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9441A - 빵의 노화억제용 제빵 첨가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빵의 노화억제용 제빵 첨가제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19441A KR20150019441A KR20130096338A KR20130096338A KR20150019441A KR 20150019441 A KR20150019441 A KR 20150019441A KR 20130096338 A KR20130096338 A KR 20130096338A KR 20130096338 A KR20130096338 A KR 20130096338A KR 20150019441 A KR20150019441 A KR 201500194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ead
- group
- storage
- control group
- dough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08429 bread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4
- 240000000249 Morus alba Speci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08708 Morus alba Nutrition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5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8159 sesame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5000011803 sesame oi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5000014121 butte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41000209140 Tritic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21307 Tritic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8157 edible vegetable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0000004808 Saccharomyces cerevisia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6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0000005979 Hordeum vulgar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07340 Hordeum vulgar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02639 sodium chlorid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0000008620 Fagopyrum esculent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9419 Fagopyrum esculent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4680 Saccharomyces cerevisia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7238 Secale cereal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0000008042 Zea may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5824 Zea mays ssp. parviglum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2017 Zea mays subsp may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5822 cor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209056 Secale Species 0.000 claims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4898 knea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3064 anti-oxid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58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2292 Radical scaveng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41000207961 Sesamum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03434 Sesamum ind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MGJZITXUQXWAKY-UHFFFAOYSA-N diphenyl-(2,4,6-trinitrophenyl)iminoazanium Chemical compound [O-][N+](=O)C1=CC([N+](=O)[O-])=CC([N+]([O-])=O)=C1N=[N+](C=1C=CC=CC=1)C1=CC=CC=C1 MGJZITXUQXWA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963 anti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6708 antioxida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QTBSBXVTEAMEQO-UHFFFAOYSA-N 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TUJKJAMUKRIRHC-UHFFFAOYSA-N hydroxyl Chemical compound [OH] TUJKJAMUKRIRH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459 muff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794 white brea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6623 Fragaria ves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9088 Fragaria x ananass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363 Fragaria x ananas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2
- 244000017020 Ipomoea batata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678 Ipomoea batata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4000046052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754 Vitis X bourqui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333 Vitis X labrusc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6365 Vitis vin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787 Vitis vin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88 calibration curv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55 chew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113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HHEAADYXPMHMCT-UHFFFAOYSA-N dpph Chemical compound [O-][N+](=O)C1=CC([N+](=O)[O-])=CC([N+]([O-])=O)=C1[N]N(C=1C=CC=CC=1)C1=CC=CC=C1 HHEAADYXPMHMC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488 sampl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TUSDEZXZIZRFGC-UHFFFAOYSA-N 1-O-galloyl-3,6-(R)-HHDP-beta-D-glucose Natural products OC1C(O2)COC(=O)C3=CC(O)=C(O)C(O)=C3C3=C(O)C(O)=C(O)C=C3C(=O)OC1C(O)C2OC(=O)C1=CC(O)=C(O)C(O)=C1 TUSDEZXZIZRFG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SJSAQIRZKANQN-CRCLSJGQSA-N 2-deoxy-D-ribose Chemical compound OC[C@@H](O)[C@@H](O)CC=O ASJSAQIRZKANQN-CRCLSJGQSA-N 0.000 description 1
