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3418B1 - mVoIP 서비스에서 통화 연결음과 연계된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mVoIP 서비스에서 통화 연결음과 연계된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3418B1
KR101313418B1 KR1020110084711A KR20110084711A KR101313418B1 KR 101313418 B1 KR101313418 B1 KR 101313418B1 KR 1020110084711 A KR1020110084711 A KR 1020110084711A KR 20110084711 A KR20110084711 A KR 20110084711A KR 101313418 B1 KR101313418 B1 KR 101313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all request
terminal
calling terminal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4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2048A (ko
Inventor
김정일
정연범
김경원
이완용
박정수
Original Assignee
(주)에스모바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모바일 filed Critical (주)에스모바일
Priority to KR1020110084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418B1/ko
Publication of KR20130022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2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4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96Supplementary features, e.g. call forwarding or call hol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17Customized ring-back tones

Abstract

mVoIP 서비스에서 컨텐츠를 표시하여 무료로 통화 연결음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mVoIP 서비스에서 통화 연결음을 제공하는 장치는 발신 단말에서 착신 단말로의 통화 요청을 수신하는 통화 요청 수신부; 상기 통화 요청에 대응하여 착신 단말에 의해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컨텐츠 선택부 및 착신 단말이 통화 요청에 응답할 때까지 통화 연결음 및 컨텐츠를 발신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mVoIP 서비스에서 통화 연결음과 연계된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CONNECTED RING BACK TONE IN MVOIP SERVICE}
본 발명은 mVoIP 서비스에서 통화 연결음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mVoIP 서비스에서 발신 단말이 착신 단말의 통화 요청을 대기하면서 착신 단말이 설정한 통화 연결음을 재생하는 동안 광고주의 광고를 표시함으로써 착신 단말이 무료로 통화 연결음을 사용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스마트 폰의 발전에 따라 스마트 폰에서 인터넷 회선을 사용하여 무료 통화가 가능한 mVoIP 서비스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mVoIP 서비스는 착신자의 통화연결음 설정 같은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우며, PC 기반의 VoIP 서비스에 기초하여 개발되었으므로 이동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에 대응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mVoIP 서비스에서도 일반 PSTN이나 핸드폰에서처럼 고객이 선택한 통화 연결음을 제공하고, 모바일 단말기의 특징에 따른 추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발신 단말이 착신 단말의 통화 요청을 대기하면서 착신 단말이 설정한 통화 연결음을 재생하는 동안 광고주의 광고를 표시함으로써 착신 단말이 무료로 통화 연결음을 사용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신 단말이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성능을 나타내는 트래픽 처리 성능에 기초하여 발신 단말에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함으로써, 발신 단말이 제공받기 적합한 크기의 컨텐츠를 발신 단말에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제공할 컨텐츠를 미리 다운로드 하여 캐싱함으로써 접속한 네트워크의 트래픽 처리 능력이 낮은 경우에도, 적은 용량의 제어 명령 수신으로 대용량의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발신자가 관심을 가지는 통화 연결음을 그대로, 또는 발신자가 원하는 형태로 편집하여 발신 단말의 벨 소리로 사용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는 발신 단말에서 착신 단말로의 통화 요청을 수신하는 통화 요청 수신부; 상기 통화 요청에 대응하여 착신 단말에 의해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컨텐츠 선택부 및 착신 단말이 통화 요청에 응답할 때까지 통화 연결음 및 컨텐츠를 발신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는 발신 단말에서 착신 단말로의 통화 요청을 수신하는 통화 요청 수신부; 상기 통화 요청에 대응하여 발신 단말에 제공할 복수의 컨텐츠를 컨텐츠 시퀀스로 가공하는 컨텐츠 가공부 및 착신 단말이 통화 요청에 응답할 때까지 통화 연결음 및 상기 컨텐츠 시퀀스를 발신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는 발신 단말에서 착신 단말로의 통화 요청을 수신하는 통화 요청 수신부; 상기 통화 요청에 대응하여 발신 단말의 종류 정보, 발신 단말의 위치 정보, 현재 시간 정보, 발신자의 관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선택하는 컨텐츠 선택부; 및 착신 단말이 통화 요청에 응답할 때까지 통화 연결음 및 상기 컨텐츠를 발신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은 착신 단말로의 통화 요청을 전송하는 