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8984A - 유압실린더용 체크밸브 - Google Patents

유압실린더용 체크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8984A
KR20150018984A KR20130095247A KR20130095247A KR20150018984A KR 20150018984 A KR20150018984 A KR 20150018984A KR 20130095247 A KR20130095247 A KR 20130095247A KR 20130095247 A KR20130095247 A KR 20130095247A KR 20150018984 A KR20150018984 A KR 20150018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all
cylinder chamber
check valve
ch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95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2488B1 (ko
Inventor
김종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씨 척3000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씨 척3000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씨 척3000
Priority to KR1020130095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488B1/ko
Publication of KR20150018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24Chuck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 B23B31/30Chuck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primarily to remote control of the gripping means using fluid-pressure means in the chuck
    • B23B31/302Hydraulic equipment, e.g. pistons, valves, rotary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142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45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with ball-shaped valve members

Abstract

본 발명은 흔들림없이 안정감을 유지하면서 균일한 힘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유압실린더용 체크밸브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100)는, 방사상으로 형성된 입출공(111)과 중앙으로 관통된 체크공(112)을 구비하는 하우징(110); 하우징(110)의 체크공(112)을 개폐시키는 볼(120); 하우징(110)에 내장되어 볼(120)을 작동시키는 피스톤(130); 하우징(110)에 결합되어 방사상으로 형성된 입출공(141)를 구비하는 캡(140); 캡(140)에 스프링(150)의 탄력을 받도록 내장되어 볼(120)을 지지하는 가이드(16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200)는, 중앙으로 관통된 체크공(211)의 전후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제1입출공(212)과 제2입출공(213)을 각각 구비하는 하우징(210); 하우징(210)의 체크공(211)을 개폐시키는 볼(220); 하우징(210)에 내장되어 볼(220)을 작동시키는 피스톤(230); 하우징(210)에 결합되는 캡(240); 캡(240)에 스프링(250)의 탄력을 받도록 내장되어 볼(220)을 지지하는 가이드(26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유압실린더용 체크밸브{Check valves for hydraulic cylinders}
본 발명은 유압실린더의 실린더실 내부로 유체를 일정방향으로 공급,배출시키는 전,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흔들림없이 안정감을 유지하면서 균일한 힘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유압실린더용 체크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실린더는 선반 등과 같은 공작기계의 주축에 부착된 척을 파지 또는 파지 해제되도록 구동시키며, 실린더실의 내부로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에 작동되는 기구이다.
이러한 유압실린더는 통상적으로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에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소정의 크기로 관통된 관통부(11)가 형성되며 몸체 외측에서 이 관통부(11) 내측으로 유체가 유입, 배출되는 제1,2유체공급배출로(12)(13)가 형성된 실린더 하우징(10)과;
몸체 내부에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결합부(21)가 관통되어 형성되며, 이 결합부(21)의 내측으로 베어링(22)이 구비되고 몸체 외측에서 이 결합부(21)의 내측으로 상기 제1,2유체공급배출로(12)(13)에 연계되는 제3,4유체공급배출로(23)(24)가 형성된 슬리브부재(20)와;
일 측은 이 슬리브부재(20)의 결합부(21)에 결합되는 밸브로드(31)로 이루어지고, 타 측은 상기 실린더 하우징(10)의 전면에 위치되는 밸브플레이트(32)로 이루어져 이 밸브플레이트(32) 전면 측에 실린더실(33)을 형성하며, 내부에 상기 제3,4유체공급배출로(23)(24)를 상기 실린더실(33)로 연계시키는 제5,6유체공급배출로(34)(35)가 형성된 회전밸브부재(30)와;
몸체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밸브로드(31)에 결합되어 전, 후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피스톤로드(41)로 이루어지고, 이 피스톤로드(41)의 외주면에 실린더실(33)을 전,후방실린더실(33a)(33b)로 구획하여 실링시키는 피스톤플레이트(42)가 돌출된 피스톤부재(40)와;
상기 회전밸브부재(30)의 밸브플레이트(32) 전면에 장착되어 내부에 피스톤플레이트(42)에 의해 전,후방실린더실(33a)(33b)로 구획되는 실린더실(33)을 형성하여 밀폐시키고 몸체 일 측에 상기 제5유체공급배출로(34)를 상기 전방실린더실(33a)로 연계시키는 제7유체공급배출로(51)가 형성된 실린더 바디부재(50)와;
상기 회전밸브부재(30)의 내부로 제 6 유체공급배출로(35) 상에 장착되어 이 제6유체공급배출로(35) 및 제7유체공급배출로(51)를 통하여 전방실린더실(33a)로 공급, 배출되는 유체의 흐름을 일정한 방향으로 제어하는 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70)와;
