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6105A -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6105A
KR20150016105A KR1020140095614A KR20140095614A KR20150016105A KR 20150016105 A KR20150016105 A KR 20150016105A KR 1020140095614 A KR1020140095614 A KR 1020140095614A KR 20140095614 A KR20140095614 A KR 20140095614A KR 20150016105 A KR20150016105 A KR 20150016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preg
insulating layer
layer
printed wiring
wiring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56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91651B1 (en
Inventor
료 미야모토
시게오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지노모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16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1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651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11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 H05K3/462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layers or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11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pport and is thereafter removed from such areas of the surface which are not intended for current conducting or shielding
    • H05K3/022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ecursors of printed circuits, i.e. copper-clad substr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8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precipitation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which can realize an insulating layer with excellent surface smoothness and excellent layer thickness uniformity due to a small thickness difference between the center portion and the end portion of a substrate even when forming the insulating layer using prepreg with a high total content of a fiber base and an inorganic filler.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comprises the steps of: (I) laminating carrier mounting prepreg, in which prepreg is formed on a carrier film, on an internal layer circuit board to bond the prepreg to the internal layer circuit board; (II) thermally pressing the laminated carrier mounting prepreg to smooth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and (III) thermally curing the prepreg to form an insulating layer. When the total weight of the prepreg is 100 wt%, the total weight of a fiber base and an inorganic filler in the prepreg is 70 wt% or greater. The melt viscosity of the prepreg at a thermal pressing temperature of the step (II) is 300 to 10000 poise. The maximum sectional height (Rt) of the surface of the carrier film of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after the step (I) is smaller than 5 μm. Also, when the lamination temperature of the step (I) is T1(°C) and the thermal pressing temperature of the step (II) is T2(°C), T1 and T2 satisfies the relation: T2 <= T1 + 10.

Description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를 사용한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using a carrier mounting prepreg.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기술로서, 절연층과 도체층을 교대로 적층하는 빌드업 방식에 의한 제조 방법이 알려져 있다. 빌드업 방식에 의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절연층은 수지 조성물을 열경화시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캐리어 필름 위에 수지 조성물층이 형성된 접착 필름을 사용하여, 진공 라미네이터에 의해 절연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박형화의 요구에 따라 절연층의 기계 강도를 높이기 위해,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를 사용하여 진공 라미네이터에 의해 절연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As a manufacturing technique of a multilayered printed circuit board, a manufacturing method by a build-up method in which an insulating layer and a conductor layer are alternately laminated is known. In the build-up method, generally, the insulating layer is formed by thermally curing the resin composition. For example, a method of forming an insulating layer with a vacuum laminator by using an adhesive film having a resin composition layer formed on a carrier film is used. Recently, a method of forming an insulating layer by a vacuum laminator using a carrier mounting prepreg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increase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insulating layer in accordance with the demand for thinning of the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Patent Document 1).

국제공개 제2009/35014호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09/35014

한편,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박형화에 따라, 도체층과의 열팽창 차이에 기인하는 크랙 등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층의 열팽창 계수의 저하가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절연층의 열팽창 계수를 저하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절연층의 형성에 사용하는 프리프레그 중의 섬유 기재 및/또는 무기 충전재의 함유량을 증대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섬유 기재 및/또는 무기 충전재의 함유량이 높은 프리프레그를 사용하면, 표면이 평활한 절연층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진공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를 내층 회로 기판에 라미네이트한 후, 라미네이트된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의 표면을 금속판에 의해 열프레스하여 평활화하는 공정이 실시되지만, 섬유 기재 및/또는 무기 충전재의 함유량이 높은 프리프레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층 회로 기판의 표면 요철(회로 도체의 유무에 기인)에 프리프레그가 추종하기 어려워, 얻어지는 절연층의 표면은 하지(下地)인 내층 회로 기판의 표면 요철에 대응한 기복을 갖게 되어, 표면이 평활한 절연층이 얻어지기 어려운 경향으로 된다. On the other hand, in accordance with the thinning of the multilayered printed circuit board, in order to prevent cracks or the like due to the difference in thermal expansion from the conductor layer, the lowering of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insulating layer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As means for lowering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insulating layer, for example, there can be mentioned a method of increasing the content of the fibrous base material and / or the inorganic filler in the prepreg used for forming the insulating layer. However, when a prepreg having a high content of a fibrous substrate and / or an inorganic filler is used, it tends to be difficult to form an insulating layer having a smooth surface. For example, in the techniqu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a step of laminating a carrier mounting prepreg using a vacuum laminator to an inner layer circuit board, followed by a step of flattening the surface of the laminated carrier mounting prepreg with a metal plate by hot pressing However, in the case of using a prepreg having a high content of a fibrous substrate and / or an inorganic filler, it is difficult for the prepreg to follow the surface unevenness (due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ircuit conductor) of the inner-layer circuit board, It is likely to have undulations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inner layer circuit board which is the base, and it tends to be difficult to obtain an insulating layer whose surface is smooth.

예를 들면, 평활화 공정에 있어서의 열프레스 온도를 높게 설정하는 등, 수지의 유동성이 높아지는 조건으로 열프레스한 경우에는, 내층 회로 기판의 표면 요철에 대한 프리프레그의 추종성이 개선되어 절연층 표면의 기복을 작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수지가 새어 나오는 등에 의해 절연층의 층 두께의 균형이 무너져, 기판 중앙부와 기판 단부에서는, 얻어지는 절연층의 두께에 큰 차이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는 것을 본 발명자들은 밝혀내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hot pressing under conditions that the fluidity of the resin is high, such as setting the hot press temperature in the smoothing step, the followability of the prepreg to the surface unevenness of the inner layer circuit board is improved, The relief can be made small. In this case, however, the inventors have found that the balance of the layer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is collapsed due to leakage of the resin or the like, and a large difference is generated in the thickness of the obtained insulating layer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substrate and the end portion of the substrate.

본 발명은 섬유 기재와 무기 충전재의 합계 함유량이 높은 프리프레그를 사용하여 절연층을 형성하는 경우라도, 표면의 평활성이 우수하고, 기판 중앙부와 기판 단부에서 두께의 차이가 작아 층 두께의 균형도 양호한 절연층을 실현할 수 있는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Even when an insulating layer is formed by using a prepreg having a high total content of a fibrous base material and an inorganic filler,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the smoothness of the surface and has a small thickness difference between the center portion of the substrate and the end portion of the substrat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layered printed circuit board capable of realizing an insulating layer.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섬유 기재와 무기 충전재의 합계 함유량이 일정량 이상이며, 특정한 용융 점도를 갖는 프리프레그가 캐리어 필름 위에 형성된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를 사용하여 절연층을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라미네이트 공정후의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의 캐리어 필름 표면의 최대 단면 높이(Rt)를 일정값 이하로 유지하고, 또한, 라미네이트 공정의 라미네이트 온도와 평활화 공정의 열프레스 온도의 차이를 특정 범위로 유지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conducted extensive studies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found that a prepreg having a specific content of a fiber base material and an inorganic filler of a certain amount or more and having a specific melt viscosity is used to form an insulating layer using a carrier- The maximum cross-section height (Rt) of the carrier film surface of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after the lamination process is maintained at a predetermined value or les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laminate temperature in the lamination process and the heat press temperature in the smoothing process is set within a specified range The above problems can be solved, 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즉, 본 발명은 이하의 내용을 포함한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contents.

[1] (I) 캐리어 필름 위에 프리프레그가 형성된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를, 프리프레그가 내층 회로 기판과 접합하도록, 내층 회로 기판에 라미네이트하는 공정,[1]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the steps of: (I) laminating a carrier mounting prepreg on which a prepreg is formed on a carrier film so that a prepreg is bonded to an inner-

(II) 라미네이트된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를 열프레스하여 평활화하는 공정, 및 (II) a step of hot pressing and smoothing the laminated carrier mounting prepreg, and

(III) 프리프레그를 열경화하여 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으로서,(III) a step of thermally curing the prepreg to form an insulating layer, the method comprising:

프리프레그의 전체 질량을 100질량%로 했을 때, 프리프레그 중의 섬유 기재와 무기 충전재의 합계 질량이 70질량% 이상이며,When the total mass of the prepreg is 100 mass%, the total mass of the fibrous base material and the inorganic filler in the prepreg is 70 mass% or more,

공정 (II)의 열프레스 온도에 있어서의 프리프레그의 용융 점도가 300 내지 10000poise이며,The melt viscosity of the prepreg at the hot press temperature in the step (II) is 300 to 10000 poise,

공정 (I) 후의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의 캐리어 필름 표면의 최대 단면 높이(Rt)가 5㎛ 미만이며, 또한The maximum cross-sectional height (Rt) of the carrier film surface of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after step (I) is less than 5 占 퐉,

공정 (I)의 라미네이트 온도를 T1(℃), 공정 (II)의 열프레스 온도를 T2(℃)로 할 때, T1과 T2가 T2≤T1+10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Wherein T1 and T2 satisfy a relationship of T2 &lt; = T1 + 10, where T1 (° C) is the lamination temperature of the process (I) and T2 (° C) is the heat press temperature of the process (II) A manufacturing method of a printed wiring board.

[2] T1과 T2가 T2≤T1+5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1]에 기재된 방법.[2] The method according to [1], wherein T1 and T2 satisfy a relationship of T2? T1 + 5.

[3] 공정 (II)를 2회 이상 실시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방법.[3] The method according to [1] or [2], wherein the step (II) is carried out two or more times.

[4] 공정 (III) 후의 절연층 표면의 최대 단면 높이(Rt)가 3㎛ 미만인, [1] 내지 [3]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wherein the maximum cross-sectional height Rt of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after the step (III) is less than 3 μm.

[5] 프리프레그가 에폭시 수지 및 경화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1] 내지 [4]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4], wherein the prepreg further contains an epoxy resin and a curing agent.

[6] 프리프레그가, 섬유 기재에, 에폭시 수지, 경화제 및 무기 충전재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함침시켜 형성되는, [1] 내지 [5]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5], wherein the prepreg is formed by impregnating a fiber substrate with a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n epoxy resin, a curing agent and an inorganic filler.

[7] 캐리어 필름이 공정 (III) 후에 박리되는, [1] 내지 [6]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6], wherein the carrier film is peeled off after the step (III).

[8] 공정 (III)에 있어서, 프리프레그를 가열 오븐 내에서 수직 상태로 배치하고, 열경화하여 절연층을 형성하는, [1] 내지 [7]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7], wherein in the step (III), the prepreg is vertically arranged in a heating oven and thermally cured to form an insulating layer.

[9] 하기 (a) 내지 (c)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다층 프린트 배선판:[9] A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satisfying the following conditions (a) to (c):

(a) 상기 절연층의 전체 질량을 100질량%로 했을 때, 섬유 기재와 무기 충전재의 합계 질량이 70질량% 이상이다;(a) when the total mass of the insulating layer is 100 mass%, the total mass of the fibrous base material and the inorganic filler is 70 mass% or more;

(b) 상기 절연층 표면의 최대 단면 높이(Rt)가 3㎛ 미만이다; 및(b) the maximum cross-sectional height (Rt) of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is less than 3 mu m; And

(c) 상기 절연층의 기판 단부의 두께와 기판 중앙부의 두께의 차이가 2.5㎛ 미만이다. (c)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end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and the thickness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bstrate is less than 2.5 mu m.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섬유 기재와 무기 충전재의 합계 함유량이 높은 프리프레그를 사용하여 절연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표면의 평활성이 우수하고, 기판 중앙부와 기판 단부에서 두께의 차이가 작아 층 두께의 균형도 양호한 절연층을 갖는 다층 프린트 배선판을 제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insulating layer is formed using a prepreg having a high total content of the fibrous base material and the inorganic filler, the surface smoothness is excellent and the difference in thickness betwee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bstrate and the end portion of the substrate is small, It is possible to produce a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having a well-balanced insulating layer.

본 발명의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사용하는「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에 관해서 설명한다. Before describing in detail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ultilayered printed circuit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quot; carrier mounting prepreg &quot; used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Carrier mounting prepreg>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는, 캐리어 필름 위에 프리프레그가 형성된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를 사용한다.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rrier mounting prepreg on which a prepreg is formed on a carrier film is used.

캐리어 필름으로서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필름, 금속박(구리박, 알루미늄박 등), 이형지를 들 수 있고,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필름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플라스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하,「PET」라고 약칭하는 경우가 있다.),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이하「PEN」이라고 약칭하는 경우가 있다.)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이하「PC」라고 약칭하는 경우가 있다.),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등의 아크릴, 환상 폴리올레핀, 트리아세틸셀룰로스(TAC), 폴리에테르설파이드(PES),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며, 염가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적합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캐리어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다. As the carrier film, a film made of a plastic material, a metal foil (copper foil, aluminum foil, etc.), and a release paper can be given, and a film made of a plastic material is suitably used. Examples of the plastic material include polyester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hereinafter may be abbreviated as "PET")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hereinafter sometimes abbreviated as "PEN"), polycarbonate (TAC), polyether sulfide (PES), polyether ketone, polyimide, and the like, such as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 Of these,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are preferable, and inexpensive polyethylene terephthalate is particularly preferable.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arrier film is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캐리어 필름은 프리프레그와 접합하는 면에 매트 처리, 코로나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The carrier film may be subjected to a mat treatment or a corona treatment on the surface to be bonded with the prepreg.

또한, 캐리어 필름으로서는, 프리프레그와 접합하는 면에 이형층을 갖는 이형층 부착 캐리어 필름을 사용해도 좋다. 이형층 부착 캐리어 필름의 이형층에 사용하는 이형제로서는, 예를 들면, 알키드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우레탄 수지, 및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이형제를 들 수 있다. As the carrier film, a carrier film with a release layer having a release layer on the surface to be bonded to the prepreg may be used. As the releasing agent to be used for the release layer of the carrier film with release layer, there may be mentioned, for example, one or more release ag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lkyd resin, a polyolefin resin, a urethane resin, and a silicone resin.

본 발명에 있어서, 이형층 부착 캐리어 필름은 시판품을 사용해도 좋다.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린텍(주) 제조의「PET501010」,「SK-1」,「AL-5」,「AL-7」등을 들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may be used as the carrier film with a release layer. Examples of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include "PET501010", "SK-1", "AL-5", and "AL-7" manufactured by Lintec Corporation.

캐리어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 내지 70㎛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20 내지 6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며, 20 내지 50㎛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캐리어 필름이 이형층 부착 캐리어 필름인 경우, 이형층 부착 캐리어 필름 전체의 두께가 상기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thickness of the carrier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 to 70 mu m,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 to 60 mu m, and further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 to 50 mu m. When the carrier film is a carrier film with a release layer,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entire carrier film with release layer is in the above range.

프리프레그는 섬유 기재에 수지 조성물을 함침시켜 형성된다. A prepreg is formed by impregnating a fiber substrate with a resin composition.

섬유 기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글래스 클로스, 아라미드 부직포, 액정 중합체 부직포 등의 프리프레그용 기재로서 상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절연층의 형성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두께가 50㎛ 이하인 박형의 시트상 섬유 기재가 적합하게 사용되고, 특히 두께가 10 내지 40㎛인 시트상 섬유 기재가 바람직하며, 10 내지 30㎛의 시트상 섬유 기재가 보다 바람직하다. The fiber substr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ose commonly used as prepreg substrates such as glass cloth, aramid nonwoven fabric, and liquid crystal polymer nonwoven fabric can be used. When used in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of the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a thin sheet-like fibrous substrate having a thickness of 50 탆 or less is suitably used, and particularly a sheet-like fibrous substrate having a thickness of 10 to 40 탆 is preferable, Is more preferable.

시트상 섬유 기재로서 사용할 수 있는 글래스 클로스의 구체예로서는, 아사히슈에벨(주) 제조의「스타일1027MS」(경사 밀도 75개/25㎜, 위사 밀도 75개/25㎜, 천 중량 20g/㎡, 두께 19㎛), 아사히슈에벨(주) 제조의「스타일1037MS」(경사 밀도 70개/25㎜, 위사 밀도 73개/25㎜, 천 중량 24g/㎡, 두께 28㎛), (주)아리사와세사쿠쇼 제조의「1078」(경사 밀도 54개/25㎜, 위사 밀도 54개/25㎜, 천 중량 48g/㎡, 두께 43㎛), (주)아리사와세사쿠쇼 제조의「1037NS」(경사 밀도 72개/25㎜, 위사 밀도 69개/25㎜, 천 중량 23g/㎡, 두께 21㎛), (주)아리사와세사쿠쇼 제조의「1027NS」(경사 밀도 75개/25㎜, 위사 밀도 75개/25㎜, 천 중량 19.5g/㎡, 두께 16㎛), (주)아리사와세사쿠쇼 제조의「1015NS」(경사 밀도 95개/25㎜, 위사 밀도 95개/25㎜, 천 중량 17.5g/㎡, 두께 15㎛), (주)아리사와세사쿠쇼 제조의「1000NS」(경사 밀도 85개/25㎜, 위사 밀도 85개/25㎜, 천 중량 11g/㎡, 두께 10㎛),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액정 중합체 부직포의 구체예로서는, (주)쿠라레 제조의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멜트블로우법에 의한「베크루스」(평량 6 내지 15g/㎡)나「베크트란」등을 들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the glass cloth which can be used as the sheet-like fiber base material include "Style 1027MS" (slope density 75/25 mm, weft density 75/25 mm, cloth weight 20 g / (Warp density of 70/25 mm, weft density of 73/25 mm, cloth weight of 24 g / m 2, thickness of 28 탆) manufactured by Asahi Shoe Bell Co., 1037NS &quot; (trade name, manufactured by Asahi Chemical Industry Co., Ltd.) manufactured by WASEKAKUSHO Co., Ltd. (warp density 54/25 mm, weft density 54/25 mm, cloth weight 48 g / Quot; 1027NS &quot; (warp density of 75/25 mm, weft density of 69/25 mm, cloth weight of 23 g / m 2, thickness of 21 탆) 1015NS &quot; (a warp density of 95 yarns / 25 mm, a weft density of 95 yarns / 25 mm, a thickness of 16 mm), manufactured by Arisawa Seisakusho Co., 1000 g / m &lt; 2 &gt;), manufactured by Arisawa Seisakusho Co., Ltd. A warp density of 85/25 mm, a weft density of 85/25 mm, a cloth weight of 11 g / m 2, a thickness of 10 탆). Specific examples of the liquid crystal polymer nonwoven fabric include "Becklose" (basis weight 6 to 15 g / m 2) and "Becktran" by the melt blowing method of an aromatic polyester nonwoven fabric manufactured by Kuraray Co., Ltd.

프리프레그에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은, 그 경화물이 충분한 경도와 절연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절연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종래 공지의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면 좋다. The resin composition for use in the prepre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cured product has sufficient hardness and insulating properties, and conventionally known resin compositions used for forming the insulating layer of the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may be used.

얻어지는 절연층의 열팽창 계수를 낮게 억제하는 관점에서, 프리프레그에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은 무기 충전재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resulting insulating layer to a low level, it is preferable that the resin composition used for the prepreg contains an inorganic filler.

무기 충전재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카, 질화규소, 알루미나, 유리, 코디에라이트, 실리콘 산화물, 황산바륨, 탄산바륨, 활석, 점토, 운모 분말, 산화아연, 하이드로탈사이트, 베마이트,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질화붕소, 질화알루미늄, 질화망간, 붕산알루미늄, 티탄산바륨, 탄산스트론튬, 티탄산스트론튬, 티탄산칼슘, 티탄산마그네슘, 티탄산비스무스, 산화티탄, 산화지르코늄, 티탄산지르콘산바륨, 지르콘산바륨, 지르콘산칼슘, 인산지르코늄, 및 인산텅스텐산지르코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무정형 실리카, 용융 실리카, 결정 실리카, 합성 실리카, 중공 실리카 등의 실리카가 특히 적합하다. 또한 실리카로서는 구상 실리카가 바람직하다. 무기 충전재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시판되고 있는 구상 용융 실리카로서, (주)아도마텍스 제조「SOC4」,「SOC2」,「SOC1」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inorganic filler include inorganic fillers such as silica, silicon nitride, alumina, glass, cordierite, silicon oxide, barium sulfate, barium carbonate, talc, clay, mica powder, zinc oxide, hydrotalcite, Wherein the metal oxide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gnesium, calcium carbonate, magnesium carbonate, magnesium oxide, boron nitride, aluminum nitride, manganese nitride, aluminum borate, barium titanate, strontium carbonate, strontium titanate, calcium titanate, magnesium titanate, bismuth titanate, titanium oxide, zirconium titanate Barium, barium zirconate, calcium zirconate, zirconium phosphate, and zirconium tungstate phosphate. Of these, silica such as amorphous silica, fused silica, crystalline silica, synthetic silica, hollow silica and the like is particularly suitable. As the silica, spherical silica is preferable. The inorganic fillers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kinds. As commercially available spherical fused silica, "SOC4", "SOC2", and "SOC1" manufactured by Adomex Co., Ltd. can be mentioned.