통화 요청 전송부; 착신 단말이 통화 요청에 응답할 때까지 통화 연결음 및 상기 통화 요청에 대응하여 착신 단말에 의해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 및 착신 단말이 통화 요청에 응답할 때까지 수신한 통화 연결음과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은 착신 단말로의 통화 요청을 전송하는 통화 요청 전송부; 착신 단말이 통화 요청에 응답할 때까지 통화 연결음 및 상기 통화 요청에 대응하여 착신 단말에 의해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 수신한 통화 연결음을 저장하고 편집하는 음원 편집부; 및 착신 단말이 통화 요청에 응답할 때까지 수신한 통화 연결음과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은 착신 단말로의 통화 요청을 전송하는 통화 요청 전송부; 착신 단말이 통화 요청에 응답할 때까지 통화 연결음 및 상기 통화 요청에 대응하여 착신 단말에 의해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 컨텐츠와 관련된 위치 정보를 검색하는 위치 검색부; 및 착신 단말이 통화 요청에 응답할 때까지 수신한 통화 연결음과 컨텐츠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은 발신 단말에서 착신 단말로의 통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화 요청에 대응하여 착신 단말에 의해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및 착신 단말이 통화 요청에 응답할 때까지 통화 연결음 및 컨텐츠를 발신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은 착신 단말로의 통화 요청을 컨텐츠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통화 연결음 및 상기 통화 요청에 대응하여 착신 단말에 의해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 및 착신 단말이 통화 요청에 응답할 때까지 수신한 통화 연결음과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발신 단말이 착신 단말의 통화 요청을 대기하면서 착신 단말이 설정한 통화 연결음을 재생하는 동안 무료 통화 연결음 제공 서비스와 관련된 광고주의 광고를 표시함으로써, 착신자는 무료로 통화 연결음을 사용할 수 있고, 광고주는 발신자에게 광고를 노출할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발신 단말이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성능을 나타내는 트래픽 처리 성능에 기초하여 발신 단말에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함으로써, 발신 단말이 제공받기 적합한 크기의 컨텐츠를 발신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제공할 컨텐츠를 미리 다운로드 하여 캐싱함으로써 접속한 네트워크의 트래픽 처리 능력이 낮은 경우에도, 적은 용량의 제어 명령 수신으로 대용량의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발신 단말이 컨텐츠와 관련된 장소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와 함께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컨텐츠에 관심을 가지는 경우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장소를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발신 단말이 통화 연결음을 저장하고, 편집함으로써 발신자가 관심을 가지는 통화 연결음을 그대로, 또는 발신자가 원하는 형태로 편집하여 발신 단말의 벨 소리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와 다른 장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를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가 트래픽 처리 성능을 기초로 컨텐츠를 선택하는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가 위치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를 선택하는 실시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이 컨텐츠와 위치 정보를 매핑하여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발신 단말이 컨텐츠를 캐싱한 경우 컨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은 컨텐츠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120)와 다른 장치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120)는 모바일 단말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인터넷 전화인 mVoIP(mobile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120)는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 단말(110)로부터 통화 요청을 수신하면, 통화 요청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기초로 대응하는 착신 단말(130)을 검색하고, 착신 단말(130)에 수신한 통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착신 단말(130)은 착신자가 발신 단말(110)에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하는 무료 통화 연결음 제공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일 수 있다. 이때, 무료 통화 연결음 제공 서비스는 착신자가 무료 통화 연결음을 사용하면 발신자에게 광고를 노출하고, 광고가 노출된 광고주의 광고료로 착신자의 통화 연결음 서비스 비용을 지불하는 서비스일 수 있다.
다음으로, 컨텐츠 제공 장치(120)는 착신 단말(130)에 의해 설정된 컨텐츠와 통화 연결음을 발신 단말(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공 장치(120)는 통화 연결음은 스트리밍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착신 단말(130)에 의해 설정된 컨텐츠는 착신자가 계약한 무료 통화 연결음 제공 서비스에 대응하는 광고주의 광고 중 하나일 수 있다. 이때, 광고는 통화 연결음에 방해되지 않도록 소리가 없는 이미지 형태의 광고일 수 있다.