- 201000004384 Alopec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820 Arthral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5789 Bombyx mor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036 Castan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070941 Castan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1202 Desmocollin-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KCXVZYZYPLLWCC-UHFFFAOYSA-N EDTA Chemical compound OC(=O)CN(CC(O)=O)CCN(CC(O)=O)CC(O)=O KCXVZYZYPLLWC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63 FEMA 3042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9123 Fibr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73385 Fibr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BWGVNKXGVNDBDI-UHFFFAOYSA-N Fibrin monomer Chemical compound CNC(=O)CNC(=O)CN BWGVNKXGVNDB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1000968043 Homo sapiens Desmocollin-1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1000880960 Homo sapiens Desmocollin-3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58791 Jugland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LRBQNJMCXXYXIU-PPKXGCFTSA-N Penta-digallate-beta-D-glucose Natural products OC1=C(O)C(O)=CC(C(=O)OC=2C(=C(O)C=C(C=2)C(=O)OC[C@@H]2[C@H]([C@H](OC(=O)C=3C=C(OC(=O)C=4C=C(O)C(O)=C(O)C=4)C(O)=C(O)C=3)[C@@H](OC(=O)C=3C=C(OC(=O)C=4C=C(O)C(O)=C(O)C=4)C(O)=C(O)C=3)[C@H](OC(=O)C=3C=C(OC(=O)C=4C=C(O)C(O)=C(O)C=4)C(O)=C(O)C=3)O2)OC(=O)C=2C=C(OC(=O)C=3C=C(O)C(O)=C(O)C=3)C(O)=C(O)C=2)O)=C1 LRBQNJMCXXYXIU-PPKXGCFT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7660 Pyre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AUNGANRZJHBGPY-SCRDCRAPSA-N Riboflavin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N1C=2C=C(C)C(C)=CC=2N=C2C1=NC(=O)NC2=O AUNGANRZJHBGPY-SCRDCRAP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82988 Secale cereal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7502 anem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23 ascorb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070 ascorb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68 ascorb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329 compou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71 cre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86 dish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69 dried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94 eating hab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5 f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50003499 fib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95 gingiv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76 hair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284 iro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3 mas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04 material by fun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93 memory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98 oi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DHRLEVQXOMLTIM-UHFFFAOYSA-N phosphoric acid;trioxomolybdenum Chemical compound O=[Mo](=O)=O.O=[Mo](=O)=O.O=[Mo](=O)=O.O=[Mo](=O)=O.O=[Mo](=O)=O.O=[Mo](=O)=O.O=[Mo](=O)=O.O=[Mo](=O)=O.O=[Mo](=O)=O.O=[Mo](=O)=O.O=[Mo](=O)=O.O=[Mo](=O)=O.OP(O)(O)=O DHRLEVQXOMLTI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76 powdered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47 saturate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LRBQNJMCXXYXIU-NRMVVENXSA-N tannic acid Chemical compound OC1=C(O)C(O)=CC(C(=O)OC=2C(=C(O)C=C(C=2)C(=O)OC[C@@H]2[C@H]([C@H](OC(=O)C=3C=C(OC(=O)C=4C=C(O)C(O)=C(O)C=4)C(O)=C(O)C=3)[C@@H](OC(=O)C=3C=C(OC(=O)C=4C=C(O)C(O)=C(O)C=4)C(O)=C(O)C=3)[C@@H](OC(=O)C=3C=C(OC(=O)C=4C=C(O)C(O)=C(O)C=4)C(O)=C(O)C=3)O2)OC(=O)C=2C=C(OC(=O)C=3C=C(O)C(O)=C(O)C=3)C(O)=C(O)C=2)O)=C1 LRBQNJMCXXYXIU-NRMVVENX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33123 tan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523 tan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58 tan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8 tes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JZRWCGZRTZMZEH-UHFFFAOYSA-N thiamine Chemical compound CC1=C(CCO)SC=[N+]1CC1=CN=C(C)N=C1N JZRWCGZRTZMZE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56 t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234 walnu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580 weight lo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939 whole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06—Products with modified nutritive value, e.g. with modified starch content
