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488A - 발광소자 패키지 - Google Patents

발광소자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488A
KR20150005488A KR20140165038A KR20140165038A KR20150005488A KR 20150005488 A KR20150005488 A KR 20150005488A KR 20140165038 A KR20140165038 A KR 20140165038A KR 20140165038 A KR20140165038 A KR 20140165038A KR 20150005488 A KR20150005488 A KR 20150005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light
inclined surfac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65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8541B1 (ko
Inventor
윤재준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5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541B1/ko
Publication of KR20150005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H01L33/60Reflective elements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는 패키지 몸체의 미성형을 방지하기 용이한 구조를 갖도록, 실시 예는, 발광소자 및 상기 발광소자가 배치되는 캐비티가 형성된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의 내측벽은, 상기 캐비티의 하부면을 기준으로 제1 각도로 형성된 제1 경사면 및 상기 하부면과 상기 제1 경사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경사면과 제2 각도를 이루며 상기 하부면과 제3 각도를 갖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경사면의 높이는, 상기 발광소자의 높이보다 낮은 발광소자 패키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발광소자 패키지{Light-emitting element package}
실시 예는 발광소자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패키지 몸체의 미성형을 방지하기 용이한 구조를 갖는 발광소자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는 화합물 반도체의 특성을 이용해 전기 신호를 적외선, 가시광선 또는 빛의 형태로 변환시키는 소자로, 가정용 가전제품, 리모콘, 전광판, 표시기, 각종 자동화 기기 등에 사용되고, 점차 LED의 사용 영역이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보통, 소형화된 LED는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에 직접 장착하기 위해서 표면실장소자(Surface Mount Device)형으로 만들어지고 있고, 이에 따라 표시소자로 사용되고 있는 LED 램프도 표면실장소자 형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표면실장소자는 기존의 단순한 점등 램프를 대체할 수 있으며, 이것은 다양한 칼라를 내는 점등표시기용, 문자표시기 및 영상표시기 등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LED의 사용 영역이 넓어지면서, 생활에 사용되는 전등, 구조 신호용 전등 등에 요구되는 휘도가 높아지는 바, LED의 발광휘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실시 예의 목적은, 패키지 몸체의 미성형을 방지하기 용이한 구조를 갖는 발광소자 패키지를 제공함에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는, 발광소자 및 상기 발광소자가 배치되는 캐비티가 형성된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의 내측벽은, 상기 캐비티의 하부면을 기준으로 제1 각도로 형성된 제1 경사면 및 상기 하부면과 상기 제1 경사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경사면과 제2 각도를 이루며 상기 하부면과 제3 각도를 갖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경사면의 높이는, 상기 발광소자의 높이보다 낮다.
실시 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는, 패키지 몸체 성형시, 내측벽 중 제2 경사면의 높이를 발광소자의 높이보다 낮게, 캐비티의 하부면과 80°내지 90°를 갖도록 하여, 패키지 몸체를 이루는 사출물의 미성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밀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는, 내측벽 중 제1 경사면의 제1 경사각에 따라 광 추출시 지향각을 넓힐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의 절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A' 블록에 대한 제1 실시 예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A'블록에 대한 제2 실시 예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패키지 몸체 및 캐비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낸 조명장치의 A-A'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장치에 대한 제1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 예에 따른 발광소자 어레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장치에 대한 제2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실시 에 대한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위(on)",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위(on)"와,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indirectly)" 형성되는 모든것을 포함한다. 또한, 각 층의 위,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발광소자 패키지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발광소자 패키지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의 절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발광소자 패키지(100)는 캐비티(s)가 형성된 패키지 몸체(110), 패키지 몸체(110) 내에 배치되는 제1, 2 리드프레임(120, 130) 및 캐비티(s) 내에서 제1 리드프레임(120) 상에 배치되는 발광소자(140)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키지 몸체(110)는 폴리프탈아미드(PPA:Polyphthalamide)와 같은 수지 재질, 실리콘(Si), 알루미늄(Al), 알루미늄 나이트라이드(AlN), AlOx, 액정폴리머(PSG, photo sensitive glass), 폴리아미드9T(PA9T), 신지오택틱폴리스티렌(SPS), 금속 재질, 사파이어(Al2O3), 베릴륨 옥사이드(BeO), 세라믹 및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패키지 몸체(110)의 상면 형상은 발광소자(140)의 용도 및 설계에 따라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및 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캐비티(s)의 단면 형상은 컵 형상, 오목한 용기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캐비티(s)의 내 측면은 하부에 대해 경사진 내측면이 될 수 있다.
