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7582A - 배관 연결용 튜브 엔드 - Google Patents

배관 연결용 튜브 엔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7582A
KR20150017582A KR1020130093709A KR20130093709A KR20150017582A KR 20150017582 A KR20150017582 A KR 20150017582A KR 1020130093709 A KR1020130093709 A KR 1020130093709A KR 20130093709 A KR20130093709 A KR 20130093709A KR 20150017582 A KR20150017582 A KR 20150017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iping
pipe connection
connection adapter
tube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3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낙이
심영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엠엔에스
심영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엠엔에스, 심영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엠엔에스
Priority to KR1020130093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7582A/ko
Publication of KR20150017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5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5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a sleeve being movable ax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연결용 튜브 엔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배관 연결용 튜브 엔드는, 배관의 내경에 삽입 시 그 배관과의 결합력이 커지도록 외경부에 요철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요철부는 배관의 내주면과의 간섭이 억제되도록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제 1 배관 연결부, 제 1 배관 연결부와 동일축선 상에 일체로 형성된 몸체부 및 몸체부를 사이에 두고 제1배관 연결부와 반대측에 마련된 제 2 배관 연결부로 이루어진 배관 연결 어댑터; 및 배관 고정 시, 배관 연결 어댑터에 체결되어, 배관에 연결된 배관 연결 어댑터와 배관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 연결용 튜브 엔드{TUBE END FOR PIPE CONNECTIONS}
본 발명은 배관 연결용 튜브 엔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과 견고한 고정을 위한 구성에 의해 배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개선된 배관 연결용 튜브 엔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체, 액체와 같은 유체가 흐르는 배관을 다른 기기 또는 배관에 연결시 별도의 배관 연결 장치가 이용된다.
이러한 배관 연결 어댑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10)과의 연결을 견고히 위해 배관(10)에 삽입되는 배관 연결 어댑터(1)의 배관 연결부(11) 외관에 직각 형상의 끼움부(15)가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종래 배관 연결 어댑터(1)는 끼움부(15)가 직각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플렉시블한 배관(10)에 연결 시 끼움부(15)에 의해 배관(10)의 내부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과 견고한 고정을 위한 구성에 의해 배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관 연결용 튜브 엔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배관 연결용 튜브 엔드는, 상기 배관의 내경에 삽입 시 그 배관과의 결합력이 커지도록 외경부에 요철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요철부는 상기 배관의 내주면과의 간섭이 억제되도록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제 1 배관 연결부, 상기 제 1 배관 연결부와 동일축선 상에 일체로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배관 연결부와 반대측에 마련된 제 2 배관 연결부로 이루어진 배관 연결 어댑터; 및 상기 배관 고정 시, 상기 배관 연결 어댑터에 체결되어, 상기 배관에 연결된 상기 배관 연결 어댑터와 배관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요철부는, 상기 배관과 선 접촉되는 부분이 라운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상기 배관 연결 어댑터, 상기 배관 연결 어댑터의 몸체부와 상기 제 1 배관 연결부 사이에 제 1 고정 돌기가 원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내경부에 상기 배관 연결 어댑터의 제 1 고정 돌기에 끼워 고정되도록 제 2 고정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배관 연결용 튜브 엔드는, 배관 연결용 튜브 엔드가 휘어지더라도 배관 연결용 튜브 엔드의 요철 부위가 테이퍼지거나 라운드 짐으로써 배관이 휘어지더라도 배관 내부가 훼손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배관 연결 체결구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튜브 엔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배관 연결용 튜브 엔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튜브 엔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튜브 엔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배관 연결용 튜브 엔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튜브 엔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튜브 엔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배관 연결용 튜브 엔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튜브 엔드는, 배관 연결 어댑터(100)와 고정부재(200)로 이루어져 있다.
배관 연결 어댑터(100)는 제 1 배관 연결부(110), 몸체부(120) 및 제 2 배관 연결부(130)로 이루어져 있다.
배관 연결 어댑터(100)의 제 1 배관 연결부(110)는 배관(10)의 내경에 삽입 시 그 배관(10)과의 결합력이 커지도록 외경부에 요철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요철부는 상기 배관의 내주면과의 간섭이 억제되도록 테이퍼진 형상을 가진다. 이때, 배관 연결 어댑터(100)와 고정부재(200)는, 배관 연결 어댑터(100)의 몸체부(120)와 제 1 배관 연결부(110) 사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고정부재(200)에는 내경부에 배관 연결 어댑터(100)의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몸체부(120)는 제 1 배관 연결부(110)와 동일축선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제 2 배관 연결부(130)는 몸체부(120)를 사이에 두고 제 1 배관 연결부(110)와 반대측에 마련되어 다른 배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200)는 배관(10) 고정 시, 배관 연결 어댑터(100)에 체결되어 배관(10)에 연결된 상기 배관 연결 어댑터(100)와 배관(1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튜브 엔드의 이용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배관 연결 어댑터(100)를 배관(10)에 연결시키기 전에, 고정부재(200)를 배관(10)에 삽입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요철부(111)가 구비된 제 1 배관 연결부(110)를 배관(10)에 억지 끼운다. 여기서, 요철부(111)은 테이퍼짐으로써 배관(10)이 휘어지더라도 배관이 훼손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후, 배관(10)에 삽입된 배관 연결 어댑터(100)와 고정부재(200)를 결합시킨다. 이때, 배관 연결 어댑터(100)의 몸체부(120)와 제 1 배관 연결부(110) 사이에 나사산(도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되고, 고정부재(200)에는 내경부에 배관 연결 어댑터(100)의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튜브 엔드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다른 구성은 동일하고, 요철부(111)의 형상이 상이한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의 요철부(111)는 배관(10)과 선 접촉되는 부분(A)이 라운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튜브 엔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배관 연결용 튜브 엔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용 튜브 엔드는 제 1 실시예에서의 배관 연결 어댑터(100)의 구성은 동일하되, 배관 연결 어댑터(100)와 고정부재(200)를 결합하는 구성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배관 연결 어댑터(100)와 고정부재(200)를 결합하기 위한 구성으로 나사 결합이 이용되었으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는 배관 연결 어댑터(100)에 제 1 고정 돌기(113)가 형성되고, 고정부재(200)에 제 2 고정 돌기(213)가 형성된다.
배관 연결 어댑터(100)는, 배관 연결 어댑터(100)의 몸체부(120)와 제 1 배관 연결부(110) 사이에 제 1 고정 돌기(113)가 원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고정부재(200)는, 내경부에, 배관 연결 어댑터(100)의 제 1 고정 돌기(113)에 끼워 고정되도록 제 2 고정 돌기(213)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는 배관(10)에 제 1 배관 연결부(110)를 억지 끼운 상태에서 배관 연결 어댑터(100)의 제 1 고정 돌기(113)에 고정부재(200)의 제 2 고정 돌기(213)를 끼워 넣는다. 이후, 고정부재(200)의 제 2 고정 돌기(213)를 프레싱함으로써, 배관 연결 어댑터(100)가 배관(1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배관 연결 어댑터(100)와 고정부재(200)에 각각 제 1, 2 고정돌기(113, 213)을 형성할 경우, 나사 결합 방법에 비해 제조가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00 : 배관 연결 어댑터 110 : 제 1 배관 연결부
120 : 몸체부 130 : 제 2 배관 연결부
200 : 고정부재

