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9258A - 양 방향으로 인출되는 한 쌍의 드로어를 갖는 저장고 - Google Patents

양 방향으로 인출되는 한 쌍의 드로어를 갖는 저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9258A
KR20150009258A KR1020130083485A KR20130083485A KR20150009258A KR 20150009258 A KR20150009258 A KR 20150009258A KR 1020130083485 A KR1020130083485 A KR 1020130083485A KR 20130083485 A KR20130083485 A KR 20130083485A KR 20150009258 A KR20150009258 A KR 20150009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opening
storage basket
storage
drawn 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3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양직
이상철
채영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3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9258A/ko
Priority to EP14169552.8A priority patent/EP2826403B1/en
Priority to US14/331,446 priority patent/US9301608B2/en
Publication of KR20150009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2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1/00Cabinets for perishable goods, e.g. meat safes, fly-proof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adaptation of compartments or drawers for receiving or holding foodstuffs; by provision of rotatable or extensible containers f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4Sequencing or synchronisation of drawer slides or functional units
    • A47B88/443Successive movement of rails within drawer slides, i.e. at least one rail element is not moving during the movement of oth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73Braking devices, e.g. linear or rotational dampers or friction brakes; Buffers; End 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83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single extensible guides o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70Coupled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70Coupled drawers
    • A47B88/75Coupled drawers the secondary drawer being in or above the primary draw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70Coupled drawers
    • A47B88/75Coupled drawers the secondary drawer being in or above the primary drawer
    • A47B2088/76Coupl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03Drawer slides being extractable on two or more sides of the cabine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저장고는 양 방향으로 인출되는 한 쌍의 드로어와, 한 쌍의 드로어가 인출될 때 연동되어 인출되는 하나의 공용 저장 바스켓을 포함한다. 한 쌍의 드로어 중에 어느 하나의 드로어가 인출되면 나머지 다른 드로어는 인출이 제한된다.

Description

양 방향으로 인출되는 한 쌍의 드로어를 갖는 저장고{STORAGE HAVING A COUPLE OF DRAWERS DRAWN IN OPPOSITE DIRECTIONS}
본 발명은 양 방향으로 인출되는 한 쌍의 드로어를 갖는 저장고에 관한 것이다.
아일랜드(island)식 저장고는 벽면에 밀착되지 않고 개방된 공간에 마치 섬과 같이 배치되는 저장고이다. 아일랜드식 저장고의 상부에는 식품을 올려 놓고 취식하거나 조리를 할 수 있는 탁자판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식품을 저장하는 저장실이 마련된다. 저장실에는 슬라이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로어(drawer,서랍)가 구비되기도 한다.
다만, 종래 아일랜드식 저장고의 드로어는 일 방향으로만 인출되도록 마련되어 사용자가 드로어에 식품을 저장하거나 드로어에 저장된 식품을 꺼내고자 할 때 드로어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복수의 사용자가 아일랜드식 저장고의 양 측에 서서 취식을 하거나 조리를 하는 경우에 아일랜드식 저장고의 일 측에 위치한 사용자만 드로어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으며, 반대 측에 위치한 사용자는 드로어에 접근하기가 곤란하다.
한편, 이러한 구조와는 달리 저장실에 서로 반대되는 양 방향으로 인출되는 한 쌍의 드로어가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이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도 각각의 드로어가 상호 독립된 별도의 저장 공간을 갖는다면 사실상 하나의 드로어만 구비되는 경우와 큰 차이가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양 방향으로 인출 가능한 한 쌍의 드로어를 구비하고, 한 쌍의 드로어는 하나의 저장 바스켓을 공유하는 저장고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저장고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제 1 개구와 상기 제 1 개구의 반대 측에 형성되는 제 2 개구를 갖는 저장실;과, 상기 제 1 개구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는 제 1 드로어;와, 상기 제 2 개구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는 제 2 드로어; 및 상기 제 1 드로어와 상기 제 2 드로어의 사이에 마련되는 저장 바스켓;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드로어와 상기 제 2 드로어 중 어느 하나가 인출된 상태에서 나머지 다른 하나가 인출되는 것이 제한되고, 상기 제 1 드로어가 인출될 때 상기 저장 바스켓이 상기 제 1 드로어와 함께 상기 제 1 개구를 통해 인출되고, 상기 제 2 드로어가 인출될 때 상기 저장 바스켓이 상기 제 2 드로어와 함께 상기 제 2 개구를 통해 인출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드로어는 상기 제 1 드로어와 상기 저장 바스켓을 연결시키는 연결 위치와, 상기 연결이 해제되는 비연결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1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연결 부재는 상기 본체에 의해 가압되는 피가압부와, 상기 저장 바스켓에 삽입되도록 상기 피가압부에서 절곡되게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
