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386B1 - 공기순환형 신발 - Google Patents

공기순환형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386B1
KR101710386B1 KR1020160133014A KR20160133014A KR101710386B1 KR 101710386 B1 KR101710386 B1 KR 101710386B1 KR 1020160133014 A KR1020160133014 A KR 1020160133014A KR 20160133014 A KR20160133014 A KR 20160133014A KR 101710386 B1 KR101710386 B1 KR 101710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sole
cloud
spacer
sol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3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차호
Original Assignee
와일드마운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일드마운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와일드마운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3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3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 A43B7/08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holes in the sid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the air being expelled to the outsid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1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with closable air-slo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발의 피로가 최소화되도록 쿠션감을 제공하며 통기성과 내구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발이 수용되도록 상부 테두리를 따라 발등 부위를 덮는 갑피의 하단부와 연결되되, 상기 갑피의 내부로 외부공기가 순환되도록 측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측벽연통부와 연통된 개구부가 내측부에 형성된 미드솔; 상기 개구부에 형합되어 삽입되되, 보행 시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내외부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클라우드 스페이서부; 상기 클라우드 스페이서부의 상부를 커버하는 통기성 재질의 방수원단; 상기 방수원단의 상측에 구비되는 바닥마감부; 및 상기 미드솔의 하면부에 부착되는 합성고무 재질의 밑창을 포함하되, 보행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측벽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측벽연통부가 복수개로 분할되도록 기설정된 간격 이격되어 구비된 각 미드솔연장부 사이에 상기 클라우드 스페이서부가 삽입되도록 구비되며, 공기통로를 유지하도록 상기 측벽연통부의 상하간격에 대응되도록 연장된 복수개의 지지보강부가 구비된 강체 재질의 통로보강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형 신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기순환형 신발{footwear having function of air circulation}
본 발명은 공기순환형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의 피로가 최소화되도록 쿠션감을 제공하며 통기성과 내구성이 개선된 공기순환형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발에 착용되어 보행 중 발을 보호해주는 것으로 시대와 유행의 변천과 함께 다양한 디자인 및 기능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보행용, 산악용, 신체 교정용 등 다양한 활동에 적합하도록 각종 용도의 신발들이 제조되고 있다.
여기서, 종래의 신발은 발등과 발목 부위을 덮어서 보호하는 갑피와, 발바닥을 보호하면서 지면과의 마찰력을 높여 보행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보행시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하는 신발창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신발창은 통상 신발용 깔창이 되는 안창과, 보행 시 인체의 하중을 탄력적으로 분산 지지할 수 있도록 완충력이 우수한 고무나 발포 수지 또는 스폰지 재질 등으로 제조되는 중창과, 상기 중창의 바닥면에 부착되어 보행시 마찰력을 부여하기 위한 논슬립 패드가 되는 바닥창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때, 상기 신발창을 이루는 상기 중창은 보행시 인체의 하중을 지지하여 보행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키며 착용자의 보행 경로를 실질적으로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중창에는 걷거나 뛰는 경우 인체 무릎과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과 하중이 완충되도록 에어백이나 스프링 등의 탄성복원체가 삽입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더욱이, 상기 신발창에는 신발 내부에 통풍을 원활히 하여 땀의 흡수 내지 항균작용이 통기성이 개선되도록 상기 갑피 내부 및 상기 탄성복원체와 연통되는 통기공을 형성하는 구조 등의 많은 기술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중창의 전면에 착화자의 하중이 직접적으로 가해짐에 따라 상기 탄성복원체의 복원력이 감소되어 완충 효과가 저하되고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행 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상기 중창이 가압 변형됨에 따라 상기 통기공이 폐쇄되어 신발 내부에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되지 않아 신발 내부와 발로부터 악취를 풍기게 하여 착화자에게 불쾌감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52018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의 피로가 최소화되도록 쿠션감을 제공하며 통기성과 내구성이 개선된 공기순환형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이 수용되도록 상부 테두리를 따라 발등 부위를 덮는 갑피의 하단부와 연결되되, 상기 갑피의 내부로 외부공기가 순환되도록 측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측벽연통부와 연통된 개구부가 내측부에 형성된 미드솔; 상기 개구부에 형합되어 삽입되되, 보행 시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내외부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클라우드 스페이서부; 상기 클라우드 스페이서부의 상부를 커버하는 통기성 재질의 방수원단; 상기 방수원단의 상측에 구비되는 바닥마감부; 및 상기 미드솔의 하면부에 부착되는 합성고무 재질의 밑창을 포함하되, 보행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측벽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측벽연통부가 복수개로 분할되도록 기설정된 간격 이격되어 구비된 각 미드솔연장부 사이에 상기 클라우드 스페이서부가 삽입되도록 구비되며, 공기통로를 유지하도록 상기 측벽연통부의 상하간격에 대응되도록 연장된 복수개의 지지보강부가 구비된 강체 재질의 통로보강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형 신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클라우드 스페이서부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합성수지 재질의 복수개의 지지원사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된 스페이서 메쉬층과, 상기 스페이서 메쉬층의 상하면에 각각 부착되는 직조된 합성섬유 재질의 원단층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삭제
