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6513A -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6513A
KR20150006513A KR1020130079704A KR20130079704A KR20150006513A KR 20150006513 A KR20150006513 A KR 20150006513A KR 1020130079704 A KR1020130079704 A KR 1020130079704A KR 20130079704 A KR20130079704 A KR 20130079704A KR 20150006513 A KR20150006513 A KR 20150006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mmon space
cabin
blowing amount
air cond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9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유정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9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6513A/ko
Publication of KR20150006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65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선박의 데크 상부에 마련된 상부 구조물에 적용되고, 상부 구조물에 형성된 공기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공기조화를 수행하는 공기조화장치, 상부 구조물에 마련된 각 선실과 공용공간의 부하변동에 따라 팬의 회전속도를 가변하여 상기 공기조화장치로부터 각 선실과 공용공간에 공급되는 전체 공기 송풍량을 조절하는 풍량조절 송풍유닛 및 상기 풍량조절 송풍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각 선실과 공용공간으로 공급하는 공급유로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각 선실과 공용공간의 부하변동에 기초해서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고, 선실에 비해 사용시간이 적은 공용공간에 공급되는 공기 송풍량을 조절하여 공기조화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AIRCONDITIONING SYSTEM FOR SHIP AND CONTROL MEHTOD THEREOF}
본 발명은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에 마련된 각 선실의 부하변동에 따라 송풍량을 조절하는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선체 내부의 실내 공간을 공기조화하기 위한 공기조화장치가 마련된다.
선박용 공기조화장치는 실내 공간의 온도, 습도, 기류를 조절하고, 세균이나 냄새를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본 출원인은 선박용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기술을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등 다수에 개시하여 출원한 바 있다.
한편, 종래기술에 따른 선박용 공기조화장치에는 공기 조절유닛에서 공기를 설정된 온도에 따라 냉각 또는 가열하여 각 선실에 공급하는 중앙공급식 공기조화장치가 적용된다.
중앙공급식 공기조화장치는 공기를 송풍하는 방식에 따라 크게 정풍량식(constant air volume)과 가변풍량식(variable air volume)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가변풍량식은 선실(room)이나 영역(zone)별 부하변동에 따라 공기 공급량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선실의 특성상 사용빈도가 높은 시간대에 집중적으로 냉방/난방 공기를 공급하고, 미사용 시간대에는 최소한의 환기(ventilation)만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가변풍량식은 정풍량방식에 비해 에너지 절감효과가 큰 장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97382호(2011년 12월 23일 공고)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050844호(2013년 5월 16일 공개)
그러나 대부분의 일반 상선에는 가변풍량식에 비해 설비가 간단한 정풍량식의 공기조화장치가 적용되고 있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정풍량식 공기조화장치는 각 선실의 부하 변동에 관계없이 일정한 송풍량으로 공기조화를 수행함에 따라, 소비전력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 선실의 부하변동에 따라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는 선박용 공기조화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조화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선박용 공기조화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은 선박의 데크 상부에 마련된 상부 구조물에 적용되고, 상부 구조물에 형성된 공기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공기조화를 수행하는 공기조화장치, 상부 구조물에 마련된 각 선실과 공용공간의 부하변동에 따라 팬의 회전속도를 가변하여 상기 공기조화장치로부터 각 선실과 공용공간에 공급되는 전체 공기 송풍량을 조절하는 풍량조절 송풍유닛 및 상기 풍량조절 송풍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각 선실과 공용공간으로 공급하는 공급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풍량조절 송풍유닛은 가변 주파수 구동(varable frequency drive) 방식으로 각 공용공간에서 필요로 하는 공기 송풍량에 기초해서 팬의 회전속도를 변경하여 공기 송풍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각 공용공간에 연결된 공급유로 상에 설치되어 공기 송풍량을 조절하도록 개폐 동작하는 송풍량 조절기, 해당 공용공간 내부의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 및 상기 온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실내온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를 비교하여 송풍량 조절기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에는 시간을 계수하는 타이머가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에만 해당 공용공간에 공기를 송풍하고,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송풍을 중지하도록 상기 송풍량 조절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풍량 조절기는 상기 공급유로를 가로질러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여 공기 송풍량을 가변하는 가변 공기 송풍량 댐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a) 선박의 데크 상부에 마련된 상부 구조물에 형성된 