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5272A - 조립식 블럭 및 그것을 이용한 구조체 축조방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블럭 및 그것을 이용한 구조체 축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15272A KR20150015272A KR1020130091128A KR20130091128A KR20150015272A KR 20150015272 A KR20150015272 A KR 20150015272A KR 1020130091128 A KR1020130091128 A KR 1020130091128A KR 20130091128 A KR20130091128 A KR 20130091128A KR 20150015272 A KR20150015272 A KR 2015001527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stening
- body portion
- sides
- block
- fastening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E02B3/106—Temporary dyk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홍수, 화재, 소음 등과 같은 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옹벽 및 벽체에 적용되는 조립식 블럭 및 그를 이용한 구조체 축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조립식 블럭의 체결 훅을 다른 조립식 블럭의 체결 홈 내에 삽입함과 동시에, 소정의 조립식 블럭의 체결 홈 내에 상기 다른 조립식 블럭의 체결 훅을 삽입시켜, 다수개의 조립식 블럭들이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적어도 두 개의 조립체들을 수직 방향으로 적층하여, 제 1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제 1 구조체로부터 제 1 간격을 갖도록, 제 1 구조체의 일측에 제 2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식 블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홍수, 화재, 소음 등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제방, 둑, 벽체에 적용되는 조립식 블럭 및 그를 이용한 구조체 축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주변에는 홍수, 화재, 소음 등과 같은 다양한 재해들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특히, 급격한 기후 및 환경 변화에 따라, 홍수, 화재, 소음 등의 피해 규모가 매우 커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이러한 피해들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방법이나 기술들이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에는 이러한 피해들을 방지하기 위하여, 철근을 사용한 콘크리트 제방, 둑이나 벽체를 축조하고 있지만, 장기간의 공사기간과 엄청난 공사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철근을 사용하지 않고, 콘크리트 블럭들을 이용한 제방 또는 둑이나 벽체를 축조하는 기술이 개발되기도 하였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블럭들이 결합된 옹벽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 구조물은, 각 단위 블럭(1)의 단면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지고, 각 단위 블럭(1)의 양측 외주면 상에는 연결부(2)가 형성되며, 각 단위 블럭(1)의 연결부(2)는 서로 인접하는 다른 단위 블럭들과 상호 결합함으로써, 전체 옹벽 구조물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구성되는 옹벽 구조물은, 서로 결합된 단위 블럭들 사이에 미세한 틈새가 있어, 그 틈새를 통해, 물, 연기, 소음 등을 차단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단위 블럭(1)의 형태가 직사각형 형상이라, 비탈진 경사면이나, 곡면이 있는 장소에는 설치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향후, 방수, 방화, 방음 효과가 뛰어나면서도, 비탈진 경사면이나, 곡면이 있는 장소에 상관없이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며, 적은 비용으로도 쉽고 간단하게 튼튼한 제방, 뚝이나 벽체를 축조할 수 있는 기술 및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적어도 두 개의 측면에 체결 훅과 체결 홈이 형성된 사각 기둥 또는 삼각 기둥 형상의 조립식 블럭을 이용하여, 방수, 방화, 방음 효과가 뛰어나면서도, 비탈진 경사면이나, 곡면이 있는 장소에 상관없이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며, 적은 비용으로도 튼튼한 제방, 뚝이나 벽체를 축조할 수 있는 조립식 블럭 및 그를 이용한 구조체 축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블럭은, 상면과 하면 사이에, 제 1, 제 2, 제 3, 제 4 측면들을 포함하는 바디(body)부와, 바디부의 제 1, 제 2, 제 3, 제 4 측면들 중, 적어도 두 개 측면에 형성되는 체결 훅(hook)과, 바디부의 제 1, 제 2, 제 3, 제 4 측면들 중, 적어도 두 개 측면에 형성되는 체결 홈을 포함하고, 바디부의 제 1, 제 2 측면은 서로 마주 보며 배치되고, 서로 다른 면적을 가지고, 바디부의 제 3, 제 4 측면은 서로 마주 보며 배치되고, 서로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체결 훅과 체결 홈은 서로 동일한 측면에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 훅은, 바디부의 측면 표면으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되고, 체결 홈은, 바디부의 측면 표면 내로 오목하게 들어가며, 체결 훅의 최대 돌출 높이는, 체결 홈의 최대 오목 깊이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체결 훅과 체결 홈은 바디부의 상면에서 하면 방향으로 측면을 따라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 훅과 체결 홈은 바디부의 상면에서 하면 방향으로 측면의 중앙 영역 또는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어, 바디부의 상면과 하면의 면적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바디부의 상면과 하면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이고, 바디부의 제 1, 제 2, 제 3, 제 4 측면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블럭은, 상면과 하면 사이에, 제 1, 제 2, 제 3 측면들을 포함하는 바디(body)부와, 바디부의 제 1, 제 2, 제 3 측면들 중, 적어도 두 개 측면에 형성되는 체결 훅(hook)과, 바디부의 제 1, 제 2, 제 3 측면들 중, 적어도 두 개 측면에 형성되는 체결 홈을 포함하고, 바디부의 제 1, 제 2, 제 3 측면들 중, 서로 인접하는 측면들 사이의 각도는 예각이고, 바디부의 제 1, 제 2, 제 3 측면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측면의 면적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의 상면과 하면의 단면은 삼각형 형상이고, 바디부의 제 1, 제 2, 제 3 측면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블럭을 이용한 구조체 축조방법은, 소정의 조립식 블럭의 체결 훅을 다른 조립식 블럭의 체결 홈 내에 삽입함과 동시에, 소정의 조립식 블럭의 체결 홈 내에 상기 다른 조립식 블럭의 체결 훅을 삽입시켜, 다수개의 조립식 