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8670A - 누수감지 기능을 구비한 다이아프램 밸브 - Google Patents

누수감지 기능을 구비한 다이아프램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8670A
KR20150008670A KR1020130082901A KR20130082901A KR20150008670A KR 20150008670 A KR20150008670 A KR 20150008670A KR 1020130082901 A KR1020130082901 A KR 1020130082901A KR 20130082901 A KR20130082901 A KR 20130082901A KR 20150008670 A KR20150008670 A KR 20150008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phragm
protector
leakage
main body
conductor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2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9385B1 (ko
Inventor
강기완
최희영
원지연
임훈우
Original Assignee
후성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성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후성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2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385B1/ko
Publication of KR20150008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8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1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flat, dished, or bowl-shaped diaphrag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다이아프램 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관로를 형성하는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기 내부공간에 탄성 변형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다이아프램; 상기 다이아프램을 승하강시키도록 상기 다이아프램을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다이아프램이 상기 가압부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다이아프램과 상기 가압부 사이에 배치되는 다이아프램 보호구; 및 상기 다이아프램 또는 상기 다이아프램 보호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누수발생을 감지하는 누수감지부;를 포함하는 다이아프램 밸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누수감지 기능을 구비한 다이아프램 밸브{Diaphragm Valve Comprising Anti Leaking}
본 발명은 다이아프램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누수감지 기능을 구비한 다이아프램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이아프램 밸브(Diaphragm Valve)는 본체 내부에 구비된 얇은 막인 다이아프램(Diaphragm)이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함으로써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밸브이다. 다이아프램 밸브는 다이아프램을 핸들 또는 오토장치로 사용자가 조작함에 따라 다이아프램 막의 형상이 변화되면서 유로의 개폐정도가 달라짐으로써 작동되는 원리를 가지고 있다.
다이아프램 밸브는 내식성이 매우 뛰어나 반도체 장비, 설비에 사용되거나 석유 공업용(가스, 액체 및 화학 약품) 석유 공업제품배관, 제약회사 설비 등에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다이아프램 밸브는 내부 부품의 손상이나 노화, 또는 보수과정의 미비, 자연재해 등으로 밸브 내부의 관로를 흐르던 유체가 누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다이아프램 밸브에 누수가 발생하면,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누수에 의한 설비 파손 등이 확연하게 감지되는 경우가 아니면 누수문제에 빠르게 대처할 수 없기 때문에 인명과 재산에 막대한 피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이아프램 밸브의 누수를 즉각적으로 감지하여 이를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누수감지 기능을 구비한 다이아프램 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관로를 형성하는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기 내부공간에 탄성 변형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다이아프램; 상기 다이아프램을 승하강시키도록 상기 다이아프램을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다이아프램이 상기 가압부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다이아프램과 상기 가압부 사이에 배치되는 다이아프램 보호구; 및 상기 다이아프램 또는 상기 다이아프램 보호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누수발생을 감지하는 누수감지부;를 포함하는 다이아프램 밸브를 제공한다.
상기 다이아프램 보호구는 합성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호구본체와, 상기 보호구본체 내측에 삽입되는 보강메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수감지부는 상기 다이아프램 보호구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보강메쉬에 결합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공급기; 및 상기 감지센서의 통전 여부를 통해 누수를 판별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전원공급기의 + 극과 연결되며, 상기 보강메쉬 하부에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되는 제1 도체패턴; 및 상기 전원공급기의 - 극과 연결되며, 상기 제1 도체패턴과 통전되지 않도록 교차하는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보강메쉬 하부에 결합되는 제2 도체패턴;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보기는 상기 제1 도체패턴과 상기 제2 도체패턴이 서로 통전될 경우,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누수감지부는 상기 다이아프램에 결합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공급기; 및 상기 감지센서의 통전 여부를 통해 누수를 판별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전원공급기의 + 극과 및 - 극과 연결되며, 상기 다이아프램의 표면적에 넓게 분포되게 결합되는 도체패턴;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보기는 상기 도체패턴이 단선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을 경우,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도체패턴들은 구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관로를 형성하는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기 내부공간에 탄성 변형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다이아프램; 상기 다이아프램을 승하강시키도록 상기 다이아프램을 가압하는 가압부; 합성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호구본체와, 상기 보호구본체 내측에 삽입되는 보강메쉬를 가지며, 상기 다이아프램이 상기 가압부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다이아프램과 상기 가압부 사이에 배치되는 다이아프램 보호구; 및 상기 보강메쉬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다이아프램 보호구에 설치되며, 누수발생을 감지하는 누수감지부;를 포함하는 다이아프램 밸브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관로를 형성하는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기 내부공간에 탄성 변형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다이아프램; 상기 다이아프램을 승하강시키도록 상기 다이아프램을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다이아프램이 상기 가압부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다이아프램과 상기 가압부 사이에 배치되는 다이아프램 보호구; 및 상기 다이아프램의 표면적에 넓게 분포되게 결합되어, 상기 다이아프램의 파손시 누수발생을 감지하는 누수감지부;를 포함하는 다이아프램 밸브를 제공한다.
