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116A - 도시 열섬현상을 저감할 수 있는 벽면녹화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시 열섬현상을 저감할 수 있는 벽면녹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116A
KR20150005116A KR20130078452A KR20130078452A KR20150005116A KR 20150005116 A KR20150005116 A KR 20150005116A KR 20130078452 A KR20130078452 A KR 20130078452A KR 20130078452 A KR20130078452 A KR 20130078452A KR 20150005116 A KR20150005116 A KR 20150005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fresh water
plate
water tank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8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7498B1 (ko
Inventor
장대희
신상희
김현수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78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7498B1/ko
Publication of KR20150005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7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7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5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ontained within a flexible envelop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 외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 프레임(110); 전면에 다수의 담수공(201)이 형성되며, 고정 프레임(110)의 전면에 상하방향 적층구조로 설치되는 다수의 담수탱크(200); 담수탱크(200)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식생부재(300); 다수의 식생부재(300) 중, 상부 식생부재(300-1)로부터 하부 식생부재(300-2)로 식생수가 흐르도록, 상부 식생부재(300-1)의 전면과 하부 식생부재(300-2)의 후면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식생판(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시스템을 제시함으로써, 공급수의 급수 및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증발산량의 증대를 통한 도시 미기후 개선 기능이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도시 열섬현상을 저감할 수 있는 벽면녹화시스템{WALL GREENING SYSTEM FOR REDUCING HEAT ISLAND}
본 발명은 건설, 토목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도시에서의 증발산량을 극대화하여 도시 열섬현상을 저감시키며, 도시 미기후를 개선할 수 있는 벽면녹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시는 점점 건축물이 과밀해짐에 따라서 녹지지대가 사라지고 있다.
특히, 도시의 불투수 포장면 증대로 인한 증발산량 감소로 도시 열섬현상이 발생하고, 미세먼지 증가 및 도시 미기후 변화에 따른 불쾌감 증대 등의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건축물의 옥상, 베란다 등의 바닥, 실내, 외벽, 칸막이 등의 벽체에 녹지를 조성하는 공법이 크게 각광을 받고 있지만, 종래의 녹화 구조물을 통해서는 위의 문제점이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건물의 녹화구조의 효율적 운용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녹지에서 배출된 물이 건물로 침투하지 않아야 하며, 공급수의 급수 및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녹화 구조물은 식물에 공급하는 공급수의 급수 및 배수의 조절이 잘 안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공급수가 썩게 될 우려가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시로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공급수의 급수 및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증발산량의 증대를 통한 도시 미기후 개선 기능이 있는 벽면녹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벽체 외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 프레임(110); 전면에 다수의 담수공(201)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프레임(110)의 전면에 상하방향 적층구조로 설치되는 다수의 담수탱크(200); 상기 담수탱크(200)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식생부재(300); 상기 다수의 식생부재(300) 중, 상부 식생부재(300-1)로부터 하부 식생부재(300-2)로 식생수가 흐르도록, 상기 상부 식생부재(300-1)의 전면과 상기 하부 식생부재(300-2)의 후면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식생판(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시스템을 제시한다.
상기 벽체의 외면에 접촉하는 차수보드(1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 프레임(110)은 상기 차수보드(120)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담수탱크(200)에 식생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된 관수라인(1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담수탱크(200)의 상단에는 상기 관수라인(130)이 걸쳐질 수 있도록 관수라인 거치홈(200a);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담수탱크(200)의 내측 상부에 배수판(210);이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담수탱크(200)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식생판(400)의 후면과 접촉하는 완충부재(2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생판(400)은 굴곡형 구조로 형성된 복수의 패널이 좌우 방향으로 결합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 프레임(110)은 다공성의 무기질 소재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생판(400)은 다공성의 무기질 소재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생판(400)은 상부 또는 하부의 외면에 고정부재(410);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410)에 의해 상기 식생판(400)이 상기 담수탱크(20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생부재(300)는 화분(31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생부재(300)는 식생백(320);을 포함하며, 상기 식생백(320)은 하면의 일부 또는 전체가 개방된 구조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생백(320)은 상면이 개방되거나 상면에 식생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생백(320)은 코코섬유, 삼베, 황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섬유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공급수의 급수 및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증발산량의 증대를 통한 도시 미기후 개선 기능이 있는 벽면녹화시스템을 제시한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에 의한 벽면녹화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제 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제 2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 2실시예의 설치 사시도.