무기 충전재의 평균 입자 직경은, 절연 신뢰성 및 표면 평활성이 양호한 절연층을 얻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이하,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0.6㎛ 이하이다. 한편, 무기 충전재의 분산성 향상의 관점에서, 무기 충전재의 평균 입자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이상이다. 무기 충전재의 평균 입자 직경은 미(Mie) 산란 이론에 기초하는 레이저 회절·산란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레이저 회절 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에 의해, 무기 충전재의 입도 분포를 체적 기준으로 작성하고, 그 메디안 직경을 평균 입자 직경으로 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측정 샘플은 무기 충전재를 초음파에 의해 수중에 분산시킨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레이저 회절 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로서는, (주)호리바세사쿠쇼 제조 LA-950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inorganic filler is preferably 2 mu m or less, more preferably 1 mu m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0.8 mu m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0.8 mu m or less, Or less. On the other hand,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dispersibility of the inorganic filler,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inorganic filler is preferably not less than 0.01 mu m,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0.05 mu m, further preferably not less than 0.1 mu m.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inorganic filler can be measured by a laser diffraction / scattering method based on the Mie scattering theory. Specifically,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inorganic filler can be measured with a laser diffraction scattering type particle size distribution measuring apparatus, and the median diameter is determined as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The sample to be measured may preferably be an inorganic filler dispersed in water by ultrasonic waves. As the laser diffraction scattering type particle size distribution measuring apparatus, LA-950 manufactured by Horiba Seisakusho Co., Ltd. and the like can be used.

수지 조성물 중의 무기 충전재의 함유량은, 얻어지는 절연층의 열팽창 계수를 낮게 억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4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질량% 이상이다. 수지 조성물 중의 무기 충전재의 함유량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표면 평활성이 양호한 절연층을 얻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5질량% 이하이다. The content of the inorganic filler in the resin composition is preferably not less than 40% by mass,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50% by mass, and further preferably not less than 60% by mass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obtained insulating layer to a low level. The upper limit of the content of the inorganic filler in the resin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90% by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85% by mass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n insulating layer having a good surface smoothness.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수지 조성물 중의 각 성분의 함유량은 수지 조성물 중의 불휘발 성분을 100질량%로 했을 때의 값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of each component in the resin composition is a value when the nonvolatile component in the resin composition is taken as 100% by mass.

무기 충전재는 내습성 향상을 위해, 에폭시실란계 커플링제, 아미노실란계 커플링제, 머캅토실란계 커플링제, 실란계 커플링제, 오르가노실라잔 화합물, 티타네이트계 커플링제 등의 1종 이상의 표면 처리제로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처리제 중에서도, 아미노실란계 커플링제는, 내습성, 분산성, 경화물의 특성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적합하다. 무기 충전재는 수지 조성물에 혼합하기 전에 표면 처리제로 미리 처리해도 좋다. 또는 또한, 무기 충전재는 수지 조성물에 무기 충전제와 표면 처리제를 첨가함으로써(즉, 인테그랄블렌드법에 의해) 표면 처리제로 처리해도 좋다. 표면 처리제의 시판품으로서는, 신에츠가가쿠고교(주) 제조「KBM403」(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신에츠가가쿠고교(주) 제조「KBM803」(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신에츠가가쿠고교(주) 제조「KBE903」(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신에츠가가쿠고교(주) 제조「KBM573」(N-페닐-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신에츠가가쿠고교(주) 제조「KBM103」(페닐트리메톡시실란), 신에츠가가쿠고교(주) 제조「SZ-31」(헥사메틸디실라잔) 등을 들 수 있다. In order to improve the moisture resistance, the inorganic filler is preferably subjected to surface treatment of at least one of an epoxy silane coupling agent, an aminosilane coupling agent, a mercaptosilane coupling agent, a silane coupling agent, an organosilazane compound and a titanate coupling agent It is preferable that it is treated with zero. Among the surface treatment agents, the aminosilane-based coupling agent is preferable because it is excellent in moisture resistance, dispersibility, and properties of a cured product. The inorganic filler may be pretreated with a surface treating agent before mixing with the resin composition. Alternatively, the inorganic filler may be treated with a surface treatment agent by adding an inorganic filler and a surface treatment agent to the resin composition (that is, by the integral blend method). As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of surface treatment agents, KBM403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Co., Ltd., KBM803 (3-mercaptopropyltrimethoxysilane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Co., KBE903 "(3-aminopropyltriethoxysilane)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Co., Ltd.," KBM573 "(N-phenyl-3-aminopropyltrimethoxysilane) manufactured by Shin- , KBM103 (phenyltrimethoxysilane)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Co., Ltd., and SZ-31 (hexamethyldisilazane)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Co.,

표면 처리제의 처리량은, 무기 충전재를 100질량%로 했을 때,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질량%이다. The throughput of the surface treatment agent is preferably 0.01 to 5 mass%, more preferably 0.1 to 3 mass%, based on 100 mass% of the inorganic filler.

프리프레그에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은 에폭시 수지 및 경화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적합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리프레그는 섬유 기재에 에폭시 수지, 경화제 및 무기 충전재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함침시켜 형성된다. The resin composition for use in the prepreg preferably further contains an epoxy resin and a curing agent. Accordingly,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repreg is formed by impregnating a fiber substrate with a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n epoxy resin, a curing agent and an inorganic filler.

-에폭시 수지-- Epoxy resin -

에폭시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에폭시 수지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S형 에폭시 수지 및 비스페놀 AF형 에폭시 수지 등의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tert-부틸-카테콜형 에폭시 수지, 나프톨형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형 에폭시 수지, 나프틸렌에테르형 에폭시 수지, 글리시딜아민형 에폭시 수지, 글리시딜에스테르형 에폭시 수지, 크레졸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비페닐형 에폭시 수지, 안트라센형 에폭시 수지, 선상 지방족 에폭시 수지, 부타디엔 구조를 갖는 에폭시 수지, 지환식 에폭시 수지, 복소환식 에폭시 수지, 스피로환 함유 에폭시 수지,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형 에폭시 수지, 트리메틸올형 에폭시 수지, 할로겐화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 수지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The epoxy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n epoxy resin having two or more epoxy groups in one molecule is preferable.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bisphenol type epoxy resins such as bisphenol A type epoxy resins, bisphenol F type epoxy resins, bisphenol S type epoxy resins and bisphenol AF type epoxy resins, phenol novolak type epoxy resins, tert-butyl-catechol type epoxy resins, Naphthalene type epoxy resin, naphthalene type epoxy resin, glycidylamine type epoxy resin, glycidyl ester type epoxy resin, cresol novolak type epoxy resin, biphenyl type epoxy resin, anthracene type epoxy resin , Linear aliphatic epoxy resins, epoxy resins having a butadiene structure, alicyclic epoxy resins, heterocyclic epoxy resins, spirocyclic epoxy resins, cyclohexanedimethanol type epoxy resins, trimethylol type epoxy resins, and halogenated epoxy resins . The epoxy resin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kinds.

이들 중에서도, 내열성, 절연 신뢰성 및 유동성의 관점에서,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바람직하게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나프톨형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형 에폭시 수지, 비페닐형 에폭시 수지, 나프틸렌에테르형 에폭시 수지, 글리시딜에스테르형 에폭시 수지, 안트라센형 에폭시 수지, 부타디엔 구조를 갖는 에폭시 수지가 바람직하다. 특히, 에폭시 수지가, 비스페놀형 에폭시 수지(바람직하게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나프톨형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형 에폭시 수지, 비페닐형 에폭시 수지 및 나프틸렌에테르형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미쯔비시가가쿠(주) 제조「jER828EL」,「YL980」),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미쯔비시가가쿠(주) 제조「jER806H」,「YL983U」), 나프탈렌형 2관능 에폭시 수지(DIC(주) 제조「HP4032」,「HP4032D」,「HP4032SS」,「EXA4032SS」), 나프탈렌형 4관능 에폭시 수지(DIC(주) 제조「HP4700」,「HP4710」), 나프톨형 에폭시 수지(신닛테츠가가쿠(주) 제조「ESN-475V」), 부타디엔 구조를 갖는 에폭시 수지(다이셀가가쿠고교(주) 제조「PB-3600」), 비페닐형 에폭시 수지(니혼카야쿠(주) 제조「NC3000H」,「NC3000L」,「NC3100」, 미쯔비시가가쿠(주) 제조「YX4000」,「YX4000H」,「YX4000HK」,「YL6121」), 안트라센형 에폭시 수지(미쯔비시가가쿠(주) 제조「YX8800」), 나프틸렌에테르형 에폭시 수지(DIC(주) 제조「EXA-7310」,「EXA-7311」,「EXA-7311L」,「EXA-7311G3」,「EXA-7311G4」), 글리시딜에스테르형 에폭시 수지(나가세켐텍스(주) 제조「EX711」,「EX721」,(주)프린텍 제조「R540」) 등을 들 수 있다. Among them, bisphenol type epoxy resins (preferably bisphenol A type epoxy resins, bisphenol F type epoxy resins), naphthol type epoxy resins, naphthalene type epoxy resins, biphenyl type epoxy resins , A naphthylene ether type epoxy resin, a glycidyl ester type epoxy resin, an anthracene type epoxy resin, and an epoxy resin having a butadiene structure. Particularly, it is preferable that the epoxy resin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isphenol epoxy resin (preferably bisphenol A epoxy resin, bisphenol F epoxy resin), naphthol epoxy resin, naphthalene epoxy resin, biphenyl epoxy resin and naphthylene ether epoxy resin And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bisphenol A type epoxy resin ("jER828EL" and "YL980" manufactured by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bisphenol F type epoxy resin ("jER806H" and "YL983U" manufactured by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 Naphthalene type bifunctional epoxy resin ("HP4032", "HP4032D", "HP4032SS", "EXA4032SS" manufactured by DIC Corporation), naphthalene type tetrafunctional epoxy resin (HP4700, ), Naphthol type epoxy resin ("ESN-475V" manufactured by Shinnitsu Kagaku KK), epoxy resin having a butadiene structure ("PB-3600" manufactured by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biphenyl type epoxy resin NC3000L "," NC3100 "," YX4000 "," YX4000H "," YX4000HK ", and" YL6121 "manufactured by Mitsubishi Kagaku Co., Ltd.), anthracene type epoxy resin EXA-7311 "," EXA-7311L "," EXA-7311G3 ", and" EXA-7311G3 "manufactured by DIC Corporation) EXA-7311G4 "), glycidyl ester type epoxy resin (manufactured by Nagase ChemteX Co. Preparation" EX711 ", and the like" EX721 ", Ltd Printech manufacture" R540 ").

에폭시 수지는 1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에폭시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폭시 수지의 불휘발 성분을 100질량%로 한 경우에, 적어도 50질량% 이상은 1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에폭시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epoxy resin preferably contains an epoxy resin having two or more epoxy groups in one molecule. When the nonvolatile component of the epoxy resin is 100% by mass,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50% by mass or more of the epoxy resin is an epoxy resin having two or more epoxy groups in one molecule.

내층 회로 기판의 표면 요철에 대한 프리프레그의 추종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에폭시 수지는 온도 20℃에서 액상인 에폭시 수지(이하,「액상 에폭시 수지」라고도 한다.)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층 회로 기판의 표면 요철에 대한 프리프레그의 추종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프리프레그를 열경화하여 형성되는 절연층의 경화 물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에폭시 수지는 액상 에폭시 수지와, 온도 20℃에서 고체상인 에폭시 수지(이하,「고체상 에폭시 수지」라고도 한다)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상 에폭시 수지로서는 1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액상 에폭시 수지가 바람직하며, 1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방향족계 액상 에폭시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고체상 에폭시 수지로서는 1분자 중에 3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고체상 에폭시 수지가 바람직하며, 1분자 중에 3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방향족계 고체상 에폭시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방향족계의 에폭시 수지란 그 분자 내에 방향환을 갖는 에폭시 수지를 의미한다.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followability of the prepreg with respect to the surface unevenness of the inner layer circuit board, it is preferable that the epoxy resin contains an epoxy resin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quot; liquid epoxy resin &quot;) which is liquid at a temperature of 20 캜.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followability of the prepreg to the surface unevenness of the inner layer circuit board and at the same time improving the curing properties of the insulating layer formed by thermally curing the prepreg, the epoxy resin is preferably a mixture of a liquid epoxy resin and an epoxy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quot; solid epoxy resin &quot;). As the liquid epoxy resin, a liquid epoxy resin having two or more epoxy groups in one molecule is preferable, and an aromatic liquid epoxy resin having two or more epoxy groups in one molecule is more preferable. As the solid epoxy resin, a solid epoxy resin having three or more epoxy groups in a molecule is preferable, and an aromatic solid epoxy resin having three or more epoxy groups in one molecule is more prefer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n aromatic epoxy resin means an epoxy resin having an aromatic ring in its molecule.

액상 에폭시 수지로서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글리시딜에스테르형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형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형 에폭시 수지가 바람직하다. 액상 에폭시 수지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고체상 에폭시 수지로서는, 나프탈렌형 4관능 에폭시 수지, 크레졸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디사이클로펜타디엔형 에폭시 수지, 트리스페놀에폭시 수지, 나프톨형 에폭시 수지, 안트라센형 에폭시 수지, 비페닐형 에폭시 수지, 나프틸렌에테르형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나프탈렌형 4관능 에폭시 수지, 나프톨형 에폭시 수지, 비페닐형 에폭시 수지, 나프틸렌에테르형 에폭시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고체상 에폭시 수지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Examples of the liquid epoxy resin include bisphenol A type epoxy resin, bisphenol F type epoxy resin, phenol novolac type epoxy resin, glycidyl ester type epoxy resin and naphthalene type epoxy resin,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bisphenol A type epoxy resin, bisphenol F Type epoxy resin, and naphthalene type epoxy resin are preferable. The liquid epoxy resin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kinds. Examples of solid epoxy resins include naphthalene type tetrafunctional epoxy resins, cresol novolak type epoxy resins, dicyclopentadiene type epoxy resins, trisphenol epoxy resins, naphthol type epoxy resins, anthracene type epoxy resins, biphenyl type epoxy resins, naphthylene Ether type epoxy resin, and the like. Of these, naphthalene type tetra-functional epoxy resin, naphthol type epoxy resin, biphenyl type epoxy resin and naphthylene ether type epoxy resin are more preferable. The solid epoxy resin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kinds.

에폭시 수지로서, 액상 에폭시 수지와 고체상 에폭시 수지를 병용하는 경우, 얻어지는 절연층의 경화 물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이들의 배합 비율(액상 에폭시 수지:고체상 에폭시 수지)은, 질량비로, 1:0.1 내지 1:8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1:0.3 내지 1:7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며, 1:0.6 내지 1:6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며, 1:0.9 내지 1:5.5의 범위가 더욱 보다 바람직하다. When a liquid epoxy resin and a solid epoxy resin are used in combination as the epoxy resin, the mixing ratio (liquid epoxy resin: solid epoxy resin) of the epoxy resin is preferably from 1: 0.1 to 1: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0.6 to 1: 6,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0.9 to 1: 5.5, still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Do.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 당량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2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000이다. 한편, 에폭시 당량은, JIS K 7236에 따라 측정할 수 있고, 1당량의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수지의 질량이다. The epoxy equivalent of the epoxy resin is preferably 50 to 3000, more preferably 80 to 2000, still more preferably 110 to 1000. On the other hand, the epoxy equivalent can be measured in accordance with JIS K 7236, and is the mass of the resin containing one equivalent of epoxy group.

수지 조성물 중의 에폭시 수지의 함유량은 3 내지 40질량%가 바람직하며, 5 내지 3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10 내지 3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내층 회로 기판의 표면 요철에 대한 프리프레그의 추종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수지 조성물 중의 액상 에폭시 수지의 함유량은 1 내지 35질량%가 바람직하며, 3 내지 3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6 내지 25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The content of the epoxy resin in the resin composition is preferably from 3 to 40 mass%, more preferably from 5 to 35 mass%, and further preferably from 10 to 30 mass%. The content of the liquid epoxy resin in the resin composition is preferably 1 to 35 mass%, more preferably 3 to 30 mass%, and more preferably 6 to 25 mass%, in view of improving the followability of the prepreg with respect to the surface unevenness of the inner layer circuit board % Is more preferable.

-경화제-- hardener -

경화제로서는, 에폭시 수지를 경화하는 기능을 갖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페놀계 경화제, 활성 에스테르계 경화제, 시아네이트에스테르계 경화제, 벤조옥사진계 경화제, 및 산무수물계 경화제를 들 수 있다. 경화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적합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경화제는 페놀계 경화제, 활성 에스테르계 경화제 및 시아네이트에스테르계 경화제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The cur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a function of curing an epoxy resin,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phenol-based curing agents, active ester-based curing agents, cyanate ester-based curing agents, benzoxazine based curing agents and acid anhydride-based curing agents . The curing agent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kinds.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uring agent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henol-based curing agent, an active ester-based curing agent, and a cyanate ester-based curing agent.

페놀계 경화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비페닐형 경화제, 나프탈렌형 경화제, 페놀노볼락형 경화제, 나프틸렌에테르형 경화제, 트리아진 골격 함유 페놀계 경화제가 바람직하다. 페놀계 경화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The phenol-based cur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 biphenyl-type curing agent, a naphthalene-type curing agent, a phenol novolak type curing agent, a naphthylene ether type curing agent and a triazine skeleton-containing phenol type curing agent are preferable. The phenolic curing agent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페놀계 경화제의 시판품으로서는, 비페닐형 경화제로서 MEH-7700, MEH-7810, MEH-7851(메이와카세이(주) 제조, 나프탈렌형 경화제로서 NHN, CBN, GPH(니혼카야쿠(주) 제조), SN170, SN180, SN190, SH475, SN485, SN495, SN375, SN395(신닛테츠가가쿠(주) 제조), EXB9500, HPC9500(DIC(주) 제조), 페놀노볼락형 경화제로서 TD2090(DIC(주) 제조), 나프틸렌에테르형 경화제로서 EXB-6000(DIC(주) 제조), 트리아진 골격 함유 페놀계 경화제로서 LA3018, LA7052, LA7054, LA1356(DIC(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나프탈렌형 경화제, 트리아진 골격 함유 페놀계 경화제가 바람직하다. As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of the phenol-based curing agent, there can be used a biphenyl-type curing agent MEH-7700, MEH-7810, MEH-7851 (manufactured by Nippon Kayaku Co., EXB9500 and HPC9500 (manufactured by DIC Corporation), phenol novolak type curing agent TD2090 (manufactured by DIC Corporation), SN170, SN180, SN190, SH475, SN485, SN495, SN375, SN395 (manufactured by Shinnitetsu Kagaku Co., EXB-6000 (manufactured by DIC Corporation) as a naphthylene ether type curing agent, and LA3018, LA7052, LA7054 and LA1356 (manufactured by DIC Corporation) as a phenol type curing agent containing a triazine skeleton. , A naphthalene type curing agent, and a phenazine type curing agent containing a triazine skeleton.

활성 에스테르계 경화제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페놀에스테르류, 티오페놀에스테르류, N-하이드록시아민에스테르류, 복소환 하이드록시 화합물의 에스테르류 등의 반응 활성이 높은 에스테르기를 1분자 중에 2개 이상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활성 에스테르계 경화제는 카복실산 화합물 및/또는 티오카복실산 화합물과 하이드록시 화합물 및/또는 티올 화합물의 축합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내열성 향상의 관점에서, 카복실산 화합물과 하이드록시 화합물로부터 얻어지는 활성 에스테르계 경화제가 바람직하며, 카복실산 화합물과 페놀 화합물 및/또는 나프톨 화합물로부터 얻어지는 활성 에스테르계 경화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카복실산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산, 아세트산, 석신산, 말레산, 이타콘산,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피로멜리트산 등을 들 수 있다. 페놀 화합물 또는 나프톨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하이드로퀴논, 레조르신,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비스페놀 S, 페놀프탈린, 메틸화 비스페놀 A, 메틸화 비스페놀 F, 메틸화 비스페놀 S, 페놀, o-크레졸, m-크레졸, p-크레졸, 카테콜, α-나프톨, β-나프톨, 1,5-디하이드록시나프탈렌, 1,6-디하이드록시나프탈렌, 2,6-디하이드록시나프탈렌, 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트리하이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하이드록시벤조페논, 플루오로글루신, 벤젠트리올, 디사이클로펜타디엔형 디페놀, 페놀노볼락 등을 들 수 있다. The active ester-based cur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generally includes ester groups having high reactivity such as phenol esters, thiophenol esters, N-hydroxyamine esters, and esters of heterocyclic hydroxy compounds, Are preferably used. The active ester curing agent is preferably obtained by condensation reaction of a carboxylic acid compound and / or a thiocarboxylic acid compound with a hydroxy compound and / or a thiol compound. From the viewpoint of heat resistance improvement, an active ester type curing agent obtained from a carboxylic acid compound and a hydroxy compound is preferable, and an active ester type curing agent obtained from a carboxylic acid compound and a phenol compound and / or a naphthol compound is more preferable. Examples of the carboxylic acid compound include benzoic acid, acetic acid, succinic acid, maleic acid, itaconic acid, phthalic acid, isophthalic acid, terephthalic acid and pyromellitic acid. Examples of the phenol compound or naphthol compound include hydroquinone, resorcin, bisphenol A, bisphenol F, bisphenol S, phenolphthalein, methylated bisphenol A, methylated bisphenol F, methylated bisphenol S, phenol, o- Cresol, catechol, alpha -naphthol, beta -naphthol, 1,5-dihydroxynaphthalene, 1,6-dihydroxynaphthalene, 2,6-dihydroxynaphthalene, dihydroxybenzophenone, Trihydroxybenzophenone, tetrahydroxybenzophenone, fluoroglucine, benzene triol, dicyclopentadiene type diphenol, phenol novolac, and the like.

