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6547A - 콘텐츠 전송 시스템, 콘텐츠 전송 장치 및 콘텐츠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전송 시스템, 콘텐츠 전송 장치 및 콘텐츠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6547A
KR20150016547A KR1020147034132A KR20147034132A KR20150016547A KR 20150016547 A KR20150016547 A KR 20150016547A KR 1020147034132 A KR1020147034132 A KR 1020147034132A KR 20147034132 A KR20147034132 A KR 20147034132A KR 20150016547 A KR20150016547 A KR 20150016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put
server
terminal
in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4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4694B1 (ko
Inventor
야스유키 간도리
다카오 나카마
가즈유키 이이지마
다로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지-클러스터 글로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클러스터 글로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지-클러스터 글로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6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18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cable transmission, e.g. using a cable mod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3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5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7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5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8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5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87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telephone network, e.g. PO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서버(101)는, 클라이언트의 표시 단말(102)에 광대역인 네트워크(104)를 통하여 콘텐츠(101)를 전송한다.
클라이언트는, 서버(101)로부터 전송된 콘텐츠(101)를 표시하는 표시 단말(102)과, 콘텐츠(110)의 전송을 제어하는 입력 정보를 서버(101)에 출력하는 입력 단말(103)로 이루어진다. 입력 단말(103)은, 표시 단말(102)을 통하지 않고, 직접 서버(101)와의 사이의 휴대망(105)을 통하여 접속된다.

Description

콘텐츠 전송 시스템, 콘텐츠 전송 장치 및 콘텐츠 전송 방법{CONTENT DELIVERY SYSTEM, CONTENT DELIVERY DEVICE, AND CONTENT DELIVERY METHOD}
본 발명은,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에 콘텐츠를 전송하는 콘텐츠 전송 시스템, 콘텐츠 전송 장치 및 콘텐츠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콘텐츠를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의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에 의해 콘텐츠를 구입함으로써,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에 콘텐츠를 전송하는 기술이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 참조.). 이 기술에 의하면, 영상 콘텐츠나 게임 등의 인터랙티브 콘텐츠의 구입에 관련된 수속을 간소화할 수 있고, 콘텐츠의 부정 이용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에 접속된 전용의 입력 디바이스의 조작에 의해, 구입한 콘텐츠가 제공하는 영상 및 음성을 유저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를 서버가 유지하고, 서버에 브로드밴드 등의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하여 클라이언트가 접속된 구성으로 하고, 클라이언트에 접속된 전용의 입력 디바이스의 조작에 의해, 콘텐츠의 데이터를 차차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에 송신하는 클라우드형의 콘텐츠 전송 방법이 있다. 이 기술에 의하면, 콘텐츠(예를 들면, 게임 등의 콘텐츠)의 전송 및 실행 조작을 클라이언트의 성능에 의존하지 않고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콘텐츠를 서버가 유지하고, 서버에 브로드밴드 등의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하여 클라이언트가 접속된 구성은 동일하나,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범용의 입력 디바이스를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 있다. 이것에 의해, 휴대전화나 스마트폰 등을 조작하여 콘텐츠의 전송 및 실행 조작을 보다 다양화할 수 있게 된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6-011632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어느 기술에 있어서도, 콘텐츠가 전송되는 특정한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입력 디바이스를 접속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입력 디바이스는, 이 클라이언트가 갖는 기능의 제약을 받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범용의 입력 디바이스를 접속 가능하게 한 클라이언트여도, 이 클라이언트측은 다양한 입력 디바이스로부터의 입력에 맞춰 용이하게 입력 기능을 확장하거나 전환하거나 할 수 없다. 또한, 클라이언트와 입력 디바이스가 동일한 장소에 없어서는 안 된다는 제약이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는, 입력 디바이스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중계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와의 사이에서 통신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유저가 입력 디바이스를 조작하고 나서 클라이언트가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서버에 송신하는 처리가, 클라이언트의 성능이나 방식에 의존한다. 