상기 회전밸브부재(30)의 내부로 제 5 유체공급배출로(34) 상에 장착되어 이 제5유체공급배출로(34)를 통하여 후방실린더실(33b)로 공급, 배출되는 유체의 흐름을 일정한 방향으로 제어하는 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6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전,후방실린더실(33a)(33b)의 일 측의 실린더실에 유체를 공급함과 동시에 타 측의 실린더실 내부의 유체를 배출시키는 것에 의해 피스톤부재(40)가 전, 후로 왕복 운동하고, 이 피스톤부재(40)의 왕복 운동에 의해 피스톤 로드(41)에 연결된 척의 조우(Jaw)를 파지 또는 파지 해제되도록 작동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 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60, 70)는 내부에 유체가 통과하는 유체통로(81)가 형성된 밸브하우징(80)과;
상기 밸브하우징(80)의 유체통로(81)에 스프링부재(83)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이 유체통로(81)를 막은 상태로 설치되어 일정 압력이상으로 유체가 공급될 경우에 유체통로(81)를 개방시키는 스틸볼(82)과;
상기 밸브하우징(80)의 일측에 결합되어 반대편 체크밸브로 유체가 공급될 경우 공급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스틸볼(82)을 밀어 유체통로를 개방시키는 파일롯 스풀(84)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전,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60)(70)로 일정 압력 이상으로 유체가 공급되면 유체통로(81)가 개방되어 실린더실(33)로 유체를 공급하거나, 배출할 수 있게 되며 정전 등과 같은 외부요인에 의해 공작기계의 전원이 꺼져 작업 중 유압의 공급이 차단되면 스틸볼(82)이 스프링부재(8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유체통로(81)를 차단하여 실린더실(33) 내부에 채워진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막아 척이 공작물을 파지한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유압실린더는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등록특허 제10-0573414호와 등록실용신안 제20-0243368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60)(70)에 있어서는 스틸볼(82)에 스프링부재(83)가 직접 접촉된 상태에서 작동되었기 때문에, 즉 스틸볼(82)이 스프링부재(83)에 불안정한 상태로 지지되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스틸볼(82)과 스프링부재(83) 사이에서 흔들림이 발생하여 안정감을 유지할 수 없으므로 균일한 힘으로 작동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아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등록특허 제10-0573414호(2006.04.17) 특허문헌 2 : 등록실용신안 제20-0243368호(2001.08.07)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유압실린더의 실린더실 내부로 유체를 일정방향으로 공급,배출시키는 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와 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의 구조를 개선하여, 흔들림없이 안정감을 유지하면서 균일한 힘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유압실린더용 체크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는, 방사상으로 형성된 입출공과 중앙으로 관통된 체크공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체크공을 개폐시키는 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볼을 작동시키는 피스톤;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방사상으로 형성된 입출공를 구비하는 캡; 상기 캡에 스프링의 탄력을 받도록 내장되어 볼을 지지하는 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는, 중앙으로 관통된 체크공의 전후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제1입출공과 제2입출공을 각각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체크공을 개폐시키는 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볼을 작동시키는 피스톤;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캡; 상기 캡에 스프링의 탄력을 받도록 내장되어 볼을 지지하는 가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전,후방실린더실용 하우징의 외경과 캡의 내경에는 서로 나사결합되는 수나사와 암나사를 각각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전,후방실린더실용 캡의 내부 전방에는 스프링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홈을 각각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전,후방실린더실용 가이드는 다수의 돌출부들 사이로 반원형의 통로홈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의 후단에는 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반원형의 볼홈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전,후방실린더실용 가이드는 3개의 돌출부들 사이로 반원형의 통로홈이 형성된 삼발이 모양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압실린더용 체크밸브에 따르면, 전,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의 개폐작동시 가이드가 볼을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이에 의해 볼은 흔들림없이 안정감을 유지하면서 균일한 힘으로 원활하게 전후로 작동하기 때문에, 흔들림없이 안정감을 유지하면서 균일한 힘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므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구조를 보인 유압실린더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의 단면도.
