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4783A - 다기능 통기 신발 - Google Patents

다기능 통기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4783A
KR20150014783A KR1020130090440A KR20130090440A KR20150014783A KR 20150014783 A KR20150014783 A KR 20150014783A KR 1020130090440 A KR1020130090440 A KR 1020130090440A KR 20130090440 A KR20130090440 A KR 20130090440A KR 20150014783 A KR20150014783 A KR 201500147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waterproof cover
air
ventilation
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0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석
Original Assignee
김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석 filed Critical 김광석
Priority to KR1020130090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4783A/ko
Publication of KR20150014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47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8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ventila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6Over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통기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신발 내부의 공기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고, 발 또는 발목 관절 등에 무리를 주지 않는 다기능 통기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기능 통기 신발이 제공된다. 상기 다기능 통기 신발은, 신발의 바닥 부분을 형성하는 밑창부; 상기 밑창부의 상면과 결합되며, 상기 신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관을 구비하는 중창부; 상기 밑창부 또는 상기 중창부의 둘레 중 적어도 일 영역과 결합되어, 신발 착용자의 발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갑피부; 상기 중창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기관의 양단은 개방되어, 상기 중창부의 외측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통기 신발{MULTIFUNCTIONAL VENTILATION SHOES}
본 발명은 다기능 통기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용이하게 신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고, 발 또는 발목 관절 등에 무리를 주지 않는 다기능 통기 신발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이 이동을 하거나 걷거나 뛸 때 반드시 착용하는 것이 신발이다. 건강을 위해서 걷거나, 취미생활의 하나인 등산 등을 하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신발을 착용하여야 한다. 신발은 발이 닿게 되는 지면 등으로부터 다칠 수 있는 위험한 환경에서 발을 보호하고, 더위나 추위 등의 주변온도로부터도 발을 보호해준다.
그러나 신발을 신게 되면 반드시 신발 내측에는 체온으로 인해 발과 발가락 사이에서 땀과 같은 습기가 발생하게 되어 신발 내의 공기 습도가 높아지게 되고, 걷거나 착지와 도약을 하는 과정에서 발과 신발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되어 신발 내의 온도가 높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신발 내부의 고온다습한 공기를 적시에 배출하지 않으면 신발과 양말, 발가락 사이가 땀으로 습기를 머금게 되는데, 이에 따라 피부의 각질층이 세균에 의해 분해되면서 생성된 화학물질에 의해 발에서 심한 냄새가 나게 된다. 또한, 습기로 불어버린 피부각질을 영양분 삼아 곰팡이 균이 번식하게 되면 결국 발에 무좀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신발 내의 고온다습한 공기는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되게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사람의 발(Foot)은, 인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에 불과하지만 무려 26개의 뼈와 33개의 관절, 100개가 넘는 근육, 힘줄, 인대 및 신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람이 걸어서 이동할 때 온몸의 무게를 떠받치기 때문에 1km를 걸을 때 발에 실리는 무게가 약 16톤(Ton)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발은 심장에서 발끝까지 내려온 혈액을 발목운동을 통해 다시 심장으로 끌어 올려주는 펌프작용도 하기 때문에 제2의 심장이라고 불릴 정도로 전신건강에 주는 영향이 적지 않다. 보행 시 걸음과 관련된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지면과의 충격을 감소시키는 밑창, 깔창 등이 중요한데, 종래 신발들에 구비되는 밑창, 깔창 등은 쿠션감이 부족하여 걸음과 관련되어 필수적으로 움직이는 관절에 무리를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종래의 신발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신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0343789 B1 KR 10-2007-0094127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탄성 소재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통기부를 포함하는 중창부를 밑창부와 깔창부 사이에 구비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신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고, 