또 한편, 본 발명은 관로를 형성하는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기 내부공간에 탄성 변형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다이아프램; 상기 다이아프램을 승하강시키도록 상기 다이아프램을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다이아프램이 상기 가압부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다이아프램과 상기 가압부 사이에 배치되는 다이아프램 보호구;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며 상기 다이아프램과 상기 다이아프램 보호구를 덮는 덮개부; 및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덮개부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으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는 누수감지부;를 포함하는 다이아프램 밸브를 제공한다.
상기 누수감지부는 본체부 또는 덮개부의 내벽에 장착되어 유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에 유체가 검출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는 초음파센서, 레벨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누수감지 기능을 구비한 다이아프램 밸브는 다이아프램 밸브의 부품들의 수명한계를 판별할 수 있고, 누수 상황을 미연에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누수에 빠르게 대처하여 인명과 재산상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아프램 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누수감지 기능을 구비한 다이아프램 밸브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누수감지부가 장착된 다이아프램 보호구의 (a) 평단면도 및 (b)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누수감지부의 작동원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누수감지 기능을 구비한 다이아프램 밸브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누수감지부가 장착된 다이아프램의 (a) 평단면도 및 (b)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누수감지부의 작동원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누수감지 기능을 구비한 다이아프램 밸브의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다이아프램 밸브는 다양한 종류의 다이아프램 밸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아프램 밸브는 금속재질이나 C-PVC, PVDF, PP 재질 등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과 플라스틱 재질의 부품들이 함께 결합된 다이아프램 밸브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아프램 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다이아프램 밸브(1)는, 본체부(100), 다이아프램(200), 덮개부(300), 핸들(400), 가압부(500), 록킹핀(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는 관로(110)를 형성하는 내부공간(120)을 갖는다. 본체부(100)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내부공간(120)은 중공 형상의 파이프가 상부에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관로(110)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는 후술할 다이아프램(200)이 위치하도록 중앙 영역에 단면이 정사각형인 블록(101)이 포함된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단면이 선형, 곡선형 등 다양한 형상의 블록이 포함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부(100)의 블록에는 후술할 다이아프램(200), 다이아프램 보호구(220) 및 덮개부(300)와의 결합을 위해 각각 다수의 볼트공들이 형성될 수 있으며, 볼트공에는 나사(303)가 체결됨으로써 각 부재들이 서로 조립될 수 있다.
본체부(100)의 양 단부, 즉 관로(110)의 양측에는 다른 배관(미도시)이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플랜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이아프램(200)은 본체부(100)의 내부공간에 탄성 변형가능하게 장착되며 관로(11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다이아프램(200)은 전체적으로 정사각형의 얇은 플레이트 형상의 외관을 가지며, 내측에는 원반 형상의 탄성변형부가 위치할 수 있다. 원 형상의 탄성변형부는 후술할 가압부(500)에 의하여 승하강되면서 본체부(100)의 관로(11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동작한다.
