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858A - 단열 시트,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 그 제조 방법 및 단열 패널 - Google Patents

단열 시트,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 그 제조 방법 및 단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858A
KR20150005858A KR20140083614A KR20140083614A KR20150005858A KR 20150005858 A KR20150005858 A KR 20150005858A KR 20140083614 A KR20140083614 A KR 20140083614A KR 20140083614 A KR20140083614 A KR 20140083614A KR 20150005858 A KR20150005858 A KR 20150005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insulating
insulating sheet
heat
sheet
hybr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3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6158B1 (ko
Inventor
황승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Priority to CN201480038408.6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358893B/zh
Priority to PCT/KR2014/006018 priority patent/WO2015002505A1/ko
Priority to US14/902,078 priority patent/US10088092B2/en
Publication of KR20150005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4Arrangements using dry fillers, e.g. using slag wool which is added to the object to be insulated by pouring, spreading, spraying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 시트,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 그 제조 방법 및 단열 패널에 관한 것으로, 적층된 나노 섬유에 의해 형성되는 미세 기공에 의해 열을 차단하는 나노 섬유 웹 시트와 열을 흡수할 수 있는 상변화 물질이 내장된 단열 시트를 하이브리드하여, 나노 섬유 웹에서 1차적으로 열을 차단하고, 2차적으로 상변화 물질에서 열을 흡수하여 열 차단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단열 시트,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 그 제조 방법 및 단열 패널{Heat insulation sheet, hybrid heat insulation sheet,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heat insulating panel}
본 발명은 단열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변화 물질이 포함된 단열 시트에 나노 섬유 웹을 하이브리드하여 열 차단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단열 시트,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 그 제조 방법 및 단열 패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에너지 효율적 친환경 산업이 대두되어 전세계적으로 에너지 문제와 환경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각종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지구 온난화에 대한 관점에서 냉장고의 소비 전력량을 줄일 수 있고, 건축물의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하여 단열재에 대한 기술 개발이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는 중이다.
냉장고는 가전제품 중에서 높은 소비 전력량을 소비하는 제품으로, 냉장고의 소비 전력량 절감은 지구 온난화 대책으로서 필요 불가결한 상황에 있다. 냉장고의 소비 전력은 냉각용 압축기의 효율과 열누설량에 관계되는 단열재의 단열 성능에 의해 대부분 결정된다.
그리고, 건축물의 에너지 절감을 위한 단열재는 전통적으로 미네랄울, 폴리우레탄 등의 단열재가 사용되었고, 최근에는 VIP (Vacuum Insulation Panel), 에어로젤이 주목받고 있으며, VIM (Vacuum Insulation Material), DIM (Dynamic Insulation Material) 등이 미래기술로 연구되고 있다.
매우 낮은 열전도율을 지닌 VIP 및 에어로젤은 기존 단열재에 비해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으므로 주거면적을 크게 확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에어로젤은 반투명 및 투명재질로 만들 수 있어 건물에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크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77859호에는 심재를 포함하는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를 피복하고 있는 외피재를 가지고, 상기 코어부가 감압상태로 형성된 진공 단열재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가 하나 이상의 부직포층을 포함하는 진공 단열재가 제안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진공 단열재의 심재는 유리 섬유,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을 사용하고 있으나, 유리 섬유 집합체 내부의 기공 사이즈는 공기를 트랩핑하는 데 적합한 크기를 갖지 못하여 단열 효과가 낮으며, 유리 섬유는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15326호에는 진공단열재의 외피 내부에 위치하는 코어로서, 상기 코어는 합성수지재 섬유를 열융착하여 서로 접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재의 코어가 제안되어 있으나, 합성수지재 섬유를 융점 정도의 온도로 가열하여 섬유들이 서로 열융착되어 있어, 합성수지재 섬유에는 거의 기공이 없는 무기공 상태가 되어 단열 효율을 향상시키는데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자들은 단열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여 단열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단열 시트의 구조적인 특징을 도출하여 발명함으로써, 에너지 절감과 동시에 친환경적이고, 보다 