이때, 발신 단말(110)은 착신 단말(130)이 통화 요청에 응답할 때까지 통화 연결음을 재생하고,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컨텐츠 제공 장치(120)는 착신 단말(130)이 통화 요청에 응답하면, 발신 단말(110)로 통화 연결음과 컨텐츠를 전송하던 것을 종료하고, 발신 단말(110)과 착신 단말(130) 간의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공 장치(120)가 연결하는 통화는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중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120)는 발신 단말(110)이 착신 단말(130)의 통화 요청을 대기하면서 착신 단말(130)이 설정한 통화 연결음을 재생하는 동안 무료 통화 연결음 제공 서비스와 관련된 광고주의 광고를 표시함으로써, 착신자는 무료로 통화 연결음을 사용할 수 있고, 광고주는 발신자에게 광고를 노출할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120)를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120)는 통화 요청 수신부(210), 컨텐츠 선택부(220), 컨텐츠 가공부(330) 및 서비스 제공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화 요청 수신부(210)는 발신 단말(110)로부터 착신 단말(130)로의 통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통화 요청 수신부(210)는 통화 요청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기초로 대응하는 착신 단말(130)을 검색하고, 착신 단말(130)에 수신한 통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선택부(220)는 통화 요청 수신부(210)가 수신한 통화 요청에 대응하여 착신 단말에 의해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선택부(220)는 착신 단말(130)이 무료 통화 연결음 제공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착신 단말(130)이 무료 통화 연결음 제공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인 경우, 무료 통화 연결음 제공 서비스에 대응하는 광고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선택부(220)는 발신 단말(110)과 연동하는 네트워크의 트래픽 처리 성능에 기초하여 발신 단말에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선택부(220)는 컨텐츠를 제공할 때 필요한 데이터 리소스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등급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컨텐츠 선택부(220)는 발신 단말(110)과 연동하는 네트워크의 트래픽 처리 성능에 기초하여 등급을 결정하고, 등급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선택부(220)는 BSP(Bit Per Second), 또는 PPS(Packet Per Second)를 사용하여 발신 단말과 연동하는 네트워크의 트래픽 처리 성능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래픽 처리 성능을 1 내지 100의 백분율로 구분하고, 컨텐츠의 등급을 1 내지 10등급으로 분류한 경우, 컨텐츠 선택부(220)는 발신 단말(110)이 컨텐츠 제공 장치(120)에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한 네트워크의 트래픽 성능이 70이면, 7등급에 대응하는 컨텐츠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선택부(220)는 발신 단말(110)이 컨텐츠 제공 장치(120)에 접속하기 위하여 사용한 네트워크의 트래픽 성능이 30이면, 3등급에 대응하는 컨텐츠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3등급에 대응하는 컨텐츠는 7등급에 대응하는 컨텐츠에 비하여 이미지의 크기나 화질이 낮아 용량이 적은 컨텐츠일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선택부(220)는 발신 단말의 종류 정보, 발신 단말의 위치 정보, 현재 시간 정보, 발신자의 관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때, 컨텐츠 선택부(220)는 발신 단말의 종류를 기초로 발신 단말의 성능 또는, 발신 단말의 종류에 따른 고객층을 판별하고, 판별 결과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컨텐츠 선택부(220)는 발신 단말의 종류를 기초로 발신 단말의 성능을 판별하고, 발신 단말의 성능으로 표시 가능한 최고 퀼리티의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선택부(220)는 발신 단말의 종류를 기초로 발신 단말의 타겟 대상을 판별하고, 타겟 대상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발신 단말(110)이 노인을 위한 실버폰인 경우, 컨텐츠 선택부(220)는 노인을 위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고를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발신 단말(110)이 PC인 경우, 컨텐츠 선택부(220)는 PC에 대응하는 광고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선택부(220)는 발신 단말의 위치를 기초로 발신 단말의 위치에서 일정 거리 안에 있는 업체의 광고를 선택하거나, 발신 단말의 위치에서 따른 광고를 선택할 수 도 있다. 이때, 컨텐츠 선택부(220)는 현재 시간을 기초로 영업중인 업체의 광고를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컨텐츠 선택부(220)는 발신 단말(110)이 도심지와 외각 지역 중 어디에 있는지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위치에 따라 컨텐츠를 선택하는 실시예는 이하 도 5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컨텐츠 선택부(220)는 발신자가 mVoIP 서비스에 가입하는 과정에서 입력한 관심 정보에 대응하는 업체의 광고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때, 발신자의 관심 정보는, 발신자의 성별, 나이, 취미와 같이 발신자가 설정한 정보, 발신 단말에서 사용자가 실행한 프로그램 이력, 및 발신자가 설정한 컨텐츠의 포맷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가공부(230)는 컨텐츠 선택부(220)가 선택한 복수의 컨텐츠를 컨텐츠 시퀀스로 가공할 수 있다.
mVoIP는 일반 통화와 비교할 경우, 패킷 호의 세션을 연결하고, 서버에서 호를 전송(Push)하여 착신 단말이 기동(Wake-Up)을 하는 절차를 필요로 하므로 착신 단말(130)로부터 통화 요청에 대한 응답을 전송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일반 통화 보다 긴 경우가 많다. 따라서, 컨텐츠 선택부(220)는 발신 단말(110)로 전송할 복수의 컨텐츠를 선택하고, 컨텐츠 가공부(230)는 컨텐츠 선택부(220)가 선택한 복수의 컨텐츠의 노출 순서를 결정하여 컨텐츠 시퀀스로 가공할 수 있다.
