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1552B1 -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1552B1
KR100991552B1 KR20080071248A KR20080071248A KR100991552B1 KR 100991552 B1 KR100991552 B1 KR 100991552B1 KR 20080071248 A KR20080071248 A KR 20080071248A KR 20080071248 A KR20080071248 A KR 20080071248A KR 100991552 B1 KR100991552 B1 KR 100991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message
text message
servic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71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323A (ko
Inventor
이종환
최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080071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1552B1/ko
Publication of KR20100010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55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한 후 착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대상인 착신 단말기가 음성 메시지 제공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확인부와,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문자 메시지에 음성 변환 코드를 삽입하는 변환 코드 관리부 및 상기 음성 변환 코드가 삽입된 문자 메시지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문자 메시지, 음성 메시지, 음성 변환 코드

Description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oice message service}
본 발명은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한 후 착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집적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다양한 휴대 기기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근래의 테이프 재생 장치, CD 플레이어 등의 음향 재생 장치로 시작하여 무선 호출기가 등장하기도 하였으며, 현재는 휴대 전화 및 MP3 플레이어가 널리 보급되고 있고, 휴대용 게임기도 등장하게 되었다.
특히, 휴대 전화의 경우 통신 수단으로서의 용도를 넘어서 다양한 수단으로 이용되기도 하는데 그 중 시계,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및 MP 플레이어로서의 역할이 대표적이며, 휴대 전화간의 메시지 서비스로도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메시지 서비스로는 SMS(Short Message Service), EMS(Enhanced Message Service) 및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이 있는데, SMS는 문자 또는 숫자로 이루어진 텍스트를 전송해주는 서비스이고, EMS는 텍스트뿐만 아니라 멜로디, 음성 정보 및 사진 등의 데이터를 전송해주는 서비스이며, MMS는 문자 위주의 무선 인터넷(Wireless Internet) 상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전송해주는 서비스이다.
여기서, SMS 서비스는 텍스트 작성이 용이하고, 이용 요금이 저렴함에 따라 사용자들에 의하여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착신 단말기 사용자가 시각 장애인이거나 시력이 저하된 노인인 경우 그 효용성은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시각적 장애를 가지고 있는 착신 단말기 사용자도 수신된 메시지를 원활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한 후 착신 단말기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 변환 서비스에 가입된 착신 단말기를 대상으로 문자 메시지가 접수되는 경우 착신 단말기 번호에 음성 변환 코드를 삽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대상인 착신 단말기가 음성 메시지 제공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확인부와,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문자 메시지에 음성 변환 코드를 삽입하는 변환 코드 관리부 및 상기 음성 변환 코드가 삽입된 문자 메시지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대상인 착신 단말기가 음성 메시지 제공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상기 문자 메시지에 음성 변환 코드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변환 코드가 삽입된 문자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발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한 후 착신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시각적 장애를 가진 착신 단말기 사용자도 발신 단말기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원활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음성 변환 서비스에 가입된 착신 단말기를 대상으로 문자 메시지가 접수되는 경우 착신 단말기 번호에 음성 변환 코드를 삽입함으로써, 발신 단말기 사용자가 음성 변환 코드를 직접 입력해야 하는 불편을 감소시키는 장점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문자 메시지가 음성 메시지로 변환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발신 단말기(110)의 사용자는 문자 메시지(115)를 입력하여 착신 단말기(120)로 송신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전달받은 문자 메시지(115)를 음성 메시 지(125)로 변환하여 착신 단말기(1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착신 단말기(120)는 음성 메시지 제공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음성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착신 단말기(120)가 해당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참조하여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전달받은 문자 메시지(115)를 음성 메시지(125)로 변환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하여, 착신 단말기(120)가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음성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전달받은 문자 메시지(115)를 음성 메시지(125)로 변환하여 착신 단말기(120)로 송신하고, 착신 단말기(120)가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음성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문자 메시지(115)를 그대로 착신 단말기(120)로 송신하는 것이다.
