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7473A - 그물망결속재 및 이를 이용한 그물의자 - Google Patents
그물망결속재 및 이를 이용한 그물의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07473A KR20150007473A KR20130081430A KR20130081430A KR20150007473A KR 20150007473 A KR20150007473 A KR 20150007473A KR 20130081430 A KR20130081430 A KR 20130081430A KR 20130081430 A KR20130081430 A KR 20130081430A KR 20150007473 A KR20150007473 A KR 201500074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mesh
- net
- fixing
- ch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A47C31/023—Upholstery attaching means connecting upholstery to frames, e.g. by hooks, clips, snap fasteners, clamping mean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5/00—Chairs of special materials
- A47C5/04—Metal chairs, e.g. tubular
- A47C5/06—Special adaptation of seat upholstery or fabric for attachment to tubular chair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물망의 끝단부를 고정하는 그물망결속재와 이를 이용하여 등받이나 좌판이 그물망으로 이루어지는 그물의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실시예로, 속이 비어 있고 일측에 슬릿홈이 형성되어 있는 의자 프레임에 그물망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의자 프레임에 삽입되며 상기 슬릿홈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슬릿홈을 통과하는 리드부 및 상기 리드부의 끝단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그물망의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그물망결속재와 이를 이용하는 그물의자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그물망의 끝단부를 고정하는 그물망결속재와 이를 이용하여 등받이나 좌판이 그물망으로 이루어지는 그물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물의자는 나무 또는 강철의 프레임에 그물망을 고정하여 등받이와 좌석을 설치한 것이다. 하절기에 땀이 차는 등과 엉덩이 부분을 그물망으로 받치므로 직물이나 가죽으로 만든 의자에 비하여 시원한 장점이 있다.
그물의자의 내구성은 주로 그물망과 프레임의 연결부분에 의해 결정된다. 주로 합성수지로 짜인 그물망 자체는 강성이 좋지만 프레임과 연결하는 부분에서는 가요성이 있는 그물망이 사용 중에 유동하면서 마찰이 일어나 그물망이 끊어지는 원인이 된다.
통상적인 그물의자는 그물망을 프레임에 걸치는 형태로 제작됨에 따라 사용 중 프레임과 그물망의 마찰이 있게 된다. 그물망을 보다 질긴 재질로 제작하는 경우에 비교적 오랜 기간 그물망이 끊어지지 않고 사용할 수 있으나, 그물망과의 마찰에 의해 프레임의 표면이 상하여 프레임에 칠한 도료가 벗겨지는 문제가 있다. 결국 소비자들은 그물망이 끊어지거나 도료가 벗겨진 프레임이 보기 흉하여 그물의자를 버리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과 그물망을 연결함에 있어 프레임과 그물망의 접촉을 방지하여, 프레임과 그물망과의 마찰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소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속이 비어 있고 일측에 슬릿홈이 형성되어 있는 의자 프레임에 그물망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의자 프레임에 삽입되며 상기 슬릿홈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슬릿홈을 통과하는 리드부 및 상기 리드부의 끝단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그물망의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그물망결속재를 제시한다.
한편 상기 거치부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 상에서 상기 프레임의 내부 벽면과 일부 구간에서만 접촉하고, 나머지 구간에서는 상기 벽면과의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복수의 거치판이 일정 간격에 따라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그물망의 가장자리의 전면과 후면을 감싸는 한 쌍의 고정편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편에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바느질홈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결속재의 상단부에는 상기 프레임의 끝단부를 마감하는 마감캡이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그물망의 가장자리의 전면과 후면을 감싸는 한 쌍의 나란한 고정편과, 나란한 상기 고정편들의 하단부를 연결하고 있는 마감편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그물망결속재, 속이 비어 있고 일측에 슬릿홈이 형성되어 있는 의자 프레임 및 상기 그물망결속재에 가장자리가 고정되어 등받이 또는 좌판을 형성하는 그물망을 포함하는 그물의자를 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그물망을 프레임에 고정함에 있어 그물망과 프레임의 마찰이 없게 되므로 전술한 문제점이 해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거치부는 중공된 프레임을 타고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생산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감캡이 구비된 그물망결속재를 사용하면 그물망의 조립과 함께 프레임 끝단의 마감이 동시에 이루어져 생산성이 더욱 개선된다.