또한, 상기 저장 바스켓은 상기 연결 위치의 상기 제 1 연결 부재가 삽입되는 제 1 연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장 바스켓은 전벽과, 후벽과, 양 측벽과,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홈은 상기 저장 바스켓의 바닥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비연결 위치의 상기 제 1 연결 부재가 수용되는 제 1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제 1 드로어가 인출될 때 상기 제 1 연결 부재가 상기 비연결 위치에서 상기 연결 위치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 1 연결 부재를 가압하는 제 1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드로어의 후면은 상기 저장 바스켓이 통과하도록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드로어는 상기 저장 바스켓을 지지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드로어의 바닥부는 상기 제 2 드로어 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에서 상기 제 1 드로어 측으로 후퇴하는 오목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 부재는 상기 볼록부의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 1 드로어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제 1 드로어의 양 측에 마련되는 제 1 레일부와, 상기 제 2 드로어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제 2 드로어의 양 측에 마련되는 제 2 레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레일부와 상기 제 2 레일부는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높이 차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드로어는 상기 제 2 드로어와 상기 저장 바스켓을 연결시키는 연결 위치와, 상기 연결이 해제되는 비연결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2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연결 부재는 상기 본체에 의해 가압되는 피가압부와, 상기 저장 바스켓에 삽입되도록 상기 피가압부에서 절곡되게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 바스켓은 상기 연결 위치의 상기 제 2 연결 부재가 삽입되는 제 2 연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장 바스켓은 전벽과, 후벽과, 양 측벽과,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결홈은 상기 저장 바스켓의 상기 바닥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비연결 위치의 상기 제 2 연결 부재가 수용되는 제 2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제 2 드로어가 인출될 때 상기 제 2 연결 부재가 상기 비연결 위치에서 상기 연결 위치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 2 연결 부재를 가압하는 제 2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드로어의 후면은 상기 저장 바스켓이 통과하도록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드로어는 상기 저장 바스켓을 지지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드로어의 바닥부는 상기 제 1 드로어 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에서 상기 제 2 드로어 측으로 후퇴하는 오목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결 부재는 상기 볼록부의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저장고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제 1 개구와 상기 제 1 개구의 반대 측에 형성되는 제 2 개구를 갖는 저장실;과, 상기 제 1 개구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는 제 1 드로어;와, 상기 제 2 개구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는 제 2 드로어;와, 상기 제 1 드로어와 상기 제 2 드로어의 사이에 마련되는 저장 바스켓;과, 상기 제 1 드로어와 상기 저장 바스켓을 연결시키거나 연결 해제시키도록 상기 제 1 드로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1 연결 부재; 및 상기 제 2 드로어와 상기 저장 바스켓을 연결시키거나 연결 해제시키도록 상기 제 2 드로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2 연결 부재;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드로어가 인출되면 상기 제 1 연결 부재에 의해 상기 제 1 드로어와 상기 저장 바스켓이 연결되어 상기 저장 바스켓이 상기 제 1 드로어와 함께 상기 제 1 개구를 통해 인출되고, 상기 제 2 드로어가 인출되면 상기 제 2 연결 부재에 의해 상기 제 2 드로어와 상기 저장 바스켓이 연결되어 상기 저장 바스켓이 상기 제 2 드로어와 함께 상기 제 2 개구를 통해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드로어가 인출되면 상기 제 2 연결 부재의 운동이 구속되어 상기 제 2 드로어의 인출이 제한되고, 상기 제 2 드로어가 인출되면 상기 제 1 연결 부재의 운동이 구속되어 상기 제 1 드로어의 인출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드로어와 상기 제 2 드로어는 각각 상기 저장 바스켓이 통과하도록 후면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드로어와 상기 제 2 드로어는 각각 상기 저장 바스켓을 지지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드로어의 바닥부와, 상기 제 2 드로어의 바닥부는 각각 볼록부와 오목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드로어의 바닥부의 볼록부가 상기 제 2 드로어의 바닥부의 오목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드로어의 바닥부의 볼록부가 상기 제 1 드로어의 바닥부의 오목홈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 1 드로
또한, 상기 저장고는 상기 제 1 드로어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제 1 드로어의 양 측에 마련되는 제 1 레일부와, 상기 제 2 드로어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제 2 드로어의 양 측에 마련되는 제 2 레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레일부와 상기 제 2 레일부는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높이 차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저장고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제 1 개구와 상기 제 1 개구의 반대 측에 형성되는 제 2 개구를 갖는 저장실;과, 상기 제 1 개구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는 제 1 드로어;와, 상기 제 2 개구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는 제 2 드로어;와, 상기 제 1 드로어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레일부; 및 상기 제 2 드로어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레일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드로어와 상기 제 2 드로어는 서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레일부와 상기 제 2 레일부는 서로 높이차를 갖도록 마련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저장고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제 1 개구와 상기 제 1 개구의 반대 측에 형성되는 제 2 개구를 갖는 저장실;과, 상기 제 1 개구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는 제 1 드로어; 및 상기 제 2 개구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는 제 2 드로어;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드로어와 상기 제 2 드로어는 각각 상기 저장 바스켓을 지지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드로어의 바닥부와, 상기 제 2 드로어의 바닥부는 각각 볼록부와 오목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드로어의 바닥부의 볼록부가 상기 제 2 드로어의 바닥부의 오목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드로어의 바닥부의 볼록부가 상기 제 1 드로어의 바닥부의 오목홈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 1 드로어의 바닥부와 상기 제 2 드로어의 바닥부가 상호 맞물리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저장고는 전후의 양 방향으로 인출되는 한 쌍의 드로어와, 한 쌍의 드로어 중 어느 하나의 드로어를 인출하더라도 함께 인출되도록 마련되는 저장 바스켓을 구비하므로, 사용자는 전후방의 위치에 관계 없이 저장 바스켓을 용이하게 인출하여 식품을 저장하거나 식품을 꺼낼 수 있다.
