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516U - 도어 자동 개폐 장치의 권양 축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자동 개폐 장치의 권양 축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516U
KR20150004516U KR2020140004362U KR20140004362U KR20150004516U KR 20150004516 U KR20150004516 U KR 20150004516U KR 2020140004362 U KR2020140004362 U KR 2020140004362U KR 20140004362 U KR20140004362 U KR 20140004362U KR 20150004516 U KR20150004516 U KR 201500045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support bracket
axial direction
lifting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3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0950Y1 (ko
Inventor
조효연
Original Assignee
조효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효연 filed Critical 조효연
Priority to KR20201400043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950Y1/ko
Publication of KR201500045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5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9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9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출입구 셔터와 같은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장치에서 권양 드럼을 지지하는 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권양 축 지지장치는, 권양 장치(30)에 의해 회전하는 권양 드럼(52)이 장착되는 권양 축(50)을 출입구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권양 축 지지장치로서, 설치공(61)이 형성되어 있는 서포트 브래킷(60); 상기 서포트 브래킷(60)의 설치공(61) 안에 축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미끄럼 삽입되는 외경을 가지는 한편 베어링(70)의 외주가 축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미끄럼 삽입되는 내경을 가지는 통체(82)와, 상기 통체(82)의 한쪽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어링(70)의 외륜(74)의 측면을 막는 막음판(84)과, 상기 통체(82)의 반대쪽 단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서포트 브래킷(60)의 측면에 걸리며 반경방향 내측으로는 상기 베어링(70)을 상기 통체(82) 안에 축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미끄럼 삽입할 수 있는 개구를 제공하는 외향 스토퍼(88)를 구비한 미끄럼 결합식 요크(80)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미끄럼 결합식 요크(80)에 베어링(70)을 축방향으로 미끄럼 삽입하거나 인출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고, 미끄럼 결합식 요크(80) 또한 서포트 브래킷(60)의 설치공(61) 안으로 축방향으로 미끄럼 삽입하거나 인출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 자동 개폐 장치의 권양 축 지지장치{BEARING DEVICE FOR LIFTING SHAFT OF DOOR OPERATOR}
본 고안은 모터에 의해 출입구 셔터 등과 같은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도어 자동 개폐 장치에서 권양 드럼을 지지하는 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성의 베어링을 변형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제조가 쉽고 저렴하며, 조립과 분리가 매우 용이하도록 한 도어 자동 개폐 장치의 권양 축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른바 '자동 셔터"로 알려진 자동 도어 장치는, 공장, 점포, 창고, 소방서 등의 넓은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스위치나 원격 제어기를 통해 자동으로 여닫는 장치이다.
도 1에는 이러한 도어 자동 개폐 장치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주요부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여러 패널이 경첩 구조로 연결된 도어(10)가 출입구 양측의 프레임(2)에 출입구로부터 천장으로 이어지는 레일(20)을 설치하고, 도어(10)를 이루는 패널들의 양측에 구비한 롤러(12)를 레일(20)에 설치한다.
그리고 출입구의 일측에 모터(32)를 구비하는 권양 장치(30)를 설치하고, 프레임(2)의 상단에 권양 축(50)의 양단을 서포트 브래킷(60)과 베어링(70)을 갖춘 축 지지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며, 권양 축(50)의 양단부에 통, 풀리, 롤(roll) 등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권양 드럼(52)을 설치하고, 권양 드럼(52)에 와이어로프, 체인 등으로 이루어지는 권양 줄(54)을 감아 그 단부를 도어(10)에 연결하며, 권양 장치(30)의 모터(32)와 권양 축(50)을 체인, 벨트 또는 기어 방식의 동력전달기구(34)로 연결(주로 감속 연결)한 형태이다.
이러한 도어 자동 개폐 장치는, 모터(32)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시킴에 따라 권양 축(50)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권양 축(50)의 회전에 의해 권양 드럼(52)이 권양 줄(54)을 감거나 풀어서 도어(10)를 올리거나 내린다.
이 경우, 권양 축(50)의 양쪽 단부는 서포트 브래킷(60)과 베어링(70)을 포함하는 축 지지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 된다.
도 3 및 도 4는 종래의 축 지지장치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예들이 을 보인 것으로서, 도 3에는 그 중 하나의 에에 대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다른 예에 대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축 지지장치는 권양 축(50)에 베어링(70)을 끼우고 서포트 브래킷(60)에 지지한 형태를 가지는데, 서포트 브래킷(60)은 베어링(70)의 폭에 비해 두께가 매우 얇은 판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서포트 브래킷(60)에 연장 플랜지(62)를 성형(일반적으로, 프레스에 의한 버링(Burring) 성형)한 후, 플랜지(62)에 베어링(70)을 끼워 지지하였다.