도 9a,9b,9c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유압실린더용 체크밸브는 도 2 내지 도 9a,9b,9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의 실린더실 내부로 유체를 일정방향으로 공급,배출시키는 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100)와 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200)에 있어서, 상기 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100)는, 방사상으로 형성된 입출공(111)과 중앙으로 관통된 체크공(112)을 구비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체크공(112)을 개폐시키는 볼(120); 상기 하우징(110)에 내장되어 볼(120)을 작동시키는 피스톤(130); 상기 하우징(110)에 결합되어 방사상으로 형성된 입출공(141)를 구비하는 캡(140); 상기 캡(140)에 스프링(150)의 탄력을 받도록 내장되어 볼(120)을 지지하는 가이드(160)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200)는, 중앙으로 관통된 체크공(211)의 전후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제1입출공(212)과 제2입출공(213)을 각각 구비하는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210)의 체크공(211)을 개폐시키는 볼(220); 상기 하우징(210)에 내장되어 볼(220)을 작동시키는 피스톤(230); 상기 하우징(210)에 결합되는 캡(240); 상기 캡(240)에 스프링(250)의 탄력을 받도록 내장되어 볼(220)을 지지하는 가이드(260)로 이루어진 구성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100)는 하우징(110),볼(120),피스톤(130),캡(140),스프링(150) 및 가이드(16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10)은 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100)의 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하우징(110)의 주연에는 다수의 입출공(111)이 내부와 통하도록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체크공(112)이 중앙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10)의 전,후방에는 볼(120)과 피스톤(130)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각각 구비되고, 하우징(110)의 외주연에는 오링(R1)이 장착된다.
상기 볼(120)은 하우징(110)의 체크공(112)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볼(120)은 하우징(110)의 전방 공간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내장된다.
상기 피스톤(130)은 볼(120)을 작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피스톤(130)은 하우징(110)의 후방 공간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내장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130)의 전방 중앙부에는 볼(120)에 접촉되는 작동돌기(131)가 일체로 돌출되고, 상기 피스톤(130)의 외주연에는 오링(R2)이 장착된다.
상기 캡(140)은 하우징(110)의 전방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러한 캡(140)의 전방 주연에는 내부와 통하도록 다수의 입출공(141)이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캡(140)의 내부에는 가이드(160)와 스프링(150)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150)은 캡(140)의 내부 전방에 장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스프링(150)은 볼(120)과 가이드(160)에 탄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150)은 볼(120)과 가이드(160)를 하우징(110)의 체크공(112)측으로 밀게 되고, 이에 의해 평상시 상기 볼(120)은 체크공(112)을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160)는 캡(140)에 스프링(150)의 탄력을 받도록 내장되어 볼(120)을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가이드(160)는 캡(140)의 내부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내장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160)는 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100)의 개폐작동시 볼(120)을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이에 의해 볼(120)은 흔들림없이 안정감을 유지하면서 균일한 힘으로 원활하게 전후로 작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200)는 하우징(210),볼(220),피스톤(230),캡(240),스프링(250) 및 가이드(26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210)은 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200)의 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체크공(211)이 중앙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하우징(210)의 주연에는 체크공(211)을 사이에 두고 다수의 제1입출공(212)과 제2입출공(213)이 내부와 통하도록 방사상으로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210)의 전,후방에는 볼(220)과 피스톤(230)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각각 구비되고, 하우징(210)의 외주연에는 오링(R3)이 장착된다.
상기 볼(220)은 하우징(210)의 체크공(211)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볼(220)은 하우징(210)의 전방 공간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내장된다.
상기 피스톤(230)은 볼(220)을 작동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피스톤(230)은 하우징(210)의 후방 공간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내장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230)의 전방 중앙부에는 볼(220)에 접촉되는 작동돌기(231)가 일체로 돌출되고, 상기 피스톤(230)의 외주연에는 오링(R4)이 장착된다.
