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102Y1 - 전시용 액자 - Google Patents

전시용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102Y1
KR200479102Y1 KR2020140004502U KR20140004502U KR200479102Y1 KR 200479102 Y1 KR200479102 Y1 KR 200479102Y1 KR 2020140004502 U KR2020140004502 U KR 2020140004502U KR 20140004502 U KR20140004502 U KR 20140004502U KR 200479102 Y1 KR200479102 Y1 KR 2004791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anger
insertion member
guide hol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5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시헌
Original Assignee
최시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시헌 filed Critical 최시헌
Priority to KR20201400045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1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1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1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8Picture loo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패널과 상기 패널의 배면에 결합되며 복수의 중공형 프레임의 길이 방향 단부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행거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는 상기 행거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의 폭 방향 양측에는 상부 플랜지가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며; 상기 행거는 가이드홀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상부 플랜지에 걸리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액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시용 액자{Frame for display}
본 고안은 전시용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레임 행거의 위치조절과 탈부착이 간편하여 전시성이 향상된 전시용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시용 액자는 미술관이나 화랑, 사진관 및 쇼윈도우의 인테리어 공간에 설치되어서, 그림이나 사진 등을 부착하여 진열하는데 사용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전시용 액자를 보여주고 있다.
도면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통상의 전시용 액자는 액자본체(1)와, 그 내부에 삽입되는 그림 혹은 사진(3)으로 구성되며, 상기 그림 혹은 사진(3)의 앞쪽에는 유리나 합성수지 필름과 같은 투명판(5)이 설치되고, 상기 액자본체(1)에는 고정식의 전시고리(7)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전시용 액자는 미술관이나 화랑, 사진관 및 쇼윈도우의 벽면에 부착 및 진열되어서, 관람자 혹은 상품 구매자에게 전시되어지는바, 특히 미술관이나 화랑의 경우에는 다양한 크기의 사진 및 그림을 전시해야 되므로 전시물의 크기와 방향에 의하여 전시성이 떨어지지 않도록 전시용 액자에는 그림에 대응하도록 알맞은 갯수의 전시고리가 전시를 위한 올바른 위치에 구비되어져야 한다.
하지만 기존의 전시용 액자의 전시고리(7)는 액자본체(1)의 일부분에 고정되어 위치변경을 불가능하거나 위치변경이 가능하더라도 나사등을 해체하여 전시고리르 위치를 변경한 뒤 다시 조립해야되는 번거러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공보 제 20-0253432호(2001. 10. 27)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가이드홀과 위치교환홀이 형성된 프레임을 이용하여 행거의 위치조절과 탈착이 간편하여 전시성이 향상된 전시용 액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전시용 액자는 패널과 상기 패널의 배면에 결합되며 복수의 중공형 프레임의 길이 방향 단부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행거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는 상기 행거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의 폭 방향 양측에는 상부 플랜지가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며; 상기 행거는 가이드홀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상부 플랜지에 걸리어 지지되며; 상기 상부 플랜지의 길이방향 길이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 길이보다 짧아 프레임의 길이 방향 일측이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며; 복수의 상기 프레임 길이 방향 단부가 결합되었을 때 위치교환홈이 형성되어 상기 행거의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에서, 폭 방향으로 대향하는 상기 상부 플랜지의 하부로는 상기 가이드홀로부터 이격된 위치로부터 경사부가 폭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여 하향 연장 구비되어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은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행거는 고리홀이 관통 형성된 고리부와, 삽입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부재는 반구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삽입부재의 상면에는 고리부와 연결되는 고리연결부가 상향 돌출 구비되며, 상기 고리부와 삽입부재는 상기 고리연결부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상기 삽입부재는 삽입홈에 삽입되어 삽입부재의 구면은 경사부를 향하며, 상기 고리연결부는 가이드홀을 지나 돌출되고, 돌출된 상기 고리연결부는 고리부와 연결되며, 상기 행거가 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전시용 액자는 행거의 위치조절을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행거의 탈착이 용이하여 전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자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전시용 액자를 도시한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프레임을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프레임부의 모서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전시용 액자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전시용 액자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전시용 액자을 도시한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프레임을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프레임부의 모서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전시용 액자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2의 가로 방향을“길이 방향”으로 하고“길이 방향”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외측”중심으로 가까워지는 방향을 “내측”으로하며, 세로 방향을“상하 방향”으로 하고,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폭 방향”으로 하며 “벽지지부”로부터“패널지지부”를 향하는 방향을“전방”으로,“패널지지부”로부터“벽지지부”를 향하는 방향을“후방”으로 하여 기재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시용 액자(100)는 패널(10)과, 상기 패널의 배면에 결합되는 프레임부(110)와, 상기 프레임부(110)에 설치되는 행거(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패널(10)은 사용자가 전시할 그림 및 사진이 삽입되거나 또는 접착제 및 클램프로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부(110)는 복수의 프레임(111) 길이 방향 단부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11)은 중공관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11)의 길이 방향 단부는 길이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11)의 경사진 단부가 복수로 결합되어 사각형의 프레임부(110)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프레임(111)의 상하 방향 상면에는 행거(120)가 설치된다. 