발 또는 발목 관절 등에 무리를 주지 않는 다기능 통기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통기 신발은, 신발의 바닥 부분을 형성하는 밑창부; 상기 밑창부의 상면과 결합되며, 상기 신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관을 구비하는 중창부; 상기 밑창부 또는 상기 중창부의 둘레 중 적어도 일 영역과 결합되어, 신발 착용자의 발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갑피부; 상기 중창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기관의 양단은 개방되어, 상기 중창부의 외측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기관은, 신발 착용자의 보행에 따른 상기 통기관의 압축 및 회복 과정을 통해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창부는, 상기 통기관과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구멍이 상기 중창부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깔창부는, 상기 통기구멍에서 유입된 공기가 신발 착용자의 발바닥과 직접 접촉되도록, 상기 통기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깔창부를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깔창부의 상면에는, 상기 통공을 통해 유입되는 먼지를 걸러내기 위한 거름망이 더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발 위로 덧씌우는 방식으로 착용하여, 상기 신발 위로 덧씌워 신는 방식으로 착용하여, 상기 개방된 통기관 양단을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갑피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방수커버를 보관하는 방수커버 보관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수커버는, 상기 방수커버의 착용 시 상기 신발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상기 신발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방수커버의 지면과 직접 접하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갑피부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항균 작용, 냄새 제거 및 향기 방출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필터부를 장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기 신발은, 신발 착용자의 보행에 따라 탄성소재의 통기관이 압축 및 회복되는 과정을 통해 신발 내부의 고온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신속히 배출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함으로써, 신발내부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고 발냄새를 줄일 수 있으며 곰팡이 균이나 무좀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기 신발은, 탄성소재의 적어도 하나의 통기관으로 구성된 중창부가 밑창부 및 깔창부 사이에 구비됨으로써, 발 또는 발목 관절 등에 무리를 주지 않아 관절과 관련된 질환을 예방할 수 있고 쿠션작용으로 인해 발에 가해지는 압력이 분산되어 혈액순환에도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중창부의 두께만큼 키가 커 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기 신발은, 중창부가 신발의 무게를 경량화시킴으로써, 장시간 보행으로 인한 몸의 피로감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기 신발은, 신발 외 측면에 보관된 방수커버를 신발 위에 덧씌움으로써, 비가 오거나 물이 있는 곳을 지날 때에도 신발 내부가 물에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기 신발은, 신발 내측에, 항균, 냄새제거, 또는 방향 효과가 있는 필터를 삽입함으로써, 발냄새를 줄일 수 있으며 곰팡이 균이나 무좀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통기 신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통기 신발의 중창부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통기 신발의 깔창부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통기 신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통기 신발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통기 신발의 방수커버 및 방수커버의 착용 예를 도시한다.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통기 신발의 방수커버 보관부를 도시한다.
도 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통기 신발의 필터부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통기 신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통기 신발(100)은, 밑창부(110), 중창부(120), 갑피부(130), 및 깔창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밑창부(110)는, 신발의 바닥 부분을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서, 일반적인 밑창(sole)과 같이 합성고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범위에서 다른 재질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지면과 직접 접하는 밑창부(110)의 저면에는 신발 착용자의 보행 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요철무늬 등 다양한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중창부(120)은, 밑창부(110)와 깔창부(140)의 사이에 위치하여, 통기 및 쿠션감을 제공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밑창부(110)의 상면과 결합되며, 