블럭들이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적어도 두 개의 조립체들을 수직 방향으로 적층하여, 제 1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제 1 구조체로부터 제 1 간격을 갖도록, 제 1 구조체의 일측에 제 2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조립체는, 2개의 측면에 체결 훅과 체결 홈을 갖는 사각 기둥 형상의 조립식 블럭들이 연결되어 1개 열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조립체는, 3개의 측면에 체결 훅과 체결 홈을 갖는 사각 기둥 형상의 조립식 블럭들이 연결되어 제 1 열과 제 2 열로 배열되고, 제 1 열과 제 2 열 사이에, 4개의 측면에 상기 체결 훅과 체결 홈을 갖는 사각 기둥 형상의 조립식 블럭들이 연결되어 제 3 열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열과 제 3 열 사이와, 제 2 열과 제 3 열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고, 빈 공간에는 공기, 방수재, 방화재, 방음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채워질 수 있다.
또한, 조립체는, 2개의 측면에 체결 훅과 체결 홈을 갖는 삼각 기둥 형상의 조립식 블럭과, 3개의 측면에 체결 훅과 체결 홈을 갖는 삼각 기둥 형상의 조립식 블럭이 교대로 연결되어, 제 1 열과 제 2 열로 배열되고, 제 1 열의 조립식 블럭과 제 2 열의 조립식 블럭이 서로 연결되어, 육각형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제 1 열과 제 2 열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고, 빈 공간에는 공기, 방수재, 방화재, 방음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채워질 수 있다.
그리고, 조립체는, 수평 방향을 따라, 곡선 및 직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배열될 수 있다.
이어, 제 1, 제 2 구조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적어도 두 개의 조립체들을 수직 방향으로 적층할 때, 서로 인접한 조립식 블럭들은 서로 어긋나게 적층할 수 있다.
또한, 제 1 구조체로부터 제 2 간격을 갖도록, 제 1 구조체의 타측에 제 3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 1 구조체와 제 2 구조체 사이의 제 1 간격과 제 1 구조체와 제 3 구조체 사이의 제 2 간격에는, 공기, 방수재, 방화재, 방음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채워질 수 있다.
그리고, 제 1 간격과 제 2 간격 내에 채워지는 물질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측면에 체결 훅과 체결 홈이 형성된 사각 기둥 또는 삼각 기둥 형상의 조립식 블럭을 이용함으로써, 방수, 방화, 방음 효과가 뛰어나면서도, 비탈진 경사면이나, 곡면부가 관계없이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은 비용으로도 쉽고 간단하게 튼튼한 제방이나 뚝을 축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블럭들이 결합된 옹벽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럭을 보여주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럭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럭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체결 훅의 돌출 높이와 체결 홈의 돌출 깊이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a 및 도 6b는 체결 훅과 체결 홈의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 제 4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럭을 보여주는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 제 5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럭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블럭을 이용한 구조체 축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 제 4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4는 서로 어긋나게 적층한 구조체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5는 3개의 구조체들이 곡선 형상으로 배열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6은 2개의 구조체들이 직선 형상으로 배열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7a 내지 도 17c는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구조체를 보여주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럭을 보여주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럭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럭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체결 훅의 돌출 높이와 체결 홈의 돌출 깊이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a 및 도 6b는 체결 훅과 체결 홈의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 제 4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럭을 보여주는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 제 5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럭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블럭을 이용한 구조체 축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 제 4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4는 서로 어긋나게 적층한 구조체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5는 3개의 구조체들이 곡선 형상으로 배열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6은 2개의 구조체들이 직선 형상으로 배열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7a 내지 도 17c는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구조체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럭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2a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평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블럭은, 바디(body)부(10), 체결 훅(hook)(20) 및 체결 홈(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10)는, 상면(13), 하면(15), 그리고, 상면(13)과 하면(15)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제 2, 제 3, 제 4 측면(12, 14, 16, 18)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바디부(10)의 제 1, 제 2 측면(12, 14)은 서로 마주 보며 배치되고, 서로 다른 면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바디부(10)의 제 3, 제 4 측면(16, 18)은 서로 마주 보며 배치되고, 