다이아프램(200)의 상부에는 가압부(500)가 직접 접촉되면서 다이아프램(200)을 가압할 경우, 다이아프램(2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다이아프램 보호구(220)가 배치될 수 있다. 다이아프램 보호구(220)는 합성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아프램 보호구는 내열성, 내한성, 내용재성이 뛰어나며 안전성이 훌륭한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class) 고무(rubber)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다이아프램 보호구(220)는 EPDM 다이아프램(EPDM Diaphragm)이라고 불릴 수도 있다.
덮개부(300)는 본체부(100)와 결합되면서 다이아프램(200), 다이아프램 보호구(200)를 덮는다. 예를 들어 덮개부(300)는 다이아프램(200), 다이아프램 보호구(200)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정사각형의 블록부(301)와, 후술할 핸들(600)이 장착될 수 있도록 블록부(301)의 중앙에 원통형상으로 돌출된 원통형부(30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원통형부(302)의 중앙에는 중심홀(320)이 형성되며, 원통형부(302)의 내부는 중심홀(320)과 연통되도록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300)의 중심홀(320)과 원통형부(302)의 내부 공간에는 가압부(500)가 위치될 수 있다.
핸들(400)은 덮개부(30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사용자는 핸들(40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본체부(100)의 관로(110)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핸들(400)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400)은 작업자가 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상부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된 링 형상의 손잡이부(402)와, 손잡이부(402)와 연결되며 덮개부(300)과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중심축부(401)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핸들(400)의 중심축부(402)는 내부에 빈 공간부가 형성되며 전술한 덮개부(300)의 원통형부(302)와 결합될 수 있다. 즉, 핸들(400)의 내측에 마련된 빈 공간부는 덮개부(300)의 중심홀(320)과 대응될 수 있다.
가압부(500)는 핸들(400)과 결합되어 덮개부(300) 내측에서 회전하면서 다이아프램(200)를 승하강시키도록 다이아프램(200)을 가압할 수 있다. 즉, 가압부(500)의 일측은 핸들(400)과 결합되고, 타측은 다이아프램(200)을 가압하도록 덮개부(300)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가압부(500)는 보다 상세하게는 컴프레서(510), 슬리브(520), 링(540), 스핀들(5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컴프레서(510)는 다아아프램(200)을 가압할 수 있도록 덮개부(3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컴프레서(510)는 다이아프램(200)의 탄성변형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아래로 볼록한 반구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컴프레서(510)는 다이아프램 보호구(220)와 접촉되면서 다이아프램(200)을 가압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슬리브(52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슬리브(520)의 내부 공간에는 후술할 스핀들(550)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슬리브(520)는 핸들(50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핸들(500)의 내측, 즉 핸들(500)의 중심축부(401) 내측 빈 공간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슬리브(520)의 외측에는 링(540)이 끼워질 수 있다.
스핀들(550)은 컴프레서(510)와 결합되며 외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핀들(550)은 일정한 길이를 갖는 볼트 형상일 수 있으며, 일측은 컴프레서(510)와 결합되고, 타측의 외주면에는 전술한 슬리브(520)가 회전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들을 포함하는 가압부(500)는 사용자가 핸들(500)을 회전시킬 경우, 핸들(500)의 내측에 위치한 슬리브(52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슬리브(520)의 내측에 나사결합된 스핀들(550)은 나사산을 타고 승하강하면서 컴프레서(510)를 승하강시키게 된다. 이로써 컴프레서(510)는 다이아프램(200)을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하면서 관로(110)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가압부(500)는 전술한 구성에 더하여 샤프트(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530)는 슬리브(520)의 내측에서 스핀들(550)과 결합되며, 핸들(500)의 상부를 향해 승하강되면서 다이아프램(200)의 가압 상태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핸들(400)의 중심에는 샤프트(530)가 이동가능한 표시홀(42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샤프트(530)가 표시홀(420)로부터 돌출되거나 인입된 길이를 통해 본체부(100)의 내부공간(120)의 개폐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록킹핀(600)은 핸들(400)과 덮개부(1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핸들(400)이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록킹핀(600)이 핸들(400)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핸들(400)에는 록킹핀(600)이 삽입되는 관통홀(41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홀(410)은 핸들(410)의 중심축부(401)의 