그리고, 상기 개구부는 발끝에 대응되어 상기 미드솔의 전측에 형성되는 전방개구부와, 발뒤꿈치에 대응되어 상기 미드솔의 후측에 형성되는 후방개구부로 분할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바닥마감부는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미드솔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봉제된 부직포 텍션과, 상기 부직포 텍션의 상부에 배치되는 섬유 재질의 안창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미드솔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되는 상기 클라우드 스페이서부는 상기 미드솔의 측벽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 상기 미드솔연장부에 의해 보행 시 가압되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보강되므로 과도한 압착으로 인한 복원력 상실이 최소화되어 안정적인 완충력을 제공하면서도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측벽연통부의 상하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된 상기 지지보강부가 구비된 상기 통로보강부재가 상기 측벽연통부에 삽입됨에 따라 보행 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반복적으로 가압되어 상기 미드솔의 재질이 변형되더라도 상기 측벽연통부가 외부와 연통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상기 클라우드 스페이서부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합성수지 재질의 상기 지지원사가 복수개로 구비된 상기 스페이서 메쉬층에 의해 보행 시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상기 지지원사는 굴곡되거나 복원되어 가압력에 대응되는 완충력이 제공되므로 착화자에게 쿠션감이 제공될 수 있다.
넷째, 상기 방수원단은 상기 클라우드 스페이서부 상부를 커버하도록 테두리부가 대면되는 상기 미드솔의 상면부에 밀폐되어 부착되므로 상기 갑피의 내부로 물의 침투가 방지되며 공기가 통과되므로 방수성 및 통기성이 향상되어 쾌적한 착화감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형 신발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형 신발의 미드솔을 나타낸 저면도.
도 3a는 도 2의 A-B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3b는 도 2의 C-D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형 신발의 미드솔, 클라우드 스페이서부 및 밑창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형 신발의 미드솔 및 클라우드 스페이서부를 나타낸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미드솔 및 클라우드 스페이서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형 신발의 클라우드 스페이서부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형 신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형 신발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형 신발(100)은 갑피(1), 미드솔(10), 클라우드 스페이서부(20), 방수원단(30), 바닥마감부(40) 그리고 밑창(5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갑피(1)는 상기 미드솔(10)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연결됨이 바람직하며, 직물 내지 합성섬유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발이 수용되도록 발등 부위를 덮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갑피(1)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미드솔(1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형 신발의 미드솔을 나타낸 저면도이며, 도 3a는 도 2의 A-B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3b는 도 2의 C-D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미드솔(10)은 상부 테두리를 따라 테두리돌출부(10a)가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미드솔(10)의 상면부에는 상기 방수원단(30), 상기 바닥마감부(40) 및 상기 갑피(1)의 테두리부가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측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하측은 지면과 인접해지는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드솔(10)은 발바닥이 밀착되도록 상기 갑피(1)의 하부에 배치되며, 보행 시 지면과의 충격에 대응되도록 신축성 및 탄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내지 합성고무 등의 신축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미드솔(10)의 측벽부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측벽연통부(11)가 측방향으로 관통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측벽연통부(11)는 상기 미드솔(10)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상측 방향으로 함몰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벽연통부(11)는 내외부의 공기가 유동되어 유입 및 배출되는 공기통로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측벽연통부(11)는 착화자의 보행 시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공기가 유동되도록 상기 미드솔(10)의 일측 및 타측에 상호 대면되어 복수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미드솔(10)의 측벽부 어느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미드솔(10)의 상면부에는 상기 측벽연통부(11)와 연통되는 개구부(12)가 하측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개구부(12)는 상기 클라우드 스페이서부(20)의 삽입을 위하여 상기 미드솔(10)의 두께방향으로 관통되어 상기 미드솔(10)의 하면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측벽연통부(11)의 일측은 상기 개구부(12)가 연통된다. 