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0210A -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0210A
KR20090120210A KR1020080046135A KR20080046135A KR20090120210A KR 20090120210 A KR20090120210 A KR 20090120210A KR 1020080046135 A KR1020080046135 A KR 1020080046135A KR 20080046135 A KR20080046135 A KR 20080046135A KR 20090120210 A KR20090120210 A KR 20090120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terminal
information
servic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3969B1 (ko
Inventor
서현득
최정윤
이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080046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3969B1/ko
Publication of KR20090120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3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396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광고 서비스에 가입한 착신 단말기로 발신 단말기가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 발신 단말기에게 통화 연결음 대신 텍스트, 음성, 음악 또는 영상과 같은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고, 발신 단말기로 해당 광고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제공하는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는 통화 연결 요청 대상인 착신 단말기가 광고 제공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기가 가입한 광고 제공 서비스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츠를 추출하는 광고 컨텐츠 추출부 및 상기 착신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발신 단말기로 상기 추출된 광고 컨텐츠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광고 서비스, 광고 컨텐츠, 광고 정보

Description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service}
본 발명은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고 서비스에 가입한 착신 단말기로 발신 단말기가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 발신 단말기에게 통화 연결음 대신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고, 차후에 발신 단말기로 해당 광고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제공하는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능망(Intelligent Network)란 이동 통신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MSC)의 소프트웨어 변경 없이 새로운 서비스를 이동 통신망에 적용할 수 있는 망 환경을 의미한다. 즉, 이전의 유선 및 무선 통신 교환망의 대다수 부가 서비스들이 이동 통신 교환기에 탑재되어 있어서, 새로운 서비스를 추가하기 위해서는 이동 통신 교환기의 소프트웨어를 변경해야만 했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신규 서비스를 추가할 때마다 서비스 운용 중인 이동 통신 교환기를 수정하게 됨으로써 서비스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고, 통신 사업자의 이동 통신 교환기마다 서로 연동할 수 있는 규격이 다를 경우 서비스 개발업체는 다 양한 이동 통신 교환기별로 서로 다른 연동 규격으로 서비스를 개발하여야 하는 문제점과 이동 통신 교환기 제조업체에서 연동 규격을 서비스 개발업체에 알려주지 않으면 신규 서비스 개발이 어렵다는 문제점 등이 발생하였는데,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장한 것이 바로 지능망이다.
현재, 발신 단말기가 착신 단말기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 발신 단말기로는 통화 연결음이 제공되는데, 통화 연결음은 단순히 착신 단말기와의 연결을 시도 중에 있음을 알리는 신호로서, 이는 발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무의미한 정보로 간주된다. 즉, 발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통화 연결음이 제공되는 동안 지루한 시간을 보내야 하는 것인데, 통화 연결음 대신에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가 느끼는 지루함은 상당히 경감될 수 있다.
따라서, 발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정보에 의미를 부여하여 보다 원만한 통화 연결 시도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광고 서비스에 가입한 착신 단말기로 발신 단말기가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 발신 단말기에게 통화 연결음 대신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신 단말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차후에 발신 단말기로 해당 광고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는 통화 연결 요청 대상인 착신 단말기가 광고 제공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기가 가입한 광고 제공 서비스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츠를 추출하는 광고 컨텐츠 추출부 및 상기 착신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발신 단말기로 상기 추출된 광고 컨텐츠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은 통화 연결 요청 대상인 착신 단말기가 광고 제공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기가 가입한 광고 제공 서비스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츠 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발신 단말기로 상기 추출된 광고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광고 서비스에 가입한 착신 단말기로 발신 단말기가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 발신 단말기에게 통화 연결음 대신 광고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무의미한 신호가 전달되는 시간에 발신 단말기 사용자가 유익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발신 단말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차후에 발신 단말기로 해당 광고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발신 단말기 사용자가 간편하게 광고 내용을 검색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서 광고 서비스에 가입한 주체는 통화 연결 대상인 착신 단말기로 서, 착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에 대한 광고 서비스에 가입하게 되면 착신 단말기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발신 단말기(100)는 통화 연결음 대신 광고 컨텐츠를 제공받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광고 서비스는 발신 단말기(100)에게 통화 연결음 대신 광고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발신 단말기(100)로부터 해당 광고에 대하여 세부 정보를 요청받은 경우 이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서, 광고 컨텐츠는 텍스트, 음성, 음악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의미한다.