-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8/00—Methods for preparing or baking doug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빵의 노화를 지연하여 저장성이 우수하고, 항산화성이 강화된 빵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밀가루의 반죽 시 오디박을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박 빵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디즙 부산물로 폐기되는 오디박을 활용하며 빵의 노화를 지연하여 저장성이 우수하고, 항산화성이 강화된 빵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디는 양잠용으로 재배되어온 뽕나무의 핵과이며, 상실, 상심, 상심자라고도 한다. 오디는 딸기나 포도에 비해 단백질 함량이 4-5배 높을 뿐만 아니라, 산딸기와 같은 과실에 비하여 섬유소, 철,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C등의 함량이 높은 고영양 과실이다. 한방에서는 백발을 검게 하고 소갈을 덜어주며 오장을 이롭게 하는 자양강장제로서 뿐 아니라, 빈혈, 고혈압, 관절통, 기억력 증강 및 대머리 치료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디에는 수분이 많기 때문에 물러지거나 상하기 쉬워 건조 및 착즙을 한 제품으로 나오고 있다. 오디의 착즙 시에는 다량의 오디박(착즙박)이 부산물로 나오지만, 거의 이용되지 못하고 폐기처분되고 있다. 그러나 오디박에는 오디즙에 못지않은 영양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항산화 활성 또한 우수하다고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오디박을 이용한 제품이 개발된다면 농가 소득에 큰 공헌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식습관이 서구화되면서 빵은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친근한 식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현대인에게 빵은 식사대용으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빵에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여 영양을 강화하고, 품질을 개선시키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빵은 갓 구웠을 때에 비해 노화에 의해 식감이나 저장성이 저하되므로 노화를 지연시켜 빵 고유의 풍미와 식감를 유지하고 저장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나 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오디를 빵에 이용하고자 하는 선행기술로서는 머핀의 주재료로 오디를 분쇄하여 함께 넣어 반죽을 한 오디를 첨가한 머핀의 제조방법이 공개특허 2008-35178호에, 오디와 보리새싹을 갈아서 밀가루에 혼합하여 제조하는 오디 찐빵이 등록특허 1215889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오디 머핀과 오디 찐빵은 오디를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오디의 장기 보관이 용이하지 않다는 점을 고려하면 오디의 수확기에 한하여 제조가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을 뿐 아니라, 착즙의 부산물인 오디박의 활용에 관한 본원의 기술사상과는 본질적으로 차이가 있다. 등록특허 0774240호에서는 빵이 내부에 고구마와 오디쨈이 함유된 쌀 빵의 제조방법에 대해, 등록특허 1266182호에서는 찐빵의 소로 오디 숙성물이 함유된 오디빵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이들 특허들은 마찬가지로 오디박을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더불어 오디를 빵의 속 내용물인 소로 사용하고자 하는 것이므로 역시 본원 발명과는 본질적 차이가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선행기술들은 오디의 영양성분을 활용하여 빵에 영양을 강화하려는 것으로, 빵의 노화 방지와는 전혀 무관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오디즙에 버금가는 영양성분 및 항산화성분을 함유함에도 착즙의 부산물로 버려지는 오디박을 활용하여 농가소득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오디박의 활용 방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양성분 및 항산화성분을 함유하여 빵의 기능성이 강화될 뿐 아니라, 노화를 지연시켜 저장성이 향상된 빵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밀가루의 반죽 시 오디박을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박 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빵은 밀가루를 주원료로 하여 소금, 설탕, 버터, 이스트(또는 베이킹 파우더) 등을 섞어 반죽하여 발효한 뒤에 불에 굽거나 찐 음식을 통칭하는 것으로, 하기 실시예에서는 모닝빵을 예로 들어 이화학적 특성과 저장특성, 항산화특성, 관능평가 등을 실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 형태의 빵의 제조를 위한 반죽 시 오디박을 혼합하는 것에 의해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모닝빵의 제조에 대한 결과만을 기재하였으나, 식빵, 바게뜨, 찐빵 등에 대해 수분 함량, 저장 특성, 항산화 특성,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빵의 종류와 무관하게 오디박의 첨가량에 따라 모닝빵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오디박은 오디의 착즙 후 부산물로 생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오디박 빵에서 오디박은 건조 오디박 중량을 기준으로, 반죽에 사용한 밀가루와 오디박 무게 합의 1~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오디박(g)/(오디박(g)+밀가루(g)×100은 1~5%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오디박 빵은 오디의 항산화 성분이 포함되어 총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Hydroxy 라디칼 소거능에 의한 평가에서 오디의 첨가량에 의존적으로 항산화능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오디박 빵은 오디박이 함유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저장에 따른 빵의 노화가 지연되고, 수분 함량의 감소와 경도의 증가가 억제되어 저장 특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관능 평가에서도 대조군은 저장 직후부터 전반적인 기호도나 구매의사가 감소한 것에 비해 본 발명에 의한 오디박 빵은 저장 7일까지도 기호도가 감소하지 않거나 오히려 다소 증가하여 위의 노화나 수분함량, 조직감 특성과 부합하였으며, 저장특성의 향상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오디박 빵은 통상의 빵의 제조 방법에 의한 빵의 제조 시 반죽에 오디박을 첨가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즉, (A) 밀가루와 오디박 무게의 합에 대해 건조중량 기준으로 1~5중량%의 오디박을 함유하는 밀가루와 오디박의 혼합물에, 소금, 설탕, 버터, 계란, 우유 및 이스트를 넣고 반죽하는 단계; (B) (A) 단계의 반죽을 1차 발효하는 단계; (C) (B) 단계에서 1차 발효된 반죽을 휴지하는 단계; (D) (C) 단계의 휴지된 반죽을 2차 발효단계; 및(E) (D)단계에서 2차 발효된 반죽을 굽거나 찌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밀가루와 오디박 이외의 부수적인 재료인 소금, 설탕, 버터, 계란, 우유(또는 분유) 및 이스트의 양의 각 빵의 종류에 대해 종래기술에 의해 알려진 양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주요 기술적 사상은 반죽 시 밀가루와 함께 오디박을 혼합하여 반죽하는 것에 의해 오디박 빵을 제조한다는 것이므로, 세부적으로 사용하는 부수적인 재료의 양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각의 빵의 종류에 대해 부수적인 재료의 양은 종래 기술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정량화되어 있다. 예를 들어, 식빵의 경우에도 우유식빵, 버터식빵, 생크림식빵 등 여러 종류가 가능하며 이들 각각에 대해 각 부수적인 재료의 배합비가 다르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의미가 없고, 당 업자라면 필요한 배합비는 종래기술에 의해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생략한다.