경제적이고, 활용 가능하고 경쟁력있는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77859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15326호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열을 흡수할 수 있는 상변화 물질이 내장된 단열 시트를 채택하여, 단열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단열 시트,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변화 물질이 포함된 단열 시트에 나노 섬유 웹을 하이브리드하여 열 차단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을 흡수하는 단열 시트와 열을 차단하는 단열 시트를 하이브리드한 코어를 적용하여 단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열 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금속 외피부; 및 상기 중공부에 위치되어 상기 금속 외피부에서 전달되는 열을 흡수하는 상변화 물질을 포함하는 단열 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금속 외피부의 중공부에 위치되어 상기 금속 외피부에서 전달되는 열을 흡수하는 상변화 물질을 포함하는 제1단열 시트; 및 상기 제1단열 시트에 하이브리드되어 있으며, 열전도율이 낮은 폴리머로 이루어지고, 방사되는 직경 1um 미만의 나노 섬유에 의해 집적되어 미세 기공 구조를 갖는 다공성 나노 섬유 웹으로 이루어진 제2단열 시트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를 제공한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 공간이 구비된 외피재; 및 상기 외피재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외피재를 지지하는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는, 열을 흡수하는 상변화 물질을 포함하는 제1단열 시트와, 상기 제1단열 시트에 하이브리드되어 있고 나노 섬유에 의해 집적되어 미세 기공 구조를 갖는 다공성 나노 섬유 웹으로 이루어진 제2단열 시트를 포함하는 단열 패널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금속 외피부의 중공부에 전달되는 열을 흡수하는 상변화 물질을 위치시켜 제1단열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고분자 물질이 포함된 방사용액을 전기 방사하여 미세 기공 구조를 갖는 다공성 나노섬유 웹 형태의 제2단열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단열 시트와 상기 제2단열 시트를 하이브리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달되는 열을 흡수할 수 있는 상변화 물질이 내장된 단열 시트를 구현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기 방사된 나노 섬유가 3차원 네트워크 구조로 배열되어 형성된 나노 섬유 웹의 다수의 미세 기공에 트랩되어 갇힌 공기가 대류가 억제됨으로써, 전달된 열을 차단하는 성능을 우수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변화 물질이 포함된 단열 시트에 나노 섬유 웹을 하이브리드하여 나노 섬유 웹에서 1차적으로 열을 차단하고, 2차적으로 열용량(Heat Capacity)가 높은 상변화 물질에서 열을 흡수하여 열 차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변화 물질이 포함된 단열 시트와 나노 섬유 웹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를 코어로 하는 진공 단열 패널(Vacuum Insulation Panel, VIP)을 제공하여 단열 특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진공 단열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나노 섬유 웹을 적용하여 초박막 단열 시트 및 단열 패널을 제공할 수 있어, 단열특성이 우수하여 냉장고 및 건축물의 내부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CM(Phase Change Material) 단열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 시트의 금속 외피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 시트의 금속 외피부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를 도시한 개념적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를 도시한 개념적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를 도시한 개념적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를 도시한 개념적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 패널(Vacuum Insulation Panel, VIP)를 도시한 개념적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 패널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에 적용된 나노 섬유 웹을 형성하는 전기방사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 및 단열 패널의 실시예로 단열 시트와 나노 섬유 웹을 하이브리드하여 전달된 열을 나노 섬유 웹에서 차단하여 열전달량을 감소시키고, 단열 시트의 상변화 물질에서 열을 흡수하여, 단열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단열 시트 및 단열 패널은 냉장고 및 건축물에 적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산업 분야에 사용되는 단열재에도 이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PCM(Phase Change Material) 단열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 시트의 금속 외피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 시트의 금속 외피부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된 단열 시트(100)는 금속 외피부와 상변화 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120)을 포함한다.
금속 외피부는 내부에 중공부를 갖고, 그 중공부에 상변화 물질(120)이 위치되어 금속 외피부에서 전달되는 열을 상변화 물질(120)이 흡수함으로써, 단열 시트(100)는 단열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변화 물질(120)은 열이 전달되면 흡열반응하여 고상에서 액상으로 변화되면서 열을 흡수한다. 그리고 상변화 물질(120)은주변 온도가 떨어지면 다시 고상으로 변화된다.