일례로, 컨텐츠 선택부(220)는 무료 통화 연결음 제공 서비스에 대응하는 광고와 착신자가 착신 단말(130)를 사용하여 등록한 컨텐츠를 선택하고, 컨텐츠 가공부(230)는 광고가 노출된 다음에 착신자가 등록한 컨텐츠가 노출되도록 노출 순서를 결정함으로써, 착신자가 광고를 사용하여 통화 연결음을 무료로 사용하면서도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발신자에게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착신자가 등록한 컨텐츠는 사진, 동영상, 또는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240)는 착신 단말(130)이 통화 요청에 응답할 때까지 통화 연결음 및 컨텐츠를 발신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부(240)는 발신 단말(110)이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컨텐츠를 미리 다운로드 하여 캐싱한 경우, 컨텐츠의 노출과 관련된 제어 정보를 발신 단말(110)로 제공함으로써, 발신 단말(110)이 캐싱한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부(240)는 먼저, 컨텐츠 선택부(220)가 선택한 컨텐츠의 식별 정보를 발신 단말(110)로 전송하고, 발신 단말(110)로부터 컨텐츠 선택부(220)가 선택한 컨텐츠 중에서 캐싱된 컨텐츠들의 리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비스 제공부(240)는 캐싱된 컨텐츠를 대신하여 캐싱된 컨텐츠의 노출과 관련된 제어 정보를 통화 연결음과 함께 발신 단말(1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부(240)는 컨텐츠 가공부(230)가 가공한 컨텐츠 시퀸스를 통화 연결음과 함께 발신 단말(11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노출 순서가 빠를수록 발신 단말(110)에서 노출될 가능성이 높고, 노출 순서가 느릴수록 발신 단말(110)에서 노출될 가능성이 낮으므로, 서비스 제공부(240)는 상기 컨텐츠 시퀀스에 포함된 컨텐츠의 순서에 기초하여 과금을 다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120)는 발신 단말(110)이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성능을 나타내는 트래픽 처리 성능에 기초하여 발신 단말에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함으로써, 발신 단말(110)이 제공받기 적합한 크기의 컨텐츠를 발신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120)는 복수의 컨텐츠를 발신 단말(110)에 제공함으로써 무료 통화 연결음 서비스와 관련된 광고 이외에도 착신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발신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으며, 복수의 광고를 표시하는 경우 노출 순서에 따라 과금을 다르게 함으로써 광고주는 노출 확률에 대응하는 광고료를 지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120)는 컨텐츠를 캐싱한 발신 단말(110)에는 캐싱된 컨텐츠를 제어하는 저 용량 제어 명령만 전송함으로써 고 용량 정보의 전송이 불가능한 네트워크 상태에서도 발신 단말(110)이 고 용량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110)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110)은 통화 요청 전송부(310), 컨텐츠 수신부(320), 컨텐츠 캐싱부(330), 위치 검색부(340), 음원 편집부(350) 및 컨텐츠 제공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화 요청 전송부(310)는 발신자의 입력에 따라 컨텐츠 제공 장치(120)에 착신 단말(130)로의 통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수신부(320)는 컨텐츠 제공 장치(120)로부터 통화 연결음 및 상기 통화 요청에 대응하여 착신 단말에 의해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장치(120)에 의하여 착신 단말(130)과 통화가 연결된 경우, 통화 요청 전송부(310)는 발신자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 정보를 컨텐츠 제공 장치(120)로 전송하고, 컨텐츠 수신부(320)는 착신자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 정보를 컨텐츠 제공 장치(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 캐싱부(330)는 착신 단말이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여 캐싱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캐싱부(330)는 컨텐츠 제공 장치(120)로부터 컨텐츠 식별 정보를 수신한 경우, 캐싱된 컨텐츠에서 컨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를 통화 요청 전송부(310)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 장치(1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캐싱부(330)는 네트워크의 트래픽 처리 성능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다운로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컨텐츠 캐싱부(330)는 발신 단말(110)이 접속한 네트워크가 속도가 빠른 와이파이(Wi-Fi)인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120)에서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여 캐싱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컨텐츠 캐싱부(330)는 발신 단말(110)이 접속한 네트워크가 속도가 느린 3G나 4G와 같은 무선통신 구간에서 동작중인 경우, 컨텐츠를 다운로드하지 않음으로써 컨텐츠 다운로드에 필요한 시간이나 네트워크의 자원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캐싱부(330)는 발신자의 데이터 요금제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다운로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컨텐츠 캐싱부(330)는 발신자가 3G나 4G와 같은 무선 통신의 사용중인 상태에서도 무제한으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무제한 요금제에 가입한 경우, 발신 단말(110)이 접속한 네트워크의 종류에 상관 없이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여 캐싱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컨텐츠 캐싱부(330)는 발신자가 3G나 4G와 같은 무선통신 구간에서 사용 가능한 데이터 용량이 적은 경우, 발신 단말(110)이 접속한 네트워크가 무료로 사용 가능한 와이파이(Wi-Fi)일 때만 컨텐츠를 다운로드 함으로써 발신자에게 컨텐츠 다운로드 비용이 추가로 과금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캐싱부(330)는 발신 단말(110)이 접속한 네트워크가 3G나 4G의 무선 통신 구간일 때, 발신자가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요청하면, 발신자에게 과금에 대한 메시지를 표시하고, 발신자가 메시지에 동의한 경우 컨텐츠를 다운로드 할 수도 있다.