만약 둘 이상의 사용자들이 저장고의 양 측에서 마주보면서 조리 작업을 한다면 양 측의 사용자 각각은 자신의 앞에 배치된 드로어를 인출하여 저장 바스켓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간의 협업이 용이하다. 일례로 일 측의 사용자가 제 1 드로어를 인출하여 저장 바스켓에 식품을 저장하였다면 타 측의 사용자가 제 2 드로어를 인출하여 그 식품을 꺼내 쓸 수 있다.
한 쌍의 드로어들 중에 어느 하나의 드로어가 인출될 때 저장 바스켓이 연동되어 함께 인출되는 메커니즘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사용자는 이러한 연동 구조에 대해 인지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저장고의 저장실에 배치되는 한 쌍의 드로어와 하나의 저장 바스켓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저장고의 한 쌍의 드로어의 바닥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저장고의 제 1 드로어와 저장 바스켓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 1 드로어가 인출될 때의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제 1 드로어가 인출될 때의 제 1 드로어와 저장 바스켓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제 1 드로어가 인출된 상태에서 제 2 드로어의 인출이 락킹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1의 저장고의 제 2 드로어가 인출될 때의 제 2 드로어와 저장 바스켓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저장고의 저장실에 배치되는 한 쌍의 드로어와 하나의 저장 바스켓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저장고의 한 쌍의 드로어의 바닥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고(1)는 벽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되지 않고 개방된 공간에 마치 섬과 같이 배치되어 둘 이상의 사용자가 마주보고 조리, 취식 및 설거지 등을 수행할 수 있고, 식품을 저장하는 저장실(20)이 구비된 소위 아일랜드(island)식 저장고이다.
저장고(1)는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실(20)을 갖는 본체(10)와, 식품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본체(10)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부판(11)과, 물을 공급받아 식품 및 식기를 씻고 닦을 수 있는 개수대(12)와, 외부의 급수원에 연결되어 개수대(12)에 물을 공급하는 수도 꼭지(13)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고(1)는 저장실(20)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기 공급 장치와, 저장실(20)을 단열하기 위한 단열 구조를 더욱 구비하여 식품을 냉동 보관할 수 있다. 일례로 저장실(20)의 상부에는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14,도 4)가 배치될 수 있다. 증발기(14)에서 생성된 냉기는 냉기 통과공(15)을 통해 저장실(20)로 공급될 수 있다. 다만, 이와는 달리 증발기는 저장실(20)을 직냉시키도록 직접 저장실(20)의 벽면에 밀착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증발기(14)와 함께 냉각 사이클을 형성하는 압축기(미도시), 응축기(미도시) 및 팽창 밸브(미도시)가 본체(10)에 적절히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저장실(20)은 본체(10)의 내부에 대략 박스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저장실(20)은 저장실(20)에 접근하도록 각각 저장고(1)의 전방(F)과 후방(R) 측을 향해 개방되는 제 1 개구(21,도 2)와, 제 2 개구(22,도 2)를 갖는다.
저장실(20)에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되는 한 쌍의 드로어(40,60)가 마련된다. 한 쌍의 드로어(40,60)는 저장실(20)의 제 1 개구(21)를 통해 저장고(1)의 전방을 향하여 인출되는 제 1 드로어(40)와, 저장실(20)의 제 2 개구(22)를 통해 저장고(1)의 후방을 향하여 인출되는 제 2 드로어(60)를 포함한다.
제 1 드로어(40)에는 손잡이(41a)가 마련되어 사용자는 손잡이(41a)를 잡고 제 1 드로어(40)를 인출할 수 있다. 제 2 드로어(60)에도 동일하게 손잡이(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 드로어(40)와 제 2 드로어(60)의 사이에는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 바스켓(80)이 마련될 수 있다. 저장 바스켓(80)은 제 1 드로어(40)의 인출 시에 제 1 드로어(40)에 연동되어 제 1 개구(21)를 통해 인출될 수 있으며, 제 2 드로어(40)의 인출 시에 제 2 드로어(60)에 연동되어 제 2 개구(22)를 통해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 바스켓(80)은 저장고(1)의 전방(F)과 후방(R) 측에서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제 1 드로어(40)와 제 2 드로어(60) 중 어느 하나의 드로어가 저장실(20)에서 조금이라도 인출된 상태에서 나머지 다른 드로어는 인출될 수 없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제 1 드로어(40), 제 2 드로어(60) 및 저장 바스켓(80)의 세부 구성 및 연결 구조에 대해 이하에서 상술한다.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드로어(40)는 후면이 개방된 대략 박스 형상을 갖는다. 즉, 제 1 드로어(40)는 저장실(20)의 제 1 개구(21)를 개폐하는 도어부(41)와, 저장 바스켓(80)을 지지하는 바닥부(45)와, 저장 바스켓(80)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바닥부(45)의 양측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양 측벽부(42,43)와, 저장 바스켓(80)이 통과하도록 개방된 후방 개구(44)를 포함한다. 도어부(41)에는 전술한 손잡이(41a)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 2 드로어(60) 역시 후면이 개방된 대략 박스 형상을 갖는다. 