신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 공기를 유입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관(1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통기관(122)을 통해 신발 내부의 고온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함으로써, 신발 내부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때, 통기관(122)의 양단은 개방되어, 상기 중창부(120)의 외측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중창부(120)의 구체적인 구성과 통기관(122)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하고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갑피부(130)는, 밑창부(110) 또는 중창부(120)의 상면 둘레 중 일부 영역과 결합되어 신발 착용자의 발을 감싸는 행태로 형성되며, 외부의 온도나 오염 또는 충격으로부터 발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갑피부(130)는, 갑피부(13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외피부(미도시) 및 갑피부(130)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외피부과 결합되는 내피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갑피부(130)는, 일반적인 신발의 갑피(Upper)와 같이 스웨이드, 메쉬, 가죽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범위에서 다른 재질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깔창부(140)는, 중창부(120)의 상부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신발의 착용감을 높이고, 지면으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합성고무나 EVA 등 쿠션감이 좋은 고탄력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140)는 두께가 적어도 1.5cm 이상, 바람직하게는 2cm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깔창부(140)에는 통기관(122)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발에 직접 닿을 수 있도록 깔창부(140)를 저면에서 상면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14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깔창부(140)는 저면에 양면테이프와 같은 고정수단이 부착될 수 있고, 상기 양면테이프에 따라 신발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으며, 양면테이프를 사용하기 때문에 탈부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깔창부(14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하고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통기 신발의 중창부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중창부(120)는 신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관(122)을 포함할 수 있다. 통기관(122)을 통해 신발 내부의 공기를 외부와 순환시킴으로써, 신발 내부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통기관(122)의 양단은 개방되어, 상기 중창부(120)의 외측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통기관(122)이 신발의 긴 길이 ?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신발의 앞꿈치 및 뒤꿈치 방향에 통기관(112)의 개방된 양단이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통기 신발(100)은, 신발 착용자의 보행 시 통기관(122)의 앞쪽 부분과 뒤쪽 부분이 번갈아 가면서 압축되는 방향과 통기관(122)의 길이 방향이 일치하기 때문에, 통기관(122)의 압축 및 회복에 따라 신발 내부의 공기가 외부 공기와 더욱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통기관(122)은 신발 착용자의 보행에 따른 통기관(122)의 압축 및 회복 과정을 통해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이 용이하게 수행되고, 신발 착용자에게 보다 개선된 쿠션감을 제공하기 위해 고탄성 합성고무, 고탄성EVA 등 탄성이 우수하고 쿠션감이 좋은 재질 중의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중창부(120)는 상기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통기관(122)의 측면이 연속적으로 결합되어 파이프오르간의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거나,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중창부(120)의 내부에 탄성재질의 적어도 하나의 통기관(122)이 삽입되어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통기관(120)은 원형 또는 타원형 등으로 단면이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원둘레가 11mm에 내경이 3mm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중창부(120)의 상면에는 통기관(122)과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구멍(124)이 형성될 수 있다. 