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8059A - 운동용 신발 - Google Patents

운동용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8059A
KR20150008059A KR1020147027626A KR20147027626A KR20150008059A KR 20150008059 A KR20150008059 A KR 20150008059A KR 1020147027626 A KR1020147027626 A KR 1020147027626A KR 20147027626 A KR20147027626 A KR 20147027626A KR 20150008059 A KR20150008059 A KR 20150008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material
shoe
foot
covering
cover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7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츠히로 이시가와
Original Assignee
아츠히로 이시가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츠히로 이시가와 filed Critical 아츠히로 이시가와
Publication of KR20150008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80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6Running shoes; Track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1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1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rubb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1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 A43B3/106Disposable slippers; One-piece slipp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A41B11/007Hosiery with an added sole, e.g. sole made of rubber or leath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포츠 슈즈보다 운반이 용이하면서 스포츠 슈즈의 장착시와 동일한 정도로 쾌적한 운동을 할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신발(1L)은 피복체(10L)와 중창(11L)을 갖는다. 피복체(10L)의 외면에는, 중창(11L)을 놓는 부분의 이면측 부분의 전면을 덮는 고무 소재(15L)와, 피복체(10L)의 전단으로부터 피복체(10L)의 신발 입구(13L)의 근방을 향하여 연신되는 고무 소재(16L)와, 피복체(10L)의 후단으로부터 피복체(10L)의 신발 입구(13L)의 근방을 향하여 연신되는 고무 소재(17L)가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운동용 신발{ATHLETIC FOOTWEAR}
본 발명은 운동시에 착용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런닝 슈즈나 조깅 슈즈라고 칭해지는 운동화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 종류의 신발에 관한 기술을 개시한 문헌으로서, 특허문헌 1이 있다. 이 문헌 1에 개시된 런닝 슈즈는, 슈즈의 발뒤꿈치 부분에 고리형 고정 벨트 로킹부를 설치하고, 이 고정 벨트 로킹부와 사용자 발목의 복사뼈 윗부분에 고정 벨트를 감는 것이다. 이 기술에 의하면, 많은 주자가 한데 모여 달리는 가운데 후속 주자에게 발뒤꿈치를 밟힌 경우라도, 신발이 벗겨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이 기술에 의하면, 후속 주자에게 발뒤꿈치를 밟혀서 넘어져 부상당하는 사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3-9907호 공보
그런데, 런닝 등의 운동을 일과로 하고 있는 사람 중에는, 출장지나 여행지에도 운동화를 지참하여 거기서 몸을 움직이고 싶어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종래 이 종류의 운동화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수트케이스 등에 넣은 경우 점유 스페이스가 커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스포츠 슈즈보다 운반이 용이하면서 스포츠 슈즈의 장착시와 동일한 정도로 쾌적한 운동을 할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신축성을 가진 원단을 사용자의 발의 복사뼈로부터 아래 부분의 형상에 맞춘 주머니형으로 봉제하여 이루어진 피복체와, 충격 흡수 소재를 상기 사용자의 발의 발바닥 형상에 맞춘 시트형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진 중창으로서, 상기 피복체 내에서의 그 피복체와 상기 사용자의 발의 발바닥의 사이에 삽입되는 중창을 구비하고, 상기 피복체의 외면에, 상기 중창을 놓는 부분의 이면측 부분의 전면(全面)을 덮는 제1 고무 소재와, 상기 피복체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피복체의 신발 입구의 근방을 향하여 연신되는 제2 고무 소재와, 상기 피복체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피복체의 신발 입구의 근방을 향하여 연신되는 제3 고무 소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신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신발의 피복체는, 신축성을 갖는 원단과 그 외면의 일부를 덮는 고무 소재로 이루어진다. 피복체는, 그 선단을 신발 입구에 말아 넣음으로써 주먹 정도의 크기가 된다. 또한, 신발의 제1 고무 소재는, 피복체의 외면에 있어서 중창을 놓는 부분의 이면측 부분의 전면을 덮고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신발을 발에 장착하고 달릴 때에 지면을 확실하게 차고 전진할 수 있다. 또한, 피복체의 외면에는, 피복체의 전단 및 후단으로부터 피복체의 신발 입구의 근방을 향하여 연신되는 제2 및 제3 고무 소재가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신발을 발에 장착하고 달릴 때에 피복체가 좌우로 꼬여서 발이 빠질 우려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포츠 슈즈를 지참하기 어려운 장소(예컨대 출장지나 여행지 등)에 신발을 지참하여, 스포츠 슈즈의 장착시와 동일한 정도로 쾌적한 운동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운동용 신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신발의 내부와 중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신발의 피복체를 하측 및 상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서의 신발의 피복체를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운동용 신발(1L 및 1R)의 사시도이다. 신발(1L 및 1R)은, 사용자가 런닝이나 헬스 운동 등의 각종 운동을 할 때에 사용자의 좌우 발에 착용되는 것이다.
