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016B1 - 복합 도어형 냉장고 - Google Patents

복합 도어형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016B1
KR101377016B1 KR1020120124186A KR20120124186A KR101377016B1 KR 101377016 B1 KR101377016 B1 KR 101377016B1 KR 1020120124186 A KR1020120124186 A KR 1020120124186A KR 20120124186 A KR20120124186 A KR 20120124186A KR 101377016 B1 KR101377016 B1 KR 101377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orage
main body
drawer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4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은지
김지수
조수연
Original Assignee
임은지
조수연
김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은지, 조수연, 김지수 filed Critical 임은지
Priority to KR1020120124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0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실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과 함께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 보조실을 구비하는 회전식 도어; 및 상기 저장 공간에서 상기 본체의 측방으로 인출되거나 상기 인출 방향과 반대로 상기 저장 공간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 공간 내에 위치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에 연결되어 상기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를 탄성에 의해 상기 저장 공간으로 복귀시키도록 형성되는 탄성 부재를 갖는, 서랍식 도어를 포함하는, 복합 도어형 냉장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복합 도어형 냉장고{REFRIGERATOR HAVING COMPLEX DOOR}
본 발명은 식품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하는 복합 도어형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냉장고의 대용량화로 인해, 냉장고의 회전식 도어의 두께도 점차 두꺼워지고 있다. 두께의 증가로 인해 무게도 함께 증가하여, 여성이나 노약자에게는 회전식 도어를 개폐하는 것이 불편한 일이 되었다.
이러한 냉장고는 일반적으로 식품을 꺼내어 신속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싱크대 옆에 배치된다. 또한, 최근에는 빌트인 타입의 유행으로, 냉장고의 측면이 싱크대와 맞닿아 일체감을 이룰 수 있도록 배치되고 있다.
이러한 배치로 인해, 양념장과 같이 부피가 작은 식품을 꺼내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싱크대에서 냉장고의 앞쪽으로 이동한 뒤, 무거운 회전식 도어를 열고 필요한 식품을 꺼내야 한다. 양념장 등은 조리시마다 자주 사용되는 식품으로서, 이를 냉장고에서 꺼낼 때마다 냉장고 앞쪽으로 이동하여 무거운 회전식 도어를 개폐하는 것은 상당히 번거로운 일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피가 작고 빈번히 사용되는 식품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하면서도 부피가 큰 식품도 동시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 도어형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복합 도어형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과 함께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 보조실을 구비하는 회전식 도어; 및 상기 저장 공간에서 상기 본체의 측방으로 인출되거나 상기 인출 방향과 반대로 상기 저장 공간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 공간 내에 위치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에 연결되어 상기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를 탄성에 의해 상기 저장 공간으로 복귀시키도록 형성되는 탄성 부재를 갖는, 서랍식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랍식 도어는 상기 회전식 도어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부가 상기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 보조실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여기서, 상기 서랍식 도어는, 상기 수납부에 상기 인출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식 도어는, 상기 회전식 도어의 측면에 상기 레일을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일은 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걸림홈에 안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랍식 도어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부가 상기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실에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상기 서랍식 도어가 설치되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 관통 개구되어 형성되는 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랍식 도어는, 상기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를 폐쇄하도록 형성되는 도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랍식 도어는, 상기 수납부와 상기 도어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샤프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수납부가 상기 인출 방향을 따르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수납부 및 상기 도어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수납부가 상기 인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르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수납부 및 상기 도어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납부는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는, 상기 후크가 탈착 가능하게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복합 도어형 냉장고에 의하면, 식품을 부피나 사용 빈도에 따라 나누어 보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서랍식 도어를 이용하여 부피가 작고 빈번히 사용되는 식품을 최소한의 동선을 따라 신속하고 간편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부피가 큰 식품도 회전식 도어를 이용하여 동시에 저장할 수 있어, 사용자는 식품을 부피나 사용 빈도에 따라 최적의 방식으로 수납하거나 꺼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도어형 냉장고(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복합 도어형 냉장고(100)의 회전식 도어(130)와 서랍식 도어(150)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도어형 냉장고(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복합 도어형 냉장고(100')의 서랍식 도어(150')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도어형 냉장고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도어형 냉장고(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복합 도어형 냉장고(100)는, 본체(110), 회전식 도어(130), 및 서랍식 도어(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복합 도어형 냉장고(100)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요소이다. 본체(110)는 내부에 식품이 저장되도록 형성되는 저장실(111)을 구비할 수 있다.
