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7174A - 튜브의 이동장치 및 이동방법 - Google Patents

튜브의 이동장치 및 이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7174A
KR20150017174A KR1020130093139A KR20130093139A KR20150017174A KR 20150017174 A KR20150017174 A KR 20150017174A KR 1020130093139 A KR1020130093139 A KR 1020130093139A KR 20130093139 A KR20130093139 A KR 20130093139A KR 20150017174 A KR20150017174 A KR 20150017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ixed
rotating body
cylind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3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5043B1 (ko
Inventor
임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팩
Priority to KR1020130093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043B1/ko
Publication of KR20150017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20Flexible squeeze tubes, e.g. for cosme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0Turntables carrying articles or materials to be transferred, e.g. combined with ploughs or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6Tubes and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4Turn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튜브의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튜브 성형장치로부터 공급된 튜브가 안착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체와 동일하게 회전되면서 상기 튜브를 상기 본체 쪽으로 밀어주는 슈터를 포함하여 회전체와 슈터가 동시에 회전되면서 튜브를 이동시키므로 튜브의 이동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튜브의 이동 시 2개의 튜브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튜브의 이동장치 및 이동방법{Movement Device and Movement Method of Tube}
본 발명은 튜브의 이동장치 및 이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튜브 성형장치에서 공급되는 튜브를 건조장치로 신속하게 이동시키는 튜브의 이동장치 및 이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튜브는 겔 또는 액상 등의 내용물을 저장하는 용기로서 사용된다. 즉, 양단이 개방된 튜브에는 일측에 캡(뚜껑)을 형성하여 밀폐시키고, 내용물을 채운 다음 내용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타측을 밀폐시킨다.
따라서 튜브는 용기 내부 내용물이 채워지기 전에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체를 일컫는 것으로, 통상 형태적인 변형이 자유로운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튜브는 튜브 성형장치에서 일정 직경과 길이를 갖는 튜브를 성형하게 되고, 성형된 튜브는 건조장치로 보내어져 건조시킨 다음 튜브 외면에 인쇄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렇게 인쇄가 이루어진 튜브는 또 다른 건조장치에서 건조시킨 다음 그 일측에 캡을 씌우는 과정까지 일련의 공정을 거치면서 용기 형태로 성형된다.
한편 본 출원인은 특허 공개번호 제10-2003-0056167호로서 "튜브 헤드 성형장치", 특허 공개번호 제10-2003-0056166호로서 "다색 실크스크린 인쇄장치", 특허 공개번호 제10-2005-0071702호로서 "졸 타입의 내용물 충진장치", 실용신안등록 제20-0272468호로서 "튜브 이송장치" 등 튜브와 관련된 다수의 특허를 출원한 바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튜브 헤드 성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의 튜브 헤드 성형장치는 양측이 틔여진 튜브의 일단으로 헤드금형과 그와 연결된 사출성형기로 구성되는 헤드성형부에 의해 헤드를 일체로 성형하는 장치로서, 본체의 외부 일측으로 상기 튜브를 순차적으로 자동 공급하는 튜브 공급부, 상기 본체 상으로 구동부와 연동되는 회전축으로 외주면에 상기 공급되는 튜브가 꽂아지는 한 쌍의 꽂이봉이 형성된 다수의 꽂이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회전부재가 장착되어 일정각도 만큼 회전되는 꽂이봉 회전부를 포함한다.