이 때문에, 입력 신호를 송신하는데 시간이 걸리고, 클라이언트에 표시 등 할 때까지의 응답 시간에 소정의 지연이 생겼다. 특히, 게임 등의 리얼타임 통신의 콘텐츠에서는, 클라이언트의 데이터 처리의 지연에 따라, 콘텐츠의 실행 동작(조작 반응)이 느리면, 유저에 대하여 처리 지연에 따른 실행 대기를 시켜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클라이언트의 성능의 제약을 받지 않고 콘텐츠의 전송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고, 다양한 입력 기능에 대응할 수 있는 콘텐츠 전송 시스템, 콘텐츠 전송 장치 및 콘텐츠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콘텐츠 전송 시스템은,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에 콘텐츠를 전송하는 콘텐츠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서버로부터 송신된 콘텐츠를 표시하는 표시 단말과, 상기 콘텐츠의 전송을 제어하는 입력 정보를 상기 서버에 출력하는 입력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단말은, 상기 표시 단말을 통하지 않고, 직접 상기 서버와의 사이의 통신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콘텐츠를 제 1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표시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입력 단말은, 상기 제 1 네트워크와는 다른 제 2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네트워크는 광대역 네트워크이고, 상기 입력 단말은, 범용의 통신 기능, 입력 기능 및 표시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이며, 상기 제 2 네트워크는, 상기 휴대 단말이 통신 가능한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표시 단말로 전송하는 하나의 상기 콘텐츠에 대하여, 복수의 입력 단말의 동시 접속을 허가하고, 각 입력 단말의 입력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콘텐츠의 전송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텐츠는, 인터랙티브 콘텐츠이며, 상기 서버는, 상기 입력 단말의 입력 정보에 의거하여, 전송 내용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 단말은, 상기 입력 정보로서 연속값을 취득·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 단말은, 상기 입력 정보로서 바이너리 데이터를 취득·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콘텐츠 전송 장치는, 전송된 콘텐츠를 표시하는 표시 단말과, 상기 콘텐츠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정보를 출력하는 입력 단말로 이루어지는 클라이언트에 콘텐츠를 전송하는 콘텐츠 전송 장치로서, 상기 입력 단말이 출력하는 상기 입력 정보를, 상기 표시 단말을 통하지 않고, 직접 상기 입력 단말과의 사이의 통신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콘텐츠 전송 방법은, 전송된 콘텐츠를 표시하는 표시 단말과, 상기 콘텐츠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정보를 출력하는 입력 단말로 이루어지는 클라이언트에 콘텐츠를 전송하는 서버를 갖는 콘텐츠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의 콘텐츠 전송 방법으로서, 상기 서버는, 상기 표시 단말을 통하지 않고, 직접 상기 서버와의 사이의 통신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상기 입력 단말로부터 상기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 단말에 대한 상기 콘텐츠의 전송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클라이언트의 성능의 제약을 받지 않고 콘텐츠의 전송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입력 기능에 대응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콘텐츠 전송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시스템의 각 기능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콘텐츠 전송에 관련된 시스템 내에서의 전체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세션 저장부에 저장되는 세션 정보의 상태 천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 발명에 관련된 콘텐츠 전송 시스템, 콘텐츠 전송 장치 및 콘텐츠 전송 방법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콘텐츠 전송 시스템의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콘텐츠 전송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콘텐츠 전송 시스템(100)은, 콘텐츠의 전송원의 서버(101)와, 유저(클라이언트)에게 설치되는 표시 단말(102) 및 입력 단말(103)에 의해 구성된다. 서버(101)와 표시 단말(102)의 사이는, 브로드밴드(광대역)인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104)에 의해 통신 접속되어 있다.
또한, 입력 단말(103)은, 표시 단말(102)을 통하지 않고 서버(101)와의 사이가 통신 접속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서버(101)와 입력 단말(103)의 사이는, 네트워크(104) 이외의 입력 단말(103)이 통신 가능한 다른 통신망으로서 휴대 망(105)을 통하여 통신 접속되어 있다. 또한, 서버(101)와 입력 단말(103)의 사이에 대해서도, 네트워크(104)를 통하여 접속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서버(101)는, 표시 단말(102)의 유저에 제공하는 콘텐츠(110)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수신 처리부(111)는, 유저에 의한 입력 단말(103)의 조작에 대응하여 휴대망(105)을 통하여 수신된 콘텐츠 전송에 대한 입력 조작의 정보(콘텐츠(110)의 전송 요구 등)를 수신 처리한다.
표시 단말(102)은, 서버(101)로부터 송신되는 콘텐츠(110)를 표시 처리부(121)를 통하여 표시부(122)에 표시하고,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로부터 음성 출력한다. 이 표시 단말(102)은, TV나 PC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입력 단말(103)은, 표시 단말(102)에 대한 콘텐츠(110)의 전송에 관련된 유저 조작을 접수하는 입력 처리부(131)와, 조작 화면 등을 표시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132) 등을 가지고 있다. 이 입력 단말(103)은, 휴대전화, 스마트폰, PDA 등의 범용 단말을 이용할 수 있다. 유저 조작에 의해, 입력 처리부(131)는, 조작 정보를 휴대망(105)을 통하여 서버(101)의 수신 처리부(111)에 송신한다.