여기서, 상기 밑창(50)이 상기 미드솔(10)의 하면부에 부착됨에 따라 상기 미드솔(10) 및 상기 밑창(50) 사이에는 상기 개구부(12)에 의해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측벽연통부(11)를 경유하여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미드솔(10)은 상기 측벽연통부(11)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개구부(12)를 경유하여 상면부측으로 유입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유입된 공기가 유동되어 상기 갑피(1)의 내부에 공기가 순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갑피(1)의 내부에서 순환된 공기는 상기 개구부(12)를 경유하여 상기 측벽연통부(11)를 통해 배출되므로 상기 미드솔(10)에는 통기성이 부여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형 신발의 미드솔, 클라우드 스페이서부 및 밑창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형 신발의 미드솔 및 클라우드 스페이서부를 나타낸 저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미드솔 및 클라우드 스페이서부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순환형 신발의 클라우드 스페이서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개구부(12)에는 상기 클라우드 스페이서부(20)가 형합되어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클라우드 스페이서부(20)는 스페이서 메쉬층(21)과 원단층(22)을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스페이서 메쉬층(21)은 상기 원단층(22)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각 원단층(22) 사이의 간격이 고르게 유지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 메쉬층(21)은 복수개의 지지원사(21a)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지지원사(21a)는 원사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되,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부(12)의 상하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원사(21a)는 일측으로 곧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가압력의 증감에 따라 굴곡되거나 복원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원사(21a)는 상하방향으로 굴곡된 리브(rib)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원사(21a)는 보행 시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굴곡된 방향에 대응되어 더 굴곡되거나 복원되므로 가압력에 대응되는 완충력이 안정적으로 제공되므로 착화자에게 쿠션감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원사(21a)는 기설정된 각도만큼 상측에서 하측 내지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상호 교차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한 쌍의 상기 지지원사(21a)가 'X'자 내지 'V'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원사(21a)는 비정형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지지원사(21a)는 보행 시 가해지는 하중이 일측으로 편중되지 않도록 균일하게 굴곡되어 가압력에 대한 안정적인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원사(21a)는 탄성과 강성이 제공되어 보행 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 Plastic Polyurethane, 이하 TPU)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므로 재질상 한정되지 아니하지만, 탄성과 강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원사(21a) 사이에는 공기층(21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페이서 메쉬층(21)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상기 스페이서 메쉬층(21)의 상하면에는 직조된 상기 원단층(22)이 각각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원단층(22)은 경사와 위사가 직각으로 교차되도록 직조되어 그물 형태의 메쉬 원단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각 원단층(22)은 상기 복수개의 지지원사(21a) 양측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단층(22)은 그물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부착을 위한 접착제가 도포될 공간이 형성되므로 상기 지지원사(21a)가 삽입되거나 홀에 인접하게 접촉되어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단층(22)은 나일론, 폴리에스터 및 아크릴 등의 합성섬유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섬유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클라우드 스페이서부(20)는 보행 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가압되면 상기 지지원사(21a)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스페이서 메쉬층(21)의 부피가 감소되며, 보행 시 가해지는 하중이 감소되면 부피가 복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스페이서부(20)는 상기 공기층(21b)이 제공되면서도 착화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하여 착화감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라우드 스페이서부(20)가 상기 개구부(12)에 형합되어 삽입됨에 따라 실질적으로 상기 클라우드 스페이서부(20)에는 상기 측벽연통부(11)를 통해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라우드 스페이서부(20)는 상기 측벽연통부(11)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보행 시 착화자의 하중이 가해져 가압력이 작용되는 상태라면 상기 공기층(21b)의 부피가 감소되어 상기 갑피(1)의 내부 및 상기 공기층(21b)으로부터 공기가 상기 측벽연통부(11)를 경유하여 배출된다.