도 4는 제 3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제 1실시예의 정면도.
도 6은 제 1실시예의 배면도.
도 7은 제 1실시예의 좌측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벽면녹화시스템은 벽체 외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 프레임(110); 전면에 다수의 담수공(201)이 형성되며, 고정 프레임(110)의 전면에 상하방향 적층구조로 설치되는 다수의 담수탱크(200); 담수탱크(200)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식생부재(300); 다수의 식생부재(300) 중, 상부 식생부재(300-1)의 전면과 하부 식생부재(300-2)의 후면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식생판(400);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여기서, 식생수가 식생판(400)을 통해 상부 식생부재(300-1)로부터 하부 식생부재(300-2)로 흘러 내려가도록 형성된 구조가 특징이다(도 1,7).
담수탱크(200)는 인공관수 또는 빗물을 받아 일정 높이의 물을 항상 보유하므로, 식생부재(300)에 수분을 충분히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담수탱크(200)에 형성된 다수의 담수공(201)을 통해 식생수가 배출되어 식생판(400)을 고르게 적시게 된다.
위와 같은 구조는, 다수의 담수탱크(200)에 의해 형성된 모든 식생부재(300)에 골고루 급수가 이루어짐과 아울러, 식생수가 식생판(400)을 통해 상부에서 하부로 흐름에 따라 배수가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펌프(150)와 리턴 파이프(140)에 의해 벽면녹화시스템의 하부로 내려온 식생수를 재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식생수가 원활히 공급되거나 배수되지 못하고 고여서 썩게 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므로, 녹화시스템의 관리가 용이하고 경제적 비용을 감소하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식생판(400)의 구조는 식생수가 상부 식생부재(300-1)로부터 하부 식생부재(300-2)로 흐르기 용이하도록, 굴곡형 구조로 형성되며, 복수의 패널이 좌우 방향으로 결합한 구조로 형성되어 설치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한 효과를 얻는다(도 2).
특히, 이 식생판(400)은 다공성의 무기질 소재로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다공성의 무기질 소재를 사용하여 형성된 식생판(400)은 식생판(400)의 전면에 수분을 보유하고, 발산하는 기능이 탁월하다.
즉, 식생판(400)을 흐르는 식생수의 증발에 의하여 주위 온도를 저감할 수 있으므로, 도시의 미기후를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다공성의 무기질 소재는 상온에서 발포 성형이 가능하므로, 제작공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절감 효과가 크다.
위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다공성의 무기질 소재 중, 상온 발포세라믹 소재를 이용하여 식생판(400)을 제작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이는, 플라스틱이나 금속재질의 재료보다 열에 의한 식물의 훼손을 방지하는 효과까지 겸비하므로, 식물의 활착에도 도움을 주는 소재라 할 수 있다.
셋째, 식생판(400)은 건물의 전면과 일체화된 구조로 설치되므로, 건물의 외장재로서의 기능을 한다.
따라서, 식생판(400)이 다양한 색상 및 질감으로 형성되어, 건물의 미관을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건물의 외벽과의 일체화를 통한 건물외피의 생태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환경적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식생판(400)은 일반적인 식생판의 기능과 더불어, 증발산량을 증대시키는 기능 및 등반형 식물의 등반 보조재 역할, 외부벽체 마감재의 역할까지 한다.
또한, 고정 프레임(110)도 마찬가지로 다공성의 무기질 소재로 형성됨에 따라, 위의 효과를 동일하게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고정 프레임(110) 및 식생판(400)이 모두 다공성의 무기질 소재로 형성될 경우, 본 발명의 벽면 녹화시스템을 통해 증발산량을 증대시켜 도시의 열삼현상 저감기능을 보다 극대화할 수 있다.
식생판(400)은 상부 또는 하부의 외면에 고정부재(410)가 형성되어, 이 고정부재(410)에 의해 담수탱크(2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도 2).
본 발명의 벽면녹화시스템은 벽체의 외면에 접촉하는 차수보드(120);를 설치하고, 고정 프레임(110)은 차수보드(120)의 전면에 설치되는 구조가 보다 바람직하다(도 2,3).