베어링(70)은 기성(旣成)의 제품을 구매하여 사용하는데, 베어링(70) 자체로는 축방향 조립 위치를 결정해 줄 수 없기 때문에, 기성의 베어링(70) 외주에 환형 홈(72)을 별도로 가공한 후, 형성된 환형 홈(72)에 스톱 링이나 스냅 링으로 이루어진 스토퍼 링(74)을 끼워 스토퍼 링(74)이 서포트 브래킷(60)에 밀착할 때까지 베어링(70)을 플랜지(62)에 삽입하였다.
그러나 이처럼 기성의 베어링(70)에 환형 홈(72)을 추가로 형성하여 스토퍼 링(74)을 끼운 구조에 의하면, 환형 홈(72) 부분이 취약해져서 베어링(70)의 외륜이 깨지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환형 홈(72)을 가공하는데에 따른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종래의 예는, 기성의 베어링(70) 외주에 별도의 리테이너(76)를 끼운 형태이다. 즉, 기성의 베어링(70)을 구입한 후, 드로잉(drawing) 프레스에 의해 별도로 제작한 리테이너(76)를 마련하고, 리테이너(76)에 베어링(70)을 끼워 일체화한 형태이다. 리테이너(76)와 베어링(70)의 일체화는, 드로잉 시 일측에 내향 절곡부(76a)를 가지도록 성형하며, 베어링(70)을 끼운 후 반대측에 돌출 막음부(76b)를 프레스 하여, 돌출 막음부(76b)에 의해 서포트 브래킷(60)의 플랜지(62)에 걸리도록 하는 한편 외륜을 막아 고정하도록 한 형태이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는, 1차로 프레스 성형한 리테이너(76)에 베어링(70)을 삽입한 채 다시 돌출 막음부(76b)를 프레스 성형하여야 함으로써 제작공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폐단이 있다. 또한, 내향 절곡부(76a)와 돌출 막음부(76b)에 의해 베어링(70)이 리테이너(76))의 내부에 완전히 구속되기 때문에, 베어링(70)과 리테이너(76)를 함께 폐기하고 새로운 리테이너를 또다시 성형하여 일체화하여야 함으로써 재료 낭비가 심하고 비용도 배가되는 폐단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4-0012149호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1-0085950호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기성의 베어링을 변형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베어링만을 교체하고 폐기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제조, 조립, 분해가 매우 용이한 도어 자동 개폐 장치의 권양 축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자동 개폐 장치의 권양 축 지지장치는, 권양 장치(30)에 의해 회전하는 권양 드럼(52)이 장착되는 권양 축(50)을 출입구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권양 축 지지장치로서, 설치공(61)이 형성되어 있는 서포트 브래킷(60); 상기 서포트 브래킷(60)의 설치공(61) 안에 축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미끄럼 삽입되는 외경을 가지는 한편 베어링(70)의 외주가 축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미끄럼 삽입되는 내경을 가지는 통체(82)와, 상기 통체(82)의 한쪽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어링(70)의 외륜(74)의 측면을 막는 막음판(84)과, 상기 통체(82)의 반대쪽 단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서포트 브래킷(60)의 측면에 걸리며 반경방향 내측으로는 상기 베어링(70)을 상기 통체(82) 안에 축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미끄럼 삽입할 수 있는 개구를 제공하는 외향 스토퍼(88)를 구비한 미끄럼 결합식 요크(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권양 축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61)은, 서포트 브래킷(60)에 축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한 플랜지(62)의 내경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권양 축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향 스토퍼(88)는, 하나의 판재를 드로잉 프레스 가공하여 상기 통체(82)의 축방향 양쪽 단부에 상기 막음판(84)과 외향 스토퍼(88)가 일체로 절곡 연장된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자동 개폐 장치의 권양 축 지지장치에 의하면, 미끄럼 결합식 요크에 베어링을 축방향으로 미끄럼 삽입하거나 인출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으며, 또한 미끄럼 결합식 요크를 서포트 브래킷의 설치공이나 플랜지 안으로 축방향으로 미끄럼 삽입하거나 인출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이점들에 의해 권양 축 지지장치의 조립, 분해, 정비, 교체가 매우 쉬워진다.