외측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덮개부(300)에는 관통홀(410)과 연통되어 록킹핀(600)의 단부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다수의 고정홀(31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누수감지 기능을 구비한 다이아프램 밸브의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누수감지부가 장착된 다이아프램 보호구의 (a) 평단면도 및 (b)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누수감지부의 작동원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다이아프램 밸브(1)는 누수감지부(700)가 다이아프램 보호구(220)에 장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누수감지부(700)는 다이아프램 보호구(220)에 장착되어, 다이아프램 보호구(220)가 찢어지거나 파손되어 누수 발생의 우려가 생기는 상황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누수에 의한 더 큰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누수감지부(700)는 다이아프램 보호구(200)가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상황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누수감지부(700)는 다이아프램 보호구(220)의 수명한계를 판별하는 역할을 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수감지부(700)는 다이아프램 보호구(220)에 장착되는 감지센서(710)와, 감지센서(710)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공급기(720)와, 감지센서(710)의 통전여부를 통해 누수를 판별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기(7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누수감지부(700)가 장착되는 다이아프램 보호구(220)는 합성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호구본체(221)와, 상기 보호구본체(221) 내측에 삽입되는 보강메쉬(미도시)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보호구본체(221)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평면을 가질 수 있으며,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 볼록한 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호구본체(221)의 가장자리에는 본체부(100), 다이아프램(200), 덮개부(300)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공(223)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호구본체(221)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 보호구본체(221)는 원형의 평면 또는 위로 볼록한 측면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강메쉬는 메쉬, 울메쉬, 보강재, 망상부재 등으로 불리울 수 있다. 보강메쉬는 다이아프램 보호구(220)의 강도를 보강하여 보호구본체(221)가 쉽게 찢어지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강도를 보강한다.
보강메쉬는 보호구본체(221)와 별도로 제조된 후, 보호구본체(221)의 제조과정에서 보호구본체(221)와 일체가 되도록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보강메쉬는 울(wool)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강메쉬는 보호구본체(221)의 평면에 넓게 분포되도록 얇은 굵기의 섬유(wool)를 격자모양으로 배치한 구조를 가지면서 보호구본체(221)를 성형하는 성형틀 내부에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보강메쉬는 보호구본체(221)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다이아프램 보호구(220)의 보강재 역할을 할 수 있다.
감지센서(710)는 다이아프램 보호구(220)의 어느 위치에도 결합될 수 있지만, 다이아프램 보호구(220) 내측에 위치하도록 전술한 보강메쉬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아프램 보호구(220) 제조과정에서 감지센서(710)는 보강메쉬의 상부 또는 하부 내측에 위치하도록 다이아프램 보호구(22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센서(710)는 제1 도체패턴(711)과 제2 도체패턴(71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도체패턴(711)과 제2 도체패턴(713)은 구리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도체패턴(711)은 전원공급기(720)의 + 극과 연결되며, 보강메쉬 하부에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도체패턴(711)은 도 3에 빨강색으로 표시한 부분으로 일측 단부가 전원공급기(720)의 + 극과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다이아프램 보호구(220)의 내측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도체패턴(713)은 도 3에 파랑색으로 표시한 부분으로서, 제2 도체패턴(713)은 일측이 전원공급기(720)의 - 극과 연결되며 다측은 다이아프램 보호구(22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도체패턴(713)은 제1 도체패턴(711)과 통전되지 않도록 교차하는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면서 제1 도체패턴(711)의 상부 영역인 보강메쉬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도체패턴(711) 및 제2 도체패턴(713)의 형상과 이들의 배치구조는 얼마든지 변형가능하다.
전원공급기(720)는 감지센서(710)에 전류를 공급한다. 즉, 전원공급기(720)는 제1 도체패턴(711)과 제2 도체패턴(713)의 일측과 각각 + , -로 연결된 상태에서 전류를 인가하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도체패턴(711)과 제2 도체패턴(713)은 서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 있으므로 감지센서(710)는 통전이 이루어지지 않은 개방된 회로상태에 놓인다.
