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211B1 -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갖는 구두 - Google Patents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갖는 구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211B1
KR102347211B1 KR1020210109187A KR20210109187A KR102347211B1 KR 102347211 B1 KR102347211 B1 KR 102347211B1 KR 1020210109187 A KR1020210109187 A KR 1020210109187A KR 20210109187 A KR20210109187 A KR 20210109187A KR 102347211 B1 KR102347211 B1 KR 102347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acterial
insole
shoes
wearing space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9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익표
Original Assignee
홍익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익표 filed Critical 홍익표
Priority to KR1020210109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2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45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deodoran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7/00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8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ventila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35Different layers of differ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8Resilient uppers, e.g. shock absorb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metals; with metal-generat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on 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갖는 구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두 내에서 세균이나 악취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구두 착용시, 착용자의 발에서 불쾌한 냄새나 무좀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갖는 구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갖는 구두{SHOES WITH ANTIBACTERIAL AND DEODORANT FUNCTION}
본 발명은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갖는 구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두 내에서 세균이나 악취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구두 착용시, 착용자의 발에서 불쾌한 냄새나 무좀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갖는 구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지면으로부터의 기온을 차단시켜 내한과 내열효과에 의해 질병을 예방하고 발바닥이나 발등을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나 자극에서 보호해주는 기능을 한다.
신발에는 운동화, 구두 등이 포함되며, 구두는 사용자의 발을 보호해주는 실용적인 수단이면서 패션 아이템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구두는 통상적으로 아웃솔(outsole) 위에 배치되어 신발 내부 바닥재로 사용되는 미드솔(midsole)과, 미드솔의 상부에 위치하여 착용 상태에서의 쿠션감을 제공하는 깔창 혹은 안창이라 호칭되는 인솔(insole)과, 착용자의 발을 감싸도록 성형된 피혁 재질의 어퍼(upper)를 포함한다.
종래의 구두는 통풍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장기간 착용시, 구두 내부가 땀 등에 의해 오염되면서 세균이나 악취가 발생되기 쉬운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구두를 착용하는 착용자의 발에 악취나 무좀 등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구두에 통풍 기능을 부여할 필요가 있으나 구두의 정형화된 틀 내에서 기능성을 부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구두에서 악취나 세균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해야 하지만 이를 억제하지 못하면서 구두를 착용하는 착용자의 발에 악취나 무좀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99766호(2007.03.27.) '공기 순환식 기능성 건강 구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두 내에서 세균이나 악취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구두 착용시, 착용자의 발에서 불쾌한 냄새나 무좀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갖는 구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웃솔(130); 아웃솔(13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착용공간(A)이 형성되는 어퍼(140); 및 착용공간(A)을 이루는 바닥면에 안착되는 깔창(110)을 포함하는 구두(100)에 있어서, 착용공간(A)에 구비되는 항균수단(120)을 더 포함하고, 항균수단(120)은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가지며 일면이 착용공간(A)의 내측면을 이루는 항균천(121); 및 어퍼(140)의 내측에 배치되면서 어퍼(140)와 항균천(121)이 이격되도록 하는 한편, 쿠션력을 갖는 완충부재(1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갖는 구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수단(120)은 완충부재(122)의 타면에 부착되면서 완충부재(122)를 보호하는 부직포(123)를 더 포함하고, 착용공간(A)을 이루는 내측면에 구비되며 부직포(123)가 고정되면서 항균수단(120)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보강부재(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천(121)은 구리원사를 포함하며, 항균수단(120)은 항균천(121)에 다수의 미세공이 형성되고 완충부재(122)가 스펀지로 이루어지면서 통풍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부재(150)는 구리재질의 금속 망체로 이루어지며, 두께가 3mm 이하로 이루어지면서 항균성 및 소취기능과 함께 통풍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깔창(110)은 쿠션부재(111); 쿠션부재(11)의 하부에 배치되는 다공성 천(112); 및 쿠션재(111)의 상부에 배치되며 구리원사를 포함하는 보조항균천(113)을 포함하면서 항균 및 소치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깔창(110)은 착용자의 발바닥과의 사이 및 착용공간(A)을 이루는 바닥면과의 사이로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상,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부통풍홈(110a,110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하부통풍홈(110a,110b)은 깔창(110)의 가장자리가 재봉되면서 종단면이 재봉선(B)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깔창(110)은 전,후단부 사이 중앙부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접이선(C)이 형성되면서 양단부 사이가 접이선(C)을 중심으로 접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깔창(110)은 접이선(C)이 재봉에 의해 형성되면서 상부에 상부통풍홈(110a)과 연통되는 상연통홈(110c)이 형성되고 하부에 하부통풍홈(110b)과 연통되는 하연통홈(110d)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깔창(110)의 상부면 후방에 설치되는 공기 순환수단(160)을 더 포함하며, 공기 순환수단(160)는 상부에 유입구(161a)가 형성되고 하부에 배출구(161b)가 형성되는 튜브(161); 및 튜브(161)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스프링(162)을 포함하면서 외부의 가압 또는 가압해제에 따라 수축,이완되며 쿠션력을 제공하는 한편, 착용공간(A)에서의 공기의 통풍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두 내에서 세균이나 악취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구두 착용시, 착용자의 발에서 불쾌한 냄새나 무좀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갖는 구두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갖는 구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갖는 구두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갖는 구두에서 깔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에서 깔창의 'D-D선' 절단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갖는 구두(이하 "구두"라 한다)(100)는 아웃솔(130), 아웃솔(13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착용공간(A)이 형성되는 어퍼(140) 및 착용공간(A)을 이루는 바닥면에 안착되는 깔창(110)을 포함하는 구두(100)로서, 착용공간(A)에 구비되는 항균수단(120)을 더 포함한다.