공기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공기조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b) 상부 구조물에 마련된 각 선실과 공용공간의 부하면동에 기초해서 팬의 회전속도를 가변하여 공기조화기로부터 각 선실과 공용공간에 공급되는 전체 공기 송풍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c) 각 공용공간에 설치된 온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실내온도에 기초해서 각 공용공간에 공급되는 공기송풍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d) 각 공용공간별로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에만 각 공용공간에 공기를 송풍하고,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공기 송풍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단계와 (d)단계는 각 공용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유로 상에 설치된 송풍량 조절기의 댐퍼를 회전운동시켜 공기 송풍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각 선실과 공용공간의 부하변동에 기초해서 풍량조절 송풍유닛을 이용해 전체 선실과 공용공간에 공급되는 공기 송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각 공용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유로 상에 송풍량 조절기를 설치하여 선실에 비해 사용빈도나 사용시간이 적은 공용공간에 공급되는 공기 송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사용빈도가 높은 시간대에는 공기 송풍량을 증가시켜 집중적으로 공기조화를 수행하고, 사용하지 않는 시간대에는 최소한의 환기만을 수행하는 가변풍량식 공기조화 시스템을 선박에 적용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이 적용된 선박의 상부 구조물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이 적용된 선박의 상부 구조물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이 적용된 선박(10)의 데크(11) 상부에는 거주구나 제어실과 같은 상부 구조물(12)이 복수 개 설치되고, 각 상부 구조물(12)에는 복수의 선실(cabin)(13)과 공용공간(public space)(14)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공용공간(14)은 식당(mess room), 사무실(office), 레크리에이션실(recreation room), 체육관(gymnasium)과 같이 선실(13)에 비해 사용시간이 제한적인 장소를 말한다.
상부 구조물(12)의 일측에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구(15)가 형성되고, 상부 구조물(12)에는 각 선실(13)과 공용공간(14)에 공기조화를 수행하는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20)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흡입구(15)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공기조화를 수행하는 공기조화장치(21), 각 선실(13)과 공용공간(14)의 부하변동에 따라 팬의 회전속도를 가변하여 공기조화장치(21)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송풍량을 조절하는 풍량조절 송풍유닛(22) 및 풍량조절 송풍유닛(22)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각 선실(13)과 공용공간(14)으로 공급하는 공급유로(2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20)은 각 공용공간(14)에 연결된 공급유로(23) 상에 설치되어 공기 송풍량을 조절하도록 개폐 동작하는 송풍량 조절기(24), 해당 공용공간(14) 내부의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25) 및 온도감지센서(25)에서 감지된 실내온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를 비교하여 송풍량 조절기(24)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장치(21)는 도면에 미도시하고 있지만, 공기조화를 수행하기 위한 공기여과기, 예열기, 냉각기 및 가습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장치(21)는 상부 구조물(12)의 중앙부에 마련되는 메인 제어부(30)의 제어신호에 따라 공기조화를 수행한다.
메인 제어부(30)는 도면에 미도시하고 있지만, 공기조화를 수행하기 위한 운영자의 설정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공기조화장치의 동작상태와 각 선실 및 공용공간의 온도, 습도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공기조화장치에 마련된 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과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풍량조절 송풍유닛(22)은 가변 주파수 구동(varable frequency drive) 방식으로 부하변동, 즉 각 공용공간(14)에서 필요로 하는 공기 송풍량에 기초해서 팬의 회전속도를 변경하여 공기 송풍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위해, 풍량조절 송풍유닛(22)은 도면에 미도시하고 있지만, 팬의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 부하변동에 따라 모터에 인가되는 제어신호의 주파수를 조절하여 팬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제어기, 모터의 정지, 구동 및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연산방법을 제공하는 오퍼레이터 인터페이스 및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 연산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급유로(23)는 풍량조절 송풍유닛(22)과 각 선실(13) 및 공용공간(14)을 연결하는 복수의 덕트(duct)로 마련된다.
각 선실(13)과 공용공간(14)에 연결되는 덕트의 선단에는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의 송풍량을 수동으로 조절하는 수동조절유닛(27) 및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를 확산시키는 공기확산기(diffuser)(28)가 설치될 수 있다.
송풍량 조절기(24)는 각 공용공간(14)에 연결된 덕트 상에 설치되고, 제어부(26)의 제어신호에 따라 덕트를 통해 해당 공용공간(14)에 공급되는 공기 송풍량을 조절한다.
이러한 송풍량 조절기(24)는 덕트를 가로질러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여 공기 송풍량을 가변하는 가변 공기 송풍량 댐퍼(variable air volume damper)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감지센서(25)는 각 공용공간(14)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 온도를 감지하고, 온도감지센서(25)에서 감지된 감지신호는 제어부(26)로 전달된다.