경보기(730)는 감지센서(710)의 통전 여부를 통해 누수를 판별하여, 경보를 발생시킨다.
만약 다이아프램 보호구(220)가 찢어지거나 파손이 이루어질 경우, 감지센서(710)의 제1 도체패턴(711)과 제2 도체패턴(713)의 사이 공간부가 탈락되어 개방된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의 관로 내부로부터 유체가 누수되어 다이아프램 보호구(220)의 파손된 부위("A")로 이동하여 제1 도체패턴(711)과 제2 도체패턴(713)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누수된 유체는 불소액 등의 전해질로 이루어지므로 누수된 유체에 의해 제1 도체패턴(711)과 제2 도체패턴(713)은 통전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공급기(720)에 연결된 제1 도체패턴(711) 및 제2 도체패턴(713)은 누수된 유체에 의해 폐쇄된 회로를 구성하므로 전원공급기(720)로부터 공급된 전류가 감지센서(710)에 흐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경보기(730)는 감지센서(10)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검출하여 경보를 발생할 수 있다.
경보기(730)는 소리, 신호, 화면표시 등 다양한 방법의 경보를 통해 다이아프램 밸브(1)에 누수가 발생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경보기(730)에서 경보가 발생되면 다이아프램 보호구(220)가 손상되어 누수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누수감지 기능을 구비한 다이아프램 밸브는 다이아프램 보호구의 파손을 감지하여 다이아프램 보호구의 수명한계를 판별할 수 있고 누수발생을 미연에 감지함으로써 누수에 빠르게 대처하여 인명과 재산상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누수감지 기능을 구비한 다이아프램 밸브의 절개 사시도이고, 도 6은 누수감지부가 장착된 다이아프램의 (a) 평단면도 및 (b)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누수감지부의 작동원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다이아프램 밸브(1)는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누수감지부(700a)가 다이아프램(200)에 장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누수감지부(700a)는 다이아프램(200)에 장착되어, 다이아프램(200)이 찢어지거나 파손되어 누수 발생의 우려가 생기는 상황, 즉 다이아프램(200)의 수명한계를 판별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누수에 의한 더 큰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수감지부(700a)는 다이아프램(200)에 결합되는 감지센서(710a)와, 감지센서(710a)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공급기(720)와, 감지센서(710a)의 통전여부를 통해 누수를 판별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기(7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센서(710a)의 양 단부는 전원공급기(720)의 + 극과 및 - 극에 각각 연결되며, 다이아프램(200)의 표면적에 넓게 분포되게 결합되는 하나의 도체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감지센서(710a)의 도체패턴은 마찬가지로 구리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감지센서(710a)는 다이아프램 보호구(220)와 다이아프램(200) 사이에 삽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물론, 감지센서(710a)의 도체패턴의 형상, 소재 및 설치위치는 다양하게 변형실시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의 감지센서(710a)는 전원공급기(720)에 의해 평상시에는 전류가 흐르게 된다. 만약 다이아프램(200)이 찢어지거나 파손이 이루어질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센서(710a)의 도체패턴에 단락("B")이 생기면 회로가 개방된 상태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감지센서(710a)에는 전원공급기(720)로부터 공급된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며, 경보기는 누수에 대한 경보를 발생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누수감지 기능을 구비한 다이아프램 밸브는 다이아프램의 파손을 감지하여 다이아프램 밸브의 부품들의 수명한계를 판별할 수 있고, 누수발생을 미연에 감지함으로써 누수에 빠르게 대처하여 인명과 재산상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누수감지 기능을 구비한 다이아프램 밸브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누수감지장치를 구비한 다이아프램 밸브(1)는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누수감지부(700b)가 본체부(100) 또는 덮개부(300)의 내벽에 장착되어, 본체부(100)의 내부 공간으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는 점이 다르다.