또한, 캐비티(s)의 전면 형상은 원형, 사각형, 다각형, 타원형 등의 형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이때, 패키지 몸체(110)의 하부면에는 제1, 2 리드프레임(120, 120)이 배치되며, 제1, 2 리드프레임(120, 130)은 금속 재질, 예를 들어, 티타늄(Ti), 구리(Cu), 니켈(Ni), 금(Au), 크롬(Cr), 탄탈늄(Ta), 백금(Pt), 주석(Sn), 은(Ag), 인(P), 알루미늄(Al), 인듐(In), 팔라듐(Pd), 코발트(Co), 실리콘(Si), 게르마늄(Ge), 하프늄(Hf), 루테늄(Ru), 철(Fe) 중에서 하나 이상의 물질 또는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2 리드프레임(120, 130)은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패키지 몸체(110), 즉 캐비티(s)의 내측벽은 경사면을 이룰수 있으며, 상기 경사면의 각도에 따라 발광소자(140)에서 방출되는 광의 반사각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로 방출되는 광의 지향각을 조절할 수 있다. 광의 지향각이 줄어들수록 발광소자(140)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광의 집중성은 증가하는 반면, 광의 지향각이 클수록 발광소자(140)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광의 집중성은 감소한다.
여기서, 캐비티(s)의 내측벽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하기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발광소자 패키지(100)는 캐비티(s)를 밀봉하는 봉지재(1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봉지재(150)는 이중몰딩구조 또는 삼중몰딩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봉지재(150)는 필름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형광체 및 광확산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형광체 및 광확산재를 포함하지 않는 투광성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A' 블록에 대한 제1 실시 예를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에 나타낸 'A'블록에 대한 제2 실시 예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구성과 동일 구성이므로, 중복되는 부분에 대하여 설명을 생략하거나, 또는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캐비티(s)를 형성하는 패키지 몸체(110)의 내측면은 캐비티(s)의 하부면, 즉 제1 리드프레임(120)을 기준으로 제1 각도(d1)로 경사진 제1 경사면(112) 및 제1 경사면(112)와 제2 각도(d2)로 접하며 제1 리드프레임(120)과 제3 각도(d3)로 접하는 제2 경사면(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경사면(112)의 제1 각도(d1)는 제2, 3 각도(d2, d3) 보다 낮으며, 20°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경사면(112)의 제1 각도(d1)는 발광소자 패키지(100)의 전제 사이즈에 관계되며, 제1 경사면(112)의 제1 각도(d1)가 20°보다 작으면 설계된 패키지 몸체(110)의 전체 사이즈가 커지게 되며, 40°보다 높게 되면 패키지 몸체(110)의 높이 또는 두께가 두꺼워지게 되어, 발광소자 패키지(100)를 사용하는 제품의 실장 면적 및 두께에 대한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제2 경사면(114)의 제3 각도(d3)는 80°내지 90°인 것이 바람직하며, 90°, 즉 제1 리드프레임(120)과 수직으로 접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즉, 제2 경사면(114)의 제3 각도(d3)는 패키지 몸체(110) 성형시, 성형틀에 주입되는 사출물의 성형시 미성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깝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2 경사면(114)의 제2 각도(d2)는 110°내지 130°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제1, 3 각도(d1, d3)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경사면(114)의 높이(h)는 발광소자(140)의 높이(h1)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제2 경사면(114)의 높이(h)는 발광소자(140)에 포함되며 광을 발생시키는 활성층(미도시)의 높이 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경사면(114)의 높이(h)는 2/100T(tera) 내지 6/100T(tera) 또는 발광소자(140)의 높이(h1) 대비 0.1배 내지 0.6배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시말하면, 제2 경사면(114)의 높이(h)는 발광소자(140)의 높이(h1), 즉 상기 활성층 보다 낮게 형성함으로써, 발광소자(140)에서 발생되는 광이 제1 경사면(112)에 의해 전방으로 반사시킬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사출물의 주입 후 성형되는 과정에서 제1 리드프레임(120)과의 접합이 원활히 되어 미성형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2 경사면(114)의 높이(h)는 상기 사출물을 이루는 재질, 유리 섬유보다 높은 2/100T(tera) 또는 발광소자(140)의 높이(h1) 대비 0.1배 이상으로 함으로써 상기 미성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경사면(114)의 높이(h)는 발광소자(140)의 높이(h1) 대비 0.6배보다 높게 되면 광 효율이 저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경사면(114)은 계단 형상으로 스텝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제2 경사면(114)의 높이(h)는 제1, 2 높이(h_1, h_2)를 이룰수 있으며, 이때 제1, 2 높이(h_1, h_2)는 계단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제1, 2 높이(h_1, h_2) 각각은 발광소자(140)의 높이(h1) 대비 대비 0.1배 내지 0.6배이거나, 또는 2/100T(tera) 내지 6/100T(tera)일 수 있으며, 도 2에서 설명한바 있다.