광고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하기 위하여 광고주(110)는 통신사(120)에 광고를 요청한다. 이에, 통신사(120)는 해당 광고의 컨텐츠를 설정하는데, 광고 컨텐츠의 설정이란 광고 컨텐츠를 특정 가입 단말기와 매칭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광고 요청이 접수된 경우 통신사(120)는 광고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기 중 선택된 단말기에 광고 컨텐츠를 매칭하는 것으로서, 광고 컨텐츠가 매칭된 단말기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발신 단말기(100)에는 해당 광고 컨텐츠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통신사(120)에 의하여 구성되는데, 통신사(120)는 기존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또는 모듈을 추가함으로써 광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통신사(120)는 광고 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하여 광고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기 즉, 착신 단말기에는 요금 감면의 혜택을 제공할 수도 있다.
광고 컨텐츠가 제공되는 도중 발신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해당 광고에 대 한 세부 정보를 요청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요청에 따라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를 통하여 발신 단말기(100)에게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로 광고에 대한 세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는 하나의 광고주(110)만이 도시되었지만 복수의 광고주(110)가 통신사(120)에 광고를 요청할 수 있는데,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특정 광고주(110)의 광고 컨텐츠가 어느 정도 제공되었는지, 그리고 광고에 대한 세부 정보가 SMS 또는 MMS로 어느 정도 제공되었는지를 산출하여 이에 대한 통계 자료를 해당 광고주(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이동 통신망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의 이동 통신망은 다른 유형의 이동 통신 방식을 기반으로 할 수도 있다.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기지국(210), 무선망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220), 이동 통신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MSC)(230), 장비 신원 등록기(Equipment Identity Register; EIR)(240), 서비스 제어 장치(Service Control Point; SCP)(280),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250), 인증 장치(Authentication Center; AuC)(260), 단문 서비스 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270) 및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말기(100)는 휴대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이동 통신 장치일 수 있는데, 단말기(100)는 단말기 식별자를 보유할 수 있다. 단말기 식별자는 다른 단말기로부터 해당 단말기(100)를 식별해주는 고유한 값으로서, 단말기(100)가 생산될 때 단말기 제조업체나 공인된 기관에 의해 단말기별로 할당될 수 있다.
단말기(100)에는 가입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정보 카드가 연결될 수 있다. 가입자 식별자는 가입자를 식별할 수 있게 하는 고유한 정보로서, 그 일 예로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들 수 있다. 또한, 정보 카드는 소정의 인증 함수를 이용하여 인증값을 생성할 수 있는데, 인증값은 이동 통신망에서 가입자를 인증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정보 카드는 단말기(100)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도 있고, 가입자가 임의로 단말기(100)로부터 정보 카드를 분리하지 못하도록 단말기(100)에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정보 카드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와 소정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카드의 예로써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와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를 들 수 있다.
도 2에는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을 구성하는 각 장비들이 하나씩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기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 타낸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복수 개의 각 장비들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일부 장비가 제거되어 운용될 수도 있다. 또한,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둘 이상이 장비가 하나로 통합되어 운용될 수 있으며, 하나의 장비에 의하여 수행되는 기능이 복수 개의 장비로 분할되어 운용될 수도 있다.
기지국(210)은 단말기(100)의 일차 접속 지점으로서, 단말기(100)와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기지국(210)은 안테나와 송수신 모뎀으로 구성된 무선 모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100)로부터 기지국 방향의 통신 채널을 상향 채널이라 하고, 기지국(210)으로부터 단말기(100) 방향의 통신 채널을 하향 채널이라 한다.