서로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바디부(10)의 상면(13)과 하면(15)의 면적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디부(10)의 상면(13)과 하면(15)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고, 바디부(10)의 제 1, 제 2, 제 3, 제 4 측면(12, 14, 16, 18)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이어, 체결 훅(hook)(20)은, 바디부(10)의 제 1, 제 2, 제 3, 제 4 측면(12, 14, 16, 18)들 중, 적어도 두 개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 홈(30)은, 바디부(10)의 제 1, 제 2, 제 3, 제 4 측면(12, 14, 16, 18)들 중, 적어도 두 개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 훅(20)과 체결 홈(30)은 서로 동일한 측면에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2a 및 도 2b의 제 1 실시예는, 바디부(10)의 제 3 측면(16)에 제 1 체결 훅(22)과 제 1 체결 홈(32)이 배치되고, 바디부(10)의 제 4 측면(18)에 제 2 체결 훅(24)과 제 2 체결 홈(34)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체결 훅(20)은, 바디부(10)의 측면 표면으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되고, 체결 홈(30)은, 바디부(100의 측면 표면 내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 훅(20)의 최대 돌출 높이는, 체결 홈(30)의 최대 오목 깊이와 동일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다음, 체결 훅(20)과 체결 홈(30)은 바디부(10)의 상면(13)에서 하면(15) 방향으로 측면을 따라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체결 훅(20)과 체결 홈(30)은 바디부(10)의 상면(13)에서 하면(15) 방향으로 측면의 중앙 영역 또는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럭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3a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블럭은, 바디(body)부(10), 체결 훅(hook)(20) 및 체결 홈(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10)의 제 3 측면(16)에 제 1 체결 훅(22)과 제 1 체결 홈(32)이 배치되고, 바디부(10)의 제 4 측면(18)에 제 2 체결 훅(24)과 제 2 체결 홈(34)이 배치될 수 있으며, 바디부(10)의 제 2 측면(14)에 제 3 체결 훅(26)과 제 3 체결 홈(36)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부(10)의 상면(13)과 하면(15)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고, 바디부(10)의 제 1, 제 2, 제 3, 제 4 측면(12, 14, 16, 18)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나머지 구조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럭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4는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블럭은, 바디(body)부(10), 체결 훅(hook)(20) 및 체결 홈(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10)의 제 3 측면(16)에 제 1 체결 훅(22)과 제 1 체결 홈(32)이 배치되고, 바디부(10)의 제 4 측면(18)에 제 2 체결 훅(24)과 제 2 체결 홈(34)이 배치될 수 있으며, 바디부(10)의 제 2 측면(14)에 제 3 체결 훅(26)과 제 3 체결 홈(36)이 배치될 수 있고, 바디부(10)의 제 1 측면(12)에 제 4 체결 훅(28)과 제 4 체결 홈(38)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부(10)의 상면(13)과 하면(15)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고, 바디부(10)의 제 1, 제 2, 제 3, 제 4 측면(12, 14, 16, 18)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나머지 구조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체결 훅의 돌출 높이와 체결 홈의 돌출 깊이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훅(20) 및 체결 홈(30)은, 바디부(10)의 제 1, 제 2, 제 3, 제 4 측면(12, 14, 16, 18)들 중, 적어도 두 개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 훅(20)과 체결 홈(30)은 서로 동일한 측면에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 훅(20)은, 바디부(10)의 측면 표면으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되고, 체결 홈(30)은, 바디부(100의 측면 표면 내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 훅(20)의 최대 돌출 높이 h는, 체결 홈(30)의 최대 오목 깊이 d와 동일할 수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체결 훅(20)의 최대 돌출 높이 h는, 체결 홈(30)의 최대 오목 깊이 d와 다를 수도 있다.
그 이유는, 체결 훅(20)의 최대 돌출 높이 h와, 체결 홈(30)의 최대 오목 깊이 d가, 서로 인접하여 체결되는 다른 조립식 블럭의 체결 훅의 돌출 높이 및 체결 홈의 오목 깊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바디부(10)의 제 1, 제 2 측면(12, 14)은 서로 마주 보며 배치되는데, 제 1 측면(12)의 면적 S1과 제 2 측면(14)의 면적 S2는, 서로 다른 면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바디부(10)의 제 3, 제 4 측면(16, 18)은 서로 마주 보며 배치되는데, 제 3 측면(16)의 면적 S3과 제 4 측면(18)의 면적 S4는, 서로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체결 훅과 체결 홈의 형상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훅(20)과 체결 홈(30)은 서로 동일한 측면에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 훅(20)은, 바디부(10)의 측면 표면으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되고, 체결 홈(30)은, 바디부(100의 측면 표면 내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 체결 훅(20)과 체결 홈(30)은 바디부(10)의 상면(13)에서 하면(15) 방향으로 측면을 따라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6a와 같이, 체결 훅(20)과 체결 홈(30)은 바디부(10)의 상면(13)에서 하면(15) 방향으로 측면의 중앙 영역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 6b와 같이, 체결 훅(20)과 체결 홈(30)은 바디부(10)의 상면(13)에서 하면(15) 방향으로 측면의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체결 훅(20)과 체결 홈(30)은 바디부(10)의 상면(13)에서 하면(15) 방향으로 측면을 따라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인접하는 조립식 블럭들과 체결될 때, 측면 전체가 체결되므로, 연결이 치밀하고 단단한 장점이 있다.