또한, 상기 공기순환형 신발(100)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가압력이 해제된 상태라면 상기 공기층(21b)의 부피가 복원되어 상기 공기층(21b)으로 공기가 유입되므로 상기 갑피(1)의 내부로 유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스페이서부(20)에 의해 보행 시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상기 지지원사(21a)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공기층(21b)의 부피가 증감되므로 내외부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어 상기 공기순환형 신발(100)에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개구부(12)에는 상기 미드솔(10)의 측벽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 미드솔연장부(1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미드솔연장부(13)는 상기 미드솔(10)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상기 미드솔(10)에 연결되어 일체화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미드솔연장부(13) 상면부 및 상기 미드솔(10) 하면부의 상호 대향면에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돌기 내지 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미드솔연장부(13)는 상기 미드솔(10)의 테두리를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미드솔연장부(13)는 상기 미드솔(10)의 너비방향 일측 및 타측 테두리 사이에 연결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미드솔연장부(13)가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측벽연통부(11)는 복수개로 분할될 수 있다. 즉, 상기 측벽연통부(11) 및 상기 미드솔연장부(13)는 상기 미드솔(10)의 테두리를 따라 교번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드솔연장부(13)가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스페이서부(20)는 상기 각 미드솔연장부(13) 사이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라우드 스페이서부(20)는 상기 미드솔연장부(13)가 구비됨에 따라 보행 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보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클라우드 스페이서부(20)는 과도한 압착으로 인한 복원력 상실이 최소화되어 안정적인 완충력을 제공하면서도 내구성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측벽연통부(11)에는 통로보강부재(14)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공기순환형 신발(100)은 장기간 사용 시 상기 클라우드 스페이서부(20)의 탄성력이 저하되어 형상 복원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측벽연통부(11)는 보행 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형상이 변형되어 폐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통로가 유지되기 위해 보행 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상기 통로보강부재(14)는 상기 측벽연통부(11)와 대면되는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보강부(14c)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보강부(14c)는 상기 미드솔(10)을 지지하도록 상기 측벽연통부(11)의 상하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보강부(14c)는 상기 측벽연통부(11)의 각 양측내면과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통로보강부재(14)는 상기 측벽연통부(11)에 삽입될 수 있으며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미드솔연장부(13)에 의해 분할된 상기 각 측벽연통부(11)에 삽입될 수 있으나, 제조편의성을 위하여 각각 연결된 일체화된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통로보강부재(14)는 상기 각 지지보강부(14c)가 상기 측벽연통부(11)에 삽입되며 상기 각 지지보강부(14c)가 연결된 단부는 상기 미드솔(10)의 하면부에 접촉되도록 상측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로보강부재(14)는 금속 내지 합성수지 등의 강체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합금 등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재질상 한정되지 아니하지만 보행 시 가해지는 하중에도 파손되지 않고 상기 미드솔(10)을 지지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로보강부재(14)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측벽연통부(11)를 가로막아 공기의 유동에 방해되지 않는 구조라면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통로보강부재(14)는 공기통로가 유지되도록 보행 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므로 상기 측벽연통부(11)의 형상이 유지되어 공기가 원활하게 순환되어 착화자에게 쾌적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드솔(10)이 지지됨에 따라 하중에 의한 구성 부품의 변형이 최소화되므로 사용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구부(12)는 전방개구부(12a)와 후방개구부(12b)로 분할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미드솔(10)의 상면부 전면에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면 상기 클라우드 스페이서부(20)가 삽입되는 면적이 