회전식 도어(130)는 저장실(111)을 개폐하는 요소이다. 회전식 도어(130)는 본체(11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회전식 도어(130)는 후면에 저장 보조실(131)을 구비할 수 있다. 저장 보조실(131)은 저장실(111)과 함께 저장 공간을 형성한다.
서랍식 도어(150)는 식품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진 요소이다. 서랍식 도어(150)는 저장 공간에서 본체(110)의 측방으로 인출될 수 있고, 저장 공간으로 다시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서랍식 도어(150)는 회전식 도어(130)의 측면(132)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랍식 도어(150)는, 본체(110)의 측면(112)의 옆에 싱크대 등이 설치되었을 때 서랍식 도어(150)가 싱크대 위쪽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회전식 도어(130)의 측면(132)에서 위쪽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복합 도어형 냉장고(100)의 회전식 도어(130)와 서랍식 도어(150)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 (a)는 서랍식 도어(150)가 인출된 상태(A)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2 (b)는 서랍식 도어(150)가 인입된 상태(B)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 (a)를 참조하면, 회전식 도어(130)는 저장 보조실(131), 제1 개구(133), 및 가이드(135)를 구비할 수 있다.
저장 보조실(131)은 회전식 도어(130)의 후면에 음료수 등과 같이 부피가 작은 식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공간이다. 저장 보조실(131)은 본체(110)의 저장실(111)과 소통되어, 저장실(111, 이상 도 1 참조)로부터 냉기를 전달받도록 형성된다.
제1 개구(133)는 서랍식 도어(150)가 인출 또는 인입되는 통로이다. 제1 개구(133)는 회전식 도어(130)의 측면(132)에 관통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135)는 서랍식 도어(150)를 안내하는 요소이다. 가이드(135)는 회전식 도어(130)의 측면(132)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135)는 회전식 도어(130)의 측면(132)에 형성된 제1 개구(133)에서 수납부(151)의 하측면과 마주하는 가장자리에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135)는 서랍식 도어(150)의 인출 방향(C)을 따라 형성되는 장형의 홈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135)는 걸림 돌기(137)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 돌기(137)는 서랍식 도어(150)를 일정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요소이다. 걸림 돌기(137)는 서랍식 도어(150) 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서랍식 도어(150)는 양념통, 음료수캔과 같이 자주 사용되는 식품이 수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서랍식 도어(150)는 회전식 도어(130)의 측면(132)에 설치되어, 본체(110)의 측방으로 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서랍식 도어(150)는 수납부(151), 도어부(153), 레일(157), 및 탄성 부재(159)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부(151)는 식품을 수납하도록 형성되는 요소이다. 수납부(151)에는 양념통, 음료수캔 등과 같이 부피가 작은 식품이 수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납부(151)는 부피가 작은 식품을 간편하게 꺼내 사용할 수 있도록 수납되는 식품에 대응하는 작은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수납부(151)는 저장 보조실(131)로 인입될 수 있도록 저장 보조실(131)의 너비보다 작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수납부(151)는 식품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수납되는 식품보다 작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도어부(153)는 제1 개구(133)를 폐쇄하도록 형성되는 요소이다. 이를 위해, 도어부(153)는 제1 개구(133)에 대응하는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도어부(153)는 수납부(151)와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어부(153)는 외면에 손잡이(154)를 구비할 수 있다.