위치 검색부(340)는 컨텐츠 수신부(320)가 수신한 컨텐츠와 관련된 위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수신부(320)가 수신한 컨텐츠가 A 레스토랑의 광고인 경우, 위치 검색부(340)는 A 레스토랑, A 레스토랑의 지점이나 체인점 중 적어도 하나를 검색할 수 있다.
음원 편집부(350)는 컨텐츠 수신부(320)가 수신한 통화 연결음을 저장하고 편집할 수 있다. 이때, 음원 편집부(350)는 저장한 통화 연결음의 재생 속도, 모드,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편집할 수 있다.
또한, 음원 편집부(350)는 저장, 또는 편집한 통화 연결음을 발신 단말(110)의 벨 소리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신자가 통화 연결음에 관심을 가지는 경우, 발신자는 음원 편집부(350)를 사용하여 통화 연결음을 저장하고, 발신자가 원하는 형태로 편집하여 발신 단말(110)의 벨 소리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음원 편집부(350)는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수신한 통화 연결음의 재생 구간이 짧은 경우,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화 연결음으로 설정된 음원을 다운로드 하여 저장하고 편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화 연결음이 4분 동안 재생되는 A라는 음원이고, 착신자가 통신 수락을 빨리 한 경우, 컨텐츠 수신부(320)가 수신한 A는 20초 이하로 재생되는 구간일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수신부(320)가 수신한 20초 분량의 음원은 편집하기에 너무 짧을 수 있으므로, 음원 편집부(35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A라는 음원을 검색하고, 해당 음원을 다운로드 함으로써, 발신자가 A에서 원하는 구간을 편집하도록 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부(360)는 착신 단말(130)이 통화 요청에 응답할 때까지 컨텐츠 수신부(320)가 수신한 통화 연결음과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제공부(360)는 통화 연결음을 재생하고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수신부(320)가 컨텐츠 제공 장치(120)로부터 컨텐츠를 대신하여 캐싱된 컨텐츠의 제어 정보를 수신한 경우, 컨텐츠 제공부(360)는 수신한 제어 정보에 따라 컨텐츠 캐싱부(330)에서 캐싱된 컨텐츠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부(360)는 위치 검색부(340)가 검색한 위치 정보를 지도 상에 매핑하여 컨텐츠와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공부(360)는 발신 단말의 현재 위치에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장소로 이동하기 위한 경로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위치 정보를 지도 상에 매핑하여 컨텐츠와 함께 표시하는 실시예는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부(360)는 발신자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를 저장하고, 통화가 종료된 이후 브라우저로 저장된 컨텐츠와 관련된 사이트를 검색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110)은 사용자에게 제공할 컨텐츠를 미리 다운로드 하여 캐싱함으로써 접속한 네트워크의 트래픽 처리 능력이 낮은 경우에도, 적은 용량의 제어 명령 수신으로 대용량의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110)은 컨텐츠와 관련된 장소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와 함께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컨텐츠에 관심을 가지는 경우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장소를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110)은 통화 연결음을 저장하고, 편집함으로써 발신자가 관심을 가지는 통화 연결음을 그대로, 또는 발신자가 원하는 형태로 편집하여 발신 단말(110)의 벨 소리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120)가 트래픽 처리 성능을 기초로 컨텐츠를 선택하는 실시예이다.