또 다른 형태의 그물망결속재는 그물망의 끝단부를 감싸므로 그물의자의 완성도를 좋게 하여 고급화가 가능하며, 그물망의 훼손을 저감하여 수명을 증대시킨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물망결속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그물망결속재와 프레임의 결합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그물망결속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그물망결속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물의자에 채용된 의자 프레임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그물망결속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그물망결속재에 채용된 거치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그물망결속재와 프레임의 결합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그물망결속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그물망결속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물의자에 채용된 의자 프레임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그물망결속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그물망결속재에 채용된 거치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그물망결속재 및 이를 이용한 그물의자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실시예들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이 기술분야에 속하는 전문가의 견지에서 도면에 도시된 일부 또는 전부가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형상, 모양, 순서가 아니라고 해석될 수 있다면,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먼저 도 6에는 의자 프레임(200)이 도시되어 있다. 물론 도시한 의자 프레임(200)은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다리 프레임은 생략될 수 있다. 또는 좌판과 등받이가 하나로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등받이 또는 좌판에만 그물망을 설치할 수도 있으며, 다른 예로 등받이나 좌판 중 하나가 생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그물의자가 제작될 수 있다.
의자 프레임(200)은 중공된 파이프를 적당히 조립하여 제작된다. 파이프는 통상 금속재질이며, 길이 방향에 따라 적절히 밴딩되어 휘어짐이 있을 수 있다. 도면에서는 좌판이 형성된 프레임(200)의 전단부가 하향으로 휘어져 있다.
한편 좌판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등받이를 형성하는 프레임(200)에는 슬릿홈(22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홈(220)은 의자의 좌측과 우측을 형성하고 있는 나란한 프레임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다. 슬릿홈(220)은 레이저 컷팅과 같은 공지된 기술로써 형성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물망결속재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물망결속재(100)는 속이 비어 있고 일측에 슬릿홈이 형성되어 있는 의자 프레임(도 4 참고)에 그물망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그물망결속재(100)는 거치부(1), 리드부(2) 및 고정부(3)를 포함한다.
거치부(1)는 속이 빈 프레임(200)의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이며, 고정부(3)는 그물망(300)의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부분이다. 리드부(2)는 거치부(1)와 고정부(3)를 연결하며, 프레임(200)의 일측에 형성된 슬릿홈(220)을 통과하는 부분이다.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에 거치부(1)는 슬릿홈(220)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거치부(1)가 프레임(200)의 개방된 끝단을 통해 삽입되면, 거치부(1)가 슬릿홈(220)을 통하여 프레임(200) 외부로 빠져나올 수 없게 된다.
리드부(2)의 폭은 프레임의 슬릿홈(220)의 폭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다.
그물망결속재(100)의 거치부(1)를 프레임(200)의 내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그물망결속재(100)가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때에 리드부(2)가 슬릿홈(220)을 타고 이동할 수 있다.
거치부(1)는 프레임(20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 상에서 프레임(200)의 내부 벽면(210)의 전체가 아니라 내부 벽면(210)의 일부 구간에서만 접촉한다. 도 2에는 제1실시예에 따른 그물망결속재(100)가 의자 프레임(200)에 장착된 평면도가 제시되어 있다.
제1실시예에서 거치부(1)는 반달 형상으로 제시됨에 따라 원형인 프레임(200)의 벽면(210)에 호 부분이 면접촉하게 된다. 거치부(1)와 접촉하는 부분을 제외한 프레임의 벽면, 즉 슬릿홈(220)의 주변의 벽면에는, 거치부(1)와 프레임의 벽면(210) 사이에 빈 공간(S)이 있게 된다.
이 빈 공간(S)은 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물망결속재(100)가 슬라이딩 이동함에 있어서,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거치부(1)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공간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대략 원통형상인 프레임(200)을 적당히 구부려 의자의 다양한 곡선을 형성한 경우에, 휘어지는 부분에서 프레임의 내부는 반듯한 원형이 유지되지 아니할 수 있다.