이 입력 단말(103)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을 이용하고, 이 스마트폰에 콘텐츠 전송 조작용의 프로그램을 인스톨함으로써, 표시 단말(102)에 대한 콘텐츠(110)의 전송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해, 범용 단말을 이용하고, 콘텐츠 전송 조작용의 프로그램의 인스톨 혹은 변경 등에 의해, 콘텐츠의 전송에 관련된 조작 기능을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다.
도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콘텐츠가 송신되는 1대의 표시 단말(102)에 대하여, 복수대의 입력 단말(103)을 조작하여 콘텐츠의 전송을 각각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임 등을 다수의 유저에 의해 동시에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 콘텐츠에 대한 전송처의 표시 단말(102)의 정보 및 동시 조작을 허용하는 복수의 입력 단말(103)에 관련된 정보는, 입력 단말(103)의 콘텐츠 전송 조작용의 애플리케이션, 혹은 입력 단말(103)의 조작에 의한 사전 등록 등에 의해, 서버(101)가 관련되어 유지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표시 단말(102)에 대한 콘텐츠의 전송과, 입력 단말(103)에 의한 콘텐츠의 전송을 조작하는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콘텐츠의 표시 및 전송 조작을 1대의 입력 단말(103a)에 의해 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입력 단말(103a)은, 상기 입력 단말(103)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입력 단말(103a)은,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도시한 예에서는 휴대망(105))를 통하여 서버(101)로부터 입력 단말(103a)에 대하여 콘텐츠가 송신되고, 입력 단말(103a)로부터 서버(101)에 대하여 전송의 조작을 행한다. 이 입력 단말(103a)을 이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콘텐츠의 전송이 허가된 유저는, 표시 단말(102)이 설치된 집 외에 있어서 콘텐츠의 입력 조작을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시스템의 각 기능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서버(101)는, 상기의 수신 처리부(111)와, 콘텐츠(110)를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부(201)와, 세션 저장부(202)와, 전송부(203)와, 콘텐츠 정보 송신부(204)와, 콘텐츠 메타데이터(205)를 포함한다. 콘텐츠(110)는, 영상 등의 스트리밍용의 데이터, 게임 등의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수신 처리부(111)는, 입력 단말(103)로부터의 조작 정보(예를 들면, 후술하는 토큰)의 수신에 의거하여, 세션 저장부(202)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고, 해당하는 유저에 대한 콘텐츠(110)의 송출을 요구한다. 세션 저장부(202)는, 콘텐츠 전송처인 입력 단말(103) 및 유저의 정보를 저장한다. 전송부(203)는, 콘텐츠의 송신시에 세션 저장부(202)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고, 해당하는 유저의 표시 단말(102)을 인증 후, 이 표시 단말(102)에 대한 콘텐츠의 전송을 제어한다.
콘텐츠 메타데이터(205)는, 콘텐츠에 관한 정보이다. 콘텐츠 정보 송신부(204)는, 입력 단말(103)로부터의 콘텐츠 전송에 관련된 조작 정보의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 단말(103)에 대해, 콘텐츠의 정보를 송신한다.
(콘텐츠 전송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
도 3은,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있어서, 서버(101)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301)와, ROM(Read-Only Memory)(302)과, RAM(Random Access Memory)(303)과, 자기디스크 드라이브(304)와, 자기디스크(305)와, 광디스크 드라이브(306)와, 광디스크(307)와, 디스플레이(308)와, I/F(Interface)(309)와, 키보드(310)와, 마우스(311)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각 구성부는 버스(300)에 의해 각각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CPU(301)는, 서버(101)의 콘텐츠 전송에 관련된 전체의 제어를 담당한다. ROM(302)은, 부팅 프로그램 등의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RAM(303)은, CPU(301)의 워크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자기디스크 드라이브(304)는, CPU(301)의 제어에 따라 자기디스크(305)에 대한 데이터의 읽기/쓰기를 제어한다. 자기디스크(305)는, 자기디스크 드라이브(304)의 제어에서 기록된 데이터를 기억한다.
광디스크 드라이브(306)는, CPU(301)의 제어에 따라 광디스크(307)에 대한 데이터의 읽기/쓰기를 제어한다. 광디스크(307)는, 광디스크 드라이브(306)의 제어에서 기록된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광디스크(307)에 기억된 데이터를 컴퓨터에 의해 판독하게 하거나 한다.
디스플레이(308)는, 커서, 아이콘 혹은 툴박스를 비롯하여, 문서, 화상, 기능 정보 등의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 디스플레이(308)는, 예를 들면, CRT, LCD 등을 채용할 수 있다.
