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7692A - 의료용 견인기 - Google Patents

의료용 견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7692A
KR20150017692A KR1020140181593A KR20140181593A KR20150017692A KR 20150017692 A KR20150017692 A KR 20150017692A KR 1020140181593 A KR1020140181593 A KR 1020140181593A KR 20140181593 A KR20140181593 A KR 20140181593A KR 20150017692 A KR20150017692 A KR 20150017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locking
pinion
tractio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1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
신중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메디칼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메디칼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메디칼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40181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7692A/ko
Publication of KR20150017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0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with antagonistic arms as supports for retractor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견인기는, 록킹 브레이크 수단에 의해 록킹 피니언과 가이드 레일의 치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근육 수축력 등의 외력이나 랙 기어의 마모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이동 견인바디의 이동이 방지되어, 주변 신경이나 근육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정성 및 신뢰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의료용 견인기{Medical retractor}
본 발명은 의료용 견인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술을 위한 절개부위를 보다 안정적으로 견인하여, 안전성 및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의료용 견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견인기(Retractor)는, 주로 외과 진료나 수술 등 외과적 처치에서 절개 부위를 넓게 벌려서 처치 공간을 확보하여 처치를 용이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국공개특허 1999-019325호에서는 복부 수술용 견인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견인기는, 이송 레일과, 상기 이송 레일에서 이송가능토록 결합된 한 쌍의 견인지레와, 상기 견인지레에 구비되어 절개부로 삽입되는 한 쌍의 갈고리로 이루어진다. 상기 갈고리는 절개 부위에 삽입된 후 피부나 근육을 벌린 후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의 견인기는, 상기 갈고리가 삽입된 후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브레이크 장치가 없으며,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오므라들게 되면 주변 근육이나 신경 등을 손상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신경 등이 손상될 경우 신체의 마비가 올 수 있으므로 매우 위험하다.
한편, 상기 이송 레일에 톱니 형상의 기어 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견인기가 소정의 힘 미만에서는 일방향으로 오므라들지 않도록 하는 브레이크 기능을 구비하기도 하나, 반복적인 사용시 상기 기어가 마모되어 브레이크 기능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술 중에 견인기가 오므라드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의료용 견인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견인기는, 랙 기어가 형성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견인 바디들과, 상기 복수의 견인 바디들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랙 기어에 치합 또는 치합 해제되면서 상기 견인 바디들과 일체로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록킹 피니언과, 상기 가이드 레일과 상기 록킹 피니언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록킹 피니언을 상기 가이드 레일에 밀착시켜 상기 록킹 피니언과 상기 랙 기어의 치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록킹 브레이크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의료용 견인기는, 랙 기어가 형성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견인 바디들과, 상기 복수의 견인 바디들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랙 기어의 기어홈부에 삽입되는 기어핀과, 상기 기어핀을 지지하는 지지부으로 이루어진 록킹 피니언과, 상기 지지부에 힌지축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록킹 피니언을 향해 접어지면서 상기 록킹 피니언을 상기 가이드 레일을 향한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랙 기어와 상기 록킹 피니언의 치합 상태를 유지시키는 록킹 레버와, 상기 견인 바디들에 각각 구비되고, 견인 방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고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크게 형성된 견인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견인기는, 록킹 브레이크 수단에 의해 록킹 피니언과 가이드 레일의 치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근육 수축력 등의 외력이나 랙 기어의 마모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이동 견인바디의 이동이 방지되어, 주변 신경이나 근육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정성 및 신뢰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견인 블레이드의 적어도 일부분이 견인방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절개부위를 보다 효과적으로 견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견인 블레이드의 적어도 일부분이 단면적이 확장 형성됨으로써, 절개부위를 보다 효과적으로 견인하여 수술 시야를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견인바디가 X-RAY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짐으로써, X-RAY촬영시 견인바디가 절개 부위를 가리는 것이 방지되어, 절개 부위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수술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견인바디들이 모두 가이드 레일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절개 부위의 크기에 따라 가이드 레일만을 교체하여 사용하고, 견인바디들의 호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가의 견인기에 