컨텐츠 제공 장치(120)가 발신 단말(110)의 신호 수신 강도(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를 기초로 컨텐츠를 선택하면, 발신 단말(110)이 Wi-Fi 망의 공유기에 인접하여 신호 강도가 강하지만 해당 공유기와 접속한 다른 단말이 많아서 트래픽에 부하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발신 단말(110)과 연동하는 네트워크의 성능이 높다고 오판하고 대용량의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발신 단말(110)이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는 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120)는 발신 단말(110)이 컨텐츠를 다운로드 할 수 있는 성능을 나타내는 트래픽 처리 성능에 기초하여 발신 단말에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함으로써, 발신 단말(110)이 다운로드하기 적합한 크기의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제공 장치(120)는 공유기(420)를 통한 Wi-Fi를 사용하여 트래픽 처리 성능이 높은 발신 단말(410)에는 디테일 한 이미지를 포함하여 용량이 큰 컨텐츠(411)를 전송하고, 3G나 4G와 같은 무선통신을 사용하여 트래픽 처리 성능이 낮은 발신 단말(430)에는 간략화된 이미지를 포함하여 용량이 작은 컨텐츠(431)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발신 단말(410)은 트래픽 처리 성능이 높으므로 용량이 큰 컨텐츠(411)도 지연 없이 제공 받을 수 있고, 발신 단말(430)는 트래픽 처리 성능이 낮지만 컨텐츠(431)의 용량도 적으므로 지연 없이 컨텐츠(431)을 제공받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 단말이 컨텐츠 제공 장치(120)와 접속한 네트워크의 트래픽 처리 성능을 기초로 발신 단말이 지연 없이 제공받을 수 있는 용량의 컨텐츠를 선택으로써, 발신 단말이 접속한 네트워크의 상태가 달라도 컨텐츠를 지연 없이 발신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120)가 위치 정보를 기초로 컨텐츠를 선택하는 실시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 단말들로부터 일정 거리 안에 위치한 기지국(530)의 숫자를 식별하고, 기지국(530)의 숫자에 따라 발신 단말의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일례로, 발신 단말(510)의 주변에 복수의 기지국(530)이 위치하는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120)는 발신 단말(510)이 도시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공 장치(120)는 승용차와 같이 도시에서 사용할 물건에 대한 광고 컨텐츠(511)를 발신 단말(510)에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발신 단말(520)의 주변에 하나의 기지국(530)이 위치하는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120)는 발신 단말(520)이 시외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공 장치(120)는 트럭과 같이 시외에서 사용할 물건에 대한 광고 컨텐츠(521)를 발신 단말(52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신 단말의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컨텐츠를 선택함으로써 발신자에게 적합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110)이 컨텐츠와 위치 정보를 매핑하여 표시하는 화면의 일례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1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620)와 컨텐츠와 관련된 위치 정보(631)가 매핑 된 지도(630)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발신 단말(110)는 착신 단말(130)이 통화 요청을 응답하지 않아 통화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통화를 연결하고 있는 중이라는 메시지(610)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발신 단말(110)는 발신 단말의 위치(632)를 지도 상에 표시하고, 발신 단말의 위치(632)에서 컨텐츠와 관련된 위치 정보(631)로 이동하기 위한 경로(633)을 더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컨텐츠와 관련된 장소로 이동하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발신 단말(110)은 네트워크의 트래픽 처리 성능에 따라 위치 정보(631)에 대응하는 지도의 다운로드가 지연되는 경우, 지도(630)를 대신하여 발신 단말의 위치(632)를 기준으로 위치 정보(631)의 방향과 거리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단계(S710)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20)는 발신 단말(110)로부터 통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공 장치(120)는 통화 요청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기초로 대응하는 착신 단말(130)을 검색하고, 착신 단말(130)에 수신한 통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S720)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20)는 단계(S710)에서 검색한 착신 단말(130)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공 장치(120)는 발신 단말(110)과 연동하는 네트워크의 트래픽 처리 성능, 발신 단말의 종류, 발신 단말의 위치, 현재 시간, 발신자의 관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S730)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20)는 착신 단말(130)이 설정한 통화 연결음과 단계(S720)에서 선택한 컨텐츠를 발신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발신 단말(110)은 착신 단말(130)이 통화 요청에 응답할 때까지 통화 연결음을 재생하고,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단계(S740)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20)는 단계(S710)에서 통화 요청을 전송한 착신 단말(130)이 통화 요청에 응답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때, 착신 단말(130)이 통화 요청에 응답하지 않은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120)는 단계(S730)를 수행하여 통화 연결음과 컨텐츠를 발신 단말(110)에 계속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착신 단말(130)이 통화 요청에 응답한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120)는 단계(S750)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S750)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20)는 발신 단말(110)로 통화 연결음과 컨텐츠를 전송하던 것을 종료하고, 발신 단말(110)과 착신 단말(130) 간의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공 장치(120)가 연결하는 통화는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 중에 하나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발신 단말이 컨텐츠를 캐싱한 경우 컨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S810)에서 발신 단말(110)은 Wi-Fi와 같이 네트워크의 트래픽 처리 성능이 높고 이용료가 없는 네트워크에 접속한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120)로부터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여 캐싱할 수 있다.
