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7436B1 - 메시지를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메시지를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7436B1
KR101017436B1 KR20080075100A KR20080075100A KR101017436B1 KR 101017436 B1 KR101017436 B1 KR 101017436B1 KR 20080075100 A KR20080075100 A KR 20080075100A KR 20080075100 A KR20080075100 A KR 20080075100A KR 101017436 B1 KR101017436 B1 KR 101017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short message
converted
character code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75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3532A (ko
Inventor
김경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080075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7436B1/ko
Publication of KR20100013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7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743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시지를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문자 코드를 사용하는 무선 단말기간에 전송되는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의 크기가 착신 단말기에서 수용할 수 있는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단문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메시지(Multimedia Message)로 변환하여 착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메시지를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를 변환하는 시스템은 발신 단말기에서 이용되는 제 1 문자 코드 방식으로 작성된 단문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에서 이용되는 제 2 문자 코드 방식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문자 코드 방식으로 변환된 단문 메시지의 크기를 확인하는 단문 서비스 센터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2 문자 코드 방식으로 변환된 단문 메시지의 크기가 이동 통신망에서 지원하는 전송 가능 단문 메시지의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문자 코드 방식으로 변환된 단문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하는 메시지 변환 장치 및 상기 변환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센터를 포함한다.
문자 코드,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변환

Description

메시지를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message}
본 발명은 메시지를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문자 코드를 사용하는 무선 단말기간에 전송되는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의 크기가 착신 단말기에서 수용할 수 있는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단문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메시지(Multimedia Message)로 변환하여 착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메시지를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KSC-5601(Korean Standard Code 5601)은 국내에서 사용되는 표준 문자 코드이다. KSC-5601은 완성형 코드의 일종인데, 완성형 코드 방식은 완성된 한글 한 글자 당 2바이트 크기의 코드를 부여하여 각 글자별로 코드값을 지정하는 방식이다. 즉, 완성형 코드 방식은 완성된 글자를 일종의 그림처럼 다루는 방식인 것으로서, 사용 빈도가 많은 한글 2,350자를 선정하여 각 음절마다 하나의 코드값을 부여하여 나타낸다.
완성형 코드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조합형 코드가 있는데, 조합형 코드는 완성형 코드 방식에서와 같이 연속된 2바이트를 이용하여 한글을 나타내는데, 첫 번 째 칸은 1로 세팅하여 한글과 영문을 구별하는데 사용하고, 그 다음부터는 5비트씩 묶어 초성, 중성, 종성을 표현한다. 따라서, 완성형 코드가 기 설정된 개수만큼의 글자를 표현할 수 있는 반면, 조합형 코드는 한글이 표현할 수 있는 모든 문자를 표현할 수 있다.
ISO 10646은 전 세계의 문자를 하나의 표현법으로 표현하기 위해 UCS(Universal Character Set)을 표준으로 선정하였는데, UCS는 4바이트 문자 코드로서 이를 UCS-4라고 한다. 그러나, UCS-4는 현존하여 쓰이고 있는 문자보다 너무 많은 바이트를 할당했기 때문에, 현재는 아래쪽 2바이트만을 사용하고 있는 UCS-2가 사용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KSC-5601은 국내 표준 문자 코드 방식으로서 국내용으로 제조된 무선 단말기는 이 방식을 사용한다. 한편, UCS-2는 국제 표준 문자 코드 방식으로서 외국에서 제조된 무선 단말기는 이 방식을 사용한다.