또 상기 헤드성형부는 본체의 일측으로 회전된 꽂이봉과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헤드금형과 사출성형기가 공급관으로 연결되고 상기 헤드금형은 가이드레일 상에서 왕복부재에 의해 꽂이봉의 끝단으로 삽입되도록 왕복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튜브 이송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의 튜브 이송장치는 구동되는 체인바퀴와 체인이 케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체인의 이동에 의해 튜브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로서, 상기 체인의 일측으로 다수개의 튜브고정원판이 구비되고, 상기 튜브고정원판에 꽂이대가 구비되는 튜브고정부, 한 쌍의 상기 체인바퀴의 후방측으로 상기 케이스에 체인바퀴 이동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체인바퀴 이동구멍의 후면에 상기 체인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체인바퀴 고정판이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의 후면에 고정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의 사이에 상기 체인바퀴고정판을 관통하여 다수개의 가이드봉이 부착되어 상기 체인바퀴고정판이 상기 체인과 연동되는 캠에 의해 수평으로 왕복되는 순간정지부로 구성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3-0056167호(2003년 7월 4일 공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72468호(2002년 4월 4일 등록)
그러나 종래기술들에 따른 튜브 헤드 성형장치 또는 튜브 이송장치는 튜브를 이송하기 위하여 회전체를 일시 정지시켜야 하며, 이로 인해 작업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튜브의 이동 시 일시적인 정지 동작 없이 튜브를 이동시키는 튜브 이동장치 및 이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튜브를 이동시키는 슈터가 회전체와 함께 회전되면서 튜브를 이동시키는 튜브 이동장치 및 이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튜브의 이동장치는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튜브 성형장치로부터 공급된 튜브가 안착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체와 동일하게 회전되면서 상기 튜브를 상기 본체 쪽으로 밀어주는 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체는 상기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스프라킷, 상기 스프라킷과 상기 회전 본체 사이에 고정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튜브가 안착되도록 다수의 홈부가 형성된 회전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 본체에는 상기 튜브가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공기가 흡입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흡입구멍, 상기 흡입구멍에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슈터는 상기 회전체에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핀, 상기 고정핀에 고정되고 중공의 원판으로 형성된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일측이 고정되고 일정 길이를 갖는 에어 실린더, 상기 에어 실린더의 타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동일하게 형성된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 실린더는 공기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왕복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 실린더는 일정 길이를 갖는 실린더 본체, 상기 실린더 본체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실린더 로드, 상기 실린더 로드의 끝단에 고정되며 상기 튜브의 직경과 동일 또는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고무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 로드는 상기 회전체와 동일하게 회전되면서 상기 실린더 로드가 왕복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린더 로드는 하나 또는 2개가 동시에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튜브의 이동방법은 (a) 튜브 성형장치로부터 튜브를 공급받는 단계, (b) 상기 이동된 튜브가 회전체에 낙하되는 단계, (c) 상기 회전체에 낙하된 튜브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튜브 성형장치에서 성형된 튜브는 컨베이어를 따라 좌우 양측으로 나누어져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회전체에 낙하된 튜브는 홈부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흡입구멍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유동하지 않도록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튜브는 상기 회전체 일측에 고정되어 있는 에어 실린더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 실린더는 상기 회전체와 동일하게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 실린더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과 함께 상기 튜브를 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튜브의 이동장치 및 이동방법에 의하면, 회전체와 슈터가 동시에 회전되면서 튜브를 이동시키므로 튜브의 이동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튜브의 이동 시 2개의 튜브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이동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이동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이동장치의 컨베이어를 도시한 확대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이동장치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이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이동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이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이동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튜브의 이동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이동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이동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이동장치의 컨베이어를 도시한 확대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이동장치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는 튜브의 성형에서부터 캡을 씌우는 전체 공정에 따른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것으로, 튜브 성형장치(미도시)에서 성형된 튜브(미도시)가 건조되도록 건조장치(2)로 이동시키는 튜브 이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에는 도면상 좌측에 건조장치(2)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고, 우측에 튜브 이동장치의 회전체(30) 및 슈터(50)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에는 도면상 우측의 건조장치(2)와 함께 컨베이어(10)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컨베이어(10)를 일부 확대한 평면도로서, 도면상 컨베이어(10)의 아래쪽에는 튜브 성형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튜브 성형장치에서 성형된 튜브는 컨베이어(10)를 따라 이송된다.
이러한 컨베이어(10)는 벨트 컨베이어로서, 벨트가 이동되면서 튜브 성형장치(미도시)에서 성형된 튜브를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도 3의 도면상 상측에는 튜브를 낙하시키기 위한 낙하용 실린더(12)가 고정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하용 실린더(12)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된다. 이는 컨베이어(10)와 회전체(30)와의 높이가 높으므로, 튜브가 안정적으로 낙하되어 회전체(30)에 낙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낙하용 실린더(12)는 3개가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는데, 컨베이어(10) 선단에는 가장 높이 위치에 해당되는 상부 실린더(12a)가 고정되고, 상부 실린더의 일정 높이 아래에 중간 실린더(12b)가 고정되며, 중간 실린더의 일정 높이 아래에 하부 실린더(12c)가 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부 실린더, 중간 실린더, 하부 실린더에는 낙하되는 튜브를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튜브의 크기 보다 큰 크기의 플레이트(13)가 고정된다.
