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0139A - Smps 스위칭 주파수의 emi 특성이 개선된 레이더 시스템 - Google Patents

Smps 스위칭 주파수의 emi 특성이 개선된 레이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0139A
KR20150010139A KR20130084702A KR20130084702A KR20150010139A KR 20150010139 A KR20150010139 A KR 20150010139A KR 20130084702 A KR20130084702 A KR 20130084702A KR 20130084702 A KR20130084702 A KR 20130084702A KR 20150010139 A KR20150010139 A KR 20150010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mps
clock
signal processing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4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4667B1 (ko
Inventor
안현창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4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667B1/ko
Publication of KR20150010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0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35Details of non-puls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88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3/93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3/931Radar or analogous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1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more than one ouput with independent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8Radar; Laser, e.g. lid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60Y2400/3017Rad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SMPS에 일원화된 클럭을 공급하되 클럭 위상을 다르게 공급하는 방법으로 주파수를 상쇄시키는 레이더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더 시스템은 내장된 클럭 생성기를 이용하여 제1 스위칭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며, 제1 스위칭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SMPS; 제2 스위칭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여 제1 SMPS와 더불어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SMPS; 및 위상차가 있는 두 클럭 신호를 생성하여 제1 SMPS와 제2 SMPS에 각각 공급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SMPS 스위칭 주파수의 EMI 특성이 개선된 레이더 시스템 {Radar system for improving EMI characteristics of switching frequency of SMPS}
본 발명은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의 스위칭 주파수의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특성이 개선된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77GHz 차량용 레이더(Radar)는 77GHz 주파수 전파를 송신하여, 반사되는 전파의 변화를 분석하여 전방 차량과의 거리, 상대 속도, 위치 등을 연산하고, 연산된 타겟 차량의 경로와 자기 차량의 궤적을 예측하여 타겟 차량의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장치이다.
레이더 장치는 타겟에서 수신된 전파와 송신부 LO의 주파수의 차이값에 의해 타겟의 거리 및 상대 속도 정보를 가진 비트 주파수가 추출된다. 그리고 주출된 비트 주파수가 시스템에서 정한 기준 크기 이상이 되면 타겟으로 인식한다.
레이더 장치는 다수의 반도체 소자가 사용되며, 최적의 전력 효율을 가지기 위해 복수의 스위칭 레귤레이터가 내장되어야 한다.
스위칭 레귤레이터는 리니어 레귤레이터와는 다르게 본질적으로 스위칭 주파수를 공급해야만 다수의 반도체에 적절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그런데 각각의 SMPS의 스위칭 주파수의 크기가 중첩되면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 결국 중첩된 주파수는 방사하여 외부 ECU 및 내부 소자에 영향을 주어 EMI 특성이 나빠진다. EMI 특성은 레이더 장치의 노이즈를 증가시키고 시스템 SNR(Signal Noise Ratio)을 감쇄시켜 타켓 탐지 확률을 저하시킨다.
미국공개특허 제2012-0229323호는 복수의 SMPS를 구비하는 레이더 시스템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 레이더 시스템은 정규화된 대역대로 SMPS의 스위칭 주파수 값을 위치시키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을 뿐 스위칭 주파수의 EMI 특성을 개선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제안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의 SMPS에 일원화된 클럭을 공급하되 클럭 위상을 다르게 공급하는 방법으로 주파수를 상쇄시키는 레이더 시스템을 제안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내장된 클럭 생성기를 이용하여 제1 스위칭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1 스위칭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SMPS; 제2 스위칭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SMPS와 더불어 상기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SMPS; 및 위상차가 있는 두 클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SMPS와 상기 제2 SMPS에 각각 공급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시스템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 처리부는 타겟으로부터 반사된 반사파를 신호처리하며, 상기 반사파를 신호처리하여 얻은 출력을 이용하여 상기 위상차가 있는 두 클럭 신호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 처리부는 제1 클럭 신호와 상기 제1 클럭 신호에 대하여 180도 반전된 위상을 가지는 제2 클럭 신호를 상기 위상차가 있는 두 클럭 신호로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파수 간섭 제거 장치는 상기 반사파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 상기 반사파와 기준파 간 