Claims (3)

  1. 배관(10)을 연결하는 배관 연결용 튜브 엔드에 있어서,
    상기 배관(10)의 내경에 삽입 시 그 배관과의 결합력이 커지도록 외경부에 요철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요철부(111)는 상기 배관(10)의 내주면과의 간섭이 억제되도록 테이퍼진 형상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제 1 배관 연결부(110), 상기 제 1 배관 연결부(110)와 동일축선 상에 일체로 형성된 몸체부(120) 및 상기 몸체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배관 연결부와 반대측에 마련된 제 2 배관 연결부(130)로 이루어진 배관 연결 어댑터(100); 및
    상기 배관(10) 고정 시, 상기 배관 연결 어댑터(100)에 체결되어, 상기 배관(10)에 연결된 상기 배관 연결 어댑터(100)와 배관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200)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용 튜브 엔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배관과 선 접촉되는 부분이 라운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용 튜브 엔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연결 어댑터(100)는, 상기 배관 연결 어댑터(100)의 몸체부(120)와 상기 제 1 배관 연결부(110) 사이에 제 1 고정 돌기(113)가 원주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200)는, 내경부에, 상기 배관 연결 어댑터(100)의 제 1 고정 돌기(113)에 끼워 고정되도록 제 2 고정 돌기(21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용 튜브 엔드.



KR1020130093709A 2013-08-07 2013-08-07 배관 연결용 튜브 엔드 KR201500175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709A KR20150017582A (ko) 2013-08-07 2013-08-07 배관 연결용 튜브 엔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709A KR20150017582A (ko) 2013-08-07 2013-08-07 배관 연결용 튜브 엔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582A true KR20150017582A (ko) 2015-02-17

Family

ID=53046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709A KR20150017582A (ko) 2013-08-07 2013-08-07 배관 연결용 튜브 엔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75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01250A (ja) * 2018-12-25 2020-07-02 株式会社クボタケミックス 変換継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01250A (ja) * 2018-12-25 2020-07-02 株式会社クボタケミックス 変換継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16187A1 (en) Holding device for pipe joint and pipe joint using same
US10571060B2 (en) Structure of resin-made pipe joint
RU195324U1 (ru) Гнездовой штуцер соединения, позволяющий вставку штыревого штуцера с уменьшенной силой
EP3211282B1 (en) A connecting mechanism of a flexible pipe and an outlet device
CN211525753U (zh) 带有将螺母插入端口内侧的加强件的pb管道连接端口装置
JP5537982B2 (ja) 管継手
KR101489711B1 (ko) 분기관 연결장치
KR20150017582A (ko) 배관 연결용 튜브 엔드
KR101392564B1 (ko) 호스 연결구
KR101436351B1 (ko) 결착력과 수밀성이 우수한 이음관
TWI624612B (zh) 管接頭
JP2009144740A5 (ko)
CN202521103U (zh) 一种快速液压管接头
KR101638835B1 (ko) 파이프 연결구
JP5851944B2 (ja) 防爆形ケーブルグランドのケーブルクランプ装置
KR200463450Y1 (ko) 합성수지관 연결용 이음장치
KR102125387B1 (ko) 고수압용 커플러장치
KR101847777B1 (ko) 파이프 연결용 소켓
JP2018048697A (ja) 樹脂管用管継手
JP7353128B2 (ja) 環状シール材
RU2007109284A (ru)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CN110462271A (zh) 管连接用接头
JP6990575B2 (ja) 継手
KR20110137759A (ko) 나선형 주름관 연결구
JP6131125B2 (ja) シャワーホース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