무선망 제어기(220)는 기지국(210)을 제어하고 무선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망 제어기(220)는 단말기(100)에 대한 통신 채널의 할당을 기지국(210)에게 지시하고, 기지국(210)의 송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무선망 제어기(220)는 기지국(210)간을 이동하는 단말기(100)에 대한 핸드오버(hand over)를 지원할 수도 있다.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하나 이상의 무선망 제어기(220)와 연결되어, 단말기(100)와 다른 단말기(도시하지 않음)간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단말기(100)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장비 신원 등록기(240)는 단말기 제조업체에서 생산되는 단말기들의 단말기 식별자를 관리할 수 있다. 단말기 식별자의 일 예로써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를 들 수 있다. 신규로 생산된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자는 단말기 제조업체로부터 직접 획득될 수도 있고, 각 제조업체의 신규 단말기에 대한 등록을 처리하는 서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다.
또한, 장비 신원 등록기(240)는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도 관리할 수 있다.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는 단말기(100)가 정상인지의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는 '정상(White)', '비정상(Black)', 및 '비정상 추정(Gray)'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는 '정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도난신고가 접수된 단말기나 이동 통신망에 오작동을 유발시킬 수 있는 (100)의 상태 정보는 '비정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망에서 요구되는 통신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단말기나 상태 정보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불명확한 단말기의 상태 정보는 '비정상 추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장비 신원 등록기(240)가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방식에 대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동 통신망에서 상태 정보가 '비정상'인 단말기(100)의 통신은 차단될 수 있는데, 상태 정보가 '비정상 추정'인 단말기(100)에 대한 통신 차단 여부는 실시예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장비 신원 등록기(240)는 각 단말기(100)의 단말기 식별자에 해당 단말 기(100)의 상태 정보를 매핑시켜 매핑 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규로 생성된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자를 획득한 경우, 장비 신원 등록기(240)는 단말기 식별자에 상태 정보로서 '정상'을 매핑시킬 수 있다. 만약, 단말기(100)에 대한 분실 신고가 접수된다면, 장비 신원 등록기(240)는 해당 단말기(100)의 단말기 식별자에 매핑된 상태 정보를 '정상'에서 '비정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서비스 제어 장치(280)는 단말기(100)에 제공할 지능망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어 장치(280)는 단말기(100)에 대해 SMS(Short Message Service)나 USSD(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s Data) 기반의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비스 제어 장치(280)는 단말기(100)의 속성 정보에 따라서 단말기(100)에게 적합한 서비스 로직을 구동시킬 수 있다. 서비스 제어 장치(280)는 단말기 제조업체가 생산하는 각종 단말기의 속성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물론 속성 정보를 관리하는 별도의 서버(도시하지 않음)가 존재하고, 서비스 제어 장치(280)는 해당 서버에 접근하여 단말기(100)의 속성 정보를 확인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여기서 속성 정보는 단말기(100)가 지원 가능한 언어, 단말기(100)의 화면 해상도, 단말기(100)에 구비된 코덱(codec)의 종류 등 단말기(100)의 기능이나 성능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홈 위치 등록기(250)는 가입자의 위치 정보(예를 들어, 단말기(100)가 현재 위치한 곳의 VLR(Visitor Location Register) 주소, MSC 주소 등)와 가입자 부가 서비스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인증 장치(260)는 이동 통신망 가입자에 대한 인증 및 무선 통화 구간에 대한 암호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도 2에는 인증 장치(260)가 홈 위치 등록기(250)로부터 독립된 장치로 도시되어 있지만, 인증 장치(260)는 홈 위치 등록기(25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에서 단말기는 발신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단말기(100)에 의하여 특정 단말기로의 통화 연결이 요청되면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발신 단말기(100)와 착신 단말기와의 연결을 시도하면서 이와 같은 통화 연결 사실을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500)에게 통보한다.
이에 따라,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착신 단말기가 광고 서비스에 가입되었는지를 확인하여 광고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광고 컨텐츠를 발신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여기서, 광고 컨텐츠는 착신 단말기에 매칭된 광고 컨텐츠일 수 있다.