주파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의 진동 주파수를 추출하는 믹서; 추출된 진동 주파수를 증폭하는 증폭기; 증폭된 진동 주파수의 진폭을 디지털 변환하여 진폭 데이터를 출력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및 VCO(Voltage Control Oscillator), PLL(Phase Lock Loop) 및 첩(chirp) 발생기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파를 생성하는 주파수 생성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호 처리부는 출력된 진폭 데이터를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거쳐 DBF(Digital Beamforming) 방법으로 신호처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반사파를 신호처리하는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수행한 후 상기 타겟을 다시 선정하는 타겟 선정 알고리즘과 차량을 움직이거나 제동시키는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타겟으로부터 반사된 반사파를 신호처리하는 신호 처리부; 내장된 클럭 생성기를 이용하여 제1 스위칭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1 스위칭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 처리부를 비롯한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SMPS; 제2 스위칭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SMPS와 더불어 상기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SMPS; 및 위상차가 있는 두 클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SMPS와 상기 제2 SMPS에 각각 공급하는 클럭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시스템을 제안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럭 신호 생성부는 상기 신호 처리부로부터 상기 반사파를 신호처리하여 얻은 출력을 수신하며, 상기 출력을 이용하여 상기 위상차가 있는 두 클럭 신호를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럭 신호 생성부는 제1 클럭 신호와 상기 제1 클럭 신호에 대하여 180도 반전된 위상을 가지는 제2 클럭 신호를 상기 위상차가 있는 두 클럭 신호로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파수 간섭 제거 장치는 상기 반사파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 상기 반사파와 기준파 간 주파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의 진동 주파수를 추출하는 믹서; 추출된 진동 주파수를 증폭하는 증폭기; 증폭된 진동 주파수의 진폭을 디지털 변환하여 진폭 데이터를 출력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및 VCO(Voltage Control Oscillator), PLL(Phase Lock Loop) 및 첩(chirp) 발생기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파를 생성하는 주파수 생성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호 처리부는 출력된 진폭 데이터를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거쳐 DBF(Digital Beamforming) 방법으로 신호처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반사파를 신호처리하는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수행한 후 상기 타겟을 다시 선정하는 타겟 선정 알고리즘과 차량을 움직이거나 제동시키는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SMPS에 일원화된 클럭을 공급하되 클럭 위상을 다르게 공급하는 방법으로 주파수를 상쇄시킴으로써 다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각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스위칭 주파수의 위상을 다르게 공급하여 스위칭 주파수의 크기가 상쇄됨으로써 EMI 특성이 개선된다.
둘째, 상기에 따라 전원 노이즈가 감소하여 시스템 SNR이 증가되어 타겟 탐지 확률이 높아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에에 따른 레이더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레이더 시스템이 차량에 적용될 때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더 시스템(100)은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스위칭 주파수의 EMI 특성을 개선한 레이더 시스템으로서, 둘 이상의 SMPS를 사용할 때 EMI 특성을 개선하고 목표물의 탐지 확률을 높이기 위해 SMPS 스위칭 주파수 클럭 위상 변환 로직 및 소자를 내장한다.
종래 레이더 시스템에서는 각각의 SMPS의 스위칭 주파수의 크기가 중첩되면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 결국 중첩된 주파수는 방사하여 외부 ECU 및 내부 소자에 영향을 주어 EMI 특성이 나빠진다. EMI 특성은 레이더 시스템의 노이즈를 증가시키고 시스템 SNR(Signal Noise Ratio)을 감쇄시켜 타겟 탐지 확률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더 시스템(100)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복수의 SMPS에 일원화된 클럭을 공급하되 클럭 위상을 다르게 공급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더 시스템(100)은 이러한 구성을 통해 스위칭 주파수의 크기를 상쇄시켜 EMI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시스템 SNR을 증가시켜 타겟 탐지 확률을 높일 수 있다.
이하 설명은 도 1을 참조한다.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100)은 송신부 안테나(111), 복수개의 수신부 안테나(112, …, 113), 주파수 생성기(120), 믹서(MIXER; 130), 필터(FILTER; 140), PGA(Programmable Gain Amplifier; 150),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 160) 및 스위칭 주파수 EMI 특성 개선 장치(175)를 포함한다.
송신부 안테나(111)는 주변의 물체를 탐지하기 위해 고주파 대역의 전자기파를 송신한다.
주파수 생성기(120)는 기준 주파수를 생성하여 믹서(130) 및 신호 처리부(SIGNAL PROCESSING UNIT; 170)에 공급한다. 주파수 생성기(120)는 VCO(Voltage Control Oscillator), PLL(Phase Lock Loop), 첩(Chirp) 발생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첩 발생기는 파형의 프로파일(예컨대, 파형의 형상)을 제공한다. VCO는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형상의 기준 주파수를 생성하며, PLL은 기준 주파수의 위상을 고정한다.