그리고, 제1, 2 높이(h_1, h_2)는 높이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나, 사출물의 두께 또는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제2 경사면(114)의 계단 형상에서 제2 리드프레임(120)과 평행한 면의 길이는 사출물의 두께 또는 직경보다 길게 형성되어, 사출물의 성형시 미성형을 방지하도록 하며, 면의 길이에 대하여 한정을 두지 않는다.
도 3에서는, 계단 형상이 발광소자(140) 방향으로 되어 있으나, 내측벽 방향으로 계단 형상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도 2 및 도 3과는 다르게, 제2 경사면(114)의 단면에 요철 또는 거칠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패키지 몸체 및 캐비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중복되는 부분에 대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캐비티(s)의 상부폭(b1)은 패키지 몸체(110)의 폭(b2) 대비 66% 내지 89%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캐비티(s)의 상부폭(b1)은 캐비티(s)의 내측벽에 대한 경사각에 따라 결정되며, 이때 상부폭(b1)이 패키지 몸체(110)의 폭 대비 66% 미만이면 발광소자(140)에서 발생되는 광의 효율이 낮아지며, 패키지 몸체(110)의 폭 대비 89% 보다 크게되면 광의 효율은 증가될 수 그에 비하여 패키지 전체 사이즈가 크게되며 그에 따른 제1, 2 리드프레임(120, 130)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어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된다.
[표 1]은 패키지 몸체(110)의 폭(b2)이 3.8mm인 경우, 내측벽의 경사각에 따른 캐비티(s)의 상부폭(b1)을 나타낸다.
[표 1]에는 패키지 몸체(110)의 폭(b2)을 3.8mm로 한정하였으나,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Figure pat00001
[표 1]과 같이, 내측벽 경사각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제3 경사각(d3)이며, 제3 경사각(d3)이 20°인 경우에 캐비티(s)의 상부폭(b1)이 가장 크며, 내측벽 경사각이 20°보다 크게 되면 캐비티(s)의 상부폭(b1)이 패키지 몸체(110)의 폭(b2)에 근접하게 되거나 그 이상이 됨으로써, 내측벽에 의해 패키지 몸체(110)가 파괴되거나 휨이 발생될 수 있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를 포함하는 조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조명장치의 A-A'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한편, 실시 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형상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조명장치의 길이방향(Z)과, 길이방향(Z)과 수직인 수평방향(Y), 그리고 길이방향(Z) 및 수평방향(Y)과 수직인 높이방향(X)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도 6은 도 5의 조명장치(200)를 길이방향(Z)과 높이방향(X)의 면으로 자르고, 수평방향(Y)으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조명장치(200)는 몸체(210), 몸체(210)와 체결되는 커버(230) 및 몸체(210)의 양단에 위치하는 마감캡(250)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210)의 하부면에는 발광소자모듈(240)이 체결되며, 몸체(210)는 발광소자 패키지(244)에서 발생된 열이 몸체(210)의 상부면을 통해 외부로 방출할 수 있도록 전도성 및 열발산 효과가 우수한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발광소자 패키지(244)는 인쇄회로기판(242) 상에 다색, 다열로 실장될 수 있으며, 동일한 간격으로 실장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이격 거리를 가지고 실장될 수 있어 밝기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효과적인 방열을 위해 인쇄회로기판(242)은 금속(Metal)기판일 수 있다.