도 2의 (A)는, 도 1에서의 신발(1L)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발(1L)은 피복체(10L)와 중창(11L)을 갖는다. 도 2의 (B)는 도 2의 (A)에서의 중창(11L)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의 (C)는 도 2의 (B)에서의 중창(11L)을 하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의 (A)는 신발(1L)의 피복체(10L)를 상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의 (B)는 피복체(10L)를 하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는 피복체(10L)를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여기서, 신발(1R)의 피복체(10R) 및 중창(11R)은, 신발(1L)의 피복체(10L) 및 중창(11L)과 거울 대칭의 구조를 이루고 있다.
피복체(10L)는, 발수성과 신축성을 겸비하는 양말 원단[구체적으로는, 면 또는 견을 소재로 하는 표사(表絲)와 나일론 또는 폴리우레탄을 소재로 하는 이사(裏絲)를 짜서 이루어진 원단]을 사용자의 발의 복사뼈로부터 아래 부분의 형상에 맞춘 주머니형으로 봉제한 것이다. 또한, 중창(11L)은, 충격 흡수성을 갖는 소재인 EVA(ethylene-vinyl acetate, 에틸렌아세트산비닐)을 사용자의 발의 발바닥 형상에 맞춘 시트형으로 성형한 것이다.
도 3의 (A)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체(10L)에서의 후단측의 상측에는 신발 입구(13L)가 있다. 이 신발 입구(13L)는, 고리형의 직포에 고무사를 넣어 짠 신축 밴드(14L)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피복체(10L)의 외면에는 고무 소재[15L, 16L, 17L 및 18L-k(k=1~3)]가 마련되어 있다.
고무 소재[15L, 16L, 17L, 18L-k(k=1~3)]는, 섭씨 20도에서 JISK6253 타입 A 듀로미터로 계측되는 경도가 30~60의 범위내인 고무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고무 소재(15L)는, 피복체(10L)의 외면에 있어서 중창(11L)을 놓는 바닥부(40L)[도 3의 (C)]의 이면측의 전면을 덮고 있다. 고무 소재(15L)의 둘레 가장자리(EDG)는 피복체(10L)의 외면에서의 바닥부(40L)의 상측에 미치고 있다. 피복체(10L)의 전단측에 있어서 고무 소재(15L)로 덮힌 부분의 폭[바닥부(40L)로부터 전단측에서의 고무 소재(15L)의 둘레 가장자리(EDG)까지의 사이의 폭]은, 피복체(10L)의 발바닥 장심측에 있어서 고무 소재(15L)로 덮힌 부분의 폭[바닥부(40L)로부터 발바닥 장심측에서의 고무 소재(15L)의 둘레 가장자리(EDG)까지의 사이의 폭]보다 폭이 두껍게 되어 있다.