즉, 제 2 드로어(60)는 저장실(20)의 제 2 개구(22)를 개폐하는 도어부(61)와, 저장 바스켓(80)을 지지하는 바닥부(65)와, 저장 바스켓(80)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바닥부(65)의 양측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양 측벽부(62,63)와, 저장 바스켓(80)이 통과하도록 개방된 후방 개구(64)를 포함한다. 도어부(61)에는 손잡이(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드로어(40)와 제 2 드로어(60)는 대략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바닥부들(45,65)은 대칭되지 않고, 상호 맞물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드로어(40)의 양 측벽부(42,43)와, 제 2 드로어(60)의 양 측벽부(62,63)는 각각 저장실(20)의 전후 방향의 전체 길이의 절반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 1 드로어(40)와 제 2 드로어(60)가 모두 닫힌 상태에서도 제 1 드로어(40)의 양 측벽부(42,43)와, 제 2 드로어(60)의 양 측벽부(62,63)는 서로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제 1 드로어(40)의 바닥부(45)와, 제 2 드로어(60)의 바닥부(65)는 상호 맞물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드로어(40)의 바닥부(45)는 제 2 드로어(60) 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46)와, 볼록부(46)에서 제 1 드로어(40) 측으로 후퇴하는 오목홈부(47)를 포함하고, 제 2 드로어(60)의 바닥부(65)는 제 1 드로어(40) 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66)와, 볼록부(66)에서 제 2 드로어(60) 측으로 후퇴하는 오목홈부(6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드로어(40)와 제 2 드로어(60)가 닫힌 상태에서 제 1 드로어(40)의 볼록부(46)는 제 2 드로어(60)의 오목홈부(67)에 삽입되고, 제 2 드로어(60)의 볼록부(66)는 제 1 드로어(40)의 오목홈부(47)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써, 제 1 드로어(40)와 제 2 드로어(60)는 대략 동일한 높이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저장실(20)에 마련되면서도 서로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저장고(1)는 제 1 드로어(40)와, 제 2 드로어(60)를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레일부(110)와, 제 2 레일부(1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레일부(110)와, 제 2 레일부(120)는 각각 제 1 드로어(40)와, 제 2 드로어(60)의 양 측방에 마련될 수 있다.
제 1 레일부(110)와, 제 2 레일부(120)는 인출 거리를 증대시키기 위해 각각 3 단 레일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1 레일부(110)는 저장실(20)의 측벽(23,24)에 고정되는 본체 레일(111)과, 본체 레일(11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간 레일(112)과, 중간 레일(11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1 드로어(40)의 측벽부(42,43)에 고정되는 드로어 레일(113)을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레일부(120)는 저장실(20)의 측벽(23,24)에 고정되는 본체 레일(121)과, 본체 레일(12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간 레일(122)과, 중간 레일(12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2 드로어(60)의 측벽부(62,63)에 고정되는 드로어 레일(12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드로어(40)의 양 측벽(42,43)과, 제 2 드로어(60)의 양 측벽(62,63)이 비록 각각 저장실(20)의 전후 길이의 절반의 길이만을 가지고 있으나, 제 1 드로어(40)와, 제 2 드로어(60)는 각각 저장 바스켓(80)의 저장 공간(86)이 대부분 개방될 수 있도록 충분히 길게 인출되어야 한다.
즉, 제 1 드로어(40)와, 제 2 드로어(60)는 저장실(20)의 전후 길이의 절반이 아니라 대략 전체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인출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제 1 레일부(110)의 본체 레일(111)은 저장실(20)의 측벽(23,24)의 전단에서부터 후단에까지 연장되고, 제 2 레일부(120)의 본체 레일(121)은 저장실(20)의 측벽(23,24)의 전단에서부터 후단에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제 1 드로어(40)와, 제 2 드로어(60)는 대략 동일한 높이에 마련되지만, 제 1 레일부(110)와 제 2 레일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높이 차를 갖도록 마련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드로어(40)와, 제 2 드로어(60)의 인출 길이가 대략 저장실(20)의 전체의 전후 길이 정도 되어야 하므로, 제 1 레일부(110)와 제 2 레일부(120)가 동일한 높이에 마련되면 서로 간섭되거나 충돌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 1 드로어(40)의 측벽부(42,43)의 외측면에는 제 1 레일부(110)가 수용되는 제 1 레일 수용홈(48)과, 제 2 레일부(120)가 수용되는 제 3 레일 수용홈(49)이 마련될 수 있다. 제 1 레일부(110)와 제 2 레일부(120)가 서로 높이 차를 갖도록 마련되므로, 제 1 레일부(110)를 수용하는 제 1 레일 수용홈(48)과, 제 2 레일부(120)를 수용하는 제 3 레일 수용홈(49) 역시 서로 높이 차를 갖도록 마련된다.
제 2 드로어(60)의 측벽부(62,63)의 외측면에는 제 2 레일부(120)가 수용되는 제 2 레일 수용홈(68)과, 제 1 레일부(110)가 수용되는 제 4 레일 수용홈(69)이 마련될 수 있다. 제 1 레일부(110)와 제 2 레일부(120)가 서로 높이 차를 갖도록 마련되므로, 제 1 레일부(110)를 수용하는 제 2 레일 수용홈(68)과, 제 2 레일부(120)를 수용하는 제 4 레일 수용홈(69) 역시 서로 높이 차를 갖도록 마련된다.
