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1367A - 약제 전달 장치용 멈춤쇠 기구 - Google Patents

약제 전달 장치용 멈춤쇠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1367A
KR20150011367A KR20147033846A KR20147033846A KR20150011367A KR 20150011367 A KR20150011367 A KR 20150011367A KR 20147033846 A KR20147033846 A KR 20147033846A KR 20147033846 A KR20147033846 A KR 20147033846A KR 20150011367 A KR20150011367 A KR 20150011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mp
carrier
beam head
state
chas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33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마스 켐프
시몬 브레어톤
Original Assignee
사노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노피 filed Critical 사노피
Publication of KR20150011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3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5/2033Spring-loaded one-shot injectors with or without automatic needle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06Having specific accessories
    • A61M2005/2013Having specific accessories triggering of discharging means by contact of injector with patient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6With automatic needle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73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preventing premature release, e.g. by making use of a safety lock
    • A61M2005/208Release is possible only when device is pushed against the skin, e.g. using a trigger which is blocked or inactive when the device is not pushed against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시린지(3)를 보관하도록 구성된 시린지 캐리어(7)를 포함하는 자동 주사 장치(1)를 개시한다. 시린지 캐리어(7)는 제1 경사부(ramp, 7.2) 및 제2 경사부(7.3)를 가진 경사 부재(7.1)를 갖추고 있다. 자동 주사 장치(1)는 경사 부재(7.1)에 체결되도록 구성된 빔 헤드(2.1)를 가진 탄성 빔이 구비된 섀시(chassis, 2)를 포함한다. 제1 경사부(7.2)는 빔 헤드(2.1)를 섀시(2)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편향하도록 구성되며, 제2 경사부(7.3)는 빔 헤드(2.1)를 섀시(2)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편향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약제 전달 장치용 멈춤쇠 기구{DETENT MECHANISM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본 발명은 약제 전달 장치용 멈춤쇠 기구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힘이 압도되어 갑자기 구성요소들 중 하나가 서로에 대해 이동할 수 있게 될 때까지 상기 구성요소들을 규정된 상대 위치에 유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구성요소들의 서로에 대한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멈춤쇠 기구를 적용하며, 그 후의 이동은 상당히 감소된 힘을 인가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은 멈춤쇠 기구에 의해 규정된 또 다른 상대 위치에서 끝날 수 있으므로, 해당 구성요소를 원래 위치로 다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기정의 힘이 압도되어야 한다.
멈춤쇠 기구는 구성요소들의 상대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약제 전달 장치에서 편리하게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주사바늘의 삽입 깊이가 적절하도록 확실히 하기 위해, 멈춤쇠 기구를 이용하여 전달 장치에 대한 주사기의 축방향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약제 전달 장치의 디자인과 관련된 특정 제약(예컨대, 부품 고장 방지, 안전성 보장, 적절한 주사바늘 삽입 깊이 보장, 약제의 완전 전달 보장 등)을 고려하면, 약제 전달 장치용으로 개선된 멈춤쇠 기구가 여전히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약제 전달 장치를 위한 멈춤쇠 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주사 장치는 시린지를 보관하도록 구성된 시린지 캐리어를 포함한다. 시린지 캐리어는 제1 경사부(ramp) 및 제2 경사부를 가진 경사 부재를 갖추고 있다. 자동 주사 장치는 경사 부재에 체결되도록 구성된 빔 헤드를 가진 탄성 빔이 구비된 섀시(chassis)를 포함한다. 제1 경사부는 빔 헤드를 섀시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편향하도록 구성되며, 제2 경사부는 빔 헤드를 섀시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편향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시린지 캐리어가 섀시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 빔 헤드는 제1 경사부에 의해 편향되며, 시린지 캐리어가 섀시에 대해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 빔 헤드는 제2 경사부에 의해 편향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자동 주사 장치는 둘 다 빔 헤드에 체결되도록 구성된 제1 리브와 탄성 요소가 구비된 케이스를 더 포함한다. 빔 헤드는 경사 부재에 체결되도록 구성된 제1 빔 헤드, 및 케이스에 체결되도록 구성된 제2 빔 헤드를 포함한다. 제1 빔 헤드는 곡선형 체결 표면을 가진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제1 경사부는 경사 부재의 근위 부분에 형성되며, 제2 경사부는 경사 부재의 원위 부분에 형성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의하면, 제1 상태에서, 빔 헤드는 제1 리브와 제1 경사부에 인접함으로써, 섀시에 대한 시린지 캐리어의 이동을 막는다. 제2 상태에서, 빔 헤드는 제1 경사부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편향되어, 탄성 요소를 반경 방향으로 편향시킨다. 제3 상태에서, 빔 헤드는 제1 경사부를 해제시키며, 시린지 캐리어는 섀시에 대해 평행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제3 상태에서, 빔 헤드는 경사 부재와 계속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4 상태에서, 빔 헤드는 제2 경사부의 원위측 비-편향 위치에 있다. 시린지 캐리어가 섀시에 대해 제1 방향으로 경사 부재의 길이와 적어도 같은 소정의 거리만큼 평행이동할 때 빔 헤드는 제4 상태에 이르게 된다. 제5 상태에서, 빔 헤드는 제2 경사부에 의해 접선 방향으로 편향되며, 시린지 캐리어는 섀시에 대해 평행이동할 수 있다. 빔 헤드가 제2 경사부에 인접할 때까지 시린지 캐리어가 섀시에 대해 제2 방향으로 평행이동할 때 빔 헤드는 제5 상태에 이르게 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제1 경사부의 제1 평면은 제2 경사부의 제2 평면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교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약물" 또는 "약제"란 용어는 1종 이상의 약학적 활성 화합물을 함유한 약학적 제제를 의미한다.
일 구현예에서, 약학적 활성 화합물은 최대 1500 Da의 분자량을 갖고/갖거나, 펩타이드, 단백질, 폴리사카라이드, 백신, DNA, RNA, 효소, 항체 또는 그의 조각, 호르몬 또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또는 상기 언급된 약학적 활성 화합물의 혼합물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약학적 활성 화합물은 당뇨 또는 당뇨 망막 병증과 같은 당뇨-관련 합병증, 심부정맥 또는 폐혈전색전증과 같은 혈전색전증,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ACS), 협심증, 심근 경색증, 암, 황반변성, 염증, 건초열, 죽상경화증 및/또는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해 유용하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약학적 활성 화합물은 당뇨 또는 당뇨 망막 병증과 같은 당뇨-관련 합병증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펩타이드를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약학적 활성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인간 인슐린 또는 인간 인슐린 유사체 또는 유도체, 글루카곤형 펩타이드(GLP-1) 또는 이들의 유사체 또는 유도체, 또는 엑센딘-3 또는 엑센딘-4 또는 엑센딘-3 또는 엑센딘-4의 유사체 또는 유도체를 포함한다.
인슐린 유사체는 예를 들어 Gly(A21), Arg(B31), Arg(B32) 인간 인슐린; Lys(B3), Glu(B29) 인간 인슐린; Lys(B28), Pro(B29) 인간 인슐린; Asp(B28) 인간 인슐린; 인간 인슐린으로서 위치 B28에서 프롤린이 Asp, Lys, Leu, Val 또는 Ala로 교체되고, 위치 B29에서 Lys는 Pro로 교체될 수 있는 인간 인슐린; Ala(B26) 인간 인슐린; Des(B28-B30) 인간 인슐린; Des(B27) 인간 인슐린 및 Des(B30) 인간 인슐린이다.
인슐린 유도체는 예를 들어, B29-N-미리스토일-des(B30) 인간 인슐린, B29-N-팔미토일-des(B30) 인간 인슐린, B29-N-미리스토일 인간 인슐린, B29-N-팔미토일 인간 인슐린, B28-N-미리스토일 LysB28ProB29 인간 인슐린, B28-N-팔미토일-LysB28ProB29 인간 인슐린, B30-N-미리스토일-ThrB29LysB30 인간 인슐린, B30-N-팔미토일-ThrB29LysB30 인간 인슐린, B29-N-(N-팔미토일-Y-글루타밀)-des(B30) 인간 인슐린, B29-N-(N-리토콜일-Y-글루타밀)-des(B30) 인간 인슐린, B29-N-(ω-카르복시헵타데카노일)-des(B30) 인간 인슐린 및 B29-N-(ω-카르복시헵타데카노일) 인간 인슐린이다.
엑센딘-4는 예를 들어, H-His-Gly-Glu-Gly-Thr-Phe-Thr-Ser-Asp-Leu-Ser-Lys-Gln-Met-Glu-Glu-Glu-Ala-Val-Arg-Leu-Phe-Ile-Glu-Trp-Leu-Lys-Asn-Gly-Gly-Pro-Ser-Ser-Gly-Ala-Pro-Pro-Pro-Ser-NH2의 서열의 펩타이드인 엑센딘-4(1-39)를 의미한다.