단계(S820)에서 발신 단말(110)는 발신자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 제공 장치(120)에 통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공 장치(120)는 통화 요청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기초로 대응하는 착신 단말(130)을 검색하고, 착신 단말(130)에 수신한 통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S830)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20)는 단계(S820)에서 검색한 착신 단말(130)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제공 장치(120)는 발신 단말(110)과 연동하는 네트워크의 트래픽 처리 성능, 발신 단말의 종류, 발신 단말의 위치, 현재 시간, 발신자의 관심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S840)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20)는 단계(S830)에서 선택한 컨텐츠들의 식별 정보를 발신 단말(11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S850)에서 발신 단말(110)는 단계(S810)에서 다운로드 하여 캐싱한 컨텐츠 중에서 단계(S840)에서 수신한 컨텐츠들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단계(S855)에서 발신 단말(110)는 단계(S850)의 검색 결과를 컨텐츠 제공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검색 결과는 단계(S840)에서 수신한 컨텐츠들의 식별 정보 중에서 검색된 컨텐츠의 리스트일 수 있다.
단계(S860)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20)는 착신 단말(130)이 설정한 통화 연결음과 단계(S855)에서 수신한 검색 결과에 포함된 컨텐츠의 제어 정보를 발신 단말(110)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S870)에서 발신 단말(110)은 단계(S860)에서 수신한 통화 연결음을 재생하고, 단계(S860)에서 수신한 제어 명령에 따라 캐싱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단계(S880)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20)는 착신 단말(130)로부터 통화 요청에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S890)에서 컨텐츠 제공 장치(120)는 단계(S880)에서 수신한 응답에 따라 발신 단말(110)로 통화 연결음과 컨텐츠를 전송하던 것을 종료하고, 발신 단말(110)과 착신 단말(130) 간의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발신 단말이 착신 단말의 통화 요청을 대기하면서 착신 단말이 설정한 통화 연결음을 재생하는 동안 무료 통화 연결음 제공 서비스와 관련된 광고주의 광고를 표시함으로써, 착신자는 무료로 통화 연결음을 사용할 수 있고, 광고주는 발신자에게 광고를 노출할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신 단말이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성능을 나타내는 트래픽 처리 성능에 기초하여 발신 단말에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함으로써, 발신 단말이 제공받기 적합한 크기의 컨텐츠를 발신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컨텐츠를 발신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무료 통화 연결음 서비스와 관련된 광고 이외에도 착신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발신 단말에 제공할 수 있으며, 복수의 광고를 표시하는 경우 노출 순서에 따라 과금을 다르게 함으로써 광고주는 노출 확률에 대응하는 광고료를 지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제공할 컨텐츠를 미리 다운로드 하여 캐싱함으로써 접속한 네트워크의 트래픽 처리 능력이 낮은 경우에도, 적은 용량의 제어 명령 수신으로 대용량의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은 컨텐츠와 관련된 장소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컨텐츠와 함께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컨텐츠에 관심을 가지는 경우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장소를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신 단말은 통화 연결음을 저장하고, 편집함으로써 발신자가 관심을 가지는 통화 연결음을 그대로, 또는 발신자가 원하는 형태로 편집하여 발신 단말의 벨 소리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발신 단말
120: 컨텐츠 제공 장치
130: 착신 단말
210: 통화 요청 수신부
220: 컨텐츠 선택부
240: 서비스 제공부
310: 통화 요청 전송부
320: 컨텐츠 수신부
330: 컨텐츠 캐싱부
350: 음원 편집부
360: 컨텐츠 제공부

Claims (20)

  1. 발신 단말에서 착신 단말로의 통화 요청을 수신하는 통화 요청 수신부;
    상기 통화 요청에 대응하여 착신 단말에 의해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컨텐츠 선택부 및
    착신 단말이 통화 요청에 응답할 때까지 통화 연결음 및 컨텐츠를 발신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선택부는,
    컨텐츠를 제공할 때 필요한 데이터 리소스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등급에 따라 분류하며, 상기 발신 단말과 연동하는 네트워크의 트래픽 처리 성능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컨텐츠의 등급을 결정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선택부는,
    발신 단말과 연동하는 네트워크의 트래픽 처리 성능에 기초하여 발신 단말에 제공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3. 삭제
  4. 삭제
  5. 발신 단말에서 착신 단말로의 통화 요청을 수신하는 통화 요청 수신부;
    상기 통화 요청에 대응하여 착신 단말에 의해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컨텐츠 선택부 및
    착신 단말이 통화 요청에 응답할 때까지 통화 연결음 및 컨텐츠를 발신 단말에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발신 단말이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컨텐츠를 미리 다운로드 하여 캐싱한 경우, 컨텐츠의 노출과 관련된 제어 정보를 발신 단말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착신 단말로의 통화 요청을 컨텐츠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통화 요청 전송부;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통화 연결음 및 상기 통화 요청에 대응하여 착신 단말에 의해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
    착신 단말이 통화 요청에 응답할 때까지 수신한 통화 연결음과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 및
    발신 단말이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여 캐싱하는 컨텐츠 캐싱부
    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부는,
    상기 컨텐츠 수신부가 캐싱된 컨텐츠의 제어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캐싱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발신 단말.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캐싱부는,
    네트워크 망의 트래픽 처리 성능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다운로드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 단말.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발신 단말에서 착신 단말로의 통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통화 요청에 대응하여 착신 단말에 의해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 및
    착신 단말이 통화 요청에 응답할 때까지 통화 연결음 및 컨텐츠를 발신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발신 단말과 연동하는 네트워크의 트래픽 처리 성능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컨텐츠의 등급을 결정하며,
    상기 컨텐츠는,
    컨텐츠를 제공할 때 필요한 데이터 리소스에 기초하여 등급별로 분류되는 컨텐츠 제공 방법.