또한, 미끄럼 결합식 요크의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한 번의 프레스 가공으로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베어링과 미끄럼 결합식 요크가 물리적으로 분리할 수 없게 맞물리거나 구속하는 형태가 아니라 서로 자유로운 상태로 축-구멍 조립 방식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단순히 조립된 상태이기 때문에, 베어링을 교체할 때에 미끄럼 결합식 요크로부터 베어링만 빼내어 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미끄럼 결합식 요크를 또다시 신품으로 교체하지 않고 재사용할 수 있다.
도 1에는 도어 자동 개폐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권양 축 지지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권양 축 지지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권양 축 지지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지지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권양 축 지지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권양 축 지지장치를 보인 것으로서, 도 5에는 분리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조립상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권양 축 지지장치는, 서포트 브래킷(60)과, 미끄럼 결합식 요크(80) 및 베어링(70)을 구비하여, 베어링(70)은 미끄럼 결합식 요크(80)에 축방향으로 미끄럼 결합하여 착탈 가능하게 하고, 미끄럼 결합식 요크(80)는 서포트 브래킷(60)에 축방향으로 미끄럼 결합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서포트 브래킷(60)에는 미끄럼 결합식 요크(80)를 삽입하기 위한 설치공(61)이 형성된다. 설치공(61)은 서포트 브래킷(60)에 단순히 구멍을 뚫은 형태여도 좋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설치공(61)은 플랜지(62)에 의해 형성된다. 즉, 플랜지(62)의 내경이 곧 설치공(61)이 되는 것이다.
플랜지(62)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처럼 한쪽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여도 좋고, 서포트 브래킷(60)을 가운데 두고 축방향 양쪽으로 함께 연장된 형태여도 좋다.
또, 플랜지(62)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처럼, 서포트 브래킷(60)에 작은 구멍을 뚫고 지름이 큰 펀치로 눌러 절곡 한 이른바 '버링(Burring)" 가공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으면 별도 제작한 원통을 서포트 브래킷(60)에 용접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미끄럼 결합식 요크(80)는, 통체(82), 막음판(84) 및 외향 스토퍼(88)를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져서, 통체(82)의 내경부에 베어링(70)이 미끄럼 삽입되는 한편, 통체(82)의 외경부가 서포트 브래킷(60)의 설치공(61)에 미끄럼 삽입된다.
즉, 통체(82)는, 서포트 브래킷(60)의 설치공(61) 안에 축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미끄럼 삽입되는 외경을 가지면서 베어링(70)의 외주가 축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미끄럼 삽입되는 내경을 가진다.
막음판(84)은, 통체(82)의 한쪽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져서, 삽입된 베어링(70)의 외륜(74)의 측면을 막는다.
외향 스토퍼(88)는, 통체(82)의 반대쪽 단부, 즉, 막음판(84)의 반대쪽 단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서포트 브래킷(60)에 삽입할 때 서포트 브래킷(60)의 측면에 걸리도록 한다. 이러한 외향 스토퍼(88)는, 한편으로는 통체(82) 안에 베어링(70)을 미끄럼 삽입하기 위한 개구(開口)를 제공한다.
위와 같은 구성에 따라, 베어링(70)은 미끄럼 결합식 요크(80)의 외향 스토퍼(88) 방향으로 열린 개구를 통해 축방향으로 간단히 미끄럼 삽입하거나 꺼내는 것에 의해 조립과 분리가 쉽게 이루어진다. 또한, 미끄럼 결합식 요크(80)는 서포트 브래킷(60)의 설치공(61), 즉, 플랜지(62) 안에 축방향으로 간단히 미끄럼 삽입하거나 꺼내는 것에 의해 조립과 분리가 쉽게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미끄럼 결합식 요크(80)의 외향 스토퍼(88)는, 원주방향으로 연속하는 판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한하지 않고, 원주방향으로 몇 조각의 판을 형성하거나 부착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요컨대, 외향 스토퍼(88)는, 미끄럼 결합식 요크(80)를 서포트 브래킷(60)의 설치공(61)에 삽입할 때 서포트 브래킷(60)의 측면에 걸려 미끄럼 결합식 요크(80)의 위치를 잡아줄 수 있는 정도로 통체(82)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라면 어떤 형태로 하여도 좋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미끄럼 결합식 요크(80)는, 하나의 판재를 드로잉 프레스 가공하여 통체(82)의 축방향 양쪽 단부에 막음판(84)과 외향 스토퍼(88)가 일체로 절곡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하면 한 번의 프레스 가공에 의해 간단하게 제조가 완료되지만, 이러한 구성으로만 한정되지 않고, 막음판(84)이나 외향 스토퍼(88)를 통체(82)와 별도로 제작한 후, 막음판(84)이나 외향 스토퍼(88)를 통체(82)의 단부에 부착(예; 용접)하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자유롭게 채용할 수 있다.