고무 소재(16L)는, 피복체(10L)의 외면에서의 전단으로부터 신축 밴드(14L)의 근방을 향하여 연신되어 있다. 고무 소재(16L)의 전단은 가로 방향에서 본 형상이 후크형이 되도록 만곡되어 있다. 고무 소재(16L)의 전단은 고무 소재(15L)의 세로홈(31L)[도 3의 (B)]의 전단과 연결되어 있다. 고무 소재(16L)의 후단[신축 밴드(14L)측의 단부]은 대략 초승달형을 이루어 좌우로 넓어져 있다. 고무 소재(16L)에 있어서 초승달형으로 넓어진 부분은 사용자의 발등의 곡선에 맞춰 내측으로 만곡되어 있다.
고무 소재(17L)는, 피복체(10L)의 외면에서의 후단으로부터 신축 밴드(14L)의 근방을 향하여 연신되어 있다. 고무 소재(17L)의 하단은 고무 소재(15L)의 세로홈(31L)[도 3의 (B)]의 후단과 연결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고무 소재(17L)의 상단[신축 밴드(14L)측의 단부]은 좌우로 넓어져 있다. 고무 소재(17L)의 상단에 있어서 좌우로 넓어진 부분은 사용자의 발의 아킬레스건 밑동 부분의 곡선에 맞춰 내측으로 만곡되어 있다.
고무 소재[18L-k(k=1~3)]의 각각은 막대형을 이루고 있다. 고무 소재[18L-k(k=1~3)] 중 고무 소재(18L-3)는, 고무 소재(16L)의 후단으로부터 전단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걸쳐 좌우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고무 소재(18L-2)는, 고무 소재(18L-3)로부터 전단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걸쳐 좌우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고무 소재(18L-1)는, 고무 소재(18L-2)로부터 전단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걸쳐 좌우 방향으로 연신하고 있다. 고무 소재(18L-2)의 길이는 고무 소재(18L-1)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다. 고무 소재(18L-3)의 길이는 고무 소재(18-2)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다. 고무 소재[18L-k(k=1~3)]는, 사용자의 발등의 곡선에 맞춰 내측으로 만곡되어 있다.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무 소재(15L)의 하면에는 세로홈(31L), 가로홈[32L-i(i=1~6), 33L-i(i=1~6)]이 형성되어 있다. 세로홈(31L)은, 고무 소재(15L)의 하면에서의 전단 및 후단 사이에서 일직선형으로 연신되어 있다. 가로홈[32L-i(i=1~6)]은, 세로홈(31L)에서의 전단으로부터 거리 W1(예컨대 W1=2 ㎝)씩 후방으로 떨어진 각 위치를 기단으로 하여 좌측으로 비스듬히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세로홈(31L)과 가로홈(32L-i)의 교차 각도 θ2는 45도로 되어 있다. 가로홈[32L-i(i=1~6)]의 각각의 선단은 고무 소재(15L)의 하면의 가장자리에 도달하고 있다.
가로홈[33L-i(i=1~6)]은, 세로홈(31L)에서의 전단으로부터 거리 W1씩 후방으로 떨어진 각 위치를 기단으로 하여 우측으로 비스듬히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세로홈(31L)과 가로홈(33L-i)의 교차 각도 θ3은 45도로 되어 있다. 가로홈[33L-i(i=1~6)]의 각각의 선단은 고무 소재(15L)의 하면의 가장자리에 도달하고 있다.
세로홈(31L)의 깊이(예컨대 1 ㎜)는 가로홈[32L-i(i=1~6) 및 33L-i(i=1~6)]의 깊이(예컨대 0.5 ㎜)보다 깊게 되어 있다. 세로홈(31L), 가로홈[32L-i(i=1~6), 33L-i(i=1~6)]에서의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은 동일(예컨대 5 ㎜)하게 되어 있다.