한편 컨베이어(10)의 상면 중앙에는 수직으로 분리판(11)이 고정되어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 튜브 이동장치는 본체(21)에 고정되는 것으로, 본체(21)는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본체(21)는 건조장치(2)의 체인(4) 및 스프라킷(3)를 지지(또는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이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이동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이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튜브 이동장치는 컨베이어(10)에서 공급되는 튜브를 건조장치(2)로 안정적으로 보내주는 것으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이동장치는 본체(21)에 고정되는 고정축(20), 상기 고정축(2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튜브 성형장치로부터 공급된 튜브가 안착되는 회전체(30), 상기 회전체(30)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체(30)와 동일하게 회전되면서 상기 튜브를 상기 본체(21) 쪽으로 밀어주는 슈터(50)를 포함한다.
고정축(20)은 본체(21)에 회전되지 않도록 본체(21)에 고정되며, 고정축(20)은 공기 흡입장치(미도시) 및 공기 공급장치(미도시)와 연결된 호스(미도시)가 삽입되도록 중공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공기 흡입장치는 고정축(20)의 중공을 통해 회전체(30)와 연결되고, 공기 공급장치와 연결된 2개의 호스는 에어 실린더(53)와 연결된다.
아울러 고정축(20)의 일측 끝단은 공기 흡입장치에 의해 공기가 흡입되지 않도록 밀폐되어 있다.
회전체(30)는 고정축(2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스프라킷(31), 스프라킷(31)에 고정되어 있는 회전축(32), 일정 직경과 길이를 가지는 회전 본체(33) 및 회전 본체(33) 외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홈부(34)를 포함한다.
스프라킷(31)은 고정축(2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스프라킷(31)에는 튜브를 건조장치(2)로 이송하기 위한 체인(4)이 감겨 있고, 체인에는 튜브의 길이 보다 긴 꽂이봉(36)이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스프라킷(31)은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되는 통상의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고정축(20)과 스프라킷(31) 사이에는 스프라킷(31)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베어링(미도시)이 결합되어 있고, 스프라킷(31)의 일면에는 고정축(20)의 직경 보다 큰 직경으로 된 중공 형상의 회전축(32)이 고정되어 있다.
회전축(32)의 일측은 스프라킷(31)에 고정되고, 타측은 회전체(30)의 일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회전축(32)은 중공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고정축(20)의 외측에 고정되어 스프라킷(31)과 동일하게 회전된다.
즉, 회전축(32)은 스프라킷(31)의 회전에 따라 회전 본체(33)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회전 본체(33)는 고정축(20)에 끼워지도록 중공으로 이루어져 있고, 회전 본체(33)의 외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홈부(34)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34)는 튜브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홈부(34)는 회전 본체(33)의 외면에 8개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34)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이들 홈부(34)는 튜브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들 홈부(34)에는 다수의 흡입구멍(35)이 형성되어 있다. 즉, 흡입구멍(35)은 홈부(34)의 외면에서부터 내측을 향해 다수 형성되고, 흡입구멍(35)은 공기 흡입장치(미도시)에 의해 회전 본체(33)의 외측으로부터 공기를 빨아들이게 된다.
이는 홈부(34)에 낙하된 튜브가 안정적으로 놓여지게 함은 물론 홈부(34)에 낙하된 튜브가 홈부(34)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홈부(34)에 형성된 흡입구멍(35)은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흡입구멍(35)은 공기 흡입장치(미도시)와 연결된 챔버(37)와 연통된다.
즉, 회전 본체(33)에는 8개의 홈부(34)가 형성되며, 이들 각각의 홈부(34)에는 흡입구멍(35)이 형성된다. 이들 홈부(34)의 흡입구멍(35)은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챔버(37)와 연통된다.
이를 위해 고정축(20)에는 고정축(20)의 중공과 챔버(37)와 연통되도록 다수의 흡입구멍(22)이 형성된다.
한편 회전체(30) 일면에는 일정 깊이의 고정홈부가 형성되고, 고정홈부에는 중공이 형성된 제1 고정 플레이트(38)가 끼워져 고정된다. 제1 고정 플레이트(38)에는 흡입구멍(35)과 챔버(37)가 연통되도록 중공의 외측에 원호 형상으로 된 관통구멍(39)이 형성된다. 즉, 관통구멍(39)은 흡입구멍(35)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챔버(37)로 유입되고, 챔버(37)로 유입된 공기는 고정축(20)의 흡입구멍(22)을 통해 고정축(20)의 중공으로 흡입된다.
또 제1 고정 플레이트(38)의 일면에는 중공이 형성된 제2 고정 플레이트(40)가 고정된다. 제2 고정 플레이트(40)의 일면에는 제1 고정 플레이트(38)와의 사이에 챔버(37)가 형성되도록 일정 깊이만큼 내측으로 연장되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아울러 제2 고정 플레이트(40)의 타면에는 탄성을 갖는 스프링(41)이 고정되며, 스프링(41)의 일측에는 제2 고정 플레이트(40)를 탄성적으로 가압되도록 고정축(20)에 고정 플레이트(42)가 고정된다.