활성 에스테르계 경화제로서는, 디사이클로펜타디엔형 디페놀 구조를 함유하는 활성 에스테르계 경화제, 나프탈렌 구조를 함유하는 활성 에스테르계 경화제, 페놀노볼락의 아세틸화물인 활성 에스테르계 경화제, 페놀노볼락의 벤조일화물인 활성 에스테르계 경화제 등이 바람직하며, 이 중에서도, 프리프레그의 용융 점도를 저하시키고, 내층 회로 기판의 표면 요철에 대한 추종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디사이클로펜타디엔형 디페놀 구조를 함유하는 활성 에스테르계 경화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디사이클로펜타디엔형 디페놀 구조」란, 페닐렌-디사이클로펜탈렌-페닐렌으로 이루어지는 2가의 구조 단위를 나타낸다. 활성 에스테르계 경화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Examples of the active ester type curing agent include active ester type curing agents containing a dicyclopentadiene type diphenol structure, active ester type curing agents containing a naphthalene structure, active ester type curing agents being acetylates of phenol novolac, Among these, from the viewpoints of lowering the melt viscosity of the prepreg and improving the followability to the surface unevenness of the inner-layer circuit board, active esters containing a dicyclopentadiene-type diphenol structure A tin curing agent is more preferable.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cyclopentadiene-type diphenol structure" refers to a divalent structural unit comprising phenylene-dicyclopentalene-phenylene. The active ester type curing agents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kinds.

활성 에스테르계 경화제의 시판품으로서는, 디사이클로펜타디엔형 디페놀 구조를 함유하는 활성 에스테르계 경화제로서 EXB9451, EXB9460, EXB9460S-65T, HPC8000-65T(DIC(주) 제조), 페놀노볼락의 아세틸화물인 활성 에스테르계 경화제로서 DC808(미쯔비시가가쿠(주) 제조), 페놀노볼락의 벤조일화물인 활성 에스테르계 경화제로서 YLH1026(미쯔비시가가쿠(주) 제조), YLH1030(미쯔비시가가쿠(주) 제조), YLH1048(미쯔비시가가쿠(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commercially available active ester curing agents include EXB9451, EXB9460, EXB9460S-65T and HPC8000-65T (manufactured by DIC Corporation) as the active ester curing agent containing a dicyclopentadiene type diphenol structure, acetylated products of phenol novolak YLH1026 (manufactured by Mitsubishi Chemical Corp.), YLH1030 (manufactured by Mitsubishi Chemical Corp.) as the active ester type curing agent which is a benzoylate of phenol novolak, DC808 (manufactured by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as the active ester type curing agent, And YLH1048 (manufactured by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시아네이트에스테르계 경화제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면, 노볼락형(페놀노볼락형, 알킬페놀노볼락형 등) 시아네이트에스테르계 경화제, 디사이클로펜타디엔형 시아네이트에스테르계 경화제, 비스페놀형(비스페놀 A형, 비스페놀 F형, 비스페놀 S형 등) 시아네이트에스테르계 경화제, 및 이들이 일부 트리아진화된 프레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시아네이트에스테르계 경화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4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3000이다. The cyanate ester-based cur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cyanate ester-based curing agents, novolac-type (phenol novolac type, alkylphenol novolak type and the like) cyanate ester-based curing agents, dicyclopentadiene- (Bisphenol A type, bisphenol F type, bisphenol S type, etc.) cyanate ester type curing agents, and partially triarylated prepolymers thereof.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cyanate ester cur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500 to 4,500, and more preferably 600 to 3,000.

시아네이트에스테르계 경화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비스페놀 A 디시아네이트, 폴리페놀시아네이트(올리고(3-메틸렌-1,5-페닐렌시아네이트)), 4,4'-메틸렌비스(2,6-디메틸페닐시아네이트), 4,4'-에틸리덴디페닐디시아네이트, 헥사플루오로비스페놀 A 디시아네이트, 2,2-비스(4-시아네이트)페닐프로판, 1,1-비스(4-시아네이트페닐메탄), 비스(4-시아네이트-3,5-디메틸페닐)메탄, 1,3-비스(4-시아네이트페닐-1-(메틸에틸리덴))벤젠, 비스(4-시아네이트페닐)티오에테르, 비스(4-시아네이트페닐)에테르 등의 2관능 시아네이트 수지, 페놀노볼락, 크레졸노볼락, 디사이클로펜타디엔 구조 함유 페놀 수지 등으로부터 유도되는 다관능 시아네이트 수지, 이들 시아네이트 수지가 일부 트리아진화된 프레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시아네이트에스테르계 경화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Specific examples of the cyanate ester curing agent include bisphenol A dicyanate, polyphenol cyanate (oligo (3-methylene-1,5-phenylene cyanate)), 4,4'-methylene bis , 6-dimethyl phenyl cyanate), 4,4'-ethylidenediphenyl dicyanate, hexafluorobisphenol A dicyanate, 2,2-bis (4-cyanate) phenyl propane, (4-cyanate phenylmethane), bis (4-cyanate-3,5-dimethylphenyl) methane, 1,3- Bifunctional cyanate resins derived from bifunctional cyanate resins such as bis (4-cyanate phenyl) thioether and bis (4-cyanate phenyl) ether, phenol novolak, cresol novolak, dicyclopentadiene- Resins, prepolymers in which these cyanate resins are partially triarized, and the like. The cyanate ester curing agent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kinds.

시아네이트에스테르계 경화제의 시판품으로서는, 페놀노볼락형 다관능 시아네이트에스테르 수지로서 PT30(론자재팬(주) 제조), 비스페놀 A 디시아네이트의 일부 또는 전부가 트리아진화되어 삼량체가 된 프레폴리머로서 BA230(론자재팬(주) 제조), 디사이클로펜타디엔 구조 함유 시아네이트에스테르 수지로서 DT-4000, DT-7000(론자재팬(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commercially available cyanate ester curing agents include PT30 (manufactured by Lonja Japan Co., Ltd.) as a phenol novolak type polyfunctional cyanate ester resin, BA230 (manufactured by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as a prepolymer in which part or all of bisphenol A dicyanate is tri- (Manufactured by Lonza Japan K.K.), dicyclopentadiene structure-containing cyanate ester resins such as DT-4000 and DT-7000 (manufactured by Lonza Japan K.K.), and the like.

벤조옥사진계 경화제의 구체예로서는, 쇼와코훈시(주) 제조의 「HFB2006M」, 시코쿠카세이고교(주) 제조의 「P-d」, 「F-a」를 들 수 있다. 벤조옥사진계 경화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Specific examples of the benzoxazine type curing agent include "HFB2006M" manufactured by Shawako Co., Ltd., "P-d" and "F-a" manufactured by Shikoku Kasei Co., The benzoxazine-based curing agent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산무수물계 경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무수프탈산, 테트라하이드로 무수프탈산, 헥사하이드로 무수프탈산, 메틸테트라하이드로 무수프탈산, 메틸헥사하이드로 무수프탈산, 메틸나딕산 무수물, 수소화 메틸나딕산 무수물, 트리알킬테트라하이드로 무수프탈산, 도데세닐 무수석신산, 5-(2,5-디옥소테트라하이드로-3-푸라닐)-3-메틸-3-사이클로헥센-1,2-디카복실산 무수물, 무수트리멜리트산, 무수피로멜리트산, 벤조페논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 비페닐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 나프탈렌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 옥시디프탈산 이무수물, 3,3'-4,4'-디페닐설폰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 1,3,3a,4,5,9b-헥사하이드로-5-(테트라하이드로-2,5-디옥소-3-푸라닐)-나프토[1,2-C]푸란-1,3-디온, 에틸렌글리콜비스(안하이드로트리메리테이트), 스티렌과 말레산이 공중합한 스티렌·말레산 수지 등의 중합체형의 산무수물 등을 들 수 있다. 산무수물계 경화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Examples of the acid anhydride-based curing agent include anhydride phthalic acid, tetrahydrophthalic anhydride, hexahydrophthalic anhydride, methyltetrahydrophthalic anhydride, methylhexahydrophthalic anhydride, methylnadic acid anhydride, hydrogenated methylnadic anhydride, trialkyltetrahydro Dicarboxylic anhydride, anhydrous phthalic acid, dodecenylmixerous acid, 5- (2,5-dioxotetrahydro-3-furanyl) -3-methyl-3-cyclohexene-1,2-dicarboxylic acid anhydride, 1, 3'-4,4'-diphenylsulfonetetracarboxylic acid dianhydride, 1, 3'-4,4'-diphenylsulfonetetracarboxylic acid dianhydride, pyromellitic acid, benzophenonetetracarboxylic acid dianhydride, biphenyltetracarboxylic acid dianhydride, naphthalenetetracarboxylic acid dianhydride, oxydiphthalic acid dianhydride, 3,3a, 4,5,9b-hexahydro-5- (tetrahydro-2,5-dioxo-3-furanyl) -naphtho [ Glycol bis (anhydrotrimellitate), a copolymer of styrene and maleic acid And polymeric acid anhydrides such as terephthalic acid and maleic acid resin. The acid anhydride-based curing agent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kinds.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의 배합 비율은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기 수를 1로 했을 때에 경화제의 반응기 수가 0.3 내지 2.0의 범위가 되는 비율이 바람직하며, 0.3 내지 1.5의 범위가 되는 비율이 보다 바람직하며, 0.4 내지 1.1의 범위가 되는 비율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에폭시 수지의 에폭시기 수란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각 에폭시 수지의 고형분 질량을 에폭시 당량으로 나눈 값을 모든 에폭시 수지에 관해서 합계한 값이다. 또한, 경화제의 반응기 수란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각 경화제의 고형분 질량을 반응기 당량으로 나눈 값을 모든 경화제에 관해서 합계한 값이다. The mixing ratio of the epoxy resin and the curing agent is preferably such that the number of reactors of the curing agent is in the range of 0.3 to 2.0 when the number of epoxy groups of the epoxy resin is 1,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0.3 to 1.5, Is more preferable. The epoxy group suspension of the epoxy resin i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solid content of each epoxy resin contained in the resin composition by the epoxy equivalent, in terms of all epoxy resins. The reactor water of the curing agent i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solid content of each curing agent contained in the resin composition by the equivalent of the reactor with respect to all the curing agents.

프리프레그에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열가소성 수지, 경화 촉진제, 난연제 및 고무 입자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The resin composition for use in the prepreg may further contain additives such as a thermoplastic resin, a curing accelerator, a flame retardant and rubber particles, if necessary.

-열가소성 수지-- Thermoplastic resin -

프리프레그에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은, 프리프레그를 경화시킨 후에 표면을 조화 처리하여 적당한 조화면을 갖는 절연층을 형성할 수 있는 관점에서,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해도 좋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페녹시 수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부타디엔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폴로에테르설폰 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및 폴리설폰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The resin composition to be used in the prepreg may contain a thermoplastic resin from the viewpoint of forming an insulating layer having an appropriate roughened surface by roughening the surface after the prepreg is cured. Examples of the thermoplastic resin include phenoxy resin, polyvinyl acetal resin, polyolefin resin, polybutadiene resin, polyimide resin, polyamideimide resin, polyether sulfone resin, polyphenylene ether resin and polysulfone resin. . The thermoplastic resin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kinds.

열가소성 수지의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8,000 내지 70,000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10,000 내지 60,00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며, 15,000 내지 60,000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며, 20,000 내지 60,000의 범위가 더욱 보다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의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GPC)법으로 측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열가소성 수지의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측정 장치로서 (주)시마즈세사쿠쇼 제조 LC-9A/RID-6A를, 칼럼으로서 쇼와덴코(주) 제조 Shodex K-800P/K-804L/K-804L을, 이동상으로서 클로로포름 등을 사용하여, 칼럼 온도 40℃에서 측정하여 표준 폴리스티렌의 검량선을 사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thermoplastic resin in terms of polystyrene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8,000 to 70,000,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000 to 60,000, still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15,000 to 60,000, and still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000 to 60,000.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thermoplastic resin in terms of polystyrene is measured by a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method. Concretely,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thermoplastic resin in terms of polystyrene was measured using LC-9A / RID-6A manufactured by Shimadzu Corporation, Shodex K-800P / K- 804L / K-804L can be measured using a calibration curve of standard polystyrene at a column temperature of 40 占 폚 using chloroform or the like as the mobile phase.

페녹시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비스페놀 A 골격, 비스페놀 F 골격, 비스페놀 S 골격, 비스페놀아세트페논 골격, 노볼락 골격, 비페닐 골격, 플루오렌 골격, 디사이클로펜타디엔 골격, 노르보르넨 골격, 나프탈렌 골격, 안트라센 골격, 아다만탄 골격, 테르펜 골격, 및 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 골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골격을 갖는 페녹시 수지를 들 수 있다. 페녹시 수지의 말단은 페놀성 수산기, 에폭시기 등의 어느 관능기라도 좋다. 페녹시 수지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페녹시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미쯔비시가가쿠(주) 제조의「1256」및「4250」(모두 비스페놀 A 골격 함유 페녹시 수지),「YX8100」(비스페놀 S 골격 함유 페녹시 수지), 및「YX6954」(비스페놀아세트페논 골격 함유 페녹시 수지)를 들 수 있고, 그 외에도, 토토가세이(주) 제조의「FX280」및「FX293」, 미쯔비시가가쿠(주) 제조의「YL7553」,「YL6794」,「YL7213」,「YL7290」및「YL7482」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phenoxy resin include bisphenol A skeleton, bisphenol F skeleton, bisphenol S skeleton, bisphenol acetophenone skeleton, novolac skeleton, biphenyl skeleton, fluorene skeleton, dicyclopentadiene skeleton, norbornene skeleton, A phenoxy resin having at least one skelet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keleton, an anthracene skeleton, an adamantane skeleton, a terpene skeleton, and a trimethyl cyclohexane skeleton. The terminal of the phenoxy resin may be any functional group such as a phenolic hydroxyl group or an epoxy group. The phenoxy resin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kinds. Specific examples of the phenoxy resin include "1256" and "4250" (both phenol resins containing a bisphenol A skeleton), "YX8100" (phenoxy resin containing a bisphenol S skeleton), and "YX6954" (Phenoxy resin containing a bisphenol acetophenone skeleton). In addition, "FX280" and "FX293" manufactured by Totogassei Co., Ltd., "YL7553", "YL6794" YL7213 &quot;, &quot; YL7290 &quot;, and &quot; YL7482 &quot;.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덴키가가쿠고교(주) 제조의 덴카부티랄 4000-2, 5000-A, 6000-C, 6000-EP, 세키스이가가쿠고교(주) 제조의 에스렉 BH 시리즈, BX 시리즈, KS 시리즈, BL 시리즈, BM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the polyvinyl acetal resin include DENKA BUTYRAL 4000-2, 5000-A, 6000-C, 6000-EP manufactured by Denki Kagaku Kogyo K.K., , BX series, KS series, BL series, BM series and the like.

폴리이미드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신니혼리카(주) 제조의「리카코트SN20」및「리카코트PN20」을 들 수 있다. 폴리이미드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또한, 2관능성 하이드록실기 말단 폴리부타디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4염기산 무수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선상 폴리이미드(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6-37083호에 기재된 것), 폴리실록산 골격 함유 폴리이미드(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12667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319386호에 기재된 것) 등의 변성 폴리이미드를 들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the polyimide resin include "Rika Coat SN20" and "Rika Coat PN20" manufactured by Shin-Nihon Rika K.K. Specific examples of the polyimide resin include linear polyimides (described in JP-A No. 2006-37083) obtained by reacting bifunctional hydroxyl-terminated polybutadiene, diisocyanate compound and tetrabasic acid anhydride, polysiloxane skeleton And modified polyimides such as polyimide containing polyimid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12667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319386).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토요보세키(주) 제조의「바이로맥스HR11NN」및「바이로맥스HR16NN」을 들 수 있다.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또한, 히타치가세이고교(주) 제조의 폴리실록산 골격 함유 폴리아미드이미드「KS9100」,「KS9300」등의 변성 폴리아미드이미드를 들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the polyamide-imide resin include "Viromax HR11NN" and "Viromax HR16NN" manufactured by Toyo Boseki K.K. Specific examples of the polyamideimide resin include modified polyamideimide such as polyamideimide "KS9100" and "KS9300" containing polysiloxane skeleton manufactured by Hitachi Chemical Co., Ltd.

폴리에테르설폰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스미토모가가쿠(주) 제조의「PES5003P」등을 들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the polyether sulfone resin include "PES5003P" manufactured by Sumitomo Chemical Co., Ltd., and the like.

폴리설폰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솔베이어드밴스트폴리머즈(주) 제조의 폴리설폰「P1700」,「P3500」등을 들 수 있다. Specific examples of the polysulfone resin include polysulfone "P1700" and "P3500" manufactured by Solvay Advanced Polymers Co., Ltd.

수지 조성물 중의 열가소성 수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6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질량%,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질량%이다. The content of the thermoplastic resin in the resin composition is preferably 0.1 to 60 mass%, more preferably 0.1 to 50 mass%, still more preferably 0.5 to 30 mass%, still more preferably 0.5 to 10 mass%.

-경화 촉진제-- Curing accelerator -

프리프레그에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은, 프리프레그의 열경화를 원활하게 진행시키는 관점에서, 경화 촉진제를 함유해도 좋다. 경화 촉진제로서는, 예를 들면, 인계 경화 촉진제, 아민계 경화 촉진제, 이미다졸계 경화 촉진제, 구아니딘계 경화 촉진제 등을 들 수 있다. 경화 촉진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The resin composition used for the prepreg may contain a curing accelerator from the viewpoint of smoothly progressing the thermal curing of the prepreg. Examples of the curing accelerator include phosphorus hardening accelerator, amine hardening accelerator, imidazole hardening accelerator, guanidine hardening accelerator and the like. The curing accelerator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kinds.

수지 조성물 중의 경화 촉진제의 함유량은,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의 불휘발 성분의 합계를 100질량%로 했을 때,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질량%이다. The content of the curing accelerator in the resin composition is preferably 0.01 to 3% by mass, more preferably 0.01 to 2% by mass, more preferably 0.01 to 3% by mass, 0.01 to 1% by mass.