또한, 음성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문자 메시지(115)를 음성 메시지(125)로 변환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음성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이동 통신망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200)의 이동 통신망은 다른 유형의 이동 통신 방식을 기반으로 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음성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음성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기지국(211, 212), 무선망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220), 이동 통신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MSC)(230), 장비 신원 등록기(Equipment Identity Register; EIR)(240), 서비스 제어 장치(Service Control Point; SCP)(280),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250), 인증 장치(Authentication Center; AuC)(260), 단문 서비스 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270), 음성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300) 및 자동 응답 시스템(2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말기(110, 120)는 휴대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이동 통신 장치일 수 있는데, 단말기(110, 120)는 단말기 식별자를 보유할 수 있다. 단말기 식별자는 다른 단말기로부터 해당 단말기(110, 120)를 식별해주는 고유한 값으로서, 단말기(110, 120)가 생산될 때 단말기 제조업체나 공인된 기관에 의해 단말기별로 할당될 수 있다.
단말기(110, 120)에는 가입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정보 카드가 연결될 수 있다. 가입자 식별자는 가입자를 식별할 수 있게 하는 고유한 정보로서, 그 일 예로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들 수 있다. 또한, 정보 카드는 소정의 인증 함수를 이용하여 인증값을 생성할 수 있는데, 인증값은 이동 통신망에서 가입자를 인증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정보 카드는 단말기(110, 120)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도 있고, 가입자가 임의로 단말기(110, 120)로부터 정보 카드를 분리하지 못하도록 단말기(110, 120)에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정보 카드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와 소정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카드의 예로써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와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를 들 수 있다.
도 2에는 음성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을 구성하는 각 장비들이 하나씩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음성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의 기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음성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복수 개의 각 장비들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일부 장비가 제거되어 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음성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둘 이상이 장비가 하나로 통합되어 운용될 수 있으며, 하나의 장비에 의하여 수행되는 기능이 복수 개의 장비로 분할되어 운용될 수도 있다.
기지국(211, 212)은 단말기(110, 120)의 일차 접속 지점으로서, 단말기(110, 120)와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기지국(211, 212)은 안테나와 송수신 모뎀으로 구성된 무선 모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110, 120)로부터 기지국 방향의 통신 채널을 상향 채널이라 하고, 기지국(211, 212)으로부터 단말기(110, 120) 방향의 통신 채널을 하향 채널이라 한다.
무선망 제어기(220)는 기지국(211, 212)을 제어하고 무선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망 제어기(220)는 단말기(110, 120)에 대한 통신 채널의 할당을 기지국(211, 212)에게 지시하고, 기지국(211, 212)의 송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무선망 제어기(220)는 기지국(211, 212)간을 이동하는 단말기(110, 120)에 대한 핸드오버(hand over)를 지원할 수도 있다.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하나 이상의 무선망 제어기(220)와 연결되어,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20)간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단말기(110, 120)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장비 신원 등록기(240)는 단말기 제조업체에서 생산되는 단말기들의 단말기 식별자를 관리할 수 있다. 단말기 식별자의 일 예로써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를 들 수 있다. 신규로 생산된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자는 단말기 제조업체로부터 직접 획득될 수도 있고, 각 제조업체의 신규 단말기에 대한 등록을 처리하는 서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다.