따라서 스프링(41)은 제1 고정 플레이트(38) 및 제2 고정 플레이트(40)를 가압하여 회전 본체(33)에 밀착되게 한다. 한편 이들 회전 본체(33)와 제1 고정 플레이트(38)의 외면, 회전축(32)과 제2 고정 플레이트(40)의 외면에는 밀폐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밀폐부재는 홈부(34)의 흡입구멍(35)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흡입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마련된다.
또한 슈터(50)는 회전체(30)에 고정되는 고정핀(51), 고정핀(51)에 고정되며 중공의 원판으로 형성된 제1 플레이트(52), 제1 플레이트(52)에 일측이 고정되는 에어 실린더(53), 제1 플레이트(52)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에어 실린더(53)의 타측에 고정되는 제2 플레이트(57)를 포함한다.
고정핀(51)은 회전체(30)의 일면에 고정된다. 회전체(30)의 일면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다수의 고정핀(51)이 고정되고, 이들 고정핀(51)에는 중공의 원판으로 형성된 제1 플레이트(52)가 고정된다.
제1 플레이트(52)에는 회전체(30)의 홈부(34)와 각각 대응되는 에어 실린더(53)가 고정되며, 에어 실린더(53) 타측에는 제2 플레이트(57)가 고정된다. 이들 제1 플레이트(52) 및 제2 플레이트(57)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 플레이트(52)와 제2 플레이트(57) 사이에는 에어 실린더(53)가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또 에어 실린더(53)는 일정 길이를 갖는 실린더 본체(54)와 실린더 본체(54) 내부를 왕복 이동하는 실린더 로드(55)로 이루어지고, 실린더 본체(54) 내부에 공기 공급장치(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실린더 로드(55)가 왕복 이동된다. 이러한 실린더 로드(55)의 선단에는 회전체(30)의 홈부(34)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고무 마개(56)가 고정된다.
공기 공급장치에 연결된 호스(미도시)는 고정축(20)의 중공을 지나 고정축(20) 선단을 관통하게 된다. 즉, 고정축(20) 선단에는 고정축(20)의 중공을 밀폐시키면서 공기 공급장치의 호스가 고정되는 캡(58)이 고정된다.
캡(58)에는 실린더(53)의 전진과 후진이 이루어지도록 2개의 호스가 고정된다. 이들 호스는 공기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에어 실린더(53)에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에어 실린더(53)는 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선택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캡(58)에는 공기 공급장치와 연결된 호스가 고정됨은 물론 캡(58)과 에어 실린더(53)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 호스(58a)가 장착된다. 연결 호스(58a)는 각각의 에어 실린더(53)에 병렬로 연결된다.
이들 연결 호스는 에어 실린더(53)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연결되며, 실린더 로드(55)가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선택적으로 공기가 공급된다. 또한 실린더 로드(55)는 전진하면서 회전체(30)의 홈부(34)에 있는 튜브를 스프라킷(31)에 고정된 꽂이봉(36)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에 튜브는 체인의 꽂이봉(36)으로 이동된다.
한편 연결 호스(58a)는 회전체(30) 및 슈터(50)와 함께 회전된다. 이와 같은 연결 호스(58a)는 회전체(30)의 타면 즉, 슈터(50)와 인접하는 회전체(30)의 타면에는 회전체(30)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판(59)으로 연결되는데, 고정축(20)에는 회전판(59)과 밀착되는 고정판(60)이 고정된다.
회전판(59)에는 중심점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다수의 제1 연결구멍(61)이 형성된다. 이들 제1 연결구멍(61)은 각각의 에어 실린더(53)와 대응되게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회전판(59)에는 중심점으로부터 제1 연결구멍(61) 보다 먼 위치에 제2 연결구멍(62)이 형성된다. 이들 제2 연결구멍(62) 또한 제1 연결구멍(61)과 같이 각각의 에어 실린더(53)와 대응되게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제1 연결구멍(61)은 에어 실린더(53)의 실린더 로드(55)가 전진하도록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고, 제2 연결구멍(62)은 에어 실린더(53)의 실린더 로드(55)가 후진되도록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다.
