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360A - 카메라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360A
KR20150005360A KR1020130079228A KR20130079228A KR20150005360A KR 20150005360 A KR20150005360 A KR 20150005360A KR 1020130079228 A KR1020130079228 A KR 1020130079228A KR 20130079228 A KR20130079228 A KR 20130079228A KR 20150005360 A KR20150005360 A KR 20150005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cover glass
camera module
present
optica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9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1638B1 (ko
Inventor
김용구
이상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9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638B1/ko
Publication of KR20150005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은 피사체를 촬영하는 광학계를 내부에 수용하는 쉴드 캔의 일면에 가이드부가 외곽으로 돌출 형성되어 커버 글라스가 부착되는 폐쇄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커버 글라스의 조립시 틀어짐이나 밀림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차관리 및 치수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커버 글라스를 쉴드 캔에 부착하기 위한 공정의 단순화가 가능하고, 재작업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카메라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모듈은 일반적으로 이미지센서(Image sensor), 외부의 광을 상기 이미지센서로 입사시키는 렌즈가 구비된 렌즈 배럴(Lens barrel), 상기 렌즈 배럴을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Actuator) 및 상기 이미지센서가 실장되는 회로기판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모듈은 통상 카메라로 대표되는 촬영전용의 기기에 탑재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휴대성 및 촬영편의성 등의 이유로, 또한 소비자의 생활패턴 등으로 인하여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모바일기기(Mobile device)에 탑재되어 있는 것이 보편적 경향이다.
여기서 상기 모바일기기에 탑재되는 카메라모듈은 렌즈를 보호하기 위하여 커버 글라스(Cover glass)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전자파를 차폐하여 상기 전자파로부터 각종 소자를 보호하는 쉴드 캔(Shield can)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쉴드 캔과 커버 글라스는 카메라모듈의 외곽을 구성하게 되며, 통상 상기 커버 글라스를 쉴드 캔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실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 1)에서는 카메라모듈이 설치된 장치에 커버 글라스가 설치되어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즉 상기 (특허문헌 1)에 따르면, 커버 글라스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례로써, 이동통신 기기의 가장 상측에 설치되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렌즈의 물리적인 손상을 방지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을 포함하여 종래의 카메라모듈은 커버 글라스의 조립시 정확한 위치보증이 어려워 상기 커버 글라스의 움직임(Shift)에 대한 공차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커버 글라스는 통상적으로 테이프 등의 접착수단을 통해 카메라모듈에 조립되고 있는데, 이 경우 커버 글라스의 틀어짐 또는 밀림 현상에 따른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조립 후 위치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커버 글라스를 포함하는 카메라모듈은 치수관리부분에 대한 보증이 어려워 제품납품시 외관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재작업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상기 카메라모듈의 신뢰성을 저해하는 인자로 작용하고 있다.
KR 2012-0004094 A
본 발명은 커버 글라스의 조립시 정확한 위치보증이 어려워 공차관리가 불가하고, 또한 조립 후 위치변화가 발생하여 치수관리부분에 어려움을 겪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관점은, 커버 글라스의 조립성을 용이하게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관점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은 피사체를 촬영하는 광학계;
상기 광학계를 내부에 수용하며, 전자파를 차폐하는 쉴드 캔; 및
상기 쉴드 캔에 부착된 커버 글라스;
를 포함하며,
상기 쉴드 캔은 커버 글라스가 부착되는 일면에 외곽으로 돌출 형성되어 폐쇄공간을 형성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쉴드 캔을 굴절시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금속재질의 쉴드 캔을 프레스 가공하여 굴절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커버 글라스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에 있어서, 상기 쉴드 캔은 폐쇄공간상에 형성된 요철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들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쉴드 캔의 일면에 가이드부가 외곽으로 돌출 형성되어 커버 글라스를 수용하는 폐쇄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커버 글라스의 조립시 및 조립 후 틀어짐이나 밀림 등의 부착불량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차관리 및 치수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커버 글라스를 쉴드 캔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어 공정의 단순화가 가능하고, 재작업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부는 프레스 가공 등을 통해 쉴드 캔을 굴절시켜 형성되고, 또한 커버 글라스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커버 글라스의 틀어짐이나 밀림 등의 부착불량방지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쉴드 캔에 요철부가 형성됨으로써, 접착제 등을 통한 커버 글라스의 접착효과를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카메라모듈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모듈의 조립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 지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일면", "타면"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Camera module)은 광학계(Optical system), 상기 광학계를 내부에 수용하고, 전자파(EMI)를 차폐하는 쉴드 캔(Shield can) 및 상기 쉴드 캔에 부착된 커버 글라스(Cover glass)를 포함한다.