또한, 장비 신원 등록기(240)는 단말기(110, 120)의 상태 정보도 관리할 수 있다. 단말기(110, 120)의 상태 정보는 단말기(110, 120)가 정상인지의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110, 120)의 상태 정보는 '정상(White)', '비정상(Black)', 및 '비정상 추정(Gray)'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단말기(110, 120)의 상태 정보는 '정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도난신고가 접수된 단말기나 이동 통신망에 오작동을 유발시킬 수 있는 단말기(110, 120)의 상태 정보는 '비정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망에서 요구되는 통신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단말기나 상태 정보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불명확한 단말기의 상태 정보는 '비정상 추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장비 신원 등록기(240)가 단말기(110, 120)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방식에 대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동 통신망에서 상태 정보가 '비정상'인 단말기(110, 120)의 통신은 차단될 수 있는데, 상태 정보가 '비정상 추정'인 단말기(110, 120)에 대한 통신 차단 여부는 실시예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장비 신원 등록기(240)는 각 단말기(110, 120)의 단말기 식별자에 해당 단말기(110, 120)의 상태 정보를 매핑시켜 매핑 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규로 생성된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자를 획득한 경우, 장비 신원 등록기(240)는 단말기 식별자에 상태 정보로서 '정상'을 매핑시킬 수 있다. 만약, 단말기(110, 120)에 대한 분실 신고가 접수된다면, 장비 신원 등록기(240)는 해당 단말기(110, 120)의 단말기 식별자에 매핑된 상태 정보를 '정상'에서 '비정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서비스 제어 장치(280)는 단말기(110, 120)에 제공할 지능망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어 장치(280)는 단말기(100)에 대해 SMS(Short Message Service)나 USSD(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s Data) 기반의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비스 제어 장치(280)는 단말기(110, 120)의 속성 정보에 따라서 단말기(110, 120)에게 적합한 서비스 로직을 구동시킬 수 있다. 서비스 제어 장치(280)는 단말기 제조업체가 생산하는 각종 단말기의 속성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물론 속성 정보를 관리하는 별도의 서버(도시하지 않음)가 존재하고, 서비스 제어 장치(280)는 해당 서버에 접근하여 단말기(110, 120)의 속성 정보를 확인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여기서 속성 정보는 단말기(110, 120)가 지원 가능한 언어, 단말기(110, 120)의 화면 해상도, 단말기(110, 120)에 구비된 코덱(codec)의 종류 등 단말기(110, 120)의 기능이나 성능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홈 위치 등록기(250)는 가입자의 위치 정보(예를 들어, 단말기(110, 120)가 현재 위치한 곳의 VLR(Visitor Location Register) 주소, MSC 주소 등)와 가입자 부가 서비스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인증 장치(260)는 이동 통신망 가입자에 대한 인증 및 무선 통화 구간에 대한 암호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도 2에는 인증 장치(260)가 홈 위치 등록기(250)로부터 독립된 장치로 도시되어 있지만, 인증 장치(260)는 홈 위치 등록기(25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문자 메시지(115)가 송신되면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문자 메시지(115)에 포함된 식별 번호를 참조하여 해당 메시지(115)가 문자 메시지임을 확인하고, 문자 메시지(115)를 음성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 송신한다.
이에 따라, 음성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문자 메시지(115)에 포함된 착신 단말기(120)의 번호를 이용하여 착신 단말기(120)가 음성 메시지 제공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그 결과에 따라 문자 메시지(115)에 음성 변환 코드의 삽입 여부를 결정한다.
즉, 음성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착신 단말기(120)가 음성 메시지 제공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음성 변환 코드를 문자 메시지(115)에 삽입하고, 착신 단말기(120)가 음성 메시지 제공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음성 변환 코드를 문자 메시지(115)에 삽입하지 않는 것이다.
여기서, 음성 변환 코드를 문자 메시지(115)에 삽입하는 것은 착신 단말기(120)의 번호에 음성 변환 코드를 추가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음성 변환 코드의 삽입 과정이 완료된 문자 메시지는 이동 통신 교환기(230)로 전달되고,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이를 서비스 제어 장치(280)로 송신한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어 장치(280)는 문자 메시지에 음성 변환 코드가 삽입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그 결과에 따라 음성 변환 여부를 결정한다.
즉, 서비스 제어 장치(280)는 문자 메시지에 음성 변환 코드가 삽입되어 있는 경우 해당 문자 메시지(115)를 자동 응답 시스템(290)으로 전달하여 문자 메시지(115)가 음성 메시지(125)로 변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문자 메시지(115)를 음성 메시지(125)로 변환하기 위하여 자동 응답 시스템(290)에는 음성 변환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음성 변환 수단에는 TTS(Text To Speech)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단문 서비스 센터(270)는 문자 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착신 단말기(120)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자동 응답 시스템(290)으로부터 음성 메시지(125)를 수신하는 경우 이를 착신 단말기(12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착신 단말기(120)에 음성 변환 기능이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문자 메시지(115)를 음성 메시지(125)로 변환하는 것은 음성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 의한 불필요한 동작으로 작용할 수 있다.
