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949A - 사용자 상황 기반 통화 연결음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상황 기반 통화 연결음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949A
KR20150003949A KR20130076373A KR20130076373A KR20150003949A KR 20150003949 A KR20150003949 A KR 20150003949A KR 20130076373 A KR20130076373 A KR 20130076373A KR 20130076373 A KR20130076373 A KR 20130076373A KR 20150003949 A KR20150003949 A KR 20150003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dvertisement
calling terminal
coup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6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0493B1 (ko
Inventor
고강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6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493B1/ko
Publication of KR20150003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상황 기반 통화 연결음 광고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광고 제공장치는, 발신단말의 통화요청에 따른 광고정보 및 쿠폰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그에 따른 광고정보와 전자쿠폰을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발신단말 및 수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 수집부; 시간과 장소에 따라 분류된 광고정보와 상기 광고정보에 대응되는 전자쿠폰이 저장된 광고 DB;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광고정보 및 쿠폰정보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위치정보 수집부를 통해 발신단말 및 수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현재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광고 DB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현재시간에 대응되는 광고정보와 전자쿠폰을 검색하고 검색된 광고정보 및 전자쿠폰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발신자 단말과 수신자 단말의 위치정보 및 현재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발신자와 수신자 간 상황을 예측하고, 예측된 상황에 부합되는 광고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상황 기반 통화 연결음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ING BACK TONE SERVICE WITH ADVERTISEMENT BASED ON UER'S SITUATION}
본 발명은 사용자 상황 기반 통화 연결음 광고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신자 단말과 수신자 단말의 위치정보 및 현재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발신자와 수신자 간 상황을 예측하고, 예측된 상황에 부합되는 광고정보를 통화 연결음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광고정보에 대응되는 쿠폰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발신자 단말로부터 쿠폰정보 수신여부를 선택받아 발신자 단말에 쿠폰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상황 기반 통화 연결음 광고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은 발신 단말기에 의하여 원하는 상대방의 착신 단말기와 즉시 접속하여 통신하도록 하는 것으로, 발신단말기가 착신단말기를 지정하여 호 접속을 요청하면, 교환국은 스위칭에 의하여 통신경로를 설정하고 착신단말기에 착신링 신호를 전송하며, 발신단말기에는 링백톤 신호를 전송한다.
발신단말기에 제공되는 링백톤 신호는 일정하게 고정된 패턴으로 발생되므로, 오랜 반복 사용에 의하여 지루하거나 단순하고 딱딱한 느낌을 주게 된다. 이에, 고정적인 발신음 대신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이 송출되도록 설정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이 송출되는 서비스의 경우 사용자가 직접 서비스 요금을 지불하고 설정해야 하는 부가 서비스로서 각 사용자들이 선택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또한, 발신음 대신 발신단말기에 광고 등의 상업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또한 개발된바 있다. 그러나, 발신단말기에 제공되는 상업정보는 발신자 개인의 필요나 특성과는 별개로 모든 사용자에게 일괄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서, 광고 효과가 떨어질 뿐 아니라 스팸정보로 인식되어 사용자에게 광고에 대한 거부감을 유발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20210호 :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발신자 단말과 수신자 단말의 위치정보 및 현재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발신자와 수신자 간 상황을 예측하고, 예측된 상황에 부합되는 광고정보를 통화 연결음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광고정보에 대응되는 쿠폰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발신자 단말로부터 쿠폰정보 수신여부를 선택받아 발신자 단말에 쿠폰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상황 기반 통화 연결음 광고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발신단말의 통화요청에 따른 광고정보 및 쿠폰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그에 따른 광고정보와 쿠폰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발신단말 및 수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 수집부; 시간과 장소에 따라 분류된 광고정보가 저장된 광고 DB; 상기 광고정보에 대응되는 전자쿠폰이 저장된 쿠폰 DB;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광고정보 및 쿠폰정보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위치정보 수집부를 통해 발신단말 및 수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현재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광고 DB로부터 상기 현재시간에 대응되는 광고정보와 전자쿠폰을 검색하여 검색된 광고정보 및 전자쿠폰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광고 제공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광고정보 DB에는, 상기 광고정보가 기 설정된 시간에 따라 점심 식사 시간, 저녁 식사 시간, 낮 활동 시간, 밤 활동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시간을 기준으로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신단말이 통화 대기중일 경우 통화연결음을 통해 