수신부 안테나(112, …, 113)는 복수개 구비되며 목표물에 의해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파를 수신한다.
믹서(130)는 반사파와 기준 주파수의 차이를 이용하여 전자기파에 대한 목표물의 진동 주파수를 추출한다. 여기서, 반사파 및 전자기파는 차량용 레이더의 송수신 대역(고주파 대역)이며, 진동 주파수는 기저 대역의 주파수이다.
필터(140)는 필터링을 통해 진동 주파수로부터 노이즈를 제거한다.
PGA(150)는 이전 설정에 따른 증폭 이득으로 진동 주파수를 증폭한다.
ADC(160)는 증폭된 진동 주파수의 진폭을 디지털 변환하여 얻은 진폭 데이터를 신호 처리부(170)로 출력한다.
아날로그 수신단 블럭(190)은 필터(140), PGA(150) 및 ADC(160)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스위칭 주파수 EMI 특성 개선 장치(175)는 각 SMPS(181, 182)에 내장된 클럭 생성기를 통해 스위칭 주파수가 생성되어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100)에 구비되는 각 반도체 소자에 전원으로 공급된 뒤 신호 처리부(170)가 동작하면 신호 처리부(170)의 출력으로 위상차가 있는 두 클럭 신호를 생성하여 두 SMPS(181, 182)에 각각 공급한다.
스위칭 주파수 EMI 특성 개선 장치(175)는 신호 처리부(170), 제1 SMPS(181), 및 제2 SMPS(182)를 포함한다.
제1 SMPS(181)는 내장된 클럭 생성기를 이용하여 제1 스위칭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며, 이 제1 스위칭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신호 처리부(170), ADC(160) 등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100)에 구비되는 각각의 반도체 소자에 전원을 공급한다.
제2 SMPS(182)는 제2 스위칭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여 제1 SMPS(181)와 더불어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신호 처리부(170)는 타겟으로부터 반사된 반사파가 ADC(160)를 거쳐 수신되면 이 신호를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거쳐 DBF(Digital Beamforming) 방법으로 신호처리하여 가공한다.
신호 처리부(170)는 반사파를 신호처리하여 얻은 출력을 이용하여 위상차가 있는 두 클럭 신호를 생성하여 제1 SMPS(181)와 제2 SMPS(182)에 각각 공급한다.
신호 처리부(170)는 제1 클럭 신호와 제1 클럭 신호에 대하여 180도 반전된 위상을 가지는 제2 클럭 신호를 위상차가 있는 두 클럭 신호로 생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레이더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는 신호 처리부(170)가 제1 SMPS(181)와 제2 SMPS(182)에 각각 공급될 위상차가 있는 두 클럭 신호를 생성한다. 반면 도 2에 따른 제2 실시예에서는 스위칭 주파수 EMI 특성 개선 장치(175) 내에 별도 구비된 클럭 신호 생성부(210)가 제1 SMPS(181)와 제2 SMPS(182)에 각각 공급될 위상차가 있는 두 클럭 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1 SMPS(181)나 제2 SMPS(182) 중 어느 하나에서 위상차가 있는 두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클럭 신호 생성부(210)는 위상차가 있는 두 클럭 신호를 생성하여 제1 SMPS와 제2 SMPS에 각각 공급한다.
클럭 신호 생성부(210)는 신호 처리부(170)로부터 반사파를 신호처리하여 얻은 출력이 수신되면 이 출력을 이용하여 위상차가 있는 두 클럭 신호를 생성한다.
클럭 신호 생성부(210)는 제1 클럭 신호와 제1 클럭 신호에 대하여 180도 반전된 위상을 가지는 제2 클럭 신호를 위상차가 있는 두 클럭 신호로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호 처리부(170) 또는 클럭 신호 생성부(2100가 위상차가 있는 두 클럭 신호를 생성하여 제1 SMPS(181)와 제2 SMPS(182)에 각각 공급함으로써 스위칭 주파수의 크기를 상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위칭 주파수의 EMI 특성을 개선시킬 수가 있다. 더불어 전원 노이즈가 감소됨으로써 시스템 SNR이 증가되어 타겟 탐지 확률이 높아지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레이더 시스템이 차량에 적용될 때의 작동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레이더 시스템(100)에서 초기 SMPS Switching Frequency Setting이 H/W로 생성된다(SMPS Switching Frequency 초기 HW Setting; S310).