상기 행거(120)를 이루는 고리부(121)는 상기 프레임(111)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구비되어 전시용 철근에 결합되어 전시용 액자(100)가 설치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1)과 행거(120)의 구조를 설명하면 중공관체로 이루어진 프레임(111)의 폭 방향 전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패널지지부(1111)가 구비된다. 상기 패널지지부(1111)는 사진 및 그림이 결합된 패널(10)이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패널(10)과 패널지지부(1111)의 결합방식은 접착제를 이용한 고정식 또는 나사체결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1)의 상면에는 상기 행거(120)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가이드홀(1113a)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홀(1113a)은 상기 프레임(111)의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홀(1113a)의 폭 방향 양측에는 상부 플랜지(1113)가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상부 플랜지(1113)의 길이 방향 길이는 상기 패널지지부(1111)의 길이 방향 길이보다 짧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111)은 길이 방향 일측 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개구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부(110)의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프레임(111)과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프레임(111)이 결합될 때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는 프레임(111) 또는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프레임(111) 중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111)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111) 길이 방향 단부가 복수로 결합되었을 때 상기 개구부로 인하여 위치교환홈(110a)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110)의 분해작업이 없이 행거(120)의 탈착이 가능해진다.
폭 방향으로 대향하는 상기 상부 플랜지(1113)의 하부로는 상기 가이드 홀(1113a)로부터 이격된 위치로부터 경사부(1115)가 구비된다. 상기 경사부(1115)는 폭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형태로 하향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경사부(1115)는 상하 방향 하단에서 단부가 접하게 되어 삽입홈(1112)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112)은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이루게된다. 상기 삽입홈(1112)에는 후술할 행거(120)의 삽입부재(123)가 삽입된다.
상기 패널지지부(1111)의 하단에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부 플랜지(1114)가 구비된다. 상기 하부 플랜지(1114)는 후술할 벽지지부(1117)를 상기 패널지지부(1111)와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 플랜지(1114)는 상기 프레임(111)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굴곡진“ㄷ”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1)의 폭 방향 후면에는 벽지지부(1117)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벽지지부(1117)의 상하 방향 양 단부는 각각 상부 플랜지(1113)의 폭 방향 후방 단부와 하부 플랜지(1114)의 폭 방향 후방 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벽지지부(1117)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상하 방향 중심이 단절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행거(120)는 고리부(121)와, 삽입부재(123)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리부(121)에는 고리홀(121a)이 관통 형성되어 전시용 철근이 연결 가능하다.
상기 고리부(121)의 하단에는 삽입부재(123)가 구비된다. 상기 삽입부재(123)는 반구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부재(123)의 상면에는 삽입부재(123)를 상기 고리부(121)와 연결해주는 고리연결부(1233)가 상향 돌출 구비된다. 상기 고리연결부(1233)의 반경방향 외경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고리부(121)와 나사결합 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1)과 상기 행거(120)의 결합관계를 설명하면, 복수의 프레임(111)이 결합되어 형성된 위치교환홈(110a)을 통하여 상기 행거(120)가 프레임(111)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삽입부재(123)는 프레임(111)의 삽입홈(1112)에 삽입되고, 고리연결부(1233)는 상기 가이드홀(1113a)에 삽입되어 가이드홀(1113a)로부터 상향 돌출 구비되며 돌출된 상기 고리연결부(1233)와 고리부(121)의 하단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고리연결부(1233)를 중심으로 상기 삽입부재(121)는 프레임(111)의 내부에 고리부(121)는 프레임(111)의 외부에 위치하여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홈(1112)에 결합된 삽입부재(123)의 외경면(1231)은 상기 경사부(1115)를 향하여 위치하고, 삽입부재(123)의 상면은 상기 상부 플랜지(1113)의 하면에 걸리어 지지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시용 액자의 설치 형태를 설명하면 패널(10)과 결합된 프레임부(110)는 고리연결부(1233)를 통하여 삽입부재(123)와 결합된 고리부(121)에 의하여 전시용 철근(A)에 설치되게 된다. 이때 벽지지부(1117)는 벽과 접촉되어 액자의 폭 방향 움직임을 억제한다. 또한 사용자는 길이 방향으로 고리부(121)를 슬라이딩 하여 전시 액자의 균형을 손쉽게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아니라 본 고안의 전시용 액자는 위치교환홀(110a)이 형성되어 있어 복수의 프레임(111)의 분해작업 없이 행거(120)의 위치를 바꾸는것이 가능하여 세로방향의 전시물에도 간편하게 대응되어 전시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전시용 액자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전시용 액자
10 : 패널 110 : 프레임부
110a : 위치교환홀 111 : 프레임
1113a : 가이드홀 120 : 행거