프레임(200)에 장착된 그물망결속재(100)가 프레임(200)이 휘어져 내부가 원형이 아닌 부분을 통과할 때에, 거치부(1)는 프레임의 벽면(210)과 접촉하여 탄성 변형을 하게 된다. 이때, 빈 공간(S)이 있어 거치부(1)가 원활하게 탄성변형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그물망결속재(100)가 프레임(200)의 휘어진 부분을 원만히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도 8에는 프레임(200)의 벽면(210)과 일부분에서만 접촉하는 거치부(1)의 다양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의 (a)에서 거치부(1)는 십자가 형태의 단면을 갖는다. 제1실시예의 반달 형상의 거치부에 비하여, 프레임(200)의 내측 벽면(210)과의 빈 공간(S)이 더 크게 형성됨에 따라 벽면(210)과 접촉하는 거치부(1)가 더욱 크게 탄성 변형할 수 있다.
도 7의 (b)에 도시된 거치부(1)는 원형인 프레임(200) 내측 단면과 접촉하는 면적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리드부(2)에서 이어지는 거치부(1) 시작 부근의 곡면은 리드부(2)와 거치부(1)의 연결지점에 각진 모서리를 없앤 것으로, 이 연결지점의 피로 강성을 증대시킨 형상이다. 상하로 대칭을 이루는 연장부분(12)은 거치부(1)의 중앙에서 외팔보 형태로 연장되는데, 이는 연장부분(12)의 탄성을 증대시키는 구조이다. 따라서 (b)에 도시된 그물망결속재는 쉽게 탄성변형되어 프레임의 휘어진 부분을 더욱 쉽게 통과할 수 있다.
도 7의 (c)와 (d)에 도시된 거치부(1)는 사다리꼴 또는 다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거치부는 프레임(200)의 내측 벽면(210)과 선 접촉을 하게 된다. 거치부(1)의 단면에서 변은 프레임(200)의 굴곡진 벽면(210)과 떨어져 위치하므로, 변과 프레임의 내측 벽면(210)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된다. 이 빈 공간은 굴곡진 프레임을 통과하면서 상기 변이 보록하게 탄성 변형할 수 있는 공간이 된다.
다시 도 1, 도 3 및 도 7의 확대된 부분을 참고하면, 거치부(1)는 복수의 거치판(11)이 일정 간격에 따라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어 형성된 것이다. 각 거치판(11)은 리드부(2)에 연결됨으로써 서로 이격된 간격이 유지된다.
도 1과 도 3을 참고하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판 형태의 리드부(2)에 복수의 거치판(11)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구비됨에 따라, 상하로 이웃하는 거치판(11)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도 3에는 휘어진 프레임(200)과, 이 프레임을 통과하는 그물망결속재(100)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프레임(200)이 휘어짐에 따라 슬릿홈(220)도 같은 궤적을 그리며 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휘어진 프레임(200)과 슬릿홈(220)을 통과하면서, 그물망결속재(100)도 길이 방향에 대하여 휘어지게 된다.
각 거치판(11)의 가장자리는 프레임(200)의 내측 벽면(210)에 접촉하고 있는데, 리드부(2)의 휘어짐에 따라 기울기가 서로 달라져, 상하로 이웃하는 거치판(11)의 간격은 좁아지거나 벌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이격된 거치판(11)으로 이루어진 거치부(1)는, 그물망결속재(100)가 급격하게 휘어지는 프레임(200)을 통과할 때에, 그물망결속재(100)를 프레임(200)의 길이 방향에 따라 어느 정도 탄성 있게 휘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그물망결속재(100)가 원활하게 프레임(200)을 타고 이동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다시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고정부(3)는 그물망(300)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한 쌍의 고정편(31)을 포함한다. 단면을 보았을 때에 고정부는 대략 "U" 자 형태이며, 고정편들(31)은 나란하게 위치한다.
이 고정편들(31) 사이에는 그물망(300)의 가장자리가 위치한다. 즉, 그물망(300)의 가장자리를 고정편들(31)을 포함하는 고정부(3)가 감싸는 형태가 된다.
또한 고정편(31)에는 프레임(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바느질홈(311)이 형성되어 있다. 바느질홈(311)은 바늘(N)이 고정편들(31) 및 그물망(300)을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고정편(31)의 두께를 줄인 부분이다. 또한 바느질홈(311)은 직선으로 바느질할 수 있도록 돕는다. 바늘질은 재봉틀과 같은 기계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고정부는 그물망을 고정하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의 나란한 고정편들의 마주보는 면에는 그물망의 그물눈을 물어 고정하는 갈고리들이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갈고리에 그물망을 걸어 둠으로써 고정부가 그물망의 가장자리를 고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고정부는 그물망의 가장자리를 물어 고정하는 클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고정부는 접착제를 통하여 그물망의 가장자리를 부착하기 위한 적절한 공지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 외에도 고정부는 공지된 바에 따라 그물망을 고정하는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그물망결속재가 도시되어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그물망결속재(100')는 거치부(1), 리드부(2) 및 고정부(3)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과 작용은 전술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에 따른 거치부(1)의 상단부에는 프레임의 끝단부를 마감하는 마감캡(4)이 결합되어 있다.