이후 각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여 활성화되며, 신호처리부(SIGNAL PROCESSING UNIT; 170) 또한 활성화된다.
신호처리부(170)는 S/W Setting으로 SMPS Switching Frequency를 위상 제어 출력하여 복수의 SMPS의 Switching Frequency 입력핀으로 공급된다(SMPS Switching Frequency 위상 제어 출력 SW Setting; S320).
신호처리부(170)는 위상 제어된 Switching Frequency로 구동된 SMPS에서 전원을 재입력 받아 구동된다(S330).
이후 신호처리부(170)에서 신호처리 알고리즘(S340), 타겟 선정 알고리즘(S350), 제어 알고리즘(S360) 등을 차례대로 수행한 후 종료한다.
신호 처리부는 반사파를 신호처리하는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수행한 후 타겟을 다시 선정하는 타겟 선정 알고리즘과 차량을 움직이거나 제동시키는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알고리즘을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상기에서, 신호처리 알고리즘은 거리, 속도, 위치 등을 연산하는 알고리즘을 의미하며, 타겟 선정 알고리즘은 코스 추정, 추적 처리 궤적 추정, 타겟 선정 등을 연산하는 알고리즘을 의미한다. 제어 알고리즘은 엔진 제어, 제동 제어 등을 수행하는 알고리즘을 의미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첫째, 성능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각 스위칭 레귤레이터의 스위칭 주파수의 위상을 다르게 공급하여 스위칭 주파수의 크기가 상쇄되어 EMI 특성을 개선하는 효과가 기대되며, 이로 인해 전원 노이즈가 감소하여 시스템 SNR이 증가되어 타켓 탐지 확률 향상 효과도 기대된다.
둘째, 부품 수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신호 처리부에서 공급된 주파수 성분을 받는 경우 스위칭 주파수 일원화 외부 소자가 삭제되어 부품 1EA가 감소된다.
셋째, 경량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신호 처리부에서 공급된 주파수 성분을 받는 경우 스위칭 주파수 일원화 외부 소자가 삭제되어 부품 1EA가 감소된다.
넷째, 원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신호 처리부에서 공급된 주파수 성분을 받는 경우 스위칭 주파수 위상차를 위한 외부 소자가 삭제되어 부품 1EA가 감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내장된 클럭 생성기를 이용하여 제1 스위칭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1 스위칭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SMPS;
    제2 스위칭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SMPS와 더불어 상기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SMPS; 및
    위상차가 있는 두 클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SMPS와 상기 제2 SMPS에 각각 공급하는 신호 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타겟으로부터 반사된 반사파를 신호처리하며, 상기 반사파를 신호처리하여 얻은 출력을 이용하여 상기 위상차가 있는 두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제1 클럭 신호와 상기 제1 클럭 신호에 대하여 180도 반전된 위상을 가지는 제2 클럭 신호를 상기 위상차가 있는 두 클럭 신호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파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
    상기 반사파와 기준파 간 주파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의 진동 주파수를 추출하는 믹서;
    추출된 진동 주파수를 증폭하는 증폭기;
    증폭된 진동 주파수의 진폭을 디지털 변환하여 진폭 데이터를 출력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및
    VCO(Voltage Control Oscillator), PLL(Phase Lock Loop) 및 첩(chirp) 발생기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파를 생성하는 주파수 생성기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호 처리부는 출력된 진폭 데이터를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거쳐 DBF(Digital Beamforming) 방법으로 신호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반사파를 신호처리하는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수행한 후 상기 타겟을 다시 선정하는 타겟 선정 알고리즘과 차량을 움직이거나 제동시키는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시스템.