도 7에는 도 6의 우측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을 병행 참조하면, 미끄럼 결합식 요크(80)의 막음판(84)은 베어링(70)의 외륜(74)(도 5 참조)을 감싸는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륜(74)과 함께 리테이너(72)의 일부분도 감쌀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내륜(76)은, 권양 축(50)과 함께 회전하여야 하는 부분이므로 막음판(84)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권양 축 지지장치는, 두께가 얇은 서포트 브래킷(60)에 쉽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형태로서, 미끄럼 결합식 요크(80)에 베어링(70)을 축방향으로 미끄럼 삽입하거나 인출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고, 미끄럼 결합식 요크(80) 또한 서포트 브래킷(60)의 설치공(61) 안으로 축방향으로 미끄럼 삽입하거나 인출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권양 축 지지장치의 조립, 분해, 정비, 교체가 매우 쉽다.
또한, 베어링(70) 교체시에는, 미끄럼 결합식 요크(80)로부터 베어링(70))만 쉽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미끄럼 결합식 요크(80)를 또다시 신품으로 교체하지 않아도 되고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을 절감하고 재료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미끄럼 결합식 요크(80)의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한 번의 프레스 가공으로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베어링(70)과 미끄럼 결합식 요크(80)가 물리적으로 분리할 수 없게 맞물리거나 구속하는 형태가 아니라 서로 자유로운 상태로 축-구멍 결합 방식으로 단순히 조립된 상태이기 때문에 베어링(70)만을 따로 빼내어 교체할 수 있다.
도 8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권양 축 지지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5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설치공(61)의 형태만이 다르고 나머지의 구성은 동일하다.
즉,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는, 설치공(61)이 서포트 브래킷(60)을 단순히 천공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설치공(61)의 형태는, 버링 프레스 공법에 의해 플랜지(62)(도 5 내지 도 7 참조)를 형성할 때의 복잡한 공정을 배제하고, 서포트 브래킷(60)에 1회에 타공(piercing) 하여 제조함으로써, 제조 공정이 단순해지고 불량이 줄어든다.
예를 들어, 서포트 브래킷(60)에 플랜지(62)를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서포트 브래킷(60)에 작은 구멍을 형성한 다음, 버링 공정에서 설치공(61)의 내경과 같은 큰 외경을 가지는 펀치로 눌러 절곡 하여 플랜지(62)를 형성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 또한, 그 과정에서 먼저 천공한 작은 구멍과 버링 펀치의 중심을 정밀하게 일치시키지 않으면 중심이 어긋나서 제조 불량이 생기게 된다. 그러나,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서포트 브래킷(60)을 1회에 단순히 천공하여 형성함으로써 제조 공정이 간단해지고 불량도 줄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조립을 완료한 상태에서 서포트 브래킷(60)이 베어링(70)의 축방향 가운데 지점 또는 가운데 지점에 가까운 지점에 위치하도록 하면 보다 안정된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2 : 프레임
10 : 도어
12 : 롤러
20 : 레일
30 : 권양 장치
32 : 모터
34 : 동력전달기구
50 : 권양 축
52 : 권양 드럼
60 : 서포트 브래킷
62 : 플랜지
70 : 베어링
80 : 미끄럼 결합식 요크
82 :통체
84 : 막음판
88 : 외향 스토퍼

Claims (3)

  1. 권양 장치(30)에 의해 회전하는 권양 드럼(52)이 장착되는 권양 축(50)을 출입구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권양 축 지지장치로서,
    설치공(61)이 형성되어 있는 서포트 브래킷(60);
    상기 서포트 브래킷(60)의 설치공(61) 안에 축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미끄럼 삽입되는 외경을 가지는 한편 베어링(70)의 외주가 축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미끄럼 삽입되는 내경을 가지는 통체(82)와, 상기 통체(82)의 한쪽 단부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베어링(70)의 외륜(74)의 측면을 막는 막음판(84)과, 상기 통체(82)의 반대쪽 단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서포트 브래킷(60)의 측면에 걸리며 반경방향 내측으로는 상기 베어링(70)을 상기 통체(82) 안에 축방향으로 착탈 가능하게 미끄럼 삽입할 수 있는 개구를 제공하는 외향 스토퍼(88)를 구비한 미끄럼 결합식 요크(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양 축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공(61)은, 서포트 브래킷(60)에 축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한 플랜지(62)의 내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양 축 지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향 스토퍼(88)는, 하나의 판재를 드로잉 프레스 가공하여 상기 통체(82)의 축방향 양쪽 단부에 상기 막음판(84)과 외향 스토퍼(88)가 일체로 절곡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양 축 지지장치.