도 3의 (C)는 도 4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체(10L)에 있어서 중창(11L)을 놓는 부분인 바닥부(40L)에는 복수 개의 고무제 볼록부(S)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S)는 진원형을 이루고 있다. 바닥부(40L) 상에 있어서 인접하는 볼록부(S) 사이에는 동일한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볼록부(S)는 바닥부(40L)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돌출됨으로써 바닥부(40L) 상에 요철을 형성하는 것이다.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창(11L)의 표면(51L)에 있어서 사용자의 발의 발뒤꿈치뼈가 실리는 부분에는 이면(52L)측으로 움푹 들어간 오목부(53L)가 형성되어 있다. 중창(11L)의 표면(51L)에 있어서 사용자의 발의 발허리뼈가 실리는 부분에는 이면(52L)측으로 움푹 들어간 오목부(54L)가 형성되어 있다. 중창(11L)의 표면(51L)에 있어서 사용자의 발의 발가락이 실리는 부분에는 이면(52L)측으로 움푹 들어간 오목부(55L)가 형성되어 있다.
중창(11L)의 표면(51L)으로부터 오목부(53L, 54L, 55L)의 바닥까지의 깊이는 5 ㎜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창(11L)의 이면(52L)은 평평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신발(1L)의 중창(11L)과 신발(1R)의 중창(11R)은 거울 대칭의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피복체(10L) 내의 중창(11L) 및 피복체(10R) 내의 중창(11R)은, 각각의 표리면을 뒤집은 다음 교환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 본 실시형태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실시형태의 신발(1L)의 피복체(10L)는, 신축성을 갖는 원단과 그 외면의 일부를 덮는 고무 소재[15L, 16L, 17L, 18L-k(k=1~3)]로 이루어진다. 또한, 신발(1R)의 피복체(10R)는, 신축성을 갖는 원단과 그 외면의 일부를 덮는 고무 소재[15R, 16R, 17R, 18R-k(k=1~3)]로 이루어진다. 피복체[10L(10R)]의 고무 소재[15L, 16L, 17L, 18L-k(k=1~3)]의 경도는 스포츠 슈즈의 창 등에 비교해서 부드럽게 되어 있다(JISK6253 타입 A 듀로미터로 계측되는 경도가 30~60). 이 때문에, 피복체[10L(10R)]는, 그 선단을 신발 입구[13L(13R)]에 말아 넣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말은 피복체[10L(10R)]는, 주먹 정도의 크기가 되어 운반이 용이하다. 또한, 신발[1L(1R)]의 고무 소재[15L(15R)]는, 피복체[10L(10R)]의 외면에 있어서 중창[11L(11R)]을 놓는 부분[40L(40R)]의 이면측 부분의 전면을 덮고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신발(1L 및 1R)을 발에 장착하고 달릴 때에 지면을 확실하게 차고 전진할 수 있다. 또한, 피복체[10L(10R)]의 외면에는, 피복체[10L(10R)]의 전단 및 후단으로부터 피복체[10L(10R)]의 신발 입구[13L(13R)]의 근방을 향하여 연신되는 고무 소재[16L(16R) 및 17L(17R)]가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신발[1L(1R)]을 왼발(오른발)에 장착하고 달릴 때에 피복체[10L(10R)]의 내면 및 중창[11L(11R)]이 왼발(오른발)에 확실하게 피트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스포츠 슈즈를 지참하기 어려운 장소(출장지나 여행지 등)에 신발(1L 및 1R)을 지참하고, 스포츠 슈즈를 장착하는 것과 동일한 정도로 쾌적한 운동을 할 수 있다.