  6. 타겟으로부터 반사된 반사파를 신호처리하는 신호 처리부;
    내장된 클럭 생성기를 이용하여 제1 스위칭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1 스위칭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 처리부를 비롯한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SMPS;
    제2 스위칭 주파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SMPS와 더불어 상기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2 SMPS; 및
    위상차가 있는 두 클럭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1 SMPS와 상기 제2 SMPS에 각각 공급하는 클럭 신호 생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신호 생성부는 상기 신호 처리부로부터 상기 반사파를 신호처리하여 얻은 출력을 수신하며, 상기 출력을 이용하여 상기 위상차가 있는 두 클럭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신호 생성부는 제1 클럭 신호와 상기 제1 클럭 신호에 대하여 180도 반전된 위상을 가지는 제2 클럭 신호를 상기 위상차가 있는 두 클럭 신호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파를 수신하는 수신 안테나;
    상기 반사파와 기준파 간 주파수 차이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의 진동 주파수를 추출하는 믹서;
    추출된 진동 주파수를 증폭하는 증폭기;
    증폭된 진동 주파수의 진폭을 디지털 변환하여 진폭 데이터를 출력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및
    VCO(Voltage Control Oscillator), PLL(Phase Lock Loop) 및 첩(chirp) 발생기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파를 생성하는 주파수 생성기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호 처리부는 출력된 진폭 데이터를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거쳐 DBF(Digital Beamforming) 방법으로 신호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부는 상기 반사파를 신호처리하는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수행한 후 상기 타겟을 다시 선정하는 타겟 선정 알고리즘과 차량을 움직이거나 제동시키는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더 시스템.
KR1020130084702A 2013-07-18 2013-07-18 Smps 스위칭 주파수의 emi 특성이 개선된 레이더 시스템 KR102144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702A KR102144667B1 (ko) 2013-07-18 2013-07-18 Smps 스위칭 주파수의 emi 특성이 개선된 레이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4702A KR102144667B1 (ko) 2013-07-18 2013-07-18 Smps 스위칭 주파수의 emi 특성이 개선된 레이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0139A true KR20150010139A (ko) 2015-01-28
KR102144667B1 KR102144667B1 (ko) 2020-08-14

Family

ID=52482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4702A KR102144667B1 (ko) 2013-07-18 2013-07-18 Smps 스위칭 주파수의 emi 특성이 개선된 레이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6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83118A (zh) * 2016-08-25 2018-03-09 大连楼兰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毫米波雷达的固定翼无人机多目标防撞系统的防撞方法
KR20180045676A (ko) 2016-10-26 2018-05-0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CN114967895A (zh) * 2021-02-23 2022-08-30 万都移动系统股份公司 电子控制装置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9383A (ja) * 2011-03-09 2012-10-04 Denso Corp 電源装置,及びレーダ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9383A (ja) * 2011-03-09 2012-10-04 Denso Corp 電源装置,及びレーダ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83118A (zh) * 2016-08-25 2018-03-09 大连楼兰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毫米波雷达的固定翼无人机多目标防撞系统的防撞方法
KR20180045676A (ko) 2016-10-26 2018-05-0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제어 장치
CN114967895A (zh) * 2021-02-23 2022-08-30 万都移动系统股份公司 电子控制装置及方法
KR20220120786A (ko) * 2021-02-23 2022-08-31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전자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4667B1 (ko) 2020-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8170B2 (en) Active phased array transmitter, active phased array receiver, and active phased array transceiver
US20180088221A1 (en) Multi-radar system
JP3525425B2 (ja) Fm−cwレーダ
JP5413388B2 (ja) 電源装置,及びレーダシステム
US1010143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vehicle radar
JP2018516364A (ja) レーダシステムにおける雑音軽減
JP5815448B2 (ja) フェーズドアレイ送信装置
KR20130134843A (ko) 다중 송수신 레이더 시스템
KR101854459B1 (ko) 증폭이득을 조절가능한 레이더 시스템 및 레이더 신호 처리 방법
CN102104195A (zh) 使用频率的相控阵天线的波束调向系统
KR20150010139A (ko) Smps 스위칭 주파수의 emi 특성이 개선된 레이더 시스템
US7439905B2 (en) Radar apparatus
US10505770B2 (en) Reception signal processing device, radar, and object detection method
JP5182645B2 (ja) レーダ装置、及び障害物検知方法
KR102137932B1 (ko) Smps의 스위칭 주파수에 의한 주파수 간섭 제거 장치
US11353570B2 (en) Radar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radar system
JP2006105968A (ja) レーダ装置
JP2019060732A (ja) レーダ装置および位相補償方法
JP2010197283A (ja) レーダ装置
US20220050195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radar device
JP6801320B2 (ja) 艦船搭載レーダ装置
KR101030746B1 (ko) 레이더 수신기 및 그 표적 탐지 방법
JP2006047051A (ja) ミリ波レーダ装置
JP3234899B2 (ja) 送受信装置
US20220252710A1 (en) Radar signal processing device, radar device, radar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