증가되므로 경제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보행 시 가해지는 하중이 직접 상기 클라우드 스페이서부(20)에 가해짐에 따라 과도한 쿠션감이 제공되어 발의 피로도가 가중되므로 착화자에게 불편감이 초래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미드솔(10)은 하중에 의해 내구성이 저하되어 사용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12)는 보행 시 하중이 실질적으로 집중되는 발바닥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대응되도록 가압되며 발의 형상에 대응되어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전방개구부(12a)와 상기 후방개구부(12b)로 분할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전방개구부(12a) 및 상기 후방개구부(12b)에는 각각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보행 시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되므로 상기 미드솔(10)의 내구성이 개선되고 지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전방개구부(12a)는 발끝, 즉 발가락이 위치한 전족부에 대응되어 상기 미드솔(10)의 전측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방개구부(12a)는 전족부에 대응되므로 실질적으로 상기 테두리돌출부(10a)를 제외한 상기 미드솔(10) 전측의 상면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측벽연통부(11)와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벽연통부(11)는 상기 전방개구부(12a) 내지 상기 후방개구부(12b)에 연통되며 상기 전방개구부(12a) 및 상기 후방개구부(12b)의 사이, 즉 상기 미드솔(10)의 중측을 제외한 전측 및 후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개구부(12a)에는 상기 미드솔(10)의 테두리부가 지지되도록 상기 미드솔연장부(13)가 기설정된 간격만큼 상기 미드솔(1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되되, 측벽부 일측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개구부(12b)는 발뒤꿈치부에 대응되어 상기 미드솔(10)의 후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방개구부(12b)는 발뒤꿈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미드솔(10)의 상면부로부터 하측방향을 향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발뒤꿈치에 형합되도록 원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방개구부(12b)에는 상기 미드솔연장부(13)가 상기 미드솔(10)의 테두리를 따라 기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측벽연통부(11)와 상기 미드솔연장부(13)는 교번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드솔(10)에는 상기 전방개구부(12a) 및 상기 후방개구부(12b)는 보행 시 가해지는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에 공간부가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전방개구부(12a) 또는 상기 후방개구부(12b)는 보행 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발에 의해 밀폐되거나 개방될 수 있다.
즉, 하중이 상기 미드솔(10)의 전측으로 집중되면 상기 전방개구부(12a)는 발끝에 의해 밀폐되어 하중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공간부의 부피가 감소되어 상기 전방개구부(12a)측 내부공기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하중이 상기 미드솔(10)의 후측으로 집중되면 상기 후방개구부(12b)는 발뒤꿈치에 의해 밀폐되어 하중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공간부의 부피가 감소되어 상기 후방개구부(12b)측 내부공기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미드솔(10)의 전측 또는 후측 적어도 어느 일측에 상기 전방개구부(12a) 또는 상기 후방개구부(12b)가 개방되고 하중이 감소되면 공기가 유입되므로 상기 전방개구부(12a) 또는 상기 후방개구부(12b)를 경유하여 지속적으로 공기가 순환되므로 통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클라우드 스페이서부(20)는 상기 전방개구부(12a)에 삽입되는 상기 전방 클라우드 스페이서부(20a)와, 상기 후방개구부(12b)에 삽입되는 후방 클라우드 스페이서부(20b)로 분할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방개구부(12a)에 형합되어 삽입되되, 발끝에 안정적인 쿠션감을 제공하도록 상기 미드솔연장부(13)에 의해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방개구부(12a) 측에 구비된 상기 미드솔연장부(13)의 하면부에는 삽입홈부(13a)가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홈부(13a)는 발의 형상에 대응되어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격된 상기 각 전방 클라우드 스페이서부(20a)가 연결되도록 상기 삽입홈부(13a)에는 상기 전방 클라우드 스페이서부(20a)가 형합되어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각 전방 클라우드 스페이서부(20a)는 상기 삽입홈부(13a)에 삽입되도록 일측이 연장되어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일체화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방 클라우드 스페이서부(20a)는 상기 전방개구부(12a)에 형성된 상기 미드솔연장부(13) 사이 간격 및 상기 삽입홈부(13a) 내면에 각각 형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방 클라우드 스페이서부(20a)의 하면 프로파일과 상기 미드솔연장부(13)의 하면 프로파일이 