엑센딘-4 유도체는 예를 들어, 하기 화합물들:
H-(Lys)4-des Pro36, des Pro37 엑센딘-4(1-39)-NH2,
H-(Lys)5-des Pro36, des Pro37 엑센딘-4(1-39)-NH2,
des Pro36 엑센딘-4(1-39),
des Pro36 [Asp28] 엑센딘-4(1-39),
des Pro36 [IsoAsp28] 엑센딘-4(1-39),
des Pro36 [Met(O)14, Asp28] 엑센딘-4(1-39),
des Pro36 [Met(O)14, IsoAsp28] 엑센딘-4(1-39),
des Pro36 [Trp(O2)25, Asp28] 엑센딘-4(1-39),
des Pro36 [Trp(O2)25, IsoAsp28] 엑센딘-4(1-39),
des Pro36 [Met(O)14 Trp(O2)25, Asp28] 엑센딘-4(1-39),
des Pro36 [Met(O)14 Trp(O2)25, IsoAsp28] 엑센딘-4(1-39), 또는
des Pro36 [Asp28] 엑센딘-4(1-39),
des Pro36 [IsoAsp28] 엑센딘-4(1-39),
des Pro36 [Met(O)14, Asp28] 엑센딘-4(1-39),
des Pro36 [Met(O)14, IsoAsp28] 엑센딘-4(1-39),
des Pro36 [Trp(O2)25, Asp28] 엑센딘-4(1-39),
des Pro36 [Trp(O2)25, IsoAsp28] 엑센딘-4(1-39),
des Pro36 [Met(O)14 Trp(O2)25, Asp28] 엑센딘-4(1-39),
des Pro36 [Met(O)14 Trp(O2)25, IsoAsp28] 엑센딘-4(1-39),(여기서, -Lys6-NH2 군은 엑센딘-4 유도체의 C-말단에 결합될 수 있음),
또는
des Pro36 엑센딘-4(1-39)-Lys6-NH2 (AVE0010),
H-(Lys)6-des Pro36 [Asp28] 엑센딘-4(1-39)-Lys6-NH2,
des Asp28 Pro36, Pro37, Pro38엑센딘-4(1-39)-NH2,
H-(Lys)6-des Pro36, Pro38 [Asp28] 엑센딘-4(1-39)-NH2,
H-Asn-(Glu)5des Pro36, Pro37, Pro38 [Asp28] 엑센딘-4(1-39)-NH2,
des Pro36, Pro37, Pro38 [Asp28] 엑센딘-4(1-39)-(Lys)6-NH2,
H-(Lys)6-des Pro36, Pro37, Pro38 [Asp28] 엑센딘-4(1-39)-(Lys)6-NH2,
H-Asn-(Glu)5-des Pro36, Pro37, Pro38 [Asp28] 엑센딘-4(1-39)-(Lys)6-NH2,
H-(Lys)6-des Pro36 [Trp(O2)25, Asp28] 엑센딘-4(1-39)-Lys6-NH2,
H-des Asp28 Pro36, Pro37, Pro38 [Trp(O2)25] 엑센딘-4(1-39)-NH2,
H-(Lys)6-des Pro36, Pro37, Pro38 [Trp(O2)25, Asp28] 엑센딘-4(1-39)-NH2,
H-Asn-(Glu)5-des Pro36, Pro37, Pro38 [Trp(O2)25, Asp28] 엑센딘-4(1-39)-NH2,
des Pro36, Pro37, Pro38 [Trp(O2)25, Asp28] 엑센딘-4(1-39)-(Lys)6-NH2,
H-(Lys)6-des Pro36, Pro37, Pro38 [Trp(O2)25, Asp28] 엑센딘-4(1-39)-(Lys)6-NH2,
H-Asn-(Glu)5-des Pro36, Pro37, Pro38 [Trp(O2)25, Asp28] 엑센딘-4(1-39)-(Lys)6-NH2,
H-(Lys)6-des Pro36 [Met(O)14, Asp28] 엑센딘-4(1-39)-Lys6-NH2,
des Met(O)14 Asp28 Pro36, Pro37, Pro38 엑센딘-4(1-39)-NH2,
H-(Lys)6-desPro36, Pro37, Pro38 [Met(O)14, Asp28] 엑센딘-4(1-39)-NH2,
H-Asn-(Glu)5-des Pro36, Pro37, Pro38 [Met(O)14, Asp28] 엑센딘-4(1-39)-NH2,
des Pro36, Pro37, Pro38 [Met(O)14, Asp28] 엑센딘-4(1-39)-(Lys)6-NH2,
H-(Lys)6-des Pro36, Pro37, Pro38 [Met(O)14, Asp28] 엑센딘-4(1-39)-(Lys)6-NH2,
H-Asn-(Glu)5 des Pro36, Pro37, Pro38 [Met(O)14, Asp28] 엑센딘-4(1-39)-(Lys)6-NH2,
H-Lys6-des Pro36 [Met(O)14, Trp(O2)25, Asp28] 엑센딘-4(1-39)-Lys6-NH2,
H-des Asp28 Pro36, Pro37, Pro38 [Met(O)14, Trp(O2)25] 엑센딘-4(1-39)-NH2,
H-(Lys)6-des Pro36, Pro37, Pro38 [Met(O)14, Asp28] 엑센딘-4(1-39)-NH2,
H-Asn-(Glu)5-des Pro36, Pro37, Pro38 [Met(O)14, Trp(O2)25, Asp28] 엑센딘-4(1-39)-NH2,
des Pro36, Pro37, Pro38 [Met(O)14, Trp(O2)25, Asp28] 엑센딘-4(1-39)-(Lys)6-NH2,
H-(Lys)6-des Pro36, Pro37, Pro38 [Met(O)14, Trp(O2)25, Asp28] 엑센딘-4(S1-39)-(Lys)6-NH2,
H-Asn-(Glu)5-des Pro36, Pro37, Pro38 [Met(O)14, Trp(O2)25, Asp28] 엑센딘-4(1-39)-(Lys)6-NH2
서열의 엑센딘-4 유도체,
또는 상기 언급된 엑센딘-4 유도체 중 임의의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용매 화합물의 리스트로부터 선택된다.
호르몬은 예를 들어 고나도트로파인(폴리트로핀, 루트로핀, 코리온고나도트로핀, 메노트로핀), 소마트로파인(소마트로핀), 데스모프레신, 테르리프레신, 고나도렐린, 트립토렐린, 루프로렐린, 부세렐린, 나파렐린, 고세렐린과 같은 2008년 로테 리스테(Rote Liste) 챕터 50에 열거된 바와 같은 뇌하수체 호르몬 또는 시상하부 호르몬 또는 규칙적인 활성 펩타이드 및 이들의 길항제이다.
폴리사카라이드는 예를 들어 글루코사미노글리칸, 히알루론산, 헤파린, 저분자량 헤파린 또는 초저분자량 헤파린 또는 이들의 유도체 또는 전술된 폴리사카라이드의 설페이트, 예를 들면 폴리 설페이트 형태 및/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폴리 설페이트 저분자량 헤파린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일 예는 에녹사파린 나트륨이다.
항체는 기본 구조를 공유하는 면역글로불린으로도 알려져 있는 구형 혈장 단백질(약 150 kDa)이다. 아미노산 잔기에 당 사슬이 부착되어 있으므로, 항체는 당단백이다. 각 항체의 기본 기능성 단위는 면역글로불린(Ig) 단량체(하나의 Ig 단위만 함유함)이며; 분비 항체는 또한 IgA와 같이 2개의 Ig 단위를 갖는 이량체, 경골어류 IgM과 같이 4개의 Ig 단위를 갖는 사량체, 또는 포유동물의 IgM과 같이 5개의 Ig 단위를 갖는 오량체일 수 있다.
Ig 단량체는 4개의 폴리펩타이드 사슬; 시스테인 잔기 사이의 이황화물 결합에 의해 연결된, 2개의 동일한 중쇄와 2개의 동일한 경쇄로 구성되는 "Y"-형상의 분자이다. 각각의 중쇄는 약 440개 아미노산 길이이며, 각각의 경쇄는 약 220개 아미노산 길이이다. 중쇄 및 경쇄 각각은 접힘(폴딩)을 안정화시키는 사슬간 이황화물 결합들을 함유한다. 각 사슬은 Ig 도메인으로 불리는 구조적 도메인들로 구성된다. 이들 도메인은 약 70 내지 110개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며, 도메인의 크기 및 기능에 따라 다양한 범주(예를 들면, 가변부 또는 V, 및 불변부 또는 C)로 분류된다. 이들 도메인은, 보존된 시스테인과 다른 하전된 아미노산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2개의 β 시트가 함께 묶여서 "샌드위치" 형상을 만드는 특징적 면역글로불린 접힘을 가진다.
α, δ, ε, ν 및 μ로 표시되는 5종의 포유동물 Ig 중쇄가 있다. 함유된 중쇄의 종류는 항체의 동기준 표본을 정의하며; 이들 중쇄는 각각 IgA, IgD, IgE, IgG, 및 IgM 항체에서 발견된다.
특정 중쇄들은 크기 및 조성면에서 상이하고; α 및 ν은 대략 450개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며, δ는 대략 500개의 아미노산을 함유하는 한편, μ 및 ε은 대략 550개의 아미노산을 함유한다. 각각의 중쇄는 불변부위(CH) 및 가변부위(VH) 등 2개의 부위를 가진다. 한 종에서, 불변부위는 같은 동기준 표본의 모든 항체에서 본질적으로 동일하지만, 상이한 동기준 표본의 항체에서는 다르다. 중쇄 ν, α 및 δ는 3개의 텐덤 Ig 도메인으로 구성된 불변부위, 그리고 부가 가요성을 위한 힌지부위를 가지며; 중쇄 μ 및 ε은 4개의 면역글로불린 도메인으로 구성된 불변부위를 가진다. 중쇄의 가변부위는 상이한 B 세포들에 의해 생성된 항체에 대해 다르지만, 단일 B 세포 또는 B 세포 클론에 의해 생성된 모든 항체에 대해 동일하다. 각 중쇄의 가변부위는 대략 110개 아미노산 길이이며, 단일 Ig 도메인으로 구성된다.
포유동물의 경우에는, λ 및 K로 표시되는 2 종류의 면역글로불린 경쇄가 있다. 경쇄는 2개의 연속적 도메인: 하나의 불변 도메인(CL) 및 하나의 가변 도메인(VL)을 가진다. 경쇄의 대략적인 길이는 211 내지 217개의 아미노산이다. 각각의 항체는 항상 동일한 2개의 경쇄를 함유하며; 포유동물의 항체 당, 오로지 한 종류의 경쇄, K 또는 λ로 존재한다.
비록 모든 항체들의 일반적 구조는 매우 유사하지만, 소정의 한 항체의 고유 특성은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가변(V) 부위들에 의해 결정된다. 더 구체적으로, 가변 루프들, 각각 경쇄의 세 가변 루프(VL), 그리고 중쇄의 세 가변 루프(VH)는 항원으로의 결합을 전담한다, 즉 항원 특이성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루프들은 상보성 결정 부위(CDR)로 지칭된다. VH 도메인과 VL 도메인 모두로부터의 CDR가 항원-결합 자리에 기여하기 때문에, 최종 항원 특이성을 결정하는 것은 어느 한 쪽 단독이 아닌 중쇄 및 경쇄의 조합이다.
