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4030A - 전기로 제강을 이용한 강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로 제강을 이용한 강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4030A
KR20150014030A KR20130088681A KR20130088681A KR20150014030A KR 20150014030 A KR20150014030 A KR 20150014030A KR 20130088681 A KR20130088681 A KR 20130088681A KR 20130088681 A KR20130088681 A KR 20130088681A KR 20150014030 A KR20150014030 A KR 20150014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furnace
molten steel
steel
charging
molt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8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덕
태순재
홍진명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88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4030A/ko
Publication of KR20150014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40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52Manufacture of steel in electric furnaces
    • C21C5/527Charging of the electric furnac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7/00Treating molten ferrous alloys, e.g. steel, not covered by groups C21C1/00 - C21C5/00
    • C21C7/10Handling in a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27D2019/0028Regulation
    • F27D2019/0075Regulation of the charge quant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efinement Of Pig-Iron, Manufacture Of Cast Iron, And Steel Manufacture Other Than In Revolving Furnaces (AREA)

Abstract

전기로 제강을 이용한 강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제강을 이용한 강 제조 방법은 전기로에 스크랩을 장입하는 단계, 전기로에 용선을 장입하는 단계 및 전기로를 가열하여 용강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로 제강을 이용한 강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STEEL BY ELECTRIC FURNACE STEELMAKING}
본 발명은 전기로 제강을 이용한 강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로(EAF, electirc arc furnace) 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금속이나 합금을 가열하여 용해한다. 노의 내부에 스크랩을 장입한 후 3개의 전극과 스크랩 사이로 아크 형태의 전류를 발생시켜 가열하여 스크랩을 용해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전기로에서 제조된 용강은 출강구를 통하여 레이들로 출강된 후 후공정으로 이송된다. 레이들의 용강은 연속 주조기로 이송되어 슬라브(Slab) 또는 블룸(Bloom), 빌렛(Billet) 등의 강 제품으로 제조된다.
한편, 전기로 제강을 이용한 강 제조 시 스크랩을 사용하는 방법은 성분 및 온도 제어를 위해 산소를 과하게 사용하는 과산화 조업을 실시하여, 용강 중 질소가 흡질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0211호(2013.02.27, 전기로 제강조업 중 망간광석 활용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기로 제강을 이용한 강 제조 시 보다 효과적으로 질소를 제거할 수 있는 강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기로에 스크랩을 장입하는 단계, 전기로에 용선을 장입하는 단계 및 전기로를 가열하여 용강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로 제강을 이용한 강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전기로 제강을 이용한 강 제조 방법은 용선을 장입하는 단계 이전에, 용강 중 질소의 목표 성분량에 따라 전기로에 대한 용선의 장입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용선의 장입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하기의 수학식 1을 만족하여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1)
N=-0.063*A+72.4
(N : 용강 중 질소의 목표 성분량(ppm), A : 용강에 대한 용선의 장입 비율(%))
용강에 대한 용선의 장입 비율은 80% 이하일 수 있다.
그리고, 용강을 얻는 단계 이후에, 용강을 레이들로 출강하는 단계 및 레이들을 진공조 내에 장입하고 진공을 부여하여 용강 내 질소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기로 제강을 이용한 강 제조 시 스크랩과 용선을 전기로에 장입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질소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제강을 이용한 강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제강을 이용한 강 제조 방법에서 질소가 제거되는 메커니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제강을 이용한 강 제조 방법에서 용강에 대한 용선의 장입 비율에 따른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기로 제강을 이용한 강 제조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제강을 이용한 강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제강을 이용한 강 제조 방법에서 질소가 제거되는 메커니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제강을 이용한 강 제조 방법에서 용강에 대한 용선의 장입 비율에 따른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제강을 이용한 강 제조 방법은 전기로에 스크랩을 장입하는 단계(S100)로부터 시작된다.