-난연제-- Flame retardant -

프리프레그에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은, 난연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난연제를 함유해도 좋다. 난연제로서는, 예를 들면, 유기 인계 난연제, 유기계 질소 함유 인 화합물, 질소 화합물, 실리콘계 난연제, 금속 수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인계 난연제로서는, 산코(주) 제조의 HCA, HCA-HQ, HCA-NQ 등의 페난트렌형 인 화합물, 쇼와코훈시(주) 제조의 HFB-2006M 등의 인 함유 벤조옥사진 화합물, 아지노모토파인테크노(주) 제조의 레오포스30, 50, 65, 90, 110, TPP, RPD, BAPP, CPD, TCP, TXP, TBP, TOP, KP140, TIBP, 홋코가가쿠고교(주) 제조의 TPPO, PPQ, 클라리언트(주) 제조의 OP930, 다이하치가가쿠(주) 제조의 PX200 등의 인산 에스테르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유기계 질소 함유 인 화합물로서는, 시코쿠가세이고교(주) 제조의 SP670, SP703 등의 인산에스테르아미드 화합물, 오오츠카가가쿠(주) 제조의 SPB100, SPE100, (주)후세미세야쿠쇼 제조 FP-series 등의 포스파젠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수산화물로서는, 우베마테리알즈(주) 제조의 UD65, UD650, UD653 등의 수산화마그네슘, 토모에고교(주) 제조의 B-30, B-325, B-315, B-308, B-303, UFH-20 등의 수산화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다. 난연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수지 조성물 중의 난연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0.5 내지 10질량%가 바람직하며, 1 내지 9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The resin composition used for the prepreg may contain a flame retardant agent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flame retardancy. Examples of the flame retardant include an organic phosphorus flame retardant, an organic nitrogen-containing phosphorus compound, a nitrogen compound, a silicon-based flame retardant, a metal hydroxid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organophosphorus flame retardant include phenanthrene-type phosphorus compounds such as HCA, HCA-HQ and HCA-NQ manufactured by Sanko Co., Ltd., phosphorus-containing benzoxazine compounds such as HFB-2006M manufactured by Showa Kogyo Co., TPPO, PPQ (manufactured by Hokko Chemical Industry Co., Ltd.), TPPO, TPP, TPP, TPP, , OP930 (manufactured by Clariant), and PX200 (manufactured by Daihachi Kagaku Co., Ltd.). Examples of the organic nitrogen-containing phosphorus compound include phosphate ester amide compounds such as SP670 and SP703 manufactured by Shikoku Chemical Industry Co., Ltd., SPB100, SPE100 manufactured by Otsuka Chemical Co., Ltd., and FP-series manufactured by FUSEMIZEKAISHO CO., LTD. Phosphazene compounds,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metal hydroxide include magnesium hydroxide such as UD65, UD650 and UD653 manufactured by Ube Industries, Ltd., B-30, B-325, B-315, B-308, B- And aluminum hydroxide such as UFH-20. The flame retardant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flame retardants may be used in combination. The content of the flame retardant in the resin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0.5 to 10% by mass, more preferably 1 to 9% by mass.

-고무 입자-- rubber particles -

프리프레그에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은, 프리프레그를 경화시킨 후에 표면을 조화 처리하여 적당한 조화면을 갖는 절연층을 형성할 수 있는 관점에서, 고무 입자를 함유해도 좋다. 고무 입자로서는, 예를 들면, 후술하는 유기 용제에 용해되지 않고, 상기의 에폭시 수지, 경화제, 및 열가소성 수지 등과도 상용되지 않는 것이 사용된다. 이러한 고무 입자는, 일반적으로는, 고무 성분의 분자량을 유기 용제나 수지에 용해되지 않는 레벨로까지 크게 하여, 입자상으로 함으로써 조제된다. The resin composition for use in the prepreg may contain rubber particles from the viewpoint of forming an insulating layer having an appropriate roughened surface by roughening the surface after the prepreg is cured. As the rubber particles, those which do not dissolve in the later-described organic solvent and are not compatible with the above-mentioned epoxy resin, curing agent, thermoplastic resin and the like are used. Generally, such rubber particles are prepared by increasing the molecular weight of the rubber component to a level that does not dissolve in an organic solvent or a resin, thereby forming a granular phase.

고무 입자로서는, 예를 들면, 코어쉘형 고무 입자, 가교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입자, 가교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입자, 아크릴 고무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코어쉘형 고무 입자는, 코어층과 쉘층을 갖는 고무 입자이며, 예를 들면, 외층의 쉘층이 유리상 중합체로 구성되고, 내층의 코어층의 고무상 중합체로 구성되는 2층 구조, 또는 외층의 쉘층이 유리상 중합체로 구성되고, 중간층이 고무상 중합체로 구성되고, 코어층이 유리상 중합체로 구성되는 3층 구조인 것 등을 들 수 있다. 유리상 중합체는, 예를 들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중합물 등으로 구성되고, 고무상 중합체층은, 예를 들면, 부틸아크릴레이트 중합물(부틸 고무) 등으로 구성된다. 코어쉘형 고무 입자의 구체예로서는, 스타필로이드 AC3832, AC3816N, IM-401개1, IM-401개7-17(간츠가세이(주) 제조), 메타블렌KW-4426(미쯔비시레이온(주) 제조)을 들 수 있다. 가교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입자의 구체예로서는, XER-91(평균 입자 직경 0.5㎛, JSR(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가교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입자의 구체예로서는, XSK-500(평균 입자 직경 0.5㎛, JSR(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아크릴 고무 입자의 구체예로서는, 메타블렌W300A(평균 입자 직경 0.1㎛), W450A(평균 입자 직경 0.2㎛)(미쯔비시레이온(주) 제조)를 들 수 있다. 고무 입자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Examples of the rubber particles include core-shell type rubber particles, crosslinked 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particles, crosslinked styrene-butadiene rubber particles, acrylic rubber particles and the like. The core-shell-type rubber particles are rubber particles having a core layer and a shell layer. For example, the core-shell rubber particles may be a two-layer structure in which the shell layer of the outer layer is composed of a glassy polymer and the core layer of the core layer is composed of a rubber- A three-layer structure composed of a glassy polymer, an intermediate layer made of a rubbery polymer and a core layer made of a glassy polymer, and the like. The glassy polymer is composed of, for example, a methyl methacrylate polymer or the like, and the rubbery polymer layer is composed of, for example, a butyl acrylate polymer (butyl rubber). Specific examples of the core-shell type rubber particles include star filloids AC3832, AC3816N, IM-401 1, IM-401 7-17 (manufactured by Kanto Kasei Co., Ltd.), Metablen KW-4426 (manufactured by Mitsubishi Rayon Co., ). Specific examples of crosslinked acrylonitrile butadiene rubber (NBR) particles include XER-91 (average particle diameter 0.5 mu m, manufactured by JSR Corporation). Specific examples of the crosslinked styrene butadiene rubber (SBR) particles include XSK-500 (average particle diameter 0.5 mu m, manufactured by JSR Corporation). Specific examples of the acrylic rubber particles include Metablen W300A (average particle diameter 0.1 mu m) and W450A (average particle diameter 0.2 mu m) (manufactured by Mitsubishi Rayon Co., Ltd.). The rubber particles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rubber particl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고무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1㎛의 범위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6㎛의 범위이다. 고무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동적 광산란법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당한 유기 용제에 고무 입자를 초음파 등에 의해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농후계 입자 직경 애널라이저(FPAR-1000; 오츠카덴시(주) 제조)를 사용하여, 고무 입자의 입도 분포를 질량 기준으로 작성하고, 그 메디안 직경을 평균 입자 직경으로 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수지 조성물 중의 고무 입자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질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질량%이다.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rubber particles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005 to 1 占 퐉, and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0.2 to 0.6 占 퐉.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rubber particles can be measured using a dynamic light scattering method. For example, rubber particles are uniformly dispersed in an appropriate organic solvent by ultrasonic waves or the like, and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rubber particles is measured on a mass basis using a particle diameter analyzer (FPAR-1000, manufactured by Otsuka Denshi Co., Ltd.) , And measuring the median diameter as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The content of the rubber particles in the resin composition is preferably 1 to 10% by mass, and more preferably 2 to 5% by mass.

-기타 성분-- Other ingredients -

프리프레그에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기타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기타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비닐벤질 화합물, 아크릴 화합물, 말레이미드 화합물, 블록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같은 열경화성 수지, 실리콘 파우더, 나일론 파우더, 불소 파우더 등의 유기 충전제, 올벤, 벤톤 등의 증점제, 실리콘계, 불소계, 고분자계의 소포제 또는 레벨링제, 이미다졸계 커플링제, 티아졸계 커플링제, 트리아졸계 커플링제, 실란계 커플링제 등의 밀착성 부여제, 프탈로시아닌·블루, 프탈로시아닌·그린, 아이오딘·그린, 디스아조옐로우, 카본블랙 등의 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 The resin composition for use in the prepreg may contain other components as required. Examples of the other components include thermosetting resins such as vinyl benzyl compounds, acrylic compounds, maleimide compounds and block isocyanate compounds, organic fillers such as silicone powder, nylon powder and fluorine powder, thickeners such as allene and benton, , Antifoaming agents or leveling agents of high molecular weight type, imidazole type coupling agents, thiazole type coupling agents, triazole type coupling agents and silane type coupling agents, phthalocyanine blue, phthalocyanine green, iodine green, A coloring agent such as yellow, carbon black and the like.

프리프레그에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은 상기의 각 성분을 적절히 혼합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혼련 수단(3개 롤, 볼 밀, 비즈 밀, 샌드 밀 등) 또는 교반 수단(슈퍼 믹서, 플라네터리 믹서 등)에 의해 혼련 또는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The resin composition for use in the prepreg may be prepared by appropriately mixing the respective components described above and further mixing them with a kneading means (3 rolls, a ball mill, a bead mill, a sand mill or the like) or a stirring means (super mixer, planetary mixer Or the like).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솔벤트법, 핫멜트법 등을 들 수 있고, 이하의 방법 (i) 내지 (iv)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방법이 적합하다.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carrier-loaded prepre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solvent method and a hot-melt method, and at least one metho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following methods (i) to (iv)

(i): 수지 조성물을 유기 용제에 용해하지 않고, 수지 조성물을 캐리어 필름 위에 일단 코팅하고, 그것을 섬유 기재에 라미네이트하는 방법(i) a method of temporarily coating a resin composition on a carrier film without dissolving the resin composition in an organic solvent and then laminating the resin composition on the fiber substrate

(ii): 다이코터 등에 의해 수지 조성물을 섬유 기재 위에 직접 도포하여 프리프레그를 형성하고, 그 후 캐리어 필름 위에 프리프레그를 라미네이트하는 방법(ii) a method in which a resin composition is applied directly onto a fiber substrate by a die coater or the like to form a prepreg, and then a prepreg is laminated on the carrier film

(iii): 수지 조성물을 유기 용제에 용해한 수지 바니쉬를 조제하고, 섬유 기재를 수지 바니쉬에 침지, 함침, 건조시켜 프리프레그를 형성하고, 그 후 캐리어 필름 위에 프리프레그를 라미네이트하는 방법(iii) a method of preparing a resin varnish in which a resin composition is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immersing, impregnating and drying the fiber substrate with a resin varnish to form a prepreg, and then laminating a prepreg on the carrier film

(iv): 캐리어 필름 위에 다이코터 등을 사용하여 수지 바니쉬를 직접 도포하여 수지 조성물층을 형성하고, 상기 수지 조성물층을 섬유 기재의 양면으로부터 라미네이트하는 방법(iv): a method in which a resin varnish is applied directly onto a carrier film using a die coater or the like to form a resin composition layer, and a method of laminating the resin composition layer from both sides of the fiber substrate

수지 바니쉬를 사용하는 경우, 유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및 사이클로헥산온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셀로솔브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및 카르비톨아세테이트 등의 아세트산에스테르류, 셀로솔브 및 부틸카르비톨 등의 카르비톨류, 톨루엔 및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및 N-메틸피롤리돈 등의 아미드계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용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좋다. When a resin varnish is used, examples of the organic solvent include ketones such as acetone, methyl ethyl ketone and cyclohexanone, ethyl acetate, butyl acetate, cellosolve acetate,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and carbitol acetate Aromatic hydrocarbons such as toluene and xylene; amide solvents such as dimethylformamide, dimethylacetamide and N-methylpyrrolidone; and the like. The organic solvent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kinds.

수지 바니쉬의 건조는 가열, 열풍 분사 등의 공지의 건조 방법에 의해 실시하면 좋다. 건조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후술하는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프리프레그가 유동성(플로우성) 및 접착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수지 바니쉬의 건조시에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를 가능한 한 진행시키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프리프레그 중에 유기 용제가 많이 잔류하면, 경화 후에 팽창이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이로 인해, 프리프레그 중의 잔류 유기 용제량이 통상 5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질량% 이하가 되도록 건조시킨다. 수지 바니쉬 중의 유기 용제의 비점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예를 들면 30 내지 60질량%의 유기 용제를 함유하는 바니쉬를 사용하는 경우, 통상 80 내지 180℃에서 3 내지 20분간 건조시키는 것이 적합하다. The drying of the resin varnish may be carried out by a known drying method such as heating or hot air blowing. The drying condition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necessary for the prepreg to have fluidity (flow property) and adhesiveness in a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to be described later. Therefore, when drying the resin varnish, it is important not to advance the curing of the resin composition as far as possible. On the other hand, if a large amount of organic solvent remains in the prepreg, it may cause expansion after curing. Thus, the organic solvent is dried so that the amount of residual organic solvent in the prepreg is usually 5 mass% or less, preferably 2 mass% or less. Although it depends on the boiling point of the organic solvent in the resin varnish, when a varnish containing, for example, 30 to 60 mass% of organic solvent is used, drying is preferably carried out at 80 to 180 ° C for 3 to 20 minutes.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하는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는, 상기한 바와 같이, 캐리어 필름 위에 프리프레그를 설치함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는 캐리어 필름과, 상기 캐리어 필름과 접합하는 프리프레그를 포함한다. 상기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에 있어서, 캐리어 필름과 프리프레그 사이에 극박 수지층을 포함해도 좋다. 따라서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는 캐리어 필름과, 상기 캐리어 필름과 접합하는 극박 수지층과, 상기 극박 수지층과 접합하는 프리프레그를 포함한다. 여기서, 극박 수지층이란 두께 1 내지 10㎛의, 섬유 기재를 함유하지 않는 수지층(절연층)을 말한다.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used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providing a prepreg on the carrier film as described above. Thus, in one embodiment,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includes a carrier film and a prepreg for bonding with the carrier film. In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an ultra-thin resin layer may be included between the carrier film and the prepreg. Accordingly, in another embodiment,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includes a carrier film, an ultra-thin resin layer that is bonded to the carrier film, and a prepreg that is bonded to the ultra-thin resin layer. Here, the ultra-thin resin layer refers to a resin layer (insulating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 to 10 mu m which contains no fiber substrate.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에 있어서, 프리프레그의 캐리어 필름과 접합하고 있지 않은 면(즉, 캐리어 필름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캐리어 필름에 준한 보호 필름을 추가로 라미네이트해도 좋다. 보호 필름을 라미네이트함으로써, 프리프레그의 표면으로의 먼지 등의 부착이나 흠집을 방지할 수 있다. 다층 프린트 배선판을 제조할 때에는, 보호 필름을 박리함으로써 사용 가능해진다. In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a protective film corresponding to the carrier film may be further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prepreg not bonded to the carrier film (that is, the surface opposite to the carrier film). By laminating a protective film, it is possible to prevent adhesion and scratches of dust or the like to the surface of the prepreg. When a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is produced, the protective film can be used by peeling off.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에 있어서, 프리프레그의 두께는, 절연층의 두께를 얇게 하여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박형화를 도모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하,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이하 또는 50㎛ 이하이다. 프리프레그의 두께의 하한은, 프리프레그로서 소망되는 기계 강도를 확보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다. In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the thickness of the prepreg is preferably 100 占 퐉 or less, more preferably 90 占 퐉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thinning the insulating layer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70 mu m, particularly preferably not more than 60 mu m or not more than 50 mu m. The lower limit of the thickness of the prepreg is preferably 20 占 퐉 or more, and more preferably 30 占 퐉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ensuring the desired mechanical strength as a prepreg.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에 있어서, 프리프레그의 전체 질량을 100질량%로 했을 때, 프리프레그 중의 섬유 기재와 무기 충전재의 합계 질량은 70질량% 이상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프리프레그 중의 섬유 기재와 무기 충전재의 합계 함유량이 높은 경우, 얻어지는 절연층의 열팽창 계수를 낮게 억제할 수 있는 한편, 표면이 평활한 절연층을 얻는 것이 곤란한 것을 본 발명자들은 밝혀내고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기로 하지만, 본 발명의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섬유 기재와 무기 충전재의 합계 함유량이 70질량% 이상으로 높은 프리프레그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표면이 평활한 절연층을 유리하게 실현할 수 있다. In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when the total mass of the prepreg is 100 mass%, the total mass of the fibrous base material and the inorganic filler in the prepreg is 70 mass% or more.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when the total content of the fibrous base material and the inorganic filler in the prepreg is high,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resulting insulating layer can be suppressed to a low level, while it is difficult to obtain an insulating layer having a smooth surface have. Although the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the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ed printed circuit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 prepreg having a total content of the fibrous base material and the inorganic filler of 70% by mass or more is used, .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에 있어서, 프리프레그 중의 섬유 기재와 무기 충전재의 함유 비율(섬유 기재/무기 충전재의 질량비)은, 프리프레그의 기계 강도 및 박형화를 달성하는 관점에서, 0.2 내지 2.5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섬유 기재의 틈을 많은 무기 충전재로 매움으로써 절연층의 열팽창 계수를 효율적으로 저하시킬 수 있는 관점에서, 상기 함유 비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2.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1 이하,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1.9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7 이하 또는 1.5 이하이다. 또한, 수지 조성물의 용융 점도의 상승을 방지하고, 무기 충전재가 효율적으로 섬유 기재의 틈에 들어가게 되는 관점에서, 상기 함유 비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이상,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0.35 이상이다. In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the content ratio of the fibrous base material and the inorganic filler in the prepreg (mass ratio of fibrous base / inorganic filler) is preferably controlled to 0.2 to 2.5 from the viewpoint of achieving mechanical strength and thinning of the prepreg Do. The content ratio is more preferably 2.3 or less, more preferably 2.1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2.1 or less, from the viewpoint that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insulating layer can be effectively lowered by inserting the gap of the fiber base material with a large amount of inorganic filler Is 1.9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1.7 or less or 1.5 or less. From the viewpoint that the increase of the melt viscosity of the resin composition is prevented and the inorganic filler is efficiently introduced into the gap of the fiber base material, the content ratio is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0.25,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0.3, Is 0.35 or more.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하는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에 있어서, 프리프레그는, 후술하는 온도(T2)(즉, 본 발명의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공정 (II)의 열 프레스 온도)에 있어서, 300 내지 10000poise의 용융 점도를 가진다. 온도(T2)에 있어서의 프리프레그의 용융 점도를 이러한 범위로 함으로써, 평활한 표면을 갖는 동시에, 기판 중앙부와 기판 단부에서 두께의 차이가 작아 층 두께의 균형이 양호한 절연층을 유리하게 실현할 수 있다. 온도(T2)에 있어서의 프리프레그의 용융 점도는, 기판 중앙부와 기판 단부에서 두께의 차이가 한층 작은 절연층을 얻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600poise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0poise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poise 이상,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0poise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400poise 이상, 1600poise 이상, 1800poise 이상, 2000poise 이상, 2200poise 이상, 2400poise 이상, 2600poise 이상, 2800poise 이상 또는 30000poise 이상이다. 또한, 한층 평활한 표면을 갖는 절연층을 얻는 관점, 및 공기가 말려드는 것을 방지하여 보이드 발생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온도(T2)에 있어서의 프리프레그의 용융 점도는, 바람직하게는 9000poise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00poise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00poise 이하,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6000poise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0poise 이하이다. 온도(T2)에 있어서의 프리프레그의 용융 점도는 동적 점탄성 측정을 행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도(T2)에 있어서의 프리프레그의 용융 점도는 측정 개시 온도 60℃, 승온 속도 5℃/분, 진동수 1Hz, 변형 1deg, 측정 온도 간격 2.5℃의 조건으로 동적 점탄성 측정을 행하여, 온도와 용융 점도의 플롯도로부터, 온도(T2)(℃)에 있어서의 용융 점도를 판독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주)UBM사 제조의「Rheosol-G3000」을 들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used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preg is a prepreg which is used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prepreg is subjected to heat treatment at a temperature T2 to be described later (i.e., a heat press temperature of the step (II) i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multilayered printed circuit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 And a melt viscosity of 300 to 10,000 poise. By setting the melt viscosity of the prepreg at the temperature (T2) to be within this range, it is possible to advantageously realize an insulating layer having a smooth surface and a small thickness difference betwee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bstrate and the end portion of the substrate, . The melt viscosity of the prepreg at the temperature (T2) is preferably 600 poise or more, more preferably 900 poise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900 poise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n insulating layer having a smaller thickness difference between the center portion of the substrate and the substrate end portion More preferably at least 1000 poise, even more preferably at least 1200 poise, particularly preferably at least 1400 poise, at least 1600 poise, at least 1800 poise, at least 2000 poise, at least 2200 poise, at least 2400 poise, at least 2600 poise, at least 2800 poise, or at least 30000 poise. The melting viscosity of the prepreg at the temperature T2 is preferably 9000 poise or less, more preferably 9000 poise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n insulating layer having a smoother surface and preventing air from being curled to suppress generation of voids, More preferably 8000 poise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7000 poise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6000 poise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5000 poise or less. The melt viscosity of the prepreg at the temperature T2 can be obtained by performing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ement. For example, the melt viscosity of the prepreg at temperature T2 was measured under the conditions of a measurement start temperature of 60 占 폚, a temperature raising rate of 5 占 폚 / min, a frequency of 1 Hz, a deformation of 1 deg, and a measurement temperature interval of 2.5 占 폚, Can be obtained by reading the melt viscosity at the temperature (T2) (占 폚) from the plot of the temperature and the melt viscosity. As a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ing device, for example, "Rheosol-G3000" manufactured by UBM Co., Ltd. can be mentioned.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본 발명의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은, (I) 캐리어 필름 위에 프리프레그가 형성된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를, 프리프레그가 내층 회로 기판과 접합하도록, 내층 회로 기판에 라미네이트하는 공정, (II) 라미네이트된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를 열프레스하여 평활화하는 공정, 및 (III) 프리프레그를 열경화하여 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프리프레그의 전체 질량을 100질량%로 했을 때, 프리프레그 중의 섬유 기재와 무기 충전재의 합계 질량이 70질량% 이상이고, 공정 (II)의 열프레스 온도에 있어서의 프리프레그의 용융 점도가 300 내지 10000poise이고, 공정 (I) 후의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의 캐리어 필름 표면의 최대 단면 높이(Rt)가 5㎛ 미만이고, 또한, 공정 (I)의 라미네이트 온도를 T1(℃), 공정 (II)의 열프레스 온도를 T2(℃)로 할 때, T1과 T2가 T2≤T1+10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process for producing a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I) laminating a carrier mounting prepreg on which a prepreg is formed on a carrier film, with an inner layer circuit board so that the prepreg is bonded to the innerlayer circuit board, (II) And (III) a step of thermally curing the prepreg to form an insulating layer, wherein when the total mass of the prepreg is set at 100 mass%, the amount of the fibrous substrate in the prepreg And the inorganic filler is 70 mass% or more, the melt viscosity of the prepreg at the hot press temperature in the step (II) is 300 to 10000 poise, and the maximum of the surface of the carrier film after the step (I) (T1) and T2 (占 폚), respectively, when the cross-sectional height Rt is less than 5 占 퐉 and the laminate temperature of step (I) is T1 Characterized in that that satisfies the relationship of 10 + T2≤T1.