여기서, KSC-5601 방식의 문자 코드가 내장된 무선 단말기는 한글 1글자를 표현하는데 2바이트를 사용하고 영문 1글자를 표현하는데 1바이트를 사용하는 반면, UCS-2 방식의 문자 코드가 내장된 무선 단말기는 한글 1글자를 표현하는데 2바이트를 사용하고 영문 1글자를 표현하는데 1바이트를 사용하며 한글과 영문 혼합 시에는 한글, 영문 모두 2바이트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KSC-5601 방식의 문자 코드가 내장된 무선 단말기(이하, 제 1 무선 단말기라 한다)에서 UCS-2 방식의 문자 코드가 내장된 무선 단말기(이하, 제 2 무선 단말기라 한다)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제 2 무선 단말기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이 실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2G망에서 전송 가능한 문자 메시지의 크기는 100바이트이고, 3G망에서 전송 가능한 문자 메시지의 크기는 140바이트인데, 제 1 무선 단말기가 1글자의 한글과 88글자의 영문이 포함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제 1 무선 단말기측에서 보면 문자 메시지의 크기는 (1 x 2) + (88 x 1) = 90 바이트가 된다.
그러나, 제 2 무선 단말기측에서 보면 한글과 영문이 모두 2바이트로 간주되므로, (1 x 2) + (88 x 2) = 178바이트가 된다.
즉, 제 1 무선 단말기는 90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문자 메시지를 송신하였지만, 제 2 무선 단말기는 178바이트의 크기를 갖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므로, 이는 결국 수용되지 못하고 폐기되는 것이다.
따라서, 서로 다른 문자 코드를 사용하는 무선 단말기간에도 문자 메시지의 송수신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문자 코드를 사용하는 무선 단말기간에 전송되는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의 크기가 착신 단말기에서 수용할 수 있는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단문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메시지(Multimedia Message)로 변환하여 착신 단말기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를 변환하는 시스템은 발신 단말기에서 이용되는 제 1 문자 코드 방식으로 작성된 단문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에서 이용되는 제 2 문자 코드 방식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문자 코드 방식으로 변환된 단문 메시지의 크기를 확인하는 단문 서비스 센터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2 문자 코드 방식으로 변환된 단문 메시지의 크기가 이동 통신망에서 지원하는 전송 가능 단문 메시지의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문자 코드 방식으로 변환된 단문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하는 메시지 변환 장치 및 상기 변환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센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를 변환하는 방법은 발신 단말기에서 이용되는 제 1 문자 코드 방식으로 작성된 단문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에서 이용되는 제 2 문자 코드 방식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문자 코드 방식으로 변환된 단문 메시지의 크기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2 문자 코드 방식으로 변환된 단문 메시지의 크기가 이동 통신망에서 지원하는 전송 가능 단문 메시지의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문자 코드 방식으로 변환된 단문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메시지를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서로 다른 문자 코드를 사용하는 무선 단말기간에 전송되는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의 크기가 착신 단말기에서 수용할 수 있는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단문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메시지(Multimedia Message)로 변환하여 착신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메시지의 크기에 따른 메시지 전송의 실패 확률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둘째, 국내 표준 문자 코드를 사용하지 않고 외국 표준 문자 코드를 사용하는 외산 단말기의 도입에 원활히 대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장점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문 메시지가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발신 단말기(110)의 사용자는 단문 메시지(115)를 입력하여 착신 단말기(120)로 송신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변환 시스템(200)은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전달받은 단문 메시지(115)를 멀티미디어 메시지(125)로 변환하여 착신 단말기(120)로 전달할 수 있다.