또한, 체결 훅(20)과 체결 홈(30)은 바디부(10)의 상면(13)에서 하면(15) 방향으로 측면의 중앙 영역 또는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형성되므로, 조립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조립식 블럭들을 연결할 수 있고, 다양한 타입의 제방, 둑이나 방호벽 등을 축조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 제 4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럭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7a는 사시도이고, 도 7b는 평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블럭은, 바디(body)부(10), 체결 훅(hook)(20) 및 체결 홈(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10)는, 상면(13), 하면(15), 그리고, 상면(13)과 하면(15)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제 2, 제 3 측면(12, 14, 16)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바디부(10)의 제 1, 제 2, 제 3 측면(12, 14, 16)들 중, 서로 인접하는 측면들 사이의 각도는 예각일 수 있다.
그리고, 바디부(10)의 제 1, 제 2, 제 3 측면(12, 14, 16)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측면의 면적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바디부(10)의 상면(13)과 하면(15)의 면적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디부(10)의 상면(13)과 하면(15)의 단면은 삼각형 형상일 수 있고, 바디부(10)의 제 1, 제 2, 제 3 측면(12, 14, 16)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이어, 체결 훅(hook)(20)은, 바디부(10)의 제 1, 제 2, 제 3 측면(12, 14, 16)들 중, 적어도 두 개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 홈(30)은, 바디부(10)의 제 1, 제 2, 제 3 측면(12, 14, 16)들 중, 적어도 두 개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 훅(20)과 체결 홈(30)은 서로 동일한 측면에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7a 및 도 7b의 제 4 실시예는, 바디부(10)의 제 1 측면(12)에 제 1 체결 훅(22)과 제 1 체결 홈(32)이 배치되고, 바디부(10)의 제 2 측면(14)에 제 2 체결 훅(24)과 제 2 체결 홈(34)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체결 훅(20)은, 바디부(10)의 측면 표면으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되고, 체결 홈(30)은, 바디부(100의 측면 표면 내로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 훅(20)의 최대 돌출 높이는, 체결 홈(30)의 최대 오목 깊이와 동일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다음, 체결 훅(20)과 체결 홈(30)은 바디부(10)의 상면(13)에서 하면(15) 방향으로 측면을 따라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체결 훅(20)과 체결 홈(30)은 바디부(10)의 상면(13)에서 하면(15) 방향으로 측면의 중앙 영역 또는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 제 5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블럭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8a는 사시도이고, 도 8b는 평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블럭은, 바디(body)부(10), 체결 훅(hook)(20) 및 체결 홈(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부(10)의 제 1 측면(12)에 제 1 체결 훅(22)과 제 1 체결 홈(32)이 배치되고, 바디부(10)의 제 2 측면(14)에 제 2 체결 훅(24)과 제 2 체결 홈(34)이 배치될 수 있으며, 바디부(10)의 제 3 측면(16)에 제 3 체결 훅(26)과 제 3 체결 홈(36)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부(10)의 상면(13)과 하면(15)의 단면은 삼각형 형상일 수 있고, 바디부(10)의 제 1, 제 2, 제 3 측면(12, 14, 16)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나머지 구조는 본 발명 제 4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블럭을 이용한 구조체 축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옹벽이나 방호벽 등의 구조체를 축조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두 개의 측면에 체결 훅과 체결 홈이 형성된 사각 기둥 또는 삼각 기둥 형상의 조립식 블럭들을 준비한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는 조립식 블럭들의 체결 훅과 체결 홈을 연결한다.(S11)
즉, 소정의 조립식 블럭의 체결 훅을 다른 조립식 블럭의 체결 홈 내에 삽입함과 동시에, 소정의 조립식 블럭의 체결 홈 내에 다른 조립식 블럭의 체결 훅을 삽입시켜, 서로 인접하는 조립식 블럭들을 연결할 수 있다.
이어, 다수개의 조립식 블럭들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함으로써,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S13)
여기서, 조립체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를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도 10a는 제 1 실시예의 조립체에 포함되는 조립식 블럭 형상이고, 도 10b는 직선 형태로 배열되는 조립체이고, 도 10c는 곡선 형태로 배열되는 조립체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조립체(200)는, 2개의 측면에 체결 훅(20)과 체결 홈(30)을 갖는 사각 기둥 형상의 조립식 블럭(102)들이 연결되어 1개 열로 배열될 수 있다.