그 이유는, 차수보드(120)를 통해 식생수가 벽체로 유입되어 벽체의 내구성을 저하시킬 우려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담수탱크(200)에 식생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관수라인(130);이 구비된다(도 2).
이를 위해, 담수탱크(200)의 상단에는 관수라인(130)이 걸쳐질 수 있도록 관수라인 거치홈(200a);이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수라인(130)은 관수라인 거치홈(200a)에 의하여 담수탱크(200)의 상단에 걸쳐지도록 설치되며, 관수라인(130)에 급수 및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양측을 지지하는 라인을 고정프레임(110)에 고정되도록 설치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관수라인(130)에 의해 다수의 담수탱크(200)에는 식생부재(300)에 공급할 충분한 식생수가 담기게 되며, 녹화시스템의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온 식생수는 펌프(150)와 리턴파이프(140)를 통해 다시 재활용되는 것이다.
또한, 넝쿨 등의 등반형 식물이 관수라인(130)을 통해 하부에서 상부로 타고 올라가며 생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건물의 외관이 보다 친환경적인 미관으로 향상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구조는 본 발명의 벽면녹화시스템에 식재가 생장하지 않을 경우에도 경관의 미려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담수탱크(200)의 내측 상부에는 식생부재(300)로부터 배수되는 물이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배수판(21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담수탱크(200)의 전면에 설치되며, 식생판(400)의 후면과 접촉하도록 완충부재(220);가 설치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완충부재(220)는 담수탱크(200)에 형성된 담수공(201)와 식생판(400) 사이의 완충기능을 함과 아울러, 담수공(201)으로부터 오버플로우되는 물을 식생판(400)에 고르게 적시는 기능을 한다.
다음으로, 식생부재(3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식생부재(300)는 화분(310)을 사용할 수 있다(도 4).
여기서, 화분(310)은 방수, 담수 기능이 있는 화분(310)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화분(310)의 하측 일부가 개방되거나, 배수공이 형성된 구조의 화분(310)을 사용함으로서, 담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을 아래로부터 흡수하거나, 식물에 공급되고 남은 여분의 공급수가 다시 담수탱크(200)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화분(310)을 사용하면 관리가 용이하고 교체 작업이 수월하다는 장점이 있다.
식생부재(300)는 식생백(320);을 사용할 수 있다(도 3).
식생백(320)은 하면의 일부 또는 전체가 개방된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이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담수탱크(200)에 저장된 물을 아래로부터 흡수하거나, 식생백(320)에 공급되고 남은 여분의 공급수가 다시 담수탱크(200)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물이 썩을 염려가 없고 식물이 보다 효과적으로 생육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식생백(320)은 식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거나 상면에 식생홀이 형성된다.
그리고, 식생백(320)은 식물의 생장에 도움을 주도록 섬유를 직조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천연이면서 어느 정도 견고함을 유지하도록 코코섬유, 삼베, 황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섬유로 이루어진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10 : 고정 프레임 120 : 차수보드
130 : 관수라인 200 : 담수탱크
201 : 담수공 200a : 관수라인 거치홈
210 : 배수판 220 : 완충부재
300 : 식생부재 300-1 : 상부 식생부재
300-2 : 하부 식생부재 310 : 화분
320 : 식생백 400 : 식생판
410 : 고정부재

Claims (13)

  1. 벽체 외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고정 프레임(110);
    전면에 다수의 담수공(201)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프레임(110)의 전면에 상하방향 적층구조로 설치되는 다수의 담수탱크(200);
    상기 담수탱크(200)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의 식생부재(300);
    상기 다수의 식생부재(300) 중, 상부 식생부재(300-1)로부터 하부 식생부재(300-2)로 식생수가 흐르도록, 상기 상부 식생부재(300-1)의 전면과 상기 하부 식생부재(300-2)의 후면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식생판(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의 외면에 접촉하는 차수보드(1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 프레임(110)은 상기 차수보드(120)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담수탱크(200)에 식생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된 관수라인(13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담수탱크(200)의 상단에는 상기 관수라인(130)이 걸쳐질 수 있도록 관수라인 거치홈(20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담수탱크(200)의 내측 상부에 배수판(21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담수탱크(200)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식생판(400)의 후면과 접촉하는 완충부재(2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판(400)은
    굴곡형 구조로 형성된 복수의 패널이 좌우 방향으로 결합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110)은
    다공성의 무기질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판(400)은
    다공성의 무기질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판(400)은
    상부 또는 하부의 외면에 고정부재(410);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410)에 의해 상기 식생판(400)이 상기 담수탱크(20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부재(300)는
    화분(3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부재(300)는
    식생백(320);을 포함하며,
    상기 식생백(320)은 하면의 일부 또는 전체가 개방된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백(320)은 상면이 개방되거나 상면에 식생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백(320)은
    코코섬유, 삼베, 황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섬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녹화시스템.
