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414U - 계류용 비트 - Google Patents

계류용 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414U
KR20150003414U KR2020140001795U KR20140001795U KR20150003414U KR 20150003414 U KR20150003414 U KR 20150003414U KR 2020140001795 U KR2020140001795 U KR 2020140001795U KR 20140001795 U KR20140001795 U KR 20140001795U KR 20150003414 U KR20150003414 U KR 201500034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seawater
bit body
mooring
b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17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양준
정준형
정성준
최진우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17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3414U/ko
Publication of KR201500034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41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4Mooring pos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계류용 비트에 관한 것으로, 선박 또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을 계류시키는 계류용 로프가 묶여 고정되는 계류용 비트이며, 계류용 로프가 묶여 고정되는 비트 몸체부와 상기 비트 몸체부 내에 구비되며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수 유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 유로부에 반투막부재를 이용한 삼투압 방식으로 냉각수를 유입시켜 태양광선에 의해 가열되는 상기 비트 몸체부를 냉각시켜 가열된 비트에 의한 계류용 로프의 손상을 방지한다.

Description

계류용 비트{BITT FOR MOORING}
본 고안은 계류용 비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연근해 환경에서 둑에 부유식 해양 구조물 또는 선박 등을 안전하게 계류하기 위한 계류용 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류는 선박이나 부유식 해양 구조물을 로프를 이용하여 해안 근처에 정박하는 것이다.
상기 계류용 장비에는 닻과 닻 사슬 및 닻줄 등이 있으며, 선수의 갑판 상에서 사슬고리를 회전시켜서 사슬에 연결된 체인을 감아 올리고 내리는 양묘기(windlass)가 있고, 같은 목적의 캡스턴(capstan)도 있다.
이외에도, 계류용 로프를 갑판 위에 매어 고정하기 위한 볼라드와 비트가 있다.
연근해 환경에서 부유식 해양 구조물은 둑에 설치된 비트에 계류용 로프로 연결되어 계류된다.
상기 비트는 금속으로 제조되고, 외부에서 태양광선에 노출되므로, 낮시간에 태양광선에 의해 가열되어 온도가 매우 높게 올라간다.
그리고, 계류용 로프는 섬유 재질로 제조되며, 통상 합성수지 섬유재질로 형성된다.
그러나, 기온이 높아지면 계류용 로프가 묶여진 비트가 태양광선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된 비트에 의해 묶여진 계류용 로프가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계류용 로프가 가열된 비트에 의해 녹아 손상되면 선박 또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을 계류시키는 힘이 약해져 계류된 선박 또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움직임이 커져 해당 선박 또는 부유식 해양구조물에서 탑승자의 작업 시 낙하 사고 등의 안전 사고를 유발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선박 및 해양 구조물에서의 작업을 중단해야하므로, 해양 작업을 지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가열된 비트에 의해 계류용 로프가 끊어지는 경우 대형 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특허공개 제2008-0084664호 '와이어의 계선 방법 및 계선 구조'(2008.09.19 공개)
본 고안의 목적은, 외부에서 태양광선에 의해 가열되는 비트를 냉각시켜 가열된 비트에 의한 계류용 로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계류용 비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과제는, 선박 또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을 계류시키는 계류용 로프가 묶여 고정되는 계류용 비트이며, 계류용 로프가 묶여 고정되는 비트 몸체부; 상기 비트 몸체부 내에 구비되며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수 유로부를 포함한 계류용 비트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고안에 따른 계류용 비트는, 상기 냉각수 유로부에 연결되며, 바다의 수중으로 연장되는 바닷물 유입관부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바닷물 