메시지를 변환함에 있어서, 메시지 변환 시스템(200)은 발신 단말기(110)에서 이용되는 문자 코드 방식(이하, 제 1 문자 코드 방식이라 한다)과 착신 단말기(120)에서 이용되는 문자 코드 방식(이하, 제 2 문자 코드 방식이라 한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문자 코드 방식과 제 2 문자 코드 방식이 다른 경우 메시지 변환 시스템(200)은 제 1 문자 코드 방식으로 작성된 단문 메시지(115)를 제 2 문자 코드 방식으로 변환하고, 변환 후 단문 메시지(미도시)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변환 후 단문 메시지의 크기가 이동 통신망에서 지원하는 전송 가능 단문 메시지의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메시지는 착신 단말기(120)로 전달되지 않고 폐기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변환 시스템(200)은 이동 통신망에서 지원하는 전송 가능 단문 메시지의 크기보다 큰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하여 착신 단말기(120)로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망에서 지원 가능한 전송 가능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크기는 단문 메시지의 크기보다 크게 할당되므로, 제 2 문자 코드 방식으로 변환된 단문 메시지가 그 크기로 인하여 폐기 대상이라고 하더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문 메시지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되어 착신 단말기(120)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메시지 변환 시스템(200)의 이동 통신망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를 기반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200)의 이동 통신망은 다른 유형의 이동 통신 방식을 기반으로 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메시지 변환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메시지 변환 시스템(200)은 기지국(211, 212), 무선망 제어기(Radio Network Controller; RNC)(220), 이동 통신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MSC)(230), 장비 신원 등록기(Equipment Identity Register; EIR)(240),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250), 인증 장치(Authentication Center; AuC)(260), 단문 서비스 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270), 서비스 제어 장치(Service Control Point; SCP)(280), 멀티미디어 서비스 센터(Multimedia Message Service Center; MMSC)(290) 및 메시지 변환 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말기(110, 120)는 휴대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이동 통신 장치일 수 있는데, 단말기(110, 120)는 단말기 식별자를 보유할 수 있다. 단말기 식별자는 다른 단말기로부터 해당 단말기(110, 120)를 식별해주는 고유한 값으로서, 단말기(110, 120)가 생산될 때 단말기 제조업체나 공인된 기관에 의해 단말기별로 할당될 수 있다.
단말기(110, 120)에는 가입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정보 카드가 연결될 수 있다. 가입자 식별자는 가입자를 식별할 수 있게 하는 고유한 정보로서, 그 일 예로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들 수 있다. 또한, 정보 카드 는 소정의 인증 함수를 이용하여 인증값을 생성할 수 있는데, 인증값은 이동 통신망에서 가입자를 인증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정보 카드는 단말기(110, 120)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도 있고, 가입자가 임의로 단말기(110, 120)로부터 정보 카드를 분리하지 못하도록 단말기(110, 120)에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정보 카드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와 소정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카드의 예로써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와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를 들 수 있다.
도 2에는 메시지 변환 시스템(200)을 구성하는 각 장비들이 하나씩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메시지 변환 시스템(200)의 기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메시지 변환 시스템(200)은 복수 개의 각 장비들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일부 장비가 제거되어 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메시지 변환 시스템(200)은 둘 이상이 장비가 하나로 통합되어 운용될 수 있으며, 하나의 장비에 의하여 수행되는 기능이 복수 개의 장비로 분할되어 운용될 수도 있다.
기지국(211, 212)은 단말기(110, 120)의 일차 접속 지점으로서, 단말기(110, 120)와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즉 기지국(211, 212)은 안테나와 송수신 모뎀으로 구성된 무선 모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110, 120)로부터 기지국 방향의 통신 채널을 상향 채널이라 하고, 기지국(211, 212)으로부터 단말기(110, 120) 방향의 통신 채널을 하향 채널이라 한다.
무선망 제어기(220)는 기지국(211, 212)을 제어하고 무선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망 제어기(220)는 단말기(110, 120)에 대한 통신 채널의 할당을 기지국(211, 212)에게 지시하고, 기지국(211, 212)의 송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무선망 제어기(220)는 기지국(211, 212)간을 이동하는 단말기(110, 120)에 대한 핸드오버(hand over)를 지원할 수도 있다.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하나 이상의 무선망 제어기(220)와 연결되어,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20)간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단말기(110, 120)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장비 신원 등록기(240)는 단말기 제조업체에서 생산되는 단말기들의 단말기 식별자를 관리할 수 있다. 단말기 식별자의 일 예로써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를 들 수 있다. 신규로 생산된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자는 단말기 제조업체로부터 직접 획득될 수도 있고, 각 제조업체의 신규 단말기에 대한 등록을 처리하는 서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다.