대한 구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견인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견인 바디가 이동가능한 상태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견인 바디와 가이드 레일의 치합 상태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견인 바디와 가이드 레일의 록킹 상태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C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록킹 피니언과 록킹 레버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록킹 레버의 록킹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견인 블레이드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견인 블레이드를 F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견인기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견인기에서 록킹 피니언과 가이드 레일의 치합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2에 도시된 록킹 피니언과 가이드 레일의 록킹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의료용 견인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견인기(1)는, 가이드 레일(10), 견인 바디(20), 견인 블레이드(30), 록킹 피니언(40) 및 록킹 브레이크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랙 기어(11)가 형성된다. 상기 랙 기어(11)는, 상기 가이드 레일(10)의 상면에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면 등에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견인 바디(20)는, 상기 가이드 레일(10)에 고정 또는 이동가능하게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견인 바디(20)는, 상기 가이드 레일(1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 고정 견인바디(21)와, 상기 가이드 레일(1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이동 견인바디(22)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고정 견인바디(21)와 상기 이동 견인바디(22)는, X-RAY 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고정 견인바디(21)와 상기 이동 견인바디(22)는, X-RAY 반투과성 재료나 X-RAY 100%투과성 재료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X-RAY를 일부 투과하는 X-RAY 반투과성 재료로는 Al 합금 등이 있으며, X-RAY를 100% 투과하는 X-RAY 100%투과성 재료로는 카본 등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X-RAY촬영시 상기 고정 견인바디(21)와 상기 이동 견인바디(22)의 위치나 모양도 확인 가능하도록 X-RAY 반투과성 재료로 사용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견인 블레이드(30)는, 상기 견인 바디(20)에 각각 결합되어 신체의 절개부위로 삽입된다. 본 실시예서는, 상기 견인 블레이드(30)는, 상기 고정 견인바디(21)에 결합된 고정 견인블레이드(31)와, 상기 이동 견인바디(22)에 결합된 이동 견인블레이드(32)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견인 블레이드(30)는,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면, 각각 상기 견인 바디(20)에 결합되는 결합부(30a)와, 상기 결합부(30a)에서 연장 형성되어 신체의 절개 부위로 삽입되는 삽입부(30b)와, 상기 삽입부(30b)에서 연장 형성되고 견인 방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30c)로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부(30c)의 경사각도(θ)는 약 15도 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절개 부위를 벌리기 용이한 각도이면 가능하다. 상기 경사부(30c)의 길이(L2)는 상기 견인 블레이드(30)의 총 길이(L1)의 약 1/3 내지 2/5 범위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견인 블레이드(30)는 단면적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견인 블레이드(30)가 단면적이 크게 확장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상기 견인 블레이드(30)는, 절개 부위를 보다 효과적으로 벌려 시야를 넓혀줄 수 있다. 상기 견인 블레이드(30)는 적어도 일부분이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견인 블레이드(30) 중에서 상기 경사부(30c)가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크게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즉, 상기 삽입부(30b)의 폭(W1)보다 상기 경사부(30c)의 끝단의 폭(W2)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단면적이 확장 형성된 부분은 상기 경사부(30c)보다 길거나 짧게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록킹 피니언(40)은, 상기 복수의 견인 바디들(2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견인 바디들(20) 중 상기 이동 견인바디(22)만이 상기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이동가능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므로, 상기 록킹 피니언(40)은 상기 이동 견인바디(22)에 구비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록킹 피니언(40)은, 상기 랙 기어(11)에 치합 또는 치합해제되면서 상기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록킹 피니언(40)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랙 기어(11)의 기어홈부(11a)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기어핀들(43)과, 상기 기어핀들(43)의 각 양단을 지지하는 제1,2지지부들(41)(42)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어핀들(43)은 상기 기어홈부(11a)에 치합가능하도록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일부분이 단면적이 크게 형성된다. 상기 기어핀들(43)은 2개가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록킹 피니언(40)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2개의 기어핀들(43)이 모두 상기 기어홈부(11a)에 삽입되거나 상기 기어핀들(43) 중 한 개만인 상기 기어홈부(11a)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41)는 상기 이동 견인바디(22)에 걸림되도록 단차부(41a)를 갖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41)는 후술하는 힌지핀(53)과 힌지 결합되도록 피니언 결합부(41b)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록킹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록킹 피니언(40)에 구비되어 상기 록킹 피니언(40)이 상기 랙 기어(11)에 치합시 치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록킹 브레이크 수단은, 록킹 레버(50), 탄성부재(55) 및 스프링 시트(54)를 포함한다.