상기 광고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발신단말이 통화중일 경우 메시지의 형태로 상기 광고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발신단말 및 수신단말의 위치정보와 현재시간에 기초하여 기 저장된 광고정보 및 상기 광고정보에 대응되는 전자쿠폰을 제공하는 광고 제공장치; 및 상기 발신단말로부터 통화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광고 제공장치로부터 상기 발신단말 및 상기 수신단말의 위치정보 및 현재시간에 대응되는 광고정보와 전자쿠폰을 제공받아 상기 발신단말의 통화 대기 시 상기 광고정보를 통화 연결음으로 제공하고 상기 발신단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전자쿠폰을 상기 발신단말에 송신하는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상황 기반 통화 연결음 광고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는, 상기 발신단말과 상기 수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광고 제공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는, 상기 수신단말에서 상기 통화요청을 수신하여 통화가 연결된 경우, 상기 광고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발신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는, 상기 발신단말에 통화연결음 제공 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전자쿠폰의 정보를 상기 발신단말에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발신단말에 제공할 전자쿠폰을 선택 받을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시간과 장소에 따라 분류된 광고정보가 저장된 광고 DB와 상기 광고정보에 대응되는 전자쿠폰이 저장된 쿠폰 DB가 구축되는 단계; (B) 통신부를 통해 발신단말의 광고정보 및 쿠폰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C) 위치정보 수집부에서 상기 발신단말 및 수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D) 제어부가 상기 발신단말 및 상기 수신단말의 위치정보와 현재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광고 DB와 쿠폰DB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현재시간에 대응되는 광고정보 및 전자쿠폰을 검색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어부가 검색된 광고정보 및 전자쿠폰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고 제공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A) 단계는, 기 설정된 시간에 따라 점심 식사 시간, 저녁 식사 시간, 낮 활동 시간, 밤 활동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시간을 기준으로 분류된 광고정보가 상기 광고 DB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E) 단계는, 상기 발신단말의 통화 대기중에 제공되는 광고정보와 상기 발신단말이 통화중일 경우 제공되는 광고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시간과 장소에 따라 분류된 광고정보가 저장된 광고 DB와 상기 광고정보에 대응되는 전자쿠폰이 저장된 쿠폰 DB가 구축되는 단계; 통신부를 통해 발신단말의 광고정보 및 쿠폰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위치정보 수집부에서 상기 발신단말 및 수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발신단말 및 상기 수신단말의 위치정보와 현재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광고 DB와 쿠폰DB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현재시간에 대응되는 광고정보 및 전자쿠폰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검색된 광고정보 및 전자쿠폰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고 제공장치의 제어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되고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가 발신단말로부터 통화요청을 수신한 경우 해당 수신단말에 상기 통화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B) 상기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가 광고 제공장치에 광고정보 및 쿠폰정보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C) 상기 광고 제공장치가 상기 발신단말 및 상기 수신단말의 위치정보와 현재시간을 확인하여 기 저장된 정보 중 상기 현재시간 및 현재시간에 대응되는 광고정보 및 쿠폰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및 (D) 상기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가 상기 발신단말의 통화 대기시간 동안 상기 광고정보 및 쿠폰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상황 기반 통화 연결음 광고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용자 상황 기반 통화 연결음 광고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발신자 단말과 수신자 단말의 위치정보 및 현재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발신자와 수신자 간 상황을 예측하고, 예측된 상황에 부합되는 광고정보를 통화 연결음으로 제공함으로써 통화 연결음을 통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용자 상황 기반 통화 연결음 광고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발신자 단말과 수신자 단말의 위치정보 및 현재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예측된 상황에 부합되는 광고정보를 통화 연결음으로 제공함으로써 광고를 접하는 사용자의 거부감을 최소화하여 광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용자 상황 기반 통화 연결음 광고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광고정보를 통화 연결음으로 제공하는 한편 광고정보에 대응되는 쿠폰정보를 발신자 단말에 바로 제공함으로써 광고대상 매장에 대한 사용자의 방문 혹은 거래 성사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상황 기반 통화 연결음 광고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장치의 제어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상황 기반 통화 연결음 광고제공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장치의 제어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상황 기반 통화 연결음 광고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상황 기반 통화 연결음 광고제공 시스템은 서로 통화를 수행하는 발신단말(100a) 및 수신단말(100b)과,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300)와, 발신단말(100a) 및 수신단말(100b)의 위치정보와 통화시간에 기초하여 사용자 상황을 예측하고, 예측된 상황에 부합되는 광고정보와 쿠폰정보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장치(200)를 포함한다.