<공정 (I)>&Lt; Process (I) >

공정 (I)에 있어서, 캐리어 필름 위에 프리프레그가 형성된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를, 프리프레그가 내층 회로 기판과 접합하도록, 내층 회로 기판에 라미네이트한다. In the step (I),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on which the prepreg is formed on the carrier film is laminated on the inner-layer circuit board so that the prepreg is bonded to the inner-layer circuit board.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에 관해서는 상기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하는 프리프레그는, 프리프레그의 전체 질량을 100질량%로 했을 때, 프리프레그 중의 섬유 기재와 무기 충전재의 합계 질량이 70질량% 이상이며, 공정 (II)의 열프레스 온도에 있어서의 용융 점도가 300 내지 10000pois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is as described above. The prepreg used i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total mass of the fibrous base material and the inorganic filler in the prepreg is 70% by mass or more when the total mass of the prepreg is 100% by mass and the heat press temperature And a melt viscosity of 300 to 10,000 poise.

본 발명의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내층 회로 기판」이란, 유리 에폭시 기판, 금속 기판, 폴리에스테르 기판, 폴리이미드 기판, BT 레진 기판, 열경화형 폴리페닐렌에테르 기판 등의 기판의 한쪽면 또는 양면에 패턴 가공된 도체층(회로 도체)을 가지고, 다층 프린트 배선판을 제조할 때에, 추가로 절연층 및 도체층이 형성되어야 하는 중간 제조물을 말한다.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ed printed circuit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inner layer circuit board" refers to a substrate such as a glass epoxy substrate, a metal substrate, a polyester substrate, a polyimide substrate, a BT resin substrate, a thermosetting polyphenylene ether substrate, Refers to an intermediate product which has a conductive layer (circuit conductor) patterned on its surface or both surfaces and in which a further insulating layer and a conductive layer are to be formed when producing a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기판의 한쪽면 또는 양면에 패턴 가공된 회로 도체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박형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7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20㎛ 이하, 15㎛ 이하 또는 10㎛ 이하이다. 회로 도체의 두께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이상이다. The thickness of the circuit conductor pattern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substr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70 占 퐉 or less, more preferably 60 占 퐉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thinning of the multilayered printed circuit board,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40 mu m, particularly preferably not more than 30 mu m, not more than 20 mu m, not more than 15 mu m, or not more than 10 mu m. The lower limit of the thickness of the circuit conduc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 占 퐉 or more, more preferably 3 占 퐉 or more, and further preferably 5 占 퐉 or more.

기판의 한쪽면 또는 양면에 패턴 가공된 회로 도체의 라인/스페이스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절연층 표면의 기복을 억제하여 표면 평활성이 우수한 절연층을 얻는 관점에서, 통상적으로 900/900㎛ 이하, 바람직하게는 700/7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5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300㎛ 이하,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200㎛ 이하이다. 회로 도체의 라인/스페이스비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스페이스 사이로의 프리프레그의 매립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1/1㎛ 이상이다. The line / space ratio of the patterned circuit conductor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substr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900/900 占 퐉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n insulating layer excellent in surface smoothness by suppressing undulations on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Preferably 700/700 탆 or less, more preferably 500/500 탆 or less, further preferably 300/300 탆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200/200 탆 or less. Although the lower limit of the line / space ratio of the circuit conduc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t is preferably 1/1 占 퐉 or more in order to improve the filling of the prepreg between the spaces.

또한, 내층 회로 기판의 표면에 있어서의 회로 도체 점유율((회로 도체 부분의 면적)/(내층 회로 기판의 표면적)×100[%])은 원하는 특성에 따라 결정하면 좋다. 회로 도체 점유율은 회로 도체가 구리로 형성될 때에는「잔동율」이라고도 칭해진다. 회로 도체 점유율은 내층 회로 기판의 표면에 걸쳐 분포가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1 회로 도체 점유율을 갖는 영역과 제 2 회로 도체 점유율을 갖는 영역이 형성된 내층 회로 기판을 사용해도 좋다. 일반적인 경향으로서, 회로 도체 점유율이 낮을수록, 내층 회로 기판 위에 형성되는 절연층의 회로 도체 위의 두께는 얇아진다. 특히, 절연층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리프레그의 두께가 얇을수록, 이러한 경향은 현저해진다. 여기서,「절연층의 회로 도체 위의 두께」란 회로 도체의 바로 위에 있어서의 절연층의 두께를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기판 단부와 기판 중앙부에서 두께의 차이가 작은 절연층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두께가 얇은 프리프레그를 사용하는 경우라도, 기판 전체에 걸쳐 소기의 절연 신뢰성을 나타내는 절연층을 실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기판 단부의 절연층의 두께란 기판 단부에 있어서의 절연층의 회로 도체 위의 두께를 말하며, 기판 중앙부의 절연층의 두께란 기판 중앙부에 있어서의 절연층의 회로 도체 위의 두께를 말한다. (The area of the circuit conductor portion) / (the surface area of the inner-layer circuit board) x 100 [%]) on the surface of the inner-layer circuit board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sired characteristics. The circuit conductor occupancy rate is also referred to as the &quot; remaining rate &quot; when the circuit conductor is formed of copper. The circuit conductor occupancy may be distributed over the surface of the inner layer circuit board. For example, an inner-layer circuit substrate on which a region having a first circuit conductor occupation ratio and a region having a second circuit conductor occupancy ratio are formed may be used. As a general tendency, the lower the circuit conductor occupation rate, the thinner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formed on the inner-layer circuit board on the circuit conductor becomes. Particularly, the thinner the thickness of the prepreg used for forming the insulating layer, the greater the tendency becomes. Here,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on the circuit conductor" means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immediately above the circuit conducto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sulating layer having a small thickness difference can be realized at the substrate end portion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bstrate, even when a thin prepreg is used, an insulating layer exhibiting desired insulation reliability over the entire substrate can be realized have.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at the substrate end portion means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at the substrate end portion on the circuit conductor, and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substrate means .

공정 (I)에 있어서의 라미네이트 처리는, 예를 들면, 감압 조건하, 프리프레그가 내층 회로 기판과 접합하도록,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를 내층 회로 기판에 가열 압착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를 내층 회로 기판에 가열 압착하는 부재(이하,「가열 압착 부재」라고도 한다)로서는, 예를 들면, 가열된 금속판(SUS 경판 등) 또는 금속 롤(SUS 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가열 압착 부재를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에 직접 프레스하는 것이 아니라, 내층 회로 기판의 표면 요철에 프리프레그가 충분히 추종하도록, 내열 고무 등의 탄성재를 개재하여 프레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는 내층 회로 기판의 한쪽면에 라미네이트해도 좋고, 내층 회로 기판의 양면에 라미네이트해도 좋다. The lamination treatment in the step (I)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by heating and pressing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on the inner layer circuit board so that the prepreg is bonded to the inner layer circuit board under a reduced pressure condition. Examples of the member for heating and pressing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to the inner layer circuit board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hot pressing member") include a heated metal plate (SUS hard plate) or a metal roll (SUS roll) . It is also preferable to press the heat-press member through an elastic material such as heat-resistant rubber so that the prepreg can sufficiently follow the surface unevenness of the inner-layer circuit board, not directly press the carrier-adhered prepreg.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may be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inner layer circuit board or may be laminat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layer circuit board.

라미네이트 처리시의 가열 온도(이하,「라미네이트 온도」라고도 한다.)는, 내층 회로 기판의 표면 요철에 대한 프리프레그의 추종성을 높여 표면이 평활한 절연층을 얻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110℃ 이상 또는 120℃ 이상이다. 또한, 수지가 스며 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층 두께의 균형이 양호한 절연층을 얻는 관점에서, 라미네이트 온도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6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 이하,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 이하이다. 한편, 라미네이트 온도란 가열 압착 부재의 표면 온도를 말하고, 내열 고무 등의 탄성재를 개재하여 프레스하는 경우에는,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와 접합하는 상기 탄성재의 표면의 온도를 말한다. The heating temperature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quot; laminate temperature &quot;) at the time of the lamination treatment is preferably 60 ° C or higher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n insulating layer having a smooth surface by increasing the followability of the prepreg to the surface unevenness of the inner- More preferably 70 ° C or higher, even more preferably 80 ° C or higher, still more preferably 90 ° C or higher, particularly preferably 100 ° C or higher, 110 ° C or 120 ° C or higher. The upper limit of the laminate temperature is preferably 160 占 폚 or lower, more preferably 150 占 폚 or lower, still more preferably 140 占 폚 or lower, more preferably 150 占 폚 or lower,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n insulating layer having a good balance of layer thickness by preventing the resin from leaking out. Still more preferably not higher than 130 占 폚. On the other hand, the term "laminate temperature" refers to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ot pressing member, and refers to the temperature of the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bonded to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when pressed through an elastic material such as heat resistant rubber.

라미네이트 처리시의 압착 압력은, 내층 회로 기판의 표면 요철에 대한 프리프레그의 추종성을 높여 표면이 평활한 절연층을 얻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98MPa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9MPa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40MPa 이상,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0.49MPa 이상이다. 또한, 수지가 스며 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층 두께의 균형이 양호한 절연층을 얻는 관점에서, 압착 압력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77MPa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47MPa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Mpa 이하이다. The compression pressure during the lamination treatment is preferably 0.098 MPa or more, more preferably 0.29 MPa or more, still more preferably 0.29 MPa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n insulating layer having a smooth surface by increasing the followability of the prepreg to the surface unevenness of the inner- Is not less than 0.40 MPa, and even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0.49 MPa. The upper limit of the compression pressure is preferably 1.77 MPa or less, more preferably 1.47 MPa or less, further preferably 1.10 MPa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n insulating layer having a good balance of layer thickness by preventing resin from leaking out .

라미네이트 처리시의 압착 시간은, 내층 회로 기판의 표면 요철에 프리프레그를 충분히 추종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초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초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초 이상,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초 이상이다. 또한, 생산성의 관점에서, 압착 시간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300초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초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초 이하,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초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초 이하 또는 50초 이하이다. The compression time in the lamination process is preferably 10 seconds or more, more preferably 15 seconds or more, further preferably 20 seconds or more, still more preferably 20 seconds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satisfying the prepreg to the surface unevenness of the inner- It is more than 25 seconds. From the viewpoint of productivity, the upper limit of the compression time is preferably 300 seconds or less, more preferably 250 seconds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200 seconds or less, even more preferably 150 seconds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100 seconds Or 50 seconds or less.

라미네이트 처리시의 진공도는, 효율적으로 라미네이트 처리를 실시할 수 있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1hPa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hPa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hPa 이상이다. 또한, 표면이 평활한 절연층을 얻는 관점 및 절연층으로의 공기의 침입을 방지하여 보이드의 발생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진공도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27hPa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2hPa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7hPa 이하, 더욱 보다 바람직하게는 13hPa 이하이다. 한편, 보이드의 발생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진공 배기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20초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초 이상, 40초 이상, 50초 이상 또는 60초 이상이다. The degree of vacuum in the lamination treatment is preferably 0.01 hPa or more, more preferably 0.05 hPa or more, and further preferably 0.1 hPa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efficient lamination treatment. The upper limit of the degree of vacuum is preferably 27 hPa or less, more preferably 22 hPa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22 hPa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n insulating layer having a smooth surface and preventing the penetration of air into the insulating layer to suppress generation of voids Is not more than 17 hPa, and even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13 hPa. On the other hand,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voids, the vacuum evacuation time is preferably 20 seconds or more, more preferably 30 seconds or more, 40 seconds or more, 50 seconds or more, or 60 seconds or more.

공정 (I)에 의해, 내층 회로 기판과, 프리프레그가 상기 내층 회로 기판과 접합하도록 설치된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를 포함하는 적층체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표면 평활성이 우수한 절연층을 얻기 위해, 공정 (I) 후의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의 캐리어 필름 표면의 최대 단면 높이(Rt)가 5㎛ 미만이 되도록, 공정 (I)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면, 사용하는 프리프레그 및 캐리어 필름의 조성이나 종류에 따라, 상기의 라미네이트 온도, 압착 압력, 압착 시간, 진공도 등의 라미네이트 처리 조건을 조작하여, 캐리어 필름 표면의 최대 단면 높이(Rt)가 5㎛ 미만이 되도록 공정 (I)을 실시한다. By the step (I), a laminate including an inner layer circuit board and a carrier mounting prepreg provided so as to bond the inner layer circuit board to the prepreg is obta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p (I) is performed so that the maximum cross-sectional height (Rt) of the carrier film surface of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after the step (I) is less than 5 占 퐉 in order to obtain an insulating layer having excellent surface smoothness It is important. For example, lamination treatment conditions such as the above-mentioned laminate temperature, compression pressure, compression time and vacuum degree are manipulated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and type of prepreg and carrier film to be used so that the maximum cross-sectional height (Rt) of the surface of the carrier film is (I) is performed so as to be less than 5 mu m.

표면 평활성이 우수한 절연층을 얻는 관점에서, 공정 (I) 후의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의 캐리어 필름 표면의 최대 단면 높이(Rt)는 바람직하게는 4.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이하이다. 상기 최대 단면 높이(Rt)의 하한은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지만, 수지가 스며 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층 두께의 균형이 양호한 절연층을 얻는 관점에서, 통상적으로는 0.1㎛ 이상이다.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n insulating layer having excellent surface smoothness, the maximum cross sectional height (Rt) of the carrier film surface of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after the step (I) is preferably 4.5 탆 or less, more preferably 4 탆 or less, Mu] m or less. The lower limit of the maximum cross-sectional height (R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usually 0.1 mu m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the resin from seeping out and obtaining an insulating layer having a good balance of layer thickness.

캐리어 필름 표면의 최대 단면 높이(Rt)는 비접촉형 표면 거칠기계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비접촉형 표면 거칠기계의 구체예로서는 비코인스트루먼트 제조의「WYKO NT9300」을 들 수 있다. The maximum cross-sectional height (Rt) of the carrier film surface can be measured using a non-contact surface roughing machine. A specific example of the non-contact surface roughness machine is "WYKO NT9300" manufactured by Vico Instruments.

또한, 캐리어 필름은 프리프레그를 경화시켜 얻어지는 절연층에 도체층(회로 배선)을 설치하는 공정 전에 박리하면 좋으며, 예를 들면, 후술하는 공정 (II)과 공정 (II) 사이에 박리해도 좋고, 후술하는 공정 (III) 후에 박리해도 좋다. 적합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캐리어 필름은 후술하는 공정 (III) 후에 박리한다. 캐리어 필름은 수동으로 박리해도 좋고, 자동 박리 장치에 의해 기계적으로 박리해도 좋다. The carrier film may be peeled off before the step of providing the conductor layer (circuit wiring) on the insulating layer obtained by curing the prepreg. For example, the carrier film may be peeled off between the step (II) and the step (II) It may be peeled off after the step (III) described later.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arrier film is peeled off after the step (III) to be described later. The carrier film may be peeled off manually or mechanically peeled off by an automatic peeling apparatus.

공정 (I)의 라미네이트 처리는 시판 진공 라미네이터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시판 진공 라미네이터로서는, 예를 들면, (주)메이키세사쿠쇼 제조의 진공 가압식 라미네이터, 니치고·모튼(주) 제조의 배큠 어플리케이터 등을 들 수 있다. The lamination treatment of the step (I) can be performed by a commercial vacuum laminator. As a commercially available vacuum laminator, for example, a vacuum pressurized laminator manufactured by Meikishesakusho Co., Ltd., a vacuum applicator manufactured by Nichigo Morton Co., Ltd., and the like can be given.

<공정 (II)>&Lt; Process (II) >

공정 (II)에 있어서, 라미네이트된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를 열프레스하여 평활화한다. In step (II), the laminated carrier mounting prepreg is hot pressed to smooth.

공정 (II)에 있어서의 평활화 처리는, 예를 들면, 가열 압착 부재를 캐리어 필름측으로부터 프레스함으로써 실시하면 좋다. 가열 압착 부재로서는 공정 (I)에 관해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부재를 사용하면 좋다. The smoothing treatment in the step (II) may be carried out, for example, by pressing a hot press member from the carrier film side. As the hot pressing member, the same member as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process (I) may be used.

표면 평활성이 우수하고, 기판 단부와 기판 중앙부에서 두께의 차이가 작아 층 두께의 균형이 양호한 절연층을 얻음에 있어서는, 공정 (II)의 열프레스 온도를 소정의 범위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세하게는, 공정 (I)의 라미네이트 온도를 T1(℃), 공정 (II)의 열프레스 온도를 T2(℃)로 할 때, T1과 T2가 T2≤T1+10의 관계를 충족시키도록 T2를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표면 평활성 및 층 두께의 균형의 쌍방이 한층 우수한 절연층을 얻는 관점에서, T1과 T2는 T2≤T1+5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T2≤T1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T1과의 관계식을 충족시키고, 또한, T2에 있어서의 프리프레그의 용융 점도가 상기 특정한 범위인 한에 있어서, T2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적으로, 그 하한은 70℃이고, 그 상한은 160℃이다. 한편, 공정 (II)의 열프레스 온도란 가열 압착 부재의 표면 온도를 말하고, 내열 고무 등의 탄성재를 개재하여 프레스하는 경우에는,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와 접합하는 상기 탄성재의 표면의 온도를 말한다. It is important to set the thermal press temperature of the step (II) to a predetermined range in order to obtain an insulating layer having a good surface smoothness and a small thickness difference between the substrate end portion and the substrate central portion and having a good balance of layer thicknesses. Specifically, when the laminate temperature of the step (I) is T1 (占 폚) and the thermal press temperature of the step (II) is T2 (占 폚), T2 Is set.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 more excellent insulating layer in both the surface smoothness and the balance of the layer thickness, it is preferable that T1 and T2 satisfy the relation of T2? T1 + 5 and more preferably satisfy the relation of T2? T1. T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relationship with T1 is satisfied and the melt viscosity of the prepreg at T2 is in the above-specified range. Usually, the lower limit is 70 deg. C and the upper limit is Lt; / RTI &gt; On the other hand, the heat press temperature in the process (II) refers to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heat press member, and when press through an elastic material such as heat resistant rubber, it refers to the temperature of the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bonded to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평활화 처리시의 압착 압력 및 압착 시간은 공정 (I)에 있어서의 라미네이트 처리 조건과 같이 할 수 있다. 또한, 평활화 처리는 상압하(대기압하)에서 실시하는 것이 적합하다. The pressing pressure and the pressing time in the smoothing treatment can be the same as the lamination treatment conditions in the step (I). The smoothing process is preferably carried out under normal pressure (under atmospheric pressure).