I/F(309)는, 통신 회선을 통하여 네트워크(104)에 접속되고, 네트워크(104)를 통하여 다른 장치에 접속된다. 그리고, I/F(309)는, 네트워크(104)와 내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고, 다른 장치로부터의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I/F(309)에는, 예를 들면, 모뎀이나 LAN 어댑터 등을 채용할 수 있다.
키보드(310)는, 문자, 숫자, 각종 지시 등의 입력을 위한 키를 구비하고, 데이터의 입력을 행한다. 또한, 터치 패널식의 입력 패드나 텐키(ten key) 등이어도 된다. 마우스(311)는, 커서의 이동이나 범위 선택, 혹은 윈도우의 이동이나 사이즈의 변경 등을 행한다. 포인팅 디바이스로서 동일하게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면, 트랙 볼이나 조이스틱 등이어도 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클라이언트측의 표시 단말(102) 및 입력 단말(103)은, 상술한 서버(101)와 동일한 하드웨어 구성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콘텐츠 저장부(201)는, RAM(303), 자기디스크(305), 광디스크(307) 등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서버(101)는, 상술한 구성부 중, 예를 들면, 광디스크 드라이브(306), 광디스크(307), 디스플레이(308), 키보드(310), 마우스(311) 등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해도 된다.
입력 단말(103)은, 범용의 통신 기능, 센서 기능, 표시 기능, 입력 조작 기능을 갖는 휴대전화나 스마트폰, PDA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콘텐츠 전송의 입력 조작을 CPU 상에서 소프트웨어가 실행하는 구성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입력 조작은, 유저의 손조작에 한정하지 않고, 음성 입력, 센서의 기울기 검출에 의거하는 방향 입력 등 입력 단말(103)이 구비하는 기능을 콘텐츠 전송의 제어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콘텐츠 전송에 관련된 시스템 내에서의 전체의 처리 순서에 대하여)
도 4는, 콘텐츠 전송에 관련된 시스템 내에서의 전체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각 구성부에 처리 순서를 기재하고 있다. 도 4에는, 전체 제어를 통괄하는 제어부(도 3의 CPU(301) 상당)의 구성을 기재하고 있지 않으나, 이하에 설명하는 각 순서는, 이 제어부가 각 구성부에 대하여 처리를 지시한다. 또한, 각 처리마다의 순서는 괄호()의 표기로 기재하고 있다.
시스템 전체의 처리 순서는, 1. 사전 등록, 2. 전송의 개시, 3. 입력 단말의 접속, 4. 입력 조작, 5. 입력 단말의 절단, 6. 전송의 종료의 순서로 실행된다. 이하, 전체의 처리 순서에 대하여 차례대로 설명한다.
1. 사전 등록
세션 저장부(202)는, 입력 단말(103)의 단말 ID와, 유저 ID의 대응 관계를 유지해둔다(순서 1-1). 단말 ID는, 입력 단말(103)의 출하시 혹은 첫회 액세스시에 발행되고, 유저 로그인시에, 유저 등록시에 발행된 유저 ID와 입력 단말(103)의 ID와의 대응 관계가 유지된다. 구체적으로 유저 ID는 물리적인 사람에 대하여 지급되는 경우도 있으면, 전송 서비스의 사용권이 있는 계약마다 지급된 세대/가족에 대한 ID의 경우도 있다.
2. 전송의 개시
표시 단말(102)을 콘텐츠 전송 접속을 위해 기동하면(순서 2-1), 이 표시 단말(102)의 단말 정보가 서버(101)에 송신된다(순서 2-2). 서버(101)에서는, 표시 단말(102)의 인증을 행하고(순서 2-3), 콘텐츠(프로그램)(110)가 기동되며(순서 2-4), 전송부(203)를 통하여, 클라이언트측의 표시 단말(102)의 표시부(122)와의 사이가 접속된다. 이 대응 관계를 세션이라고 부르고, 접속을 식별하기 위한 하나의 ID가 발행된다.
서버(101)에 표시 단말(102)이 접속되어 있는 기간은, 이들 표시 단말(102), 입력 단말(103)에 대한 유저·세션의 관계가 세션 저장부(202)에 유지된다(순서 2-5). 그리고, 전송부(203)는, 콘텐츠(110)를 표시 단말(102)로 송신 개시한다(순서 2-6, 2-7). 표시 단말(102)은, 전송 개시된 콘텐츠를 표시 개시한다(순서 2-8).
서버(101)에 설치되는 전송부(203)는, 콘텐츠(프로그램)(110)가 출력하는 영상 및 음성의 인코드를 행한다. 표시 단말(102)에 설치되는 표시부(122)는, 서버(101)로부터 송신된 영상 및 음성 정보를 디코드하고, 모니터 출력한다.