제어부(26)는 온도감지센서(25)에 감지된 실내 온도와 운영자에 조작에 의해 설정된 설정온도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각 공용공간으로 공급되는 공기 송풍량을 조절하도록 송풍량 조절기(24)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이를 위해, 각 공용공간(14)에는 운영자로부터 설정온도를 입력받는 입력부(29)가 마련되고, 입력부(29)에 입력된 신호는 제어부(26)로 전달된다.
그래서 제어부(26)는 송풍량 조절기(24)에 마련된 댐퍼의 회전위치를 조절해서 공기의 이동량을 조절하고, 공기의 이동통로를 완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송풍량 조절기(24)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26)는 내부에 마련된 타이머(도면 미도시)를 이용해서 시간을 계수하고, 입력부(29)를 통해 설정된 설정시간에만 해당 공용공간(14)에 공기를 송풍하고,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송풍을 중지하도록 송풍량 조절기(24)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각 선실과 공용공간의 부하변동에 기초해서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고, 선실에 비해 사용시간이 적은 공용공간에 공급되는 공기 송풍량을 조절하여 공기조화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다음,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장치(21)는 메인 제어부(30)의 제어신호에 따라 데크(11)의 상부에 마련된 각 상부 구조물(12) 내부로 공기흡입구(15)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공기조화한다(S10).
그러면 공급유로(23)는 각 선실(13)과 공용공간(14)에 공기조화된 공기를 송풍한다(S12).
이때, 풍량조절 송풍유닛(22)은 각 선실(13)과 공용공간(14)의 부하변동에 따라 전체 공기 송풍량을 조절해서 공급유로(23)로 공급한다(S14).
이어서, 전체 선실(13)과 공용공간(14)에 동일하게 공기조화를 수행하는 도중에, 각 공용공간(14)의 사용빈도나 사용시간에 따라 공기조화를 수행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S16단계에서 각 공용공간(14)에 설치된 온도감지센서(25)는 해당 공용공간(14)의 실내온도를 감지하고, 제어부(26)는 온도감지센서(25)에서 감지된 실내온도와 입력부(29)를 통해 미리 설정된 설정온도가 동일한지 여부를 검사한다.
S16단계의 검사결과 감지된 실내온도와 설정온도가 서로 다르면, 제어부(26)는 해당 공용공간(14)에 공급되는 공기 송풍량을 조절하기 위해 송풍량 조절기(24)의 댐퍼를 회전시켜 개도량을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이에 따라, 송풍량 조절기(24)에 마련된 댐퍼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해서 개도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송풍량 조절기(24)는 공기 송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S18).
공용공간(14)의 실내온도와 설정온도가 동일해지면, 제어부(26)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시간을 계수해서 입력부(29)를 통해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이 경과 하였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20).
S20단계의 검사결과 설정시간 미경과시, 제어부(26)는 설정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대기한다.
반면,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26)는 해당 공용공간(14)에 공급되는 공기 송풍을 중지하기 위해 송풍량 조절기(24)의 댐퍼를 회전시켜 공급유로를 폐쇄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이에 따라, 송풍량 조절기(24)에 마련된 댐퍼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해서 공기의 이동통로를 폐쇄함으로써, 해당 공용공간(14)에 공기 송풍을 중지한다(S22).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각 공용공간별로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송풍량 조절기를 이용해 공급유로를 폐쇄해서 해당 공용공간에 송풍되는 공기를 차단할 수 있다.
S24단계에서 메인 제어부(30)는 입력부(도면 미도시)를 통해 공기조화장치(21)의 구동을 중지하도록 구동 중지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검사하고, 구동 중지 명령이 입력될 때까지 S10단계 내지 S24단계를 반복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S24단계의 검사결과 구동 중지 명령이 입력되면, 메인 제어부(30)는 공기조화장치(21) 및 풍량조절 송풍유닛(22)의 구동을 중지하고, 제어부(26)는 송풍량 조절기(24)의 구동을 중지한 후 종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각 선실과 공용공간의 부하변동에 기초해서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고, 선실에 비해 사용시간이 적은 공용공간에 공급되는 공기 송풍량을 조절하여 공기조화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각 선실과 공용공간의 부하변동에 기초해서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동을 제어하고, 선실에 비해 사용시간이 적은 공용공간에 공급되는 공기 송풍량을 조절하여 공기조화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하는 기술에 적용된다.