상기 오디박은 착즙 직후 젖은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고, 건조된 오디박의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다만 젖은 상태의 오디박은 오디의 수확으로부터 일정 시기에 공급이 한정되며, 이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냉장 또는 냉동고가 필요하므로 저장 및 유통에 비용이 소요되고 오디박의 수분 함량에 따라 건조 중량의 환산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오디박을 건조하여 보관하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오디빵은 상기 (A) 단계에서 밀가루의 일부를 보리, 호밀, 옥수수, 메밀, 쌀 가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발효가 잘 되도록 하기 위해 반죽 시 제빵개량제를 추가로 첨가하거나, 빵의 풍미와 소비자의 기호도를 높이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빵의 제조에 사용되는 부가재료 예컨대, 밤, 호두, 고구마, 건과일 등을 첨가할 수 있는 등 상기 빵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세부공정 및 재료의 사용량은 종래 기술의 빵 제조방법을 응용하여 변형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착즙의 부산물로 버려지는 오디박을 활용하여 항산화성이 우수한 빵을 제조할 수 있어 농가소득에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빵은 영양성분 및 항산화성분을 함유하여 빵의 기능성이 강화될 뿐 아니라, 빵의 노화가 지연되고, 수분의 감소 및 강도의 증가, 조직감의 저하가 억제되어 저장성이 향상되며 관능성 또한 우수하여 빵의 제조 직후 뿐만 아니라 저장 시에도 빵의 식감 및 기호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디박 빵의 저장기간에 따른 수분 함량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디박 빵의 저장기간에 따른 무게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디박 빵의 저장기간에 따른 총페놀 함량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디박 빵의 저장기간에 따른 DPPH 라디칼 소거능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디박 빵의 저장기간에 따른 Hydroxy 라디칼 소거능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디박 빵의 저장기간에 따른 무게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디박 빵의 저장기간에 따른 총페놀 함량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디박 빵의 저장기간에 따른 DPPH 라디칼 소거능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오디박 빵의 저장기간에 따른 Hydroxy 라디칼 소거능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이하 첨부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실험재료
제빵원료로는 밀가루 강력분(백설 빵용밀가루), 소금(백설), 분유(서울 전지분유), 설탕(큐원 정백당), 제빵 개량제 S-500(유니온 무역상사), 이스트(오뚜기 생이스트), 버터(서울우유)를 사용하였다. 오디는 2011년 6월 21일 경상북도 상주에서 재배한 익수뽕 품종으로, 일정한 크기이고 외관상 흠집이 없는 생과를 흐르는 수돗물로 세척한 후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오디박은 오디농축액 제조 과정에서 얻은 압착한 박을 회수하여, 초저온냉동기(Ultra Low temperature Freezer, lshinbiobase, Dongducheon, Korea)로 급속 동결한 후 동결건조(Freeze Dryer, Ilshin Lab Co, Ltd., Korea)하였 사용하였다.
실시예 1 : 건오디박 첨가량에 따른 오디박 빵의 제조
건오디박 첨가량을 변화시키며 표 1의 배합 비에 따라 오디박 빵을 제조하였다. 제빵의 반죽은 버터칼 믹서기(Model YSM50, 600×900×1300, 영송 기계 공업사)를 사용하여 직접 반죽을 했다. 반죽이 하나로 뭉쳐지면, 27℃의 발효기에서 40분 동안 1차 발효를 하였다. 1차 발효 후 40 g씩 반죽을 분할하여 10분 동안 벤치타임을 준 후 30℃에서 40분 동안 2차 발효를 하였다. 이후, 윗불 200℃, 아랫불 180℃에서 6분을 굽고 180°돌려서 3분간 구웠다. 제조된 빵을 1시간 방냉하여 열기를 식히고, 폴리에틸렌 비닐로 포장하여 저장고(B.O.D incubator, HB-103M, Hanbaek co, Korea)에서 7일간 4.0℃에서 저장하며 하기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 오디박 빵의 이화학적 특성 평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오디박 빵에 대해 빵의 무게, 부피, 높이, 수분함량, pH, 산도 및 당도의 이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1. 무게, 부피 및 높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빵을 실온에서 1시간 방냉한 후의 무게와 단면의 높이를 측정하였다. 부피는 종자치환법(AACC 72-10)에 의해 측정하였다. 표 2는 상기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기 표에서 대조군은 오디박을 첨가하지 않은 빵의 결과이며, 각 %는 오디박의 함량을 의미한다. 또한, 같은 열에서 서로 다른 알파벳 첨자는 유의적 차이가 있음을 나타낸다(p<0.05).
열로 인해 수분이 증발하면서 제조된 빵의 무게는 반죽에 비해 적어지는데, 오디박을 첨가한 빵은 대조군에 비해 3% 시료군을 제외한 모든 시료 군에서 무게가 증가했다. 이는 오디박의 수분 보유력의 효과 때문으로 사료된다.
반면 제조된 빵의 부피는 반죽의 팽창에 의해 1차 발효 시에 비해 증가하는데, 1% 오디박 첨가군에서 가장 부피가 컸으며, 오디박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높이는 부피와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5% 오디박 첨가군의 높이가 가장 낮았다.
빵의 부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이 가스 발생력과 반죽의 가스 보유력이 일치해야 한다는 것이다. 가스 발생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효모의 양과 질, 당의 양, 반죽의 온도, 반죽의 산도, 소금의 양 등이 있으며 보유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단백질의 양과 질, 산화정도, 가수량, 산도 등이다. 대조구와 처리구 각각에 대하여 동일한 무게로 분할했음에도 불구하고 부피에서 차이가 나는 것은 당도와 산도를 비롯한 위의 여러 가지 요인이 동시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일 것이라 사료된다.