즉, 문자 메시지(115)가 직접 착신 단말기(120)로 전달되더라도 착신 단말 기(120)에 음성 변환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면, 착신 단말기(120)가 전달받은 문자 메시지(115)를 자체적으로 음성 메시지(125)로 변환한 후에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음성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은 문자 메시지(115)를 음성 메시지(125)로 변환할 필요가 없어지는 것이다.
착신 단말기(120)에 음성 변환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지 여부는 착신 단말기(120)의 종류를 참조하여 확인될 수 있는데, 음성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착신 단말기(120)의 음성 변환 기능 구비 여부를 참조하여 문자 메시지(115)에 음성 변환 코드의 삽입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결국, 음성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착신 단말기(120)가 음성 메시지 제공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으면서, 음성 변환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만 음성 변환 코드를 문자 메시지(115)에 삽입하는 것이다.
도 2는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전달된 문자 메시지(115)를 음성 메시지(125)로 변환하기 위하여 자동 응답 시스템(290)이 이용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에 따라 기존에 존재하고 있는 시스템을 이용함에 따라 음성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을 구축하기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자동 응답 시스템(290) 자체를 음성 서비스 제공 시스템(200)에 포함시키지 않고 단순히 TTS 모듈(미도시)만을 포함시킬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TTS 모듈은 음성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300) 또는 단문 서비스 센터(27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음성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통신부(310), 저장부(320), 확인 부(330) 및 변환 코드 관리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확인부(330)는 문자 메시지(115)를 수신하는 대상인 착신 단말기(120)가 음성 메시지 제공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확인부(330)는 착신 단말기(120)에 음성 변환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착신 단말기(120)의 음성 메시지 제공 서비스 가입 여부 및 음성 변환 기능 구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확인부(330)는 저장부(320)에 저장된 서비스 가입 테이블을 참조할 수 있다. 서비스 가입 테이블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5를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문자 메시지(115)는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전달된 메시지로서, 텍스트로 구성된 메시지로 이해될 수 있다.
확인부(330)의 확인 결과에 따라 변환 코드 관리부(340)는 문자 메시지(115)에 음성 변환 코드를 삽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착신 단말기(120)가 음성 메시지 제공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변환 코드 관리부(340)는 문자 메시지(115)에 음성 변환 코드를 삽입하는 것이다.
음성 변환 코드를 삽입함에 있어서, 변환 코드 관리부(340)는 문자 메시지(115)에 포함된 착신 단말기(120)의 번호에 음성 변환 코드를 추가할 수 있는데, 음성 변환 코드가 삽입된 문자 메시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통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확인부(330)에 의한 착신 단말기(120)의 음성 변환 기능 구비 여부 결과에 따라, 변환 코드 관리부(340)는 문자 메시지(115)에 음성 변환 코드를 삽입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착신 단말기(120)에 음성 변환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만 변환 코드 관리부(340)는 문자 메시지(115)에 음성 변환 코드를 삽입하는 것이다.
통신부(310)는 문자 메시지(115)를 수신하거나 음성 변환 코드가 삽입된 문자 메시지를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문자 메시지를 송신함에 있어서, 통신부(310)는 음성 변환 코드가 삽입된 문자 메시지를 자동 응답 시스템(290)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 응답 시스템(290)은 음성 변환 코드의 유무를 참조하여 문자 메시지(115)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통신부(310)는 음성 변호나 코드가 삽입된 문자 메시지를 직접 자동 응답 시스템(290)으로 송신할 수도 있으며, 이동 통신 교환기(230)를 통하여 자동 응답 시스템(290)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저장부(320)는 서비스 가입 테이블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저장부(320)는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CF 카드(Compact Flash Card),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SM 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음성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3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저장부가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 통신부(310)는 별도의 장치와 통신하여 서비스 가입 테이블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변환 코드가 삽입된 문자 메시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문자 메시지(400)는 발신 단말기 번호(410), 음성 변환 코 드(420), 착신 단말기 번호(430) 및 메시지 페이로드(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의 문자 메시지(400)는 착신 단말기 번호(430) 앞에 음성 변환 코드(420)가 추가된 것을 나타내고 있는데, 예를 들어 착신 단말기 번호(430)가 010-xxxx-xxxx이고, 음성 변환 코드(420)가 #430인 경우, 음성 변환 코드(420)가 삽입된 착신 단말기 번호(430)는 #430-010-xxxx-xxxx가 되는 것이다.