상기 광학계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것으로서, 좁은 의미로는 렌즈(Lens) 및 상기 렌즈를 통해 촬영한 피사체의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이미지센서(Image Sensor)의 구성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넓은 의미로는 상기 렌즈 및 이미지센서와 관련된 구성요소, 즉 렌즈 배럴(Lens barrel), 광학필터(Optical filter), 그리고 이를 구동하고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인 액추에이터(Actuator)와 하우징(Housing) 등을 포괄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쉴드 캔은 카메라모듈의 외부구조물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전자파(EMI)를 차폐하는 기능과 함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광학계를 외부요인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쉴드 캔은 통상적으로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광학계의 렌즈를 외부 노출함으로써, 피사체의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쉴드 캔에 부착되는 커버 글라스는 광학계의 렌즈를 외부요인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카메라모듈이 탑재되는 장치, 일례로써,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모바일기기(Mobile device)의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 글라스는 투명한 유리재질로 형성되며, 제조사의 사양에 따라 원형이나 사각형 등으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은 광학계의 렌즈를 외부로 노출하는 쉴드 캔의 일면을 외곽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커버 글라스가 수용할 수 있는 폐쇄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폐쇄공간은 렌즈를 통한 피사체의 촬영 등을 위해 커버 글라스의 상부 및 하부를 제외한 측면을 폐쇄하게 되며, 프레스 가공 등을 통해 금속재질의 쉴드 캔을 커버 글라스와 동일한 형상으로 굴절시키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폐쇄공간은 커버 글라스를 쉴드 캔에 부착시 정확한 위치를 보증할 수 있어 조립 및 공차 관리에 용이하며, 또한 상기 커버 글라스의 움직임(Shift)을 통제하여 틀어짐이나 밀림 현상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치수관리부분에 대한 보증이 가능하여 외관불량에 따른 재작업률을 최소화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3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00)은 광학계(110)를 금속재질의 육면체로 형성된 쉴드 캔(120)의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전자파(EMI)를 차폐하여 상기 광학계(110)를 보호하게 된다. 상기 쉴드 캔(120)은 상면 중앙에 원형의 개구부(121)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광학계(110)의 렌즈(111)를 외부 노출하여 상기 렌즈(111) 및 이미지센서(112)를 통한 피사체의 촬영이 가능토록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광학계(110)는 일례로써, 렌즈 배럴(113)에 렌즈(111)가 구비되어 구성되고, 상기 이미지센서(112)가 회로기판(114)에 실장되어 구성되며, 이들을 액추에이터(115)가 설치된 하우징(116)에 구비하여 자동초점(Auto focusing)이 가능토록 구성하게 된다. 다만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예로써, 상기 광학계(110)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사전에 밝혀둔다.