한편, 제 1 드로어(40)와, 제 2 드로어(60)에는 각각 드로어의 인출 시에 저장 바스켓(80)이 함께 인출되도록 드로어와 저장 바스켓(80)을 연결시키는 제 1 연결 부재(50)와, 제 2 연결 부재(70)가 마련된다.
여기서, 저장 바스켓(80)은 실질적으로 식품을 저장할 수 있도록 제 1 드로어(40)와, 제 2 드로어(60)의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상면이 개방된 대략 박스 형상을 갖는다. 저장 바스켓(80)은 전방벽(81)과, 후방벽(82)과, 양 측벽(83,84)과, 바닥부(85)와, 저장 공간(86)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연결 부재(50)와, 제 2 연결 부재(70)는 각각 제 1 드로어(40)의 바닥부(46)와, 제 2 드로어(60)의 바닥부(6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세히, 제 1 연결 부재(50)는 제 1 드로어(40)의 바닥부(46)의 볼록부(46)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 2 연결 부재(70)는 제 2 드로어(60)의 바닥부(66)의 볼록부(66)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제 1 연결 부재(50)와, 제 2 연결 부재(70)에 상호 작용하도록 저장 바스켓(80)의 바닥부(85)에는 제 1 연결홈(91,도 4)과, 제 2 연결홈(92,도 8)이 마련된다. 또한, 저장실(20)의 바닥부(25)에는 제 1 수용홈(27)과 제 1 가압부(31)와, 제 2 수용홈(28)과 제 2 가압부(32)가 마련된다.
이하에서, 제 1 연결 부재(50)와 제 2 연결 부재(70)에 의해 드로어들(40,60)과 저장 바스켓(80)이 연동되는 구조와, 한 쌍의 드로어들(40,60) 중에 어느 하나의 드로어가 인출되면 나머지 다른 드로어의 인출이 방지되는 구조에 대해 상술한다.
도 4는 도 1의 저장고의 제 1 드로어와 저장 바스켓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 1 드로어가 인출될 때의 도 4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제 1 드로어가 인출될 때의 제 1 드로어와 저장 바스켓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제 1 드로어가 인출된 상태에서 제 2 드로어의 인출이 락킹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저장고의 제 2 드로어가 인출될 때의 제 2 드로어와 저장 바스켓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 1 연결 부재(50)와, 제 2 연결 부재(70)의 구성은 대칭되므로 이하에서 제 1 연결 부재(50)에 대해 주로 설명하고 제 2 연결 부재(70)에 공통되는 사항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연결 부재(50)는 제 1 드로어(40)의 바닥부(4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1 연결 부재(50)는 힌지축(5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 1 연결 부재(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드로어(40)와 저장 바스켓(80)을 연결시키지 않는 비연결 위치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드로어(40)와 저장 바스켓(80)을 연결시키는 연결 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제 1 연결 부재(50)가 비연결 위치에 있을 때, 제 1 연결 부재(50)는 저장 바스켓(80)에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제 1 연결 부재(50)가 연결 위치에 있을 때 제 1 드로어(40)가 움직이면 저장 바스켓(80)도 연동되어 함께 움직일 수 있다.
제 1 연결 부재(50)는 대략 꺽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제 1 연결 부재(50)는 힌지축(53)에 연결되는 피가압부(51)와, 피가압부(51)에서 절곡되게 형성되는 삽입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피가압부(51)와 삽입부(52)는 소정의 각도(θ)를 갖는다. 이때, 각도(θ)는 90도 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구애되는 것은 아니다.
피가압부(51)는 제 1 드로어(40)가 인출될 때 저장실(20)의 제 1 가압부(31)에 의해 가압을 받는다. 피가압부(51)가 제 1 가압부(31)에 의해 가압을 받음으로써 제 1 연결 부재(50)는 힌지축(53)을 중심으로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삽입부(52)는 제 1 연결 부재(50)가 회전하면 저장 바스켓(80)의 제 1 연결홈(91)에 삽입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제 1 드로어(40)와 저장 바스켓(80)을 연결시키고, 제 1 드로어(40)의 이동력을 저장 바스켓(8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저장실(20)의 제 1 수용홈(27)은 제 1 드로어(40)가 저장실(20)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제 1 연결 부재(50)를 수용한다. 제 1 수용홈(27)에 수용된 제 1 연결 부재(50)는 저장 바스켓(80)에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제 1 드로어(40)가 인출되면, 제 1 연결 부재(50)가 비연결 위치에서 연결 위치로 회전하면서 제 1 드로어(40)와 저장 바스켓(80)을 연결시켜서 저장 바스켓(80)이 제 1 드로어(40)와 함께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 1 드로어(40)가 인출된 상태에서 제 2 드로어(60)는 인출되는 것이 제한된다. 도 8은 제 1 드로어(40)가 인출된 상태에서 제 2 연결 부재(70)에 의해 제 2 드로어(60)의 인출이 제한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드로어(40)가 인출된 상태에서 제 2 연결 부재(70)는 저장실(20)의 제 2 수용홈(28)에 수용된 상태로 있다. 이 상태에서 제 2 드로어(60)를 후방(R)으로 인출하려고 시도하면, 제 2 연결 부재(70)는 저장실(20)의 제 2 가압부(32)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회전력을 받게 된다.