커버(230)는 몸체(210)의 하부면을 감싸도록 원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커버(230)는 내부의 발광소자모듈(240)을 외부의 이물질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커버(23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발광소자 패키지(244)에서 발생한 광의 눈부심을 방지하고, 외부로 광을 균일하게 방출할 수 있도록 확산입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커버(230)의 내면 및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프리즘 패턴 등이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230)의 내면 및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형광체가 도포될 수도 있다.
한편, 발광소자 패키지(244)에서 발생한 광은 커버(23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므로 커버(230)는 광투과율이 우수하여야하며, 발광소 패키지자(244)에서 발생한 열에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내열성을 구비하고 있어야 하는바, 커버(230)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 Terephthalate; PET),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또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등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감캡(250)은 몸체(210)의 양단에 위치하며 전원장치(미도시)를 밀폐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마감캡(250)에는 전원핀(252)이 형성되어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200)는 기존의 형광등을 제거한 단자에 별도의 장치 없이 곧바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발광소자 패키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장치에 대한 제1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수직형 백라이트 장치를 나타내며, 도 7을 참조하면 백라이트 장치는 하부 수납 부재(350), 반사판(320), 복수의 발광소자모듈(340) 및 다수의 광학 시트(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발광소자모듈(340)은 복수의 발광소자 패키지(344)와 복수의 발광소자 패키지(344)가 실장되어 어레이를 이룰 수 있도록 인쇄회로기판(342)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발광소자 패키지(344)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돌기 등이 형성될 수도 있어, 적색 광, 녹색 광 및 청색 광의 색 혼합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반사판(320)은 높은 광 반사율을 갖는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광손실을 줄일 수 있다. 광학 시트(330)는 휘도 향상 시트(332), 프리즘 시트(334) 및 확산시트(33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확산 시트(336)는 발광소자모듈(340)로부터 입사된 광을 액정 표시 패널(미도시)의 정면으로 향하게 하고, 넓은 범위에서 균일한 분포를 가지도록 광을 확산시켜 액정 표시 패널(미도시)에 조사할 수 있다. 프리즘 시트(334)는 프리즘 시트(334)로 입사되는 광들 중에서 경사지게 입사되는 광을 수직으로 출사되게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확산 시트(336)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수직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프리즘 시트(334)를 액정 표시 패널(미도시) 하부에 배치시킬 수 있다. 휘도 향상 시트(332)는 자신의 투과축과 나란한 광은 투과시키고 투과축에 수직한 광은 반사시킨다.
도 8은 실시 예에 따른 발광소자 어레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장치에 대한 제2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엣지형 백라이트 장치을 도시하며, 도 8을 참조하면 백라이트 장치는 하부 수납 부재(400), 빛을 출력하는 발광소자모듈(410), 발광소자모듈(410)에 인접 배치된 도광판(420) 및 다수의 광학 시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광학 시트(미도시)는 도광판(420) 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는 도 8에서 나타내고 설명한 다수의 광학 시트(430)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발광소자모듈(410)은 복수의 발광소자 패키지(414)가 인쇄회로기판(412)상에 실장되어 어레이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412)으로는 MCPCB(Metal Core PCB) 또는 FR4 재질의 PCB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412)은 사각 판 형태뿐만 아니라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의 제작이 가능하다.