2. pH 및 산도
시료의 pH와 산도는 AOAC method(1990)를 적용하여 측정하였다. 즉, 시료 4 g을 36 mL의 증류수와 함께 넣고 Bag Mixer(Model 400, Interscience, France)로 균질화(speed 7.2 min)하였다. 3,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징액을 취하여 pH meter(420 Benchtop, Orion Research., USA)로 pH를 측정하는 한편, 상징액 10 mL를 취하여 0.1N NaOH 용액을 이용하여 pH 8.3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NaOH량(mL)을 acetic acid 함량(%)으로 환산하여 총산 함량을 표시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pH는 대조군과 처리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산도는 오디박의 첨가량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3. 당도 및 환원당
2.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상징액을 얻은 후 당도계(N-1E Brix 0~92%, Atago, Japan)로 당도를 측정하는 한편, 환원당은 dinitrosalicylic acid(DNS)에 의한 비색법으로 분광광도계(UV-1800, Beckman, US)를 사용하여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Glucose 함량으로 표 4에 결과를 나타내었다. 표준곡선은 Glucose(Duksan pharmaceutical Co., LTD. Yonginuoop, Kyongkido, Korea.)를 농도별로 반응시켜 작성하였다.
오디박의 첨가에 따라 빵의 당도는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환원당 역시 오디박의 첨가량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여 당도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4. 색도
시료를 20 g씩 갈아 균일하게 섞은 뒤 10 g을 취하여 페트리디쉬(50×12 mm)에 담아 색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5에 기재하였다. 색도는 색차계(Digital color measuring/difference calculation meter, model ND-1001 DP, Nippon Denshoku Co. Ltd., Japan)를 사용하여 Hunter L값(명도), a값(적색도), b값(황색도)을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Standard color value는 L값 120.98, a값 0.013, b값 -0.83, △E값 0.00인 calibration plate를 표준으로 사용하였다.
오디박의 첨가에 따라 시료의 명도와 황색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적색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실시예 3 : 오디박 빵의 저장 특성 평가
1. 저장에 따른 수분 함량 평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오디박 빵의 방냉 직후와 저장 1일, 3일, 5일, 7일 째 시료를 분쇄한 후 약 1.5g을 취하여 적외선 수분측정기(ISCO, US/Retriever 500, Sartorius, Germany)로 수분 함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방냉 직후의 수분함량은 대조군이 28.61%, 1%군이 28.50%, 3%군이 28.94%, 5%군이 29.10%으로 오디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수분함량은 감소하였으며, 모든 시험군에서 저장 5일부터 방냉 직후의 시료에 비해 수분 함량이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나 대조군에 비해 오디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함량의 감소율이 낮았다. 저장 7일 대조군과 1%, 3%, 5%군의 수분함량은 각각 26.40%, 26.63%, 27.34%, 27.89%으로 시험군간 유의적(p<0.05)인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오디박의 수분 결합능력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2. 저장에 따른 무게 평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오디박 빵의 방냉 직후와 저장 1일, 3일, 5일, 7일 째 무게를 측정하여 결과를 표 6에 기재하였다. 또한, 같은 열에서 서로 다른 알파벳(대문자) 첨자는 서로 유의적 차이가 있음을 나타낸다(p<0.05).
표 1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방냉 직후의 무게는 시료군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대조군은 오디박 첨가군에 비해 무게 감소가 더 빨라 저장 3일 째 무게가 오디박 첨가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오디박 첨가군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오디박 첨가량이 많을수록 무게는 천천히 감소하였다.
3. 저장에 따른 오디박 빵의 조직감 평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오디박 빵의 방냉 직후와 저장 1일, 3일, 5일 및 7일째 시료 각각의 껍질 부분을 제거한 후 속(crumb) 부분만 주사위 모양(1㎝×1㎝×1㎝)으로 깍둑 썰기하여 조직감을 측정하였다. 조직감은 Texture analyser(TA/XT2, Stable Micro System Ltd., England)를 사용하여 probe를 연속 2회 압착하였을 때 얻어지는 힘-시간 곡선으로부터 경도, 탄력성, 응집성, 검성, 씹힘성, 탄성을 측정하였다. 이 때 probe는 직경이 50 mm인 compression plate를 이용하였다. Set Method는 graph type: force vs time, force threshold 20 g, pre-test speed, test speed 및 post-test speed 는 5.0 mm/s로 통일하였으며 압축 시 변형률 70%를 주어 5번 측정하고 그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도 2는 저장에 따른 각 시료군 별 경도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방냉 직후의 대조군의 경도는 53.01g, 1%군은 52.39g, 3%군은 50.71g, 5%군은 47.99g으로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대조군을 비롯한 모든 시료의 경도는 증가하였으나, 대조군의 증가가 가장 현격하였으며 오디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의 증가율이 낮았다. 저장 7일째 대조군의 경도는 126.92g, 1%군은 105.42g, 3%군은 97.09 g, 5%군은 85.03 g으로 각 시험군간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표 7은 저장기간에 따른 각 시험군의 탄력성, 응집성, 검성, 씹힘성, 탄성을 나타낸다.