유입관부의 입구 측에는 반투막부재가 구비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반투막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냉각수 유로부측 내에는 바닷물보다 염분의 농도가 높은 고염도 냉각수가 채워진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비트 몸체부에는 상기 냉각수 유로부와 상기 비트 몸체부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증기배출구멍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냉각수 유로부는, 상기 비트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냉각수 유로; 및 상기 비트 몸체부의 내부에 상기 제1냉각수 유로와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2냉각수 유로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계류용 비트는, 상기 냉각수 유로부에 연결되며, 바다의 수중으로 연장되는 바닷물 유입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닷물 유입관부는, 상기 제1냉각수 유로에 연결되어 바다의 수중으로 연장되는 제1바닷물 유입관; 및 상기 제2냉각수 유로에 연결되어 바다의 수중으로 연장되는 제2바닷물 유입관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제1바닷물 유입관부 및 상기 제2바닷물 유입관부의 입구 측에는 반투막부재가 구비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반투막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제1냉각수 유로 측 내부와 상기 반투막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제2냉각수 유로 측 내부에는 바닷물보다 염분의 농도가 높은 고염도 냉각수가 채워진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비트 몸체부에는 상기 제1냉각수 유로 내부의 증기를 상기 비트 몸체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1증기배출구멍 및 상기 제2냉각수 유로 내부의 증기를 상기 비트 몸체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2증기배출구멍이 형성된다.
본 고안은 외부에서 태양광선에 의해 가열되는 비트를 냉각시켜 가열된 비트에 의한 계류용 로프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계류용 로프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계류 중 선박 또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사고를 방지하고,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서의 작업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계류된 선박 또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계류용 비트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계류용 비트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계류용 비트의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계류용 비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계류용 비트는, 계류용 로프가 묶여 고정되는 비트 몸체부(10)를 포함한다.
상기 비트 몸체부(10)는 둑(jetty)에 장착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둑에 장착되어 바닷물을 이용하여 냉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트 몸체부(10)의 내부에는 냉각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냉각수 유로부(20)가 구비된다.
상기 냉각수 유로부(20)는 내부로 냉각수가 유입되어 태양열에 의해 가열되는 상기 비트 몸체부(10)를 냉각한다.
본 고안에 따른 계류용 비트는, 상기 냉각수 유로부(20)에 연결되며, 바다의 수중으로 연장되는 바닷물 유입관부(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바닷물 유입관부(30)는 바닷물을 상기 냉각수 유로부(20) 내부로 유입시켜 상기 비트 몸체부(10)를 바닷물을 이용하여 냉각함으로써 별도의 냉각수를 이용하는 데 비해 설비비를 절감하고, 유지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닷물 유입관부(30)의 입구 측에는 반투막부재(40)가 구비되어 삼투압 현상을 이용하여 상기 냉각수 유로부(20) 내부로 바닷물을 유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별도의 에너지를 필요한 장치 즉, 펌프 등과 같은 기기를 이용하지 않고 바닷물을 상기 냉각수 유로부(20) 내로 공급하여 작동 중 유지 비용을 절감하고, 펌프 등을 설치하기 위한 설비 비용도 절감한다.
