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8234A - 프릿 실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프릿 실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8234A
KR20150018234A KR1020130094893A KR20130094893A KR20150018234A KR 20150018234 A KR20150018234 A KR 20150018234A KR 1020130094893 A KR1020130094893 A KR 1020130094893A KR 20130094893 A KR20130094893 A KR 20130094893A KR 20150018234 A KR20150018234 A KR 20150018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frit
laser
base
elastic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4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5887B1 (ko
Inventor
한정원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4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887B1/ko
Priority to US14/206,141 priority patent/US9751794B2/en
Publication of KR20150018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20Uniting glass pieces by fusing without substantial reshap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3/00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C03C23/0005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irradiation
    • C03C23/0025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by irradiation by a laser beam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C03C27/10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with the aid of adhesive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bstract

일 측면에 따르면, 프릿(frit)을 이용하여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접합하는 프릿 실링 시스템(frit sealing system)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의 상기 프릿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 부재; 및 상기 제2 기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레이저가 조사되는 동안 상기 제2 기판을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부재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제2 기판과 접촉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와 상기 탄성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유체가 주입될 수 있는 프릿 실링 시스템(frit sealing system)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프릿 실링 시스템{Frit sealing system}
본 발명은 프릿 실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디스플레이 장치는 휴대가 가능한 박형의 평판 표시 장치로 대체되는 추세이다.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중에서도 전계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발광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시야각이 넓고 콘트라스트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응답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가져서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발광층의 형성 물질이 유기물로 구성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무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휘도, 구동 전압 및 응답속도 특성이 우수하고 다색화가 가능하다는 점을 가진다.
이와 같은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변 환경으로부터 수분이나 산소가 소자 내부로 유입될 경우, 전극 물질의 산화, 박리 등으로 소자 수명이 단축되고, 발광 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발광색의 변질 등과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따라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에 있어서, 소자를 외부로부터 격리하여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밀봉(sealing) 처리가 통상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밀봉 처리 방법으로써, 통상적으로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전극 상부에 PET(polyester) 등의 유기 고분자를 라미네이팅하거나, 흡습제를 포함하는 금속이나 유리로 커버 또는 캡(cap)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질소가스를 충진시킨 후, 상기 커버 또는 캡의 테두리를 에폭시와 같은 밀봉재로 캡슐 봉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수분이나 산소 등의 소자 파괴성 인자들을 100% 차단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소자구조가 수분에 특히 취약한 능동형 전면발광 구조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기에는 불리하며 이를 구현하기 위한 공정도 복잡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밀봉재로 프릿(frit)을 사용하여 소자 기판과 캡 간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캡슐 봉합 방법이 고안되었다.
프릿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릿 실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프릿(frit)을 이용하여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접합하는 프릿 실링 시스템(frit sealing system)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의 상기 프릿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 부재; 및 상기 제2 기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레이저가 조사되는 동안 상기 제2 기판을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부재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제2 기판과 접촉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와 상기 탄성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유체가 주입될 수 있는 프릿 실링 시스템(frit sealing system)을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와 상기 탄성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상기 유체가 채워짐으로써 상기 탄성부가 상기 제2 기판에 압력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레이저가 투과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는 상기 베이스, 상기 유체, 상기 탄성부 및 상기 제2 기판을 통과한 후 상기 프릿에 조사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고무 또는 실리콘 러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와 연결되고, 상기 레이저를 통과시키는 투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과부는 상기 프릿이 도포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릿과 상기 투과부는 폐곡선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는 상기 베이스, 상기 유체, 상기 투과부 및 상기 제2 기판을 통과한 후 상기 프릿에 조사될 수 있다.
상기 투과부는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체는 공기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프릿(frit)을 이용하여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접합하는 프릿 실링 시스템(frit sealing system)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의 상기 프릿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 부재; 및 상기 제2 기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레이저가 조사되는 동안 상기 제2 기판을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부재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제2 기판과 접촉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프릿 실링 시스템(frit sealing system)을 제공한다.