탄력성 및 탄성은 방냉 직후 또는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대조군과 시험군 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오디박의 첨가가 탄력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응집성은 대조군의 경우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응집력이 감소하였으나, 오디박을 첨가한 시료군에서는 응집성의 감소 효과가 적어 5% 첨가군의 경우 방냉 직후와 저장 7일째의 응집성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검성과 씹힘성은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모든 시료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오디박의 첨가군에서의 값의 증가율이 대조군보다 다소 낮았다.
4. 저장에 따른 오디박 빵의 노화도 평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오디박 빵의 방냉 직후와 저장 7일째 시료에 대해 시차주사열량계(DSC1, Mettler Toledo, Swiss)를 사용하여 노화특성을 평가하였다. 방냉 직후 또는 저장 7일째 각 시료군의 시료를 동결건조 및 분쇄한 후 standard volume pan(00026763, Mettler Toledo, Swiss)에 넣고 sample sealing press(Mettler Toledo, Swiss)를 이용하여 밀봉하였다. 시료를 10℃/min의 속도로 15℃에서 90℃까지 가열하였으며 sensitivity는 0.04 ㎼로 하였고 호화엔탈피(ΔH(cal/g)) 및 호화개시온도(T0, ℃), 호화정점온도(TP, ℃), 호화완료온도(TC, ℃)는 STARe Software(Mettler Toledo)로 상대적인 노화도를 분석하였다. 표 8은 시차주사열량 분석 결과이다.
표 8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방냉직후의 빵은 오디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호화도가 높았으나 5% 첨가군에서는 오디박의 영향으로 호화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7일 저장 후에는 오디박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호화도가 높아 오디박 첨가량에 비례하여 대조군에 비하여 노화가 지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저장에 따른 오디박 빵의 항산화 특성 평가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오디박 빵의 방냉 직후, 3일 보관 후, 7일 보관 후 시료에 대해 항산화 특성을 평가하였다. 각각의 분쇄시료 1.5g에 메탄올 50 mL을 넣은 후 12시간 교반하고, 3,000 rpm으로 4 ℃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였다. 얻어진 상징액을 evaporator로 용매를 휘발하여 농축 잔사를 얻었다. 상기 농축잔사를 이용하여 오디박 빵의 항산화능을 총 페놀(phenol) 함량, DPPH(1,1-diphenyl-2-picryl hydrazyl) 라디칼 소거능 및 Hydroxyl 라디칼 소거능으로 측정하였다.
1) 총 페놀 함량
페놀성 물질이 phosphomolybdic acid와 반응하여 청색을 나타내는 현상을 이용한 Folin-Denis법(Singleton VL & Rossi JA 1965)으로 총 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농착잔사 50㎎을 PBS 완충액 1㎖에 녹인 용액에 Folin-Denis 시약 0.08㎖, Na2CO3 포화용액 0.15㎖를 넣고 암소에서 30분 반응시킨 후, 7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페놀의 함량을 정량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도시하였다. Standard는 tannic acid를 사용하였다.
오디박 빵은 오디박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총 페놀 함량 역시 증가하였으며, 저장 시 총 페놀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대조군에 비해 감소율은 낮았다.
2) DPPH 라디칼 소거능
농축잔사를 MeOH에 50㎎/㎖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킨 시료용액 50㎕에 150㎕의 1.5×10-4mM DPPH 용액을 가한 후 30분간 실온에서 방치한 뒤 엘라이저(Mutiskan, Thermo Labsystems, US)를 이용하여 51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라디칼 소거능(%)을 다음 식으로 계산한 후 각 농도별 라디칼 소거능에 대한 검량선에서 라디칼 소거능이 50%가 되는 농도인 IC50값을 구하고 그 결과를 도 4에 도시하였다.
대조군의 IC50 값은 339.01㎎/㎖, 1%군은 251.39㎎/㎖, 3%군은 213.01㎎/㎖, 5%군은 185.31㎎/㎖으로 오디박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IC50 값이 유의적으로 낮아져 오디박의 첨가에 의해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함을 나타내었다. 저장 7일 후에도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방냉 직후와 유사한 값을 나타냈으며, 오디박의 첨가량에 의존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Hydroxyl 라디칼 소거능
농축잔사를 PBS 완충액에 50㎎/㎖ 농도가 되도록 용해시킨 시료용액 0.15㎖에 PBS buffer 0.35㎖, 3 mM deoxyribose, 0.1 mM ascorbic acid, 0.1 mM EDTA, 0.1 mM FeCl3, 1 mM H2O2 용액을 각각 0.1㎖씩 순서대로 넣어 잘 교반한 후 37℃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2% TCA용액 1㎖와 1% TBA용액 1㎖를 넣고 잘 섞어 100℃에서 20분간 반응시킨 후 냉각하여 원심분리한 뒤 상징액을 취하여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53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하기 수식에 의해 radical 소거능(%)을 계산한 후 각 농도별 radical 소거능에 대한 검량선에서 라디칼 소거능이 50%가 되는 농도인 IC50값 을 구하여 도 5에 도시하였다.