1개 열로 배열되는 조립체(200)는, 조립식 블럭(102)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곡선으로 배열할 수도 있고, 직선으로 배열할 수도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를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도 11a는 제 2 실시예의 조립체에 포함되는 조립식 블럭 형상이고, 도 11b는 곡선 형태로 배열되는 조립체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의 조립체(200)는, 3개의 측면에 체결 훅(20)과 체결 홈(30)을 갖는 사각 기둥 형상의 조립식 블럭(104)들이 연결되어 제 1 열과 제 2 열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열과 제 2 열 사이에는, 4개의 측면에 체결 훅(20)과 체결 홈(30)을 갖는 사각 기둥 형상의 조립식 블럭(106)들이 연결되어 제 3 열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열과 제 3 열 사이와, 제 2 열과 제 3 열 사이에는, 빈 공간(1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빈 공간(150)에는 공기, 방수재, 방화재, 방음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채워질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를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도 12a는 제 3 실시예의 조립체에 포함되는 조립식 블럭 형상이고, 도 12b는 직선 형태로 배열되는 조립체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의 조립체(200)는, 2개의 측면에 체결 훅(20)과 체결 홈(30)을 갖는 삼각 기둥 형상의 조립식 블럭(108)과, 3개의 측면에 체결 훅(20)과 체결 홈(30)을 갖는 삼각 기둥 형상의 조립식 블럭(109)이 교대로 연결되어, 제 1 열과 제 2 열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열의 조립식 블럭과 제 2 열의 조립식 블럭이 서로 연결되어, 육각형 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또한, 제 1 열과 제 2 열 사이에는, 빈 공간(150)이 형성되는데, 빈 공간(150)에는 공기, 방수재, 방화재, 방음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채워질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 제 4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실시예의 조립체(200)는, 2개의 측면에 체결 훅(20)과 체결 홈(30)을 갖는 삼각 기둥 형상의 조립식 블럭(108)과, 3개의 측면에 체결 훅(20)과 체결 홈(30)을 갖는 삼각 기둥 형상의 조립식 블럭(109)이 교대로 연결되어, 제 1 열과 제 2 열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열과 제 2 열 사이에는, 3개의 측면에 체결 훅(20)과 체결 홈(30)을 갖는 삼각 기둥 형상의 조립식 블럭(109)들이 연결되어 제 3 열 및 제 4 열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열의 조립식 블럭과 제 3 열의 조립식 블럭이 서로 연결되어, 육각형 형상을 이룰 수 있고, 제 2 열의 조립식 블럭과 제 4 열의 조립식 블럭이 서로 연결되어, 육각형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제 3 열의 조립식 블럭과 제 4 열의 조립식 블럭이 서로 연결되어, 육각형 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 열과 제 3 열 사이, 제 2 열과 제 4 열 사이, 제 3 열과 제 4 열 사이에는, 빈 공간(1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빈 공간(150)에는 공기, 방수재, 방화재, 방음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채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체(200)는 조립식 블럭들의 종류 및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체(200)는, 수평 방향을 따라, 곡선 및 직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배열될 수 있다.
다음, 이와 같이, 제작된 조립체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조립체들을 수직 방향으로 적층하여,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S15)
여기서, 구조체는, 적어도 두 개의 조립체들을 수직 방향으로 적층할 때, 서로 인접한 조립식 블럭들은 서로 어긋나게 적층할 수 있다.
도 14는 서로 어긋나게 적층한 구조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체(300)는, 적어도 두 개의 조립체들을 수직 방향으로 적층할 때, 서로 인접한 조립식 블럭(104 또는 106)들은 서로 어긋나게 적층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서로 인접한 조립식 블럭들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배열함으로써, 조립식 블럭들이 수평 또는 수직 방향, 즉 입체적 체결효과도 구조적으로 매우 튼튼한 구조체를 구성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조립식 블럭들은 어긋나게 적층한 구조체(300)는, 외부에 충격이 있을 때, 조립식 블럭들 사이에 신장, 수축, 부등침하 등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외부의 힘을 탄성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쉽게 변형되거나 무너지지 않는다.
한편, 이와 같이, 제작한 구조체(300)는, 다수의 구조체들을 수평 방향으로 배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구조체의 양측 중, 적어도 한측에 일정 간격을 갖는 다른 구조체를 배열할 수 있다.