3. 입력 단말의 접속
다음에, 송신되는 게임 등의 콘텐츠(110)를 입력 단말(103)에 의해 인터랙티브하게 조작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저가 입력 단말(103)을 기동시키면(순서 3-1), 입력 단말(103)의 콘텐츠 전송용의 애플리케이션은, 유저 조작에 의한 유저 ID의 인증을 행하고(순서 3-2), 유저 정보를 서버(101)로 송신한다(순서 3-3).
서버(101)에서는, 수신 처리부(111)가, 세션 저장부(202) 내에서 해당 유저의 세션 정보를 검색하고(순서 3-4), 해당하는 콘텐츠(110)에 접속한다(순서 3-5).
여기서, 세션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 즉 접속 중의 표시 단말(102)이 복수 있는 경우에는, 표시 단말(102)의 리스트를 입력 단말(103)로 반환하고, 유저에 선택하게 한다(순서 3-4'). 접속을 할 수 있으면, 서버(101)의 수신 처리부(111)는 입력 단말(103)에, 그 세션 내에서만 유효한 토큰을 반환한다(순서 3-6). 그리고, 입력 단말(103)이 서버(101)에 접속되었을 때에, 입력 단말(103)의 접속 통지가 전송부(203)를 통하여 표시 단말(102)로 송신되고(순서 3-7), 표시 단말(102)의 표시부(122)에 입력 단말(103)의 접속이 표시된다(순서 3-8).
이때, 서버(101)의 콘텐츠 정보 송신부(204)는, 콘텐츠(110)의 정보나, 콘텐츠 메타데이터(205)를 취득하고(순서 3-9), 콘텐츠의 정보를 갱신하고, 입력 단말(103)로 송신하고, 입력 단말(103)의 GUI(132)의 표시 정보나 입력 모드를 바꿀 수도 있다(순서 3-10).
또한, 서버(101)는, 동일 세션 내에서, 다른 입력 단말(103)(103a를 포함)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입력 단말(103)에 대하여, 새로운 입력 단말(103)이 접속된 것을 통지할 수 있다(순서 3-11). 구체적으로는, 입력 단말(103)의 GUI(132)는, 「접속하고 있는 유저의 수나 닉네임을 표시시킨다」, 「게임/영상 콘텐츠의 설명이나 화상 등을 표시시킨다」, 「리모컨을 게임 패드의 표시와 영상 플레이어의 표시로 전환한다」등을 행할 수 있다.
4. 입력 조작
입력 단말(103)에 대하여, 유저가 조작 정보를 입력하면(순서 4-1), 입력 처리부(131)는 이 입력된 조작 정보를, 상기의 순서 3-6에서 취득한 토큰과 함께, 서버(101)로 송신한다(순서 4-2). 이때, 구체적으로는, 「키의 Press/Release(0/1의 디지털 값)」, 「텍스트 데이터」, 「접촉한 장소의 좌표값(연속값)」, 「3차원 공간에 있어서의 가속도값(연속값)」, 「입력 단말에서 취득한 음성·화상(바이너리 데이터)」등을 취득하고, 서버(101)로 송신한다.
서버(101)의 수신 처리부(111)는, 수신된 토큰의 검증(대조)을 행하고, 합치되어 있으면, 콘텐츠(110)에 입력 정보를 건네준다(순서 4-3). 토큰이 합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부정한 액세스로 간주하고, 입력을 파기한다.
콘텐츠(110)는, 입력 내용에 대응하여 콘텐츠의 표시 내용을 변경하고(순서 4-4), 표시 단말(102)은 변경된 콘텐츠를 표시한다(순서 4-5). 이때, 콘텐츠(프로그램)(110)의 상태가 바뀌기 때문에, 콘텐츠 정보 송신부(204)를 통하여, 입력 단말(103)에 대해, 갱신된 표시를 행할 수도 있다(순서 4-6, 4-7). 상기, 입력 단말(103)의 조작 입력에 따라 표시의 변경을 행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버튼을 눌렀을 때에, 게임 내에서의 캐릭터 이동」, 「영상데이터의 챕터 전송/되돌리기」, 「선택에 따른 스토리의 분기」, 「입력된 메시지·화상의 표시」등을 행할 수 있다.
5. 입력 단말의 절단
입력 단말(103)에서 절단 조작(전원의 OFF 등을 포함)을 행한 경우에는(순서 5-1), 이 절단 정보를, 순서 3-6에서 취득한 토큰과 함께, 서버(101)로 송신한다(순서 5-2). 서버(1-1)에서는, 해당하는 토큰을 삭제한다(순서 5-3). 절단이 통지되면, 콘텐츠(프로그램)(110)는, 절단에 따라 표시를 변경하고(순서 5-4), 표시 단말(102)에서 표시를 갱신한다(순서 5-5).