여기서, 음성 변환 코드(420)는 이동 통신 사업자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는 것으로서, 위의 예에서와 같이 기호 및 숫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문자, 숫자 및 기호의 단독 또는 선택적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4는 음성 변환 코드(420)가 착신 단말기 번호(430)의 앞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변환 코드 관리부(340)는 음성 변환 코드(420)를 문자 메시지(400)의 가장 앞에 삽입하거나 착신 단말기 번호(430)의 뒤에 삽입할 수도 있다.
메시지 페이로드(440)에는 발신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입력한 실제의 문자 정보가 포함되는데, 본 발명에서 문자 메시지(400)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한다는 것은 메시지 페이로드(440)에 포함된 문자 정보를 음성 정보로 변환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자동 응답 시스템(290)은 문자 메시지(400)의 메시지 페이로드(440)에 포함된 문자 정보를 음성 정보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음성 메시지는 발신 단말기 번호(410), 착신 단말기 번호(430) 및 메시지 페이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음성 메시지의 메시지 페이로드는 음성 정보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가입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서비스 가입 테이블(500)은 착신 단말기 번호 필드(510), 서비스 가입 여부 필드(520) 및 음성 변환 기능 필드(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착신 단말기 번호 필드(510)에는 착신 단말기의 번호가 포함된다. 여기서, 착신 단말기의 번호는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착신 단말기 번호 필드(510)에는 단말기를 식별해주는 고유한 값인 단말기 식별자가 포함될 수도 있다.
서비스 가입 여부 필드(520)는 해당 착신 단말기가 음성 메시지 제공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해당 착신 단말기가 음성 메시지 제공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서비스 가입 여부 필드(520)에는 1의 플래그가 포함되고, 해당 착신 단말기가 음성 메시지 제공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서비스 가입 여부 필드(520)에는 0의 플래그가 포함되는 것이다.
음성 변환 기능 필드(530)는 해당 착신 단말기에 음성 변환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해당 착신 단말기에 음성 변환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음성 변환 기능 필드(530)에는 1의 플래그가 포함되고, 해당 착신 단말기가 음성 변환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음성 변환 기능 필드(530)에는 0의 플래그가 포함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성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300)의 확인부(330)는 도 5의 서비스 가입 테이블(500)을 참조하여 착신 단말기의 음성 메시지 제공 서비스 가입 여부 및 음성 변환 기능 구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변환 코드 관리부(340)는 확인부(330)의 확인 결과에 따라 문자 메시지에 음성 변환 코드 삽입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변환 코드 관리부(340)는 음성 메시지 제공 서비스 가입 여부 또는 음성 변환 기능 구비 여부만을 참조하여 음성 변환 코드 삽입 여부를 결정하거나 음성 메시지 제공 서비스 가입 여부 및 음성 변환 기능 구비 여부를 모두 고려하여 음성 변환 코드 삽입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조건은 이동 통신 사업자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음성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300)의 통신부(310)는 우선 발신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문자 메시지를 수신한다(S610).
문자 메시지에는 착신 단말기 번호가 포함되어 있는데, 확인부(330)는 해당 착신 단말기 번호를 서비스 가입 테이블(500)에 적용하여 해당 착신 단말기(120)가 음성 메시지 제공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620).
그리하여, 착신 단말기(120)가 음성 메시지 제공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확인부(330)는 다시 착신 단말기 번호를 서비스 가입 테이블(500)에 적용하여 해당 착신 단말기(120)가 음성 변환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지를 확인한다(S630).
확인부(330)의 확인 결과는 변환 코드 관리부(340)로 전달되고, 변환 코드 관리부(340)는 문자 메시지에 음성 변환 코드를 삽입한다(S640). 이 때, 변환 코드 관리부(340)는 착신 단말기(120)의 번호 앞에 음성 변환 코드를 추가할 수 있다.