KR1020130078452A 2013-07-04 2013-07-04 도시 열섬현상을 저감할 수 있는 벽면녹화시스템 KR101517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452A KR101517498B1 (ko) 2013-07-04 2013-07-04 도시 열섬현상을 저감할 수 있는 벽면녹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452A KR101517498B1 (ko) 2013-07-04 2013-07-04 도시 열섬현상을 저감할 수 있는 벽면녹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116A true KR20150005116A (ko) 2015-01-14
KR101517498B1 KR101517498B1 (ko) 2015-05-04

Family

ID=52477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8452A KR101517498B1 (ko) 2013-07-04 2013-07-04 도시 열섬현상을 저감할 수 있는 벽면녹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74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89577A (zh) * 2016-10-26 2017-03-15 董志昂 一种楼房房体蔷薇绿色植物外墙
CN112314426A (zh) * 2020-11-17 2021-02-05 金螳螂精装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装配式无土栽培绿植墙
US11617310B1 (en) * 2022-03-07 2023-04-04 Nicol Floral Design LLC Modular flower wall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671B1 (ko) * 2007-02-27 2008-01-14 일송환경복원 주식회사 구조물의 노출면 녹화용 식생장치의 설치구조
KR200464819Y1 (ko) * 2012-08-02 2013-01-21 강현철 실내녹화 겸 공기청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89577A (zh) * 2016-10-26 2017-03-15 董志昂 一种楼房房体蔷薇绿色植物外墙
CN112314426A (zh) * 2020-11-17 2021-02-05 金螳螂精装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装配式无土栽培绿植墙
US11617310B1 (en) * 2022-03-07 2023-04-04 Nicol Floral Design LLC Modular flower wal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7498B1 (ko) 201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904895T3 (en) Vertical planting system
JP2010239878A (ja) 壁面緑化装置
CN205681983U (zh) 一种用于坡面屋顶的绿化种植框
CN104285774A (zh) 一种高层建筑攀援植物垂直绿化系统
KR101517498B1 (ko) 도시 열섬현상을 저감할 수 있는 벽면녹화시스템
CN204217545U (zh) 立体绿化及种植系统
KR200455094Y1 (ko) 초박형 식생유니트
JP2004298140A (ja) 屋上緑化システムと屋上緑化プランター
KR101189260B1 (ko) 다벽면 및 베란다 녹화 시스템
CN210421670U (zh) 一种节能环保的绿色建筑集成屋顶
KR101187406B1 (ko) 이끼 패널과 이를 이용한 인공 구조물의 녹화방법
CN104303873A (zh) 立体绿化及种植系统
KR101218111B1 (ko) 식생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CN206196450U (zh) 一种苔藓植物毯和一种苔藓绿墙结构
JP2011050329A (ja) 緑化システムおよび緑化用トレー
WO2012169451A1 (ja) 貯水排水基盤材とそれを用いた緑化構造体
KR20090065222A (ko) 녹지조성을 위한 식생용 블록과 이를 이용한 블록조립체
JP2006241812A (ja) 環境温度低減装置
KR101187407B1 (ko) 벽면 녹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벽면 녹화방법
KR101238336B1 (ko) 녹화조성구조물
CN108925278A (zh) 一种适用于室内外植物墙的种植模块及应用
JP2007167039A (ja) 緑化容器
JP2009022245A (ja) 屋上緑化施工用パネル、及びその屋上緑化施工用パネルを用いた屋上緑化の施工システム
JP2012023992A (ja) 建築物に敷設する立体庭園
KR20100055039A (ko) 녹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