항균수단(120)은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가지며 일면이 착용공간(A)의 내측면을 이루는 항균천(121) 및 어퍼(140)와 항균천(121)이 이격되도록 하는 한편, 쿠션력을 갖는 완충부재(122)를 포함한다.
구두(100)는 남성화 또는 여성화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성화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아웃솔(130)은 고무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며 구두(100)의 하부 즉, 바닥을 이룬다.
어퍼(140)는 가죽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며 하부가 아웃솔(130)의 상부에 고정되면서 내측으로 착용공간(A)을 형성하는 한편, 착용공간(A)으로 인입되는 착용자의 발을 감싼다.
이와 같은 아웃솔 및 어퍼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를 이루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항균천(121)은 양면을 가지며 일면이 착용공간(A)의 내측면을 이루고 타면이 어퍼(140)를 향하도록 착용공간(A)에 배치되되, 착용공간(A)을 이루는 내측면 중 후면부 즉, 발뒤꿈치부를 제외한 전면부 및 양측면부에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항균천(121)이 발뒤꿈치부에 배치되는 경우, 구두(100)를 착용하거나 벗는 과정에서 착용자의 발뒤꿈치에 의한 반복적인 강한 접촉에 의해 변형이나 손상 등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항균천(1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공간(A)을 이루는 전방 상면에 배치되는 중앙천(121a)과 중앙천(121a)의 양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착용공간(A)을 이루는 양측면에 배치되는 양측천(121b)이 일체로 연결되면서 'V'자 또는 'U'자 형태를 이룬다.
항균천(121)은 극세사로 이루어지면서 땀흡수 및 배출과 함께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를 들면, 항균천(121)은 폴리에스터 등으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미세공이 형성되면서 땀흡수 및 배출과 함께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항균천(121)은 구리원사를 포함하면서 항균 및 소취와 함께 정전기 방지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항균천(121)은 항균동 즉, 구리가 갖는 특성에 의해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가질 수 있는 것은 물론, 땀 등의 습기에 대응하면서 변형 등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구두(100)는 항균 및 소취기능을 가지면서 구두(100)를 착용하는 착용자의 발 냄새와 함께 무좀 등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완충부재(12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펀지 등으로 이루어지며 일면으로 항균천(121)이 부착되면서 항균천(121)과 어퍼(140) 사이에 배치된다.
완충부재(122)는 구두(100)를 착용하는 착용자의 발이 항균천(121)과 접촉되는 경우, 수축,이완되면서 착용자에게 부드러운 착용감을 주는 한편, 편안한 쿠션감을 준다.
완충부재(122)는 항균천(121)과 어퍼(140)가 이격되도록 하는 한편, 스펀지의 특성상 다수의 미세공을 가지면서 착용공간(A)에 대한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항균수단(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재(122)의 타면에 부착되는 부직포(123)를 더 포함한다.
부직포(123)는 완충부재(122)의 타면을 보호하면서 완충부재(122)와 어퍼(130) 간의 접촉에 따른 변형이나 마모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항균수단(120)은 재봉이나 접착제 등에 의해 어퍼(140)에 부착되면서 착용공간(A)에 구비될 수 있다.
구두(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공간(A)을 이루는 내측면에 구비되며 부직포(123)가 고정되면서 항균수단(120)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부재(150)를 더 포함한다.