그리고, 광고 컨텐츠를 안내 받고 있던 중 발신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해당 광고에 대한 세부 정보를 요청하기 위하여 단말기(100)에 구비된 버튼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데, 버튼 신호를 수신한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발신 단말기(100)와 착신 단말기간의 통화가 종료되었는지를 감시하고 있다가 통화 종료 후 해당 광고에 대한 세부 정보가 포함된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발신 단말기(100)로 송신한다.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송신은 단문 서비스 센터(270)를 통하여 발신 단말기(10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각 발신 단말기(100)로 제공된 광고 컨 텐츠 및 상세 정보의 통계 자료를 지속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3의 시스템에 음원 제공 장치(300)가 추가되어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500)가 음원 제공 장치(300)를 이용하여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음원 제공 장치(300)는 발신 단말기(100)에게 통화 연결음 대신 착신 단말기가 지정한 음원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음원 제공 장치(300)에게 광고 컨텐츠를 전달하여 일반 음원 대신 광고 컨텐츠가 발신 단말기(100)로 송신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음원 제공 장치(300)와 같이 기존에 구축된 장비를 이용함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시스템을 구성하는데 보다 적은 비용이 발생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데이터의 수집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본 발명에서 광고 데이터는 광고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정보, 가입자에 매칭된 광고 컨텐츠 및 가입자와 광고 컨텐츠간의 매칭 관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광고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우선 종합 광고 시스템(410)은 광고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가입자 정보에는 성별, 연령, 거주 지역, 단말기의 번호 및 가입한 서비스의 목록 등이 포함될 수 있는데, 가입자 정보는 별도의 장치로부터 주기적으로 예를 들어 1개월 단위로 전송된 것일 수 있다.
수집된 가입자 정보는 광고 데이터 서버(420)로 송신되고, 광고 데이터 서 버(420)는 전달받은 가입자 정보를 필드별(성별별, 연령별, 거주 지역별 또는 단말기의 번호별)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광고 컨텐츠를 관리하는 관리자(440)는 광고 컨텐츠에 대한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가입자와 광고 컨텐츠간의 매칭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관리자(440)는 광고 서비스 서버(430)에 접속할 수 있다.
광고 컨텐츠에 대한 설정을 위하여 관리자(440)가 광고 서비스 서버(430)에 접속하는 경우 광고 서비스 서버(430)는 광고 데이터 서버(420)에 접근하여 가입자 정보를 추출하여 관리자(440)에게 제공한다. 이에, 관리자(440는 가입자별로 광고 컨텐츠를 매칭시키거나 소정 기준으로 가입자를 그룹으로 분류하고 각 그룹별로 광고 컨텐츠를 매칭시킬 수 있다.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광고 데이터 서버(420)에 저장된 가입자별 광고 컨텐츠를 추출하여 발신 단말기(100)로 송신하는 것인데, 광고 데이터 서버(420)는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500)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광고 컨텐츠 추출부(510), 광고 정보 추출부(520), 저장부(530), 판단부(540), 정보 요청 확인부(550), 통신부(560) 및 통계 정보 관리부(5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고 컨텐츠 추출부(510)는 착신 단말기가 가입한 광고 제공 서비스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츠를 저장부(530)에서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발신 단말기(100) 가 착신 단말기로 통화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500)로 발신 단말기(100)의 번호 및 착신 단말기의 번호 등이 포함된 통화 연결 정보를 송신하는데, 광고 컨텐츠 추출부(510)는 전달받은 착신 단말기의 번호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츠를 추출하는 것이다.
광고 정보 추출부(520)는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세부적인 광고 정보를 저장부(530)에서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발신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청취 중인 광고 컨텐츠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를 요청하고자 단말기(100)에 구비된 버튼 중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조합을 입력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광고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광고 정보 추출부(520)는 광고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광고 정보는 광고 컨텐츠를 통하여 안내된 제품에 대한 세부 사항뿐만 아니라 전화 번호 또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와 같이 해당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구매 경로가 포함될 수 있는데, 발신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음성 또는 버튼을 이용하여 제품 구매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다른 제품의 세부 사항을 안내 받을 수도 있다. 음성 명령을 입력받기 위하여 발신 단말기(100) 또는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500)에 음성 인식 수단(미도시)가 구비되거나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을 구성하는 장치 중 하나가 음성 인식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저장부(530)는 가입자별로 매칭된 광고 컨텐츠 및 광고 컨텐츠별로 매칭된 광고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저장부(530)는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CF 카드(Compact Flash Card),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SM 카드(Smart Media Card),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광고 데이터 서버(420)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저장부(530)가 광고 데이터 서버(420)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 통신부(560)는 별도의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판단부(540)는 통화 연결 요청 대상인 착신 단말기가 광고 제공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저장부(530)에는 단말기의 번호별로 광고 제공 서비스 가입 여부가 매칭되어 사전에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 요청 확인부(550)는 송신된 광고 컨텐츠에 대한 응답으로 발신 단말기(100)로부터 광고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발신 단말기(100)에 의하여 송신된 하나의 버튼 또는 복수 개의 버튼 조합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정보 요청 확인부(550)는 수신된 신호가 광고 정보 요청 신호인지를 확인하는 것으로서, 광고 정보 요청 신호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의 형태일 수 있다.