둘째,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복체[10L(10R)]의 외면에서의 고무 소재[18L-k(18R-k)]는 사용자의 발등의 곡선에 맞춰 내측으로 만곡되어 있다. 또한, 고무 소재[16L(16R)]의 후단[신축 밴드[14L(14R)]측의 단부]이 좌우로 넓어져 있고, 이 좌우로 넓어진 부분이 사용자의 발등의 곡선에 맞춰 내측으로 만곡되어 있다. 또한, 고무 소재[17L(17R)]의 상단[신축 밴드[14L(14R)]측의 단부]이 좌우로 넓어져 있고, 이 좌우로 넓어진 부분은 사용자의 발의 아킬레스건 밑동 부분의 곡선에 맞춰 내측으로 만곡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피복체[10L(10R)]를 사용자의 왼발(오른발)에 장착한 경우에, 왼발(오른발) 발등은 고무 소재[18L-k(18R-k)]와 고무 소재[16L(16R)]의 후단에서의 내측으로 만곡된 부분에 의해 홀드되고, 왼발(오른발)의 발뒤꿈치는 고무 소재[17L(17R)]에서의 내측으로 만곡된 부분에 의해 홀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측방으로의 무게 중심 이동을 수반하는 움직임(예컨대 가로 방향으로의 점프)을 하더라도 피복체[10L(10R)]는 그 방향으로 꼬이지 않는다. 따라서, 이 종류의 운동을 한 경우에 피복체[10L(10R)]로부터 왼발(오른발)이 빠져 염좌되는 사태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셋째, 본 실시형태의 신발(1L)의 피복체[10L(10R)]는, 원단(천)의 외면의 일부에 고무 소재[15L, 16L, 17L, 18L-k(k=1~3)]를 점착한 것이기 때문에, 세탁기에 넣고 물로 빨아, 원단 부분의 오염을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넷째,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복체[10L(10R)]의 내면에 있어서 중창[11L(11R)]을 놓는 부분인 바닥부[40L(40R)]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중창[11L(11R)]의 그립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다섯째,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창[11L(11R)]이 EVA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EVA는 다른 동종의 수지보다 유연하고 부드러운 감촉을 가진 소재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다른 동종의 소재를 중창[11L(11R)]으로 하는 것보다 런닝 중의 쾌적함을 높일 수 있다.
여섯째,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창[11L(11R)]의 이면[52L(52R)]은 평면으로 되어 있고, 중창[11L(11R)]의 표면[51L(52R)]에 있어서 사용자의 발의 발뒤꿈치뼈가 실리는 부분, 사용자의 발의 발허리뼈가 실리는 부분, 및 사용자의 발의 발가락이 실리는 부분은 요철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피복체(10L) 내의 중창(11L)과 피복체(10R) 내의 중창(11R)을 각각의 표리면을 뒤집은 다음 교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신발(1L 및 1R)의 사용자 중에는, 중창[11L(11R)]에 있어서 왼발(오른발)을 놓는 면이 평평한 편이 움직이기 쉽다는 사람도 있고, 중창[11L(11R)]에 있어서 왼발(오른발)을 놓는 면이 발바닥의 기복에 맞는 오목부를 갖고 있는 편이 움직이기 쉽다는 사람도 있다. 또한, 도약을 수반하는 운동(예컨대 런닝)은 왼발(오른발)을 놓는 면이 평평한 쪽이 하기 쉽고, 도약을 수반하지 않는 운동(예컨대 헬스)은 왼발(오른발)을 놓는 면이 발바닥의 기복에 맞는 오목부를 갖는 편이 하기 쉽다는 사람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사용자는 중창[11L(11R)]의 피트감을 자신의 기호에 맞춰 선택하여, 보다 쾌적한 운동을 할 수 있다.
일곱째,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무 소재[15L(15R)]에서의 전단과 후단의 사이에 홈[31L(31R)]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신발[1L(1R)]을 발에 장착하고 주행할 때의 직진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여덟째,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복체[10L(10R)]의 신발 입구[13L(13R)]에, 고무실을 넣어 짠 신축 밴드[14L(14R)]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피복체[10L(10R)]로부터 발이 빠지기 어려워진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했지만, 이러한 실시형태에 이하의 변형을 가해도 좋다.
(1)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바닥부(40L) 상의 볼록부(S)는 진원형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들 볼록부(S)를 스트라이프형의 볼록부로 치환해도 좋다.
(2)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무 소재(18L-k)의 갯수는 3개였다. 그러나, 고무 소재(18L-k)의 갯수를 1~2개로 해도 좋고, 5개 이상으로 해도 좋다.
(3)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고무 소재(15L)의 하면에 세로홈(31L)과 가로홈[32L-i(i=1~6), 33L-i(i=1~6)]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고무 소재(15L)의 하면에 세로홈(31L)만을 형성해도 좋다.
