용한 누수진단 시스템
US20210318152A1 (en) Method of detecting and locating a fluid leak
US20230176563A1 (en) 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pump station
CN114623799A (zh) 结构健康监测数据异常预警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CN113687599A (zh) 一种智能物联网水表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1342691B1 (ko) 유량계 원격 검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량계 고장 판단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