중창부(120)에 통기구멍(124)을 구비함으로써, 신발 착용자의 발이 안착된 신발 내부까지 통기관(122)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들어오게 되고, 신발 내부의 고온다습한 공기가 통기구멍(124)을 통해 통기관(122)으로 전달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실시예에 따라, 통기구멍(124)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통기관(122)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직경이 0.5mm인 구멍이 20mm간격으로 위치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기구멍(124)의 형태 및 배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통기관(122)과 통기구멍(124)에 의한 신발 내부 공기와 외부 공기의 순환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신발 착용자가 신발을 신고 착지하게 되면 발뒤꿈치가 통기관(122) 중 신발의 뒤쪽에 위치한 일부를 눌러, 통기관(122) 내부에 유입되어 있던 공기가 발 앞쪽으로 밀려나가면서, 통기관(122)의 개방된 양단 중 신발의 앞꿈치 쪽에 노출된 일단으로 빠져나가거나, 통기구멍(124)를 통해 신발 착용자의 발이 안착된 신발 내부로 올라가게 되며, 신발 착용자가 도약을 하기 위해서 발바닥 앞쪽을 누르면 통기관(122)의 내부의 공기가 발 뒤쪽으로 밀려가면서, 통기관(122)의 개방된 양단 중 신발의 뒤꿈치 쪽에 노출된 일단으로 빠져나가거나, 통기구멍(124)를 통해 신발 착용자의 발이 안착된 신발 내부로 올라가게 된다. 한편, 착지와 도약의 중간에는 신발은 지면과 떨어져서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압축됐던 통기관(122)이 원래의 형상으로 회복되면서, 통기관(122)의 개방된 양단으로 외부 공기를 빨아들이거나, 통기구멍(124)를 통해 신발 착용자의 발이 안착된 신발 내부의 공기를 빨아들이게 된다. 이와 같이 착지와 도약을 반복적으로 하게 되면 고온다습한 신발 내부의 공기 배출되고 신선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의 순환이 이뤄짐으로써, 고온과 습기로 인해 발생되는 발 냄새나 발과 관련된 질병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탄성재질로 이뤄진 통기관(122)의 집합체인 중창부(120)는, 상기 도약과 착지 시, 발이 중창부(120)를 누르게 되면, 통기관(122)이 납작해 지면서 발이 내려 누르는 압력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통기관(122) 내부의 공기가 쿠션 작용을 하기 때문에 신발 착용자가 걷거나 뛰는 행위에서 비롯되는 충격을 감소시키고 관절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중창부(120)를 구성하는 통기관(122)은 내부가 공간으로 비어 있기 때문에 재료의 무게가 절감되어 신발 전체의 중량이 줄어들게 되고, 이러한 신발 전체의 경량화로 인해 장시간 보행 시 유발될 수 있는 무릎관절 등의 피로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통기 신발의 깔창부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깔창부(140)에는 깔창부(140)를 저면에서 상면으로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142)이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통공(142)을 통해 중창부(120)의 통기관(122)에서 통기구멍(124)을 통해 올라온 공기가 직접 신발 착용자의 발에 접촉할 수 있게 되어, 발 또는 발가락 사이의 열과 습기가 보다 용이하게 제거되게 된다. 이때, 깔창부(140)에 구비되는 통공(142)은 중창부(120)의 통기구멍(124)을 통해 올라오는 공기가 발에 보다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통기구멍(124)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원형이나 다이아몬드 모양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깔창부(140)의 상면에는, 통공(142)을 통해 유입되는 먼지를 걸러내기 위한 거름망(144)이 더 부착될 수 있다. 거름망(144)은 부직포 등의 천 재질로 이루어지며, 그물망처럼 공기가 통할 수 있게 제조되어 깔창부(140)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에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다. 신발 착용자의 보행 및 주행 동작에 따라, 공기가 통공(142)을 통해 올라올 때 그물망 모양의 천에 의해 먼지가 걸러지게 되어 신발 내부가 먼지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거름망(144)이 깔창부(140)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통기 신발(100)은, 거름망(144)이 깔창부(140)의 저면에 부착되거나 중창부(120)의 상면에 부착되는 등 거름망(144)의 부착 위치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통기 신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통기 신발(100)을 중앙을 기준으로 짧은 길이의 가로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통기 신발(100)은,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밑창부(110)의 상면에 신발의 긴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의 통기관(122)을 포함하는 중창부(120)가 결합되며, 중창부(120)의 상면 위로 깔창부(140) 및 깔창부(140)에 부착된 거름망(144)이 위치하게 된다.
중창부(120)를 구성하는 다수의 통기관(122)을 통해, 신발 착용자의 보행 및 주행 동작 등에 따라 다량의 고온다습한 공기가 신발 내부에서 신속하게 배출되고, 다량의 신선한 외부 공기가 신속하게 유입되게 되며, 신발 내부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으며, 다수의 통기관(122)에 유입되는 공기와 통기관(122) 자체의 탄력성에 의해 향상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중창부(120)를 구성하는 통기관(122)의 외경이 커질수록 쿠션감이 좋아지며, 또한, 중창부(120)의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키가 커보이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통기 신발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5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통기 신발에서, 통기관(122)의 개방된 양단이 노출되는 신발의 외면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통기 신발(100)과 유사하므로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통기 