통신부(560)는 착신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발신 단말기(100)로 추출된 광고 컨텐츠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통신부(560)는 광고 정보 추출부(520)에 의하여 추출된 광고 정보를 발신 단말기(100)로 송신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부(560)는 발신 단말기(100)의 번호가 명시된 광고 컨텐츠를 교 환기로 송신하여 해당 광고 컨텐츠가 발신 단말기(100)로 송신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발신 단말기(100)의 번호가 명시된 광고 정보를 단문 서비스 센터(270)로 송신하여 해당 광고 정보가 포함된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발신 단말기(100)로 송신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560)는 교환기로부터 통화 연결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하여 통신부(560)는 데이터의 종류별 송수신을 위한 서로 다른 복수 개의 통신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통신 수단은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통계 정보 관리부(570)는 광고 컨텐츠 또는 광고 정보가 송신된 통계 정보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통계 정보 관리부(570)는 특정 광고 컨텐츠 또는 특정 광고 정보가 송신된 횟수를 지속적으로 파악하여 저장부(530)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통계 정보 관리부(570)에 의하여 갱신된 통계 정보는 광고주(110)에게 전달되어 광고 효과를 입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착신 단말기가 광고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발신 단말기(100)는 착신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을 이동 통신 교환기(230)에게 요청한다(S610). 이에 따라,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발신 단말기(100)의 번호 및 착신 단말기의 번호가 명시된 통화 연결 정보를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500)로 송신한다(S620).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전달받은 착신 단말기의 번호를 참조하여 해당 착신 단말기가 광고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630). 그리하여, 착신 단말기가 광고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발신 단말기(100)로 광고 컨텐츠를 송신한다(S640). 여기서, 광고 컨텐츠는 교환기를 통하여 발신 단말기(100)에게 전달될 수 있다.
광고 컨텐츠를 청취하던 도중 발신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해당 광고에 대한 세부 정보를 요청하면 광고 정보 요청 신호는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500)로 전달되고(S650),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발신 단말기(100)와 착신 단말기간의 통화(S660)가 종료되는지를 감시한다.
그리하여, 발신 단말기(100)와 착신 단말기간의 통화가 종료되면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통화가 종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500)로 송신하고(S670), 이를 수신한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해당 광고 컨텐츠에 매칭된 광고 정보를 추출한다(S680).
이렇게 추출된 광고 정보는 단문 서비스 센터(270)로 송신되고(S690), 단문 서비스 센터(270)는 광고 정보 메시지 즉, 해당 광고 정보가 포함된 단문 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생성하여 발신 단말기(100)로 송신한다(S700).