즉, 제 1 구조체로부터 제 1 간격을 갖도록, 제 1 구조체의 일측에 제 2 구조체를 형성할 수 있다.(S17)
경우에 따라, 제 1 구조체로부터 제 2 간격을 갖도록, 제 1 구조체의 타측에 제 3 구조체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 구조체와 제 2 구조체 사이의 제 1 간격과 제 1 구조체와 제 3 구조체 사이의 제 2 간격에는, 공기, 방수재, 방화재, 방음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채워질 수 있다.(S21)
경우에 따라, 제 1 간격과 상기 제 2 간격 내에 채워지는 물질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지만, 또 다른 경우로서,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일 예로, 제 1 간격 내에는 방수재가 채워지고, 제 2 간격 내에는 방화재가 채워질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용도에 따라, 제방, 둑 및 방호벽 등과 같은 구조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축조할 수 있다.
도 15는 3개의 구조체들이 곡선 형상으로 배열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구조체(302)의 일측에는 제 1 간격(172)을 가지고 제 2 구조체(304)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구조체(302)의 타측에는 제 2 간격(174)을 가지고 제 3 구조체(306)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구조체들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의 조립체들이 적층된 구조이다.
이때, 인접한 구조체들 사이의 간격(170)들 중, 제 1 간격(172)과 제 2 간격(174)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구조체(302)와 제 2 구조체(304) 사이의 제 1 간격(172)과 제 1 구조체(302)와 제 3 구조체(306) 사이의 제 2 간격(174)에는, 공기, 방수재, 방화재, 방음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채워질 수 있다.
여기서, 제 1 간격(172)과 제 2 간격(174) 내에 채워지는 물질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지만, 또 다른 경우로서,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일 예로, 제 1 간격(172) 내에는 방수재가 채워지고, 제 2 간격(174) 내에는 방화재가 채워질 수 있다.
방수재는 아스팔트 방수재, 방수 몰탈, 진흙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간격(170) 내 양측면부에 비닐을 대고 비닐과 비닐 사이에 다양한 종류의 방수재를 삽입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구조체가 지진 등의 충격을 받는다 할지라도 방수재가 구조체와 격리되어 있으므로 방수 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용도에 따라, 제방, 둑 및 방호벽 등과 같은 구조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축조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조체의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는 조립식 블럭들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 질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6은 2개의 구조체들이 직선 형상으로 배열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구조체(302)의 일측에는 간격(170)을 가지고 제 2 구조체(304)가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1 구조체(302)의 타측에도 간격(170)을 가지고 제 3 구조체가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구조체들은, 본 발명 제 3 실시예의 조립체들이 적층된 구조이다.
이때, 제 1 구조체(302)와 제 2 구조체(304) 사이의 간격(170)에는, 공기, 방수재, 방화재, 방음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채워질 수 있다.
일 예로, 간격(170) 내에는 방수재가 채워질 수 있는데, 방수재는 아스팔트 방수재, 방수 몰탈, 진흙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간격(170) 내 양측면부에 비닐을 대고 비닐과 비닐사이에 다양한 종류의 방수재를 삽입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구조체가 지진 등의 충격을 받는다 할지라도 방수재가 구조체와 격리되어 있으므로 방수 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용도에 따라, 제방, 둑 및 방호벽 등과 같은 구조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축조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조체의 수직 방향으로 적층되는 조립식 블럭들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 질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 다른 경우로서, 다수의 구조체들은, 수직 방향으로, 일정 높이까지는 방수재를 사용하여, 방수벽 기능을 수행하는 방호벽으로 축조하고, 그 위에는 방화재를 사용하여, 방화벽 기능을 수행하는 방호벽을 축조할 수 있다.
따라서, 멀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옹벽 및 방호벽 등과 같은 구조체의 축조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조체들을 배치하고, 구조체들 사이의 간격 내에, 공기, 방수재, 방화재, 방음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채움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옹벽 및 방호벽 등을 축조할 수 있다.