아울러 고정판(60)에는 제1 연결구멍(61)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 원호구멍(63)이 형성되고, 제2 연결구멍(62)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원호구멍(64)이 형성된다. 이들 제1 원호구멍(63)과 제2 원호구멍(64)은 일정 각도를 갖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원호구멍(63)에는 캡(58)과 연결된 연결 호스(58a)에 고정된 제1 니플(65)이 다수개 체결된다. 또 제2 원호구멍(64)에도 연결 호스(58a)에 고정된 제1 니플(65)이 체결된다. 이들 제1 원호구멍(63)과 제2 원호구멍(64)에 체결되는 제1 니플(65)은 동일한 것이므로, 동일한 명칭과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회전판(59)의 제1 연결구멍(61)과 제2 연결구멍(62)에는 에어 실린더(53)와 연결되는 연결호스(58a)에 고정된 제2 니플(66)이 체결된다.
이와 같은 고정판(60)에는 캡(58)을 통과한 공기가 각각 제1 원호구멍(63) 및 제2 원호구멍(64)으로 공급되고, 고정판(60)과 밀착된 회전판(59)은 회전체(30)와 함께 회전되면서 제1 원호구멍(63)과 제1 연결구멍(61)이 일치됨에 따라 에어 실린더(53)에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또한 제2 원호구멍(64)과 제2 연결구멍(62)이 일치됨에 따라 에어 실린더(53)에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즉, 제1 원호구멍(63)과 제1 연결구멍(61)이 일치되면, 에어 실린더(53)의 실린더 로드(55)가 전진(실린더 본체(54)에서 홈부(34)를 향해 이동)하도록 공기가 공급되며, 제2 원호구멍(64)과 제2 연결구멍(62)이 일치되면, 에어 실린더(53)의 실린더 로드(55)가 후진(홈부(34)에서 실린더 본체(54)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한편 에어 실린더(53)의 양측에는 각각 포트(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포트는 실린더 로드(55)의 이동 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는 것으로, 에어 실린더(53)의 통상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튜브의 이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튜브 이동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튜브의 이동장치는 튜브 성형장치에서 성형된 튜브를 건조장치(2)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튜브 성형장치에 대해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며, 건조장치(2)의 본체(21)에는 다수의 스프라킷(3)이 고정되어 있으며, 스프리킷(3)에는 체인(4)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튜브 성형장치와 튜브 이동장치 사이에는 튜브를 이송하는 컨베이어(10)를 고정한다. 이러한 컨베이어(10)는 통상의 벨트 컨베이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베이어(1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중간 위치에 분리판(11)을 고정한다. 이는 튜브 성형장치에서 이송되는 튜브를 분리판(11)의 좌우 양측으로 나누어 2개의 튜브가 공급되게 한다. 아울러 컨베이어(10)의 선단에는 낙하용 실린더(12)를 고정한다.
낙하용 실린더(12)는 컨베이어(10)로부터 회전체(30)까지의 높이가 높으므로, 튜브가 안정적으로 낙하되도록 순차적으로 작동된다. 즉, 컨베이어(10) 하측에는 상부 실린더(12a)를 고정하고, 상부 실린더(12a)의 아래에는 중간 실린더(12b)를 고정하며, 중간 실린더(12c)의 아래에는 하부 실린더(12c)를 고정한다.
이들 상부 실린더(12a), 중간 실린더(13b) 및 하부 실린더(12c)에는 각각 튜브의 길이 및 폭 보다 큰 플레이트(13)를 고정한다.
이와 같이 튜브 성형장치에서 성형된 튜브는 컨베이어(10)를 따라 회전체(30)로 공급된다(S10).
한편 컨베이어(10)의 끝단으로 이동된 튜브는 전진되어 있는 상부 실린더(12a)의 플레이트(13)로 떨어지게 되고, 상부 실린더(12a)가 후퇴됨과 함께 중간 실린더(12b)가 전진하게 된다. 이에 튜브는 상부 실린더(12a)에서 중간 실린더(12b)의 플레이트(13)로 떨어지게 된다.
또한 중간 실린더(12b)에 있는 튜브는 중간 실린더(12b)가 후퇴됨과 함께 하부 실린더(12)가 전진하게 된다. 이에 튜브는 중간 실린더(12b)의 플레이트(13)에서 하부 실린더(12c)의 플레이트(13)로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하부 실린더(12c)에 있는 튜브는 하부 실린더(12c)가 후퇴됨에 따라 회전체(30)의 홈부(34)로 떨어지게 된다.
또한 본체(11)에는 중공의 고정축(20)을 고정한다. 고정축(20)은 본체(1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회전체(30)의 회전 시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축(20)에는 회전체(30)의 흡입구멍(35)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흡입구멍(22)을 형성한다. 고정축(20)의 흡입구멍(22)은 90°로 등분할된 다수개로 형성된다.