상기 캡(240)은 하우징(210)의 전방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러한 캡(240)의 내부 전방은 밀폐된다. 이때, 상기 캡(240)의 내부에는 가이드(260)와 스프링(250)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250)은 캡(240)의 내부 전방에 장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스프링(250)은 볼(220)과 가이드(260)에 탄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250)은 볼(220)과 가이드(260)를 하우징(210)의 체크공(211)측으로 밀게 되고, 이에 의해 평상시 상기 볼(220)은 체크공(211)을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260)는 캡(240)에 스프링(250)의 탄력을 받도록 내장되어 볼(220)을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가이드(260)는 캡(240)의 내부에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내장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260)는 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200)의 개폐작동시 볼(220)을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이에 의해 볼(220)은 흔들림없이 안정감을 유지하면서 균일한 힘으로 원활하게 전후로 작동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110)(210)의 외경과 캡(140)(240)의 내경에는 서로 나사결합되는 수나사(113)(214)와 암나사(142)(241)가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캡(140)(240)의 내부 전방에는 스프링(150)(25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홈(143)(242)이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160)(260)는 다수의 돌출부(161)(261)들 사이로 반원형의 통로홈(162)(262)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160)의 후단에는 볼(120)(2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반원형의 볼홈(163)(263)이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160)(260)는 3개의 돌출부(161)(261)들 사이로 반원형의 통로홈(162)(262)이 형성된 삼발이 모양의 단면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100)(200)는 도 9a,9b,9c에서와 같이 피스톤부재(300)의 피스톤플레이트(310)를 전후로 작동시키도록 유압실린더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전,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100)(200)의 작동관계는 도 9b 및 도 9c에서와 같이 이루어진다. 이때, 도 9a,9b,9c에서 도면중 미설명부호 1,2는 유압실린더의 전방실린더실과 후방실린더실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즉, 도 9a에서와 같이 평상시 유압실린더의 전방실린더실(1)에는 피스톤부재(300)가 후퇴되어 있는 상태로 유체가 채워져 있고, 이 상태에서 도 9b에서와 같이 유체가 일정 압력 이상으로 공급되면 유체가 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200)의 제2입출공(213)으로 유입되고, 또한 피스톤(230)에 유체가 작용하여 피스톤(230)이 볼(220)를 밀어 체크공(211)을 개방시킨다.
그리고 개방된 체크공(211)과 제1입출공(212)를 통해 후방실린더실(2)로 유체가 공급되고, 후방실린더실(2)로 공급된 유체는 피스톤플레이트(310)를 가압하여 피스톤부재(300)를 전진시킨다.
피스톤부재(300)가 전진되어 이동하면 이 피스톤부재(300)에 연결된 척의 조우(Jaw)를 파지하도록 작동시켜 이 파지된 상태를 유체의 압력에 의해 견고히 고정하게 된다.
또한, 유체는 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200)로 공급되는 동시에 도 9b에서와 같이 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100)의 피스톤(130)으로 공급되어 피스톤(130)은 볼(120)을 밀어 이동시키고, 이에 의해 체크공(112)은 개방된다.
따라서 전방실린더실(1)에 채워져 있던 유체는 캡(140)의 입출공(141)을 통해 개방된 체크공(112)으로 유도되고, 체크공(112)으로 유도된 유체는 하우징(110)의 입출공(111)을 통해 배출된다.
한편, 상기 작용의 반대로 도 9c에서와 같이 유체가 일정 압력 이상으로 공급되면, 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100)의 피스톤(130)이 볼(120)를 밀어 체크공(112)을 개방하고, 이 개방된 체크공(112)과 캡(140)의 입출공(141)을 통해 전방실린더실(1)로 유체가 공급되고, 전방실린더실(1)에 공급된 유체는 피스톤플레이트(310)를 가압하여 피스톤부재(300)를 후퇴시킨다.
상기 피스톤부재(300)가 후퇴되어 이동하면 이 피스톤부재(300)에 연결된 척의 조우가 공작물의 파지를 해제하도록 작동되는 것이다.
또한, 유체는 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100)로 공급되는 동시에 도 9c에서와 같이 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200)의 피스톤(230)으로 공급되어 피스톤(230)은 볼(220)을 밀어 이동시키고, 이에 의해 체크공(211)은 개방된다.