도 17a 내지 도 17c는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구조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a 내지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블럭들을 체결하여, 구조체 형상을 제작하면, 외부의 충격이 외력이 구조체에 가해질 때, 외력의 힘을 분산시켜 쉽게 변형되거나 무너지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7a와 같이, 지진과 같은 자연 재해에 의해, 압축력과 같은 외력이 구조체에 가해지면, 조립식 블럭들의 체결 훅과 체결 바 및 구조체 사이의 간격 내에 채워지는 방호 물질(180)을 통해, 외력을 탄성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외력에 대한 강한 지지력으로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도 17b와 같이, 지진과 같은 자연 재해에 의해, 신장력과 같은 외력이 구조체에 가해지면, 조립식 블럭들의 체결 훅과 체결 바 및 구조체 사이의 간격 내에 채워지는 방호 물질(180)을 통해, 외력을 탄성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외력에 대한 강한 지지력으로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리고, 도 17c와 같이, 지진과 같은 자연 재해에 의해, 부등침하과 같은 외력이 조립식 블럭에 가해지면, 조립식 블럭들의 체결 훅과 체결 바 및 구조체 사이의 간격 내에 채워지는 방호 물질(180)을 통해, 외력을 탄성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외력에 대한 강한 지지력으로 변형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측면에 체결 훅과 체결 홈이 형성된 사각 기둥 또는 삼각 기둥 형상의 조립식 블럭을 이용함으로써, 방수, 방화, 방음 효과가 뛰어나면서도, 비탈진 경사면이나, 곡면이 있는 장소에 상관없이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은 비용으로도 쉽고 간단하게 튼튼한 옹벽이나 벽체를 축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10 : 바디 20 : 체결 훅
30 : 체결 홈 100 : 조립식 블럭
170 : 간격 180 : 방호 물질
200 : 조립체 300 : 구조체
30 : 체결 홈 100 : 조립식 블럭
170 : 간격 180 : 방호 물질
200 : 조립체 300 : 구조체
Claims (20)
- 상면과 하면 사이에, 제 1, 제 2, 제 3, 제 4 측면들을 포함하는 바디(body)부;
상기 바디부의 제 1, 제 2, 제 3, 제 4 측면들 중, 적어도 두 개 측면에 형성되는 체결 훅(hook); 그리고,
상기 바디부의 제 1, 제 2, 제 3, 제 4 측면들 중, 적어도 두 개 측면에 형성되는 체결 홈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제 1, 제 2 측면은 서로 마주 보며 배치되고, 서로 다른 면적을 가지고,
상기 바디부의 제 3, 제 4 측면은 서로 마주 보며 배치되고, 서로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럭.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훅과 체결 홈은 서로 동일한 측면에 형성되고,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럭.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훅은, 상기 바디부의 측면 표면으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되고, 상기 체결 홈은, 상기 바디부의 측면 표면 내로 오목하게 들어가며,
상기 체결 훅의 최대 돌출 높이는, 상기 체결 홈의 최대 오목 깊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럭.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훅과 체결 홈은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서 하면 방향으로 측면을 따라 스트라이프(stripe)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럭.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훅과 체결 홈은 상기 바디부의 상면에서 하면 방향으로 측면의 중앙 영역 또는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럭.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상면과 하면의 면적은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럭.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상면과 하면의 단면은 사다리꼴 형상이고, 상기 바디부의 제 1, 제 2, 제 3, 제 4 측면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럭. - 상면과 하면 사이에, 제 1, 제 2, 제 3 측면들을 포함하는 바디(body)부;
상기 바디부의 제 1, 제 2, 제 3 측면들 중, 적어도 두 개 측면에 형성되는 체결 훅(hook); 그리고,
상기 바디부의 제 1, 제 2, 제 3 측면들 중, 적어도 두 개 측면에 형성되는 체결 홈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제 1, 제 2, 제 3 측면들 중, 서로 인접하는 측면들 사이의 각도는 예각이고,
상기 바디부의 제 1, 제 2, 제 3 측면들 중, 적어도 두 개의 측면의 면적은,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럭.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상면과 하면의 단면은 삼각형 형상이고, 상기 바디부의 제 1, 제 2, 제 3 측면의 단면은 사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럭. - 적어도 두 개의 측면에 체결 훅과 체결 홈이 형성된 사각 기둥 또는 삼각 기둥 형상의 조립식 블럭을 이용한 구조체 축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조립식 블럭의 체결 훅을 다른 조립식 블럭의 체결 홈 내에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소정의 조립식 블럭의 체결 홈 내에 상기 다른 조립식 블럭의 체결 훅을 삽입시켜, 상기 다수개의 조립식 블럭들이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조립체들을 수직 방향으로 적층하여, 제 1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 1 구조체로부터 제 1 간격을 갖도록, 상기 제 1 구조체의 일측에 제 2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럭을 이용한 구조체 축조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2개의 측면에 상기 체결 훅과 체결 홈을 갖는 상기 사각 기둥 형상의 조립식 블럭들이 연결되어 1개 열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럭을 이용한 구조체 축조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3개의 측면에 상기 체결 훅과 체결 홈을 갖는 상기 사각 기둥 형상의 조립식 블럭들이 연결되어 제 1 열과 제 2 열로 배열되고,