상기 가압 부재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탄성부가 상기 제2 기판에 압력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레이저가 투과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와 연결되고, 상기 레이저를 통과시키는 투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과부는 상기 프릿이 도포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릿과 상기 투과부는 폐곡선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는 상기 베이스, 상기 투과부 및 상기 제2 기판을 통과한 후 상기 프릿에 조사될 수 있다.
상기 투과부는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프릿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따라서 기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릿 실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릿 실링 시스템의 측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릿 실링 시스템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릿 실링 시스템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릿 실링 시스템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프릿 실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프릿은 분말 상태의 유리라는 의미로 사용되나, 본 발명에서의 프릿은 분말 상태에 유기물을 첨가한 젤 상태의 유리 및 레이저를 조사하여 경화된 고체 상태의 유리를 통칭하여 사용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프릿 실링 시스템은 베드 부재(110), 레이저 조사 부재(120), 가압 부재(130)를 포함한다.
베드 부재(110) 상에는 제1 기판(101) 및 제2 기판(102)이 안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기판(101)과 제2 기판(102) 사이에는 프릿(103)이 도포되어 있다.
레이저 조사 부재(120)는 제1 기판(101)과 제2 기판(102) 사이의 프릿(103)에 레이저(L)를 조사하여, 프릿(103)을 용융 접착시킨다.
가압 부재(130)는 제2 기판(102)의 상부에 배치된다. 가압 부재(130)는 레이저(L)가 조사되는 동안 제2 기판(102)을 가압한다. 레이저를 조사하여 프릿을 경화시켜서 실링을 수행하는 공정만을 사용할 경우, 단기적인 박리 문제 및 장기적인 신뢰성 문제가 발생하므로, 가압 부재(130)로 제2 기판(102)을 가압함으로써 이를 해결할 수 있다.
가압 부재(130)의 구조와 관련해서 도 2 내지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릿 실링 시스템의 측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프릿 실링 시스템은 베드 부재(110), 레이저 조사 부재(120), 가압 부재(130)를 포함한다.
베드 부재(110) 상에는 제1 기판(101) 및 제2 기판(102)이 안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기판(101)과 제2 기판(102) 사이에는 프릿(103)이 도포되어 있다. 프릿(103)은 제1 기판(101) 및 제2 기판(102) 사이에 폐곡선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도 2에는 프릿(103)의 하나의 폐곡선 패턴에 의한 두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레이저 조사 부재(120)는 제1 기판(101)과 제2 기판(102) 사이의 프릿(103)에 레이저(L)를 조사하여, 프릿(103)을 용융 접착시킨다.
가압 부재(130)는 제2 기판(102)의 상부에 배치된다. 가압 부재(130)는 레이저(L)가 조사되는 동안 제2 기판(102)을 가압한다.
가압 부재(130)는 베이스(131), 탄성부(132) 및 투과부(133)을 포함한다.
베이스(131)는 레이저(L)를 투과시키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31)는 유리, 석영(quartz), 게르마늄, 세라믹 또는 폴리머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132)는 베이스(131)와 연결되며, 제2 기판(102)과 접촉한다.
탄성부(132)는 탄성력을 지닌 유연한(flexible)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132)는 고무 또는 실리콘 러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132)의 단부가 베이스(131)와 연결됨으로서 베이스(131)와 탄성부(132) 사이에 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31)와 탄성부(132) 사이에 형성된 공간(S)에 유체가 주입될 수 있다. 베이스(131) 또는 탄성부(132)에 유체 주입구(미도시)를 형성함으로써 베이스(131)와 탄성부(132) 사이에 형성된 공간(S)에 유체를 주입할 수 있다. 상기 공간(S)에 주입되는 유체로 공기(air)가 사용될 수 있다.