또한, 접속하고 있는 다른 입력 단말(103)이 있는 경우, 서버(101)는, 그 입력 단말(103)에 대하여, 상기의 순서 3-9∼3-11과 동일하게, 콘텐츠의 정보를 갱신하고, 입력 단말(103)의 표시 갱신을 할 수 있다(순서 5-6∼5-8). 이 표시의 갱신이란 구체적으로는, 「어떤 유저가 절단한 것을 닉네임과 함께 통지한다」, 「절단한 유저가 조작하고 있던 캐릭터가 사라진다」등이 있다.
6. 전송의 종료
콘텐츠(프로그램)(110)가 종료한 경우(순서 6-1), 전송부(203)는 전송을 종료시키고(순서 6-2), 표시 단말(102)은 표시부(122)의 콘텐츠(110)의 표시를 종료시킨다(순서 6-3). 이때, 전송부(203)는, 세션 정보의 삭제를 행한다(순서 6-4). 이것에 의해, 해당하는 유저의 세션은 없어지고, 새로운 입력 단말(103)로부터의 접속은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접속하고 있는 입력 단말(103)이 있는 경우, 그 입력 단말(103)에 대하여, 상기 순서 3-9∼3-11과 동일하게, 절단의 통지를 한다(순서 6-5, 6-6). 이 콘텐츠(프로그램)(110)의 종료의 계기는, 입력 단말(103) 혹은 표시 단말(102)로부터의 콘텐츠 전송에 대한 종료 조작이나, 콘텐츠(프로그램)(110)의 의도적인 종료, 네트워크(104)의 통신 불량에 따른 절단 등에 의거한다.
(세션 정보의 상태 천이)
도 5는, 세션 저장부에 저장되는 세션 정보의 상태 천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g)에 세션 정보의 상태 천이를 순서대로 기재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세션 저장부(202)에 저장되는 세션 정보는, 각 입력 단말(103)의 단말 ID마다, 유저 ID와, 세션 ID와, 토큰이 관련되어 갱신된다.
처음에,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세션 저장부(202)에는 미리 입력 단말(103)의 단말 ID가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하, 단말 ID=1001의 상태 천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해당하는 단말 ID=1001의 입력 단말(103)이 로그인하면(순서 1-1),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저 ID(=계약자 A)가 기록된다. 다음에,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텐츠(110)의 전송을 개시하면(순서 2-5), 세션 ID(=20001)가 기록된다.
다음에, 도 5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1번째의 입력 단말(103)이 접속되면, 이 입력 단말(103)에 대하여 세션(ID=20001) 내에서만 유효한 토큰(=ABC)을 반환한다(순서 3-6). 동일하게, 2번째의 입력 단말(103)이 접속되면, 도 5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입력 단말(103)에 대하여 세션(ID=20001) 내에서만 유효한 토큰(=XYZ)을 반환한다(순서 3-6). 이것에 의해, 1개의 콘텐츠(110)에 대하여, 2대의 입력 단말(103)의 동시 입력 조작이 허가된다.
이후, 1번째의 입력 단말(103)이 종료하면, 도 5(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입력 단말(103)에 대하여 세션(ID=20001) 내에서만 유효한 토큰(=ABC)을 삭제한다(순서 5-3). 이 다음에, 콘텐츠(110)의 전송이 종료하면(순서 6-4), 도 5(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션 ID 및 토큰이 삭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표시 단말과는 다른 입력 단말로부터의 입력 조작을 행하고, 이 입력 단말이 표시 단말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 서버와 통신을 행하여 콘텐츠의 전송의 제어를 조작한다. 이것에 의해, 표시 단말에 있어서의 콘텐츠 조작의 제약을 받지 않고, 입력 단말이 독자적으로 콘텐츠 전송을 위한 입력 기능의 확장 및 전환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표시 단말은 콘텐츠 표시의 기능을 특화할 수 있고, 입력 조작에 관여하지 않기 때문에, 입력 단말측에서의 입력 기능의 확장 등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입력 단말은, 표시 단말을 경유하지 않고 직접 서버와 통신을 행하기 때문에, 입력 조작에 대한 콘텐츠 전송의 제어를 지연없이 신속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입력 단말만을 교환하여 입력 기능을 고기능화할 수 있다. 