발신단말(100a) 및 수신단말(100b)은 유무선 네트워크 및 인터넷 전화 통신에 사용되는 음성 및 영상 통화가 가능한 모든 단말기를 포함한다. 각 단말기들은 각각의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서로 유선, 무선 또는 인터넷으로 연결되며 각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하게 된다.
여기서, 각 단말은 음성 통화나 메시지의 송수신뿐만 아니라 영상 통화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 단말은 전화번호 혹은, IP 등의 접속 가능한 주소를 가지며 발신단말(100a)이 수신단말(100b)에 통화를 요청하는 경우 수신단말(100b)에서 통화 요청을 착신하기 전까지의 대기 시간 동안 광고정보가 제공될 수 있고 발신단말(100a)의 선택에 따라서는 광고정보에 대응되는 쿠폰정보도 제공받을 수 있다.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300)는 발신단말(100a)과 수신단말(100b) 간 통화를 중계한다.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300)는 발신단말(100a)이 수신단말(100b) 측의 전화번호 혹은, IP 등의 접속 가능한 주소를 송신하여 통화를 요청하면 해당 수신단말(100b)을 확인하여 발신단말(100a)의 통화 요청을 전달한다.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300)는 유선, 무선 또는 인터넷을 통해 발신단말(100a)과 수신단말(100b)이 음성 통화나 영상 통화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양자 간 접속을 제어한다.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300)는 발신단말(100a)의 통화 요청 시, 광고 제공장치(200) 측에 광고정보와 쿠폰정보를 요청하여 발신단말(100a)에게 제공할 광고정보와 광고정보에 대응되는 쿠폰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광고정보 및 쿠폰정보 요청 시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300)는 발신단말(100a)과 수신단말(100b)이 속해 있는 기지국의 정보에 기초하여 각 단말의 위치정보를 광고 제공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으며, 혹은, LBS, GPS 등의 위치정보 제공장치로부터 각 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300)는 수신단말(100b) 측에서 통화 요청을 착신하기 전까지의 대기 시간 동안 발신단말(100a) 측에 오디오, 동영상, 정지영상 등의 형태의 광고정보를 제공하고, 광고정보에 대응되는 쿠폰정보를 발신단말(100a) 측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300)는 단말의 사용자들로부터 광고정보를 제공받을 시간, 장소, 쿠폰 수신 여부 등을 미리 설정 받아 저장한 후, 사용자 설정에 따라 광고정보 및 쿠폰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광고 제공장치(200)에는 시간과 장소에 따라 분류된 광고정보와 쿠폰정보가 저장된다. 예컨대, 시간에 따른 분류는 점심 식사 시간, 저녁 식사 시간, 낮 활동 시간, 밤 활동 시간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각 시간에 따른 광고정보는 식사 시간일 경우 식당에 대한 광고정보, 낮 활동 시간일 경우 영화관, 쇼핑몰 등의 여가를 위한 광고정보, 밤 활동 시간일 경우 회식, 술자리, 등의 유흥을 위한 광고정보와 쿠폰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광고 제공장치(200)는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300)로부터 광고정보 및 쿠폰정보 요청이 수신된 경우, 발신단말(100a)과 수신단말(100b)의 위치정보와 현재시간 정보를 확인한다. 광고 제공장치(200)는 발신단말(100a)과 수신단말(100b) 간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시간과 장소에 따라 분류된 광고정보 중 대응되는 광고정보와 전자쿠폰을 검색하고 검색된 광고정보 및 쿠폰정보를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300) 측에 제공한다.