연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미드솔연장부(13)에 의해 이격된 상기 각 측벽연통부(11)가 연통될 수 있으며, 착화자의 보행 습관 내지 환경에 따라 변동되는 하중에 의한 가압 부위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내외부 공기가 유입 또는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클라우드 스페이서부(20b)는 발뒤꿈치에 안정적인 쿠션감을 제공하도록 상기 후방개구부(12b)에 형합되어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드솔(10)의 후측은 발의 밸런스를 위하여 전측보다 두께가 더 두껍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방개구부(12b)에는 상기 후방 클라우드 스페이서부(20b)가 상기 미드솔(10)의 하면부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상기 후방개구부(12b)에 삽입될 시 상기 미드솔(10)의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후방 클라우드 스페이서부(20b)는 상기 미드솔(10)의 상면부에 형성된 상기 후방개구부(12b)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더 구비되어 상기 후방개구부(12b)에 적층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방 클라우드 스페이서부(20a) 및 상기 후방 클라우드 스페이서부(20b)는 발끝 내지 뒤꿈치부에 대응되어 하중이 집중되는 부위에 대하여 적절한 쿠션감을 제공하므로 착화자의 피로가 경감되고 보행감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구부(12)가 상기 전방개구부(12a) 및 상기 후방개구부(12b)로 분할됨에 따라 통로보강부재(14)는 전방통로보강부재(14a) 및 후방통로보강부재(14b)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방통로보강부재(14a)는 상기 전방개구부(12a)의 길이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보강부(14c)가 연결되는 단부는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미드솔(10)의 테두리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미드솔(10)의 일측 및 타측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통로보강부재(14b)는 상기 측벽연통부(11)에 상기 지지보강부(14c)가 삽입되며 상기 지지보강부(14c)가 연결되는 단부는 상기 미드솔(10)의 후측 테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U'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방통로보강부재(14a) 및 상기 후방통로보강부재(14b)는 상기 측벽연통부(11)가 형성된 부분에만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밑창(50)이 상기 미드솔(10)의 하면부에 부착되는 경우 형성되는 간극이 최소화되어 더욱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수원단(30)은 상기 클라우드 스페이서부(20)를 커버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클라우드 스페이서부(20)의 상부는 상기 개구부(12)를 통해 상기 미드솔(10)의 상면부에 대면되어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드솔(10)의 상면부에는 상기 방수원단(30)이 부착됨에 따라 실질적으로 상기 클라우드 스페이서부(20)를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원단(30)은 폴리에스터(Polyester) 재질의 원사를 이용해 직조된 원단의 표면에 폴리우레탄(Polyurethane)이 코팅 처리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세부적으로 공지된 W. L. GORE & ASSOCIATES사의 고어텍스 원단 내지 엔크로텍스(ncrotex)사의 엔크로텍스 원단 등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방수원단(30)은 방수성의 폴리우레탄 코팅막에 의해 물의 침투가 방지되되, 물의 입자보다 작고 수증기의 입자보다 크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홀을 통해 공기가 통과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원단(30)은 상기 미드솔(10)의 상면부 전면이 커버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나, 재료의 사용이 절감되고 적층되는 두께가 최소화되도록 상기 전방개구부(12a) 및 상기 후방개구부(12b)의 상부에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방수원단(30)의 테두리부는 대면되는 상기 미드솔(10)의 상면부에 밀폐되어 부착됨에 따라 물이 상기 방수원단(30)의 테두리를 통해 상기 갑피(1) 내부로 유입됨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드솔(10)의 상면부 전측에는 커버홈(10b)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수원단(30)은 상기 커버홈(10b)에 대응되는 프로파일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홈(10b)에 삽입되어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원단(30)은 상기 후방개구부(12b)에 상기 미드솔(10) 후측의 테두리에 대응되어 상기 미드솔(10)의 상면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방수원단(30)이 부착됨에 따라 물의 침투가 방지되며 공기는 통과되므로 상기 클라우드 스페이서부(20)로 유입되는 물이 상기 갑피(1)의 내부로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어 방수성 및 통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방수원단(30)은 투습성을 가지게 되므로 착화자의 발에서 배출되는 땀에 의해 상기 갑피(1) 내부의 습해진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방수원단(30)의 상측에는 상기 바닥마감부(4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바닥마감부(40)는 부직포 텍션(41)과 