또한, 범용의 입력 단말을 이용하고, 입력 단말이 통신 가능한 기존의 통신망(휴대망 등)을 경유하여 콘텐츠의 전송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입력 단말상에서 콘텐츠 전송의 애플리케이션을 소프트웨어 실행하기 때문에, 입력 단말을 교환하지 않더라도, 애플리케이션의 갱신에 의해 입력 기능을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는, 서버는, 세션 ID와 토큰을 이용하고, 콘텐츠 전송의 제어를 복수의 입력 단말로부터 접수할 수 있기 때문에, 1개의 콘텐츠를 복수대의 입력 단말을 동시에 이용하여 전송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가족 각자가 입력 단말을 이용하여 조작하고, 1개의 게임을 복수인으로 동시 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표시 단말이 영화관이나 퍼블릭 뷰잉의 스크린이라고 하고, 관객에게 각각 입력 단말을 배포함으로써, 콘텐츠 상영시의 각 관객으로부터의 입력 조작에 의거하여, 예를 들면 장면마다의 선택을 다수결로 하여 상영 내용(시나리오)을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집 내에 있어서 표시 단말과 복수의 입력 단말을 세트로 하여 전송을 제어함과 함께, 집 외의 입력 단말에 있어서도, 떨어진 장소로부터 동일한 콘텐츠의 시청(동일한 게임에의 참가)을 행할 수도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콘텐츠 전송 시스템, 콘텐츠 전송 장치 및 콘텐츠 전송 방법은, 영상이나 음성의 콘텐츠의 전송을 제어하는 시스템에 유용하다.
100: 콘텐츠 전송 시스템 101: 서버
102: 표시 단말 103: 입력 단말
103a: 입력 단말 104: 네트워크
105: 휴대망 110: 콘텐츠
111: 수신 처리부 121: 표시 처리부
122: 표시부 131: 입력 처리부
201: 콘텐츠 저장부 202: 세션 저장부
203: 전송부 204: 콘텐츠 정보 송신부
205: 콘텐츠 메타데이터

Claims (9)

  1.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에 콘텐츠를 전송하는 콘텐츠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된 콘텐츠를 표시하는 표시 단말과,
    상기 콘텐츠의 전송을 제어하는 입력 정보를 상기 서버에 출력하는 입력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 단말은, 상기 표시 단말을 통하지 않고, 직접 상기 서버와의 사이의 통신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콘텐츠를 제 1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표시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입력 단말은, 상기 제 1 네트워크와는 다른 제 2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는 광대역 네트워크이고,
    상기 입력 단말은, 범용의 통신 기능, 입력 기능 및 표시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이며,
    상기 제 2 네트워크는, 상기 휴대 단말이 통신 가능한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시스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표시 단말로 전송하는 하나의 상기 콘텐츠에 대하여, 복수의 입력 단말의 동시 접속을 허가하고, 각 입력 단말의 입력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콘텐츠의 전송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시스템.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인터랙티브 콘텐츠이고,
    상기 서버는, 상기 입력 단말의 입력 정보에 의거하여, 전송 내용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단말은, 상기 입력 정보로서 연속값을 취득·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시스템.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단말은, 상기 입력 정보로서 바이너리 데이터를 취득·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시스템.
  8. 전송된 콘텐츠를 표시하는 표시 단말과, 상기 콘텐츠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정보를 출력하는 입력 단말로 이루어지는 클라이언트에 콘텐츠를 전송하는 콘텐츠 전송 장치로서,
    상기 입력 단말이 출력하는 상기 입력 정보를, 상기 표시 단말을 통하지 않고, 직접 상기 입력 단말과의 사이의 통신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장치.
  9. 전송된 콘텐츠를 표시하는 표시 단말과, 상기 콘텐츠의 전송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정보를 출력하는 입력 단말로 이루어지는 클라이언트에 콘텐츠를 전송하는 서버를 갖는 콘텐츠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의 콘텐츠 전송 방법으로서,
    상기 서버는, 상기 표시 단말을 통하지 않고, 직접 상기 서버와의 사이의 통신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된 상기 입력 단말로부터 상기 입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표시 단말에 대한 상기 콘텐츠의 전송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전송 방법.
