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7901A - 액자 - Google Patents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7901A
KR20150007901A KR1020130082527A KR20130082527A KR20150007901A KR 20150007901 A KR20150007901 A KR 20150007901A KR 1020130082527 A KR1020130082527 A KR 1020130082527A KR 20130082527 A KR20130082527 A KR 20130082527A KR 20150007901 A KR20150007901 A KR 201500079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ing part
vertical
present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2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철
Original Assignee
장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현철 filed Critical 장현철
Priority to KR1020130082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7901A/ko
Publication of KR20150007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9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88Picture frames where the picture is inserted through a slit in one of the frame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94Picture frames comprising means allowing the frame to be supported on a horizontal surface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자에 관한 것으로, 액자의 뒷면 자체에 가로 및 세로 방향의 지지부를 형성하고 이를 조합하여 별도의 지지부를 사용하지 않고도 액자를 지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액자 사이에 사진을 용이하게 착탈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심부에 구멍이 형성된 앞면(1)과, 가로지지부(6)와 세로지지부(5)를 가진 뒷면(3)과, 상기 앞면(1)과 뒷면(3)사이에 결합되는 자형의 삽입부재(2)를 포함하여 액자(10)가 구성되며, 상기 가로지지부(6)와 세로지지부(5)에 각각 끼움부(6a)(5a)가 형성되어 상기 가로지지부(6)와 세로지지부(5)가 뒷면(3)에서 이탈되어 끼움부(6a)(5a)가 서로 끼워지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액자{A frame}
본 발명은 액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자의 뒷면 자체에 가로 및 세로 방향의 지지부를 형성하고 이를 결합하여 별도의 지지부를 사용하지 않고도 액자를 거치하도록 함은 물론, 액자의 뒷면을 개방시키지 않고도 사진을 용이하게 착탈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사진을 끼워 책상이나 가구 위에 거치시켜 언제나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에는 액자에 사진을 끼우기 위한 수단으로 액자의 뒷면을 앞면과 이탈시키고 이에 사진을 넣은 다음에 다시 뒷면을 걸쇠 등을 걸어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액자에 사진을 끼웠다.
따라서, 종래에는 액자의 뒷면을 분리시키고 사진을 끼운 후 다시 조립하므로 액자에 사진을 끼우기가 매우 불편하였고, 이에 따라 액자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액자를 수직방향으로 세우기 위한 수단으로, 액자의 뒷면에 별도의 지지부를 사용하여 액자를 거치해야 하므로 액자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액자를 거치시키기 위한 별도의 도구가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자를 분리시키지 않고도 액자에 용이하게 사진을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함은 물론, 액자를 수직으로 세우기 위하여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액자 자체에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의 지지부를 한쌍으로 형성하고 이를 결합하여, 액자를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세울 수 있도록 한 액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상의 액자에 있어서, 앞면과 뒷면사이에 ∪자형의 삽입부재를 위치시키고, 상기 뒷면자체에 가로방향의 지지부와 세로방향의 지지부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부들을 결합하여 액자를 세울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액자 자체에 지지부를 형성하고 이를 결합하여 액자를 세움으로써 액자를 세우기 위한 별도의 부품이 필요없어져 구조가 간단해지고 원가가 절감되며, 액자를 분리시키지 않고도 액자 사이에 간단히 사진을 끼워 넣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액자 뒷면의 수평, 수직 지지부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액자를 나타낸 것으로, 가운데 구멍이 형성된 앞면(1)과, 가로지지부(6)와 세로지지부(5)를 가진 뒷면(3)과, 상기 앞면(1)과 뒷면(3)사이에 결합되는 ∪자형의 삽입부재(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뒷면(3)에는 세로방향의 세로지지부(5)와, 가로방향의 가로지지부(6)가 형성되며, 상기 가로지지부(6)와 세로지지부(5)의 끝단부에 각각 끼움부(6a)(5a)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앞면(1)과 뒷면(3)사이에 삽입부재(2)를 삽입시키고 이들을 통상의 접착제로 접착하여 고정시키면 하나의 액자 형태가 된다.
이렇게 액자형태를 형성하고, 세로 지지부(5)와 가로지지부(6)를 뒷면(3)으로부터 이탈시키고 각각 90도 정도 절곡시킨 상태에서 가로지지부(6)의 끼움부(6a)에 세로지지부(5)의 끼움부(5a)를 끼우면 이들 끼움부(5a)(6a)가 서로 끼워지면서 가로지지부(6)와 세로지지부(5)가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액자(10)를 수직방향으로 세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액자(10)를 세로 방향으로 세울 수 있게 함은 물론, 가로방향으로도 상기 지지부(5)(6)들의 결합에 의해 용이하게 세울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앞면(1)과 뒷면(3)사이에 삽입부재(2)가 삽입되어 있는데 이러한 삽입부(2)가 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상부의 중심이 개구되어 있으므로 앞면(1)과 뒷면(3)사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사진을 용이하게 착탈 할 수 있으며, 앞면에 형성되는 홈부(4)를 통하여 사진이 노출되어 사용자가 언제나 사진을 볼 수 있게 된다.
1:앞면 2:삽입부재
3:뒷면 4:홈부
5:세로 지지부 6:가로 지지부
5a,6a:끼움부