또한, 상기 비트 몸체부(10)의 상부에는 상기 냉각수 유로부(20)와 상기 비트 몸체부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증기배출구멍(11)이 형성된다. 상기 증기배출구멍(11)은 태양열에 의해 가열된 상기 비트 몸체부(10)를 냉각수가 냉각시키면서 상기 냉각수 유로부(20) 내에서 발생된 증기를 상기 비트 몸체부(10)의 외부로 배출시키고, 바닷물을 삼투압 현상을 이용하여 상기 냉각수 유로부(20) 내부로 차가운 바닷물을 지속적으로 유입시켜 순환되도록 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냉각수 유로부(20)는, 상기 비트 몸체부(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냉각수 유로(21) 및 상기 비트 몸체부(10)의 내부에 상기 제1냉각수 유로(21)와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2냉각수 유로(22)를 포함하여 분할된 복수의 냉각수 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냉각수를 통해 냉각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닷물 유입관부(30)는, 상기 제1냉각수 유로(21)에 연결되어 바다의 수중으로 연장되는 제1바닷물 유입관(31) 및 상기 제2냉각수 유로(22)에 연결되어 바다의 수중으로 연장되는 제2바닷물 유입관(32)을 포함한다.
상기 제1바닷물 유입관(31) 및 상기 제2바닷물 유입관(32)은 분할된 상기 제1냉각수 유로(21)와 상기 제2냉각수 유로(22) 내부로 차가운 바닷물을 각각 원활하게 공급하도록 구분되며 상기 제1냉각수 유로(21)와 상기 제2냉각수 유로(22) 내 냉각수 온도를 낮춰 더 효율적으로 상기 비트 몸체부(10)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바닷물 유입관(31) 및 상기 제2바닷물 유입관(32)의 입구 측에는 반투막부재(40)가 구비되고, 상기 반투막부재(40)를 기준으로 상기 제1냉각수 유로(21) 측 내부와 상기 반투막부재(40)를 기준으로 상기 제2냉각수 유로(22) 측 내부에는 바닷물보다 염분의 농도가 높은 고염도 냉각수가 채워져 삼투압 현상을 이용하여 상기 제1냉각수 유로(21) 및 상기 제2냉각수 유로(22) 내부로 바닷물을 유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트 몸체부(10)에는 상기 제1냉각수 유로(21) 내부의 증기를 상기 비트 몸체부(10)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1증기배출구멍(11a) 및 상기 제2냉각수 유로(22) 내부의 증기를 상기 비트 몸체부(10)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2증기배출구멍(11b)이 형성된다.
상기 제1증기배출구멍(11a) 및 상기 제2증기배출구멍(11b)은 상기 제1냉각수 유로(21)에서 발생된 증기 및 상기 제2냉각수 유로(22)에서 발생된 증기를 각각 상기 비트 몸체부(10)의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반투막부재(40)에 의한 삼투압 현상으로 상기 제1냉각수 유로(21)와 상기 제2냉각수 유로(22)의 내부로 바닷물이 지속적으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도 3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계류용 비트의 작동 예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반투막부재(40)를 기준으로 상기 냉각수 유로부(20) 측 내부 즉, 상기 냉각수 유로부(20) 및 상기 바닷물 유입관부(30) 내에는 바닷물보다 염분의 농도가 높은 고염도 냉각수가 채워진다.
상기 반투막부재(40)는 바닷물의 염분을 차단하고, 물만 통과시킨다.
즉, 삼투압 현상은 반투막으로 농도가 다른 두 액체를 반투막으로 막아 놓았을 때, 용질의 농도가 낮은 쪽에서 농도가 높은 쪽으로 용매가 옮겨가는 현상이며, 바닷물은 삼투압현상을 통해 상기 바닷물 유입관부(30)의 입구 측에 장착된 상기 반투막부재(40)를 통해 염분농도가 높은 고염도 냉각수가 채워진 상기 냉각수 유로부(20) 내부로 유입된다. 이 때 바닷물 중 염분 성분은 상기 반투막부재(40)에 의해 차단되고 물만 상기 바닷물 유입관부(30) 내부로 이동되고, 고염도 냉각수 내 염분의 이동도 차단되어 삼투압 현상에 의해 바닷물이 지속적으로 상기 냉각수 유로부(20)의 내부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냉각수 유로부(20) 내에서 가열된 상기 비트 몸체부(10)를 냉각시키면서 발생되는 증기는 상기 증기배출구멍(11)을 통해 배출되고, 증기가 상기 증기배출구멍(11)을 통해 배출되면 삼투압 현상에 의해 바닷물이 상기 냉각수 유로부(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반복되면서 상기 비트 몸체부(10)를 지속적으로 냉각시키게 된다.
본 고안은 외부에서 태양광선에 의해 가열되는 비트를 냉각시켜 가열된 비트에 의한 계류용 로프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계류용 로프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계류 중 선박 또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사고를 방지하고,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서의 작업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계류된 선박 또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비트 몸체부 11 : 증기배출구멍
11a : 제1증기배출구멍 11b: 제2증기배출구멍
20 : 냉각수 유로부 21 : 제1냉각수 유로
22 : 제2냉각수 유로 30 : 바닷물 유입관부
31 : 제1바닷물 유입관 32 : 제2바닷물 유입관
40 : 반투막부재