상기 록킹 레버(50)는, 상기 록킹 피니언(40) 중에서 상기 제1지지부(41)에 결합된다. 상기 록킹 레버(50)는, 상기 제1지지부(41)와 상기 힌지축(53)에 의해 결합되는 레버 결합부(52)와, 상기 레버 결합부(52)에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레버부(51)로 이루어진다. 상기 레버 손잡이부(51)와 상기 레버 결합부(52)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레버 결합부(52)는 상기 피니언 결합부(41b)와 블록 결합방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53)에 의해 결합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레버 결합부(52)의 측면(52a)과 상기 힌지축(53)의 제2수직거리(L4)와, 상기 레버 결합부(52)의 하면(52b)과 상기 힌지축(53)의 제1수직거리(L3)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즉, 상기 레버 결합부(52)의 측면(52a)과 상기 힌지축(53)의 제2수직거리(L4)가 상기 레버 결합부(52)의 하면(52b)과 상기 힌지축(53)의 제1수직거리(L3)보다 길게 형성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 레버(50)가 상기 힌지축(5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접혀지는 록킹 상태가 되면, 상기 레버 결합부(52)의 측면(52a)이 상기 록킹 피니언(40)에 대향된다. 이 때, 상기 제2수직거리(L4)가 상기 제1수직거리(L3)보다 길기 때문에, 상기 록킹 레버(50)가 상기 록킹 피니언(40)을 가압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레버 결합부(52)의 단면이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 형상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록킹 피니언(40)을 가압하는 정도가 달라지게 하는 형상이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또한, 상기 록킹 레버(50)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록킹 피니언(40)을 상기 가이드 레일(10)의 길이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록킹 레버(50)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록킹 피니언(40)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랙 기어(11)가 치합 또는 치합해제된다. 즉,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록킹 레버(50)가 상기 가이드 레일(10)에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되면, 상기 록킹 피니언(40)의 기어핀들(43) 중 한 개만이 상기 랙 기어(11)에 치합되고, 나머지 한 개의 기어핀(43)의 치합은 해제된다. 한 개의 상기 기어핀(43)만이 상기 랙 기어(11)에 치합될 경우, 상기 록킹 피니언(40)이 상기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여 상기 견인 바디(20)의 이동이 가능하다. 한편,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록킹 레버(50)가 약 90도 회전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10)과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되면, 2개의 상기 기어핀들(43)이 모두 상기 랙 기어(11)에 치합된다. 2개의 상기 기어핀들(43)이 모두 상기 랙 기어(11)에 치합될 경우, 상기 록킹 피니언(40)의 직선 이동이 제한되어 상기 견인 바디(20)의 위치가 고정된다.