Claims (2)

  1. 가운데 구멍이 형성된 앞면(1)과, 가로지지부(6)와 세로지지부(5)를 가진 뒷면(3)과, 상기 앞면(1)과 뒷면(3)사이에 결합되는 삽입부재(2)를 포함하여 액자(10)가 구성되며, 상기 가로지지부(6)와 세로지지부(5)에 각각의 끼움부(6a)(5a)가 형성되어 상기 가로지지부(6)와 세로지지부(5)가 뒷면(3)에서 이탈되어 끼움부(6a)(5a)가 서로 끼워져 지지수단이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2)가 ∪자 형태로 구성되어 앞면(1)과 뒷면(3)사이의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이 개구부로 사진을 착탈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KR1020130082527A 2013-07-13 2013-07-13 액자 KR201500079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527A KR20150007901A (ko) 2013-07-13 2013-07-13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527A KR20150007901A (ko) 2013-07-13 2013-07-13 액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0001269U Division KR20150001512U (ko) 2015-02-26 2015-02-26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901A true KR20150007901A (ko) 2015-01-21

Family

ID=52570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527A KR20150007901A (ko) 2013-07-13 2013-07-13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79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002137A1 (de) * 2016-02-23 2017-08-24 Loreta Vengaliene Die am Gegenstand befestigten Stützen, die den Stellwinkel des Gegenstandes justier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002137A1 (de) * 2016-02-23 2017-08-24 Loreta Vengaliene Die am Gegenstand befestigten Stützen, die den Stellwinkel des Gegenstandes justier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022188A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WO2010007692A1 (ja) 眼鏡用蝶番及びそれを備えた眼鏡フレーム
CN210136491U (zh) 电子白板边框及电子白板
JP2016528978A (ja) 装飾フレーム
KR20150007901A (ko) 액자
KR20150001512U (ko) 액자
KR20180071861A (ko) 도어의 세로프레임과 유리부재의 결합구조
US9958702B1 (en) Eyeglasses assembly structure having nose support
KR200479102Y1 (ko) 전시용 액자
US11846840B2 (en) Display device
KR20160098087A (ko)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
KR20180002674U (ko) 자석을 이용한 액자 배면판 고정 방법
KR20070027842A (ko) 엘씨디 모듈 고정구조
KR20100044981A (ko) 사진 교체가 용이한 액자
KR200487871Y1 (ko) 물품 거치 장치
KR101568931B1 (ko) 안경테의 결합구조체
KR101703011B1 (ko) 착탈식 간판
KR20180000333U (ko) 전방삽입형 다기능 액자
CN210453789U (zh) 一种3d打印机外壳
KR20130000883U (ko) 전면개폐식 액자
TWM574809U (zh) 框體組件、背光模組及顯示裝置
CN210327780U (zh) 一种液晶电视面框结构及液晶电视
KR102160280B1 (ko) 접이식 액자와 그 제조 방법 및 전개판지
JP4225280B2 (ja) 縦フレーム固定部材
KR20220167556A (ko) 양면 액자 및 그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CV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