보강부재(150)는 습기에 강한 보강천이나 금속 망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항균수단(120)과 어퍼(140) 사이에 배치되면서 항균수단(120)의 형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보강부재(150)가 금속 망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보강부재(150)는 구리로 이루어지면서 두께가 3mm 이하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보강부재(150)는 항균동 즉, 구리가 갖는 특성에 의해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가질 수 있는 것은 물론, 습기나 외력 등에 의해 항균수단(12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깔창(110)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부재(111), 쿠션부재(11)의 하부에 배치되는 다공성 천(112) 및 쿠션부재(111)의 상부에 배치되는 보조항균천(113)을 포함한다.
쿠션부재(111)는 스펀지 등으로 이루어지면서 완충 기능을 가지는 한편, 다수의 미세공이 형성되면서 통풍성을 갖는다.
다공성 천(112)은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조항균천(113)은 폴리에스터 등으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미세공이 형성되면서 통풍과 함께 땀흡수 및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보조항균천(113)은 구리원사를 포함하면서 항균 및 소취와 함께 정전기를 방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깔창(110)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에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부통풍홈(110a,100b)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통풍홈(110a)은 깔창(110)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함몰되면서 깔창(110)과 깔창(110)으로 안착되는 착용자의 발바닥 사이로 공기의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하부통풍홈(110b)은 깔창(110)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함몰되면서 깔창(110)과 착용공간(A)을 이루는 바닥면과의 사이로 공기의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하부통풍홈(110a,110b)은 깔창(110)의 가장자리가 상하 방향으로 재봉되면서 함몰되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하부통풍홈(110a,110b)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깔창(110)의 가장자리가 재봉되면서 종단면이 재봉선(B)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는 '∨' 또는 '∧'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하부통풍홈(110a,110b)은 다공성 천(112), 쿠션부재(111) 및 보조항균천(113)이 분리되지 않도록 부착되어 깔창(110)을 이룬 상태에서 깔창(110)의 가장자리를 재봉함에 따라 다공성 천(112), 쿠션부재(111) 및 보조항균천(113)이 재봉선(D)에 의해 압착되면서 깔창(110)의 가장자리가 함몰되며 자연스럽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두(100)는 깔창(110)의 상,하부 가장자리에 상,하부통풍홈(110a,100b)이 형성되면서 착용자에 의한 구두(100) 착용시, 착용공간(A)에 대한 통풍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깔창(1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단부 사이 중앙부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접이선(C)이 형성되면서 양단부 사이가 접이선(C)을 중심으로 접이될 수 있다.
이는, 착용공간(A)을 이루는 바닥면 중 중앙부를 중심으로 전면부가 대략 수평을 이루는 반면, 후면부가 상방향으로 상향 경사를 이루면서 접이되는 깔창(110)의 중앙부가 들뜨거나 깔창(110)을 이루는 층 간이 벌어지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층 간은 다공성 천(112), 쿠션부재(111) 및 보조항균천(113)이 이루는 층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깔창(110)은 전,후단부 사이 중앙부가 재봉에 의해 접이선(C)이 형성됨으로써 접이선(C)을 중심으로 접이되면서 변형이나 층 간의 벌어짐 등이 방지될 수 있다.
깔창(1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이선(C)이 재봉에 의해 형성되면서 상부 중앙부에 상부통풍홈(110a)과 연통되는 상연통홈(110c)이 형성되고 하부 중앙부에 하부통풍홈(110b)과 연통되는 하연통홈(110d)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두(100)는 상부통풍홈(110a)과 상연통홈(110c)이 연통되고 하부통풍홈(110b)과 하연통홈(110d)이 연통되면서 착용공간(A)에 대한 통풍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깔창(1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둘레가 하부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면서 경사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깔창(110)은 외측 둘레가 경사지면서 착용공간(A)을 이루는 내측면과의 사이로 틈새를 형성한다.