상기 탄성부재(55)는, 상기 록킹 피니언(40)의 상기 제2지지부(42)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10)을 향한 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10)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한다. 상기 탄성부재(55)는, 상기 제2지지부(42)와 상기 가이드 레일(10)의 측면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55)는 상기 기어핀들(43)에 끼워지는 코일 스프링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력을 갖는 다른 스프링의 사용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스프링 시트(54)는, 상기 탄성부재(55)와 상기 가이드 레일(10)의 측면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수술시 상기 견인기(1)를 절개부위에 놓고, 상기 이동 견인바디(22)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절개부위를 벌릴 수 있다. 이 때, 상기 견인 블레이드(30)는 각각 상기 경사부(30c)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절개부위를 보다 효과적으로 벌리고 안정적으로 견인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록킹 레버(50)가 상기 가이드 레일(10)에 수직한 방향으로 놓이면, 상기 록킹 피니언(40)의 기어핀들(43) 중에서 한 개의 기어핀(43)만이 상기 랙 기어(11)에 치합되고, 나머지 한 개의 기어핀(43)은 상기 랙 기어(11)에 치합이 해제된 상태이다. 한 개의 상기 기어핀(43)만이 상기 랙 기어(11)에 치합되면, 사용자가 상기 록킹 레버(50)를 상기 가이드 레일(10)의 길이방향으로 밀거나 당길 때 상기 록킹 피니언(40)이 상기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록킹 피니언(40)의 직선 이동에 의해 상기 이동 견인바디(22)가 이동하게 되어, 상기 이동 견인바디(22)를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 견인바디(22)의 위치가 정해지고 나면, 상기 록킹 레버(50)를 상기 가이드 레일(10)에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록킹 레버(50)가 상기 가이드 레일(10)에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록킹 피니언(40)의 기어핀들(43) 모두가 상기 랙 기어(11)에 치합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상기 기어핀들(43)이 상기 랙 기어(11)의 기어홈부에 삽입된다. 2개의 상기 기어핀들(43)이 모두 상기 랙 기어(11)에 치합되면, 소정의 힘 미만에서는 상기 록킹 피니언(40)이 상기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이동할 수 없게 된다. 즉, 상기 록킹 피니언(40)과 상기 이동 견인바디(22)의 위치가 록킹된다. 이 때, 상기 록킹 피니언(40)과 상기 가이드 레일(10)의 측면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d)이 존재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기 록킹 피니언(40)이 록킹되더라도 근육 수축력 등의 큰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나 상기 랙 기어(11)의 기어 마모가 심한 경우, 상기 록킹 피니언(40)이 상기 가이드 레일(10)을 따라 움직이게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록킹 레버(50)가 상기 록킹 피니언(40)을 향해 접히면서 상기 록킹 피니언(40)을 가압하는 브레이크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록킹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록킹 레버(50)를 상기 힌지축(43)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록킹 레버(50)가 상기 록킹 피니언(4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접히게 된다. 상기 록킹 레버(50)가 접히면, 상기 레버 결합부(52)의 측면(52a)이 상기 록킹 피니언(40)의 제1지지부(41)와 접하게 되고, 상기 레버 결합부(52)의 하면(52b)은 상기 제1지지부(41)와 수직한 방향으로 놓이게 된다. 상기 제2수직거리(L4)가 상기 제1수직거리(L3)보다 길게 형성되므로, 상기 록킹 레버(50)가 상기 록킹 피니언(40)을 상기 가이드 레일(10)을 향한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상기 록킹 레버(50)가 상기 제1지지부(41)를 가압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10)에 밀착시키면, 상기 탄성부재(53)는 상기 가이드 레일(10)을 향한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한다. 따라서, 상기 록킹 피니언(40)과 상기 가이드 레일(10)사이의 간극(d)이 없어지게 되어, 상기 록킹 피니언(40)과 상기 가이드 레일(10)의 치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록킹 피니언(40)이 상기 가이드 레일(10)의 랙기어(11)에 치합된 이후에, 상기 록킹 레버(50)를 이용해 상기 록킹 피니언(40)과 상기 가이드 레일(10)의 치합을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근육 수축력 등의 외력이나 상기 랙 기어(11)의 마모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상기 록킹 피니언(40)과 상기 이동 견인바디(22)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정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견인바디(21)와 상기 이동 견인바디(22)는 X-RAY반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짐으로써, X-RAY 촬영시 상기 견인바디(20)가 절개 부위를 가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견인기의 정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견인기(100)는, 가이드 레일(10), 견인 바디(110), 록킹 피니언(40) 및 록킹 레버(50)를 포함하고, 상기 견인 바디(110)는 모두 상기 가이드 레일(10)에 착탈 가능토록 구비된 것이 상기 제1실시예와 상이하고,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상기 제1실시예와 유사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견인 바디(110)는 2개의 제1,2이동 견인바디(111)(1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2이동 견인바디(111)(112)는 모두 상기 가이드 레일(10)에 착탈 가능하되, 2개 모두 상기 록킹 피니언(40)에 의해 상기 가이드 레일(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만이 상기 록킹 피니언(40)에 의해 상기 가이드 레일(10)에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이동 