예컨대, 점심 시간에 통화를 시도한 경우 광고 제공장치(200)는 발신단말(100a) 측에 점심식사에 적당한 식당에 대한 광고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식당에서 이용 가능한 쿠폰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쿠폰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발신단말(100a)과 수신단말(100b)의 위치가 기준 거리 이내로 인접한 경우 발신단말(100a)과 수신단말(100b)이 포함된 영역 내에 속하는 식당 광고 및 쿠폰정보를 제공하고, 발신단말(100a)과 수신단말(100b)의 위치가 기준 거리보다 원거리에 위치한 경우, 발신단말(100a)의 위치를 기준으로 추출된 식당 광고 및 쿠폰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광고 제공장치(200)는 발신단말(100a)과 수신단말(100b)의 위치정보를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300)로부터 제공받거나, 혹은, LBS, GPS 등의 위치정보 제공장치로부터 각 단말의 위치정보를 직접 수집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장치(200)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 제공장치(200)는 발신단말(100a)의 통화요청에 따른 광고정보 및 쿠폰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그에 따른 광고정보 및 쿠폰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210), 발신단말(100a) 및 수신단말(100b)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 수집부(220), 시간과 장소에 따라 분류된 광고정보가 저장된 광고 DB(250), 쿠폰정보가 저장된 쿠폰 DB(260), 통신부(210)를 통해 광고정보 및 쿠폰정보 요청이 수신된 경우 위치정보 수집부(220)를 통해 발신단말(100a) 및 수신단말(100b)의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현재시간을 확인하여 광고 DB(250)에 저장된 광고정보 중 위치정보와 현재시간에 대응되는 광고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광고정보에 대응되는 쿠폰정보를 쿠폰 DB(260)에서 검색하여 광고정보와 쿠폰정보를 통신부(210)를 통해 송신하는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사용자정보 DB(240)에는 광고 제공 서비스에 가입한 사용자의 정보가 저장된다. 사용자정보는 가입자 단말의 전화번호, IP 등의 접속주소, 가입자 단말의 성능, 모델명 등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광고 DB(250)에는 시간과 장소에 따라 분류된 광고정보와 광고정보에 대응되는 쿠폰정보가 저장된다. 예컨대, 시간에 따른 분류는 점심 식사 시간, 저녁 식사 시간, 낮 활동 시간, 밤 활동 시간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각 시간에 따른 광고정보는 식사 시간일 경우 식당에 대한 광고정보, 낮 활동 시간일 경우 영화관, 쇼핑몰 등의 여가를 위한 광고정보, 밤 활동 시간일 경우 회식, 술자리, 등의 유흥을 위한 광고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쿠폰 DB(260)에는 이러한 광고정보에는 해당 매장에서 이용 가능한 쿠폰정보가 저장된다.통신부(210)는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300)로부터 수신된 광고정보 및 쿠폰정보 요청을 제어부(230)로 전달하고, 제어부(230)의 제어에 따라 광고정보와 쿠폰정보를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300) 측에 제공한다.
위치정보 수집부(220)는 발신단말(100a) 및 수신단말(100b)의 위치정보를 수집한다. 위치정보 수집부(220)는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300)로부터 발신단말(100a)과 수신단말(100b)의 위치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LBS, GPS 등의 위치정보 제공장치로부터 각 단말의 위치정보를 직접 수집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230)는 통신부(210)를 통해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300)로부터 광고정보 및 쿠폰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위치정보 수집부(220)를 통해 발신단말(100a) 및 수신단말(100b)의 위치정보를 수집한다. 제어부(230)는 발신단말(100a)과 수신단말(100b) 간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광고 DB(250)에 저장된 시간과 장소에 따라 분류된 광고정보 중 대응되는 광고정보와 쿠폰정보를 검색한다.