본 실시예의 누수감지부(700b)는 관로(110)에서 흐르던 유체가 본체부(100) 또는 덮개부(30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상황에서, 누수된 유체를 직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누수감지부(700b)는 본체부(100) 또는 덮개부(300)의 내벽에 장착되어 유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710b)와, 감지센서(710b)에 유체가 검출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기(7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감지센서(710b)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누수된 액체를 직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초음파센서, 레벨센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들의 누수감지 기능을 구비한 다이아프램 밸브는 다이아프램 밸브의 부품들의 수명한계를 판별할 수 있고, 누수발생을 감지함으로써 누수에 빠르게 대처하여 인명과 재산상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를 혼합하여 다이아프램 보호구 및 다이아프램 모두에 누수감지부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1실시예의 감지센서가 다이아프램에 장착되거나 제2실시예의 감지센서가 다이아프램 보호구에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 중 적어도 2개를 혼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다이아프램 밸브 100 : 본체부
110 : 관로 200 : 다이아프램 220 : 다이아프램 보호구 300 : 덮개부
400 : 핸들 410 : 관통홀
500 : 가압부 510 : 컴프레서
520 : 슬리브 530 : 샤프트
540 : 링 550 : 스핀들
600 : 록킹핀 700, 700a, 700b : 누수감지부
710, 710a, 710b : 감지센서 711 : 제1 도체패턴
713 : 제2 도체패턴 720 : 전원공급기
730 : 경보기

Claims (14)

  1. 관로를 형성하는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기 내부공간에 탄성 변형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다이아프램;
    상기 다이아프램을 승하강시키도록 상기 다이아프램을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다이아프램이 상기 가압부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다이아프램과 상기 가압부 사이에 배치되는 다이아프램 보호구; 및
    상기 다이아프램 또는 상기 다이아프램 보호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누수발생을 감지하는 누수감지부;를 포함하는 다이아프램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 보호구는
    합성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호구본체와,
    상기 보호구본체 내측에 삽입되는 보강메쉬를 포함하는 다이아프램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감지부는
    상기 다이아프램 보호구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보강메쉬에 결합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공급기; 및
    상기 감지센서의 통전 여부를 통해 누수를 판별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기;를 포함하는 다이아프램 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전원공급기의 + 극과 연결되며, 상기 보강메쉬 하부에 지그재그형상으로 배치되는 제1 도체패턴; 및
    상기 전원공급기의 - 극과 연결되며, 상기 제1 도체패턴과 통전되지 않도록 교차하는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보강메쉬 하부에 결합되는 제2 도체패턴; 을 포함하는 다이아프램 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기는 상기 제1 도체패턴과 상기 제2 도체패턴이 서로 통전될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다이아프램 밸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감지부는
    상기 다이아프램에 결합되는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공급기; 및
    상기 감지센서의 통전 여부를 통해 누수를 판별하여,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기;를 포함하는 다이아프램 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전원공급기의 + 극과 및 - 극과 연결되며, 상기 다이아프램의 표면적에 넓게 분포되게 결합되는 도체패턴; 을 포함하는 다이아프램 밸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기는 상기 도체패턴이 단선되어 전류가 흐르지 않을 경우, 경보를 발생하는 다이아프램 밸브.
  9. 제4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패턴들은 구리로 이루어지는 다이아프램 밸브.
  10. 관로를 형성하는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기 내부공간에 탄성 변형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다이아프램;
    상기 다이아프램을 승하강시키도록 상기 다이아프램을 가압하는 가압부;
    합성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호구본체와, 상기 보호구본체 내측에 삽입되는 보강메쉬를 가지며, 상기 다이아프램이 상기 가압부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다이아프램과 상기 가압부 사이에 배치되는 다이아프램 보호구; 및
    상기 보강메쉬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다이아프램 보호구에 설치되며, 누수발생을 감지하는 누수감지부;를 포함하는 다이아프램 밸브.
  11. 관로를 형성하는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기 내부공간에 탄성 변형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다이아프램;
    상기 다이아프램을 승하강시키도록 상기 다이아프램을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다이아프램이 상기 가압부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다이아프램과 상기 가압부 사이에 배치되는 다이아프램 보호구; 및
    상기 다이아프램의 표면적에 넓게 분포되게 결합되어, 상기 다이아프램의 파손시 누수발생을 감지하는 누수감지부;를 포함하는 다이아프램 밸브.