베이스(131)와 탄성부(132) 사이에 형성된 공간(S)에 유체가 주입됨에 따라 탄성부(132)가 제2 기판(102)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탄성부(132)에 의해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기판과의 접촉 및 균일한 압력 인가가 보다 쉽게 가능해진다. 또한 가압 부재(130)의 제2 기판(102)과 접촉되는 부분이 유연한 재질이므로 압력 인가시 먼지(particle)가 원인이 된 압력 집중에 의한 기판의 파손을 줄일 수 있다. 베이스(131)와 탄성부(132) 사이에 형성된 공간(S)에 유체를 주입함으로써 압력을 가하기 때문에, 압력의 인가량을 상기 공간(S)에 유체를 주입하는 양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유체의 경우 모든 방향으로 동일한 압력을 인가하는 특징으로 지니므로, 압력 인가를 기판 상에서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압력을 기판의 전영역 상에 인가하는 것이 쉬워진다.
투과부(133)는 탄성부(132)와 연결되며, 레이저 조사 부재(120)에 의해 조사된 레이저(L)를 통과시킬 수 있다. 투과부(133)는 레이저(L)를 통과시키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투과부(133)는 유리, 석영(quartz), 게르마늄, 세라믹 또는 폴리머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투과부(133)는 프릿(103)이 도포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프릿(103)이 폐곡선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 투과부(133) 또한 프릿(103)의 폐곡선 형상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투과부(133)가 프릿(103)이 도포된 영역에 형성됨에 따라, 레이저(L)가 베이스(131), 상기 공간(S)에 주입된 유체, 투과부(133) 및 제2 기판(102)을 통과하여 프릿(103)에 조사될 수 있다.
탄성부(132)가 유연하면서 레이저(L)를 투과시키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132)는 레이저(L) 파장대의 빛을 통과시키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레이저(L)가 탄성부(132)를 통과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투과부(133)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레이저(L)가 베이스(131), 상기 공간(S)에 주입된 유체, 탄성부(132) 및 제2 기판(102)을 통과하여 프릿(103)에 조사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릿 실링 시스템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전술한 도 2의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프릿 실링 시스템은 베드 부재(110), 레이저 조사 부재(120), 가압 부재(230)를 포함한다.
프릿(103)은 제1 기판(101) 및 제2 기판(102) 사이에 폐곡선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도 3에는 프릿(103)의 하나의 폐곡선 패턴에 의한 두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가압 부재(230)는 베이스(231), 탄성부(232) 및 투과부(233)을 포함한다.
베이스(231)는 레이저(L)를 투과시키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232)는 베이스(131)와 연결되며, 제2 기판(102)과 접촉한다.
탄성부(232)는 탄성력을 지닌 유연한(flexible)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232)의 일면이 베이스(231)의 일면에 전체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232)와 베이스(23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는다. 탄성부(232)의 베이스(231)의 일면과 접촉한 면의 반대면이 제2 기판(102)과 접촉할 수 있다.
가압 부재(230)가 수직 방향(D)으로 이동함에 따라 탄성부(232)가 제2 기판(102)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탄성부(232)에 의해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기판과의 접촉 및 균일한 압력 인가가 보다 쉽게 가능해진다. 또한 가압 부재(230)의 제2 기판(102)과 접촉되는 부분이 유연한 재질이므로 압력 인가시 먼지(particle)가 원인이 된 압력 집중에 의한 기판의 파손을 줄일 수 있다.
투과부(233)는 탄성부(232)와 연결되며, 레이저 조사 부재(120)에 의해 조사된 레이저(L)를 통과시킬 수 있다. 투과부(233)는 레이저(L)를 통과시키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투과부(233)는 프릿(103)이 도포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프릿(103)이 폐곡선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 투과부(233) 또한 프릿(103)의 폐곡선 형상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투과부(233)가 프릿(103)이 도포된 영역에 형성됨에 따라, 레이저(L)가 베이스(231), 투과부(233) 및 제2 기판(102)을 통과하여 프릿(103)에 조사될 수 있다.