견인바디(112)만이 상기 록킹 피니언(40)에 의해 상기 가이드 레일(1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이동 견인바디(111)는, 상기 가이드 레일(10)에 끼워진 후, 고정핀(101)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2개의 제1,2견인바디(111)(112)가 모두 상기 가이드 레일(10)에 착탈 가능함으로써, 절개 부위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가이드 레일(10)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가의 견인기를 여러개 구입하여 교체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견인기에서 록킹 피니언과 가이드 레일의 치합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2에 도시된 록킹 피니언과 가이드 레일의 록킹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견인기(120)는, 가이드 레일(121), 견인바디(130), 록킹 피니언(140) 및 록킹 브레이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록킹 브레이크 수단이 록킹 레버(150), 결합돌기(154) 및 결합홈(155)을 포함하는 것이 상기 제1실시예와 상이하고,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고, 그 외 유사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유사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견인바디(130)는 2개의 제1,2견인바디(131)(13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2견인바디(131)(132)는 모두 상기 가이드 레일(121)에 착탈가능토록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고, 적어도 하나는 고정되고 나머지 하나만이 착탈가능토록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2견인바디(131)(132)는 X-RAY 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록킹 피니언(140)은, 한 쌍의 기어핀(43)과, 상기 기어핀들(43)을 지지하는 제1,2지지부(141)(14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부(141)에는 상기 록킹 레버(150)와 힌지축(153)에 의해 결합되는 피니언 결합부(141b)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121)과 상기 제2지지부(142)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결합돌기(154)가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결합돌기(154)와 결합되는 결합홈(15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돌기(154)는, 상기 제2지지부(142)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121)을 향한 면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55)은, 상기 가이드 레일(121)의 측면에 형성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록킹 레버(150)는, 레버 손잡이부(151)와 레버 결합부(15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록킹 레버(150)가 상기 힌지축(15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록킹 피니언(140)을 향해 접히면, 상기 록킹 피니언(140)이 상기 가이드 레일(120)에 밀착된다. 상기 록킹 피니언(140)이 상기 가이드 레일(120)에 밀착되면, 상기 결합돌기(154)와 상기 결합홈(155)이 결합되어, 상기 록킹 피니언(140)과 상기 가이드 레일(120)의 결합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근육 수축력 등의 외력이나 상기 랙 기어의 마모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상기 록킹 피니언(140)과 상기 이동 견인바디(132)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정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121: 가이드 레일 11: 랙 기어
20,110,130: 견인 바디 30: 견인 블레이드
40: 록킹 피니언 41: 제1지지부
42: 제2지지부 43: 기어핀
50: 록킹 레버 51: 레버 손잡이부
52: 레버 결합부 53: 힌지축

Claims (11)

  1. 상면에 랙 기어가 형성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레일에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견인 바디들과;
    상기 복수의 견인 바디들에 구비되고, 복수의 기어핀들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회전시 상기 복수의 기어핀들이 모두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면 상기 가이드 레일에 록킹되고, 적어도 하나만 상기 가이드 레일에 삽입되면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직선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록킹 피니언과;
    상기 록킹 피니언에 구비되고, 상기 록킹 피니언이 상기 가이드 레일에 록킹되면, 상기 록킹 피니언을 상기 가이드 레일의 측면에 밀착시켜 상기 록킹 피니언과 상기 가이드 레일의 록킹 상태를 유지시키는 록킹 브레이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록킹 피니언은, 상기 기어핀들의 각 양단을 지지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2지지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록킹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제1지지부에 힌지축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지지부를 향해 접어지면서 상기 제1지지부를 상기 가이드 레일의 측면을 향한 방향으로 가압하는 록킹 레버를 포함하는 의료용 견인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 레버는,
    상기 록킹 피니언에 상기 힌지축에 의해 결합되는 레버 결합부와, 상기 레버 결합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조작되는 레버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 결합부는, 측면과 상기 힌지축 사이의 수직 거리와 하면과 상기 힌지축 사이의 수직 거리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 상기 록킹 피니언에 밀착되어 가압하거나 이격되어 가압해제하는 의료용 견인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제2지지부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을 향한 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을 향해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의료용 견인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랙 기어와 상기 탄성부재 사이에는 스프링 시트가 구비된 의료용 견인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 브레이크 수단은,