"항체 조각"은 위에 정의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항원 결합 조각을 함유하며, 상기 조각이 유도된 완전 항체와 본질적으로 동일한 기능과 특이성을 나타낸다. 파파인을 통한 제한된 단백질분해 소화는 Ig 원형을 3개의 조각으로 절단한다. 각각 하나의 전체 L 사슬과 약 절반의 H 사슬을 함유하는, 2개의 동일한 아미노 말단 조각들이 항원 결합 조각들(Fab)이다. 크기면에서 유사하지만, 사슬간 이황화물 결합을 가진 양 중쇄의 절반에 카복실 말단기를 함유하는 세 번째 조각은 결정성 조각(Fc)이다. Fc는 탄수화물, 상보적 결합, 및 FcR-결합 자리들을 함유한다. 제한된 펩신 소화는, H-H 사슬간 이황화물 결합을 비롯하여, Fab편들과 힌지부위를 모두 함유하는 단일 F(ab')2 조각을 생성한다. F(ab')2는 항원 결합을 위한 2가이다. F(ab')2의 이황화물 결합은 Fab'를 얻기 위해 절단될 수 있다. 또한, 중쇄의 가변부위와 경쇄의 가변부위는 함께 합쳐져, 단일쇄 가변 조각(scFv)을 형성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예를 들어 산 부가염 및 염기염이다. 산 부가염은 예를 들어 HCl 또는 HBr 염이다. 염기염은 예를 들어 알칼리 또는 알칼라인, 예를 들어 Na+ 또는 K+ 또는 Ca2 + 또는 암모늄 이온 N+(R1)(R2)(R3)(R4)로부터 선택된 양이온을 갖는 염이고, R1 내지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선택적으로 치환된 C1-C6-알킬기, 선택적으로 치환된 C2-C6-알케닐기, 선택적으로 치환된 C6-C10-아릴기 또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C6-C10-헤테로아릴기를 의미한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추가의 예는 1985년 미국 펜실배니아주 이스턴 소재의 마크 퍼블리싱 컴퍼니(Mark Publishing Company)의 알폰소 알. 제나로(Alfonso R. Gennaro)(편집자)의 레밍턴의 약학 과학(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7판 및 약학 기술의 백과사전에 (Encyclopedia of Pharmaceutical Technology)에 설명되어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용매 화합물은 예를 들어 수화물이다.
본 발명의 추가 적용 범위는 이하 제공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그러나, 상세한 설명과 특정 실시예들이 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나타내기는 하지만 이들은 오로지 예시 목적으로 주어진 것임을 이해해야 하는데, 이는 본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하 제공되는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로부터 보다 충분히 이해될 것이며, 이와 같은 도면들은 오로지 예시적인 목적으로 주어졌을 뿐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다.
도 1a는 예시적 일 구현예에 따른 멈춤쇠 기구의 제1 상태(A)에 대한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1b는 A 상태에 있는 멈춤쇠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멈춤쇠 기구의 제2 상태(B)에 대한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2b는 B 상태에 있는 멈춤쇠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멈춤쇠 기구의 제3 상태(C)에 대한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3b는 C 상태에 있는 멈춤쇠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멈춤쇠 기구의 제4 상태(D)에 대한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4b는 D 상태에 있는 멈춤쇠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멈춤쇠 기구의 제5 상태(E)에 대한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5b는 E 상태에 있는 멈춤쇠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른, 사용 전 상태에 있는 자동 주사 장치의 다양한 절단면에서의 두 종단면을 나타낸다.
도 7은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른, 뚜껑과 보호용 주사바늘 집이 분리된 후의 자동 주사 장치의 두 종단면을 나타낸다.
도 8은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른, 근위 단부가 주사 자리에 눌려져 있는 자동 주사 장치의 두 종단면을 나타낸다.
도 9는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른, 트리거 버튼이 눌려져 있는 자동 주사 장치의 두 종단면을 나타낸다.
도 10은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른, 주사바늘을 주사 자리에 삽입하는 동작 중에 있는 자동 주사 장치의 두 종단면을 나타낸다.
도 11은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른, 주사바늘이 완전히 삽입된 자동 주사 장치의 두 종단면을 나타낸다.
도 12는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른, 투여량 주사 동작이 끝날 즈음의 자동 주사 장치의 두 종단면을 나타낸다.
도 13은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른, 투여량 주사 동작이 끝났을 때의 자동 주사 장치의 두 종단면을 나타낸다.
도 14는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른, 주사 자리에서 빼내어진 자동 주사 장치의 두 종단면을 나타낸다.
도 15는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른, 주사바늘이 주사바늘 안전 위치에 후퇴된 때의 자동 주사 장치의 두 종단면을 나타낸다.
도 16은 제1 이음고리(collar)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주사바늘 삽입 제어 기구의 6가지 다양한 상태에 대한 개략도들을 나타낸다.
도 17은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른, 시린지 후퇴 제어 기구의 3가지 다양한 상태에 대한 개략도들을 나타낸다.
도 18은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른, 주사 완료를 청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소음 방출 기구의 3가지 다양한 상태에 대한 개략도들을 나타낸다.
도 19는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른, 플런저 해제 기구의 3가지 다양한 상태에 대한 개략도들을 나타낸다.
도 20은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른, 버튼 해제 기구의 3가지 다양한 상태에 대한 개략도들을 나타낸다.
도 21은 대안적인 일 구현예에 따른 플런저 해제 기구의 등축도이다.
도 22는 대안적인 일 구현예에 따른 버튼 해제 기구의 종단면도이다.
도 23은 대안적인 일 구현예에 따른 소음 방출 기구의 종단면도이다.
도 24는 제3 구현예에 따른 소음 방출 기구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5는 트리거 버튼 대신에 랩-오버(wrap-over) 슬리브 트리거를 구비한 자동 주사 장치의 또 다른 구현예이다.
동일한 부분들은 모든 도면에서 같은 참조 번호로 표시되었다.
도 1a는 예시적 일 구현예에 따른 멈춤쇠 기구(18)의 제1 상태(A)에 대한 개략적 측면도이고; 도 1b는 A 상태에 있는 멈춤쇠 기구(18)의 각각의 사시도이다. 멈춤쇠 기구(18)는 제2 구성요소(7)에 대한 제1 구성요소(2)의 종방향, 예컨대 근위 방향(P) 또는 원위 방향(D)으로의 평행이동을 제어한다. 약제 전달 장치 (예컨대, 자동 주사 장치)의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제1 구성요소(2)는 섀시(2)일 수 있고, 제2 구성요소(7)는 시린지 캐리어(7) (둘 다, 도 6A 및 6B에 도시됨)일 수 있으며, 각각은 케이스(12) 안에 수용되어, 케이스(12)에 대해 평행이동이 가능하다. 당업자라면 멈춤쇠 기구(18)에 대한 설명이 본원에 기술된 그대로의 방식으로 이행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시린지 캐리어(7)일 수 있고, 제2 구성요소는 섀시(2)일 수 있다. 더 나아가, 멈춤쇠 기구(18)의 예시적 구현예를 본 자동 주사 장치와 관련하여 설명하겠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멈춤쇠 기구(18)를 펜형 주사 장치, 안전 시린지, 안전 주사바늘, 주입 시스템 등이 포함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 기타 다른 약제 전달 장치에도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a 및 도 1b을 다시 참조하면,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섀시(2)는 캐리어(7) 상의 경사 부재(7.1)에 체결되도록 구성된 제1 빔헤드(2.2) 및 케이스(12) 상의 제1 리브(12.12)에 인접하도록 구성된 제2 빔 헤드(2.3)를 갖춘 빔 헤드(2.1)가 구비된 탄성 빔을 포함한다. 경사 부재(7.1)는 반경 방향 경사부(7.2)와 접선 방향 경사부(7.3)를 포함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 방향 경사부(7.2)는 근위 방향(P)에서 원위 방향(D)으로, 반경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고, 접선 방향 경사부(7.3)는 제1 접선 방향(T1)에서 제2 접선 방향(T2)으로 접선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A 상태에서, 제1 빔 헤드(2.2)는 반경 방향 경사부(7.2)에 인접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제1 빔 헤드(2.2)는 반경 방향 경사부(7.2)에 인접하는 곡선형 체결 표면을 가지며, 캐리어(7)가 섀시(2)에 대해 근위 방향(P)으로 이동하고자 할 때 저항력을 제공한다. A 상태에서, 제1 리브(12.12)는 제2 빔 헤드(2.3)에 인접함에 따라 빔 헤드(2.1)의 반경 방향 이동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캐리어(7)는 섀시(2)에 대해 근위 방향(P)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도 2a는 멈춤쇠 기구(18)의 제2 상태(B)에 대한 개략적 측면도이고; 도 2b는 B 상태에 있는 멈춤쇠 기구(18)의 각각의 사시도이다. B 상태에서, 케이스(12)는 섀시(2) 및 캐리어(7)에 대해 근위 방향(P)으로 이동한다. 케이스(12)가 근위 방향(P)으로 이동할 때, 제2 빔 헤드(2.3)는 케이스(12) 상의 탄성 요소(12.13)에 체결되어, 탄성 요소(12.13)를 반경 방향으로 편향시킨다.
도 3a는 멈춤쇠 기구(18)의 제3 상태(C)에 대한 개략적 측면도이고; 도 3b는 C 상태에 있는 멈춤쇠 기구(18)의 각각의 사시도이다. 캐리어(7)에 인가되는 근위 방향의 힘이 탄성 요소(12.13)에 의해 제공된 반경 방향 힘과 빔 헤드(2.1)의 탄성력을 극복하는 경우, 반경 방향 경사부(7.2)는 빔 헤드(2.1)를 반경 방향으로 편향시키며, 캐리어(7)는 섀시(2) 및 케이스(12)에 대해 근위 방향(P)으로 평행이동하게 된다.
도 4a는 멈춤쇠 기구(18)의 제4 상태(D)에 대한 개략적 측면도이고; 도 4b는 D 상태에 있는 멈춤쇠 기구(18)의 각각의 사시도이다. 캐리어(7)가 섀시(2) 및 케이스(12)에 대해 충분한 거리만큼 근위 방향(P)으로 이동하면, 탄성 부재(12.13)에 의해 제공되는 반경 방향 힘과 빔 내의 탄성력으로 인해 빔 헤드(2.1)는 접선 방향 경사부(7.3)의 축방향, 원위측 비-편향된 위치로 되돌아간다.
도 5a는 멈춤쇠 기구(18)의 제5 상태(E)에 대한 개략적 측면도이고; 도 5b는 E 상태에 있는 멈춤쇠 기구(18)의 각각의 사시도이다. 캐리어(7)와 케이스(12)가 섀시(2)에 대해 원위 방향(D)으로 이동하면, 접선 방향 경사부(7.3)는 빔 헤드(2.1)를 접선 방향으로 편향시킨다. 빔 헤드(2.1)가 편향하기 위해서는 캐리어(7)와 섀시(2)의 상대 이동의 속도를 줄일 수 있는 힘이 필요하다. 캐리어(7)가 섀시(2)와 케이스(12)에 대해 원위 방향(D)으로 충분한 거리를 이동하였을 때, 빔 헤드(2.1)는 A 상태일 때의 자신의 축방향 비-편향된 위치로 되돌아간다. 탄성 요소(12.13)가 비-편향된 위치로 되돌아갔고, 제1 리브(12.12)는 캐리어(7)에 대한 자신의 원래 위치로 되돌아갔기 때문에(A 상태에서 도시된 바와 같음), 캐리어(7)는 섀시(2)에 대해 근위 방향(P)으로 이동할 수 없다(또는 그 반대로도 마찬가지임). 빔 헤드(2.1)는 제1 리브(12.12)에 인접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반경 방향 경사부(7.2)를 넘어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반경 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된다.