Claims (5)

  1. 패널(10)과, 상기 패널(10)의 배면에 결합되며 복수의 중공형 프레임(111)의 길이 방향 단부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프레임부(110)와, 상기 프레임부(110)에 설치되는 행거(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111)의 상면에는 상기 행거(120)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가이드홀(1113a)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1113a)의 폭 방향 양측에는 상부 플랜지(1113)가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며; 상기 행거(120)는 가이드홀(1113a)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상부 플랜지(1113)에 걸리어 지지되며; 상기 상부 플랜지(1113)의 길이 방향 길이는 상기 프레임(111)의 길이 방향 길이보다 짧아 프레임(111)의 길이 방향 일측이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며; 복수의 상기 프레임(111) 길이 방향 단부가 결합되었을 때 위치교환홈(110a)이 형성되어 상기 행거(120)의 탈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액자(100).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대향하는 상기 상부 플랜지(1113)의 하부로는 상기 가이드홀(1113a)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로부터 경사부(1115)가 폭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여 하향 연장 구비되어 삽입홈(1112)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112)은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액자(100).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120)는 고리홀(121a)이 관통 형성된 고리부(121)와, 삽입부재(123)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부재(123)는 반구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삽입부재(123)의 상면에는 고리부(121)와 연결되는 고리연결부(1233)가 상향 돌출 구비되며, 상기 고리부(121)와 삽입부재(123)는 상기 고리연결부(1233)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액자(100).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123)는 삽입홈(1112)에 삽입되어 삽입부재(123)의 구면(1231)은 경사부(1115)를 향하며, 상기 고리연결부(1233)는 가이드홀(1113a)을 지나 돌출되고, 돌출된 상기 고리연결부(1233)는 고리부(121)와 연결되며, 상기 행거(120)가 프레임(111)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용 액자(100).
KR2020140004502U 2014-06-16 2014-06-16 전시용 액자 KR2004791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502U KR200479102Y1 (ko) 2014-06-16 2014-06-16 전시용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502U KR200479102Y1 (ko) 2014-06-16 2014-06-16 전시용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102Y1 true KR200479102Y1 (ko) 2015-12-17

Family

ID=55170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502U KR200479102Y1 (ko) 2014-06-16 2014-06-16 전시용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10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908B1 (ko) 2019-07-01 2020-05-06 정의원 액자프레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액자프레임
KR102522389B1 (ko) 2022-05-04 2023-04-17 서성원 액자 프레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432Y1 (ko) 2001-07-10 2001-11-17 안순자 장식용 액자
KR20080045009A (ko) * 2006-11-17 2008-05-22 장상준 다용도 프레임 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432Y1 (ko) 2001-07-10 2001-11-17 안순자 장식용 액자
KR20080045009A (ko) * 2006-11-17 2008-05-22 장상준 다용도 프레임 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908B1 (ko) 2019-07-01 2020-05-06 정의원 액자프레임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액자프레임
KR102522389B1 (ko) 2022-05-04 2023-04-17 서성원 액자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33851S1 (en) VESA mount adapter bracket
US20070006504A1 (en) Picture frame having an inner frame movably received in an outer frame for exhibiting a planar drawing or a three dimensional object
USD869416S1 (en) Television receiver
USD805369S1 (en) Support frame
KR200479102Y1 (ko) 전시용 액자
JP6576518B2 (ja) 映写スクリーン保持枠構造体
EP2924982A2 (en) Panel for display screens
WO2017222828A1 (en) Modular poster print stretch frame
JP5208989B2 (ja) 展示パネル
USD905975S1 (en) Hexagon picture display panel
US20170092162A1 (en) Display Mounting System
US9343005B2 (en) Extruded frame trim arrangement
KR200464550Y1 (ko) 양면 분리형 액자
KR20110003529U (ko) 액자
US9293070B2 (en) Trade show display mount
KR101703011B1 (ko) 착탈식 간판
KR101093162B1 (ko) 간판 및 안내 표지판 고정용 브라켓
CN205457695U (zh) 一种拼角相框
USD785815S1 (en) Supporting frame for screen
KR20180074954A (ko) 프레임이 없는 사진 액자
KR200470100Y1 (ko) 액자
WO2016172813A1 (zh) 一种磁性照片贴
CN214661313U (zh) 一种挂画架拼装用管件连接结构
US973053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tems
CN102697335A (zh) 画展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