레일(157)은 서랍식 도어(150)가 인출 방향(C)을 따라 인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요소이다. 이를 위해, 레일(157)은 수납부(151)의 하측면에 인출 방향(C)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레일(157)은 가이드(135)와 맞물려 수납부(151)가 미끄러지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레일(157)은 걸림홈(158)을 구비할 수 있다. 걸림홈(158)은 걸림 돌기(137)가 안착되는 홈이다. 이를 위해, 걸림홈(158)은 레일(157)의 하측면에 걸림 돌기(137)와 대응하는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158)은 제1 걸림홈(158a)과 제2 걸림홈(158b)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159)는 수납부(151)를 저장 보조실(131)로 복귀시키는 요소이다. 이를 위해, 탄성 부재(159)는 수납부(151)와 회전식 도어(130)의 일측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 부재(159)의 일단은 수납부(151)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체(160)에 연결되고, 탄성 부재(159)의 타단은 회전식 도어(130)의 측면(132)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159)는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복합 도어형 냉장고(100)의 작동 방식을 설명한다.
도 2 (a)를 참조하면, 서랍식 도어(150)는 회전식 도어(130)의 측면(132)에서 본체(110)의 측방으로 인출된 상태(A)에 있을 수 있다. 서랍식 도어(150)의 인출은 손잡이(154)를 잡고 꺼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서랍식 도어(150)는 레일(157)과 가이드(135)에 의해 본체(110)의 측방을 따라 인출되도록 형성된다. 서랍식 도어(150)가 인출된 경우, 걸림 돌기(137)가 제1 걸림홈(158a)에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탄성 부재(159)가 서랍식 도어(150)의 인출로 인해 압축되더라도 수납부(151)는 저장 보조실(131)로 복귀되지 않을 수 있다.
서랍식 도어(150)에서 필요한 식품을 꺼내고 나면, 서랍식 도어(150)는 도 2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시 저장 보조실(131)로 인입될 수 있다. 서랍식 도어(150)의 인입은 도어부(153)의 외면을 미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부(153)를 밀게 되면, 걸림 돌기(137)가 제1 걸림홈(158a)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후, 수납부(151)는 탄성 부재(159)의 탄성에 의해 저장 보조실(131)로 자동적으로 복귀될 수 있다. 수납부(151)의 인입도 레일(157)과 가이드(135)에 의해 안내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수납부(151)가 인입되는 방향은 인출 방향(C)의 반대 방향이다. 수납부(151)가 저장 보조실(131)로 복귀되어 인입된 상태(B)에 있을 때, 걸림 돌기(137)는 제2 걸림홈(158b)에 안착될 수 있다.
도 2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랍식 도어(150)가 인입된 상태(B)에 있을 때, 도어부(153)는 제1 개구(133)를 밀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 돌기(137)가 제2 걸림홈(158b)에 안착되어, 도어부(153)와 제1 개구(133) 사이의 틈새는 보다 안정적으로 밀폐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 보조실(131)의 냉기는 도어부(153)와 제1 개구(133)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새어나오지 않게 된다.
서랍식 도어(150)가 인입된 상태(B)에 있을 때, 수납부(151)는 회전식 도어(130)의 후면에 형성된 저장 보조실(131)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수납부(151)는 회전식 도어(130)의 후면에 설치되는 통상의 선반처럼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도어형 냉장고(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두꺼운 회전식 도어(130, 도 1 참조)를 갖는 대용량의 양문형 냉장고와 달리, 일반적인 중소형 냉장고에는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회전식 도어(1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식 도어(130')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서랍식 도어(150')가 본체(11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복합 도어형 냉장고(100')의 저장실(111)은, 본체(110')의 상측에 형성되는 냉동실(111a)과, 본체(110')의 하측에 형성되는 냉장실(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서랍식 도어(150')는 본체(110')의 측면(112)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랍식 도어(150')는 수납부(151)가 냉장실(111b)의 상측 전방에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체(110')의 측면(112)의 옆에 싱크대(S) 등이 설치되었을 때에도, 서랍식 도어(150')가 싱크대(S) 위쪽에 배치되도록 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싱크대(S)에서 조리시 양념장 등을 꺼내기 위해 복합 도어형 냉장고(100')의 앞쪽으로 이동할 필요가 없으며, 서랍식 도어(150')에서 양념장을 바로 꺼내어 조리에 이용할 수 있다.