그러나, 저장 바스켓(80)이 제 1 드로어(40)와 함께 전방(F) 측으로 인출된 상태이므로, 저장 바스켓(80)에 마련된 제 2 연결홈(92)도 제 2 연결 부재(70)가 삽입될 수 없는 위치로 이동하여 있게 되고, 결국 제 2 연결 부재(70)는 저장 바스켓(80)의 바닥부(85)에 간섭되어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제 2 드로어(60)의 이동이 불가능해지고 결국 제 2 드로어(60)는 인출되지 못하게 된다.
제 2 드로어(60)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제 1 드로어(40)를 다시 저장실(20)에 완전히 인입시킨 후에 제 2 드로어(60)를 인출하여야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드로어(60)를 인출할 때 저장 바스켓(80)은 제 2 드로어(60)와 함께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제 2 드로어(60)가 인출된 상태에서는 제 1 드로어(40)는 제 1 연결 부재(50)에 의해 인출될 수 없다.
제 2 드로어(60)의 인출 시에 저장 바스켓(80)이 제 2 드로어(60)와 연동되어 함께 인출되는 구조와, 제 2 드로어(60)가 인출된 상태에서 제 1 드로어(40)의 인출이 제한되는 구조는 제 1 드로어(40)의 경우와 동일하다.
특정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저장고 10 : 본체
11 : 상부판 12 : 개수대
13 : 수도 꼭지 14 : 증발기
15 : 냉기 공급공 20 : 저장실
21 : 전방 개구(제 1 개구) 22 : 후방 개구(제 2 개구)
23 : 좌측벽 24 : 우측벽
25 : 바닥부 27 : 제 1 수용홈
28 : 제 2 수용홈 31 : 제 1 가압부
32 : 제 2 가압부 40 : 제 1 드로어
41 : 도어부 41a : 손잡이
42 : 좌측벽부 43 : 우측벽부
44 : 후방 개구 45 : 바닥부
46 : 볼록부 47 : 오목홈부
48 : 제 1 레일 수용홈 49 : 제 3 레일 수용홈
50 : 제 1 연결 부재 51 : 제 1 피가압부
52 : 제 1 삽입부 53 : 힌지축
60 : 제 2 드로어 61 : 도어부
62 : 좌측벽부 63 : 우측벽부
64 : 후방 개구 65 : 바닥부
66 : 볼록부 67 : 오목홈부
68 : 제 2 레일 수용홈 69 : 제 4 레일 수용홈
70 : 제 2 연결 부재 80 : 저장 바스켓
81 : 전벽 82 : 후벽
83 : 좌측벽 84 : 우측벽
85 : 바닥부 86 : 저장 공간
91 : 제 1 연결홈 92 : 제 2 연결홈
110 : 제 1 레일부 111 : 제 1 본체 레일
112 : 제 1 중간 레일 113 : 제 1 드로어 레일
120 : 제 2 레일부 121 : 제 2 본체 레일
122 : 제 2 중간 레일 123 : 제 2 드로어 레일
F : 저장고 전방 R : 저장고 후방
θ : 연결 부재의 각도

Claims (26)

  1.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제 1 개구와 상기 제 1 개구의 반대 측에 형성되는 제 2 개구를 갖는 저장실;
    상기 제 1 개구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는 제 1 드로어;
    상기 제 2 개구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는 제 2 드로어; 및
    상기 제 1 드로어와 상기 제 2 드로어의 사이에 마련되는 저장 바스켓;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드로어와 상기 제 2 드로어 중 어느 하나가 인출된 상태에서 나머지 다른 하나가 인출되는 것이 제한되고,
    상기 제 1 드로어가 인출될 때 상기 저장 바스켓이 상기 제 1 드로어와 함께 상기 제 1 개구를 통해 인출되고,
    상기 제 2 드로어가 인출될 때 상기 저장 바스켓이 상기 제 2 드로어와 함께 상기 제 2 개구를 통해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드로어는 상기 제 1 드로어와 상기 저장 바스켓을 연결시키는 연결 위치와, 상기 연결이 해제되는 비연결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1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 부재는 상기 본체에 의해 가압되는 피가압부와, 상기 저장 바스켓에 삽입되도록 상기 피가압부에서 절곡되게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바스켓은 상기 연결 위치의 상기 제 1 연결 부재가 삽입되는 제 1 연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바스켓은 전벽과, 후벽과, 양 측벽과,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홈은 상기 저장 바스켓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비연결 위치의 상기 제 1 연결 부재가 수용되는 제 1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 1 드로어가 인출될 때 상기 제 1 연결 부재가 상기 비연결 위치에서 상기 연결 위치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 1 연결 부재를 가압하는 제 1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드로어의 후면은 상기 저장 바스켓이 통과하도록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드로어는 상기 저장 바스켓을 지지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드로어의 바닥부는 상기 제 2 드로어 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에서 상기 제 1 드로어 측으로 후퇴하는 오목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 부재는 상기 볼록부의 단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드로어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제 1 드로어의 양 측에 마련되는 제 1 레일부와, 상기 제 2 드로어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제 2 드로어의 양 측에 마련되는 제 2 레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레일부와 상기 제 2 레일부는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높이 차를 갖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드로어는 상기 제 2 드로어와 상기 저장 바스켓을 연결시키는 연결 위치와, 상기 연결이 해제되는 비연결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2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 부재는 상기 본체에 의해 가압되는 피가압부와, 상기 저장 바스켓에 삽입되도록 상기 피가압부에서 절곡되게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바스켓은 상기 연결 위치의 상기 제 2 연결 부재가 삽입되는 제 2 