금속 외피부로 도 1과 같이 내부가 비어 있는 공간이 있는 금속 용기(110)를 적용하여, 금속 용기(110)의 내부 공간에 상변화 물질(120)을 충진하여 단열 시트를 만들수 있고, 또는 도 2에 도시된 상부 금속 시트(111)와 하부 금속 시트(112)가 본딩되어 만들어지는 공간에 상변화 물질(120)을 위치시켜 단열 시트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금속 시트(111)와 하부 금속 시트(112) 각각에는 상변화 물질(120)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111a,112a)이 형성될 수 있고, 상부 금속 시트(111)와 하부 금속 시트(112) 각각의 가장자리가 본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금속 시트를 금속 외피부로 적용할 수 있는데, 이는 단열 시트의 두께를 얇게할 수 있고, 전달된 열을 방열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에서는 하부 금속 시트(112)에만 수용홈(112a)을 형성하고, 이 수용홈(112a)에 상변화 물질(120)을 채운후, 상부 금속 시트(111)를 하부 금속 시트(112)에 본딩하여 단열 시트를 구현한 것으로, 단열 시트의 상부면과 하부면이 평탄화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를 도시한 개념적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를 도시한 개념적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를 도시한 개념적인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이다.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는 단열 시트에 나노 섬유 웹을 하이브리드한 단열재로 정의되며, 나노 섬유 웹은 단열 시트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공기를 트랩핑하여 공기의 대류를 억제하여 단열하는 다수의 기공을 구비하여 1차적으로 열을 차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나노 섬유 웹에서 단열 시트로 전달되는 열량은 감소된다. 나노 섬유 웹을 통과한 열이 단열 시트로 전달되는 경우, 이 열은 2차적으로 단열 시트의 상변화 물질에서 흡수된다. 결국,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는 2단으로 열을 차단함으로써 단열 성능이 향상되는 것이다. 여기서, 하이브리드하는 것은 접착, 점착, 적층, 접촉, 고정 등의 결합 관계를 의미하는 것이다.
나노 섬유 웹은 전기 방사된 나노 섬유가 불규칙하게 적층되어 3차원 네트워크 구조로 배열되어 있다. 그 나노 섬유에 의해 나노 섬유 웹에는 불규칙하게 분포된 미세 기공이 형성되고, 미세 기공에 의해 나노섬유 웹의 열 차단 능력이 커지게 되어 우수한 단열 성능을 갖게된다.
한편, 나노 섬유 웹은 전기 방사가 가능하고 열전도율이 낮은 고분자 물질과 용매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방사용액을 만들고, 이 방사용액을 전기 방사하여 나노 섬유를 형성하고, 이 나노 섬유가 축적되어 다수의 기공을 갖는 나노섬유 웹(nano web) 형태로 형성된다.
나노 섬유의 직경이 작을수록 나노 섬유의 비표면적이 증대되고 다수의 미세 기공을 구비하는 나노섬유 웹의 열 차단 능력이 커지게 되어 단열 성능이 향상된다.
나노 섬유는 예를 들어, 5um 이하, 바람직하게는 1um 이하의 직경으로 이루어지며, 나노 섬유로 이루어진 나노 섬유 웹은 다수의 미세 기공을 구비함에 따라 미세 기공 내부에 공기를 트랩핑하고, 미세 기공에 트랩되어 갇힌 공기의 대류가 억제되어 전달된 열의 차단 성능이 우수하다.
상기 나노 섬유 웹에 형성되는 미세 기공은 수nm 내지 10um 이하, 바람직하게는 5um 이하로 설정되는 것이 좋으며, 나노 섬유의 직경을 조절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사 방법은 일반적인 전기방사(electrospinning), 에어 전기방사(AES: Air-Electrospinning), 전기분사(electrospray), 전기분사방사(electrobrown spinning), 원심전기방사(centrifugal electrospinning), 플래쉬 전기방사(flash-electrospinning)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의 나노 섬유 웹의 내열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열전도율이 낮음과 동시에 내열성이 우수한 고분자 단독 또는 열전도율이 낮은 고분자와 내열성이 우수한 고분자를 소정량 혼합한 혼합 고분자를 전기 방사하여 얻어진 나노 섬유 웹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고분자는 유기용매에 용해되어 방사가 가능함과 동시에 열전도율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내열성이 우수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방사가 가능하고 열전도율이 낮은 폴리머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PU), 폴리스티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알콜, 폴리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머는 전기방사를 위해 유기용매에 용해될 수 있고 융점이 180℃ 이상인 수지로서,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아마이드, 폴리이미드, 폴리아마이드이미드, 폴리(메타-페닐렌 이소프탈아미이드),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텔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과 같은 방향족 폴리에스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디페녹시포스파젠, 폴리{비스[2-(2-메톡시에톡시)포스파젠]} 같은 폴리포스파젠류,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테르우레탄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공중합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의 열전도율은 0.1W/mK 미만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고분자 중 폴리우레탄(PU)은 열전도율이 0.016~0.040W/mK이고, 폴리스티렌와 폴리비닐클로라이드는 열전도율이 0.033~0.040W/mK로 알려져 있어, 이를 방사하여 얻어지는 나노 섬유 웹 또한, 열전도율이 낮게 된다.