마감캡(4)은 프레임(200)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0)이 원형 단면을 가진다면, 마감캡(4)은 원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이때, 마감캡(4)의 지름은 프레임(200)의 외경과 사실상 동일한 것이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그물망결속재가 도시되어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른 그물망결속재(100'')는 거치부(1), 리드부(2) 및 고정부(3)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과 작용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저촉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전술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3실시예에 따른 고정부(3)는 그물망의 가장자리의 전면과 후면을 감싸는 한 쌍의 나란한 고정편(31)과, 나란한 고정편들(31)의 하단부를 연결하고 있는 마감편(32)을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편(31)은 전술된 제1실시예와 동일한 형상과 기능을 갖는다. 마감편(32)은 고정편들(31)의 하단부를 연결함으로써 고정편(31)의 하단부를 막게 된다.
도 7에는 그물망결속재의 사용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물의자는 전술한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그물망결속재(100), 속이 비어 있고 일측에 슬릿홈이 형성되어 있는 의자 프레임(200) 및 그물망결속재(100)에 가장자리가 고정되어 등받이 또는 좌판을 형성하는 그물망(300)을 포함한다.
그물망의 일측과 타측에는 복수의 그물망결속재(100,100',100'')가 결합된다. 그물망(300)의 가장자리를 보면, 가장자리의 상단부에는 제2실시예에 따른 그물망결속재(100')를 결합하고, 하단부에는 제3실시예에 따른 그물망결속재(100'')를 결합하며, 중간부분에는 복수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물망결속재(100)를 연결한다. 여기서 그물망(300)은 그물망결속재들(100,100',100'')의 각 고정부(3)에 바느질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3실시예에 다른 그물망결속재(100'')부터 차례로 프레임(200)에 장착하여, 프레임(200)에 그물망(300)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제2실시예에 따른 그물망결속재(100')에 구비된 마감캡(4)을 개방된 프레임(200)의 끝단부에 위치하도록 삽입함으로써 그물망(300)의 설치가 완료된다.
복수의 그물망결속재(100,100',100'')는 바느질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서로 고정되어 있지 아니하다. 따라서 프레임의 휘어진 부분을 통과하면서 각 그물망결속재의 거치부가 보다 용이하게 프레임의 내측 벽면을 타고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별도의 마감캡을 구비하지 아니하여도 되므로 그물망의 설치와 동시에 프레임의 개방된 끝단부를 마감할 수 있다. 제3실시예에 따른 그물망결속재(100'')는 그물망(300)의 하단을 감싸서 그물망의 하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며, 그물의자의 완성도를 좋게 한다.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제2실시예에 따른 그물망결속재와 제3실시예에 따른 그물망결속재의 사이에 구비되는 제1실시예에 따른 그물망결속재는 길게 형성한 하나의 부재가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등받이와 좌판의 길이에 따라 적정한 길이로 그물망결속재를 잘라 사용하게 된다.
또 다른 예로 제2실시예에 따른 그물망결속재를 생략하고, 그물망의 상단부까지 제1실시예에 따른 그물망결속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마감캡을 이용하여 개방된 프레임의 끝단부를 마감할 수 있다.