본체(110')의 측면(112)에는 제2 개구(1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구(113)는 상술한 제1 개구(133, 이하 도 2 참조)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개구(113,133)는 서랍식 도어(150 또는 150')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각각 제1 개구(133) 및 제2 개구(113)를 가질 수 있다.
서랍식 도어(150')는 외력에 의해 저장 공간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인입된 상태에서, 수납부(151)는 상술한 실시예와 달리 본체(110')의 저장실(111)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수납부(151)는 본체(110')의 저장실(111)에 설치되는 통상의 선반처럼 사용될 수 있다.
서랍식 도어(150')가 본체(110')의 측면(112)에 설치되는 경우, 수납부(151)가 인입 상태에서 저장실(111)의 뒷편에 배치된 식품을 가릴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저장실(111)의 뒷편에 배치된 식품을 꺼낼 수 있도록 하는 서랍식 도어(150')의 구성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복합 도어형 냉장고(100')의 서랍식 도어(150')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다.
도 4 (a) 및 도 4 (b)를 참조하면, 서랍식 도어(150')는, 수납부(151)와 도어부(153)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샤프트(161)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4 (a)를 참조하면, 샤프트(161)는, 수납부(151)가 인출 방향(C)을 따르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수납부(151) 및 도어부(153)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샤프트(161)의 일단은 도어부(153)의 후면(155)에 연결되고, 샤프트(161)의 타단은 도어부(153)의 후면(155)과 마주하는 수납부(151)의 측면(152)에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161)는 수납부(151)의 과도한 회전으로 인해 식품이 쓰러지거나 수납부(151)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일정 각도 이상의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수납부(151)의 상단이 인출 방향(C)을 따르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제1 방향(R1)을 따라 뒷편으로 기울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납부(151)의 상단을 제1 방향(R1)을 따라 뒷편으로 기울인 후, 수납부(151)의 뒷편에 저장된 식품을 간편하게 꺼낼 수 있다.
도 4 (b)를 참조하면, 샤프트(161)는, 수납부(151)가 인출 방향(C)과 교차하는 방향(D)을 따르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수납부(151) 및 도어부(153)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인출 방향(C)과 교차하는 방향(D)은, 인출 방향(C)과 대략 수직을 이루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도어부(153)의 후면(155), 및 도어부(153)의 후면(155)과 마주하는 수납부(151)의 측면(152)에는 각각 경첩 형태의 연결부(163)가 구비될 수 있다. 샤프트(161)는 이러한 연결부(16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수납부(151)가 샤프트(161)를 중심으로 제2 방향(R2)을 따라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수납부(151)를 제2 방향(R2)을 따라 저장실(111)의 뒷편으로 밀거나, 또는 수납부(151)를 제2 방향(R2)의 반대 방향을 따라 저장실(111)의 앞쪽으로 당긴 후, 저장실(111)에서 수납부(151)의 뒷편에 저장된 식품을 꺼낼 수 있다.