나노 섬유 웹의 두께는 5um 내지 50um, 바람직하게는 30um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나노 섬유 웹을 다층으로 적층하여 다양한 두께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적용된 나노 섬유 웹의 단열 시트는 초박막 구조로 제작되면서도 높은 단열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용매는 DMA(dimethyl acetamide), DMF(N,N-dimethylformamide), NMP(N-methyl-2-pyrrolidinone), DMSO(dimethyl sulfoxide), THF(tetra-hydrofuran), DMAc(di-methylacetamide), EC(ethylene carbonate), DEC(diethyl carbonate), DMC(dimethyl carbonate), EMC(ethyl methyl carbonate), PC(propylene carbonate), 물, 초산(acetic acid),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나노 섬유 웹은 전기방사 방법으로 제조되므로 방사용액의 방사량에 따라 두께가 결정된다. 따라서, 나노 섬유 웹의 두께를 원하는 두께로 만들기가 쉬운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방사 방법에 의해 나노 섬유가 축적된 나노섬유 웹 형태로 형성되므로 별도의 공정없이 복수의 기공을 갖는 형태로 만들 수 있고, 방사용액의 방사량에 따라 기공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기공을 미세하게 다수로 만들 수 있어 열 차단 성능이 뛰어나고 이에 따라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나노 섬유 웹을 형성하기 위한 방사용액에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성 필러인 무기물 입자가 함유될 수 있다. 이 경우, 나노 섬유 웹의 나노 섬유 웹에는 무기물 입자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무기물 입자는 방사된 나노 섬유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거나, 나노 섬유 표면에 일부가 노출되어 열전달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무기물 입자는 단열성 필러로 나노 섬유 웹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무기물 입자는 SiO2, SiON, Si3N4, HfO2, ZrO2, Al2O3, TiO2, Ta2O5, MgO, Y2O3, BaTiO3, ZrSiO4, HfO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입자, 또는 유리 섬유, 흑연, 암면, 클레이(clay)로 이루어진 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입자가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방사 용액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나노 섬유 웹을 형성하기 위한 방사용액에 흄드 실리카(Fumed Silica)가 포함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단열 시트의 금속 용기(110) 일면에 나노 섬유 웹(150)을 적층한 도 4의 구조, 금속 용기(110) 양면에 나노 섬유 웹(150)을 적층한 도 5의 구조, 및 금속 용기(110) 외주면 전체를 나노 섬유 웹(150)이 감싸는 도 6의 구조로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를 구현할 수 있다.
도 7의 구조는 나노 섬유 웹을 제1나노 섬유 웹(153a), 단열 시트(100)와 제2나노 섬유 웹(153b)의 적층구조로 달성할 수 있는데, 제1나노 섬유 웹(153a)과 제2나노 섬유 웹(153b) 사이에 단열 시트(100)를 개재한 후, 제1나노 섬유 웹(153a)과 제2나노 섬유 웹(153b)을 합지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에 사용한 나노 섬유 웹(150)은 판상형으로 절첩한 구조이거나, 다수 층으로 적층된 나노 섬유 웹 적층 구조일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를 도시한 개념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부직포를 단열 시트와 나노 섬유 웹에 개재하여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를 구현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부직포는 상용화된 2층 또는 3층 구조의 폴리올레핀계 다공성 멤브레인, 예를 들어, PP/PE나 PP/PE/PP 멤브레인 또는 단층 구조의 PP 또는 PE 멤브레인이나, 코어로서 PP 섬유의 외주에 PE가 코팅된 이중 구조의 PP/PE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섬유로 이루어진 PET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a 내지 도 8c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는 부직포(170)가 단열 시트의 금속 용기(110)의 일면에 커버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도 8a), 한쌍의 부직포(171,172)가 금속 용기(110)의 양면을 커버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도 8b), 부직포(170)가 금속 용기(110)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도록 구성할 수 있다(도 8c).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는 도 9와 같이 나노 섬유 웹(150)과 단열 시트 사이에 부직포(170)가 개재되어 있는 구조로 구현한 것으로, 금속 용기(110)의 외주면에 부직포(170)와 나노 섬유 웹(15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 패널(Vacuum Insulation Panel, VIP)를 도시한 개념적인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 패널의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전술된 단열 시트 및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는 진공 단열 패널 내부에 내장하여 단열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 패널(300)은 가스 배리어성을 가지고 내부에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감압 공간을 형성하는 외피재(310) 및 외피재(310) 내부에 배치되어 외피재(310)를 지지하는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200)를 포함한다.