100, 100', 100'' : 그물망결속재
1 : 거치부 11 : 거치판 12 : 연장부분
2 : 리드부
3 : 고정부 31 : 고정편 311 : 바느질홈 32 : 마감편
4 : 마감캡
200 : 프레임 210 : 벽면 S : 빈 공간 220 : 슬릿홈
300 : 그물망 N : 바늘
1 : 거치부 11 : 거치판 12 : 연장부분
2 : 리드부
3 : 고정부 31 : 고정편 311 : 바느질홈 32 : 마감편
4 : 마감캡
200 : 프레임 210 : 벽면 S : 빈 공간 220 : 슬릿홈
300 : 그물망 N : 바늘
Claims (7)
- 속이 비어 있고 일측에 슬릿홈이 형성되어 있는 의자 프레임에 그물망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의자 프레임에 삽입되며 상기 슬릿홈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슬릿홈을 통과하는 리드부; 및
상기 리드부의 끝단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그물망의 가장자리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그물망결속재. - 제1항에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단면 상에서 상기 프레임의 내부 벽면과 일부 구간에서만 접촉하고, 나머지 구간에서는 상기 벽면과의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것인 그물망결속재. - 제1항에서,
상기 거치부는
복수의 거치판이 일정 간격에 따라 상기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된 것인 그물망결속재. - 제1항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그물망의 가장자리의 전면과 후면을 감싸는 한 쌍의 고정편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편에는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바느질홈이 형성되어 있는 그물망결속재. - 제1항에서,
상기 결속재의 상단부에는 상기 프레임의 끝단부를 마감하는 마감캡이 결합되어 있는 그물망결속재. - 제1항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그물망의 가장자리의 전면과 후면을 감싸는 한 쌍의 나란한 고정편과,
나란한 상기 고정편들의 하단부를 연결하고 있는 마감편을 포함하는 그물망결속재.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그물망결속재;
속이 비어 있고 일측에 슬릿홈이 형성되어 있는 의자 프레임; 및
상기 그물망결속재에 가장자리가 고정되어 등받이 또는 좌판을 형성하는 그물망;을 포함하는 그물의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1430A KR101496918B1 (ko) | 2013-07-11 | 2013-07-11 | 그물망결속재 및 이를 이용한 그물의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1430A KR101496918B1 (ko) | 2013-07-11 | 2013-07-11 | 그물망결속재 및 이를 이용한 그물의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7473A true KR20150007473A (ko) | 2015-01-21 |
KR101496918B1 KR101496918B1 (ko) | 2015-03-02 |
Family
ID=52570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81430A KR101496918B1 (ko) | 2013-07-11 | 2013-07-11 | 그물망결속재 및 이를 이용한 그물의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9691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17051B1 (ko) * | 2021-02-09 | 2023-03-31 | 한의경 | 그물망결속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그물의자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00539U (ko) * | 2008-07-08 | 2010-01-18 | (주)지에스엠 | 야외용 접철식 의자 |
CA2779810C (en) * | 2009-11-10 | 2014-07-22 | Velcro Industries B.V. | Releasable fastening along a bead |
KR101072586B1 (ko) * | 2011-04-15 | 2011-10-11 | 주식회사 진성기업 |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
-
2013
- 2013-07-11 KR KR1020130081430A patent/KR101496918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96918B1 (ko) | 2015-03-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406021B (zh) | 车辆用座椅的表皮固定构造、车辆用座椅的操作杆装置及车辆用座椅 | |
US7748673B2 (en) | Hook for supporting shower curtain and shower curtain lin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same | |
RU2694298C2 (ru) | Устройство хранения и улучшен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корзины с зацепными элементами | |
US8696066B2 (en) | Vehicle seat | |
CN104337281A (zh) | 表皮材料安装固定用夹具 | |
US20160174719A1 (en) | Crip and Cord | |
JP5949299B2 (ja) | クリップ | |
JP2012235911A (ja) | 止着用クリップ | |
JP4828587B2 (ja) | 編成ツール装置および編成ツール | |
JP6604096B2 (ja) | 乗物用シート | |
KR20130002985A (ko) | 의자용 씌우개의 인장 설치 구조 | |
KR101496918B1 (ko) | 그물망결속재 및 이를 이용한 그물의자 | |
KR101580891B1 (ko) | 접이식 의자의 팔걸이 결합구조 | |
JP2014001481A (ja) | かつらベース、及び、かつら | |
KR102113637B1 (ko) | 커버재 체결 클립 | |
KR101513367B1 (ko) | 그물망결속재 및 이를 이용한 그물의자 | |
JP2015123329A (ja) | 表皮吊込構造 | |
JP3176641U (ja) | 釣竿支持具 | |
JP6820004B2 (ja) | 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 |
JP2018024303A (ja) | 車両用シート | |
US7934769B1 (en) | Seat frame for folding chair | |
US8511654B2 (en) | Drop-in grid base for coil units | |
JPH11148283A (ja) | 横型ブラインドのスラット押え | |
KR20150002212U (ko) | 방충망 | |
JP3939155B2 (ja) | 埋込取付式ファスナ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