대조군의 IC50 값은 284.10㎎/㎖, 1%군은 243.85㎎/㎖, 3%군은 217.39㎎/㎖, 5%군은 192.45㎎/㎖로 대조군간 유의한 차이가 있어, 오디박이 항산화성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Hydroxy 라디칼 소거능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저장 7일 후에도 오디박 첨가군과 대조군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저장에 따른 오디박 빵의 관능검사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오디박 빵의 방냉 직후부터 저장일수에 따라 시료의 기호도 및 강도에 대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기호도 평가항목으로 색, 향(오디향, 버터향), 맛(오디맛, 버터맛), 경도, 씹힘성, 구입의향, 전반적인 기호도에 대하여 7점 척도(1점 매우 싫다, 7점 매우 좋다)를 사용하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학생 35명을 대상으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강도특성은 색, 오디향, 버터향, 오디맛, 버터맛, 경도, 씹힘성에 대하여 7점 척도법에 의하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대학원생과 학부생 중에서 검사방법 및 관능적 품질 특성에 대한 교육과 예비검사를 통해 선발한 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시료는 세 자리 난수를 표기한 일회용 접시에 담아 제시하였고, 다음 시료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 따뜻한 물과 함께 제공하였다.
1) 기호도 평가
표 9는 기호도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이다. 외관의 색은 방냉 직후 대조군과 3% 군이 4.6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군은 저장 기간의 경과에 따라 기호도가 점차 감소하였으나, 오디박 첨가군은 기호도의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기호도가 증가하여 저장 7일째에는 대조군의 기호도가 가장 낮고, 3%군의 기호도가 가장 높았다.
오디맛과 오디향은 방냉 직후 대조군의 기호도가 가장 낮고 오디박의 첨가에 따라 기호도가 증가하여 3%군이 가장 높았다. 5%군은 오디맛과 향이 너무 강하여 기호도가 다소 낮아졌다. 저장 기간의 경과에 따라 오디향에 대한 기호도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방냉 직후와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버터향은 오디박의 첨가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5%군에서는 오디향에 의한 마스킹 효과 때문에 기호도가 다른 군에 비해 다소 낮았다. 저장 기간에 경과에 의해 기호도는 큰 영향을 나타내지 않아 방냉 직후와 유사하였다. 버터맛은 오디맛에 의한 마스킹 효과가 더욱 강하여 방냉 직후 및 저장 7일째 모두 대조군이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방냉 직후의 경도는 오디박의 첨가에 따라 기호도가 점차 낮아져 대조군이 가장 높고 5%군이 가장 낮았으나, 저장 기간의 경과에 따라 대조군은 기호도가 급격히 저하된 것에 비해 오디박 첨가군은 오히려 기호도가 상승하였다. 이는 앞선 실험에서 저장에 따른 수분 함량이나 노화가 대조군이 오디박 첨가군에 비해 변화가 크다는 결과와도 일치하여 빵의 노화가 경도의 기호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씹힘성에 대한 기호도의 결과는 경도의 기호도 결과와 일치하여, 경도와 씸힘성의 기호도가 서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방냉 직후의 전반적인 기호도와 구매의사는 1%군이 4.9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5%군이 가장 낮았다. 특이한 것은 저장 기간의 경과에 따라 오디박 첨가군은 기호도나 구매의사가 향상되어 저장 1일 이후에는 전반적인 기호도나 구매의사가 1%, 3%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2) 강도 평가
저장일별 강도 특성에 대한 평가 결과를 표 10에 나타냈다. 외관의 색은 오디박을 첨가할수록 진해져 방냉 직후에는 5%군이 5.8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대조군이 가장 낮았으며 시료군 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저장에 따라 오디박 첨가군의 색은 더욱 진해졌으며, 대조군은 오히려 색의 강도가 낮아졌다.
오디향과 오디맛은 오디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각 시교군 간 유의적 차이를 나타냈다(p<0.05). 1%군의 오디향과 오디맛은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강도가 다소 약화되었으나, 3%군과 5%군에서는 오디향과 맛의 강도가 유지되었다.
반면 버터향은 오디박을 첨가할수록 낮은 점수를 나타냈지만 첨가량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저장 기간의 경과에 따라서는 대조군과 1%군에서는 버터향이 유지되거나 다소 강해진 데 반해, 3%군과 5%군에서는 버터향이 약화되었다. 버터맛은 버터향과 마찬가지로 오디박의 첨가에 따라 강도가 약화되었으며, 시료군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저장에 의해 버터맛은 5%군을 제외하고는 약화되어 저장 7일째에는 시료군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빵의 딱딱함을 나타내는 경도는 방냉 직후는 오디박을 첨가할수록 딱딱해져 대조군이 가장 낮고, 5%군이 5.3점으로 가장 높게 나왔다. 그러나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대조군은 빵이 딱딱해지는 것에 반해 오디박의 첨가군은 딱딱해지는 정도가 약해 저장 7일째에는 대조군이 가장 딱딱하고 5%군이 가장 낮은 값을 받았다.