  20. 발신 단말이 접속 가능한 네트워크의 상태에 따라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여 캐싱하는 단계;
    착신 단말로의 통화 요청을 컨텐츠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통화 연결음 및 상기 통화 요청에 대응하여 착신 단말에 의해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착신 단말이 통화 요청에 응답할 때까지 수신한 통화 연결음과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캐싱된 컨텐츠의 제어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어 정보에 따라 캐싱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KR1020110084711A 2011-08-24 2011-08-24 mVoIP 서비스에서 통화 연결음과 연계된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313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711A KR101313418B1 (ko) 2011-08-24 2011-08-24 mVoIP 서비스에서 통화 연결음과 연계된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4711A KR101313418B1 (ko) 2011-08-24 2011-08-24 mVoIP 서비스에서 통화 연결음과 연계된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048A KR20130022048A (ko) 2013-03-06
KR101313418B1 true KR101313418B1 (ko) 2013-10-01

Family

ID=48174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4711A KR101313418B1 (ko) 2011-08-24 2011-08-24 mVoIP 서비스에서 통화 연결음과 연계된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341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290A (ko) * 2007-12-17 2008-01-0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위치기반 통화연결음 제공 장치
KR20090120210A (ko) * 2008-05-19 2009-11-24 주식회사 케이티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90126733A (ko) * 2008-06-05 2009-12-09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VoIP 단말을 위한 멀티미디어 링백 서비스 시스템 및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290A (ko) * 2007-12-17 2008-01-07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위치기반 통화연결음 제공 장치
KR20090120210A (ko) * 2008-05-19 2009-11-24 주식회사 케이티 광고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90126733A (ko) * 2008-06-05 2009-12-09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VoIP 단말을 위한 멀티미디어 링백 서비스 시스템 및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048A (ko) 201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1896B2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providing an output signal having a theme to a device in a short distance wireless network
US20140071895A1 (en) Network Selection Based On Customizing Crowdsourced Connection Quality Data
US81660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xt based services
JP2008282295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101129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 service by using text messages
US9106763B2 (en) Advertising ringtone coverage
US8983056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all connecting method thereof
JP2003216863A (ja) 端末装置、広告情報サーバ、情報提供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5530455A (ja) ユーザが通信デバイス電話会議中に一時保留状態にある間での補助情報伝送
KR100610883B1 (ko)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컨텐츠 검색 및 제공 방법과 그시스템
KR100741287B1 (ko) 통합 미디어 뷰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통합 미디어 뷰잉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
JP2005057359A (ja) 携帯端末
KR101313418B1 (ko) mVoIP 서비스에서 통화 연결음과 연계된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21081823A1 (zh) 信息推送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KR100966704B1 (ko) 광고에 의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공급 장치 및 방법
US10523811B2 (en) Ring-back tone setting method, ring-back tone service system and ring-back tone playing method
KR20060094230A (ko) 문자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모바일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2242151A (zh) 语音质量评估装置及方法、介质和mos打分装置
KR20080081148A (ko) 단말의 위치 검색을 필요로 하는 핫라인으로 셀 방식의이동 단말을 접속시키는 방법
KR20060057047A (ko)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60124456A (ko)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영화표 예매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KR20040082512A (ko) 무선 통신망에서의 다운로드형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US8983439B1 (en) Method and system for offering a media content item
JP4379468B2 (ja) 携帯端末
KR100724581B1 (ko) Sms 문자 메시지 읽을 시의 배경 컨텐츠 실현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