  12. 관로를 형성하는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기 내부공간에 탄성 변형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관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다이아프램;
    상기 다이아프램을 승하강시키도록 상기 다이아프램을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다이아프램이 상기 가압부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다이아프램과 상기 가압부 사이에 배치되는 다이아프램 보호구;
    상기 본체부와 결합되며 상기 다이아프램과 상기 다이아프램 보호구를 덮는 덮개부; 및
    상기 본체부 또는 상기 덮개부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으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는 누수감지부;를 포함하는 다이아프램 밸브.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감지부는
    본체부 또는 덮개부의 내벽에 장착되어 유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에 유체가 검출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기;를 포함하는 다이아프램 밸브.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초음파센서, 레벨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다이아프램 밸브.
KR1020130082901A 2013-07-15 2013-07-15 누수감지 기능을 구비한 다이아프램 밸브 KR101519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901A KR101519385B1 (ko) 2013-07-15 2013-07-15 누수감지 기능을 구비한 다이아프램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901A KR101519385B1 (ko) 2013-07-15 2013-07-15 누수감지 기능을 구비한 다이아프램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670A true KR20150008670A (ko) 2015-01-23
KR101519385B1 KR101519385B1 (ko) 2015-05-13

Family

ID=52572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901A KR101519385B1 (ko) 2013-07-15 2013-07-15 누수감지 기능을 구비한 다이아프램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93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04876B1 (de) 2018-08-03 2021-03-10 SISTO Armaturen S.A. Membrandiagnose über luftschnittstel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296B1 (ko) 2021-08-11 2023-11-29 (주)테크니컬코리아 다이어프램 압축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25555B2 (ja) * 2008-04-18 2012-09-12 株式会社Lixil 給水制御バルブ
US20100127460A1 (en) * 2008-11-26 2010-05-27 Odyssian Technology, Llc Seals with integrated leak detection capabilit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04876B1 (de) 2018-08-03 2021-03-10 SISTO Armaturen S.A. Membrandiagnose über luftschnittstelle
EP3604876B2 (de) 2018-08-03 2024-04-03 SISTO Armaturen S.A. Membrandiagnose über luftschnittstel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9385B1 (ko) 2015-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1788B2 (en) Integrated sump pump controller with status notifications
US11333261B2 (en) Leak detection and prevention device
KR20010023267A (ko) 누수 방지 장치
US20160083953A1 (en) Fluid Backflow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US9157227B2 (en) Fluid backup preventing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KR200462991Y1 (ko) 가스 기구용 중간밸브
KR101519385B1 (ko) 누수감지 기능을 구비한 다이아프램 밸브
KR101900040B1 (ko) 리드스위치 감도조절형 알람밸브
KR102181151B1 (ko) 누수 감지 소화전
BR112014027206B1 (pt) Dispositivo de detecção de vazamento de fluidos
JP2015025469A5 (ja) 真空弁の外部シール構造
US7926504B2 (en) Method and systems for detecting and preventing leakage
JP2019042094A (ja) 負圧湿式予作動スプリンクラー設備
CN106855453A (zh) 变压器储油柜双密封橡胶隔膜用测液器系统
JP2017111084A (ja) 非接触警報器
JP5962228B2 (ja) 湯水混合水栓装置
FI114410B (fi) Letkuventtiili
KR20090060727A (ko) 누수탐지새들 및 이를 이용한 퇴수밸브
CN211575558U (zh) 一种漏水检测装置及电热水器
CN110848989A (zh) 一种漏水检测装置及电热水器
JP5991607B1 (ja) 空気弁付きバルブ装置
KR100346574B1 (ko) 가스 안전밸브
CN207634717U (zh) 一种水喷淋控制蝶阀
KR200489451Y1 (ko) 유체 누설 자동차단기능이 구비되는 볼밸브
CN107606274A (zh) 一种用于检查侧漏的阀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