신발에 있어서, 통기관(122)의 개방된 양단 중 적어도 일단이 노출되는 신발의 외면 부분은 신발의 미관을 돋보이게 하기 위해 그물망을 덧대거나 그릴모양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발의 외면 부분에 그물망을 덧대는 경우, 개방된 통기관(122) 양단으로 먼지, 모래, 작은 돌 등의 오염 물질이 공기와 함께 통기관(12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5에 따르면, 상기 그물망이 통기관(122)의 개방된 일단이 노출되는 신발의 외면, 즉 신발의 앞꿈치 부분에 덧대어 부착되어 있으나, 상기 그물망은 통기관(122)의 개방된 다른 일단이 노출되는 신발의 외면, 예를 들어 신발의 뒤꿈치 부분 등에 부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통기 신발의 방수커버 및 방수커버의 착용 예시를 도시하며, 도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통기 신발의 방수커버 보관부를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통기 신발에서, 방수커버(150) 및 방수커버 보관부(160)를 제외한 다른 부분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통기 신발(100)과 유사하므로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통기 신발은, 신발 내부로 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수커버(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방수커버(150)는 폴리에스테르나 고무 등의 인장력이 좋은 재질 중 적어도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방수커버(150)는, 도 6a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신발 착용자가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신발 위로 덧씌워 신는 방식으로 착용하게 되며, 비가 올 때나 물이 있는 곳을 걸을 때에도 신발 내부, 특히, 중창부(120)의 외측면에 개방된 통기관(122)의 양단을 통해 물이 신발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방수커버(150)는 방수커버(150)의 착용 시, 신발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신발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신발의 밑창부(110) 저면에 형성된 요철무늬 등의 무늬와 모양을 똑같이 하고 크기는 약간 크게 하여 겹쳐 신을 때 딱 들어맞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방수커버(150)의 착용 시, 방수커버(150)의 지면과 직접 접하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빗물 등에 의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작은 요철무늬를 형성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방수커버(150)는 착용되는 신발의 높이보다 길게 제작되어, 방수커버(150)를 신발 착용자의 정강이나 무릎부분까지 올려 착용함으로써, 정강이나 무릎부분까지 비나 물에 젖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보행 시 방수커버(150)가 흘러내려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방수커버(150)의 개구부에는 벨크로(찍찍이) 등의 고정부(15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갑피부(130)에는 방수커버(150)를 보관하는 방수커버 보관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비가 올 때나 물이 있는 곳을 걸을 때를 제외한 평소에는 방수커버(150)를 접어서 방수커버 보관부(160)에 보관하여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다. 이때 방수커버 보관부(160)는 갑피부(130)의 외측면, 바람직하게는 신발 착용자의 발의 내측이 위치하는 쪽의 갑피부(130)의 외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주머니 형태로 제작되어, 입구는 벨크로(찍찍이) 등에 의해 여닫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방수커버 보관부(160)의 장착 위치는 앞서 상술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갑피부(130)의 내측면에 위치하는 등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통기 신발의 필터부를 도시한다.
도 7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통기 신발에서, 필터부(170)를 제외한 다른 부분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통기 신발(100)과 유사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통기 신발은 갑피부(130)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필터부(170)를 장착할 수 있다. 필터부(170)는 항균 기능, 냄새 제거 및 향기 방출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제올라이트 등의 향균 및 악취중화제와 커피, 박하, 아로마 등의 향기제가 조합하여 들어간 분말티백 또는 젤리형 패드 등의 필터를 갑피부(130) 내측면에 구비된 주머니 형태의 수납부에 삽입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통기 신발은 중창부(120)를 구성하는 다수의 통기관(122)을 통해 신발 내부의 공기가 환기될 수 있기 때문에 필터부(170)에 의한 냄새 제거 및 향기 방출 등의 효과가 더욱 증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 내측에 설포(132)가 있는 신발의 경우, 상기 수납부는, 발등 부위에 놓이는 설포(132)의 내면에 구비되며, 발등이 닫는 부분은 부드러운 재질로 촘촘하게 그물망으로 받쳐주도록 구성되어, 설포(132)를 들어 올려 편하게 분말티백 또는 젤리형 패드를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주머니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의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가로 3cm, 세로 4cm로 제작될 수 있다.