음성 변환 코드가 삽입된 문자 메시지는 통신부(310)를 통하여 자동 응답 시스템으로 송신되는데(S650), 이에 따라, 자동 응답 시스템을 전달받은 문자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여 착신 단말기(120)로 송신하게 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문자 메시지가 음성 메시지로 변환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음성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변환 코드가 삽입된 문자 메시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가입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310 : 통신부 320 : 저장부
330 : 확인부 340 : 변환 코드 관리부

Claims (10)

  1. 발신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대상인 착신 단말기가 음성 메시지 제공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확인부;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음성 메시지 제공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 상기 문자 메시지에 음성 변환 코드를 삽입하는 변환 코드 관리부; 및
    상기 문자 메시지가 음성 메시지로 변환되어 상기 착신 단말기로 송신되도록 상기 음성 변환 코드가 삽입된 문자 메시지를 자동 응답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부는 상기 착신 단말기에 음성 변환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코드 관리부는 상기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착신 단말기의 번호에 상기 음성 변환 코드를 추가하는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응답 시스템은 상기 음성 변환 코드의 유무를 참조하여 상기 문자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는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6. 발신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대상인 착신 단말기가 음성 메시지 제공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착신 단말기가 상기 음성 메시지 제공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 상기 문자 메시지에 음성 변환 코드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 메시지가 음성 메시지로 변환되어 상기 착신 단말기로 송신되도록 상기 음성 변환 코드가 삽입된 문자 메시지를 자동 응답 시스템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기에 음성 변환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메시지에 상기 음성 변환 코드를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착신 단말기의 번호에 상기 음성 변환 코드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9. 삭제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응답 시스템은 상기 음성 변환 코드의 유무를 참조하여 상기 문자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는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080071248A 2008-07-22 2008-07-22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991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1248A KR100991552B1 (ko) 2008-07-22 2008-07-22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1248A KR100991552B1 (ko) 2008-07-22 2008-07-22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323A KR20100010323A (ko) 2010-02-01
KR100991552B1 true KR100991552B1 (ko) 2010-11-04

Family

ID=42085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71248A KR100991552B1 (ko) 2008-07-22 2008-07-22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155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323A (ko) 2010-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0629B1 (ko)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 서비스지역에서 심카드를 사용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JP4282902B2 (ja) ショートメッセージを送信する移動通信システム
CN103581889A (zh) 网络配置参数自动更新方法及系统
JP5661107B2 (ja) 複数の受信機に電子ショートメッセージを送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08271130B (zh) 一种通讯系统及识别伪基站短消息的方法
CN106304030B (zh) 一种基于虚拟身份信息的通讯方法、装置及系统
KR20060001440A (ko) Usim 카드의 단말 이동에 따라 고객의 단말 정보를변경하여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10529711A (ja) 国際呼ローミングサービスの提供方法及びそのための移動通信端末
KR100882938B1 (ko) 무선 자동 등록을 이용한 wcdma 단말기 서비스 개통방법
KR100991552B1 (ko)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845325B1 (ko) 무선 자동 등록을 이용한 wcdma 단말기 가입자 전화번호 변경 방법
KR20100020364A (ko) 영상통화 거부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영상통화 단말기
KR100963969B1 (ko)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0512501C (zh) 移动智能用户国际漫游时的信息通知方法、系统及设备
KR101017436B1 (ko) 메시지를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954831B1 (ko) 광고 서비스 타겟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4254057A (zh) 一种短消息传输方法、系统和设备
KR101069018B1 (ko) 부재중 착신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963972B1 (ko) 콜백 번호 전환 장치 및 방법
KR100771448B1 (ko) 개선한 단축 다이얼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의단축다이얼 방법
KR20090078277A (ko) 이동 단말기의 이동성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단말기
KR100695240B1 (ko) 통신 채널의 모니터링 파라미터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100989271B1 (ko)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00057725A (ko) 위치 정보 제공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05774A (ko) 발신자 식별 정보 표시 서비스가 가능한 무선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