상기 제 1 열과 제 2 열 사이에, 4개의 측면에 상기 체결 훅과 체결 홈을 갖는 상기 사각 기둥 형상의 조립식 블럭들이 연결되어 제 3 열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럭을 이용한 구조체 축조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과 제 3 열 사이와, 상기 제 2 열과 제 3 열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빈 공간에는 공기, 방수재, 방화재, 방음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럭을 이용한 구조체 축조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2개의 측면에 상기 체결 훅과 체결 홈을 갖는 상기 삼각 기둥 형상의 조립식 블럭과, 3개의 측면에 상기 체결 훅과 체결 홈을 갖는 상기 삼각 기둥 형상의 조립식 블럭이 교대로 연결되어, 제 1 열과 제 2 열로 배열되고,
상기 제 1 열의 조립식 블럭과 상기 제 2 열의 조립식 블럭이 서로 연결되어, 육각형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럭을 이용한 구조체 축조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과 제 2 열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빈 공간에는 공기, 방수재, 방화재, 방음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럭을 이용한 구조체 축조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상기 수평 방향을 따라, 곡선 및 직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럭을 이용한 구조체 축조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구조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조립체들을 수직 방향으로 적층할 때, 서로 인접한 조립식 블럭들은 서로 어긋나게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럭을 이용한 구조체 축조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조체로부터 제 2 간격을 갖도록, 상기 제 1 구조체의 타측에 제 3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럭을 이용한 구조체 축조방법.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조체와 제 2 구조체 사이의 제 1 간격과 상기 제 1 구조체와 제 3 구조체 사이의 제 2 간격에는,
공기, 방수재, 방화재, 방음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럭을 이용한 구조체 축조방법.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간격과 상기 제 2 간격 내에 채워지는 물질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블럭을 이용한 구조체 축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1128A KR20150015272A (ko) | 2013-07-31 | 2013-07-31 | 조립식 블럭 및 그것을 이용한 구조체 축조방법 |
PCT/KR2014/007050 WO2015016636A1 (ko) | 2013-07-31 | 2014-07-31 | 조립식 블럭 및 그것을 이용한 구조체 축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1128A KR20150015272A (ko) | 2013-07-31 | 2013-07-31 | 조립식 블럭 및 그것을 이용한 구조체 축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5272A true KR20150015272A (ko) | 2015-02-10 |
Family
ID=52432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91128A KR20150015272A (ko) | 2013-07-31 | 2013-07-31 | 조립식 블럭 및 그것을 이용한 구조체 축조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150015272A (ko) |
WO (1) | WO2015016636A1 (ko)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171902U (ja) * | 1982-05-04 | 1983-11-17 | 佐藤 久夫 | 舗装用ブロツク |
KR20010039419A (ko) * | 1999-10-30 | 2001-05-15 | 김윤규 | 콘크리트 구조체의 방수공법 및 그 구조 |
KR100612485B1 (ko) * | 2004-01-30 | 2006-08-17 | 강용구 | 호안블록 |
KR100778064B1 (ko) * | 2006-11-22 | 2007-11-21 | 조헌백 | 옹벽을 이루는 단위 블록체 |
KR101120611B1 (ko) * | 2010-04-23 | 2012-03-09 | 유흥식 | 인터로킹 블록 |
-
2013
- 2013-07-31 KR KR1020130091128A patent/KR20150015272A/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
- 2014-07-31 WO PCT/KR2014/007050 patent/WO201501663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5016636A1 (ko) | 2015-0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021762B1 (en) | Interlocking concrete blocks with trapezoidal shape | |
KR20120020254A (ko) | 내진 무몰타르 조립식 블록 시스템 및 벽체 시공방법 | |
KR101532248B1 (ko) | 트러스 블럭, 트러스 블럭 조립체 및 그들의 축조방법 | |
JP5294439B1 (ja) | 雨水貯留積層構造体に用いる構造部材 | |
WO2018016227A1 (ja) |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 |
ES2408238B1 (es) | Sistema constructivo | |
RU2670791C9 (ru) | Стеновая панель (варианты) | |
JP5392940B1 (ja) | 雨水貯留積層構造体に用いる構造部材 | |
JP5090203B2 (ja) | フィルダムの止水構造および造成方法 | |
KR20150015272A (ko) | 조립식 블럭 및 그것을 이용한 구조체 축조방법 | |
KR102249058B1 (ko) | 조립식 벽체 | |
RU108473U1 (ru) | Сейсмостойкое здание | |
JP5938919B2 (ja) | 防潮構造物 | |
JP5743824B2 (ja) | 積層目地材、積層目地材を備えたスリット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 |
JP5829938B2 (ja) | 地下貯留槽 | |
WO2020044641A1 (ja) | 長軸と短軸を備えたブロックと等軸長ブロックによる擁壁構造 | |
JP5743825B2 (ja) | 段差付目地材、及び段差付目地材を備えた水平スリット構造 | |
KR101178810B1 (ko) | 강재틀 옹벽 시공방법 | |
KR102472941B1 (ko) | 조적허리벽이 시공된 건축구조물의 내진 보강시스템 | |
US20230080283A1 (en) | Embankment wall structure of monolithic facing panels, changer panels, standard facing panels and said panels thereof | |
KR101154074B1 (ko) | 단열성, 차수성, 시공성이 개선된 쪽매형 벽돌 및 그 벽돌을 이용한 시공방법 | |
KR101897590B1 (ko) |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더블 월 피씨들의 시공구조 | |
JP2008088773A (ja) | 低層建築物施工方法および低層建築物用パネル構造体 | |
RU2704412C1 (ru) | Платформенный сборно-монолитный стык | |
JP6703443B2 (ja) | 積層目地材、スリット構造、及びスリットの施工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