진공 단열 패널(300)에 코어로 적용된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200)는, 다공성 나노 섬유 웹이 구비됨으로써, 공기를 트랩핑할 수 있는 다수의 미세 기공을 구비하여, 미세 기공에 트랩된 공기가 스스로 빠져나가기 어렵기 때문에 외피재(310) 내부가 진공 또는 감압공간이 아닌 경우에도 우수한 단열 성능을 발휘한다. 따라서, 건축용 단열재로 적용하면 이점이 많다.
여기서, 감압 공간은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아지게 감압된 공간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 패널(300)에서 외피재(310) 내부가 진공 또는 감압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외피재(310) 또는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200)의 내부에는 수분이나 가스 등을 흡착하는 게터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게터재는 예를 들어, 분말형태로 이루어진 흡습제와 가스흡착제를 포함하며, PP 또는 PE 부직포로 패킹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게터재는 실리카겔, 제올라이트, 활성탄, 지르코늄, 바륨 화합물, 리튬 화합물, 마그네슘 화합물, 칼슘 화합물 및 생석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게터재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진공 단열재의 제조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외피재(310)는 코어인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200)를 피복하고, 그 내부를 감압 또는 진공 상태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외피재(310)는 미리 봉투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200)를 삽입한 후, 진공분위기에서 입구 부분을 열압착하여 실링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외피재(310)는 4각 형상의 상부 외피재(310a)와 하부 외피재(320b)의 3변의 외곽 부분을 먼저 실링하여 봉투 형태로 제작된 후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외피재(310)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진공 단열재의 제조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피재(310)는 금속물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외피재(310)는 알루미늄 봉투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외피재(310)는,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200)를 둘러싸고 있는 실링층(sealing layer); 실링층을 둘러싸고 있는 베리어층(barrier layer); 및 베리어층을 둘러싸는 부직포층 또는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실링층은 열압착방식으로 실링(압착)이 이루어짐에 따라 내장된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200)를 피복하고, 코어에 밀착되어 패널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실링층의 소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열압착에 의해 접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필름으로서, 예를 들면, 열압착층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초저밀도폴리에틸렌(V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과 같은 폴리올레핀 계열의 수지, 상기 수지 이외에 폴리프로필렌(PP),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필름 등과 같은 열압착이 가능한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베리어층은 실링층을 둘러싸고, 내부의 진공도를 유지하며, 외부의 가스 및 수증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베리어층의 소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금속박 또는 수지 필름 상에 금속을 증착을 한 적층 필름(증착막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금속으로는 알루미늄, 동, 스테인레스 또는 철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에서 증착막은 증착법(deposition method) 또는 스퍼터링법(sputtering method) 등에 의하여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코발트 또는 니켈 등의 금속, 실리카, 알루미나 또는 탄소 등을 증착시켜 형성할 수 있으며, 기재가 되는 수지 필름으로는 당 업계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베리어층으로 알루미늄 증착 필름 또는 알루미늄 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부직포층은 