제어부(230)는 검색된 광고정보와 쿠폰정보를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300) 측에 제공한다. 예컨대, 점심 시간에 통화를 시도한 경우 광고 제공장치(200)는 발신단말(100a) 측에 점심식사에 적당한 식당에 대한 광고정보와 해당 식당에서 사용 가능한 쿠폰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발신단말(100a)과 수신단말(100b)의 위치가 기준 거리 이내로 인접한 경우 발신단말(100a)과 수신단말(100b)이 포함된 영역 내에 속하는 식당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발신단말(100a)과 수신단말(100b)의 위치가 기준 거리보다 원거리에 위치한 경우, 발신단말(100a)의 위치를 기준으로 추출된 식당 광고 및 쿠폰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상황 기반 통화 연결음 광고제공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상황 기반 통화 연결음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제공장치(200)에는 시간과 장소에 따라 분류된 광고정보와 쿠폰정보가 저장된다. 이러한 광고 제공장치(200)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제어 흐름은 다음과 같다.
발신단말(100a)은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300) 측에 수신단말(100b)과의 접속을 요청한다(S110). 발신단말(100a)은 수신단말(100b) 측의 전화번호 혹은, IP 등의 접속 가능한 주소를 송신하여 통화를 요청할 수 있다.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300)는 발신단말(100a)의 통화요청에 따라, 광고 제공장치(200) 측에 광고정보와 쿠폰정보를 요청하는 한편(S120), 해당 수신단말(100b)을 확인하여 발신단말(100a)의 통화 요청을 전달한다(S130).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300)로부터 광고정보와 쿠폰정보를 요청받은 광고 제공장치(200)는 발신단말(100a) 및 수신단말(100b)의 위치정보와 현재시간을 확인하여 광고 DB(250)에 저장된 시간과 장소에 따라 분류된 광고정보 중 대응되는 광고정보와 해당 광고정보에 대응되는 쿠폰정보를 검색한다(S140). 여기서, 각 시간에 따른 광고정보는 식사 시간일 경우 식당에 대한 광고정보, 낮 활동 시간일 경우 영화관, 쇼핑몰 등의 여가를 위한 광고정보, 밤 활동 시간일 경우 회식, 술자리, 등의 유흥을 위한 광고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광고 제공장치(200)는 검색된 광고정보와 광고정보에 대응되는 쿠폰정보를 통신서비스 제공장치(300)에 제공한다(S150).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300)는 발신단말(100a)의 통화대기 시간 동안에 광고 제공장치(200)로부터 제공받은 광고정보를 통화 연결음으로 제공하고, 다운로드 가능한 쿠폰정보를 발신단말(100a)의 화면에 제공한다(S160). 여기서, 발신단말(100a)에 제공되는 광고정보는 오디오, 동영상, 정지영상 등의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 가능한 쿠폰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쿠폰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발신단말(100a)의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발신단말(100a)에서 쿠폰정보 수신이 선택되면(S170),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300)는 발신단말(100a)에서 쿠폰정보를 메시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S180).
한편, 수신단말(100b)이 발신단말(100a)의 통화요청을 수신한 경우(S190),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300)는 광고정보의 제공을 중단하고 발신단말(100a)과 수신단말(100b) 간 통신을 중계한다(S200). 발신단말(100a)과 수신단말(100b) 간에 통화가 시작된 경우 광고정보는 SMS, MMS 등의 메시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장치(200)의 제어 흐름도이다.