또한, 장비 신원 등록기(240)는 단말기(110, 120)의 상태 정보도 관리할 수 있다. 단말기(110, 120)의 상태 정보는 단말기(110, 120)가 정상인지의 여부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110, 120)의 상태 정보는 '정상(White)', '비정상(Black)', 및 '비정상 추정(Gray)'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단말기(110, 120)의 상태 정보는 '정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도난신고가 접수된 단말 기나 이동 통신망에 오작동을 유발시킬 수 있는 단말기(110, 120)의 상태 정보는 '비정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망에서 요구되는 통신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단말기나 상태 정보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불명확한 단말기의 상태 정보는 '비정상 추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장비 신원 등록기(240)가 단말기(110, 120)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방식에 대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동 통신망에서 상태 정보가 '비정상'인 단말기(110, 120)의 통신은 차단될 수 있는데, 상태 정보가 '비정상 추정'인 단말기(110, 120)에 대한 통신 차단 여부는 실시예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장비 신원 등록기(240)는 각 단말기(110, 120)의 단말기 식별자에 해당 단말기(110, 120)의 상태 정보를 매핑시켜 매핑 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규로 생성된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자를 획득한 경우, 장비 신원 등록기(240)는 단말기 식별자에 상태 정보로서 '정상'을 매핑시킬 수 있다. 만약, 단말기(110, 120)에 대한 분실 신고가 접수된다면, 장비 신원 등록기(240)는 해당 단말기(110, 120)의 단말기 식별자에 매핑된 상태 정보를 '정상'에서 '비정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서비스 제어 장치(280)는 단말기(110, 120)에 제공할 지능망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어 장치(280)는 단말기(100)에 대해 SMS(Short Message Service)나 USSD(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s Data) 기반의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서비스 제어 장치(280)는 단말기(110, 120)의 속성 정보에 따라서 단말기(110, 120)에게 적합한 서비스 로직을 구동시킬 수 있다. 서비스 제어 장치(280)는 단말기 제조업체가 생산하는 각종 단말기의 속성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물론 속성 정보를 관리하는 별도의 서버(도시하지 않음)가 존재하고, 서비스 제어 장치(280)는 해당 서버에 접근하여 단말기(110, 120)의 속성 정보를 확인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여기서 속성 정보는 단말기(110, 120)가 지원 가능한 언어, 단말기(110, 120)의 화면 해상도, 단말기(110, 120)에 구비된 코덱(codec)의 종류 등 단말기(110, 120)의 기능이나 성능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홈 위치 등록기(250)는 가입자의 위치 정보(예를 들어, 단말기(110, 120)가 현재 위치한 곳의 VLR(Visitor Location Register) 주소, MSC 주소 등)와 가입자 부가 서비스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인증 장치(260)는 이동 통신망 가입자에 대한 인증 및 무선 통화 구간에 대한 암호화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도 2에는 인증 장치(260)가 홈 위치 등록기(250)로부터 독립된 장치로 도시되어 있지만, 인증 장치(260)는 홈 위치 등록기(25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단문 메시지(115)가 송신되면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단문 메시지(115)에 포함된 식별 번호를 참조하여 해당 메시지(115)가 단문 메시지임을 확인하고, 단문 메시지(115)를 단문 서비스 센터(270)로 송신한다.