따라서 후방실린더실(2)에 채워져 있던 유체는 하우징(21)의 제1입출공(212)을 통해 개방된 체크공(211)으로 유도되고, 체크공(211)으로 유도된 유체는 하우징(210)의 제2입출공(213)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전,후방실린더실(1)(2)에 유체가 공급되어 피스톤부재(300)가 전,후로 이동할 때, 피스톤부재(300)는 피스톤플레이트(310)에 관통되어 결합된 전,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100)(200)의 캡(140)(24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100)(200)의 개폐작동시 가이드(160)(260)가 볼(120)(220)을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각각 지지하고, 이에 의해 볼(120)(220)은 흔들림없이 안정감을 유지하면서 균일한 힘으로 원활하게 전후로 작동하게 때문에, 구조적으로 흔들림없이 안정감을 유지하면서 균일한 힘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므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 110 : 하우징
111 : 입출공 112 : 체크공
120 : 볼 130 : 피스톤
140 : 캡 141 : 입출공
150 : 스프링 160 : 가이드
200 : 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 210 : 하우징
211 : 체크공 212 : 제1입출공
213 : 제2입출공 220 : 볼
230 : 피스톤 240 : 캡
250 : 스프링 260 : 가이드

Claims (5)

  1. 유압실린더의 실린더실 내부로 유체를 일정방향으로 공급,배출시키는 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100)와 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200)에 있어서,
    상기 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100)는,
    방사상으로 형성된 입출공(111)과 중앙으로 관통된 체크공(112)을 구비하는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체크공(112)을 개폐시키는 볼(120); 상기 하우징(110)에 내장되어 볼(120)을 작동시키는 피스톤(130); 상기 하우징(110)에 결합되어 방사상으로 형성된 입출공(141)를 구비하는 캡(140); 상기 캡(140)에 스프링(150)의 탄력을 받도록 내장되어 볼(120)을 지지하는 가이드(160)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방실린더실용 체크밸브(200)는,
    중앙으로 관통된 체크공(211)의 전후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제1입출공(212)과 제2입출공(213)을 각각 구비하는 하우징(210); 상기 하우징(210)의 체크공(211)을 개폐시키는 볼(220); 상기 하우징(210)에 내장되어 볼(220)을 작동시키는 피스톤(230); 상기 하우징(210)에 결합되는 캡(240); 상기 캡(240)에 스프링(250)의 탄력을 받도록 내장되어 볼(220)을 지지하는 가이드(2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실린더용 체크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210)의 외경과 캡(140)(240)의 내경에는 서로 나사결합되는 수나사(113)(214)와 암나사(142)(241)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실린더용 체크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140)(240)의 내부 전방에는 스프링(150)(25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홈(143)(242)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실린더용 체크밸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160)(260)는 다수의 돌출부(161)(261)들 사이로 반원형의 통로홈(162)(262)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160)의 후단에는 볼(120)(2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반원형의 볼홈(163)(26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실린더용 체크밸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160)(260)는 3개의 돌출부(161)(261)들 사이로 반원형의 통로홈(162)(262)이 형성된 삼발이 모양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실린더용 체크밸브.
KR1020130095247A 2013-08-12 2013-08-12 유압실린더용 체크밸브 KR101512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5247A KR101512488B1 (ko) 2013-08-12 2013-08-12 유압실린더용 체크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5247A KR101512488B1 (ko) 2013-08-12 2013-08-12 유압실린더용 체크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984A true KR20150018984A (ko) 2015-02-25
KR101512488B1 KR101512488B1 (ko) 2015-04-16

Family

ID=52578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5247A KR101512488B1 (ko) 2013-08-12 2013-08-12 유압실린더용 체크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4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637B1 (ko) * 2019-10-31 2021-04-27 현대위아 주식회사 트랜스퍼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3414B1 (ko) * 2004-07-06 2006-04-26 주식회사 삼천리기계 유압 실린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4637B1 (ko) * 2019-10-31 2021-04-27 현대위아 주식회사 트랜스퍼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2488B1 (ko) 201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01310B2 (ja) 増圧装置
WO2013190961A1 (ja) 両ロッド型ショックアブソーバ
JP4895342B2 (ja) 流体圧シリンダ
JP5561496B2 (ja) 流量制御弁及びその組付方法
KR102151463B1 (ko) 유체 제어 밸브
US10094157B2 (en) Variable shock-absorbing damper for furniture hinge, with built-in pressure control means
JP5914936B2 (ja) 流体圧シリンダ
CN102287412A (zh) 一种超高压比例泄压阀
KR101512488B1 (ko) 유압실린더용 체크밸브
JP5574152B2 (ja)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JP4194566B2 (ja) 流体力シリンダ
JP4801375B2 (ja) エアオペレイトバルブ
KR101893080B1 (ko) 리니어 액츄에이터
JP4690430B2 (ja) 定流量弁
TW201446436A (zh) 夾持裝置
JP6260459B2 (ja) 打込機
TW201700889A (zh) 流路單元及切換閥
JP2008267514A (ja) 油圧シリンダのクッシヨン装置
JP6761735B2 (ja) 流体圧シリンダ
CN103062465A (zh) 压力调节螺钉机构及压力控制阀
JP2016211652A5 (ko)
JP5231292B2 (ja) シリンダ
KR102004198B1 (ko) 유압밸브 및 유압타격장치
WO2017118444A1 (zh) 液压工具
JP2012017798A (ja) リリーフ圧変更機能付きリリーフバル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