보다 일반적인 일 구현예에 의하면, 반경 방향 경사부(7.2) 및 접선 방향 경사부(7.3)는 빔 헤드(2.1)를 두 상이한 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두 방향은 서로에 대해 반드시 90o로 배향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반경 방향 경사부(7.2)에 의해 야기된 편향은 접선 방향 경사부(7.3)에 의해 야기된 편향에 반드시 수직인 방향일 필요는 없으며, 일부 예시적인 구현예의 경우, 편향과 반대되는 방향들은 180o가 아닐 수도 있다. 당업자라면 멈춤쇠 빔(2.1)도 마찬가지로 제2 구성요소(7)의 일부일 수 있고, 경사 부재(7.1)는 제1 구성요소(2)의 일부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멈춤쇠 기구가 통합된,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따른 약제 전달 장치, 예컨대 자동 주사 장치(1)의 두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a 및 도 6b는 서로에 대해 대략 90o를 이루는 상이한 단면들에서 두 종단면을 나타내며, 이들 도면에서 자동 주사 장치(1)는 주사 동작을 시작하기 전의 초기 상태에 있다. 자동 주사 장치(1)는 섀시(2)를 포함한다. 하기 설명에서, 일반적으로 섀시(2)는 기술된 다른 구성요소들이 섀시(2)에 대해 이동하도록 제 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중공형 주입 주사바늘(4)을 구비한 시린지(3), 예컨대 Hypak 시린지가 자동 주사 장치(1)의 근위 부분에 배치된다. 자동 주사 장치(1) 또는 시린지(3)가 조립되면, 보호용 주사바늘 집(5)은 주사바늘(4)에 부착된다. 시린지(3)를 원위 방향으로 밀봉하고, 액체 약제(M)를 중공형 주사바늘(4)을 통해 이동시키기 위해 스토퍼(6)가 배치된다. 시린지(3)는 캐리어(7) 내에 고정되어 있으며, 그의 근위 단부가 캐리어 내에 지지된다. 캐리어(7)는 섀시(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다.
캐리어(7)의 원위 부분에는 구동 스프링(8), 예컨대, 압축 스프링이 배치된다. 플런저(9)는 구동 스프링(8)의 힘을 스토퍼(6)를 향해 보내는 역할을 한다.
구동 스프링(8)은 캐리어(7)의 원위측 캐리어 단부면(10)과, 플런저(9) 상에 원위 방향으로 배치된 추력면(thrust face, 11) 사이에 장착된다.
약제(M)를 시린지(3)로부터 토출시키기 위해 캐리어(7), 구동 스프링(8) 및 플런저(9)가 함께 작동한다. 따라서 이들 구성요소을 구동 서브-어셈블리로 지칭할 수 있다.
섀시(2) 및 캐리어(7)는 케이스(12) 내부에 배치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 의하면, 케이스(12)의 원위 단부에는 트리거 버튼(13)이 배치된다. 예시적인 플런저 해제 기구(27)에서는, 캐리어(7)의 원위측 캐리어 단부면(10)에서 비롯된 두 탄성 암(15) 사이의 근위 방향(P)으로 페그(peg, 14)가 트리거 버튼(13)의 원위 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됨에 따라, 도 19a에 도시된 초기 상태(A)에서 상기 암(15)들이 서로를 향해 구부려지지 않도록 방지한다. 도 19a에서는, 원리를 예시하기 위해 탄성 암들(15) 중 하나만 도시되어 있다. 외관상으로 탄성 암(15)은, 추력면(11)에 원위 방향으로 부착되며 구동 스프링(8) 내측에 배치된 원위측 플런저 슬리브(17) 내 각각의 제1 요홈(16)에 수용된다. 탄성 암(15)이 제1 요홈(16)에 체결됨에 따라 플런저(9)는 캐리어(7)에 대해 축방향으로 평행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탄성 암(15)은 구동 스프링(8)의 하중 하에 플런저(9)와 캐리어(7) 간에 발생되는 상대 이동시 안쪽으로 구부려지는 방식으로 경사를 이루는데, 이는 초기 상태(A)의 경우 페그(14)에 의해 방지된다.
자동 주사 장치(1)가 초기 상태에 있을 때, 캐리어(7)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멈춤쇠 기구(18)에 의해 섀시(2)에 잠금된다.
초기에 트리거 버튼(13)은 버튼 해제 기구(26)에 의해 케이스(12)에 체결되며, 함입될 수 없다. 버튼 해제 기구(26)에 대해 도 20a 내지 20c에 상세하게 도시하였다. 이제 도 20a를 참조하자면, 버튼 해제 기구(26)는 트리거 버튼(13) 상에 탄성 근위 빔(13.1)을 포함하며, 이러한 근위 빔(13.1)은 외향 제4 경사부(13.2) 및 내향 제5 경사부(13.3)를 가진다. 도 20a에 도시된 초기 상태(A)에서, 외향 제4 경사부(13.2)는 경사진 제1 케이스 멈춤쇠(12.1)에 체결되어, 트리거 버튼(13)이 원위 단부(D) 밖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트리거 버튼(13)은 케이스(12)와 캐리어(7) 둘 다에 근위 방향으로 인접함에 따라, 근위 방향(P)으로 함입되지 않게 된다.
다시 도 6a와 도 6b를 참조하자면, 캐리어(7) 둘레에는 또 다른 압축 스프링 형상의 제어 스프링(19)이 배치되어, 근위 제1 이음고리(20)와 원위 제2 이음고리(21) 사이로 작용한다. 제어 스프링(19)은 캐리어(7), 그리고 이에 따라 구동 서브-어셈블리를 주사바늘 삽입 용도로 근위 방향(P)으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되거나, 또는 주사바늘 후퇴 용도로 원위 방향(D)으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된다.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될 때의 상태에서, 캡(22)은 케이스(12)의 근위 단부에 부착되며, 보호용 주사바늘 집(5)은 여전히 주사바늘(4) 및 주사바늘 허브 상의 제자리에 있게 된다. 캡(22)의 내부 슬리브(22.1)는 섀시(2)의 내측과 보호용 주사바늘 집(5) 상에 배치된다. 내부 슬리브(22.1) 내에는 바브(barb, 23)가 부착된다. 바브(23)는 조인트 축방향 평행이동을 위해 보호용 주사바늘 집(5)에 체결된다.
자동 주사 장치(1)의 작동 순서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캐이스(12)의 근위 단부로부터 캡(22)을 잡아당긴다. 캡(22)에는 바브(23)는 보호용 주사바늘 집(5)이 바브(2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캡(22)이 분리될 때 보호용 주사바늘 집(5) 역시 분리된다. 도 7a와 도 7b는 캡(22) 및 주사바늘 집(5)이 분리된 자동 주사 장치(1)를 나타낸다. 시린지(3)와 함께 캐리어(7)는 도 1a와 도 1b에서와 같이 A 상태에 있는 멈춤쇠 기구(18)에 의해 섀시(2)에 대한 근위 방향(P)으로 이동하지 못한다.
도 7a와 도 7b를 참조하자면, 사용자는 케이스(12)를 잡고, 케이스(12)로부터 돌출되는 섀시(2)를 주사 자리, 예컨대, 환자의 피부에 맞닿게 되는 근위 단부(P)에 위치시킨다. 자동 주사 장치(1)를 주사 자리에 놓고 누르면, 케이스(12)는 섀시(2)에 대한 근위 방향(P)으로, 도 8a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진된 위치로 평행이동한다. 제2 이음고리(21)는 케이스(12)에 잠금되어, 자동 주사 장치(1)의 섀시(2) 및 거의 모든 다른 구성요소들에 대해 케이스(12)와 함께 이동하며, 이로써 제어 스프링(19)은 제1 이음고리(20)에 살짝 압착되어, 제1 이음고리(20)는 도 16a에 상세히 도시된 A 상태로 있는 주사바늘 삽입 제어 기구(24)로 인해 섀시(2)에 의한 근위 방향(P)으로의 이동을 하지 못하게 된다. 이제 도 16a를 참조하자면, 제1 이음고리(20) 상에는 화살촉(20.1) 형상의 탄성 부재가 원위쪽으로 배치된다. 화살촉(20.1)을 가진 제1 이음고리(20)는 압축된 제어 스프링(19)의 원위 방향(D)으로의 하중 하에 근위 방향(P)으로 강제로 밀려진다. 화살촉(20.1) 상의 외향 제6 경사부(20.2)는 섀시(2) 상의 제2 원위측 제7 경사부(2.4)와 상호작용하여 화살촉(20.1)을 내부 방향(I)으로 기울어지게 하며, 이는 화살촉(20.1)이 캐리어(7)에 내부쪽으로 인접하면서 저지된다. 따라서, 제1 이음고리(20)는 근위 방향(P)으로 평행이동할 수 없다.
도 8a와 도 8b를 다시 참조하면, 제2 이음고리(21)는 도 17a에 상세히 도시된 A 상태로 있는 시린지 후퇴 제어 기구(25)로 인해 케이스에 잠금된다. 이제 도 17a를 참조하자면, 시린지 후퇴 제어 기구(25)는 제2 이음고리(21) 상에 탄성 근위 빔(21.1)을 포함하며, 이러한 탄성 근위 빔(21.1)은 내향 보스(boss, 21.3) 및 원위측 외향 제8 경사부(21.4)가 형성된 제2 빔 헤드(21.2)를 가진다. 원위측 외향 제8 경사부(21.4)는 경사진 제2 케이스 멈춤쇠(12.2)에 체결되되, 제2 빔 헤드(21.1)가 제어 스프링(19)의 하중 하에 제2 이음고리(21)와 함께 내부 방향(I)으로 기울어지다가 내측으로 캐리어(7)에 인접하는 내향 보스(21.3)에 의해 저지되는 방식으로 체결된다.
도 8a와 도 8b를 다시 참조하자면, 사용자가 케이스(12)를 주사 자리로부터 이동시켜야 했다면, 도 7a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22)이 분리된 후에 제어 스프링(19)은 팽창하여 자동 주사 장치(1)를 초기 상태로 되돌린다.