탄성부(232)가 유연하면서 레이저(L)를 투과시키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232)는 레이저(L) 파장대의 빛을 통과시키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레이저(L)가 탄성부(232)를 통과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투과부(233)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레이저(L)가 베이스(231), 탄성부(232) 및 제2 기판(102)을 통과하여 프릿(103)에 조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릿 실링 시스템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전술한 도 2의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프릿 실링 시스템은 베드 부재(110), 레이저 조사 부재(120), 가압 부재(130)를 포함한다.
프릿 실링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행(行) 및 하나 이상의 열(列)의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동시에 및/또는 순차적으로 접합할 수 있다. 이를 다른 관점에서 설명하면, 하나의 커다란 마더 기판(mother board)을 한꺼번에 접합한 후, 이를 절단하여 다수 개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로 사용하는 것이라고 설명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프릿(103)은 제1 기판(101) 및 제2 기판(102) 사이에 복수개의 폐곡선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도 4에는 프릿(103)의 복수개의 폐곡선 패턴에 의한 복수개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가압 부재(130)는 베이스(131), 탄성부(132) 및 복수개의 투과부(133)를 포함한다.
투과부(133)는 프릿(103)이 도포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프릿(103)이 폐곡선 패턴을 가지고 복수개 형성되는 경우에, 투과부(133) 또한 프릿(103)의 복수개의 폐곡선 패턴에 대응되게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투과부(133)가 프릿(103)이 도포된 영역에 형성됨에 따라, 레이저(L)가 베이스(131), 상기 공간(S)에 주입된 유체, 투과부(133) 및 제2 기판(102)을 통과하여 프릿(103)에 조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TFT(thin film transister) 기판 상에서 여러 개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동시에 제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릿 실링 시스템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전술한 도 3의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프릿 실링 시스템은 베드 부재(110), 레이저 조사 부재(120), 가압 부재(230)를 포함한다.
프릿 실링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행(行) 및 하나 이상의 열(列)의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동시에 및/또는 순차적으로 접합할 수 있다. 이를 다른 관점에서 설명하면, 하나의 커다란 마더 기판(mother board)을 한꺼번에 접합한 후, 이를 절단하여 다수 개의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로 사용하는 것이라고 설명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프릿(103)은 제1 기판(101) 및 제2 기판(102) 사이에 복수개의 폐곡선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도 5에는 프릿(103)의 복수개의 폐곡선 패턴에 의한 복수개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가압 부재(230)는 베이스(231), 탄성부(232) 및 복수개의 투과부(233)를 포함한다.
투과부(233)는 프릿(103)이 도포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프릿(103)이 폐곡선 패턴을 가지고 복수개 형성되는 경우에, 투과부(233) 또한 프릿(103)의 복수개의 폐곡선 패턴에 대응되게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투과부(233)가 프릿(103)이 도포된 영역에 형성됨에 따라, 레이저(L)가 베이스(231), 투과부(233) 및 제2 기판(102)을 통과하여 프릿(103)에 조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TFT(thin film transister) 기판 상에서 여러 개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를 동시에 제작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릿 실링 시스템으로 제조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디스플레이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기판(301) 상에 복수개의 박막 트랜지스터(320)들이 구비되어 있고, 이 박막 트랜지스터(320)들 상부에는 유기 발광 소자(330)가 구비되어 있다. 유기 발광 소자(330)는 박막 트랜지스터(3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화소전극(331)과, 기판(301)의 전면(全面)에 걸쳐 배치된 대향전극(335)과, 화소전극(331)과 대향전극(335) 사이에 배치되며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333)을 구비한다.
기판(301) 상에는 게이트 전극(321),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323), 반도체층(327), 게이트 절연막(313) 및 층간 절연막(315)을 구비한 박막 트랜지스터(320)가 구비되어 있다. 물론 박막 트랜지스터(320) 역시 도 4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반도체층(327)이 유기물로 구비된 유기 박막 트랜지스터, 실리콘으로 구비된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 등 다양한 박막 트랜지스터가 이용될 수 있다. 이 박막 트랜지스터(320)와 기판(301)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실리콘 옥사이드 또는 실리콘 나이트라이드 등으로 형성된 버퍼층(311)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유기 발광 소자(330)는 상호 대향된 화소전극(331) 및 대향전극(335)과, 이들 전극 사이에 개재된 유기물로 된 중간층(333)을 구비한다. 이 중간층(333)은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복수개의 층들을 구비할 수 있다.