1 : 신발 10 : 피복체
11 : 중창 13 : 신발 입구
14 : 신축 밴드 15, 16, 17, 18 : 고무 소재
31 : 세로홈 32, 33 : 가로홈
40 : 바닥부 51 : 표면
52 : 이면 53, 54, 55 : 오목부

Claims (3)

  1. 신축성을 갖는 원단을 사용자의 발의 복사뼈로부터 아래 부분의 형상에 맞춘 주머니형으로 봉제하여 이루어진 피복체와,
    충격 흡수 소재를 상기 사용자의 발의 발바닥 형상에 맞춘 시트형으로 성형하여 이루어진 중창으로서, 상기 피복체 내에서의 그 피복체와 상기 사용자의 발의 발바닥의 사이에 삽입되는 중창
    을 구비하고, 상기 피복체의 외면에, 상기 중창을 놓는 부분의 이면측 부분의 전면을 덮는 제1 고무 소재와, 상기 피복체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피복체의 신발 입구의 근방을 향하여 연신되는 제2 고무 소재와, 상기 피복체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피복체의 신발 입구의 근방을 향하여 연신되는 제3 고무 소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체의 외면에, 상기 제2 고무 소재의 연신 방향과 직교하는 막대형을 이루는 제4 고무 소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신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고무 소재는, JISK6253 타입 A 듀로미터로 계측되는 경도가 30~60의 범위내인 고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용 신발.
KR1020147027626A 2012-11-29 2013-07-19 운동용 신발 KR201500080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61712 2012-11-29
JP2012261712A JP5221811B1 (ja) 2012-11-29 2012-11-29 運動用履物
PCT/JP2013/069592 WO2014083886A1 (ja) 2012-11-29 2013-07-19 運動用履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8059A true KR20150008059A (ko) 2015-01-21

Family

ID=48778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7626A KR20150008059A (ko) 2012-11-29 2013-07-19 운동용 신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40202036A1 (ko)
EP (1) EP2762024A4 (ko)
JP (1) JP5221811B1 (ko)
KR (1) KR20150008059A (ko)
CN (1) CN104219976A (ko)
HK (1) HK1204885A1 (ko)
WO (1) WO2014083886A1 (ko)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03554A (en) * 1930-03-26 1931-05-05 Harold M Knilans Athletic shoe
US2034091A (en) * 1931-12-26 1936-03-17 Cambridge Rubber Co Footwear and method of making
US2048185A (en) * 1933-02-01 1936-07-21 Magyar Ruggaantaarugyar Reszve Shoe consisting of textile material and of rubber
US2147197A (en) * 1936-11-25 1939-02-14 Hood Rubber Co Inc Article of footwear
US2538673A (en) * 1949-07-19 1951-01-16 Donahue Paul Ansley Footwear
US3968577A (en) * 1974-11-18 1976-07-13 Lynn Wolstenholme Jackson Method and construction of footwear incorporating a customized, form fitted casting unit
GB1571127A (en) * 1976-04-02 1980-07-09 Scholl Uk Ltd Soles for footwear and footwear incorporating them
US4294022A (en) * 1978-07-05 1981-10-13 Andre Stockli Boots for aquatic activities
US4222183A (en) * 1979-10-29 1980-09-16 Haddox Billy J Athletic shoe
JPS57136204U (ko) * 1981-02-20 1982-08-25
FR2526668B1 (fr) * 1982-05-14 1986-07-25 Ours Roger Bottillon isotherme et etanche pour la pratique de certains sports nautiques
US4413431A (en) * 1982-06-11 1983-11-08 Puma-Sportschuhfabriken Rudolf Dassler Kg Athletic shoe upper construction
JPS60128508U (ja) * 1984-02-09 1985-08-2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靴の中敷
US4689898A (en) * 1985-09-11 1987-09-01 Fahey Brian W Running shoe
US4756096A (en) * 1985-11-27 1988-07-12 Meyer Grant C Footwear insole