도 8a와 도 8b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멈춤쇠 기구(18)는 캐리어(7)가 근위 방향(P)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계속 저지하지만, 케이스(12)가 전진된 위치에 있게 되면, 케이스(12) 상의 제1 리브(12.12) 역시 이동하였으므로, 멈춤쇠 기구(18)의 잠금 상태가 풀리면서 더 이상 빔 헤드(2.1)의 외향측 편향을 저지하지 않는다(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음). 멈춤쇠 기구(18)에 의해 섀시(2)에 잠금되었던 케이스(12)가 캐리어(7)에 대해 이동하면, 버튼 해제 기구(26)는 도 20b에 도시된 B 상태로 전환된다. 트리거 버튼(13)은 캐리어(7)에 인접하여 있으므로, 케이스(12)에 함께 근위 방향(P)으로 평행이동할 수 없다. 제1 케이스 멈춤쇠(12.1) 상의 경사부는 트리거 버튼(13)의 근위 빔(13.1) 상의 외향 제4 경사부(13.2)와 상호작용하여 근위 빔(13.1)을 내부 방향(I)으로 편향시키며, 이에 따라 캐리어(7)에 배치된 경사진 캐리어 멈춤쇠(7.4) 내 근위 빔(13.1) 상의 내향 제5 경사부(13.3)가 체결된다. 케이스(12)는 근위 방향(P)으로 더 평행이동하면서 근위 빔(13.1)을 외부쪽으로 지지함으로써, 트리거 버튼(13)을 캐리어(7)에 잠금시킨다. 그러면 트리거 버튼(13)은 섀시(12)의 원위 단부(D)로부터 돌출되어, 눌러질 상태로 준비된다.
도 8와 도 8b에서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트리거 버튼(13)을 근위 방향(P)으로 누른다. 트리거 버튼(13)이 캐리어(7)에 인접하게 되면, 캐리어(7)는 섀시(2)에 맞서 근위 방향(P)으로 밀려진다. 사용자가 트리거 버튼(13)을 누르면 멈춤쇠 기구(18)는 저항력을 제공한다. 일단 사용자가 규정치를 초과하는 힘(예컨대, 빔 헤드(2.1)를 반경 방향 경사부(7.2) 상에 반경 방향으로 편향시키고, 케이스(12) 상의 탄성 부재(12.13)를 반경 방향으로 편향시키는데 요구되는 힘)을 인가하는 경우, 멈춤쇠 기구(18)는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B 상태로부터 해제된 다음,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C 상태로 들어감으로써, 주사 사이클을 초기화한다. 캐리어(7)가 섀시(2)에 대해 근위 방향(P)으로 충분히 멀리 이동하는 경우, 캐리어(7) 상의 경사 부재(7.1)는 편향된 제1 빔 헤드(2.2) 아래로 지나가며, 이로써 제1 빔 헤드는 느슨하게 된 후 경사 부재(7.1)의 뒤에 원위 반경측 내부 방향(I)으로 다시 이동할 수 있게 되면서,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상태 D에서 접선 방향 경사부(7.3)에 인접하게 된다.
일단 캐리어(7)가 제1 이음고리(20)에 대해 근위 방향(P)으로 충분히 멀리 슬라이딩하면, 주사바늘 삽입 제어 기구(24)는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은 B 상태로 전환된다. 도 16b에서, 캐리어(7)는 근위 방향(P)으로 평행이동한 상태이므로, 제1 이음고리(20) 상의 화살촉(20.1)은 내부쪽으로 더 이상 지지되지 않는다. 이는 캐리어(7) 내에 형성된 제2 요홈(7.5)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제 화살촉(20.1)은 제어 스프링(19)의 하중 하에 내부 방향(I)으로 제2 요홈(7.5) 내로 편향되면서,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은 C 상태에 이르게 된다. 그러면 제1 이음고리(20)는 섀시(2)로부터 분리된다. 대신에, 화살촉(20.1)은 내향 제9 경사부(20.3)에 의해 제1 이음고리(20)를 캐리어(7)에 결합시킴으로써 캐리어(7) 상의 원위측 제10 경사부(7.6)를 제2 요홈(7.5)의 근위 단부에 체결한다. 이에 따라, 제어 스프링(19)은 이 지점으로부터 근위 방향(P)으로 계속 캐리어(7)를 이동시킨다. 사용자가 주사바늘(4)을 일정 비율의 이동거리만큼 전진시키는 동안, 제어 스프링(19)은 주사바늘(4)이 근위 단부(P)로부터 돌출하기 전에 삽입 조작을 인계받는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하는 경험이란 주사바늘을 수동적으로 삽입시키는 경험이 아닌, 버튼을 누르는 경험이다.
멈춤쇠 기구(18)는 변위 조작보다 사용자가 인가하는 힘에 의존한다. 일단 인가된 힘이 멈춤쇠를 전환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초과하면, 사용자는 트리거 버튼(13)을 완전히 눌러, 제1 이음고리(20)가 항상 전환될 수 있게 확고히 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멈춤쇠를 넘기는데(pass) 실패하면, 트리거 버튼(13)은 도 8a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할 준비를 하기 위한 자신의 미사용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자동 주사 장치(1)가 미규정 상태에 이르게 일을 피하게 된다.
도 9a와 도 9b는 자동 주사 장치(1)를 나타내며, 이때 트리거 버튼(13)은 제어 스프링(19)을 캐리어(7) 상에 결합시키고 캐리어(7)를 근위 방향(P)으로 계속 이동시키기에 충분하지만 아직 케이스(12)에 인접하기에는 충분하지 않은 정도로 눌려진 상태이다.
제1 이음고리(20)에 결합된 캐리어(7)는 제어 스프링(19)에 의해 구동되어 근위 방향(P)으로 평행이동한다. 시린지(3)는 캐리어(3)와의 조인트 축방향 평행이동을 위해 배치되므로, 시린지(3)와 주사바늘(4) 또한 평행이동하며, 그 결과로 주사바늘(4)은 근위 단부(P)로부터 돌출되고, 주사 자리에 삽입된다. 트리거 버튼(13)은 케이스(12)에 대해 자신의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서, 도 20a의 A 상태에서와 같이 캐리어(7)로부터 케이스(12)에 다시 걸린다(latch). 캐리어(7)는 근위 방향(P)으로 더 평행이동하여 근위 빔(13.1)이 내부로 편향되지 못하게 하므로, 외향 제4 경사부(13.2)는 제1 케이스 멈춤쇠(12.1)로부터 해제될 수 없게 된다.
주사바늘(4)이 도 10a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깊이 끝에 이르기 직전에 트리거 버튼(13) 상의 페그(14)는 캐리어(7) 상의 탄성 암들(15) 사이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온다. 이에 따라, 플런저 해제 기구(27)는 도 19b에 나타낸 B 상태에 이르며, 탄성 암들(15)은 더 이상 페그(14)에 의해 내부쪽으로 지지되지 못한다. 탄성 암들(15)이 제1 요홈(16)에 경사를 이루며 체결되기 때문에, 이들은 도 19c에 도시된 구동 스프링(8)의 하중 하에 내부 방향(I)으로 편향된다. 이에 따라, 플런저(9)는 캐리어(7)로부터 해제되고, 구동 스프링(8)에 의해 근위 방향으로 구동되어, 약제(M)를 주사할 준비가 된다. 페그(14)를 탄성 암들(15) 사이로부터 빼내기 위한 힘은 제어 스프링(19)에 의해 제공되는 한편, 탄성 암들(15)을 플런저(9)에 체결된 상태로부터 편향시키는데 필요한 힘은 구동 스프링(8)에 의해 제공된다.
플런저(9)가 이동하여 스토퍼(6)까지의 간격을 없애는 동안, 캐리어(7)의 근위 방향(P)으로의 이동은 제1 이음고리(20)를 미는 제어 스프링(19)에 의해 완성된다. 주사바늘이 삽입되는 동안 캐리어(7)가 섀시(2)에 대해 이동할 때, 주사바늘 삽입 기구(24)는 도 16d에 도시된 D 상태에 이르게 된다. 화살촉(20.1)은 캐리어(7)와 함께 이동한 후 섀시(2)에 의해 여전히 내부 편향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제1 이음고리(20)가 캐리어(7)를 해제시키지 못하게 한다. 후술되는 후퇴 조작을 허용하기 위해 화살촉(20.1)은 외부쪽 방향(O)으로 편향될 수 있어야 한다. 외부쪽 편향을 허용하기 위해, 화살촉(20.1)은 섀시(2) 내 개구(2.5) 옆의, 도 16e 내지 도 16f에 도시된 섀시(2)의 해당 부분을 너머로 근위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케이스(12)가 주사자리에 계속 눌려져 있고, 제어 스프링(19)의 하중 하에 규정된 거리를 넘어서 원위 방향(D)으로 되돌아가도록 허용되지 않는 한, 주사바늘 삽입을 위한 이동의 대략 후반기 동안 화살촉(20.1)은 케이스(12) 상의 제6 리브(12.3)에 의해 외부 방향(O)으로 편향되지 못하게 될 수 있다(도 16a 내지 도 16f에는 미도시됨, 도 10a 내지 도 13a를 참조함)
그러면 주사바늘(4)은 도 11a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 자리에 완전히 삽입된다. 트리거 버튼(13)을 누른 시점과 주사바늘(4)을 완전히 삽입한 시점 사이의 시간은 매우 짧지만, 이 시간에 여러 기계적 작동이 일어난다. 주사바늘 삽입 깊이는 케이스(12)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섀시(2)를 기준으로 하여 캐리어(7)에 의해 정해지므로, 만일 사용자가 움찔하거나 자동 주사 장치(1)를 피부에 대고 꽉 잡는데 실패하였다면, 케이스(12)만 원위 방향(D)으로 이동할 것이며, 동시에 주사 깊이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구동 스프링(8)의 힘을 받아 플런저(9)가 스토퍼(6)까지의 간격을 없애는 즉시, 스토퍼(6)는 시린지(3) 내부의 근위 방향(P)으로 밀려지면서,약제(M)가 주사바늘(4)을 통해 주사 자리 내로 옮겨진다.
도 12a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린지(3) 내에서 스토퍼(6)가 거의 바닥을 보이면서 주사 동작이 완료되기 직전에, 소음 구성요소(28)가 해제된다. 소음 구성요소(28)는 원위측 플런저 슬리브(17) 내부에 배치된 연장 부분(elongate portion, 28.1), 및 캐리어 단부면(10)과 트리거 버튼(13)의 단부면 사이에 배치된 원위측 단부 판(28.2)을 포함한다. 원위측 캐리어 단부면(10)으로부터 2개의 제2 탄성 암들(30)이 유래되어 근위 방향(P)으로 연장된다. 소음 구성요소(28)를 캐리어(7)에 대한 원위 방향(D)으로 바이어스하기 위해, 제2 탄성 암들(30) 상의 리브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지지되고, 소음 구성요소(28)(미도시)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지지되는 소음 스프링(29)이 배치된다.