    상기 록킹 피니언과 상기 가이드 레일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된 결합돌기와,
    상기 록킹 피니언과 상기 가이드 레일 중 다른 하나에서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결합홈을 더 포함하는 의료용 견인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견인 바디들에 각각 구비되어 신체의 절개부위로 삽입되는 견인 블레이드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견인 블레이드는 견인 방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견인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견인 바디들에 각각 구비되어 신체의 절개부위로 삽입되는 견인 블레이드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견인 블레이드는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크게 확장 형성된 의료용 견인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견인 바디들에 각각 구비되어 신체의 절개부위로 삽입되는 견인 블레이드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견인 블레이드는 견인 방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고, 끝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크게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견인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견인 바디들은 모두 상기 가이드 레일에 착탈가능하도록 구비된 의료용 견인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견인 바디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록킹 피니언에 의해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나머지는 고정핀에 의해 상기 가이드 레일에 고정 결합되는 의료용 견인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견인 바디는 X-RAY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진 의료용 견인기.
KR1020140181593A 2014-12-16 2014-12-16 의료용 견인기 KR201500176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593A KR20150017692A (ko) 2014-12-16 2014-12-16 의료용 견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593A KR20150017692A (ko) 2014-12-16 2014-12-16 의료용 견인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577A Division KR101484548B1 (ko) 2013-08-07 2013-08-07 의료용 견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692A true KR20150017692A (ko) 2015-02-17

Family

ID=53046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1593A KR20150017692A (ko) 2014-12-16 2014-12-16 의료용 견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76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1090A (ko) * 2022-05-18 2023-11-27 이윤창 용접버 제거 나이프 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1090A (ko) * 2022-05-18 2023-11-27 이윤창 용접버 제거 나이프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00810A1 (en) Adapter assembly including a removable trocar assembly
JP6571174B2 (ja) 骨固定アセンブリ
KR101609581B1 (ko) 수술용 스크류 및 이를 이용한 융합장치
US20170245997A1 (en) Spinal spacing implant, spinal spacer assembly, expander and insertion instrument, kit and methods of assembly and use
CA2885034C (en) Multihole drill sleeve with protection sleeve
WO2014196531A1 (ja) 脊椎用インプラント及び脊椎固定用装置
DE10230375B4 (de) Bänderspannvorrichtung mit verschieblichen Pratzen
US20100168803A1 (en) Flexible Guide for Insertion of a Vertebral Stabilization System
US20090281582A1 (en) Instrument for the reduction of a rod into position in a pedicle screw
KR101484548B1 (ko) 의료용 견인기
US20150094780A1 (en) Device for fixing a femur in hip endoprosthetics
US10278746B2 (en) Accessory for tensioning an elongate element
EP3629943B1 (en) Device for the retraction of soft tissue in a patient undergoing arthroscopic surgery
US20150209060A1 (en) Medical, in particular surgical, sliding-shaft instrument
US20160270929A1 (en) Locking Grip Orthopedic Implant Extraction Tool
WO2010065219A2 (en) Hub and handle design for carpal tunnel release tool
US20160213365A1 (en) Surgical retractor with removable actuating element
JP2015177974A (ja) ブレードリムーバーを備えた外科用メスハンドルさや
DE102017114273A1 (de) Verlängerungsvorrichtung für einen Knochenanker
KR20150017692A (ko) 의료용 견인기
EP2777568B1 (en) spinal rod insertion instrument
WO2014067840A1 (de) Atrium-retraktor
DE102009007722A1 (de) Nadelhaltereinsatz für flexible medizinische Instrumente
KR101760730B1 (ko) 레일 타입의 최소 침습 수술용 견인장치
CN111601567A (zh) 用于铰接式手术器械的手术紧固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