신발 내측에 설포(132)가 없는 하이힐이나 구두 등은, 신발 상단의 발등 부분에 상기 필터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켜 필터부(170)를 장착시키고, 상기 공간을 만들기 어려울 때는 필터가 들어갈 공간만큼 신발 상단의 발등 부분을 살짝 올려 필요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제작되게 할 수 있다. 이때, 분말티백이나 젤리형 패드 등의 필터를 삽입하였을 때 신발 착용자의 보행이나 주행 중 이물감을 느끼지 않도록 충분한 공간을 형성하여 제작 되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다기능 통기 신발 110: 밑창부
120: 중창부 122: 통기관
124: 통기구멍 130: 갑피부
132: 설포 140: 깔창부
142: 통공 144: 거름망
150: 방수커버 152: 고정부
160: 방수커버 보관부 170: 필터부

Claims (8)

  1. 신발의 바닥 부분을 형성하는 밑창부;
    상기 밑창부의 상면과 결합되며, 상기 신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외부 공기를 유입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관을 구비하는 중창부;
    상기 밑창부 또는 상기 중창부의 둘레 중 적어도 일 영역과 결합되어, 신발 착용자의 발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갑피부;
    상기 중창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깔창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기관의 양단은 개방되어, 상기 중창부의 외측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기 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관은,
    신발 착용자의 보행에 따른 상기 통기관의 압축 및 회복 과정을 통해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기 신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부는,
    상기 통기관과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기구멍이 상기 중창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기 신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깔창부는,
    상기 통기구멍에서 유입된 공기가 신발 착용자의 발바닥과 직접 접촉되도록, 상기 통기구멍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깔창부를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기 신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깔창부의 상면에는, 상기 통공을 통해 유입되는 먼지를 걸러내기 위한 거름망이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기 신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위로 덧씌워 신는 방식으로 착용하여, 상기 개방된 통기관 양단을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갑피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방수커버를 보관하는 방수커버 보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기 신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커버는,
    상기 방수커버의 착용 시 상기 신발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상기 신발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방수커버의 지면과 직접 접하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기 신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갑피부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항균 작용, 냄새 제거 및 향기 방출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필터부를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통기 신발.
KR1020130090440A 2013-07-30 2013-07-30 다기능 통기 신발 KR201500147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440A KR20150014783A (ko) 2013-07-30 2013-07-30 다기능 통기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0440A KR20150014783A (ko) 2013-07-30 2013-07-30 다기능 통기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783A true KR20150014783A (ko) 2015-02-09

Family

ID=52571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0440A KR20150014783A (ko) 2013-07-30 2013-07-30 다기능 통기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47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1001A (zh) * 2019-01-05 2019-03-08 龚远鹏 一种具有换气通风功能的鞋垫及其配套的鞋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1001A (zh) * 2019-01-05 2019-03-08 龚远鹏 一种具有换气通风功能的鞋垫及其配套的鞋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0306U (ko) 개선된 통기성 및 방수성을 갖는 신발
US6434858B2 (en) Breathing shoes
KR20190001150U (ko) 신발패드
JP5031753B2 (ja) マットソックスとしての履物
KR200389397Y1 (ko)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신발 깔창
KR20150014783A (ko) 다기능 통기 신발
EP1749455B1 (en) Breathable and waterproof shoe
KR101130975B1 (ko) 측면부에서 공기 입출이 가능한 신발깔창
US20150335099A1 (en) Memory sneaker
JP2011160943A (ja) 通気防塵のマッサージ中敷
KR200248603Y1 (ko) 신발창 통풍구가 구비된 신발
JP3166236U (ja) 蒸れ防止機能付き中敷及びその中敷を備えた靴
KR100687107B1 (ko) 신발용 보조 깔창
KR20120093456A (ko) 바닥이 얇은 신발
KR100564790B1 (ko) 통풍구가 구비된 신발
CN215873624U (zh) 一种吸湿减震的运动鞋
KR200457108Y1 (ko) 실내용 덧버선
JP2014233586A (ja) 蒸れ防止機能付き中敷及びそれを備えた靴及びスリッパ
KR200475665Y1 (ko) 다기능 신발
CN215501575U (zh) 一种复合内里女跟鞋
KR102347211B1 (ko)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갖는 구두
CN220734551U (zh) 一种透气运动鞋
JPH03236801A (ja)
KR100872309B1 (ko) 마사이워킹용 양말
KR200387469Y1 (ko) 실내스포츠용 통풍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