10: 선박 11: 데크
12: 상부 구조물 13: 선실
14: 공용공간 15: 공기흡입구
20: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
21: 공기조화장치 22: 풍량조절 송풍유닛
23: 공급유로 24: 송풍량 조절기
25: 온도감지센서 26: 제어부
27: 수동조절유닛 28: 공기확산기
29: 입력부 30: 메인 제어부

Claims (9)

  1. 선박의 데크 상부에 마련된 상부 구조물에 적용되는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부 구조물에 형성된 공기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공기조화를 수행하는 공기조화장치,
    상부 구조물에 마련된 각 선실과 공용공간의 부하변동에 따라 팬의 회전속도를 가변하여 상기 공기조화장치로부터 각 선실과 공용공간에 공급되는 전체 공기 송풍량을 조절하는 풍량조절 송풍유닛 및
    상기 풍량조절 송풍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각 선실과 공용공간으로 공급하는 공급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량조절 송풍유닛은 가변 주파수 구동(varable frequency drive) 방식으로 각 공용공간에서 필요로 하는 공기 송풍량에 기초해서 팬의 회전속도를 변경하여 공기 송풍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 공용공간에 연결된 공급유로 상에 설치되어 공기 송풍량을 조절하도록 개폐 동작하는 송풍량 조절기,
    해당 공용공간 내부의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 및
    상기 온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실내온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를 비교하여 송풍량 조절기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시간을 계수하는 타이머가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에만 해당 공용공간에 공기를 송풍하고,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송풍을 중지하도록 상기 송풍량 조절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량 조절기는
    상기 공급유로를 가로질러 설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여 공기 송풍량을 가변하는 가변 공기 송풍량 댐퍼(variable air volume damp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
  6. 선박의 데크 상부에 마련된 상부 구조물에 적용되는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상부 구조물에 형성된 공기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공기조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b) 상부 구조물에 마련된 각 선실과 공용공간의 부하면동에 기초해서 팬의 회전속도를 가변하여 공기조화기로부터 각 선실과 공용공간에 공급되는 전체 공기 송풍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c) 각 공용공간에 설치된 온도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실내온도에 기초해서 각 공용공간에 공급되는 공기송풍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d) 각 공용공간별로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에만 각 공용공간에 공기를 송풍하고,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공기 송풍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와 (d)단계는 각 공용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유로 상에 설치된 송풍량 조절기의 댐퍼를 회전운동시켜 공기 송풍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30079704A 2013-07-08 2013-07-08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500065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704A KR20150006513A (ko) 2013-07-08 2013-07-08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704A KR20150006513A (ko) 2013-07-08 2013-07-08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513A true KR20150006513A (ko) 2015-01-19

Family

ID=52569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9704A KR20150006513A (ko) 2013-07-08 2013-07-08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65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9569A (ko) 2015-04-06 2016-10-14 엠티코리아(주) 파워 유닛을 구비한 선박의 변풍량 공조 시스템용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055378A (ko) * 2015-11-11 2017-05-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극한 환경에서의 환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9569A (ko) 2015-04-06 2016-10-14 엠티코리아(주) 파워 유닛을 구비한 선박의 변풍량 공조 시스템용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70055378A (ko) * 2015-11-11 2017-05-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극한 환경에서의 환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4995B2 (en) Unit with recovery wheel and economizer and method of control
US7097111B2 (en)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storage buildings
US73303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oling computer modules in computer cabinets
JP6253459B2 (ja) 空調用換気装置
KR101542430B1 (ko) 에너지절감형 바닥공조시스템
CN107120730A (zh) 壁挂式空调室内机及其控制方法
JP2001056146A (ja) 空気調和装置
KR20090116299A (ko)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방법
KR20150006513A (ko)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JP2006275459A (ja) 空気調和装置
JP3875055B2 (ja) 乾燥装置
KR20160112095A (ko) 제습 냉방기용 가변풍량 디퓨져 및 이를 이용한 제습 냉방 시스템
KR101203999B1 (ko) 혼합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WO2022157966A5 (ko)
JPH0979607A (ja) 空気調和装置
JP7437552B2 (ja) 換気システムおよび換気方法
JP2762021B2 (ja) 混合ロス低減空調装置
JP2020085271A (ja) 熱交換型換気装置
KR20040102703A (ko) 공기조화기
JPH0519844U (ja) パーソナル吹き出し口システム
JP2512750B2 (ja) 空調用風量調節装置
US20190041083A1 (en) Air-conditioning system
KR100187264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기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26759A (ko) 온도센서를 구비한 폐열회수 환기장치
KR20050075617A (ko)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