고정축(20)에는 컨베이어(10)에서 이송된 튜브를 회전시키는 회전체(30) 및 튜브를 체인(4)에 고정된 꽂이봉(36)으로 밀어주는 슈터(50)를 고정한다.
회전체(30)의 스프라킷(3)은 고정축(20)의 외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한다. 고정축(20)에 고정된 스프라킷(31)은 건조장치(2)의 스프라킷(3)들과 하나의 체인으로 연결한다. 즉, 건조장치(2)의 스프라킷(3) 및 고정축(20)의 스프라킷(31)은 하나의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된다.
따라서 고정축(20)에 고정된 스프라킷(31)은 건조장치(2)의 체인 이동에 따라 일체로 회전된다.
스프라킷(31)의 일면에는 고정축(20)이 끼워지는 중공의 회전축(32)을 고정한다. 아울러 회전축(32)의 타면에는 회전 본체(33)를 고정한다. 이에 따라 회전축(32) 및 회전 본체(33)는 스프라킷(31)의 회전으로 동일하게 회전된다.
한편 회전 본체(33)에는 외면에 동일한 간격으로 다수의 홈부(34)를 형성한다. 이러한 홈부(34)에는 컨베이어(10)에서 이송된 튜브가 낙하된다(S20).
또 홈부(34)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흡입구멍(35)을 형성한다. 공기 흡입장치(미도시)는 홈부(34)의 흡입구멍(35)을 통해 홈부(34) 외측의 공기를 빨아들이게 된다.
이에 따라 홈부(34)로 떨어진 튜브는 흡입구멍(35)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홈부(34)에 안정적으로 안착된다.
흡입구멍(35)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고정축(20)의 중공을 통해 공기 흡입장치로 유입된다. 이때 각각의 홈부(34)에는 다수의 흡입구멍(35)을 형성한다. 이러한 흡입구멍(35)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챔버(37)로 이동된다.
챔버(37)는 제1 고정 플레이트(38) 및 제2 고정 플레이트(40)에 의해 형성된다. 회전 본체(33)의 일면에는 제1 고정 플레이트(38)를 고정하고, 제1 고정 플레이트(38)의 일면에는 제2 고정 플레이트(40)를 고정한다. 즉, 이들 제1 고정 플레이트(38) 및 제2 고정플레이트(40)는 회전 본체(33)와 회전축(32)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들 제1 고정 플레이트(38) 및 제2 고정 플레이트(40)는 고정축(20)의 외면에 끼워지도록 중공으로 형성된다. 또 제1 고정 플레이트(38)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원호 형상으로 된 관통구멍(39)을 형성한다.
또 제2 고정 플레이트(40)에는 제1 고정 플레이트(38)와 마주보는 일면에 챔버(37)가 형성되도록 내측으로 공간부를 형성한다.
이들 제1 고정 플레이트(38) 및 제2 고정 플레이트(40)는 고정축(20)에 고정되어 회전되지 않으며, 흡입구멍(35), 제1 고정 플레이트(38)의 관통구멍(39) 및 챔버(37)는 고정축(20)의 중공은 공기를 흡입하는 하나의 유로를 형성한다.
즉, 홈부(34)의 흡입구멍(35)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1 고정 플레이트(38)의 관통구멍(39)을 통해 챔버(37)로 유입되고, 챔버(37)로 유입된 공기는 고정축(20)의 흡입구멍(22)을 통해 고정축(20)의 중공으로 유입되며, 중공으로 유입된 공기는 공기 흡입장치로 유입된다.
스프링(41)의 일면은 제2 고정 플레이트(40)를 회전 본체(33) 쪽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고정하며, 스프링(41)의 타측에는 고정축(20)에 고정되어 스프링(41)을 지지하는 고정 플레이트(42)를 고정한다.
이에 따라 스프링(41)은 제2 고정 플레이트(40) 및 제1 고정 플레이트(38)를 회전 본체(33) 쪽으로 가압하게 된다.
한편 회전 본체(33) 일측에는 슈터(50)를 고정한다. 이러한 슈터(50)는 회전체(30)와 함께 동일하게 회전된다. 즉, 회전 본체(33)에는 고정핀(51)을 고정하고, 고정핀(51) 타측에는 제1 플레이트(52)를 고정한다. 제1 플레이트(52)에는 홈부(34)와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 길이를 갖는 에어 실린더(53)를 고정한다.
에어 실린더(53)는 회전 본체(33)의 홈부(34)와 각각 대응되게 고정한다. 홈부(34)에 안착된 튜브는 에어 실린더(53)에 의해 체인에 고정되어 있는 꽂이봉(36)으로 이동된다(S30).