연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바스켓은 전벽과, 후벽과, 양 측벽과,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결홈은 상기 저장 바스켓의 상기 바닥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비연결 위치의 상기 제 2 연결 부재가 수용되는 제 2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 2 드로어가 인출될 때 상기 제 2 연결 부재가 상기 비연결 위치에서 상기 연결 위치로 회전하도록 상기 제 2 연결 부재를 가압하는 제 2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드로어의 후면은 상기 저장 바스켓이 통과하도록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드로어는 상기 저장 바스켓을 지지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드로어의 바닥부는 상기 제 1 드로어 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와, 상기 볼록부에서 상기 제 2 드로어 측으로 후퇴하는 오목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결 부재는 상기 볼록부의 단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
  19.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제 1 개구와 상기 제 1 개구의 반대 측에 형성되는 제 2 개구를 갖는 저장실;
    상기 제 1 개구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는 제 1 드로어;
    상기 제 2 개구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는 제 2 드로어;
    상기 제 1 드로어와 상기 제 2 드로어의 사이에 마련되는 저장 바스켓;
    상기 제 1 드로어와 상기 저장 바스켓을 연결시키거나 연결 해제시키도록 상기 제 1 드로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1 연결 부재; 및
    상기 제 2 드로어와 상기 저장 바스켓을 연결시키거나 연결 해제시키도록 상기 제 2 드로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2 연결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드로어가 인출되면 상기 제 1 연결 부재에 의해 상기 제 1 드로어와 상기 저장 바스켓이 연결되어 상기 저장 바스켓이 상기 제 1 드로어와 함께 상기 제 1 개구를 통해 인출되고,
    상기 제 2 드로어가 인출되면 상기 제 2 연결 부재에 의해 상기 제 2 드로어와 상기 저장 바스켓이 연결되어 상기 저장 바스켓이 상기 제 2 드로어와 함께 상기 제 2 개구를 통해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드로어가 인출되면 상기 제 2 연결 부재의 운동이 구속되어 상기 제 2 드로어의 인출이 제한되고,
    상기 제 2 드로어가 인출되면 상기 제 1 연결 부재의 운동이 구속되어 상기 제 1 드로어의 인출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드로어와 상기 제 2 드로어는 각각 상기 저장 바스켓이 통과하도록 후면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드로어와 상기 제 2 드로어는 각각 상기 저장 바스켓을 지지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드로어의 바닥부와, 상기 제 2 드로어의 바닥부는 각각 볼록부와 오목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드로어의 바닥부의 볼록부가 상기 제 2 드로어의 바닥부의 오목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드로어의 바닥부의 볼록부가 상기 제 1 드로어의 바닥부의 오목홈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 1 드로어의 바닥부와 상기 제 2 드로어의 바닥부가 상호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드로어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제 1 드로어의 양 측에 마련되는 제 1 레일부와, 상기 제 2 드로어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제 2 드로어의 양 측에 마련되는 제 2 레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레일부와 상기 제 2 레일부는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높이 차를 갖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
  25.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제 1 개구와 상기 제 1 개구의 반대 측에 형성되는 제 2 개구를 갖는 저장실;
    상기 제 1 개구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는 제 1 드로어;
    상기 제 2 개구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는 제 2 드로어;
    상기 제 1 드로어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레일부; 및
    상기 제 2 드로어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레일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레일부와 상기 제 2 레일부는 서로 높이차를 갖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
  26.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제 1 개구와 상기 제 1 개구의 반대 측에 형성되는 제 2 개구를 갖는 저장실;
    상기 제 1 개구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는 제 1 드로어; 및
    상기 제 2 개구를 통해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실에 마련되는 제 2 드로어;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드로어와 상기 제 2 드로어는 각각 상기 저장 바스켓을 지지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드로어의 바닥부와, 상기 제 2 드로어의 바닥부는 각각 볼록부와 오목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드로어의 바닥부의 볼록부가 상기 제 2 드로어의 바닥부의 오목홈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드로어의 바닥부의 볼록부가 상기 제 1 드로어의 바닥부의 오목홈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 1 드로어의 바닥부와 상기 제 2 드로어의 바닥부가 상호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고.