도 18a, 도 18b 및 도 18c에는 소음 구성요소(28)를 방출하기 위한 소음 방출 기구(31)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18a를 참조하자면, 소음 방출 기구(31)는 제2 탄성 암들(30)을 포함한다. 각각의 제2 탄성 암(30) 상에는 경사진 내향 보스(30.1)가 배치되며, 제2 탄성 암(30)이 소음 스프링(29)의 하중 하에 외부 방향(O)으로 편향되는 방식으로 소음 구성요소(28)의 연장 부분(28.1) 상에 있는 각각의 외향 제11 경사부(28.3)에 체결된다. 소음 방출 기구(31)의 초기 상태(A)에서 제2 탄성 암들(30)은 원위측 플런저 슬리브(17)의 외부쪽 지지 덕분에 외부쪽으로 편향되지 못하며, 이로써 소음 구성요소(28)는 캐리어(7)에 대해 평행이동하지 못한다. 도 12a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린지(3) 내에서 스토퍼(6)가 거의 바닥을 보이면서 주사 동작이 완료되기 직전까지 소음 방출 기구(31)는 A 상태를 유지한다. 이 시점에서 플런저(9)는 제2 탄성 암들(30)이 더 이상 원위측 플런저 슬리브(17)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정도까지 캐리어(7)에 대해 근위 방향(P)으로 평행이동한 후이다. 이런 식으로 소음 방출 기구(31)는 도 18b에 도시된 B 상태에 이르게 된다. 경사진 내향 보스(30.1)와 외향 제11 경사부(28.3) 사이가 경사를 이루어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2 탄성 암(30)은 소음 스프링(29)의 하중 하에 외부쪽으로 편향되며, 이로써 소음 구성요소(28)는 도 18c에 도시된 C 상태에서 캐리어(7)로부터 해제되고, 소음 스프링(29)에 의해 구동되어 원위 방향(D)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소음 구성요소(28)는 원위 방향(D)으로 가속되고, 원위측 단부 판(28.2)은 트리거 버튼(13)의 내측에 충격을 가함으로써, 주사 동작이 막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청각적, 촉각적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생성한다.
도 13a와 도 13b는 스토퍼(6)가 시린지(3) 내에서 완전히 바닥까지 간 자동 주사 장치(1)를 나타낸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케이스(12)가 제어 스프링(19)의 힘을 받아 원위 방향(D)으로, 규정된 거리 미만만큼 이동하는 한, 몇 밀리미터 이동하되, 주사바늘(4)의 위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이동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주사 동작을 끝내기를 원한다면, 언제든지, 케이스(12)가 상기 거리보다 멀리 원위 방향(D)으로 이동하게 허용해야 한다. 도 14a와 도 14b는 섀시(2)가 케이스(12)의 근위 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케이스(12)가 원위 방향(D)으로 끝까지 이동된 상태에서, 주사 자리로부터 들려진 자동 주사 장치(1)를 나타낸다. 케이스(12)가 이동됨에 따라, 제1 이음고리(20)는 캐리어(7)를 해제하며, 이어서 제2 이음고리(21)는 케이스(12)로부터 해제되고 캐리어(7)를 원위 방향(D)으로 끌어당긴다. 만일 두 이음고리(20, 21)가 동시에 캐리어(7)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후퇴 동작이 살패할 수 있다. 이는 케이스(12)를 축방향으로 변위시켜 이음고리들(20, 21)의 전환을 독립시킴으로써 극복된다.
제1 이음고리(20)의 전환 동작을 도 16e와 도 16f에 도시하였다. 도 16e에서, 케이스(12)는 자동 주사 장치(1)를 주사 자리로부터 떼어내는 동안 제어 스프링(19)의 하중 하에 원위 방향(D)으로 이동하도록 허용된 상태이다. 제6 리브(12.3)(미도시, 도 14a를 참조)는 화살촉(20.1) 뒤 외부쪽으로부터 분리된다. 제1 이음고리(20)는 제어 스프링(19)에 의해 여전히 근위 방향(P)으로 떠밀려지고 있는 상태이다. 화살촉(20.1) 상에 내향 제9 경사부(20.3)가 체결되고, 캐리어(7) 상에는 원위측 제10 경사부(7.6)가 체결되기 때문에, 화살촉(20.1)은 외부 방향(O)으로 섀시(2)(도 16a 내지 도 16f에 도시됨)의 개구(2.5) 내로 편향되며, 주사바늘 삽입 제어 기구(24)는 도 16e에 도시된 것과 같은 E 상태에 이르러, 제1 이음고리(20)를 캐리어(7)로부터 분리시킨 후, 섀시(2)에 건다.
케이스(12)가 주사 자리로부터 분리되어 원위 방향(D)으로 더 이동함에 따라, 시린지 후퇴 제어 기구(25)는 A 상태(예컨대, 도 17a)에서 도 17b에 도시된 B 상태로 전환된다. 케이스(12) 및 케이스(12)에 잠금된 제2 이음고리(21)가 함께 원위 방향(D)으로 이동하는 한편, 캐리어(7)는 전술된 바와 같이 D 상태에서 멈춤쇠 기구(18)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된다(예, 도 4a, 도 4b). 이러한 이동으로 인해, 제2 이음고리(21) 상의 근위 빔(21.1)의 제2 빔 헤드(21.2)에 형성된 내향 보스(21.3)는 더 이상 내부쪽으로 캐리어(7)에 인접하지 않는다. 대신에, 내향 보스(21.3)는 제어 스프링(19)의 하중 하에, 제2 빔 헤드(21.1)가 경사진 제2 케이스 멈춤쇠(12.2)에 경사를 이루어 체결되기 때문에, 내향 보스(21.3)는 내부 방향(I)으로 캐리어(7) 내 제3 요홈(7.7)에 편향된다. 이에 따라 시린지 후퇴 제어 기구(25)는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C 상태에 이르며, 이때 제2 이음고리(21)는 케이스(12)로부터 분리된 후 캐리어(7)에 결합된다. 제2 이음고리(21)에 의해 인가된 약간의 슬라이딩력이 존재하여 주사바늘 삽입 제어 기구(24)가 이미 E 상태로 전환되었을 경우에 케이스(12)의 원위 방향(D)으로의 평행이동시 캐리어(7)를 원위 방향(D)으로 끌어당기므로, 멈춤쇠 기구(18)는 시린지 후퇴 제어 기구(25)가 C 상태로 전환되기 전에 약간의 저지력을 캐리어(7)의 이동 동작에 인가한다. 제2 이음고리(21)가 전환하기 전에 캐리어(7)가 원위 방향(D)으로 너무 멀리 이동하면, 내향 보스(21.3)가 제3 요홈(7.7) 내로 편향하여 후퇴 동작을 막을 수 있기 전에 케이스(12)는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멈춤쇠 기구(18)의 D 위치에서 시작하여(예컨대, 도 4a와 도 4b), 캐리어(7)와 이에 따른 경사 부재(7.1)는 제어 스프링(19)의 하중 하에 원위 방향(D)으로 평행이동한다. 따라서, 멈춤쇠 빔(2.1)은 접선 방향(T)으로 편향된다. 그 결과, 제2 이음고리(21)가 캐리어(7)로 전환되는 것을 확고히 하는데 필요한 약간의 저지력이 캐리어(7)의 이동 동작에 인가된다.
섀시(2)에 인접한 제1 이음고리(20)에 의해 제어 스프링(19)의 근위 단부가 접지된다. 제어 스프링(19)의 원위 단부는 제2 이음고리(21)를 캐리어(7)와 함께 원위 방향(D)으로 이동시키며, 이에 따라 주사바늘(4)이 구비된 시린지(3)는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E 상태에서 멈춤쇠 기구(18)를 극복한다. 사용자에 의해 케이스(12)가 주사바늘 쉴드를 갖춘 자동 주사 장치에 반대 방향으로 충분히 멀리 평행이동할 수 있게 되는 즉시, 자동 주사 장치(1)에 의해 주사바늘(4)은 피부 밖으로 후퇴된다는 것을 주목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자동 주사 장치를 주사 자리에서 빼내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그렇게 함으로써, 주사바늘 쉴드가 전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동 주사 장치 스스로가 주사바늘을 피부 밖으로 꺼낸다.
캐리어(7)에 대해 소음 구성요소(28)에 허용되는 이동은 한정되므로, 주사 자리에서 빼내어 졌을 때 케이스(12)와 함께 원위 방향(D)으로 이동한 트리거 버튼(13)과 소음 구성요소는 더 이상 접촉하지 않는다. 후퇴 동작이 시작될 때 소음 스프링(29)은 어떠한 저지력도 제공하지 않는다. 캐리어(7)가 후퇴할 때 소음 구성요소(28)가 트리거 버튼(13)을 다시 타격하면 소음 스프링(29)은 재압축되도록 되어 있어, 후퇴 동작의 최종 부분을 구동하는 힘을 감소시킨다. 이렇게 감소되는 힘에도 불구하고 신뢰성 있는 후퇴 동작을 보장하기 위해, 제어 스프링(19)의 치수를 이에 적절하게 설정해야 한다.
후퇴 동작은 도 15a와 도 15b에서와 같이 원위측 이음고리(21)가 케이스(12) 상의 제1 백스톱(back stop, 12.4)과 맞닿을 때 종료된다. 제1 이음고리(20) 상의 화살촉(20.1)은 도 16f에 도시된 F 상태에서 캐리어(7)에 의해 내부쪽으로 지지되므로 내부 방향(I)으로 편향되지 못한다. 화살촉(20.1)의 외향 제6 경사부(20.2)는 케이스(12) 상의 제6 리브(12.3) 뒤에 체결되어, 케이스(12)가 또 다시 근위 방향(P)으로 떠밀려지는 것을 막는다. 화살촉(20.1)과 제6 리브(12.3) 사이에 간격을 두어, 공차를 허용할 수 있다.
멈춤쇠 기구(18)는 도 1a와 도 1b에서와 같은 A 상태로 되돌아가, 초기에 그러했듯이 캐리어(7)를 섀시(2)에 대한 제 위치에 잠금시키지만, 케이스(12)가 섀시(2)에 대해 이동할 수 없으므로 이제는 캐리어가 미체결 상태로 있을 리는 없다.
이제는, 케이스(12)의 표시창(32)을 통해 제1 이음고리(20) 상의 탭(20.4)을 시각적으로 볼 수 있다 - 이는 자동 주사 장치(1)가 사용된 적인 있음을 표시한다.