에어 실린더(53)의 타측에는 제1 플레이트(52)와 동일한 제2 플레이트(57)를 고정한다. 또 에어 실린더(53)는 실린더 본체(54) 내부에 공기 공급장치에 의해 전진과 후진 동작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실린더 로드(55)를 결합하며, 실린더 로드(55) 끝단에는 튜브와 동일 또는 큰 직경의 고무 마개(56)를 고정한다.
이러한 에어 실린더(53)에는 공기 공급장치(미도시)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작동되는데, 에어 실린더(53) 양측에는 각각 포트(미도시)가 설치된다. 이러한 포트는 에어 실린더(53)의 작동 시 실린더 로드(55)의 이동되는 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한편 고정축(20)의 끝단에는 캡(58)을 고정한다. 캡(58)에는 공기 공급장치와 연결되는 2개의 호스가 고정되도록 2개의 구멍을 형성한다. 또 캡(53)은 고정축(20)의 중공을 밀폐시킨다. 캡(58)의 구멍에는 공기 공급장치와 연결된 호스(미도시)를 끼워 고정한다.
캡(58)을 관통한 호스는 고정축(20)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판(60)에 제1 니플(65)로 연결 고정한다. 고정판(60)은 원판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고정판(60)의 상측에는 제1 원호구멍(63)을 형성하고, 고정판(60)의 하측에는 제2 원호구멍(64)을 형성한다.
제1 원호구멍(63)은 제2 원호구멍(64)에 비해 중심점에 보다 근접한 위치에 형성한다. 즉, 제2 원호구멍(64)은 제1 원호구멍(63) 보다 먼 위치에 형성한다. 이는 제1 원호구멍(63)은 에어 실린더(53)의 실린더 로드(55)가 전진(회전 본체(33)의 홈부(34)를 향해 이동)되도록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원호구멍(64)은 에어 실린더(53)의 실린더 로드(55)가 후진(회전 본체(33)의 홈부(34)로부터 실린더 본체(54)로 복귀)되도록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에어 실린더(53)는 제1 원호구멍(63)의 위치로 회전되면, 실린더 로드(55)가 전진하면서 튜브를 꽂이봉(36)으로 밀어 이동되게 한다. 또 에어 실린더(53)는 제2 원호구멍(64)의 위치로 회전되면, 실린더 로드(55)가 후진되어 실린더 본체(54) 내부로 복귀하게 된다.
회전 본체(33)에는 고정판(60)과 밀착된 회전판(59)을 고정한다. 이에 회전판(59)은 회전 본체(33)와 함께 동일하게 회전된다. 이러한 회전판(59)에는 제1 원호구멍(63)에 대응되는 제1 연결구멍(61)을 형성하고, 제2 원호구멍(64)에 대응되는 제2 연결구멍(62)을 형성한다.
이들 제1 연결구멍(61) 및 제2 연결구멍(62)에는 에어 실린더(53)로 공기를 공급하는 연결 호스(미도시)가 제2 니플(66)에 의해 체결된다.
연결 호스는 에어 실린더(53)에 연결되며, 다수의 에어 실린더(53)에는 연결 호스가 병렬로 연결된다.
따라서 에어 실린더(53)는 회전체(30)와 함께 회전되며, 이때 고정판(60)은 고정축(20)에 고정되어 있고, 회전판(59)이 회전체(30)와 함께 회전된다. 이에 따라 에어 실린더(53)는 제1 원호구멍(63) 위치로 회전됨에 따라 회전 본체(33)의 홈부(34)에 놓여진 튜브를 밀어 주게 된다.