빵을 씹었을 때의 씹힘성은 경도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어, 방냉 직후에는 대조군이 가장 낮았으나 저장 기간의 경과에 따라 오디박 첨가군에 비해 대조군의 씹힘성 강도가 증가하여 7일 저장 후에는 대조군의 씹힘성이 가장 강하였으나, 시료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Claims (5)
- 밀가루의 반죽 시 오디박을 혼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박 빵.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박은 건조 중량 기준으로, 반죽에 사용한 밀가루와 오디박 무게 합의 1~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박 빵.
- (A) 밀가루와 오디박 무게의 합에 대해 건조중량 기준으로 1~5중량%의 오디박을 함유하는 밀가루와 오디박의 혼합물에, 소금, 설탕, 버터, 계란, 우유 및 이스트를 넣고 반죽하는 단계;
(B) (A) 단계의 반죽을 1차 발효하는 단계;
(C) (B) 단계에서 1차 발효된 반죽을 휴지하는 단계;
(D) (C) 단계의 휴지된 반죽을 2차 발효단계; 및
(E) (D)단계에서 2차 발효된 반죽을 굽거나 찌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박 빵의 제조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박은 건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박 빵의 제조 방법.
-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밀가루의 일부를 보리, 호밀, 옥수수, 메밀, 쌀 가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박 빵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6338A KR101555659B1 (ko) | 2013-08-14 | 2013-08-14 | 빵의 노화억제용 제빵 첨가제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6338A KR101555659B1 (ko) | 2013-08-14 | 2013-08-14 | 빵의 노화억제용 제빵 첨가제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9441A true KR20150019441A (ko) | 2015-02-25 |
KR101555659B1 KR101555659B1 (ko) | 2015-09-25 |
Family
ID=52578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96338A KR101555659B1 (ko) | 2013-08-14 | 2013-08-14 | 빵의 노화억제용 제빵 첨가제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5565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64056A (ko) | 2016-12-05 | 2018-06-14 | 박지원 | 무반죽 빵의 제조방법 |
KR102019013B1 (ko) | 2018-12-12 | 2019-11-14 | 주식회사 씨엔비위즈 | 콜라비를 이용한 제빵용 오토리즈 반죽의 제조방법 및 그 반죽 |
-
2013
- 2013-08-14 KR KR1020130096338A patent/KR101555659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55659B1 (ko) | 2015-09-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961513B (zh) | 一种香菇面包及其制备方法 | |
KR101512340B1 (ko) | 유산균 발효빵 제조방법 및 그 발효빵 | |
KR101720057B1 (ko) | 천연발효종을 이용한 단과자빵의 제조방법 | |
KR101042027B1 (ko) | 갓을 이용한 반죽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과자, 빵, 떡의 제조방법 | |
Pathak et al. | Study on enrichment of whole wheat bread quality with the incorporation of tropical fruit by-product | |
KR20100087513A (ko) | 스피루리나를 함유하는 기능성 빵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제조된 기능성 빵 | |
Majzoobi et al. | Effects of level and particle size of date fruit press cake on batter rheological properties and physical and nutritional properties of cake | |
KR20120023304A (ko) | 홍시 퓨레의 제조방법 및 상기 홍시 퓨레를 이용한 식품 | |
Velioğlu et al. | The use of hazelnut testa in bakery products. | |
KR20190004098A (ko) | 탁주를 이용하여 만든 발효액을 제빵효모로 사용하는 빵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빵 | |
Samilyk et al. | Influence of adding wild berry powders on the quality of pasta products | |
KR101881369B1 (ko) | 항산화성 숙성율피 및 숙성율피 또는 그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 |
KR101555659B1 (ko) | 빵의 노화억제용 제빵 첨가제 조성물 | |
KR20190049480A (ko) |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빵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60029341A (ko) | 자색 고구마 잎 분말의 항산화 활성을 이용한 쿠키 및 쿠키 제조방법 | |
Awad et al. | Evaluation of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jam and cake processed using pumpkin (Cucurbita moschata) | |
El-Kherbawy et al. | Nutritional evaluation of brioche bread made from Egyptian wheat and enriched with garden cress seeds (GCS) powder as a functional food | |
Moreno-Álvarez et al. | Making of bakery products using composite flours: Wheat and cactus pear (Opuntia boldinghii Britton et Rose) stems (cladodes) | |
JP2004321097A (ja) | ホップス酵母種 | |
KR101559954B1 (ko) | 캐슈 분말을 함유하는 떡의 노화 억제용 조성물 | |
KR101408058B1 (ko) | 청국장 발효액종을 이용한 제빵용 도우의 제조방법 | |
Awad | Usage of watermelon rind (Citrullus lanatus) in functional food production | |
Velioğlu et al. | Fındık Zarının Fırıncılık Ürünlerinde Kullanımı | |
RU2455827C2 (ru) |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теста для хлеба пшеничного "жемчужный" | |
KR101138158B1 (ko) | 보리잎차 분말 및 헤미셀룰레아제를 첨가한 식빵 및 그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5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