공정 (II)의 평활화 처리는 1회 실시해도 좋고, 2회 이상 실시해도 좋다. 평활화 처리를 2회 이상 실시하는 경우, 동일 조건으로 2회 이상 실시해도 좋고, 상이한 조건으로 2회 이상 실시해도 좋다. 예를 들면, 공정 (II)의 평활화 처리를 2회 실시하는 경우, 1회째의 평활화 처리에 있어서의 열프레스 온도를 T2(℃), 2회째의 평활화 처리에 있어서의 열프레스 온도를 T3(℃)으로 할 때, T2와 T3은 T2-30≤T3≤T2+20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T2-20≤T3≤T2+10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he smoothing treatment of step (II) may be performed once or two or more times. When the smoothing treatment is carried out two or more times, it may be carried out twice or more under the same conditions or two or more times under different conditions. For example, when the smoothing process of the process (II) is performed twice, the heat press temperature in the first smoothing process is T2 (占 폚), the heat press temperature in the second smoothing process is T3 ), It is preferable that T2 and T3 satisfy a relationship of T230? T3? T2 + 20, and more preferably T2-20? T3? T2 + 10.

공정 (II)의 평활화 처리는 시판 라미네이터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공정 (I)과 공정 (II)는 상기의 시판 진공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행해도 좋다. 예를 들면, 라미네이트 처리용의 제 1 챔버와 평활화 처리용의 제 2 챔버를 구비하는 진공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공정 (I)과 공정 (II)를 연속적으로 실시하면 좋다. 공정 (II)의 평활화 처리를 2회 이상 실시하는 경우, 상기 제 2 챔버에 있어서 평활화 처리를 2회 이상 반복하여 실시해도 좋고, 2회째 이후의 평활화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추가 챔버(예를 들면, 제 3 챔버, 제 4 챔버)를 구비하는 진공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평활화 처리를 2회 이상 실시해도 좋다. The smoothing treatment of the step (II) can be performed by a commercial laminator. Further, the steps (I) and (II) may be carried out continuously using the commercial vacuum laminator. For example, the step (I) and the step (II) may be successively performed using a vacuum laminator having a first chamber for the lamination treatment and a second chamber for the smoothing treatment. In the case where the smoothing process of the step (II) is performed twice or more, the smoothing process may be repeated twice or more in the second chamber, or the smoothing process may be performed in an additional chamber (for example, The third chamber, and the fourth chamber) may be used to perform the smoothing treatment twice or more.

<공정 (III)>&Lt; Process (III) >

공정 (III)에 있어서, 프리프레그를 열경화하여 절연층을 형성한다. In the step (III), the prepreg is thermally cured to form an insulating layer.

열경화의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절연층을 형성할 때 통상 채용되는 조건을 사용하면 좋다. The conditions of the thermal curing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onditions that are generally employed when forming the insulating layer of the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may be used.

예를 들면, 프리프레그의 열경화 조건은 프리프레그에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의 조성 등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경화 온도는 120 내지 240℃의 범위(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1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170 내지 190℃의 범위), 경화 시간은 5 내지 90분의 범위(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5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60분)로 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hermal curing conditions of the prepreg vary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of the resin composition used in the prepreg, and the curing temperature is in the range of 120 to 240 占 폚 (preferably in the range of 150 to 210 占 폚, 170 to 190 占 폚), and the curing time may be in the range of 5 to 90 minutes (preferably 10 to 75 minutes, and more preferably 15 to 60 minutes).

열경화시키기 전에, 프리프레그를 경화 온도보다도 낮은 온도에서 예비 가열해도 좋다. 예를 들면, 열경화에 앞서, 50℃ 이상 120℃ 미만(바람직하게는 60℃ 이상 1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100℃ 이하)의 온도에서, 프리프레그를 5분 이상(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20분) 예비 가열해도 좋다. 예비 가열을 행하는 경우, 이러한 예비 가열도 공정 (III)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The prepreg may be preheated at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curing temperature before thermosetting.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heat the prepreg for at least 5 minutes (preferably, at a temperature of 50 ° C or more and less than 120 ° C (preferably 60 ° C or more and 110 ° C or less, more preferably 70 ° C or more and 100 ° C or less) May be preheated for 5 to 150 minutes, more preferably 15 to 120 minutes.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preliminary heating, this preliminary heating is also included in the step (III).

공정 (III)에 있어서의 프리프레그의 열경화는 대기압하(상압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hermal curing of the prepreg in the step (III) is preferably carried out under atmospheric pressure (normal pressure).

공정 (III)의 열경화는 가열 오븐을 사용하여 실시하면 좋다. 가열 오븐을 사용하여 프리프레그의 열경화를 실시하는 경우, 프리프레그를 가열 오븐 내에서 수직 상태로 배치하고, 열경화하여 절연층을 형성함으로써, 한번에 많은 매수를 가열 오븐 내에 투입할 수 있고, 공정 (II)에서부터 공정 (III)으로의 연속적이고 스무즈한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생산성 향상에 기여한다. 가열 오븐으로서, 예를 들면, 클린 오븐(야마토가가쿠(주) 제조「클린 오븐 DE610」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heat curing of the step (III) may be carried out using a heating oven. When the prepreg is thermally cured by using a heating oven, the prepreg is placed in a vertical state in a heating oven and thermally cured to form an insulating layer, whereby a large number of sheets can be put into the heating oven at a time, (II) to (III), thereby contributing to productivity improvement. As a heating oven, for example, a clean oven ("Clean Oven DE610" manufactured by Yamato Kagaku Co., Ltd.) can be used.

공정 (III)에 의해, 내층 회로 기판과, 상기 내층 회로 기판과 접합하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적층체가 얻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섬유 기재와 무기 충전재의 합계 함유량이 높은 프리프레그를 사용하는 경우, 얻어지는 절연층의 열팽창 계수를 낮게 억제할 수 있는 한편, 얻어지는 절연층의 표면은 하지인 내층 회로 기판의 표면 요철에 대응한 기복을 갖게 되어, 표면이 평활한 절연층을 얻는 것이 곤란하였다. 절연층 표면의 기복이 크면, 상기 절연층 표면에 미세한 배선 패턴으로 도체층을 형성할 때 장해가 되는 경우가 있다. 평활화 공정에 있어서의 열프레스 온도를 높게 설정하는 등, 수지의 유동성이 높아지는 조건으로 열프레스함으로써 절연층의 표면 평활성을 어느 정도 개선할 수는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수지가 새어 나오는 등에 의해 절연층의 층 두께의 균형이 무너져, 기판 중앙부와 기판 단부에서는 얻어지는 절연층의 두께에 큰 차이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었다.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박형화에 따라, 절연층의 박형화도 진행되는 최근 경향에 의하면, 이러한 층 두께의 균형의 불량은 국소적인 절연 신뢰성의 저하로 귀착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것에 대해, 본 발명의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섬유 기재와 무기 충전재의 합계 함유량이 높은 프리프레그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표면의 평활성이 우수하고, 또한, 기판 단부와 기판 중앙부에서 두께의 차이가 작은 층 두께의 균형도 양호한 절연층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섬유 기재와 무기 충전재의 합계 함유량이 높은 프리프레그를 사용하여 다층 프린트 배선판을 제조할 때,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미세 배선화 및 박형화의 쌍방에 현저하게 기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다층 프린트 배선판은, 섬유 기재와 무기 충전재의 합계 함유량이 높고, 표면의 최대 단면 높이(Rt)가 낮고, 기판 단부와 기판 중앙부에서 두께의 차이가 적은, 절연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절연층 표면의 최대 단면 높이(Rt), 절연층의 기판 단부와 기판 중앙부에 있어서의 두께의 차이의 상세는 후술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다층 프린트 배선판은 하기 (a) 내지 (c)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상기 절연층의 전체 질량을 100질량%로 했을 때, 섬유 기재와 무기 충전재의 합계 질량이 70질량% 이상이다; (b) 상기 절연층 표면의 최대 단면 높이(Rt)가 3㎛ 미만이다; 및 (c) 상기 절연층의 기판 단부의 두께와 기판 중앙부의 두께의 차이가 2.5㎛ 미만이다. By the step (III), a laminate including an inner-layer circuit board and an insulating layer to be bonded to the inner-layer circuit board is obtained.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using a prepreg having a high total content of the fibrous base material and the inorganic filler,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of the obtained insulating layer can be suppressed to a low level while the surface of the obtained insulating layer is a surface irregularity So that it is difficult to obtain an insulating layer whose surface is smooth. If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insulating layer is large, there is a case where the conductor layer is formed in a fine wiring pattern on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The surface smoothness of the insulating layer can be improved to some extent by hot pressing under such a condition that the fluidity of the resin is increased, for example, by setting the hot press temperature in the smoothing step to be high. In such a case, A large difference in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obtained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substrate and the end portion of the substrate tends to occur. As the thickness of the multilayered printed circuit board has become thinner, recent trends toward thinning of the insulating layer have resulted in poor local balance of insulation reliability.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ultilayered printed circuit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 prepreg having a high total content of the fibrous substrate and the inorganic filler is used, the surface smoothness is excellent, The insulating layer having a good balance of a small layer thickness can be forme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both micro-wiring and thinning of a multilayered printed circuit board when a multilayered printed circuit board is manufactured using a prepreg having a high total content of a fibrous base material and an inorganic filler. The multilayered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tal content of the fibrous base material and the inorganic filler is high and the maximum cross sectional height (Rt) of the surface is low and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 The maximum sectional height (Rt) of the insulating layer surface and the difference in thickness between the substrate end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bstrate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In one embodiment, the multilayered printed circuit board includes an insulating layer that satisfies the following conditions (a) to (c): (a) when the total mass of the insulating layer is 100 mass% , The total mass of the fibrous base material and the inorganic filler is 70 mass% or more; (b) the maximum cross-sectional height (Rt) of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is less than 3 mu m; And (c)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end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and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central portion is less than 2.5 mu m.

공정 (III) 후의 절연층 표면의 최대 단면 높이(Rt)는, 상기 절연층 표면에 미세한 배선 패턴으로 도체층을 형성할 수 있는 관점에서, 3㎛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며, 2.8㎛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6㎛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2.5㎛ 이하인 것이 더욱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최대 단면 높이(Rt)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통상, 0.1㎛ 이상 등이다. The maximum cross-sectional height Rt of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after the step (III) is preferably less than 3 mu m, more preferably 2.8 mu m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forming a conductor layer with a fine wiring pattern on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More preferably 2.6 占 퐉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2.5 占 퐉 or less. The lower limit of the maximum cross-sectional height (R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usually 0.1 占 퐉 or more.

절연층 표면의 최대 단면 높이(Rt)는, 캐리어 필름을 박리한 후의 절연층의 노출 표면에 관해서, 비접촉형 표면 거칠기계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The maximum cross-sectional height (Rt) of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can be measured using a non-contact surface roughness machine with respect to the exposed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after peeling off the carrier film.

공정 (III) 후의, 기판 단부의 절연층의 두께와 기판 중앙부의 절연층의 두께의 차이는, 기판 전체에 걸쳐 소기의 절연 신뢰성을 달성하는 관점에서, 2.5㎛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며, 2.4㎛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2㎛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2.0㎛ 이하인 것이 더욱 보다 바람직하며, 1.8㎛ 이하 또는 1.6㎛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기판 단부의 절연층의 두께와 기판 중앙부의 절연층의 두께 차이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0㎛이라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기판 단부와 기판 중앙부에서 두께의 차이가 작은 절연층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절연층이 얇은 경우라도, 기판 전체에 걸쳐 소기의 절연 신뢰성을 달성할 수 있다.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at the substrate end portion and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bstrate after the step (III) is preferably less than 2.5 탆 from the viewpoint of achieving the desired insulation reliability over the entire substrate,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2.2 mu m, even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2.0 mu m, and particularly preferably not more than 1.8 mu m or not more than 1.6 mu m. The lower limit of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at the substrate end portion and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bstr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0 占 퐉.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sulating layer having a small thickness difference can be formed at the substrate end portion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bstrate as described above, the desired insulating reliability can be achieved over the entire substrate even when the insulating layer is thin.

기판 단부의 절연층의 두께와 기판 중앙부의 절연층의 두께의 차이는, 공정 (III)에서 얻어진 적층체의 중앙부 및 단부의 각 단면에 관해서, 마이크로스코프를 사용하여 회로 도체 바로 위의 절연층의 두께를 측정하여 산출할 수 있다. 마이크로스코프의 구체예로서는, KEYENCE(주) 제조의「마이크로스코프 VK-8510」을 들 수 있다.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at the end portion of the substrate and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at the center portion of the substrate can be measured by using a microscope to measure the cross section of the central portion and the end portion of the layered body obtained in the step (III) Can be calculated by measuring the thickness. As a specific example of the microscope, "Microscope VK-8510" manufactured by KEYENCE Co., Ltd. can be mentioned.

<기타 공정><Other Processes>

본 발명의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은 (IV) 절연층에 천공하는 공정, (V) 상기 절연층을 조화 처리하는 공정, (VI) 조화된 절연층 표면에 도금에 의해 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해도 좋다. 이들 공정 (IV) 내지 (VI)는,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에 사용되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각종 방법에 따라 실시하면 좋다. 또한, 캐리어 필름을 공정 (III) 후에 박리하는 경우, 상기 캐리어 필름의 박리는 공정 (III)과 공정 (IV) 사이, 또는 공정 (IV)과 공정 (V) 사이에 실시하면 좋다. (V) a step of roughening the insulating layer; (VI) a step of forming a conductive layer by plating on the surface of the roughened insulating layer; May be further included. These steps (IV) to (VI) may be carried out according to various methods known to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which are used in the production of a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When the carrier film is peeled off after the step (III), the peeling of the carrier film may be carried out between the step (III) and the step (IV), or between the step (IV) and the step (V).

공정 (IV)은 절연층에 천공하는 공정이며, 이것에 의해 절연층에 비아홀 등을 형성할 수 있다. 비아홀은 층간의 전기 접속을 위해 설치되며, 절연층의 특성을 고려하여, 드릴, 레이저, 플라즈마 등을 사용하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캐리어 필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캐리어 필름 위에서부터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절연층에 비아홀을 형성할 수 있다. Step (IV) is a step of perforating the insulating layer, whereby a via hole or the like can be formed in the insulating layer. The via hole is provided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layers and can be formed by a known method using a drill, laser, plasma or the like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ulating layer. For example, when a carrier film is present, a via hole can be formed in the insulating layer by irradiating laser light from above the carrier film.

레이저 광원으로서는, 예를 들면, 탄산가스 레이저, YAG 레이저, 엑시머 레이저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가공 속도, 비용의 관점에서, 탄산가스 레이저가 바람직하다. Examples of the laser light source include a carbon dioxide gas laser, a YAG laser, and an excimer laser. Of these, a carbon dioxide gas laser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s of processing speed and cost.

천공 가공은 시판되고 있는 레이저 장치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시판되고 있는 탄산가스 레이저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히다치비아메카닉스(주) 제조의 LC-2E21B/1C, 미쯔비시덴키(주) 제조의 ML605GTWII, 마츠시타요세츠시스템(주) 제조의 기판 천공 레이저 가공기를 들 수 있다. The drilling can be carried out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laser device. Examples of commercially available carbon dioxide gas laser devices include LC-2E21B / 1C manufactured by Hitachi Biomechanics Co., ML605GTWII manufactured by Mitsubishi Denki K.K., a substrate perforated laser processing machine manufactured by Matsushita Yotsetsu System Co., .

공정 (V)은 절연층을 조화 처리하는 공정이다. 조화 처리의 수순,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절연층을 형성할 때 통상 사용되는 공정의 수순, 조건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팽윤액에 의한 팽윤 처리, 산화제에 의한 조화 처리, 중화액에 의한 중화 처리를 이 순서로 실시하여 절연층을 조화 처리할 수 있다. 팽윤액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알칼리 용액, 계면 활성제 용액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용액이고, 상기 알칼리 용액으로서는 수산화나트륨 용액, 수산화칼륨 용액이 보다 바람직하다. 시판되고 있는 팽윤액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토텍재팬(주) 제조의 스웰링·딥·세큐린간트 P, 스웰링·딥·세큐리간트 SBU 등을 들 수 있다. 팽윤액에 의한 팽윤 처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30 내지 90℃의 팽윤액에 절연층을 1 내지 20분간 침지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절연층의 수지의 팽윤을 적당한 레벨로 억제하는 관점에서, 40 내지 80℃의 팽윤액에 절연층을 5초 내지 15분간 침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의 수용액에 과망간산칼륨이나 과망간산나트륨을 용해한 알칼리성 과망간산 용액을 들 수 있다. 알칼리성 과망간산 용액 등의 산화제에 의한 조화 처리는 60 내지 80℃로 가열한 산화제 용액에 절연층을 10 내지 30분간 침지시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칼리성 과망간산 용액에 있어서의 과망간산염의 농도는 5 내지 10질량%가 바람직하다. 시판되고 있는 산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아토텍재팬(주) 제조의 콘센트레이트·콤팩트 P, 도징솔류션·세큐리간트 P 등의 알칼리성 과망간산 용액을 들 수 있다. 또한, 중화액으로서는 산성의 수용액이 바람직하며,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토텍재팬(주) 제조의 리덕션솔류션·세큐리간트 P를 들 수 있다. 중화액에 의한 처리는 산화제 용액에 의한 조화 처리가 이루어진 처리면을 30 내지 80℃의 중화액에 5 내지 30분간 침지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작업성 등의 점에서, 산화제 용액에 의한 조화 처리가 이루어진 대상물을 40 내지 70℃의 중화액에 5 내지 20분간 침지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Step (V) is a step of roughening the insulating layer. The procedure and conditions of the roughening treatment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the procedure and conditions of the steps usually used in forming the insulating layer of the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can be employed. For example, the swelling treatment with a swelling liquid, the harmonization treatment with an oxidizing agent, and the neutralization treatment with a neutralizing liquid can be carried out in this order to roughen the insulating layer. The swelling liqui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n alkaline solution, a surfactant solution and the like can be mentioned, and an alkaline solution is preferable, and a sodium hydroxide solution and a potassium hydroxide solution are more preferable as the alkaline solution. Examples of commercially available swelling solutions include Swelling Dip, Sucurengant P, Swelling Dip, Sucuregent SBU, etc., manufactured by Atotech Japan Co., Ltd., and the like. The swelling treatment with the swelling liqui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by immersing the insulating layer in a swelling liquid at 30 to 90 캜 for 1 to 20 minutes.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the swelling of the resin in the insulating layer to an appropriate level, it is preferable to immerse the insulating layer in the swelling liquid at 40 to 80 캜 for 5 seconds to 15 minutes. The oxidiz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an alkaline permanganic acid solution obtained by dissolving potassium permanganate or sodium permanganate in an aqueous solution of sodium hydroxide may be mentioned. The roughening treatment with an oxidizing agent such as an alkaline permanganic acid solution is preferably carried out by immersing the insulating layer in an oxidizing agent solution heated to 60 to 80 캜 for 10 to 30 minutes. The concentration of the permanganate in the alkaline permanganic acid solution is preferably 5 to 10% by mass. Examples of commercially available oxidizing agents include alkaline permanganic acid solutions such as Concentrate Compact P, Doing Solution, and Sucry Gent P manufactured by Atotech Japan Co., Ltd. As the neutralization solution, an acidic aqueous solution is preferable, and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include, for example, Reduction Solution · Sucrygant P manufactured by Atotech Japan Co., Ltd. The treatment with the neutralizing liquid can be performed by immersing the treated surface subjected to the roughening treatment with the oxidizing agent solution in a neutralizing solution at 30 to 80 캜 for 5 to 30 minutes. From the standpoint of workability and the like, it is preferable to immerse the object subjected to the roughening treatment with the oxidizing agent solution in a neutralizing solution at 40 to 70 캜 for 5 to 20 minutes.

공정 (VI)은 조화된 절연층 표면에 도금에 의해 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Step (VI) is a step of forming a conductor layer on the surface of the harmonized insulating layer by plating.

도체층에 사용하는 도체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적합한 실시형태에서는, 도체층은 금, 백금, 팔라듐, 은, 구리, 알루미늄, 코발트, 크롬, 아연, 니켈, 티탄, 텅스텐, 철, 주석 및 인듐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을 함유한다. 도체층은 단금속층이라도 합금층이라도 좋고, 합금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금속의 합금(예를 들면, 니켈·크롬 합금, 구리·니켈 합금 및 구리·티탄 합금)으로 형성된 층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도체층 형성의 범용성, 비용, 패터닝의 용이성 등의 관점에서, 크롬, 니켈, 티탄, 알루미늄, 아연, 금, 팔라듐, 은 또는 구리의 단금속층, 또는 니켈·크롬 합금, 구리·니켈 합금, 구리·티탄 합금의 합금층이 바람직하며, 크롬, 니켈, 티탄, 알루미늄, 아연, 금, 팔라듐, 은 또는 구리의 단금속층, 또는 니켈·크롬 합금의 합금층이 보다 바람직하며, 구리의 단금속층이 더욱 바람직하다. The conductor material used for the conductor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onductor layer contains at least one met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old, platinum, palladium, silver, copper, aluminum, cobalt, chromium, zinc, nickel, titanium, tungsten, iron, tin and indium . The conductor layer may be a single metal layer or an alloy layer. Examples of the alloy layer include alloys of two or more metals selected from the above-mentioned group (for example, nickel-chromium alloy, copper-nickel alloy and copper- ). &Lt; / RTI &gt; Among them, a single metal layer of chromium, nickel, titanium, aluminum, zinc, gold, palladium, silver or copper, or a nickel-chromium alloy, a copper-nickel alloy And an alloy layer of a copper-titanium alloy is preferable and a single metal layer of chromium, nickel, titanium, aluminum, zinc, gold, palladium, silver or copper or an alloy layer of a nickel- chromium alloy is more preferable, Is more preferable.