KR1020147034132A 2012-09-12 2012-09-27 콘텐츠 전송 시스템, 콘텐츠 전송 장치 및 콘텐츠 전송 방법 KR1016246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00967 2012-09-12
JP2012200967A JP5719818B2 (ja) 2012-09-12 2012-09-12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
PCT/JP2012/074991 WO2014041704A1 (ja) 2012-09-12 2012-09-27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547A true KR20150016547A (ko) 2015-02-12
KR101624694B1 KR101624694B1 (ko) 2016-05-26

Family

ID=50277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4132A KR101624694B1 (ko) 2012-09-12 2012-09-27 콘텐츠 전송 시스템, 콘텐츠 전송 장치 및 콘텐츠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106732A1 (ko)
EP (1) EP2849072A4 (ko)
JP (1) JP5719818B2 (ko)
KR (1) KR101624694B1 (ko)
CN (1) CN104335190A (ko)
WO (1) WO20140417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32543B1 (en) 2016-03-14 2022-05-04 Ricoh Company, Ltd. Service providing system, service delivery system,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WO2017170255A1 (ja) 2016-03-29 2017-10-05 株式会社リコー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サービス授受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7170237A1 (ja) 2016-03-29 2017-10-05 株式会社リコー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サービス授受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7170235A1 (ja) 2016-03-29 2017-10-05 株式会社リコー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サービス授受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773156B2 (en) * 2018-11-05 2020-09-15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a server system and a video game con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7491B2 (ja) * 2002-03-28 2006-09-06 株式会社第一興商 携帯ブラウザホンで表示しているWebページ画像を中継装置を介して汎用表示装置に拡大表示する方法、携帯ブラウザホン用のプログラム、中継装置
JP2006011632A (ja) 2004-06-23 2006-01-12 Toppan Printing Co Ltd コンテンツ提供装置、コンテンツ利用装置、コンテンツ提供装置におけるコンテンツ配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US20060258399A1 (en) * 2005-05-16 2006-11-16 Kal Liebowitz Interactive opt-in messaging
JP2006338406A (ja) * 2005-06-02 2006-12-14 Sharp Corp 通信端末装置、情報処理装置、通信システム、映像表示システム、通信端末制御方法、情報処理方法、通信端末制御プログラ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080301737A1 (en) * 2007-05-31 2008-12-0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ed television viewing triggered by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JP2009011712A (ja) * 2007-07-09 2009-01-22 Koei:Kk オンラインゲームシステム、中継サーバ、オンラインゲーム提供方法およびオンラインゲーム提供プログラム
US9137494B2 (en) * 2009-07-22 2015-09-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s and methods to order a content item deliverable via a television service
JP5107405B2 (ja) * 2010-08-06 2012-12-26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137575B2 (en) * 2010-10-20 2015-09-15 Beaumaris Networks Inc. External network control of media services
KR101340770B1 (ko) * 2011-04-18 2013-12-11 주식회사 팬택 전자 기기, 전자 기기의 사용자 입력 데이터의 보안 방법 및 장치
KR101163565B1 (ko) * 2011-12-07 2012-07-09 구왕회 원격 마을방송을 위한 중계 중앙 서버를 갖춘 네트워크 시스템
US9301016B2 (en) * 2012-04-05 2016-03-29 Facebook, Inc. Sharing television and video programming through social networ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335190A (zh) 2015-02-04
EP2849072A1 (en) 2015-03-18
JP2014057221A (ja) 2014-03-27
EP2849072A4 (en) 2015-12-09
KR101624694B1 (ko) 2016-05-26
JP5719818B2 (ja) 2015-05-20
WO2014041704A1 (ja) 2014-03-20
US20150106732A1 (en) 201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3147B2 (en) Media-aware interface
CN110597774B (zh) 一种文件分享方法、系统、装置、计算设备及终端设备
CN110585699B (zh) 云游戏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8028798B (zh) 用于统一的消息传递平台的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JP5474876B2 (ja) 情報処理装置、サーバ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20140201632A1 (en) Content player
US9592446B2 (en) Electronic game providing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electronic game program
KR101624694B1 (ko) 콘텐츠 전송 시스템, 콘텐츠 전송 장치 및 콘텐츠 전송 방법
US20150100463A1 (en) Collaborative home retailing system
US10661165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enhancing multiplayer game sessions with asymmetric information
CN111586452A (zh) 用于跨设备互动的方法及装置、播放设备
JP6107196B2 (ja) 管理システ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603089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ly transitioning device-based interaction
WO2015060061A1 (ja) 電子ゲーム提供装置、電子ゲーム装置、電子ゲーム提供プログラム及び電子ゲームプログラム
KR20150040393A (ko)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 및 그 방법
US20140331289A1 (en) Method and device for playing a video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TW202341038A (zh) 電腦程式、終端及伺服器
AU2023241344A1 (en) Enabling media features provided on a first screen device to be presented on a second screen device
KR20110135754A (ko) 게임 데이터 연동 방법 및 이를 적용한 게임 서비스 시스템
US1017834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JP2020018687A (ja) ゲーム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50076862A (ko) 게임 초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438596B1 (ko) 게임을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기록 매체
JP2016067001A (ja) 伝送管理システム、伝送システム、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500638B2 (ja) 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