화소전극(331)은 애노드 전극의 기능을 하고, 대향전극(335)은 캐소드 전극의 기능을 한다. 물론, 이 화소전극(331)과 대향전극(335)의 극성은 반대로 될 수도 있다.
화소전극(331)은 투명전극 또는 반사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다. 투명전극으로 구비될 때에는 ITO, IZO, ZnO 또는 In2O3로 형성될 수 있고, 반사전극으로 구비될 때에는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또는 이들의 화합물 등으로 형성된 반사막과, 그 위에 ITO, IZO, ZnO 또는 In2O3로 형성된 막을 구비할 수 있다.
대향전극(335)도 투명전극 또는 반사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투명전극으로 구비될 때는 Li, Ca, LiF/Ca, LiF/Al, Al, Mg 또는 이들의 화합물이 화소전극(331)과 대향전극(335) 사이의 중간층(333)을 향하도록 증착된 막과, 그 위에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의 투명전극 형성용 물질로 형성된 보조 전극이나 버스 전극 라인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반사형 전극으로 구비될 때에는 Li, Ca, LiF/Ca, LiF/Al, Al, Mg 또는 이들의 화합물을 증착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화소 정의막(PDL: pixel defining layer, 219)이 화소전극(331)의 가장자리를 덮으며 화소전극(331) 외측으로 두께를 갖도록 구비된다. 이 화소 정의막(319)은 발광 영역을 정의해주는 역할 외에, 화소전극(331)의 가장자리와 대향전극(335) 사이의 간격을 넓혀 화소전극(331)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전계가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화소전극(331)과 대향전극(335)의 단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화소전극(331)과 대향전극(335) 사이에는,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하는 다양한 중간층(333)이 구비된다. 이 중간층(333)은 저분자 유기물 또는 고분자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 소자(330)는 그 하부의 박막 트랜지스터(3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이때 박막 트랜지스터(320)를 덮는 평탄화막(317)이 구비될 경우, 유기 발광 소자(330)는 평탄화막(317) 상에 배치되며, 유기 발광 소자(330)의 화소전극(331)은 평탄화막(317)에 구비된 컨택홀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3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기판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330)는 봉지 기판(302)에 의해 밀봉된다. 봉지 기판(302)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글라스 또는 플라스틱재 등의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베드 부재 101: 제1 기판
102: 제2 기판 103: 프릿
120: 레이저 조사 부재 130: 가압 부재
131: 베이스 132: 탄성부
133: 투과부 S: 공간

Claims (20)

  1. 프릿(frit)을 이용하여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접합하는 프릿 실링 시스템(frit sealing system)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의 상기 프릿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 부재; 및
    상기 제2 기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레이저가 조사되는 동안 상기 제2 기판을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부재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제2 기판과 접촉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와 상기 탄성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유체가 주입될 수 있는 프릿 실링 시스템(frit sealing system).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상기 탄성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상기 유체가 채워짐으로써 상기 탄성부가 상기 제2 기판에 압력을 인가하는 프릿 실링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레이저가 투과되는 물질로 형성되는 프릿 실링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는 상기 베이스, 상기 유체, 상기 탄성부 및 상기 제2 기판을 통과한 후 상기 프릿에 조사되는 프릿 실링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고무 또는 실리콘 러버를 포함하는 프릿 실링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와 연결되고, 상기 레이저를 통과시키는 투과부;를 더 포함하는 프릿 실링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는 상기 프릿이 도포된 영역에 형성되는 프릿 실링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릿과 상기 투과부는 폐곡선 형상으로 배치되는 프릿 실링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는 상기 베이스, 상기 유체, 상기 투과부 및 상기 제2 기판을 통과한 후 상기 프릿에 조사되는 프릿 실링 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는 복수개 형성되는 프릿 실링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는 공기인 프릿 실링 시스템.