베리어층을 둘러싸며, 진공 단열재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1차적으로 보호하는 보호층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부직포층은 베리어층의 높은 열전도율에 의해 단열재의 열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층의 재료는 PP, PTFE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층 대신에 베리어층을 보호하는 1층 또는 2층으로 이루어진 보호층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층은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알코올, 나일론, PET, K-PET 및 에틸렌비닐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의 제조 방법은 단열 시트를 형성(S100)하고, 나노 섬유 웹 단열 시트를 형성(S110)한 후, 단열 시트와 나노 섬유 웹 단열 시트를 하이브리드하여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를 제조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에 적용된 나노 섬유 웹을 형성하는 전기방사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고하면, 전기방사장치는 열전도율이 낮은 고분자 물질과 용매가 혼합되어 방사가 이루어질 때까지 상분리를 방지하도록 공압을 이용한 믹싱 모터(2a)를 구동원으로 사용하는 교반기(2)를 내장한 믹싱 탱크(Mixing Tank)(1)와, 고전압 발생기가 연결된 다수의 방사노즐(4)을 포함한다. 믹싱 탱크(1)로부터 도시되지 않은 정량 펌프와 이송관(3)을 통하여 연결된 다수의 방사노즐(4)로 토출되는 고분자 용액은 고전압 발생기에 의하여 하전된 방사노즐(4)을 통과하면서 나노 섬유(5)로 방출되고, 일정 속도로 이동하는 컨베이어 형태의 접지된 콜렉터(6) 위에 나노 섬유(5)가 축적되어 다공성 나노 섬유 웹(7)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대량생산을 위해 멀티-홀(multi-hole) 방사팩(예를 들어, 245mm/61홀)을 적용하면 멀티홀간의 상호 간섭이 발생하여 섬유가 날려 다니면서 포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그 결과, 멀티-홀(multi-hole) 방사팩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분리막은 너무 벌키(bulky)해짐에 따라 분리막 형성이 어려워지며, 방사의 트러블(trouble)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홀(multi-hole) 방사팩을 사용하여 각 방사노즐(4)마다 에어(4a)의 분사가 이루어지는 에어 전기방사 방법으로 다공성 나노 섬유 웹(7)을 제작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에어 전기방사에 의해 전기방사가 이루어질 때 방사노즐의 외주로부터 에어(Air) 분사가 이루어져서 휘발성이 빠른 고분자로 이루어진 섬유를 에어가 포집하고 집적시키는 데 지배적인 역할을 해 줌으로써 보다 강성이 높은 나노 섬유 웹을 생산할 수 있으며, 섬유(fiber)가 날아다니면서 발생할 수 있는 방사 트러블(trouble)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열전도율이 낮은 고분자 물질과 내열성 고분자 물질을 혼합하여 방사하는 경우 2성분계 용매에 첨가하여 혼합방사용액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얻어진 다공성 나노 섬유 웹(7)은 그 후 캘린더 장치(9)에서 고분자의 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캘린더링하면 코어재로 사용되는 박막의 나노 섬유 웹(10)이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상기와 같이 얻어진 다공성 나노 섬유 웹(7)을 프리히터(8)에 의한 선 건조구간(Pre-air Dry Zone)을 통과하면서 나노 섬유 웹(7)의 표면에 잔존해 있는 용매와 수분의 양을 조절하는 공정을 거친 후 캘린더링 공정을 거치는 것도 가능하다.
프리히터(8)에 의한 선 건조구간(Pre-Air Dry Zone)은 20~40℃의 에어를 팬(fan)을 이용하여 웹에 인가하여 나노 섬유 웹(7)의 표면에 잔존해 있는 용매와 수분의 양을 조절함에 의해 나노 섬유 웹(7)이 벌키(bulky)해지는 것을 조절하여 분리막의 강도를 증가시켜주는 역할과 동시에 다공성(Porosity)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용매의 휘발이 지나치게 된 상태에서 캘린더링이 이루어지면 다공성은 증가하나 나노 섬유 웹의 강도가 약해지고, 반대로 용매의 휘발이 적게 되면 나노 섬유 웹이 녹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도 12의 전기방사장치를 사용하여 다공성 나노 섬유 웹(10)을 형성하는 방법은 먼저 열전도율이 낮은 고분자 물질 단독, 열전도율이 낮은 고분자 물질과 내열성 고분자 물질의 혼합물을 용매에 용해시켜서 방사용액을 준비한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내열성을 보강하기 위해 소정량의 무기물 입자를 방사용액에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열전도율이 낮으면서 내열성이 우수한 고분자 물질,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PU)을 사용하여 나노 섬유 웹을 형성하는 경우 단열 특성과 내열 특성을 동시에 갖게 된다.