광고 제공장치(200)의 제어부(230)는 통신부(210)를 통해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300)로부터 광고정보 및 쿠폰정보 요청이 수신되면(S210), 위치정보 수집부(220)를 통해 발신단말(100a) 및 수신단말(100b)의 위치정보와 시간정보를 수집한다(S220). 위치정보 수집부(220)는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300)로부터 발신단말(100a)과 수신단말(100b)의 위치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혹은, LBS, GPS 등 외부의 위치정보 제공장치로부터 각 단말의 위치정보를 제공받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230)는 발신단말(100a)과 수신단말(100b) 간의 위치정보를 확인하여 광고 DB(250)에 저장된 시간과 장소에 따라 분류된 광고정보 중 대응되는 광고정보와 쿠폰 DB(260)에 저장된 쿠폰정보를 검색한다(S240). 예컨대, 점심 시간에 통화를 시도한 경우 광고 제공장치(200)는 발신단말(100a) 측에 점심식사에 적당한 식당에 대한 광고정보와 해당 식당에서 사용 가능한 쿠폰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발신단말(100a)과 수신단말(100b)의 위치가 기준 거리 이내로 인접한 경우 발신단말(100a)과 수신단말(100b)이 포함된 영역 내에 속하는 식당 광고와 쿠폰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발신단말(100a)과 수신단말(100b)의 위치가 기준 거리보다 원거리에 위치한 경우 발신단말(100a)의 위치를 기준으로 추출된 식당 광고와 쿠폰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검색된 광고정보와 쿠폰정보를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300) 측에 제공한다(S240). 광고정보는 오디오, 동영상, 정지영상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300)는 발신단말(100a)의 통화대기 시간 동안에 광고정보와 쿠폰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발신단말(100a)과 수신단말(100b) 간에 통화가 시작된 경우 광고정보를 SMS, MMS 등의 메시지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발신자 단말과 수신자 단말의 위치정보 및 현재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발신자와 수신자 간 상황을 예측하고, 예측된 상황에 부합되는 광고정보를 통화 연결음으로 제공함으로써 통화 연결음을 통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발신자 단말과 수신자 단말의 위치정보 및 현재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예측된 상황에 부합되는 광고정보를 통화 연결음으로 제공함으로써 광고를 접하는 사용자의 거부감을 최소화하고 방문 가능성이 높은 사용자에게 광고를 제공하여 광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통화 연결음으로 제공된 광고정보에 대응되는 쿠폰정보를 발신자 단말에 바로 제공함으로써 광고대상 매장에 대한 사용자의 방문 혹은 거래 성사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시간과 장소에 따라 분류된 광고정보가 저장된 광고 DB와 상기 광고정보에 대응되는 전자쿠폰이 저장된 쿠폰 DB가 구축되는 단계; 통신부를 통해 발신단말의 광고정보 및 쿠폰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위치정보 수집부에서 상기 발신단말 및 수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발신단말 및 상기 수신단말의 위치정보와 현재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광고 DB와 쿠폰DB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현재시간에 대응되는 광고정보 및 전자쿠폰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검색된 광고정보 및 전자쿠폰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고 제공장치의 제어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되고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광고 제공장치의 제어방법은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광고 제공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은 전자장치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전자장치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상황 기반 통화 연결음 광고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신자 단말과 수신자 단말의 위치정보 및 현재 시간정보에 기초하여 발신자와 수신자 간 상황을 예측하고, 예측된 상황에 부합되는 광고정보를 통화 연결음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광고정보에 대응되는 쿠폰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발신자 단말로부터 쿠폰정보 수신여부를 선택받아 발신자 단말에 쿠폰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상황 기반 통화 연결음 광고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100a : 발신단말 100b : 수신단말
200 : 광고 제공장치 210 : 통신부
220 : 위치정보 수집부 230 : 제어부
240 : 사용자정보 DB 250 : 광고 DB
260 : 쿠폰 DB 300 :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

Claims (12)

  1. 발신단말의 통화요청에 따른 광고정보 및 쿠폰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그에 따른 광고정보와 쿠폰정보를 송신하는 통신부;
    상기 발신단말 및 수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 수집부;
    시간과 장소에 따라 분류된 광고정보가 저장된 광고 DB;
    상기 광고정보에 대응되는 전자쿠폰이 저장된 쿠폰 DB;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광고정보 및 쿠폰정보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위치정보 수집부를 통해 발신단말 및 수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고 현재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광고 DB로부터 상기 현재시간에 대응되는 광고정보와 전자쿠폰을 검색하여 검색된 광고정보 및 전자쿠폰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광고 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정보 DB에는,
    상기 광고정보가 기 설정된 시간에 따라 점심 식사 시간, 저녁 식사 시간, 낮 활동 시간, 밤 활동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시간을 기준으로 분류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신단말이 통화 대기중일 경우 통화연결음을 통해 상기 광고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발신단말이 통화중일 경우 메시지의 형태로 상기 광고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장치.