KR2020140004362U 2014-06-10 2014-06-10 도어 자동 개폐 장치의 권양 축 지지장치 KR2004809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362U KR200480950Y1 (ko) 2014-06-10 2014-06-10 도어 자동 개폐 장치의 권양 축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362U KR200480950Y1 (ko) 2014-06-10 2014-06-10 도어 자동 개폐 장치의 권양 축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516U true KR20150004516U (ko) 2015-12-18
KR200480950Y1 KR200480950Y1 (ko) 2016-08-10

Family

ID=55170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362U KR200480950Y1 (ko) 2014-06-10 2014-06-10 도어 자동 개폐 장치의 권양 축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9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61693A (zh) * 2019-10-18 2020-02-07 山东安舜消防设备有限公司 无机纤维布基防火帘面的生产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7650A (ja) * 1998-06-12 2002-06-18 オーバーヘッド ドア コーポレイション 上向きに開くドア用釣合せ装置
KR20040012149A (ko) 2002-08-01 2004-02-11 이경규 오버헤드 셔터의 개폐장치
KR20110085950A (ko) 2011-05-24 2011-07-27 주식회사 하림기공 방폭기능을 갖는 도어 개폐장치
KR20110090846A (ko) * 2011-05-24 2011-08-10 주식회사 하림기공 윈드락 겸 롤러 장착형 다기능 내풍압 도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17650A (ja) * 1998-06-12 2002-06-18 オーバーヘッド ドア コーポレイション 上向きに開くドア用釣合せ装置
KR20040012149A (ko) 2002-08-01 2004-02-11 이경규 오버헤드 셔터의 개폐장치
KR20110085950A (ko) 2011-05-24 2011-07-27 주식회사 하림기공 방폭기능을 갖는 도어 개폐장치
KR20110090846A (ko) * 2011-05-24 2011-08-10 주식회사 하림기공 윈드락 겸 롤러 장착형 다기능 내풍압 도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61693A (zh) * 2019-10-18 2020-02-07 山东安舜消防设备有限公司 无机纤维布基防火帘面的生产工艺
CN110761693B (zh) * 2019-10-18 2020-07-24 山东安舜消防设备有限公司 无机纤维布基防火帘面的生产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950Y1 (ko) 201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150B1 (ko) 롤러 조립체, 롤러 유닛 및 컨베이어 장치
KR101316967B1 (ko) 로프 호이스트
US8944138B2 (en) System for coupling a roller shade and shade motor
CN112437826B (zh) 遮蔽装置
KR200480950Y1 (ko) 도어 자동 개폐 장치의 권양 축 지지장치
EP3044142A1 (en) Improved support for the end pins of shafts
KR19980087023A (ko) 수동 체인 블록
KR101416074B1 (ko) 소조립 모듈별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갖는 창문 개폐 장치
AU2006270591B2 (en) Door opener
KR200492638Y1 (ko) 광 케이블 권취장치
WO2006032370A3 (de) Entmistungseinrichtung mit einer motorisch angetrieben seiltrommel sowie seiltrommelanordnung und antriebsvorrichtung hierfür
KR101448215B1 (ko) 현수막 및 중량물 승강장치
JP6002900B2 (ja) 排水ポンプの減速機脱着構造
KR20110098202A (ko) 모듈화 체인 호이스트
KR101640661B1 (ko) 보온덮개 개폐장치용 구동축 지지베어링 및 그 제조 방법
EP1591617B1 (en) Spring-holder device for roller shutters and gates
EP1945900B1 (en) Spring-holder device for roller shutters and gates
CN219471981U (zh) 一种快速堆积门
WO2015077054A1 (en) Dual-drive for rigid panel door
CN215169635U (zh) 一种卷闸门控制装置
KR200476143Y1 (ko) 커튼 구동 조립체
CN111573158A (zh) 一种基于传输带物流传输装置
JP2555187Y2 (ja) ローラチェーン
JP2003269058A (ja) シャッター用巻取シャフト
CN212201853U (zh) 能室外手动开启的卷帘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