도 4 (c)는 서랍식 도어(150')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수납부(151)는 후크(165)를 포함하고, 도어부(153)는 걸림턱(167)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크(165)는 도어부(153)의 후면(155)과 마주하는 수납부(151)의 측면(152)에 형성되고, 걸림턱(167)은 도어부(153)의 후면(155)에 형성될 수 있다. 후크(165)는 걸림턱(167)에 걸쳐질 수 있도록 걸림턱(167)에 대응하는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후크(165)와 걸림턱(167)은 서로 위치를 바꾸어 각각 도어부(153)의 후면(155)과 수납부(151)의 일 측면(152)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수납부(151)가 도어부(153)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납부(151)를 잡아 올려 도어부(153)로부터 해제시킨 후, 수납부(151)의 뒷편에 저장된 식품을 꺼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복합 도어형 냉장고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100': 복합 도어형 냉장고 110,110': 본체
111: 저장실 130,130': 회전식 도어
131: 저장 보조실 135: 가이드
150,150': 서랍식 도어 151: 수납부
153: 도어부 157: 레일
159: 탄성 부재 161: 샤프트

Claims (11)

  1. 저장실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과 함께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 보조실을 구비하는 회전식 도어; 및
    상기 저장 공간에서 상기 본체의 측방으로 인출되거나 상기 인출 방향과 반대로 상기 저장 공간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 공간 내에 위치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에 연결되어 상기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를 탄성에 의해 상기 저장 공간으로 복귀시키도록 형성되는 탄성 부재를 갖는, 서랍식 도어를 포함하는, 복합 도어형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식 도어는 상기 회전식 도어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부가 상기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 보조실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복합 도어형 냉장고.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식 도어는, 상기 수납부에 상기 인출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식 도어는, 상기 회전식 도어의 측면에 상기 레일을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복합 도어형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걸림홈에 안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복합 도어형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식 도어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수납부가 상기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실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복합 도어형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서랍식 도어가 설치되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 관통 개구되어 형성되는 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랍식 도어는, 상기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를 폐쇄하도록 형성되는 도어부를 더 포함하는, 복합 도어형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식 도어는, 상기 수납부와 상기 도어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복합 도어형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수납부가 상기 인출 방향을 따르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수납부 및 상기 도어부에 각각 연결되는, 복합 도어형 냉장고.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수납부가 상기 인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르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수납부 및 상기 도어부에 각각 연결되는, 복합 도어형 냉장고.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는, 상기 후크가 탈착 가능하게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복합 도어형 냉장고.
KR1020120124186A 2012-11-05 2012-11-05 복합 도어형 냉장고 KR101377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186A KR101377016B1 (ko) 2012-11-05 2012-11-05 복합 도어형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186A KR101377016B1 (ko) 2012-11-05 2012-11-05 복합 도어형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7016B1 true KR101377016B1 (ko) 2014-03-27

Family

ID=50649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4186A KR101377016B1 (ko) 2012-11-05 2012-11-05 복합 도어형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701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4400U (ko) * 1973-11-30 1975-07-18
JPH0182489U (ko) * 1987-11-24 1989-06-01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4400U (ko) * 1973-11-30 1975-07-18
JPH0182489U (ko) * 1987-11-24 1989-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1184B2 (en) Refrigerator
EP2314965B1 (en) Refrigerator with split type shelves
KR101176865B1 (ko) 음료저장용 냉장고
EP2420776B1 (en) Refrigerator
KR102186243B1 (ko) 냉장고
KR102114074B1 (ko) 수납용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US20080168794A1 (en) Refrigerator
EP3228968B1 (en) Refrigerator
EP3152502B1 (en) Refrigerator
KR101741392B1 (ko) 자동 인출 선반을 포함하는 냉장고
KR102227959B1 (ko) 냉장고
KR20110080523A (ko) 커버어셈블리를 가진 서랍칸을 포함하는 냉장고
KR101377016B1 (ko) 복합 도어형 냉장고
KR101055736B1 (ko) 김치냉장고
KR101212099B1 (ko) 냉장고
EP4300019A1 (en) Refrigerator
KR102093456B1 (ko) 냉장고
KR200336428Y1 (ko) 냉장고용 야채박스의 이중 개폐구조
KR20200127792A (ko) 냉장고
KR100855678B1 (ko) 냉장고의 야채실 수납장치
KR20230101423A (ko) 냉장고
KR102037302B1 (ko) 냉장고
KR100975576B1 (ko) 냉장고
KR20190104107A (ko) 냉장고
JP2021023452A (ja) コーナーキャビネット及びキッチン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