이 경우, 전기로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스크랩 및/또는 용선을 가열하여 용강을 얻는 부분으로, 전기로는 노의 내부에 스크랩 및/또는 용선을 장입한 후 3개의 전극으로 스크랩 및/또는 용선 사이에 아크 형태의 전류를 발생시켜 가열하여 용강을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전기로에 용선을 장입할 수 있다(S300).
여기서, 용선이란 고로 등에 의해 철광석 등의 원재료를 용융시킨 물질로서, 용선 내에는 다량의 탄소가 함유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음으로, 전기로를 가열하여 용강을 얻을 수 있다(S400).
만약, 전기로에 스크랩만을 장입하여 용강을 만드는 경우에는, 성분 및 온도 제어를 위해 산소를 과하게 사용하는 과산화 조업을 실시하여, 용강 중 질소가 흡질되는 등 품질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제강을 이용한 강 제조 방법은 전기로에 스크랩 뿐만 아니라 용선을 장입하여 용강 중의 질소를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강 중의 질소를 제거하는 메커니즘을 도 2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량의 탄소가 함유되어 있는 용선을 전기로에 장입하여 가열하면서 용강을 만든다면, 전기로 내에 산화탄소의 발생량이 증가할 수 있다. 이 때, 발생되는 산화탄소는 대기 중으로 배출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용강 중의 질소가 산화탄소에 포집되어 함께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제강을 이용한 강 제조 방법은 강 제조 시 스크랩과 용선을 전기로에 장입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질소를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제강을 이용한 강 제조 방법은 용선을 장입하는 단계 이전에, 용강 중 질소의 목표 성분량에 따라 전기로에 대한 용선의 장입량을 산출하는 단계(S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용강 중 질소의 목표 성분량이란, 품질 관리 기준 등에 따라 용강 내에 함유되어 있는 질소 성분의 적정량을 일컫는 것으로서, 용강의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로에 스크랩만 장입하는 경우보다 용선의 장입량을 증가시킬 수록 질소의 제거가 더 효과적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제강을 이용한 강 제조 방법은 용강 중 질소의 목표 성분량에 따라 용선의 장입량을 미리 산출한 후, S300 단계에서 산출된 양만큼 용선을 장입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용강에서 질소를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S200 단계는 하기의 수학식 1을 만족하여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1)
N=-0.063*A+72.4
(N : 용강 중 질소의 목표 성분량(ppm), A : 용강에 대한 용선의 장입 비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강 중 질소의 목표 성분량과 용강에 대한 용선의 장입 비율은 일정한 상관 관계에 있다는 것을 실험 결과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제강을 이용한 강 제조 방법은 상기의 수학식 1에 따라 용선의 장입 비율을 결정함으로써, 보다 정밀하게 용강에서 질소를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제강을 이용한 강 제조 방법에서, 용강에 대한 용선의 장입 비율은 80% 이하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용선의 장입 비율을 높일수록 용강 중 질소의 제거 효과가 높아질 수 있으나, 용선의 장입 비율이 지나치게 높은 경우 스크랩을 통한 용강 제거 목적인 전기로 제강이 비효율적일 수 있다.
즉, 용선의 장입 비율이 지나치게 높다면 생산성 및 경제성 면에서 전기로 제강이 더 불리할 수 있으므로, 용선의 장입 비율은 80%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제강을 이용한 강 제조 방법은 S400 단계 이후에, 용강을 레이들로 출강하는 단계(S500) 및 레이들을 진공조 내에 장입하고 진공을 부여하여 용강 내 질소를 제거하는 단계(S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이들은 전기로 등에서 출강되는 용강을 받아서 운반하는 데 사용되는 용기로서, 별도의 운반 장치와 결합되어 용강을 운반할 수 있다.
그리고, 레이들은 용강을 출강하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고, 노즐 등과 같이 용강의 대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하면서 용강을 출강할 수 있는 장치가 결합될 수 있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진공조는 진공상태에서 환류가스 유량과 진공도 조절로 탈가스 처리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베셀, 상승관 및 하강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로에 용선을 장입하더라도 용강 중 질소의 목표 성분량만큼 충분히 질소를 제거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로 제강을 이용한 강 제조 방법은 용강을 레이들로 출강한 후 별도의 탈질 처리를 수행하여 용강에서 충분히 질소가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용강
20: 슬래그