이에 따라, 단문 서비스 센터(270)는 홈 위치 등록기(250)에게 착신 단말 기(120)에서 이용되는 문자 코드 방식(제 2 문자 코드 방식)를 요청하고, 홈 위치 등록기(250)는 단문 서비스 센터(270)의 요청에 따라 제 2 문자 코드 방식을 응답한다. 이를 위하여, 홈 위치 등록기(250)에는 단말기별 문자 코드 방식을 포함하는 테이블(미도시)를 저장하거나, 해당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는 서버(미도시)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홈 위치 등록기(250)는 착신 단말기(120)의 단말기 식별자를 이용하여 제 2 문자 코드 방식을 판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단문 서비스 센터(270)와 홈 위치 등록기(250)는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동 통신 교환기(230)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홈 위치 등록기(250)로부터 제 2 문자 코드 방식을 응답받은 단문 서비스 센터(270)는 발신 단말기(110)에서 이용되는 문자 코드 방식(제 1 문자 코드 방식)과 제 2 문자 코드 방식을 비교하여, 제 1 문자 코드 방식과 제 2 문자 코드 방식이 다른 경우,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단문 메시지를 제 2 문자 코드 방식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제 1 문자 코드 방식은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발신 단말기(110)의 단말기 식별자가 참조되어 확인될 수 있으며, 홈 위치 등록기(250)를 통하여 확인될 수도 있다.
그리고, 단문 서비스 센터(270)는 제 2 문자 코드 방식으로 변환된 단문 메시지(이하, 변환 단문 메시지라 한다)의 크기가 이동 통신망에서 지원하는 전송 가능한 단문 메시지의 크기(이하, 전송 가능 메시지 크기라 한다)를 초과하는지 확인한다.
그리하여, 변환 단문 메시지의 크기가 전송 가능 메시지 크기를 초과하는 경 우, 단문 서비스 센터(270)는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단문 메시지 또는 변환 단문 메시지를 메시지 변환 장치(300)로 송신한다.
여기서, 제 1 문자 코드 방식은 KSC-5601(Korean Standard Code 5601)을 포함하고, 제 2 문자 코드 방식은 UCS-2(Universal Character Set 2)를 포함한다.
메시지(단문 메시지 또는 변환 단문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메시지 변환 장치(300)는 수신된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 센터(290)로 송신한다.
수신된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함에 있어서, 메시지 변환 장치(300)는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텍스트를 이미지로 생성하여 수신된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달받은 멀티미디어 서비스 센터(290)는 착신 단말기(120)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송신하고, 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신에 대한 과금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단말기상에서 출력되는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발신 단말기(110)의 사용자는 발신 단말기(110)에 구비된 입력 수단(버튼, 터치 패드 등)을 이용하여 송신하고자 하는 단문 메시지를 입력한다.
이 때, 발신 단말기(110)는 입력 중인 메시지의 크기가 이동 통신망에서 지원하는 전송 가능한 단문 메시지의 크기(전송 가능 메시지 크기)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안내 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입력 중인 메시지의 크기를 바이트 단위로 표시하거나 입력 가능한 메시지의 크기를 퍼센트로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단문 메시지를 입력함에 있어서 발신 단말기(110)의 사용자는 전송 가능 메시지 크기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이내로 단문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발신 단말기(110)로 입력된 단문 메시지는 발신 단말기(110)와 착신 단말기(120)에서 이용되는 문자 코드의 상이함으로 인하여 착신 단말기(120)에서 이용되는 문자 코드로 변환되고, 변환된 단문 메시지는 그 크기로 인하여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신 단말기(120)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는데, 착신 단말기(120)의 사용자는 단문 메시지를 수신한 것과 마찬가지로 발신 단말기(110)의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310)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착신 단말기(120)에서 출력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320)는 착신 단말기(120)에서 지원하는 문자 코드로 변환된 텍스트 형식일 수 있으며, 이미지로 변환된 것일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 알림 프레임(400)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멀티미디어 메시지 알림 프레임(400)은 발신 단말기 번호 필드(410), 착신 단말기 번호 필드(420), 메시지 변환 플래그 필드(430)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 저장 정보 필드(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발신 단말기(110)에 의하여 단문 메시지가 송신되고, 송신된 단 문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착신 단말기(120)로 전송되는 대상인 경우, 해당 단문 메시지는 착신 단말기 사용자의 조작이 없더라도 착신 단말기(120)에 구비된 저장 수단에 임시로 저장된다.