KR1020130083485A 2013-07-16 2013-07-16 양 방향으로 인출되는 한 쌍의 드로어를 갖는 저장고 KR2015000925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485A KR20150009258A (ko) 2013-07-16 2013-07-16 양 방향으로 인출되는 한 쌍의 드로어를 갖는 저장고
EP14169552.8A EP2826403B1 (en) 2013-07-16 2014-05-23 Storage having pair of drawers drawn in opposite directions
US14/331,446 US9301608B2 (en) 2013-07-16 2014-07-15 Storage having pair of drawers drawn in opposite direc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3485A KR20150009258A (ko) 2013-07-16 2013-07-16 양 방향으로 인출되는 한 쌍의 드로어를 갖는 저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258A true KR20150009258A (ko) 2015-01-26

Family

ID=50842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3485A KR20150009258A (ko) 2013-07-16 2013-07-16 양 방향으로 인출되는 한 쌍의 드로어를 갖는 저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301608B2 (ko)
EP (1) EP2826403B1 (ko)
KR (1) KR201500092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4948A (ko) * 2020-06-30 2022-01-12 칭다오 하이가오 디자인 &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69550B2 (en) 2019-05-10 2020-12-22 AMQ Solutions, LLC Mobile office storage assembly
USD915797S1 (en) 2019-05-10 2021-04-13 AMQ Solutions, LLC Mobile storage arrangement
KR20210110975A (ko) * 2020-03-02 2021-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간 배치형 냉장고 시스템
US11147373B1 (en) * 2020-04-07 2021-10-19 Bryan Ramsey Adult product storage assembly
PL433521A1 (pl) 2020-04-13 2021-10-18 Sobczak Robert Szuflada z dwustronnie wysuwaną skrzynią
US11324315B2 (en) * 2020-11-12 2022-05-10 Qingdao Haigao Design & Manufacturing Co., Ltd.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53121A (en) * 1920-11-29 1923-04-24 Arthur M Benner Drawer
US1653530A (en) * 1927-02-25 1927-12-20 Abrachinsky Joseph Store fixture
US2171772A (en) * 1938-04-06 1939-09-05 John C Viehmann Table with drawer
US2404851A (en) * 1942-01-23 1946-07-30 Knowles Refrigerated locker
US2716046A (en) * 1953-09-18 1955-08-23 Herbert A Minturn Cabinet two-way drawer stop
DE2054400B1 (de) * 1970-11-05 1972-06-29 L. & C. Arnold, 7060 Schorndorf Kombinierter Bett-Nachttisch mit einem an einer Seite angeordneten Bett-Tischteil und mit einer durchschiebbaren Schublade
US4002385A (en) * 1975-12-12 1977-01-11 Hone Vernon R Double pull drawer
US4178049A (en) * 1978-07-10 1979-12-11 Lyon Metal Products, Incorporated Shelf box with dual pivoting stop mechanism
FR2679116B1 (fr) * 1991-07-16 1993-12-17 Renoux Bares Claude Tiroir ou socle s'ouvrant sur deux faces opposees d'un meuble.
KR0150011B1 (ko) 1992-12-31 1998-10-15 정장호 프로세서간 직렬버스통신 장치
KR0158918B1 (ko) 1994-12-30 1998-12-01 배순훈 Atm 사용자망접면에서 호 및 접속 제어방법
US5682936A (en) * 1996-01-16 1997-11-04 Higdon, Jr.; Joseph W. Cabinet drawer construction and method
KR100208965B1 (ko) 1996-08-08 1999-07-15 유기범 국설 전전자교환기의 안내대운영제어방법
US6155216A (en) 1998-01-26 2000-12-05 Riley; Michael B Variable valve apparatus
KR100402602B1 (ko) 2001-07-06 2003-10-17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양면개폐가 가능한 냉장고
JP3812664B2 (ja) * 2002-08-23 2006-08-23 繁夫 尾野 両面引出し
JP4208118B2 (ja) * 2002-12-13 2009-01-14 サンウエーブ工業株式会社 両引き引出し構造
DE102007001711A1 (de) 2007-01-11 2008-07-17 EKATO Rühr- und Mischtechnik GmbH Rühranordnung mit einem Rührorgan und einer Begasungseinrichtung
JP5123068B2 (ja) * 2008-06-18 2013-01-16 日本アキュライド株式会社 双方向引出し構造
KR20110040572A (ko) 2009-10-14 2011-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방가구용 빌트인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4948A (ko) * 2020-06-30 2022-01-12 칭다오 하이가오 디자인 &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26403B1 (en) 2017-08-02
EP2826403A1 (en) 2015-01-21
US20150022067A1 (en) 2015-01-22
US9301608B2 (en) 201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1184B2 (en) Refrigerator
KR20150009258A (ko) 양 방향으로 인출되는 한 쌍의 드로어를 갖는 저장고
RU2484392C1 (ru) Холодильник
EP2438373B1 (en) Refrigerator
US20190383549A1 (en) Refrigerator
KR102186243B1 (ko) 냉장고
US20060213852A1 (en) Beverage refrigerator
EP3674640B1 (en) Refrigerator
JP2013139987A (ja) 支持装置
KR20110011400A (ko) 냉장고
KR20100138098A (ko) 높이조절 수납부재가 구비된 냉장고
EP3175188B1 (en) Refrigerator
CN106662392A (zh) 冰箱
KR102183870B1 (ko) 냉장고
KR20130053593A (ko) 냉장고
CN212057885U (zh) 制冷器具
JP5491887B2 (ja) 冷蔵庫
KR20060032686A (ko) 냉장고 인출식 선반
KR20090078390A (ko) 냉장고
JP2008039295A (ja) 冷凍冷蔵庫
KR20150074233A (ko) 냉장고
KR102392210B1 (ko) 냉장고
KR101221191B1 (ko) 복합형 하이브리드 냉장고
KR101377016B1 (ko) 복합 도어형 냉장고
KR200340653Y1 (ko) 양문 개폐형 냉장고의 홈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