도체층은 단층 구조라도, 상이한 종류의 금속 또는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단금속층 또는 합금층이 2층 이상 적층된 복층 구조라도 좋다. 도체층이 복층 구조인 경우, 절연층과 접하는 층은, 크롬, 아연 또는 티탄의 단금속층, 또는 니켈·크롬 합금의 합금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ductor layer may have a single-layer structure or a multi-layer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single metal layers or alloy layers made of different kinds of metals or alloys are stacked. When the conductor layer has a multilayer structure, the layer in contact with the insulating layer is preferably a single metal layer of chromium, zinc or titanium, or an alloy layer of a nickel-chromium alloy.

도체층의 두께는, 원하는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디자인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 3 내지 35㎛,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이다. The thickness of the conductor layer is generally 3 to 35 占 퐉, preferably 5 to 30 占 퐉, although it varies depending on the design of the desired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도체층은 도금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미어디티브법, 풀어디티브법 등의 종래 공지의 기술에 의해 절연층의 표면에 도금하여, 원하는 배선 패턴을 갖는 도체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체층을 세미어디티브법에 의해 형성하는 예를 나타낸다. The conductor layer can be formed by plating. For example, a conductor layer having a desired wiring pattern can be formed by plating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by a conventionally known technique such as a semi-custom method or a pull-on-wet method. Hereinafter, an example in which the conductor layer is formed by the semi-

우선, 절연층의 표면에, 무전해 도금에 의해 도금 시드층을 형성한다. 이어서, 형성된 도금 시드층 위에 원하는 배선 패턴에 대응하여 도금 시드층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마스크 패턴을 형성한다. 노출된 도금 시드층 위에 전해 도금에 의해 금속층을 형성한 후, 마스크 패턴을 제거한다. 그 후, 불필요한 도금 시드층을 에칭 등에 의해 제거하여, 원하는 배선 패턴을 갖는 도체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표면 평활성이 우수한 절연층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절연층 위에 미세한 배선 패턴으로 도체층을 형성할 수 있다. First, a plating seed lay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by electroless plating. Then, a mask pattern for exposing a part of the plating seed layer corresponding to the desired wiring pattern is formed on the formed plating seed layer. A metal layer is formed on the exposed plating seed layer by electrolytic plating, and then the mask pattern is removed. Thereafter, an unnecessary plating seed layer is removed by etching or the like, and a conductor layer having a desired wiring pattern can be formed. 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ed printed circuit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n insulating layer having excellent surface smoothness can be formed, a conductor layer can be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with a fine wiring pattern.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층 프린트 배선판을 사용함으로써 반도체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도통 개소에 반도체 칩을 실장함으로써 반도체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도통 개소」란 「다층 프린트 배선판에 있어서의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개소」로서, 그 장소는 표면이라도, 매립된 개소라도 어느 것이라도 상관없다. 또한, 반도체 칩은 반도체를 재료로 하는 전기 회로 소자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The semiconductor device can be manufactured by using the multilayered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miconductor device can be manufactured by mounting the semiconductor chip in the conductive portion of the multilayered printed circuit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quot; conduction site &quot; is a &quot; location for transmitting electrical signals in the multilayered printed circuit board &quot;, and may be a surface or a buried site. The semiconductor chip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n electric circuit element made of a semiconductor material.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를 제조할 때의 반도체 칩의 실장 방법은, 반도체 칩이 유효하게 기능하기만 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체적으로는, 와이어 본딩 실장 방법, 플립칩 실장 방법, 범프리스 빌드업층(BBUL)에 의한 실장 방법, 이방성 도전 필름(ACF)에 의한 실장 방법, 비도전성 필름(NCF)에 의한 실장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The method of mounting the semiconductor chip when manufacturing the semiconducto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semiconductor chip effectively functions. Specifically, the semiconductor chip mounting method, the flip chip mounting method, the bump- (BBUL), a mounting method using a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 a mounting method using a non-conductive film (NCF), and the like.

[실시예] [ Example ]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이하의 기재 중의「부」는「질량부」를 의미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based o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quot; part &quot; means &quot; part by mass &quot;.

우선, 본 명세서에서의 물성 평가에 있어서의 측정 방법·평가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First, the measurement method and evaluation method in the physical property evalua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측정·평가용 기판의 조제〕[Preparation of substrate for measurement and evaluation]

(1) 내층 회로 기판의 제작(1) Fabrication of inner layer circuit board

유리포 기재 에폭시 수지 양면 동장 적층판(구리박의 두께 35㎛, 기판의 두께 0.8㎜, 마츠시타덴코(주) 제조「R5715ES」)에, IPC MULTI-PURPOSE TEST BOARD NO. IPC C-25의 패턴(라인/스페이스비=600/660㎛의 빗살 패턴(잔동율 48%)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기판의 양면을 마이크로 에칭제(멕(주) 제조「CZ8100」)로 조화 처리하여, 내층 회로 기판을 제작하였다. (IPC MULTI-PURPOSE TEST BOARD NO. 2) was laminated on a glass cloth base epoxy resin double-sided copper-clad laminate (copper foil thickness 35 탆, substrate thickness 0.8 mm, "R5715ES" manufactured by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A comb pattern (with a residual rate of 48%) having a line / space ratio of 600/660 탆 was formed on the pattern of IPC C-25. Subsequently, both sides of the substrate were coordinated with a microetching agent ("CZ8100" To prepare an inner layer circuit board.

한편, 실시예 4에 관해서는, 구리박의 두께를 7㎛로 변경한 유리포 기재 에폭시 수지 양면 동장 적층판을 사용하였다. On the other hand, for Example 4, a glass-clad epoxy resin double-side copper-clad laminate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copper foil was changed to 7 탆 was used.

(2)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의 라미네이트(2) Laminate of carrier mounting prepreg

하기 제작예에서 제작한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를, 2챔버 프레스 장착 라미네이터(메이키(주) 제조「MVLP500/600-IIB」)를 사용하여, 프리프레그가 내층 회로 기판과 접합하도록, 내층 회로 기판의 양면에 라미네이트하였다. 라미네이트 처리는 30초간 감압하여 기압을 13hPa 이하로 한 후, 표 2에 기재하는 라미네이트 온도(T1)(℃) 및 압력 0.74MPa로 30초간 압착시킴으로써 행하였다. 한편, 라미네이트는 2챔버 프레스 장착 라미네이터의 제 1 챔버에서 실시하였다.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produced in the following Production Example was applied to the inner layer circuit board so as to bond the prepreg to the inner layer circuit board by using a 2-chamber press-fitted laminator (MVLP500 / 600-IIB manufactured by Meiki Co., And laminated on both sides. The lamination treatment was carried out by reducing the pressure for 30 seconds to 13 hPa or less and then pressing the laminate at a temperature (T1) (° C) shown in Table 2 and a pressure of 0.74 MPa for 30 seconds. Meanwhile, the lamination was carried out in a first chamber of a two-chamber press-fitted laminator.

(3)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의 평활화(3) Smoothing of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라미네이트된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를 상기 2챔버 프레스 장착 라미네이터의 제 2 챔버에서 열프레스하여 평활화하였다. 평활화 처리는 대기압(상압)하, 표 2에 기재하는 열프레스 온도(T2)(℃) 및 압력 0.55MPa로 90초간 압착시킴으로써 행하였다. The laminated carrier mounting prepregs were hot pressed and smoothed in a second chamber of the two-chamber press-fitted laminator. The smoothing treatment was performed under atmospheric pressure (atmospheric pressure) by pressing at a hot press temperature (T2) (° C) and a pressure of 0.55 MPa for 90 seconds as shown in Table 2.

또한, 실시예 7에 관해서는 상기 2 챔버 프레서 장착 라미네이터의 제 2 챔버에서 평활화 처리를 2회 실시하였다. 1회째의 평활화 처리는 대기압(상압)하, 표 2에 기재하는 열프레스 온도(T2)(℃) 및 압력 0.55MPa로 90초간 압착시킴으로써 행하였다. 2회째의 평활화 처리는 대기압(상압)하, 표 2에 기재하는 열프레스 온도(T3)(℃) 및 압력 0.55MPa에서 90초간 압착시킴으로써 행하였다. In Example 7, the second chamber of the two-chamber presser-mounted laminator was subjected to the smoothing treatment twice. The first smoothing treatment was performed under atmospheric pressure (atmospheric pressure) by pressing at a hot press temperature (T2) (占 폚) and a pressure of 0.55 MPa for 90 seconds as shown in Table 2. The second smoothing treatment was carried out by pressing under the atmospheric pressure (atmospheric pressure) for 90 seconds at the hot press temperature T3 (° C) and the pressure of 0.55 MPa described in Table 2.

(4) 프리프레그의 열경화(4) Thermal curing of the prepreg

평활화 후, 기판을 180℃에서 30분간 가열하고, 프리프레그를 열경화하여 절연층을 형성하였다. After smoothing, the substrate was heated at 180 DEG C for 30 minutes, and the prepreg was thermally cured to form an insulating layer.

<프리프레그의 용융 점도의 측정>&Lt; Measurement of melt viscosity of prepreg >

20장 포개어 1㎜ 두께로 한 프리프레그를 직경 20㎜로 천공하고, 측정 시료를 조제하였다. 조제한 측정 시료에 관해서,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주)UBM 제조「Rheogel-G3000」)를 사용하여 용융 점도를 측정하였다. 승온 속도 5℃/min, 측정 온도 간격 2.5℃, 진동 주파수 1Hz의 측정 조건으로 동적 점탄성율을 측정하고, 표 2에 기재하는 온도(T2)(℃)에 있어서의 용융 점도(poise)를 구하였다. 측정용의 지그에는 콘플레이트를 사용하였다. 20 prepregs each having a thickness of 1 mm were embedded into 20 mm diameter to prepare measurement samples. The melt viscosity of the prepared test samples was measured using a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ing apparatus ("Rheogel-G3000" manufactured by UBM Co., Ltd.). The dynamic viscoelasticity was measured under the measurement conditions of a temperature raising rate of 5 deg. C / min, a measurement temperature interval of 2.5 deg. C and a vibration frequency of 1 Hz, and a melt viscosity (poise) at a temperature (T2) . Cone plates were used for measurement jigs.

<라미네이트 공정후의 캐리어 필름 표면의 최대 단면 높이(Rt)의 측정>&Lt; Measurement of maximum cross-sectional height (Rt) of carrier film surface after lamination process >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를 내층 회로 기판에 라미네이트한 후, 200㎜×200㎜의 평가 기판을 잘라 내고,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의 캐리어 필름 표면의 최대 단면 높이(Rt)를 측정하였다. 캐리어 필름 표면의 최대 단면 높이(Rt)는, 비접촉형 표면 거칠기계(비코인스트루먼트사 제조「WYKO NT9300」)를 사용하여, VSI 콘택트 모드, 10배 렌즈에 의해 측정 범위를 0.82㎜×1.1㎜로 하여 얻어지는 수치에 의해 구하였다. 측정은, 캐리어 필름이 프리프레그에 부착된 상태에서, 캐리어 필름의 노출 표면에 관해서 행하였다. After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was laminated to the inner layer circuit board, the evaluation board of 200 mm x 200 mm was cut out, and the maximum cross sectional height (Rt) of the carrier film surface of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was measured. The maximum cross-sectional height (Rt) of the carrier film surface was measured using a non-contact surface roughing machine ("WYKO NT9300" manufactured by Vico Instrument Co., Ltd.) with a measurement range of 0.82 mm × 1.1 mm And was obtained by the numerical value obtained. The measurement wa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exposed surface of the carrier film in a state where the carrier film adhered to the prepreg.

<절연층 표면의 최대 단면 높이(Rt)의 측정>&Lt; Measurement of Maximum Cross Section Height (Rt) of Insulating Layer Surface >

프리프레그를 열경화한 후, 캐리어 필름인 이형 PET 필름을 박리하여, 절연층의 노출 표면에 관해서 최대 단면 높이(Rt)를 측정하였다. 절연층 표면의 최대 단면 높이(Rt)는, 비접촉형 표면 거칠기계(비코인스트루먼트사 제조「WYKO NT9300」)를 사용하여, VSI 콘택트 모드, 10배 렌즈에 의해 측정 범위를 0.82㎜×1.1㎜로 하여 얻어지는 수치에 의해 구하였다. 한편, 측정은, 라인/스페이스비=600/660㎛의 빗살 패턴(잔동율 48%)의 회로 배선이 설치된 영역에 관해서, 회로 배선이 있는 부분과 회로 배선이 없는 부분을 걸치도록 하여, 3개소의 평균값을 구함으로써 실시하였다. After the prepreg was thermally cured, the release PET film as the carrier film was peeled off to measure the maximum cross-sectional height (Rt) with respect to the exposed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The maximum cross-sectional height (Rt) of the insulating layer surface was set to 0.82 mm x 1.1 mm by using a VSI contact mode and a 10x lens using a non-contact surface roughing machine (WYKO NT9300 manufactured by Vico Instruments Inc.) And was obtained by the numerical value obtained. On the other hand, with respect to the area where the circuit wiring of the comb pattern (with a residual rate of 48%) of the line / space ratio = 600/660 탆 was provided, To obtain the average value.

표 2에 있어서는, Rt가 2.5㎛ 미만인 경우를「○」, 2.5㎛ 이상 3㎛ 미만인 경우를 「△」, 3㎛ 이상인 경우를 「X」로 하였다. 한편, 비교예 1, 3 및 5에 관해서는, 내층 회로 기판의 표면 요철에 기초하는 기복의 발생에 의해 주름이 발생했기 때문에, 최대 단면 높이(Rt)의 측정을 생략하였다. 또한, 비교예 6에 관해서는, 보이드가 발생했기 때문에, 최대 단면 높이(Rt)의 측정을 생략하였다. In Table 2, the case where Rt is less than 2.5 占 퐉 is defined as &quot;? &Quot;, the case of 2.5 占 퐉 or more and less than 3 占 퐉 is denoted by?, And the case of 3 占 퐉 or more is denoted by X. On the other hand, regarding Comparative Examples 1, 3 and 5, wrinkles occurred due to the occurrence of undulations based on the surface unevenness of the inner-layer circuit board, so measurement of the maximum sectional height Rt was omitted. In Comparative Example 6, since voids were generated, measurement of the maximum cross-sectional height (Rt) was omitted.

<절연층 표면의 외관의 평가>&Lt; Evaluation of Appearance of Surface of Insulating Layer >

프리프레그를 열경화한 후, 캐리어 필름인 이형 PET 필름을 박리하여, 절연층의 노출 표면에 관해서 외관을 관찰하였다. 절연층 표면의 외관은 절연층의 표면 3㎠을 마이크로스코프(KEYENCE(주) 제조「마이크로스코프 VK-8510」)를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After the prepreg was thermally cured, the release PET film as the carrier film was peeled off and the appearance of the exposed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was observed. The outer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was observed by observing the surface 3 cm 2 of the insulating layer using a microscope ("Microscope VK-8510" manufactured by KEYENCE Co., Ltd.).

표 2에 있어서는, 주름 또는 보이드가 없는 경우를「○」, 주름 또는 보이드가 있는 경우를「X」로 하였다. In Table 2, the case of no wrinkles or voids is indicated by "O", and the case of wrinkles or voids is defined as "X".

<기판 단부와 기판 중앙부에 있어서의 절연층의 두께의 차이의 측정>&Lt; Measurement of Difference in Thickness of Insulating Layer at End of Board and Center of Substrate >

프리프레그를 열경화한 후, 캐리어 필름인 이형 PET 필름을 박리하여, 기판 단부와 기판 중앙부에 있어서의 절연층의 두께의 차이를 측정하였다. 상세하게는, 기판 단부 및 기판 중앙부의 각 영역(1㎠)에 관해서, 단면을 연마에 의해 평활화한 후, 마이크로스코프(KEYENCE(주) 제조「마이크로스코프 VK-8510」)를 사용하여, 회로 도체 바로 위의 절연층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After the prepreg was thermally cured, the release PET film as the carrier film was peeled off, and the difference in thickness between the edge of the substrate and the center of the substrate was measured. Specifically, each area (1 cm 2) of the substrate end portion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bstrate was smoothed by polishing and then subjected to polishing using a microscope ("Microscope VK-8510" manufactured by KEYENCE Corporation)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on layer immediately above was measured.

표 2에 있어서는, 기판 단부와 기판 중앙부에 있어서의 절연층의 두께의 차이가 2.5㎛ 미만인 경우를「○」, 2.5㎛ 이상인 경우를 「X」로 하였다. In Table 2, the case where the difference in thickness between the end portion of the substrate and the insulating layer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bstrate is less than 2.5 占 퐉 is defined as &quot;? &Quot;

〔제작예 1〕[Production Example 1]

(1) 수지 바니쉬의 조제(1) Preparation of resin varnishes

액상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에폭시 당량 180, 미쯔비시가가쿠(주) 제조「jER828EL」) 15부, 나프탈렌형 4관능 에폭시 수지(에폭시 당량 163, DIC(주) 제조「HP4710」) 25부, 나프틸렌에테르형 에폭시 수지(에폭시 당량 213, DIC(주) 제조「EXA-7311G4」) 45부, 및 페녹시 수지(재팬에폭시레진(주) 제조「YL7553BH30」) 8부를, MEK 30부 및 사이클로헥산온 30부의 혼합 용매에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시켰다. 거기에, 트리아진 골격 함유 페놀계 경화제(수산기 당량 125, DIC(주) 제조「LA7054」, 질소 함유량 약 12질량%)의 고형분 60질량%의 MEK 용액 10부, 나프탈렌형 경화제(관능기 당량 153, DIC(주) 제조「HPC9500」) 의 고형분 60중량%의 MEK 용액 40부, 난연제(수산기 당량 162, (주)산코 제조「HCA-HQ」, 인 함유량 9.5%) 8부, 아미노실란계 커플링제(신에츠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KBM-573」)로 표면 처리된 구상 실리카(평균 입자 직경 1.0㎛, (주)아도마텍스 제조「SOC4」) 250부를 혼합하고, 고속 회전 믹서로 균일하게 분산시켜, 수지 바니쉬를 제조하였다. , 15 parts of liquid bisphenol A type epoxy resin (epoxy equivalent 180, "jER828EL" manufactured by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25 parts of naphthalene type tetrafunctional epoxy resin (epoxy equivalent 163, "HP4710" 45 parts of an ether type epoxy resin (epoxy equivalent 213, "EXA-7311G4" manufactured by DIC Corporation) and 8 parts of a phenoxy resin (YL7553BH30 manufactured by Japan Epoxy Resin Co., Ltd.) were mixed with 30 parts of MEK and 30 parts of cyclohexanone 30 In a mixed solvent while stirring. 10 parts of a MEK solution having a solid content of 60% by mass of a phenazine based curing agent containing a triazine skeleton (hydroxyl equivalent of 125, LA7054 manufactured by DIC Corporation, nitrogen content of about 12% by mass), 10 parts of a naphthalene type curing agent 8 parts of a flame retardant (hydroxyl equivalent 162, HCA-HQ manufactured by Sankyo Co., Ltd., phosphorus content 9.5%) 40 parts of an MEK solution having a solid content of 60% by weight of an aminosilane coupling agent ("HPC9500" 250 parts of spherical silica (average particle diameter 1.0 mu m, manufactured by Adomex Co., Ltd., &quot; SOC4 &quot;, manufactured by Shinetsu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KBM-573") was uniformly mixed with a high-speed rotary mixer And dispersed to prepare a resin varnish.