그리고, 착신 단말기 사용자는 단말기(120)에 구비된 버튼 등을 조작함으로써, 저장 수단에 저장된 단문 메시지를 화면상에 표시하여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경우, 사용자의 수신 명령이 입력되기 전까지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착신 단말기(120)로 송신되지 않고, 사용자로부터 수신 명령을 입력받고 나서야 멀티미디어 서비스 센터(290)로부터 송신된다.
즉, 착신 단말기(120)로 전송 대기 중인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발생하는 경우, 착신 단말기(120)의 화면에는 이를 알리는 문구만이 표시될 뿐인 것이다.
그런데,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전송을 위하여 사용되는 대역에 대하여는 별도의 사용료가 부과되는데, 이에 따라 착신 단말기(120)의 사용자는 해당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광고 등의 스팸 정보인 것으로 간주하고 확인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전송 대기 중인 경우 착신 단말기(120)의 화면에는 전송 대상인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발신 단말기(110)로부터 송신된 단문 메시지를 기초로 생성된 것임을 나타내는 안내 정보가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알림 프레임(400)은 전송 대기 중인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발생하였음을 착신 단말기(120)에게 알리기 위하여 이용되는 것으로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센터(290)는 단문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한 후에 멀티미디어 메시지 알림 프레임(400)을 착신 단말기(120)로 송신한다.
발신 단말기 번호 필드(410) 및 착신 단말기 번호 필드(420)에는 각각 발신 단말기(110) 및 착신 단말기(120)의 번호가 명시되는데, 발신 단말기 번호 필드(410) 및 착신 단말기 번호 필드(420)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알림 프레임(400)에서 삭제될 수도 있다.
메시지 변환 플래그 필드(430)에는 전송 대상인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단문 메시지를 기초로 변환된 것인지를 나타내는 플래그가 명시된다.
예를 들어, 메시지 변환 플래그 필드(430)에 0의 값이 입력된 경우 이는 일반적인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전송 대상인 것을 나타내고, 메시지 변환 플래그 필드(430)에 1의 값이 입력된 경우 이는 단문 메시지를 기초로 변환된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전송 대상인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멀티미디어 메시지 저장 정보 필드(440)에는 전송 대상인 멀티미디어 메시지로의 접근 정보가 명시된다. 여기서, 접근 정보로는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 위치일 수 있으며, 해당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지시하는 고유한 식별 번호일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서비스 센터(290)는 각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대하여 고유 식별 번호를 부여하고 고유 식별 번호별로 대응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저장 위치를 저장하고 있다가, 착신 단말기(120)로부터 고유 식별 번호를 수신하게 되면 해당 저장 위치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추출하여 착신 단말기(120)로 송신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 알림 화면을 나타낸 도 면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메시지 알림 프레임(400)의 메시지 변환 플래그 필드(430)에 해당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단문 메시지를 기초로 변환된 것임을 명시하는 플래그가 명시된 경우 착신 단말기(120)에서 표시되는 화면(500)을 나타낸 도면이다.
착신 단말기(120)의 사용자는 화면(500)에 표시된 문구를 확인하여 전송 대상인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발신 단말기(110)의 사용자에 의하여 작성된 단문 메시지를 기초로 생성된 멀티미디어 메시지임을 확인하여 연결 버튼(510) 또는 취소 버튼(520)을 선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착신 단말기(120)의 사용자가 연결 버튼(510)을 선택하는 경우, 착신 단말기(120)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센터(290)로 해당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저장 위치를 송신하거나 고유 식별 번호를 송신하는데,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서비스 센터(290)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추출하여 착신 단말기(120)로 송신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변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발신 단말기(110)가 단문 메시지를 송신하면, 이동 통신 교환기(230)는 이를 수신하여(S610) 단문 서비스 센터(270)로 송신한다.
이에, 단문 서비스 센터(270)는 발신 단말기(110)에 의하여 이용되는 문자 코드(제 1 문자 코드)와 착신 단말기(120)에 의하여 이용되는 문자 코드(제 2 문자 코드)가 동일한지를 확인한다(S620).