그 후, 방사용액을 전기방사장치를 사용하여 콜렉터(6)에 직접 방사하거나 또는 부직포와 같은 다공성 기재(11)에 방사하여 단층 구조의 다공성 나노 섬유 웹(10) 또는 다공성 나노 섬유 웹(10)과 다공성 기재(11)로 이루어진 다층 구조의 나노 섬유 웹 시트를 제작한다.
이어서, 얻어진 나노 섬유 웹 시트가 광폭인 경우 원하는 폭으로 제단한 후, 이를 원하는 두께를 갖도록 판형상으로 다수회 절첩하거나 권선기에 의해 판형상으로 권선하거나, 원하는 형상으로 다수의 코어용 시트를 절단한 후 이를 다수층 적층한다. 또한, 다수층으로 적층한 후, 이를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적층된 다수의 나노 섬유 웹 시트를 열간 또는 냉간 압착하여 적층 밀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대면적의 나노 섬유 웹 시트를 제작한 후, 건축용 또는 냉장고용 단열재와 같이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 소정의 형상으로 제단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나노 섬유 웹을 형성할 때 종이, 방사용액에 포함된 용매에 의해 용해가 이루어지지 않는 고분자 재료로 이루어진 부직포, 폴리올레핀계 필름 중 하나로 이루어지는 트랜스퍼 시트 위에 방사용액을 방사하여 다공성 나노 섬유 웹을 형성한 후, 나노 섬유 웹을 트랜스퍼 시트와 분리하면서 부직포와 합지하는 방식으로 나노 섬유 웹 시트를 제작하고, 얻어진 시트를 다단 적층할 수 있다. 상기한 트랜스퍼 시트를 사용하여 나노 섬유 웹을 생산함에 따라 양산공정에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단열 시트 110:금속 용기
120:상변화 물질 111,112:금속 시트
150,151,152:나노 섬유 웹 170,171,172:부직포
300:진공 단열 패널 310:외피제

Claims (18)

  1.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금속 외피부; 및
    상기 중공부에 위치되어 상기 금속 외피부에서 전달되는 열을 흡수하는 상변화 물질을 포함하는 단열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외피부는 상기 상변화 물질이 내부에 충진되는 금속 용기, 또는 상기 상변화 물질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고 서로 본딩되어 있는 한쌍의 금속 시트인 단열 시트.
  3. 금속 외피부의 중공부에 위치되어 상기 금속 외피부에서 전달되는 열을 흡수하는 상변화 물질을 포함하는 제1단열 시트; 및
    상기 제1단열 시트에 하이브리드되어 있으며, 열전도율이 낮은 폴리머로 이루어지고, 방사되는 직경 1um 미만의 나노 섬유에 의해 집적되어 미세 기공 구조를 갖는 다공성 나노 섬유 웹으로 이루어진 제2단열 시트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열 시트에 상기 제2단열 시트가 하이브리드되어 있는 것은, 상기 제2단열 시트가 상기 제1단열 시트의 일면 또는 양면을 커버하거나, 또는 상기 제1단열 시트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고 있는 것인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열 시트와 상기 제2단열 시트 사이에 부직포가 개재되어 있는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열 시트의 나노 섬유에 무기물 입자를 더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입자는 SiO2, SiON, Si3N4, HfO2, ZrO2, Al2O3, TiO2, Ta2O5, MgO, Y2O3, BaTiO3, ZrSiO4, HfO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입자, 또는 유리 섬유, 흑연, 암면, 클레이(clay)로 이루어진 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입자인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물 입자는 상기 나노 섬유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나노 섬유 표면에 일부가 노출되어 있는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
  9. 내부 공간이 구비된 외피재; 및
    상기 외피재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외피재를 지지하는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는,
    열을 흡수하는 상변화 물질을 포함하는 제1단열 시트와,
    상기 제1단열 시트에 하이브리드되어 있고 나노 섬유에 의해 집적되어 미세 기공 구조를 갖는 다공성 나노 섬유 웹으로 이루어진 제2단열 시트를 포함하는 단열 패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섬유는 열전도율이 0.1W/mK 미만인 고분자로 이루어진 단열 패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열 시트와 상기 제2단열 시트 사이에 개재된 부직포를 더 포함하는 단열 패널.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는 금속 물질로 구성하는 단열 패널.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의 내부 공간은 진공 또는 감압되어 있는 단열 패널.