안창(42)을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부직포 텍션(41)은 PVC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폴리에틸렌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으므로 재질상 한정되지 아니하지만 내구성과 내마모성을 가지도록 경도를 가지며 유연한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직포 텍션(41)은 상기 미드솔(10) 상면부의 프로파일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돌출부(10a)의 내측에 안착되어 상기 미드솔(10)의 상면부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갑피(1)와 연결되도록 테두리를 따라 상기 갑피(1)에 봉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직포 텍션(41)에는 복수개의 관통공(41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관통공(41a)은 상기 전방개구부(12a) 및 상기 후방개구부(12b)의 위치에 대응되어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부직포 텍션(41)은 발의 밸런스가 유지되도록 발바닥을 지지하면서도 상기 전방개구부(12a) 및 상기 후방개구부(12b)로부터 상면부를 향해 유통되는 공기가 상기 갑피(1)의 내부로 유입되므로 상기 공기순환형 신발(100)의 통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직포 텍션(41)의 상부에는 상기 안창(42)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안창(42)은 오소라이트(Ortholite), EVA 내지 라텍스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발바닥의 프로파일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창(42)은 상부 부직포 텍션(41)의 상부에 안착되어 착화자의 발바닥과 접촉될 수 있으며 보행 시 발을 보호하고 충격이 흡수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안창(42)은 공지된 다양한 종류로 구비되어 상기 공기순환형 신발(100)에 사용될 수도 있으나, 상기 갑피(1)의 내부에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상기 관통공(41a)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관통공(41a)과 연통되는 유통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상기 미드솔(10)의 하면부에는 상기 밑창(50)이 부착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밑창(50)은 상기 미드솔(10)의 하면부에 부착되어 지면과 연접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상기 밑창(50)의 하면부에는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밑창(50)은 탄성적으로 접고 펴지는 연질 소재로서 합성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EVA 내지 폴리우레탄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밑창(50)은 공지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갑피 10 : 미드솔
11 : 측벽연통부 12 : 개구부
12a : 전방개구부 12b : 후방개구부
13 : 미드솔연장부 14 : 통로보강부재
14c : 지지보강부 20 : 클라우드 스페이서부
21 : 스페이서 메쉬층 21a : 지지원사
21b : 공간부 22 : 원단층
30 : 방수원단 40 : 바닥마감부
41 : 부직포 텐션 41a : 관통공
42 : 안창 50 : 밑창
100 : 공기순환형 신발

Claims (5)

  1. 발이 수용되도록 상부 테두리를 따라 발등 부위를 덮는 갑피의 하단부와 연결되되, 상기 갑피의 내부로 외부공기가 순환되도록 측방향으로 관통형성된 측벽연통부와 연통된 개구부가 내측부에 형성된 미드솔;
    상기 개구부에 형합되어 삽입되되, 보행 시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내외부 공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클라우드 스페이서부;
    상기 클라우드 스페이서부의 상부를 커버하는 통기성 재질의 방수원단;
    상기 방수원단의 상측에 구비되는 바닥마감부; 및
    상기 미드솔의 하면부에 부착되는 합성고무 재질의 밑창을 포함하되,
    보행시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측벽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측벽연통부가 복수개로 분할되도록 기설정된 간격 이격되어 구비된 각 미드솔연장부 사이에 상기 클라우드 스페이서부가 삽입되도록 구비되며,
    공기통로를 유지하도록 상기 측벽연통부의 상하간격에 대응되도록 연장된 복수개의 지지보강부가 구비된 강체 재질의 통로보강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형 신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스페이서부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합성수지 재질의 복수개의 지지원사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된 스페이서 메쉬층과,
    상기 스페이서 메쉬층의 상하면에 각각 부착되는 직조된 합성섬유 재질의 원단층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형 신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발끝에 대응되어 상기 미드솔의 전측에 형성되는 전방개구부와, 발뒤꿈치에 대응되어 상기 미드솔의 후측에 형성되는 후방개구부로 분할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형 신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마감부는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미드솔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봉제된 부직포 텍션과, 상기 부직포 텍션의 상부에 배치되는 섬유 재질의 안창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형 신발.