  4. 발신단말 및 수신단말의 위치정보와 현재시간에 기초하여 기 저장된 광고정보 및 상기 광고정보에 대응되는 전자쿠폰을 제공하는 광고 제공장치; 및
    상기 발신단말로부터 통화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광고 제공장치로부터 상기 발신단말 및 상기 수신단말의 위치정보 및 현재시간에 대응되는 광고정보와 전자쿠폰을 제공받아 상기 발신단말의 통화 대기 시 상기 광고정보를 통화 연결음으로 제공하고 상기 발신단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전자쿠폰을 상기 발신단말에 송신하는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
    를 포함하는 사용자 상황 기반 통화 연결음 광고제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는,
    상기 발신단말과 상기 수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광고 제공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상황 기반 통화 연결음 광고제공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는,
    상기 수신단말에서 상기 통화요청을 수신하여 통화가 연결된 경우, 상기 광고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발신단말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상황 기반 통화 연결음 광고제공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는,
    상기 발신단말에 통화연결음 제공 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전자쿠폰의 정보를 상기 발신단말에 디스플레이하여 상기 발신단말에 제공할 전자쿠폰을 선택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상황 기반 통화 연결음 광고제공 시스템.
  8. (A) 시간과 장소에 따라 분류된 광고정보가 저장된 광고 DB와 상기 광고정보에 대응되는 전자쿠폰이 저장된 쿠폰 DB가 구축되는 단계;
    (B) 통신부를 통해 발신단말의 광고정보 및 쿠폰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C) 위치정보 수집부에서 상기 발신단말 및 수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D) 제어부가 상기 발신단말 및 상기 수신단말의 위치정보와 현재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광고 DB와 쿠폰DB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현재시간에 대응되는 광고정보 및 전자쿠폰을 검색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어부가 검색된 광고정보 및 전자쿠폰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고 제공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기 설정된 시간에 따라 점심 식사 시간, 저녁 식사 시간, 낮 활동 시간, 밤 활동 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시간을 기준으로 분류된 광고정보가 상기 광고 DB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장치의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발신단말의 통화 대기중에 제공되는 광고정보와 상기 발신단말이 통화중일 경우 제공되는 광고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장치의 제어방법.
  11. 시간과 장소에 따라 분류된 광고정보가 저장된 광고 DB와 상기 광고정보에 대응되는 전자쿠폰이 저장된 쿠폰 DB가 구축되는 단계; 통신부를 통해 발신단말의 광고정보 및 쿠폰정보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위치정보 수집부에서 상기 발신단말 및 수신단말의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발신단말 및 상기 수신단말의 위치정보와 현재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광고 DB와 쿠폰DB로부터 상기 위치정보와 상기 현재시간에 대응되는 광고정보 및 전자쿠폰을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검색된 광고정보 및 전자쿠폰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고 제공장치의 제어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되고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2. (A)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가 발신단말로부터 통화요청을 수신한 경우 해당 수신단말에 상기 통화요청을 전달하는 단계;
    (B) 상기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가 광고 제공장치에 광고정보 및 쿠폰정보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C) 상기 광고 제공장치가 상기 발신단말 및 상기 수신단말의 위치정보와 현재시간을 확인하여 기 저장된 정보 중 상기 현재시간 및 현재시간에 대응되는 광고정보 및 전자쿠폰을 검색하여 상기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및
    (D) 상기 통신 서비스 제공장치가 상기 발신단말의 통화 대기시간 동안 상기 광고정보 및 전자쿠폰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상황 기반 통화 연결음 광고제공 방법.