(2)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 1의 조제(2) Preparation of carrier-loaded prepreg 1

상기 (1)에서 얻어진 수지 바니쉬를 섬유 기재((주)아리사와세사쿠쇼 제조 1027 글래스 클로스, 두께 19㎛)에 함침하고, 세로형 건조로에서 110℃에서 5분간 건조시켜 프리프레그를 조제하였다. 프리프레그 중의 수지 조성물 함유량은 81질량%, 프리프레그의 두께는 50㎛이었다. 그 후, 뱃치식 진공 가압 라미네이터((주)메이키세사쿠쇼 제조「MVLP-500」)를 사용하여, 이형층 부착 PET 필름(린텍(주) 제조「PET501010」, 두께 38㎛)을, 이형층이 프리프레그와 접하도록 프리프레그의 양면에 라미네이트하여,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 1을 형성하였다.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 1에 있어서, 프리프레그 중의 섬유 기재와 무기 충전재의 합계 함유량은 72질량%이었다. 평가 기판을 제작할 때에는, 한쪽의 이형층 부착 PET 필름(보호 필름)을 박리하여 사용하였다. The resin varnish obtained in the above (1) was impregnated into a fiber base material (1027 glass cloth, manufactured by ARISA and SEISAKUSHO Co., Ltd., thickness 19 탆) and dried at 110 캜 for 5 minutes in a vertical type drying furnace to prepare a prepreg. The content of the resin composition in the prepreg was 81 mass% and the thickness of the prepreg was 50 탆. Thereafter, a PET film with a release layer (&quot; PET501010 &quot;, manufactured by LINTEC CO., LTD., Thickness 38 mu m) was laminated using a batch type vacuum pressure laminator (MVLP-500 manufactured by Meikisha Sakusho Co., Laminated on both sides of the prepreg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prepreg, thereby forming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1. In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1, the total content of the fibrous base material and the inorganic filler in the prepreg was 72 mass%. When the evaluation substrate was manufactured, one of the PET films with a release layer (protective film) was peeled and used.

〔제작예 2〕[Production Example 2]

(1) 수지 바니쉬의 조제(1) Preparation of resin varnishes

제작예 1과 같이 하여 수지 바니쉬를 조제하였다. A resin varnish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1.

(2)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 2의 조제(2) Preparation of carrier-loaded prepreg 2

섬유 기재((주)아리사와세사쿠쇼 제조 1027 글래스 클로스, 두께 19㎛) 대신 섬유 기재(주)아리사와세사쿠쇼 제조 1000 글래스 클로스, 두께 14㎛)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제작예 1과 같은 수순으로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 2를 조제하였다. 프리프레그 중의 수지 조성물 함유량은 80질량%이며, 프리프레그의 두께는 33㎛이었다. 또한,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 2에 있어서, 프리프레그 중의 섬유 기재와 무기 충전재의 합계 함유량은 72질량%이었다. The same procedure as in Production Example 1 was carried out except that a fiber substrate (1000 glass cloth made by Arisawa Seisakusho Co., Ltd., thickness 14 占 퐉) was used in place of the fiber substrate (1027 glass cloth, thickness 19 占 퐉 manufactured by Arisawa Seisakusho Co.,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2 was prepared in the procedure. The content of the resin composition in the prepreg was 80 mass% and the thickness of the prepreg was 33 탆. Further, in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2, the total content of the fibrous base material and the inorganic filler in the prepreg was 72 mass%.

〔제작예 3〕[Production Example 3]

(1) 수지 바니쉬의 조제(1) Preparation of resin varnishes

액상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에폭시 당량 180, 미쯔비시가가쿠(주) 제조「jER828EL」) 15부, 나프틸렌에테르형 에폭시 수지(에폭시 당량 213, DIC(주) 제조「EXA-7311G4」) 80부, 및 페녹시 수지(재팬에폭시레진(주) 제조「YL7553BH30」) 8부를 MEK 20부 및 사이클로헥산온 20부의 혼합 용매에 교반하면서 가열 용해시켰다. 거기에, 트리아진 골격 함유 페놀계 수지(수산기 당량 125, DIC(주) 제조「LA7054」, 질소 함유량 약 12중량%)의 고형분 60중량%의 MEK 용액 10부, 나프탈렌형 경화제(관능기 당량 215, 신닛테츠(주) 제조「SN485」)의 고형분 60중량%의 MEK 용액 40부, 난연제(수산기 당량 162, (주)산코 제조「HCA-HQ」, 인 함유량 9.5%) 8부, 아미노실란계 커플링제(신에츠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KBM-573」)로 표면 처리된 구형 실리카(평균 입자 직경 1.0㎛, (주)아도마텍스 제조「SOC4」) 240부를 혼합하여, 고속 회전 믹서로 균일하게 분산시켜, 수지 바니쉬를 조제하였다. , 15 parts of liquid bisphenol A type epoxy resin (epoxy equivalent 180, "jER828EL" manufactured by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80 parts of naphthylene ether type epoxy resin (epoxy equivalent 213, "EXA-7311G4" And 8 parts of a phenoxy resin ("YL7553BH30" manufactured by Japan Epoxy Resin Co., Ltd.) were dissolved by heating in a mixed solvent of 20 parts of MEK and 20 parts of cyclohexanone with stirring. 10 parts of a MEK solution having a solid content of 60% by weight of a triazine skeleton-containing phenol resin (hydroxyl equivalent of 125, "LA7054" manufactured by DIC Corporation, nitrogen content of about 12% by weight), 10 parts of a naphthalene type curing agent 8 parts of a flame retardant (hydroxyl equivalent 162, "HCA-HQ" manufactured by Sankyo Co., Ltd., phosphorus content 9.5%) 40 parts of a 60 wt% solid solution of MEK solution 240 parts of spherical silica (average particle diameter 1.0 占 퐉, manufactured by Adomex Co., Ltd., "SOC4" manufactured by Shinetsu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KBM-573") was subjected to surface treatment, To prepare a resin varnish.

(2)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 3의 조제(2) Preparation of carrier-loaded prepreg 3

상기 (1)에서 얻어진 수지 바니쉬를 사용하여, 제작예 1과 같은 수순으로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 3을 조제하였다. 프리프레그 중의 수지 조성물 함유량은 81질량%, 프리프레그의 두께는 50㎛이었다. 또한,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 3에 있어서, 프리프레그 중의 섬유 기재와 무기 충전재의 합계 함유량은 71질량%이었다. Using the resin varnish obtained in the above (1), a carrier mounting prepreg 3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1. The content of the resin composition in the prepreg was 81 mass% and the thickness of the prepreg was 50 탆. Further, in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3, the total content of the fibrous base material and the inorganic filler in the prepreg was 71 mass%.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실시예 1>&Lt; Example 1 >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 1을 사용하여, 상기〔측정·평가용 기판의 조제〕의 수순에 따라, 평가 기판을 조제하였다. 표 2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 온도(T1)는 140℃, 열프레스 온도(T2)는 140℃이었다. 각 평가 결과를 표 2에 기재한다. Using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1, an evaluation substrate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Preparation of a substrate for measurement and evaluation]. As shown in Table 2, the laminate temperature (T1) was 140 占 폚 and the hot press temperature (T2) was 140 占 폚.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실시예 2>&Lt; Example 2 >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 1을 사용하여, 상기〔측정·평가용 기판의 조제〕의 수순에 따라, 평가 기판을 조제하였다. 표 2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 온도(T1)는 140℃, 열프레스 온도(T2)는 120℃이었다. 각 평가 결과를 표 2에 기재한다. Using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1, an evaluation substrate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Preparation of a substrate for measurement and evaluation]. As shown in Table 2, the laminate temperature (T1) was 140 占 폚 and the hot press temperature (T2) was 120 占 폚.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실시예 3>&Lt; Example 3 >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 1을 사용하여, 상기〔측정·평가용 기판의 조제〕의 수순에 따라, 평가 기판을 조제하였다. 표 2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 온도(T1)는 120℃, 열프레스 온도(T2)는 120℃이었다. 각 평가 결과를 표 2에 기재한다. Using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1, an evaluation substrate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Preparation of a substrate for measurement and evaluation]. As shown in Table 2, the laminate temperature (T1) was 120 占 폚 and the hot press temperature (T2) was 120 占 폚.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실시예 4><Example 4>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 2를 사용하여, 상기〔측정·평가용 기판의 조제〕의 수순에 따라, 평가 기판을 조제하였다. 표 2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 온도(T1)는 140℃, 열프레스 온도(T2)는 120℃이었다. 각 평가 결과를 표 2에 기재한다. An evaluation substrate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preparation of a substrate for measurement and evaluation] using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2. As shown in Table 2, the laminate temperature (T1) was 140 占 폚 and the hot press temperature (T2) was 120 占 폚.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실시예 5>&Lt; Example 5 >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 1을 사용하여, 상기〔측정·평가용 기판의 조제〕의 수순에 따라, 평가 기판을 조제하였다. 표 2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 온도(T1)는 130℃, 열프레스 온도(T2)는 110℃이었다. 각 평가 결과를 표 2에 기재한다. Using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1, an evaluation substrate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Preparation of a substrate for measurement and evaluation]. As shown in Table 2, the laminate temperature (T1) was 130 占 폚 and the hot press temperature (T2) was 110 占 폚.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실시예 6>&Lt; Example 6 >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 3을 사용하여, 상기〔측정·평가용 기판의 조제〕의 수순에 따라, 평가 기판을 조제하였다. 표 2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 온도(T1)는 130℃, 열프레스 온도(T2)는 110℃이었다. 각 평가 결과를 표 2에 기재한다. Using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3, an evaluation substrate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Preparation of a substrate for measurement and evaluation]. As shown in Table 2, the laminate temperature (T1) was 130 占 폚 and the hot press temperature (T2) was 110 占 폚.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실시예 7>&Lt; Example 7 >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 1을 사용하여, 상기〔측정·평가용 기판의 조제〕의 수순에 따라, 평가 기판을 조제하였다. 표 2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 온도(T1)는 140℃, 열프레스 온도(T2)는 140℃, 열프레스 온도(T3)는 120℃이었다. 각 평가 결과를 표 2에 기재한다. Using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1, an evaluation substrate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Preparation of a substrate for measurement and evaluation]. As shown in Table 2, the laminate temperature (T1) was 140 占 폚, the hot press temperature (T2) was 140 占 폚, and the hot press temperature (T3) was 120 占 폚.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비교예 1>&Lt; Comparative Example 1 &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 1을 사용하여, 상기〔측정·평가용 기판의 조제〕의 수순에 따라, 평가 기판을 조제하였다. 표 2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 온도(T1)는 140℃, 열프레스 온도(T2)는 160℃이었다. 각 평가 결과를 표 2에 기재한다. Using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1, an evaluation substrate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Preparation of a substrate for measurement and evaluation]. As shown in Table 2, the laminate temperature (T1) was 140 占 폚 and the hot press temperature (T2) was 160 占 폚.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비교예 2>&Lt; Comparative Example 2 &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 1을 사용하여, 상기〔측정·평가용 기판의 조제〕의 수순에 따라, 평가 기판을 조제하였다. 표 2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 온도(T1)는 140℃, 열프레스 온도(T2)는 100℃이었다. 각 평가 결과를 표 2에 기재한다.Using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1, an evaluation substrate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Preparation of a substrate for measurement and evaluation]. As shown in Table 2, the laminate temperature (T1) was 140 占 폚 and the hot press temperature (T2) was 100 占 폚.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비교예 3>&Lt; Comparative Example 3 &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 1을 사용하여, 상기〔측정·평가용 기판의 조제〕의 수순에 따라, 평가 기판을 조제하였다. 표 2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 온도(T1)는 120℃, 열프레스 온도(T2)는 140℃이었다. 각 평가 결과를 표 2에 기재한다.Using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1, an evaluation substrate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Preparation of a substrate for measurement and evaluation]. As shown in Table 2, the laminate temperature (T1) was 120 占 폚 and the hot press temperature (T2) was 140 占 폚.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비교예 4>&Lt; Comparative Example 4 &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 1을 사용하여, 상기〔측정·평가용 기판의 조제〕의 수순에 따라, 평가 기판을 조제하였다. 표 2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 온도(T1)는 120℃, 열프레스 온도(T2)는 100℃이었다. 각 평가 결과를 표 2에 기재한다.Using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1, an evaluation substrate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Preparation of a substrate for measurement and evaluation]. As shown in Table 2, the laminate temperature (T1) was 120 占 폚 and the hot press temperature (T2) was 100 占 폚.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비교예 5>&Lt; Comparative Example 5 &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 1을 사용하여, 상기〔측정·평가용 기판의 조제〕의 수순에 따라, 평가 기판을 조제하였다. 표 2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 온도(T1)는 100℃, 열프레스 온도(T2)는 140℃이었다. 각 평가 결과를 표 2에 기재한다. Using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1, an evaluation substrate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Preparation of a substrate for measurement and evaluation]. As shown in Table 2, the laminate temperature (T1) was 100 占 폚 and the hot press temperature (T2) was 140 占 폚.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비교예 6>&Lt; Comparative Example 6 >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 1을 사용하여, 상기〔측정·평가용 기판의 조제〕의 수순에 따라, 평가 기판을 조제하였다. 표 2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 온도(T1)는 100℃, 열프레스 온도(T2)는 100℃이었다. 각 평가 결과를 표 2에 기재한다.Using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1, an evaluation substrate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Preparation of a substrate for measurement and evaluation]. As shown in Table 2, the laminate temperature (T1) was 100 占 폚 and the hot press temperature (T2) was 100 占 폚.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비교예 7>&Lt; Comparative Example 7 &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 3을 사용하여, 상기〔측정·평가용 기판의 조제〕의 수순에 따라, 평가 기판을 조제하였다. 표 2에 기재하는 바와 같이, 라미네이트 온도(T1)는 140℃, 열프레스 온도(T2)는 140℃이었다. 각 평가 결과를 표 2에 기재한다.Using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3, an evaluation substrate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Preparation of a substrate for measurement and evaluation]. As shown in Table 2, the laminate temperature (T1) was 140 占 폚 and the hot press temperature (T2) was 140 占 폚.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Claims (9)

(I) 캐리어 필름 위에 프리프레그가 형성된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를, 프리프레그가 내층 회로 기판과 접합하도록, 내층 회로 기판에 라미네이트하는 공정,
(II) 라미네이트된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를 열프레스하여 평활화하는 공정, 및
(III) 프리프레그를 열경화하여 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으로서,
프리프레그의 전체 질량을 100질량%로 했을 때, 프리프레그 중의 섬유 기재와 무기 충전재의 합계 질량이 70질량% 이상이고,
공정 (II)의 열프레스 온도에 있어서의 프리프레그의 용융 점도가 300 내지 10000poise이며,
공정 (I) 후의 캐리어 장착 프리프레그의 캐리어 필름 표면의 최대 단면 높이(Rt)가 5㎛ 미만이며, 또한
공정 (I)의 라미네이트 온도를 T1(℃), 공정 (II)의 열프레스 온도를 T2(℃)로 할 때, T1과 T2가 T2≤T1+10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
(I) a step of laminating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in which the prepreg is formed on the carrier film, so that the prepreg is bonded to the inner-layer circuit board,
(II) a step of hot pressing and smoothing the laminated carrier mounting prepreg, and
(III) a step of thermally curing the prepreg to form an insulating layer, the method comprising:
When the total mass of the prepreg is 100 mass%, the total mass of the fibrous base material and the inorganic filler in the prepreg is 70 mass% or more,
The melt viscosity of the prepreg at the hot press temperature in the step (II) is 300 to 10000 poise,
The maximum cross-sectional height (Rt) of the carrier film surface of the carrier mounting prepreg after step (I) is less than 5 占 퐉,
Wherein T1 and T2 satisfy a relationship of T2? T1 + 10, where T1 (° C) is the lamination temperature of the process (I) and T2 (° C) is the heat press temperature of the process (II) A manufacturing method of a printed wiring board.
제 1 항에 있어서, T1과 T2가 T2≤T1+5의 관계를 충족시키는,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1 and T2 satisfy a relationship of T2? T1 + 5. 제 1 항에 있어서, 공정 (II)를 2회 이상 실시하는,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The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II) is carried out two or more times. 제 1 항에 있어서, 공정 (III) 후의 절연층 표면의 최대 단면 높이(Rt)가 3㎛ 미만인,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The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ximum cross-sectional height (Rt) of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after the step (III) is less than 3 占 퐉. 제 1 항에 있어서, 프리프레그가 에폭시 수지 및 경화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The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preg further contains an epoxy resin and a curing agent. 제 5 항에 있어서, 프리프레그가, 섬유 기재에, 에폭시 수지, 경화제 및 무기 충전재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함침시켜 형성되는,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The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prepreg is formed by impregnating a fiber substrate with a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n epoxy resin, a curing agent and an inorganic filler. 제 1 항에 있어서, 캐리어 필름이 공정 (III) 후에 박리되는,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The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rrier film is peeled off after the step (III).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정 (III)에 있어서, 프리프레그를 가열 오븐 내에서 수직 상태로 배치하고, 열경화하여 절연층을 형성하는, 다층 프린트 배선판의 제조 방법.The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in the step (III), the prepreg is placed in a vertical state in a heating oven and thermally cured to form an insulating layer. 하기 (a) 내지 (c)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다층 프린트 배선판:
(a) 상기 절연층의 전체 질량을 100질량%로 했을 때, 섬유 기재와 무기 충전재의 합계 질량이 70질량% 이상이다;
(b) 상기 절연층 표면의 최대 단면 높이(Rt)가 3㎛ 미만이다; 그리고
(c) 상기 절연층의 기판 단부의 두께와 기판 중앙부의 두께의 차이가 2.5㎛ 미만이다.
A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that satisfies the following conditions (a) to (c):
(a) when the total mass of the insulating layer is 100 mass%, the total mass of the fibrous base material and the inorganic filler is 70 mass% or more;
(b) the maximum cross-sectional height (Rt) of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is less than 3 mu m; And
(c)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end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and the thickness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bstrate is less than 2.5 mu m.
KR1020140095614A 2013-08-02 2014-07-28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KR10219165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61757A JP6343885B2 (en) 2013-08-02 2013-08-02 Manufacturing method of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JPJP-P-2013-161757 2013-08-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105A true KR20150016105A (en) 2015-02-11
KR102191651B1 KR102191651B1 (en) 2020-12-17

Family

ID=52504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5614A KR102191651B1 (en) 2013-08-02 2014-07-28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43885B2 (en)
KR (1) KR102191651B1 (en)
CN (1) CN104349614B (en)
TW (1) TWI639372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07000A1 (en) * 2015-07-09 2017-01-12 住友精化株式会社 Electrical insulating resin composition for partial-discharge resistan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5014A1 (en) 2007-09-11 2009-03-19 Ajinomoto Co., Inc. Process for producing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JP2013030761A (en) * 2011-06-21 2013-02-07 Sumitomo Bakelite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laminat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9221B2 (en) * 1991-11-20 2000-11-13 三菱電機株式会社 Multilayer wiring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133817B2 (en) * 2001-08-31 2008-08-13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Resin composition, prepreg, laminate and semiconductor package
JP4725704B2 (en) * 2003-05-27 2011-07-13 味の素株式会社 Resin composition for interlayer insulation of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adhesive film and prepreg
JP4590939B2 (en) * 2004-05-28 2010-12-01 凸版印刷株式会社 Insulating resin film for printed wiring board and method of forming insulating layer using the same
US8637151B2 (en) * 2007-02-14 2014-01-28 Sumitomo Bakelite Co., Ltd. Interlayer dielectric film with carrier material and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therewith
JP5740940B2 (en) * 2010-11-30 2015-07-01 味の素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metal-clad lamina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35014A1 (en) 2007-09-11 2009-03-19 Ajinomoto Co., Inc. Process for producing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JP2013030761A (en) * 2011-06-21 2013-02-07 Sumitomo Bakelite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lamin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43885B2 (en) 2018-06-20
TW201517732A (en) 2015-05-01
CN104349614B (en) 2019-05-28
KR102191651B1 (en) 2020-12-17
CN104349614A (en) 2015-02-11
JP2015032710A (en) 2015-02-16
TWI639372B (en) 2018-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6112B1 (en) Adhesive film
TWI701289B (en) Resin composition
TWI718258B (en) Resin sheet
TWI724026B (en) Manufacturing method of wiring board, wiring board, and semiconductor device
KR102656740B1 (en) Resin sheet with support
KR102130276B1 (en) Method for producing printed wiring board
CN107129589B (en) Resin sheet with support
KR20170077044A (en) Resin composition
KR20150123179A (en) Resin composition for insulating layer of printed wiring board
KR102000921B1 (en) Insulating resin sheet
TWI738815B (en) Resin composition
TW201842046A (en) Resin composition layer capable of obtaining a cured product excellent in base layer adhesion and anti-reflow properties
TW201738311A (en) Resin sheet having an insulation layer with excellent insulation performance
KR20150050441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laminates
KR102511657B1 (en) Resin sheet with support
JP6398283B2 (en) Resin composition
JP6303320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nent mounting board
JP6252658B2 (en) Insulating resin sheet
KR10219165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JP6229402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JP6287004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JP2018027703A (en) Insulative resin sheet
KR102546390B1 (en) Process for producing resin sheet
JP2023100866A (en) Wiring board and semiconductor device
JP2003273522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ly reliable and high density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