한편 상기 쉴드 캔(120)에 형성되는 가이드부(122)는 개구부(121)가 형성된 쉴드 캔(120)의 상면을 프레스 가공하여 외곽으로 굴절시켜 형성됨으로써, 상기 쉴드 캔(120)의 상부에 커버 글라스(130)가 부착되는 폐쇄공간(122a)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122)는 커버 글라스(130)의 형상과 동일하게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커버 글라스(130)는 가이드부(122)에 의해 형성된 폐쇄공간(122a)에 수용된 후 접착제 등으로 형성되는 접착층(123)에 의해 쉴드 캔(120)의 상부에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 글라스(130)는 조립시 폐쇄공간(122a)에 의해 정확한 위치설정이 가능하여 공차 이내로의 틀어짐이나 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조립 후에는 가이드부(122)에 의해 가로막혀 위치변화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쉴드 캔(120)은 폐쇄공간(122a)상에 다수의 홈과 돌기가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요철부(122b)를 형성함으로써, 접착면적의 증가를 통한 커버 글라스(130)의 틀어짐이나 밀림 현상을 더욱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모듈(100)은 이와 같이 커버 글라스(130)의 치수관리부분에 대한 보증이 가능함으로써, 일례로,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모바일기기에의 탑재를 위한 납품시 상기 커버 글라스(130)로 인한 외관불량의 발생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재작업률의 최소화는 물론이고, 이를 통한 신뢰성 향상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모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카메라모듈 110 - 광학계
111 - 렌즈 112 - 이미지센서
120 - 쉴드 캔 121 - 개구부
122 - 가이드부 122a - 폐쇄공간
122b - 요철부 123 - 접착층
130 - 커버 글라스

Claims (5)

  1. 피사체를 촬영하는 광학계(Optical system);
    상기 광학계를 내부에 수용하며, 전자파(EMI)를 차폐하는 쉴드 캔(Shield can); 및
    상기 쉴드 캔에 부착된 커버 글라스(Cover glass);
    를 포함하며,
    상기 쉴드 캔은 커버 글라스가 부착되는 일면에 외곽으로 돌출 형성되어 폐쇄공간을 형성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카메라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쉴드 캔을 굴절시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금속재질의 쉴드 캔을 프레스 가공하여 굴절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커버 글라스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쉴드 캔은 폐쇄공간상에 형성된 요철부;
    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모듈.
KR1020130079228A 2013-07-05 2013-07-05 카메라모듈 KR102041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228A KR102041638B1 (ko) 2013-07-05 2013-07-05 카메라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9228A KR102041638B1 (ko) 2013-07-05 2013-07-05 카메라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360A true KR20150005360A (ko) 2015-01-14
KR102041638B1 KR102041638B1 (ko) 2019-11-07

Family

ID=52477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9228A KR102041638B1 (ko) 2013-07-05 2013-07-05 카메라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6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8680A (ja) * 1984-01-27 1985-08-20 Mitsubishi Electric Corp 光送受装置
KR920005020B1 (ko) * 1987-12-28 1992-06-22 가부시기사이샤 히다찌세이사구쇼 반도체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비데오카메라유닛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03525A (ko) * 2010-03-15 2011-09-2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20004094A (ko) 2010-07-06 2012-01-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보호용 커버 글래스의 청소유닛 및 상기 청소유닛을 탑재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8680A (ja) * 1984-01-27 1985-08-20 Mitsubishi Electric Corp 光送受装置
KR920005020B1 (ko) * 1987-12-28 1992-06-22 가부시기사이샤 히다찌세이사구쇼 반도체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비데오카메라유닛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03525A (ko) * 2010-03-15 2011-09-2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20004094A (ko) 2010-07-06 2012-01-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보호용 커버 글래스의 청소유닛 및 상기 청소유닛을 탑재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638B1 (ko) 2019-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43496B (zh) 相機模組
US8797453B2 (en) Autofocus-zoom camera module integrating liquid crystal device as high speed shutter
JP2018060161A (ja) フィルター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具えるカメラモジュール
US9436062B2 (en) Camera body
EP2336821A1 (en) Imaging device
WO2014178260A1 (ja)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193435A (ja) 撮像装置
KR102083213B1 (ko) 카메라 모듈
CN104735314A (zh) 透镜安装模块、具有其的可互换透镜系统和电子装置
US9063392B2 (en) Imaging unit
TWI506351B (zh) 攝影模組
JP2017011659A (ja) アンテナ設置構造及び撮像装置
KR20150005360A (ko) 카메라모듈
JP2010243878A (ja) 電子機器
JP7418082B2 (ja) 撮像装置
TW201918780A (zh) 鏡頭驅動裝置、攝影模組與電子裝置
CN115242936A (zh) 摄像模组及电子设备
JP2011257742A (ja) 表示パネルユニット、電子機器
JP5093324B2 (ja) 固体撮像素子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撮像装置
JP5082546B2 (ja) プロジェクタ装置
KR20140078255A (ko) 카메라모듈
JP2011082826A (ja) 撮像装置
CN216819939U (zh) 摄像模组和电子设备
CN112753209B (zh) 摄像模组中的承载结构及制造方法、摄像模组及终端设备
JP2006197211A (ja) ビデオ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