  12. 프릿(frit)을 이용하여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접합하는 프릿 실링 시스템(frit sealing system)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의 상기 프릿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 부재; 및
    상기 제2 기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레이저가 조사되는 동안 상기 제2 기판을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부재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제2 기판과 접촉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프릿 실링 시스템(frit sealing system).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탄성부가 상기 제2 기판에 압력을 인가하는 프릿 실링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레이저가 투과되는 물질로 형성되는 프릿 실링 시스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프릿 실링 시스템.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와 연결되고, 상기 레이저를 통과시키는 투과부;를 더 포함하는 프릿 실링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는 상기 프릿이 도포된 영역에 형성되는 프릿 실링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릿과 상기 투과부는 폐곡선 형상으로 배치되는 프릿 실링 시스템.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는 상기 베이스, 상기 투과부 및 상기 제2 기판을 통과한 후 상기 프릿에 조사되는 프릿 실링 시스템.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부는 복수개 형성되는 프릿 실링 시스템.
KR1020130094893A 2013-08-09 2013-08-09 프릿 실링 시스템 KR102145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893A KR102145887B1 (ko) 2013-08-09 2013-08-09 프릿 실링 시스템
US14/206,141 US9751794B2 (en) 2013-08-09 2014-03-12 Frit seal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893A KR102145887B1 (ko) 2013-08-09 2013-08-09 프릿 실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234A true KR20150018234A (ko) 2015-02-23
KR102145887B1 KR102145887B1 (ko) 2020-08-20

Family

ID=52447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893A KR102145887B1 (ko) 2013-08-09 2013-08-09 프릿 실링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51794B2 (ko)
KR (1) KR1021458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5230A (ja) * 1997-09-19 1999-04-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100713987B1 (ko) * 2006-02-20 2007-05-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기판 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밀봉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17356B (en) 2001-10-09 2003-01-11 Delta Optoelectronics Inc Package structure of display device and its packaging method
KR100745344B1 (ko) 2006-01-27 2007-08-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레이저 조사 장치
KR100927586B1 (ko) 2008-03-13 2009-11-2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프릿 실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조 방법
KR100926622B1 (ko) 2008-03-17 2009-11-1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프릿을 이용한 기밀 밀봉 장치 및 기밀 밀봉 방법
KR101528142B1 (ko) 2008-08-01 2015-06-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KR101117715B1 (ko) 2009-04-30 2012-02-2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레이저 조사 장치 및 상기 레이저 조사 장치를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030000B1 (ko) 2009-12-10 2011-04-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프릿 실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5230A (ja) * 1997-09-19 1999-04-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KR100713987B1 (ko) * 2006-02-20 2007-05-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기판 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의밀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40613A1 (en) 2015-02-12
KR102145887B1 (ko) 2020-08-20
US9751794B2 (en) 2017-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467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671638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100703458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작 방법
KR101397109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117715B1 (ko) 레이저 조사 장치 및 상기 레이저 조사 장치를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14588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745345B1 (ko) 레이저 조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0927586B1 (ko) 프릿 실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조 방법
KR101030000B1 (ko) 프릿 실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482408B1 (ko) 표시 장치
KR102035252B1 (ko) 밀봉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01747A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776472B1 (ko) 레이저 조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의제조방법
KR20110090007A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및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59665B1 (ko)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59539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980761B1 (ko) Fpcb와의 전기적 접속이 원활한 표시소자
KR20150105585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합 방법
KR100754120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0745344B1 (ko) 레이저 조사 장치
JP5026161B2 (ja) 垂直形封止装置を利用した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0688788B1 (ko)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TWI587499B (zh) 製造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之方法
KR102145887B1 (ko) 프릿 실링 시스템
KR101908503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