이는, 구두(100)를 착용한 착용자의 보행시, 깔창(110)이 수축,이완되면서 틈새를 통해 공기의 통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두(100)는 착용자의 보행 등에 따라 착용공간(A)으로의 공기의 흡입 및 배출을 유도하여 착용공간(A)에 대한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로 인해, 구두(100)는 착용공간(A)에 대한 통풍 및 항균수단(120)에 의해 구두(100) 내에서 세균이나 악취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구두(100) 착용시, 착용자의 발에서 불쾌한 냄새나 무좀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갖는 구두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구두 110 : 깔창
111 : 쿠션부재 112 : 다공성 천
113 : 보조항균천 120 : 항균수단
121 : 항균천 122 : 완충부재
123 : 부직포 130 : 아웃솔
140 : 어퍼 150 : 보강부재

Claims (10)

  1. 아웃솔(130); 아웃솔(13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착용공간(A)이 형성되는 어퍼(140); 및 착용공간(A)을 이루는 바닥면에 안착되는 깔창(110)을 포함하는 구두(100)에 있어서,
    착용공간(A)에 구비되는 항균수단(120)을 더 포함하고,
    항균수단(120)은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가지며 일면이 착용공간(A)의 내측면을 이루는 항균천(121); 및 어퍼(140)의 내측에 배치되면서 어퍼(140)와 항균천(121)이 이격되도록 하는 한편, 쿠션력을 갖는 완충부재(122)를 포함하며,
    깔창(110)은 전,후단부 사이 중앙부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접이선(C)이 형성되면서 양단부 사이가 접이선(C)을 중심으로 접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갖는 구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깔창(110)은 착용자의 발바닥과의 사이 및 착용공간(A)을 이루는 바닥면과의 사이로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상,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상,하부통풍홈(110a,110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갖는 구두.
  7. 삭제
  8. 제 6항에 있어서,
    상,하부통풍홈(110a,110b)은 깔창(110)의 가장자리가 재봉되면서 종단면이 재봉선(B)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고,
    깔창(110)은 접이선(C)이 재봉에 의해 형성되면서 상부에 상부통풍홈(110a)과 연통되는 상연통홈(110c)이 형성되고 하부에 하부통풍홈(110b)과 연통되는 하연통홈(110d)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갖는 구두.
  9. 삭제
  10. 삭제
KR1020210109187A 2021-08-19 2021-08-19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갖는 구두 KR102347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187A KR102347211B1 (ko) 2021-08-19 2021-08-19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갖는 구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9187A KR102347211B1 (ko) 2021-08-19 2021-08-19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갖는 구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7211B1 true KR102347211B1 (ko) 2022-01-04

Family

ID=79342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187A KR102347211B1 (ko) 2021-08-19 2021-08-19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갖는 구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2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6522U (ja) * 1992-12-22 1994-12-20 美津濃株式会社 シューズの補強材
KR950013083U (ko) * 1993-11-16 1995-06-15 원인호 방취 방균성 신발
KR100699766B1 (ko) 2004-06-23 2007-03-27 최지은 공기 순환식 기능성 건강 구두
KR20170053043A (ko) * 2015-11-05 2017-05-15 주식회사 제이케이골드 항균동을 이용한 항균 신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6522U (ja) * 1992-12-22 1994-12-20 美津濃株式会社 シューズの補強材
KR950013083U (ko) * 1993-11-16 1995-06-15 원인호 방취 방균성 신발
KR100699766B1 (ko) 2004-06-23 2007-03-27 최지은 공기 순환식 기능성 건강 구두
KR20170053043A (ko) * 2015-11-05 2017-05-15 주식회사 제이케이골드 항균동을 이용한 항균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02158B2 (ja) 分離可能なアッパーおよびソール構造を有する履物
US8146266B2 (en) Chimney structures for footwear and foot coverings
EP1526786B1 (en) Slipper insert, slipp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lipper
US20060283043A1 (en) Article of footwear
US20060277786A1 (en) Chimney structures for apparel
US20040078996A1 (en) Footwear with breathable sole
US6003246A (en) Slipper having good draining functions and providing enhanced support
US20070022628A1 (en) Ventilated shoe sole
KR20150000306U (ko) 개선된 통기성 및 방수성을 갖는 신발
KR102012124B1 (ko) 기능성 신발
KR102347211B1 (ko) 항균 및 소취 기능을 갖는 구두
KR20020068983A (ko)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KR101710386B1 (ko) 공기순환형 신발
KR20100083692A (ko) 다 기능성 신발깔창
KR20140001294U (ko) 쿠션 및 통풍 구조가 구비된 신발용 깔창
KR101130975B1 (ko) 측면부에서 공기 입출이 가능한 신발깔창
KR102012076B1 (ko) 신발
KR102586181B1 (ko) 에어메쉬띠가 형성된 통풍 신발
KR102514616B1 (ko) 신발 깔창
CN218737467U (zh) 一种可除臭的鞋子
CN211794622U (zh) 一种防磨脚女鞋
CN218784269U (zh) 一种防臭鞋
CN218978142U (zh) 一种轻便透气型女鞋
KR102012077B1 (ko) 신발용 안창
KR200172246Y1 (ko) 안창에 숯가루를 갖는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