KR1020130076373A 2013-07-01 2013-07-01 사용자 상황 기반 통화 연결음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220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373A KR102220493B1 (ko) 2013-07-01 2013-07-01 사용자 상황 기반 통화 연결음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373A KR102220493B1 (ko) 2013-07-01 2013-07-01 사용자 상황 기반 통화 연결음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949A true KR20150003949A (ko) 2015-01-12
KR102220493B1 KR102220493B1 (ko) 2021-02-25

Family

ID=52476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6373A KR102220493B1 (ko) 2013-07-01 2013-07-01 사용자 상황 기반 통화 연결음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4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530A (ko) * 2019-03-13 2020-09-23 장종민 대리운전 서비스 제공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2331A (ja) * 1999-01-28 2000-08-11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インタ―ネットにより時刻および位置固有の広告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およびコンピュ―タ・プログラム製品
KR20040110214A (ko) * 2003-06-18 2004-12-31 주식회사 웰게이트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5025461A (ja) * 2003-07-01 2005-01-27 Nissan Motor Co Ltd 広告情報配信システム
KR20090120210A (ko) 2008-05-19 2009-11-24 주식회사 케이티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2331A (ja) * 1999-01-28 2000-08-11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インタ―ネットにより時刻および位置固有の広告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およびコンピュ―タ・プログラム製品
KR20040110214A (ko) * 2003-06-18 2004-12-31 주식회사 웰게이트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5025461A (ja) * 2003-07-01 2005-01-27 Nissan Motor Co Ltd 広告情報配信システム
KR20090120210A (ko) 2008-05-19 2009-11-24 주식회사 케이티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530A (ko) * 2019-03-13 2020-09-23 장종민 대리운전 서비스 제공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0493B1 (ko) 202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6430B1 (ko) 모바일 무선 존재 및 상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EP1920622B1 (en) Personalised heterogeneous network handover alert scheme
KR101735127B1 (ko) 모바일 장치 상에서 “네트워크-내 발신자” 정보의 개선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KR10089443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대기 시간을 이용한 가입자 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CN101461222A (zh) 电话装置以及进行和接收带有紧急标签的呼叫的方法
US20170048675A1 (en) Transmission of Location and Directiona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CN101459885B (zh) 一种用户状态自动播放的方法、系统及装置
KR20070045989A (ko) 멀티 단말기 및 그의 발착신 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다중 번호 지원 시스템
KR20150003949A (ko) 사용자 상황 기반 통화 연결음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879672B1 (ko) 착신알림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서버
JPWO2008053836A1 (ja) 通信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装置、通信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30073627A (ko) 휴대전화 불완료호에 대한 발신자 정보 제공 방법
JP2012129869A (ja) 自立型電話番号調査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116009B1 (ko) 위치정보를 호신호로 접속하는 통신방법
KR100802118B1 (ko) 위치 정보 검색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0710637B1 (ko) 전화번호 갱신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N102761837A (zh) 一种确定及播放网络提示音的方法及系统
WO2005088990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voice ring back tone
KR100866755B1 (ko) 다중번호 서비스에서 착신 불가 호의 발신 정보 제공 방법및 시스템
JP4768046B2 (ja) 留守番電話システム、及び、メッセージ登録方法
KR20070090315A (ko) 전화번호 갱신 알림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1083532B1 (ko) 통화 연결음 업데이트 방법 및 시스템
KR100909825B1 (ko) 발신 가입자가 설정한 수신 단말기 위치기반 통화연결음 제공 시스템
KR100909831B1 (ko) 수신 가입자가 설정한 발신 단말기 위치기반 통화연결음제공 시스템
KR100909826B1 (ko) 위치기반 통화연결음 제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