도 21은 대안적 구현예에 따른 플런저 해제 기구(27)의 등축도이다. 플런저 해제 기구(27)는 주사바늘 삽입을 위해 캐리어(7)가 근위 방향(P)으로 이동할 때까지 플런저(9)가 캐리어(7)에 대해 근위 방향(P)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한다. 캐리어(7)와 트리거 버튼(13)의 상대적 이동을 이용하여 플런저(9)의 해제를 유발하는 도 19의 플런저 해제 기구(27)와는 대조적으로, 도 21의 대안적 구현예는 캐리어(7)를 제2 이음고리(21)에 대해 이동시킴으로써 플런저(9)를 해제한다. 도 21은 플런저 해제 이전의 플런저 해제 기구(27)를 나타낸다. 선명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제2 이음고리(21)를 투명하게 나타내었다. 구동 스프링(8)은 플런저(9)를 근위 방향(P)으로 민다. 플런저(9)가 전진하기 위해서는, 캐리어(7) 상의 제12 경사부(7.8) 둘레로 회전해야 한다. 플런저(9) 상의 경사 부재(9.1)는 상기 제12 경사부(7.8)를 체결하도록 배치된다. 경사 부재(9.1)의 회전은 캐리어(7)의 종방향 개구(7.9) 내에 스플라인된 제2 이음고리(21) 상의 내향측 종방향 리브(21.5)에 의해 차단된다. 케이스(12)와 제2 이음고리(21)는 동일 위치에 머문다. 즉, 조인트 축방향 평행이동을 위해 서로에 결합되어 있다. 트리거 버튼(13)을 누르면, 구동 서브-어셈블리의 일부인 캐리어(13)와 플런저(9)는 먼저 트리거 버튼(13)을 누른 사용자에 의해, 그 다음으로는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이음고리(20)를 통해 인계하는 제어 스프링(19)에 의해 근위 방향(P)으로 이동한다. 일단 캐리어(7)가 제2 이음고리(21)에 대해 근위 방향(P)으로 충분히 멀리 이동하면, 이음고리(9) 상의 경사 부재(9.1)는 제2 이음고리(21) 상의 종방향 리브(21.5)로부터 벗어나게 되며, 구동 스프링(8)의 하중 하에 제12 경사부(7.8)에 경사를 이루어 체결되기 때문에 종방향 리브(21.5)의 근위 단부를 지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약제(M)를 주사하기 위해 구동 스프링(8)은 플런저(9)를 근위 방향(P)으로 전진시킨다.
도 22는 대안적 구현예에 따른 버튼 해제 기구(26)의 종단면이다. 트리거 버튼(13)의 바닥이 캐리어(7)와 케이스(12) 사이로 전환함으로써 피부 접촉시에 노출형 트리거 버튼(13)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 20의 버튼 해제 기구(26)와 달리, 도 22의 버튼 해제 기구(26)는 잠금되었지만 케이스(12)의 원위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트리거 버튼(13)에서 시작된다. 일단 캐리어(7)가 섀시(2)의 피부 접촉시에 원위 방향(D)으로 이동하였다면, 트리거 버튼(13)을 눌러서 자동 주사 장치(1)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순차적 동작을 보장한다.
도 22의 구현예에서, 트리거 버튼(13)은 2개의 근위 빔(13.1)을 가지며, 각각의 빔은 경사진 외향 보스(13.4)를 갖추고 있다. 도 22에 도시된 초기 상태에서, 이들 경사진 외향 보스(13.4)는 케이스(12) 내 각각의 제4 요홈(12.5)에 체결된다. 근위 빔(13.1)이 내부쪽으로 편향되지 않게 하는 방식으로 근위 빔(13.1)을 내부쪽으로 지지하는 캐리어(7)에 의해, 상기 경사진 외향 보스(13.4)는 제4 요홈(12.5)으로부터 해제되지 못한다. 근위 빔(13.1) 상의 내향 돌기부(13.4)는 초기 상태에서 캐리어(7)가 근위 방향(P)으로 더 이동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캐리어(7) 상의 제2 리브(7.10)에 인접한다. 일단 캐리어(7)가 섀시(2)의 피부 접촉시 원위 방향(D)으로 이동하였다면, 캐리어(7) 내 제1 창(7.11)은 내향 돌기부(13.5) 뒤로 이동하여, 트리거 버튼(13)이 눌러졌을 때 제4 요홈(12.5)에 대한 근위 빔(13.1)의 경사형 체결로 인해 근위 빔(13.1)이 내부쪽으로 편향될 수 있도록 한다. 이제 근위 빔(13.1)은 케이스(12)에 의해 외부쪽으로 지지되며, 주사바늘(4)이 후퇴할 때에도 캐리어(7)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트리거 버튼(13)은 자신의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지 않으며, 이는 자동 주사 장치(1)가 사용되었음을 표시한다.
도 22에 도시된 버튼 해제 기구(26)는, 바람직하게는, 도 21에 도시된 플런저 해제 기구(27)와 결합될 수 있다.
도 23은 대안적 구현예에 따른 소음 방출 기구(31)의 종단면이다. 소음 스프링(29)이 캐리어(7)와 소음 구성요소(28) 사이에서 작용하는 도 18의 소음 방출 기구(31)와 대조적으로, 도 23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소음 스프링(29)은 케이스(12)와 소음 구성요소(28) 사이에서 작용한다. 주사바늘이 삽입되는 동안 소음 구성요소(28)는 캐리어(7)와 함께 케이스(12)에 대해 이동하므로 소음 스프링(29)이 압축된다. 주사가 완료되기 직전에 플런저(9)에 의해 소음 구성요소(28)가 해제되는 경우, 소음 구성요소(28)는 원위 방향(D)으로 이동하면서 트리거 버튼(13)에 부딪친다. 도 18에서와 달리 소음 스프링(29)은 주사바늘 후퇴시 재압축되지 않는데, 이는 캐리어(7)가 아닌 케이스(12) 내에 접지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 24a와 도 24b는 제3 구현예에 따른 소음 방출 기구(31)의 종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구현예는 전용 소음 스프링이 없어도 시행된다. 플런저(9)는 주사가 끝나기 직전에 캐리어(7) 상의 2개의 제7 클립(7.21)을 이격시키도록 배치된 근위측 경사형 리브(9.2)를 포함한다. 근위측 경사형 리브(9.2)가 제7 클립을 지나 이동한 경우, 이들 클립은 튀어 돌아오면서 플런저(9)에 부딪혀 소리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소리를 전달하는데 있어서 캐리어(7)의 관형 형상이 도움이 된다. 도 24a는 소음 방출 이전의 소음 방출 기구(31)를 나타낸다. 도 24b는 소음 방출 이후의 소음 방출 기구(31)를 나타낸다. 캐리어(7) 상의 제7 클립들(7.1)을 근위측 경사형 리브(9.2)의 원위 측면 위로 하나씩 들어올리는 방식으로 이들 제7 클립(7.21)의 근위면들을 축방향으로 오프셋하여 어셈블리 작업을 용이하게 만든다.
도 25a와 도 25b는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자동 주사 장치(1)의, 서로에 대해 대략 90o를 이루는 상이한 절단면들에서 종단면도를 나타내며, 이때 자동 주사 장치(1)는 주사 동작이 시작되기 전의 초기 상태에 있다. 자동 주사 장치(1)는 도 6 내지 도 20에 기술된 것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도 6 내지 도 20의 자동 주사 장치와 달리, 본 구현예의 자동 주사 장치(1)는 트리거 버튼 대신에 랩-오버 슬리브 트리거(wrap-over sleeve trigger)를 구비한다.
랩-오버 슬리브 트리거(12)는 도 6 내지 도 20에서와 달리 폐쇄형 원위 단부면(12.10)을 가진 케이스(12)와 같은 구성요소이다. 슬리브 트리거(12) 내측의 원위 단부에는 내부 트리거 버튼(13)이 배치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20에서와 달리, 트리거 버튼(13)은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고, 임의의 상태에서 케이스(12)로부터 돌출되지도 않는다. 초기 상태에서, 슬리브 트리거(12)의 원위 단부면(12.10)과 내부 트리거 버튼(13) 사이에는 간극(33)이 형성되어 있어, 트리거 버튼(13)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슬리브 트리거(12)가 일부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여타 관점에서 본 자동 주사 장치(1)는 도 6 내지 도 20의 자동 주사 장치와 다르지 않으므로, 하기의 예외사항만 제외하고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된다:
섀시(2)가 주사 자리에 놓이면, 슬리브 주행의 제1 단계에서 슬리브 트리거(12)는 섀시(2)에 대해 근위 방향(P)으로 전진 위치로 평행이동하여, 슬리브 트리거(12)의 원위 단부면(12.10)과 내부 트리거 버튼(13) 사이의 간극(33)을 없앤다. 도 6 내지 도 20의 구현예에서와 같이, 본 이동은 멈춤쇠 기구(18) 및 트리거 버튼(13)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 슬리브 주행의 제2 단계에서 사용자가 슬리브 트리거(12)를 계속 눌러서 슬리브가 근위 방향(P)으로 더 전진될 때, 원위 단부면(12.10)은 내부 트리거 버튼(13)과 부딪히게 되면서, 제1 이음고리(20)가 섀시(2)로부터 해제되고 제어 스프링력이 캐리어(7) 상에 결합될 때까지 내부 트리거 버튼(13)을 누른다. 그러면 캐리어(7)는 내부 트리거 버튼(13)이 케이스(12) 내의 또 다른 리브 상에서 멈추고, 플런저 해제 기구(27)가 해제될 때까지 전진한다(본 구현예에서 페그(14)가 더 짧다는 것을 주목한다).
사용자 관점에서 볼 때, 멈춤쇠 기구(18)는 사용자가 슬리브 주행의 제2 단계에 이를 때 저항력을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내적으로, 이 지점에서는 도 6 내지 도 20의 구현예와의 차이가 전혀 없다.
주사바늘 삽입은 슬리브 주행의 제2 단계에서 사용자가 슬리브 트리거(12)를 끝까지 전진시키고, 이로써 도 6 내지 도 20의 구현예에서와 같이 내부 트리거 버튼(13)을 완전히 누르고 멈춤쇠 기구를 극복함으로써 촉발된다.
제어 스프링(19)이 버튼 누름 동작을 인계하여 주사바늘 삽입을 위해 캐리어(7)를 끝까지 전진시킬 때, 내부 트리거 버튼(13)은 슬리브 트리거(12) 내의 내부 제5 리브(12.11) 상에서 바닥을 친 다음, 도 20c에서와 같이 내부 트리거 버튼(13)은 슬리브 트리거(12)에 잠금된 상태로 되돌아간다.