그리하여, 제 1 문자 코드와 제 2 문자 코드가 동일하면, 단문 서비스 센터(270)는 해당 단문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120)로 송신한다(S670).
한편, 제 1 문자 코드와 제 2 문자 코드가 상이한 경우, 단문 서비스 센터(270)는 수신된 단문 메시지를 제 2 문자 코드 방식으로 변환한다(S630).
그리고, 단문 서비스 센터(270)는 변환된 단문 메시지의 크기가 이동 통신망에서 지원하는 전송 가능 단문 메시지의 크기(전송 가능 메시지 크기)를 초과하는지 확인한다(S640).
그리하여, 변환된 단문 메시지의 크기가 전송 가능 메시지 크기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단문 서비스 센터(270)는 해당 단문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120)로 송신한다(S670).
한편, 변환된 단문 메시지의 크기가 전송 가능 메시지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단문 서비스 센터(270)는 수신된 단문 메시지 또는 변환된 단문 메시지를 메시지 변환 장치(300)로 송신한다.
메시지 변환 장치(300)는 수신된 단문 메시지 또는 변환된 단문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한다(S650).
멀티미디어 메시지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센터(290)로 전달되고, 멀티미디어 서비스 센터(290)는 해당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120)로 송신한다(S660).
여기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센터(290)에 의한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송신은 해당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저장 수단에 저장하고 있다가, 착신 단말기 사용자의 수신 명령에 따라 추출하여 송신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 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단문 메시지가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메시지 변환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및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단말기상에서 출력되는 화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 알림 프레임(4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메시지 알림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변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11, 212 : 기지국 220 : 무선망 제어기
230 : 이동 통신 교환기 240 : 장비 신원 등록기
250 : 홈 위치 등록기 260 : 인증 장치
270 : 단문 서비스 센터 280 : 서비스 제어 장치
290 : 멀티미디어 서비스 센터 300 : 메시지 변환 장치

Claims (12)

  1. 발신 단말기에서 이용되는 제 1 문자 코드 방식으로 작성된 단문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에서 이용되는 제 2 문자 코드 방식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문자 코드 방식으로 변환된 단문 메시지의 크기를 확인하는 단문 서비스 센터;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2 문자 코드 방식으로 변환된 단문 메시지의 크기가 이동 통신망에서 지원하는 전송 가능 단문 메시지의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문자 코드 방식으로 변환된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텍스트 전체를 이미지로 생성함으로써, 상기 제2 문자 코드 방식으로 변환된 단문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하는 메시지 변환 장치; 및
    상기 변환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센터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변환하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센터는 상기 변환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기로 송신하기 전에, 상기 변환된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단문 메시지를 기초로 생성된 것임을 나타내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알림 프레임을 상기 착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메시지를 변환하는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2 문자 코드 방식으로 변환된 단문 메시지의 크기가 상기 이동 통신망에서 지원하는 전송 가능 단문 메시지의 크기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문 서비스 센터는 상기 제2 문자 코드 방식으로 변환된 단문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메시지를 변환하는 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기에서 이용되는 제 2 문자 코드 방식을 확인하는 홈 위치 등록기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를 변환하는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문자 코드 방식은 KSC-5601(Korean Standard Code 5601)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문자 코드 방식은 UCS-2(Universal Character Set 2)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변환하는 시스템.
  7. 발신 단말기에서 이용되는 제 1 문자 코드 방식으로 작성된 단문 메시지를 착신 단말기에서 이용되는 제 2 문자 코드 방식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문자 코드 방식으로 변환된 단문 메시지의 크기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2 문자 코드 방식으로 변환된 단문 메시지의 크기가 이동 통신망에서 지원하는 전송 가능 단문 메시지의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문자 코드 방식으로 변환된 단문 메시지에 포함된 텍스트 전체를 이미지로 생성함으로써, 상기 제2 문자 코드 방식으로 변환된 단문 메시지를 멀티미디어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변환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변환된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상기 발신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단문 메시지를 기초로 생성된 것임을 나타내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알림 프레임을 상기 착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를 변환하는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제2 문자 코드 방식으로 변환된 단문 메시지의 크기가 상기 이동 통신망에서 지원하는 전송 가능 단문 메시지의 크기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문자 코드 방식으로 변환된 단문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를 변환하는 방법.