도광판(420)은 발광소자 패키지(414)에서 출력한 빛을 면광원 형태로 변경시켜 액정표시패널(미도시)로 제공하며, 도광판(420)으로부터 제공된 빛의 휘도 분포를 균일하게 만들고 수직 입사성을 향상시키는 다수의 광학 필름(미도시) 및 도광판(420)의 후방으로 방출되는 빛을 도광판(420)으로 반사시키는 반사 시트(미도시)가 도광판(620)의 배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 나타내고 설명한 수직형 백라이트 장치의 구조와 도 8에서 나타내고 설명한 엣지형 백라이트 장치의 구조는 혼합하여 사용이 가능함할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발광소자 패키지
110 패키지 몸체
120 제1 리드 프레임
130 제2 리드 프레임
140 발광소자

Claims (11)

  1. 발광소자; 및
    상기 발광소자가 배치되는 캐비티가 형성된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의 내측벽은,
    상기 캐비티의 하부면을 기준으로 제1 각도로 형성된 제1 경사면; 및
    상기 하부면과 상기 제1 경사면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경사면과 제2 각도를 이루며 상기 하부면과 제3 각도를 갖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경사면의 높이는,
    상기 발광소자의 높이보다 낮은 발광소자 패키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면의 높이는,
    상기 발광소자의 높이 대비 0.1배 내지 0.6배인 발광소자 패키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사면의 높이는,
    2/100T(tera) 내지 6/100T(tera)인 발광소자 패키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상기 제2, 3 각도 보다 낮은 발광소자 패키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20°내지 40°인 발광소자 패키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각도는, 110°내지 130°이며,
    상기 제3 각도는, 80°내지 90°인 발광소자 패키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벽의 단면은,
    요철이 형성된 발광소자 패키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벽의 단면은,
    계단 형상을 갖는 발광소자 패키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상부면 폭은,
    상기 몸체의 폭 대비 66% 내지 89%인 발광소자 패키지.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발광소자 패키지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발광소자 패키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KR1020140165038A 2014-11-25 2014-11-25 발광소자 패키지 KR101628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5038A KR101628541B1 (ko) 2014-11-25 2014-11-25 발광소자 패키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5038A KR101628541B1 (ko) 2014-11-25 2014-11-25 발광소자 패키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020A Division KR101550938B1 (ko) 2010-08-06 2010-08-06 발광소자 패키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670A Division KR101657074B1 (ko) 2016-04-07 2016-04-07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장치,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488A true KR20150005488A (ko) 2015-01-14
KR101628541B1 KR101628541B1 (ko) 2016-06-08

Family

ID=52477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5038A KR101628541B1 (ko) 2014-11-25 2014-11-25 발광소자 패키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5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8937A (ja) * 2003-03-24 2004-10-14 Kyocera Corp 発光素子収納用パッケージおよび発光装置
JP2004327503A (ja) * 2003-04-21 2004-11-18 Kyocera Corp 発光素子収納用パッケージおよび発光装置
KR100610650B1 (ko) * 2005-06-17 2006-08-09 (주) 파이오닉스 엘이디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JP2010062427A (ja) * 2008-09-05 2010-03-18 Toshiba Corp 発光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8937A (ja) * 2003-03-24 2004-10-14 Kyocera Corp 発光素子収納用パッケージおよび発光装置
JP2004327503A (ja) * 2003-04-21 2004-11-18 Kyocera Corp 発光素子収納用パッケージおよび発光装置
KR100610650B1 (ko) * 2005-06-17 2006-08-09 (주) 파이오닉스 엘이디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JP2010062427A (ja) * 2008-09-05 2010-03-18 Toshiba Corp 発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8541B1 (ko)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145883A (ja) 発光素子パッケージ
KR20110125064A (ko) 발광소자 어레이, 조명장치 및 백라이트 장치
KR101550938B1 (ko) 발광소자 패키지
KR101886715B1 (ko) 발광소자 패키지
KR101141470B1 (ko) 발광소자 패키지
KR101657074B1 (ko)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장치, 조명장치
KR101781043B1 (ko) 발광소자 어레이
KR101628541B1 (ko) 발광소자 패키지
KR101818752B1 (ko) 발광소자 어레이
KR20160108283A (ko)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장치
KR101849130B1 (ko) 발광소자 어레이
KR101904262B1 (ko) 발광소자 패키지
KR20120034997A (ko) 발광소자 패키지
KR101790052B1 (ko) 발광소자 패키지
KR101929402B1 (ko) 발광소자 패키지
KR101873558B1 (ko) 발광소자 어레이
KR20120073932A (ko) 발광소자 어레이
KR101723798B1 (ko) 발광소자 패키지
KR101877429B1 (ko) 발광소자 어레이
KR101849127B1 (ko) 발광소자 어레이
KR101141323B1 (ko) 발광소자 패키지
KR101843734B1 (ko) 발광소자 어레이
KR20120034484A (ko) 발광소자 패키지
KR20120072737A (ko) 발광 소자 패키지
KR20120071151A (ko) 발광소자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