도 25a와 도 25b의 구현예를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된 대안적 특징들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말할 나위도 없이, 상기 구현예들에서 설명된 두 구성요소 사이의 모든 경사진 체결 상태에서는 하나의 구성요소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단지 하나의 경사부가 있을 수 있거나, 또는 경사진 체결 상태의 효과에 현저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양측 구성요소 모두에 경사부가 있을 수 있다.

Claims (15)

  1. 시린지(3)를 보관하도록 구성되며, 제1 경사부(ramp, 7.2) 및 제2 경사부(7.3)를 가진 경사 부재(7.1)를 갖춘 시린지 캐리어(7); 및
    경사 부재(7.1)에 체결되도록 구성된 빔 헤드(2.1)를 가진 탄성 빔이 구비된 섀시(chassis, 2)
    를 포함하며,
    제1 경사부(7.2)는 빔 헤드(2.1)를 섀시(2)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편향하도록 구성되며, 제2 경사부(7.3)는 빔 헤드(2.1)를 섀시(2)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편향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자동 주사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시린지 캐리어(7)가 섀시(2)에 대해 제1 방향으로 이동할 때 빔 헤드(2.1)는 제1 경사부(7.2)에 의해 편향되며, 시린지 캐리어(7)가 섀시(2)에 대해 제2 방향으로 이동할 때 빔 헤드(2.1)는 제2 경사부(7.3)에 의해 편향되는 것인 자동 주사 장치(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둘 다 빔 헤드(2.1)에 체결되도록 구성된 제1 리브(12.12)와 탄성 요소(12.13)가 구비된 케이스(12)
    를 더 포함하는 자동 주사 장치(1).
  4. 제3항에 있어서, 빔 헤드(2.1)는 경사 부재(7.1)에 체결되도록 구성된 제1 빔 헤드(2.2), 및 케이스(12)에 체결되도록 구성된 제2 빔 헤드(2.3)를 포함하는 것인 자동 주사 장치(1).
  5. 제4항에 있어서, 제1 빔 헤드(2.2)는 곡선형 체결 표면을 갖는 것인 자동 주사 장치(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경사부(7.2)는 경사 부재(7.1)의 근위 부분에 형성되며, 제2 경사부(7.3)는 경사 부재(7.1)의 원위 부분에 형성되는 것인 자동 주사 장치(1).
  7. 제3항에 있어서, 제1 상태에서, 빔 헤드(2.1)는 제1 리브(12.12)와 제1 경사부(7.2)에 인접함으로써 섀시(2)에 대한 시린지 캐리어(7)의 이동을 막는 것인 자동 주사 장치(1).
  8. 제7항에 있어서, 제2 상태에서, 빔 헤드(2.1)는 제1 경사부(7.2)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편향되어, 탄성 요소(12.13)를 반경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것인 자동 주사 장치(1).
  9. 제8항에 있어서, 제3 상태에서, 빔 헤드(2.1)는 제1 경사부(7.2)를 해제시키며, 시린지 캐리어(7)는 섀시(2)에 대해 평행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인 자동 주사 장치(1).
  10. 제9항에 있어서, 제3 상태에서, 빔 헤드(2.1)는 경사 부재(7.1)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인 자동 주사 장치(1).
  11. 제10항에 있어서, 제4 상태에서, 빔 헤드(2.1)는 제2 경사부(7.3)의 원위측 비-편향 위치에 있는 것인 자동 주사 장치(1).
  12. 제2항 및 제11항에 있어서, 시린지 캐리어(7)가 섀시(2)에 대해 제1 방향으로 경사 부재(7.1)의 길이와 적어도 같은 소정의 거리만큼 평행이동할 때 빔 헤드(2.1)는 제4 상태에 이르게 되는 것인 자동 주사 장치(1).
  13. 제12항에 있어서, 제5 상태에서, 빔 헤드(2.1)는 제2 경사부(7.3)에 의해 접선 방향으로 편향되며, 시린지 캐리어(7)는 섀시(2)에 대해 평행이동할 수 있는 것인 자동 주사 장치(1).
  14. 제2항 및 제12항에 있어서, 빔 헤드(2.1)가 제2 경사부(7.3)에 인접할 때까지 시린지 캐리어(7)가 섀시(2)에 대해 제2 방향으로 평행이동할 때 빔 헤드(2.1)는 제5 상태에 이르게 되는 것인 자동 주사 장치(1).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경사부(7.2)의 제1 평면은 제2 경사부(7.3)의 제2 평면과 수직이 아닌 각도로 교차하는 것인 자동 주사 장치(1).
KR20147033846A 2012-05-07 2013-05-03 약제 전달 장치용 멈춤쇠 기구 KR201500113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166990.7 2012-05-07
EP12166990.7A EP2662104A1 (en) 2012-05-07 2012-05-07 Detent mechanism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PCT/EP2013/059282 WO2013167494A1 (en) 2012-05-07 2013-05-03 Detent mechanism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367A true KR20150011367A (ko) 2015-01-30

Family

ID=48430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7033846A KR20150011367A (ko) 2012-05-07 2013-05-03 약제 전달 장치용 멈춤쇠 기구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0456525B2 (ko)
EP (2) EP2662104A1 (ko)
JP (2) JP6687386B2 (ko)
KR (1) KR20150011367A (ko)
CN (1) CN104470560B (ko)
AU (1) AU2013258222B2 (ko)
BR (1) BR112014027547A2 (ko)
DK (1) DK2846855T3 (ko)
HK (1) HK1202466A1 (ko)
IL (1) IL235218A0 (ko)
IN (1) IN2014KN02321A (ko)
MX (1) MX351289B (ko)
RU (1) RU2637173C2 (ko)
WO (1) WO201316749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5676A (ko) * 2015-06-03 2018-02-13 사노피-아벤티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덮개 체결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90568A1 (de) 2013-03-22 2020-01-08 TecPharma Licensing AG Substanzabgabevorrichtung mit signalvorrichtung
EP3261690B1 (en) 2015-02-27 2021-12-15 Amgen Inc. Drug delivery device having a needle guard mechanism with a tunable threshold of resistance to needle guard movement
EP3268078B1 (en) 2015-03-10 2020-11-04 Regeneron Pharmaceuticals, Inc. Aseptic piercing system
GB2538486A (en) * 2015-04-30 2016-11-23 Owen Mumford Ltd Injection Device
TWI746569B (zh) 2016-06-08 2021-11-21 瑞士商瑞健醫療股份有限公司 計量器具、注射裝置、及其應用
EP3544656A1 (de) 2016-11-28 2019-10-02 Idorsia Pharmaceuticals Ltd Vorrichtung zur abgabe einer substanz
SG11201908539VA (en) 2017-05-05 2019-11-28 Regeneron Pharma Auto-injector
US11331432B2 (en) 2017-07-12 2022-05-17 Shl Medical Ag Administration assembly for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and a medicament delivery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109481143B (zh) * 2018-11-06 2021-07-02 苏州双福智能科技有限公司 注射医疗装置
USD1007676S1 (en) 2021-11-16 2023-12-12 Regeneron Pharmaceuticals, Inc. Wearable autoinjector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8598A (en) 1988-09-23 1993-02-23 Post Medic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afely disposing contaminated needles
JPH05253300A (ja) 1992-03-16 1993-10-05 Fujisawa Pharmaceut Co Ltd 電動式注射針離脱装置
EP1289587B1 (en) 2000-05-31 2005-08-03 Novo Nordisk A/S A disposable double pointed injection needle
RU2203688C2 (ru) 2000-08-30 2003-05-10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Полет" ГУДП ГП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Полет" Шприц
US20050027255A1 (en) * 2003-07-31 2005-02-03 Sid Technologies, Llc Automatic injector
DE10342059B4 (de) * 2003-09-11 2007-03-01 Tecpharma Licensing Ag Verabreichungsvorrichtung mit Einstech- und Ausschütteinrichtung
JP2005152541A (ja) 2003-11-21 2005-06-16 Tasuku:Kk 注射針
US8062252B2 (en) * 2005-02-18 2011-11-2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afety shield system for a syringe
US8696628B2 (en) * 2008-09-29 2014-04-15 Becton Dickinson France Automatic injection device
JP2012110356A (ja) 2009-03-31 2012-06-14 Mikuni Kogyo:Kk 廃棄針用回収容器及び廃棄針用回収部品
GB0913136D0 (en) * 2009-07-28 2009-09-02 Ucb Pharma Sa Auto-injector
EP2399630A1 (en) * 2010-06-28 2011-12-28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Auto-injector
EP4397339A3 (en) * 2010-10-08 2024-09-18 Sanofi Auto-injector
EP2489387A1 (en) 2011-02-18 2012-08-22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Auto-injector
EP2489390A1 (en) * 2011-02-18 2012-08-22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Detent mechanism
EP2489385A1 (en) 2011-02-18 2012-08-22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Auto-injector
AU2012312046B2 (en) * 2011-09-22 2017-06-01 Abbvie Inc. Automatic injection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5676A (ko) * 2015-06-03 2018-02-13 사노피-아벤티스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덮개 체결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46855B1 (en) 2022-03-02
AU2013258222A1 (en) 2014-11-20
JP6687386B2 (ja) 2020-04-22
EP2846855A1 (en) 2015-03-18
HK1202466A1 (en) 2015-10-02
US20150088077A1 (en) 2015-03-26
BR112014027547A2 (pt) 2017-06-27
RU2637173C2 (ru) 2017-11-30
MX351289B (es) 2017-10-09
EP2662104A1 (en) 2013-11-13
DK2846855T3 (da) 2022-05-23
WO2013167494A1 (en) 2013-11-14
CN104470560A (zh) 2015-03-25
IL235218A0 (en) 2014-12-31
CN104470560B (zh) 2017-09-05
RU2014149220A (ru) 2016-06-27
IN2014KN02321A (ko) 2015-05-01
AU2013258222B2 (en) 2017-07-20
US10456525B2 (en) 2019-10-29
MX2014013636A (es) 2015-06-23
JP2020062467A (ja) 2020-04-23
JP2015515893A (ja) 2015-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2202B2 (en) Auto-injector
JP6475237B2 (ja) 自動注射器
KR20150011367A (ko) 약제 전달 장치용 멈춤쇠 기구
JP6212047B2 (ja) 自動注射器
JP6170054B2 (ja) 自動注射器のインジケータ配置
JP6621987B2 (ja) 自動注射器
KR20140114812A (ko) 안전 주사기
RU2620353C2 (ru) Автоинъектор
JP6637416B2 (ja) 自動注射器
TWI572385B (zh) 自動注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