Claims (5)

  1. 전기로에 스크랩을 장입하는 단계;
    상기 전기로에 용선을 장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로를 가열하여 용강을 얻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로 제강을 이용한 강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선을 장입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용강 중 질소의 목표 성분량에 따라 상기 전기로에 대한 상기 용선의 장입량을 산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기로 제강을 이용한 강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선의 장입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하기의 수학식 1을 만족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제강을 이용한 강 제조 방법.
    (수학식 1)
    N=-0.063*A+72.4
    (N : 용강 중 질소의 목표 성분량(ppm), A : 용강에 대한 용선의 장입 비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강에 대한 상기 용선의 장입 비율은 8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제강을 이용한 강 제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강을 얻는 단계 이후에,
    상기 용강을 레이들로 출강하는 단계; 및
    상기 레이들을 진공조 내에 장입하고 진공을 부여하여 상기 용강 내 질소를 제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기로 제강을 이용한 강 제조 방법.
KR20130088681A 2013-07-26 2013-07-26 전기로 제강을 이용한 강 제조 방법 KR201500140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8681A KR20150014030A (ko) 2013-07-26 2013-07-26 전기로 제강을 이용한 강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8681A KR20150014030A (ko) 2013-07-26 2013-07-26 전기로 제강을 이용한 강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030A true KR20150014030A (ko) 2015-02-06

Family

ID=52570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8681A KR20150014030A (ko) 2013-07-26 2013-07-26 전기로 제강을 이용한 강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40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32620A (zh) * 2015-09-10 2015-12-09 山东西王特钢有限公司 一种节约成本的炼钢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32620A (zh) * 2015-09-10 2015-12-09 山东西王特钢有限公司 一种节约成本的炼钢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03127A1 (ja) 製鋼スラグ還元処理装置及び製鋼スラグ還元処理システム
JP6230531B2 (ja) 金属クロムの製造方法
CN102965469B (zh) 利用钢中二次氧化物夹杂的冶炼控制方法
ATE542924T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reduziertem metall
WO2008070360A2 (en) Refinement of steel
KR20150014030A (ko) 전기로 제강을 이용한 강 제조 방법
TW200502404A (en) Method for recovering metallic elements, especially metallic chromium, from slag containing metal oxides in electric-arc furnace
JP5205799B2 (ja) 含Cr低合金鋼の溶製方法
JP2012211372A5 (ko)
CN104195356A (zh) 一种铸造纯铍锭用铍珠熔炼提纯方法
KR101388062B1 (ko) 용강 내 수소농도 예측 방법
KR101553171B1 (ko) 용강 중 인량을 예측하는 방법
JP7328534B2 (ja) 鋼の溶製方法
KR100977795B1 (ko) 고 청정강의 제조방법
KR20160014346A (ko) 고청정강 제조 방법
US8641800B2 (en) Method of alloying various grades of steel with manganese oxides
KR101100612B1 (ko) 용강의 납 제거 방법
Michalek et al. Possibilities for desulphurization of an alloy steel in a VOD device while using chemical heating
RU2640108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трубной стали
JP6322065B2 (ja) ステンレス鋼の製造方法
RU2353665C1 (ru) Способ выплавки стали для автолиста
KR101582932B1 (ko) 폐카본블록을 이용한 합금철의 제조방법 및 합금철 제조 자동화 장치
JP2002285222A (ja) 高Cr鋼の溶製方法
JP5955605B2 (ja) ステンレス鋼の製造方法
Koleda et al. Refining of metal in melting of copper and its alloys from was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