KR1020160133014A 2016-10-13 2016-10-13 공기순환형 신발 KR101710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014A KR101710386B1 (ko) 2016-10-13 2016-10-13 공기순환형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014A KR101710386B1 (ko) 2016-10-13 2016-10-13 공기순환형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0386B1 true KR101710386B1 (ko) 2017-02-27

Family

ID=58315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3014A KR101710386B1 (ko) 2016-10-13 2016-10-13 공기순환형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3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672B1 (ko) * 2018-07-12 2019-08-23 뉴스텝 주식회사 족저근막염 통증완화 및 치료용 신발
WO2020046071A1 (ko) * 2018-08-30 2020-03-05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신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514B2 (ko) * 1981-09-16 1991-02-01 Toppan Printing Co Ltd
KR100520189B1 (ko) 2005-06-08 2005-10-10 변기순 쿠션신발
KR100900156B1 (ko) * 2008-08-26 2009-06-01 (주)원광제이.에프.씨 수평터널홈이 구비된 쿠션신발창
KR101181727B1 (ko) * 2011-07-13 2012-09-19 주식회사 욱성 안전화용 경편직물과 그를 이용한 안전화
KR20150042259A (ko) * 2012-08-10 2015-04-20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스페이서 직물 재료를 합체하는 유체 충전 챔버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514B2 (ko) * 1981-09-16 1991-02-01 Toppan Printing Co Ltd
KR100520189B1 (ko) 2005-06-08 2005-10-10 변기순 쿠션신발
KR100900156B1 (ko) * 2008-08-26 2009-06-01 (주)원광제이.에프.씨 수평터널홈이 구비된 쿠션신발창
KR101181727B1 (ko) * 2011-07-13 2012-09-19 주식회사 욱성 안전화용 경편직물과 그를 이용한 안전화
KR20150042259A (ko) * 2012-08-10 2015-04-20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스페이서 직물 재료를 합체하는 유체 충전 챔버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672B1 (ko) * 2018-07-12 2019-08-23 뉴스텝 주식회사 족저근막염 통증완화 및 치료용 신발
WO2020013640A1 (ko) * 2018-07-12 2020-01-16 뉴스텝 주식회사 족저근막염 통증완화 및 치료용 신발
WO2020046071A1 (ko) * 2018-08-30 2020-03-05 주식회사 나노텍세라믹스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04657B (zh) 具有带弧形底侧腔插入件的中底的鞋具
CN107072348B (zh) 具有动态边缘腔体中底的鞋制品
US7013581B2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uspended footbed
US10045587B2 (en) Footwear including lightweight outsole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outsole structure
KR101008344B1 (ko) 신발 갑피의 저면에 전후방밑창이 이격되게 부착되어 있는 신발
US8474155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outsole web and midsole protrusions
US10104932B2 (en) Safety shoes with a ventilation structure
US10905196B2 (en) Comfort in motion footwear
US8051583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improved stability and balance
US7207125B2 (en) Grid midsole insert
US9113675B2 (en) Article of footwear
CN113966893B (zh) 具有鞋底板的鞋类物品
US6003246A (en) Slipper having good draining functions and providing enhanced support
JP2020000882A (ja) モジュール式靴
US20040078996A1 (en) Footwear with breathable sole
US20170238658A1 (en) Footwear Upper With Zonal Support Areas
US20130255106A1 (en) Assembled footwear
KR101710386B1 (ko) 공기순환형 신발
KR20150000306U (ko) 개선된 통기성 및 방수성을 갖는 신발
US20170251762A1 (en) Footwear Upper With Ribbed Panels
KR101873916B1 (ko) 통기성과 큐숀이 포함된 일체형 중창
KR100930488B1 (ko) 투습ㆍ충격흡수 구조를 갖는 방수신발 및 제조방법
US20130318817A1 (en) Footwear with integrated energy wave sockliner
US20180020774A1 (en) Shoe with Flexible Upper
CN212488743U (zh) 一种防水透气运动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