GB8609998D0 (en) * 1986-04-24 1986-05-29 Andrews A C Insoles for footwear
JPH01117201U (ko) * 1988-02-03 1989-08-08
JPH02134001U (ko) * 1989-04-17 1990-11-07
US5329705A (en) * 1993-02-16 1994-07-19 Royce Medical Company Footgear with pressure relief zones
AU6317696A (en) * 1996-07-08 1998-02-02 Yaacov Makover Custom insoles
WO1998017138A1 (en) * 1996-10-21 1998-04-30 O'neill, Inc. Performance water sport boot
ATE222466T1 (de) * 1998-10-02 2002-09-15 Daito Seiki Surfschuh und schwimmflosse
US6047434A (en) * 1998-12-22 2000-04-11 Maureen D Falwell Machine-washable cleaning slipper
JP2001029101A (ja) * 1999-07-21 2001-02-06 Fujiki Tatsuo 裏布付きゴム製長靴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009907A (ja) 2001-07-04 2003-01-14 Satoshi Maniwa ランニングシューズ
FR2836340B1 (fr) * 2002-02-28 2004-09-03 Salomon Sa Article chaussant a serrage elastique
ITBG20020039A1 (it) * 2002-11-27 2004-05-28 Benetton Group S P A Ora Benetton Trading Usa In Struttura di calzatura.
US6931762B1 (en) * 2002-12-18 2005-08-23 Nike, Inc. Footwear with knit upp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ootwear
CA2624008C (en) * 2005-09-26 2015-02-17 Vibram Usa, Inc. Footwear having independently articuable toe portions
JP5026712B2 (ja) * 2006-03-08 2012-09-19 株式会社フットテクノ 靴下シューズ
MA29179B1 (fr) * 2006-06-02 2008-02-01 Jarrari Hassan El Chaussette etanche pouvant se deformer et prendre la forme du pied
US7488517B2 (en) * 2006-08-02 2009-02-10 Brian Whang Method of producing porous nitrile rubber coated indoor athletic socks
EP1943913A1 (en) * 2007-01-14 2008-07-16 Wolverine World Wide, Inc. Modular shoe construction
US8545743B2 (en) * 2009-05-15 2013-10-01 Nik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footwear with multiple hardnesses
CN102578759B (zh) * 2011-01-13 2015-11-25 Sr控股有限公司 鞋类物品
US8726540B2 (en) * 2011-01-13 2014-05-20 SR Holdings, LLC Footwe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62024A4 (en) 2015-04-15
JP5221811B1 (ja) 2013-06-26
US20140202036A1 (en) 2014-07-24
JP2014104298A (ja) 2014-06-09
CN104219976A (zh) 2014-12-17
EP2762024A1 (en) 2014-08-06
WO2014083886A1 (ja) 2014-06-05
HK1204885A1 (en) 2015-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31326B (zh) 可替換中底系統
US20120180336A1 (en) Footwear
PT2013022466Y (pt) Calçado com partes de sola separadas
WO2006030546A1 (ja) 靴構造の履物
KR101426154B1 (ko) 신발
KR101703323B1 (ko) 방전화
US20170304683A1 (en) Swim fin
JP3195071U (ja) 靴べら機能付き靴
US20190239572A1 (en) Nonslip hosiery
KR20150008059A (ko) 운동용 신발
US20160183634A1 (en) SockTips
KR101157454B1 (ko) 간이신발을 구비한 양말
CN211048537U (zh) 一种儿童鞋底护趾结构
JP2002209608A (ja)
JP3178282U (ja) 靴及び中敷
TWI446882B (zh) The structure of a covered shoe and its wearing method
KR101169999B1 (ko) 휴대용 슬리퍼 패키지
KR102160594B1 (ko) 신발
TWM537810U (zh) 襪子
JP6385030B2 (ja) フットカバー
CN214594522U (zh) 鞋底和鞋子
CN220192306U (zh) 一种透气拖鞋
CN216674883U (zh) 一种具有保护脚踝功能的儿童鞋
US20150264996A1 (en) Water Shoe
JP3199896U (ja) スリッ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