  14. 금속 외피부의 중공부에 전달되는 열을 흡수하는 상변화 물질을 위치시켜 제1단열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고분자 물질이 포함된 방사용액을 전기 방사하여 미세 기공 구조를 갖는 다공성 나노섬유 웹 형태의 제2단열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단열 시트와 상기 제2단열 시트를 하이브리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열 시트에 상기 제2단열 시트가 하이브리드하는 것은, 상기 제2단열 시트를 상기 제1단열 시트의 일면 또는 양면을 커버하거나, 또는 상기 제1단열 시트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는 것인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의 제조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섬유 웹은 판상형으로 절첩한 구조이거나, 또는 다수 층으로 적층된 나노 섬유 웹 적층 구조인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의 제조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열 시트는 부직포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 섬유 웹은 상기 고분자 물질이 포함된 방사용액이 상기 부직포에 직접 전기 방사하여 형성하는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의 제조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용액에는 흄드 실리카(Fumed Silica)가 포함되는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의 제조 방법.

KR1020140083614A 2013-07-05 2014-07-04 단열 시트,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 그 제조 방법 및 단열 패널 KR101576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38408.6A CN105358893B (zh) 2013-07-05 2014-07-04 隔热片、混合型隔热片及隔热面板
PCT/KR2014/006018 WO2015002505A1 (ko) 2013-07-05 2014-07-04 단열 시트,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 및 단열 패널
US14/902,078 US10088092B2 (en) 2013-07-05 2014-07-04 Thermal insulation sheet, hybrid thermal insulation sheet, and thermal insulation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081 2013-07-05
KR20130079081 2013-07-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858A true KR20150005858A (ko) 2015-01-15
KR101576158B1 KR101576158B1 (ko) 2015-12-11

Family

ID=52477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614A KR101576158B1 (ko) 2013-07-05 2014-07-04 단열 시트,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 그 제조 방법 및 단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61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3471A (ko) * 2017-11-10 2019-05-20 전순복 진공단열재를 갖는 방화도어
KR102270406B1 (ko) * 2020-02-05 2021-06-29 주식회사 썸타지 다양한 직경에 적용시킬 수 있는 가변형 히팅배관 단열자켓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826B1 (ko) * 2017-11-03 2019-11-07 주식회사 한화 상변화물질이 충전된 흡열팩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3471A (ko) * 2017-11-10 2019-05-20 전순복 진공단열재를 갖는 방화도어
KR102270406B1 (ko) * 2020-02-05 2021-06-29 주식회사 썸타지 다양한 직경에 적용시킬 수 있는 가변형 히팅배관 단열자켓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6158B1 (ko) 2015-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8092B2 (en) Thermal insulation sheet, hybrid thermal insulation sheet, and thermal insulation panel
KR101601170B1 (ko) 단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단열 패널
KR102109723B1 (ko)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13508652A (ja) 真空断熱パネル及びこれを製造する方法
US20160010249A1 (en) Core for insulation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slim insulating material using same
KR101576158B1 (ko) 단열 시트,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 그 제조 방법 및 단열 패널
CN105359298A (zh) 用于电化学装置的隔膜
KR101619225B1 (ko) 단열 시트, 그 제조 방법 및 단열 패널
CN103574229B (zh) 真空绝热材料、冰箱、使用了真空绝热材料的设备
JP5111331B2 (ja) 真空断熱材およびこの真空断熱材を用いた断熱箱
KR20160054437A (ko) 하이브리드 단열시트, 그 제조방법 및 단열패널
KR20150047759A (ko)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EP2105648B1 (en)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heat insulating box using the same
WO2015002505A1 (ko) 단열 시트,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 및 단열 패널
KR102043942B1 (ko) 단열 방열 시트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
KR102135445B1 (ko) 단열 패널 및 그를 구비한 냉각 장치
WO2015026116A1 (ko) 단열 시트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단열 패널
KR101990106B1 (ko)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50047758A (ko) 하이브리드 단열 시트
JP5216510B2 (ja) 真空断熱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機器
KR101774078B1 (ko) 유기합성섬유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용 심재 및 이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
KR20130088922A (ko) 부직포를 이용한 진공단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N107975656A (zh) 真空绝热材料的制造方法
JP2017129237A (ja) 真空断熱材及び真空断熱材を用いた機器並びに芯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