한편, 도 6은 발신 단말기(100)와 착신 단말기간의 통화가 종료된 이후에 광고 정보 메시지가 발신 단말기(100)로 송신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신 단말기(100)와 착신 단말기간의 통화가 지속중인 경우에 광고 정보 메시지가 발신 단말기(100)로 송신될 수도 있으며, 발신 단말기(100) 와 착신 단말기간의 통화가 연결되지 않은 경우 즉, 발신 단말기(100)와 착신 단말기간의 통화가 발신 단말기(100)의 사용자에 의하여 포기된 경우 광고 정보 메시지가 발신 단말기(100)로 송신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데이터의 수집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10 : 광고 컨텐츠 추출부 520 : 광고 정보 추출부
530 : 저장부 540 : 판단부
550 : 정보 요청 확인부 560 : 통신부
570 : 통계 정보 관리부

Claims (12)

  1. 통화 연결 요청 대상인 착신 단말기가 광고 제공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기가 가입한 광고 제공 서비스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츠를 추출하는 광고 컨텐츠 추출부; 및
    상기 착신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발신 단말기로 상기 추출된 광고 컨텐츠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된 광고 컨텐츠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광고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정보 요청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광고 정보를 추출하는 광고 정보 추출부를 더 포함하는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추출된 광고 정보를 단문 서비스 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로 송신하여 상기 단문 서비스 센터로 하여금 상기 광고 정보가 포함된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하는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 또는 상기 광고 정보가 송신된 통계 정보를 관리하는 통계 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정보 요청 신호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를 포함하는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7. 통화 연결 요청 대상인 착신 단말기가 광고 제공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기가 가입한 광고 제공 서비스에 대응하는 광고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 단말기와의 통화 연결을 요청하는 발신 단말기로 상기 추출된 광고 컨텐츠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된 광고 컨텐츠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광고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정보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광고 컨텐츠에 대응하는 광고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광고 정보를 단문 서비스 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로 송신하여 상기 단문 서비스 센터로 하여금 상기 광고 정보가 포함된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발신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컨텐츠 또는 상기 광고 정보가 송신된 통계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정보 요청 신호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를 포함하는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80046135A 2008-05-19 2008-05-19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963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46135A KR100963969B1 (ko) 2008-05-19 2008-05-19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46135A KR100963969B1 (ko) 2008-05-19 2008-05-19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210A true KR20090120210A (ko) 2009-11-24
KR100963969B1 KR100963969B1 (ko) 2010-06-15

Family

ID=41603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46135A KR100963969B1 (ko) 2008-05-19 2008-05-19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39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418B1 (ko) * 2011-08-24 2013-10-01 (주)에스모바일 mVoIP 서비스에서 통화 연결음과 연계된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50003949A (ko) 2013-07-01 2015-01-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 상황 기반 통화 연결음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9792A (ko) * 2005-02-04 2006-08-09 정승복 통화연결음 및 문자메세지를 이용한 광고서비스제공장치와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418B1 (ko) * 2011-08-24 2013-10-01 (주)에스모바일 mVoIP 서비스에서 통화 연결음과 연계된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50003949A (ko) 2013-07-01 2015-01-1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사용자 상황 기반 통화 연결음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3969B1 (ko) 201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0242B2 (en) Method and system for tailoring device provisioning based on device capability information communicated to network
KR100920644B1 (ko) Usim 카드 이동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 업데이트를 위한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0785235B1 (ko) 휴대인터넷 단말기에 가상 번호를 이용한 sms/mms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963969B1 (ko)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954831B1 (ko) 광고 서비스 타겟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064709B1 (ko) 사용자별로 대응되는 대표 번호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100811809B1 (ko) 특정 구역 내의 발신 통화에 대한 통합 과금 이동통신시스템 및 방법
KR101016650B1 (ko) 데이터 서비스 제공 제어 방법 및 장치
DK2658293T3 (en) Connection attempt advice
KR20100121156A (ko)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N100512501C (zh) 移动智能用户国际漫游时的信息通知方法、系统及设备
KR101674065B1 (ko)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854406B1 (ko) 영상 통화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943733B1 (ko) 이동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시스템
KR100963972B1 (ko) 콜백 번호 전환 장치 및 방법
US10616421B2 (en) Grafting and separation of mobile telephone number lines
KR100838034B1 (ko) Ota 이동 통신 망을 이용한 이동방송 서비스에 있어서의 가입자 정보 변경 처리 결과 조회 시스템
KR10040178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문자 메시지를 외부 서버로 전환하는방법
KR100991552B1 (ko)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07614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요금 할인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989271B1 (ko)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90030558A (ko) 위치 정보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링백톤 서비스 제공 방법및 시스템
KR101069018B1 (ko) 부재중 착신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649590B1 (ko) 통화 중 이벤트 메시지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969282B1 (ko)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