이때 에어 실린더(53)는 2개의 실린더 로드(55)가 동시에 전진하게 된다. 한편 필요에 따라 에어 실린더(53)는 하나의 튜브가 이동되도록 하나의 실린더 로드(55)가 전진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컨베이어 20: 고정축
30: 회전체
31: 스프라킷 32: 회전축
33: 회전 본체 34: 홈부
35: 흡입구멍 36: 꽂이봉
37: 챔버 38: 제1 고정 플레이트
39: 관통구멍 40: 제2 고정 플레이트
41: 스프링 42: 고정 플레이트
50: 슈터 51: 고정핀
52: 제1 플레이트 53: 에어 실리더
54: 실린더 본체 55: 실린더 로드
56: 고무 마개 57: 제2 플레이트
58: 캡 59: 회전판
60: 고정판

Claims (14)

  1.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튜브 성형장치로부터 공급된 튜브가 안착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체와 동일하게 회전되면서 상기 튜브를 상기 본체 쪽으로 밀어주는 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의 이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스프라킷,
    상기 스프라킷과 상기 회전 본체 사이에 고정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튜브가 안착되도록 다수의 홈부가 형성된 회전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의 이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본체에는 상기 튜브가 안정되게 안착되도록 공기가 흡입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흡입구멍,
    상기 흡입구멍에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의 이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터는 상기 회전체에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핀,
    상기 고정핀에 고정되고 중공의 원판으로 형성된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에 일측이 고정되고 일정 길이를 갖는 에어 실린더,
    상기 에어 실린더의 타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동일하게 형성된 제2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의 이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실린더는 공기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왕복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의 이동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실린더는 일정 길이를 갖는 실린더 본체,
    상기 실린더 본체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실린더 로드,
    상기 실린더 로드의 끝단에 고정되며 상기 튜브의 직경과 동일 또는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고무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의 이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로드는 상기 회전체와 동일하게 회전되면서 상기 실린더 로드가 왕복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의 이동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로드는 하나 또는 2개가 동시에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의 이동장치.
  9. (a) 튜브 성형장치로부터 튜브를 공급받는 단계,
    (b) 상기 이동된 튜브가 회전체에 낙하되는 단계,
    (c) 상기 회전체에 낙하된 튜브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의 이동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튜브 성형장치에서 성형된 튜브는 컨베이어를 따라 좌우 양측으로 나누어져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의 이동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회전체에 낙하된 튜브는 홈부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흡입구멍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에 의해 유동하지 않도록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의 이동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튜브는 상기 회전체 일측에 고정되어 있는 에어 실린더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의 이동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실린더는 상기 회전체와 동일하게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의 이동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실린더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과 함께 상기 튜브를 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의 이동방법.
KR1020130093139A 2013-08-06 2013-08-06 튜브의 이동장치 및 이동방법 KR101505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139A KR101505043B1 (ko) 2013-08-06 2013-08-06 튜브의 이동장치 및 이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3139A KR101505043B1 (ko) 2013-08-06 2013-08-06 튜브의 이동장치 및 이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174A true KR20150017174A (ko) 2015-02-16
KR101505043B1 KR101505043B1 (ko) 2015-03-24

Family

ID=53045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3139A KR101505043B1 (ko) 2013-08-06 2013-08-06 튜브의 이동장치 및 이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50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3488A (ko) 2021-03-25 2022-10-05 주식회사 아이팩 튜브의 정렬 포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2811A (ko) * 2010-07-01 2012-01-09 주식회사 서일 스트로 수집장치
KR101184373B1 (ko) * 2010-09-09 2012-09-20 주식회사 한마음테크 페트병 이송 적층용 로봇의 핸들링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3488A (ko) 2021-03-25 2022-10-05 주식회사 아이팩 튜브의 정렬 포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5043B1 (ko) 2015-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6656B2 (en) Electronic cigarette atomizer oiling and labeling device
NL2012831B1 (en) Filling device.
CA2512017C (en) Star-shaped conveyor with vacuum elements for transferring containers
US20090205748A1 (en) Machine for filling containers with at least one product
CN111892003B (zh) 一种化妆品生产用灌装装置
CN103551846B (zh) 奶瓶装配设备
JP4608702B2 (ja) 扁平な物品の二つ折り加工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505043B1 (ko) 튜브의 이동장치 및 이동방법
CN104192366A (zh) 塑料包装软管夹持定位装置
CN104760727B (zh) 槟榔包装袋开袋设备
CN109940277B (zh) 一种瓶盖双面镭射打标设备
US2652963A (en) Automatic bottle sealing
CN112744415A (zh) 高速全自动自立袋包装机
US3453804A (en) Stoppering mechanism
JP5621384B2 (ja) 袋状容器の処理装置
KR101480979B1 (ko) 포장기의 포대 이송장치
JP5321053B2 (ja) 缶製造装置及び缶の製造方法
JP6215785B2 (ja) ワーク搬送システム
CN209835577U (zh) 压盖旋盖一体机挡瓶装置
CN203794093U (zh) 药瓶入托设备
KR20160069174A (ko) 화장품 용기용 오링 조립유닛과 이를 갖는 화장품 용기 조립장치
CN203391461U (zh) 曲面印刷机的承印工件夹送装置
JP5621385B2 (ja) 袋状容器の供給装置
JP5832835B2 (ja) ピストン式計量装置
CN216709676U (zh) 一种快速适应不同规格袋嘴的自立袋包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