  10. 삭제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기에서 이용되는 제 2 문자 코드 방식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메시지를 변환하는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문자 코드 방식은 KSC-5601(Korean Standard Code 5601)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문자 코드 방식은 UCS-2(Universal Character Set 2)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변환하는 방법.
KR20080075100A 2008-07-31 2008-07-31 메시지를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017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5100A KR101017436B1 (ko) 2008-07-31 2008-07-31 메시지를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75100A KR101017436B1 (ko) 2008-07-31 2008-07-31 메시지를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532A KR20100013532A (ko) 2010-02-10
KR101017436B1 true KR101017436B1 (ko) 2011-02-25

Family

ID=42087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75100A KR101017436B1 (ko) 2008-07-31 2008-07-31 메시지를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74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496Y1 (ko) 2016-01-05 2018-09-28 (주)에코로 현관수납장용 물품보관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609A (ko) * 2002-08-23 2004-03-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신망을 이용한 장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40107867A (ko) * 2003-06-14 2004-12-23 엠씨오 주식회사 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27477A (ko) * 2003-09-15 2005-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시지의 데이터 크기 자동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69328A (ko) * 2003-12-31 2005-07-0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변환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609A (ko) * 2002-08-23 2004-03-0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신망을 이용한 장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40107867A (ko) * 2003-06-14 2004-12-23 엠씨오 주식회사 멀티미디어메시지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27477A (ko) * 2003-09-15 2005-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시지의 데이터 크기 자동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050069328A (ko) * 2003-12-31 2005-07-0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변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532A (ko) 201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82902B2 (ja) ショートメッセージを送信する移動通信システム
EP1365607B1 (en) SMS message storing method of GSM terminal
US7336955B2 (en) Interconnection agreement determin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CN101128055A (zh) 使用接入类别禁止列表提供分组服务状态的装置和方法
JP7230065B2 (ja) セルブロードキャストにより無線緊急警報メッセージとともに位置情報をデバイスに送信すること
KR101017436B1 (ko) 메시지를 변환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1394594A (zh) 一种传送消息的方法及相关设备
CN102970661A (zh) 一种对短消息进行编码转换的方法及装置
KR20060083485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메시지 자동 번역 시스템 및 방법
KR100718790B1 (ko) Cdma망에서 wcdma 단문 메시지(sms)를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45325B1 (ko) 무선 자동 등록을 이용한 wcdma 단말기 가입자 전화번호 변경 방법
KR100956793B1 (ko) 메시지 상호 호환성을 제공하는 메시지 포맷 변경 방법 및그를 위한 메시지 서버
KR100667327B1 (ko) Ussd를 이용한 고객 응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931729B1 (ko) 국제 통신 설정 방법 및 시스템
US7024212B2 (en) Method for serving broadcasting type short message in radio data communication system
CN101316387B (zh) 一种实现短消息业务的方法、系统及归属位置寄存器
JP5243948B2 (ja) ショートメッセージ制御装置及びショートメッセージ制御方法
KR10085929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영상 메시지의 수신 제어 방법
KR100991552B1 (ko)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076094B1 (ko) 호 전환을 차단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963972B1 (ko) 콜백 번호 전환 장치 및 방법
KR20090120210A (ko)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40064854A (ko) 특정 코드를 이용한 착신 확인 메시지 제공 방법 및 그방법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1069018B1 (ko) 부재중 착신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574758B1 (ko) 이동통신 단말의 문자 세트 규격에 적용되는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