Claims (10)

  1. 선박 또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을 계류시키는 계류용 로프가 묶여 고정되는 계류용 비트이며,
    계류용 로프가 묶여 고정되는 비트 몸체부; 및
    상기 비트 몸체부 내에 구비되며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수 유로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용 비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유로부에 연결되며, 바다의 수중으로 연장되는 바닷물 유입관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용 비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닷물 유입관부의 입구 측에는 반투막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용 비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반투막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냉각수 유로부측 내에는 바닷물보다 염분의 농도가 높은 고염도 냉각수가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용 비트.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비트 몸체부에는 상기 냉각수 유로부와 상기 비트 몸체부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증기배출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용 비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유로부는,
    상기 비트 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1냉각수 유로; 및
    상기 비트 몸체부의 내부에 상기 제1냉각수 유로와 이격되게 형성되는 제2냉각수 유로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용 비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유로부에 연결되며, 바다의 수중으로 연장되는 바닷물 유입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닷물 유입관부는, 상기 제1냉각수 유로에 연결되어 바다의 수중으로 연장되는 제1바닷물 유입관; 및
    상기 제2냉각수 유로에 연결되어 바다의 수중으로 연장되는 제2바닷물 유입관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용 비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바닷물 유입관부 및 상기 제2바닷물 유입관부의 입구 측에는 반투막부재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용 비트.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반투막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제1냉각수 유로 측 내부와 상기 반투막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제2냉각수 유로 측 내부에는 바닷물보다 염분의 농도가 높은 고염도 냉각수가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용 비트.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비트 몸체부에는 상기 제1냉각수 유로 내부의 증기를 상기 비트 몸체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1증기배출구멍 및 상기 제2냉각수 유로 내부의 증기를 상기 비트 몸체부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2증기배출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류용 비트.
KR2020140001795U 2014-03-06 2014-03-06 계류용 비트 KR2015000341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795U KR20150003414U (ko) 2014-03-06 2014-03-06 계류용 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1795U KR20150003414U (ko) 2014-03-06 2014-03-06 계류용 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414U true KR20150003414U (ko) 2015-09-16

Family

ID=54341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1795U KR20150003414U (ko) 2014-03-06 2014-03-06 계류용 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341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81662A (zh) * 2019-02-20 2019-06-14 中交第二航务工程局有限公司 大直径高性能uhpc-钢管复合桩基及其施工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81662A (zh) * 2019-02-20 2019-06-14 中交第二航务工程局有限公司 大直径高性能uhpc-钢管复合桩基及其施工方法
CN109881662B (zh) * 2019-02-20 2023-11-24 中交第二航务工程局有限公司 大直径高性能uhpc-钢管复合桩基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2767B2 (en) Floating-body type wind turbine power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porting components of the same
RU2146633C1 (ru) Система швартовки судна
RU2422320C2 (ru) Система для загрузки и разгрузки углеводородов в водах, предрасположенных к образованию льда
US10619316B2 (en) Multipurpose combined flexible floating breakwater
RU2011141271A (ru) Судно или плавучая конструкция, работающая в покрытых льдом водах, и способ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KR101185716B1 (ko) 수중 부유식 방파제
KR20150003414U (ko) 계류용 비트
KR101411946B1 (ko) 정선장비
KR101497397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CN107107994A (zh) 张紧倒置悬链线式系泊系统
KR101016456B1 (ko) 조류발전장치
KR102156952B1 (ko) 폐액을 배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281652B1 (ko) 케이슨 파이프를 구비한 선박을 이용한 해양플랜트 앵커링 방법
KR20130081643A (ko) 쇄빙선 및 쇄빙 방법
KR20140071090A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101281654B1 (ko) 케이슨 파이프를 구비한 선박의 앵커링 방법
KR20140036785A (ko) 선박의 해수 배출시스템
KR101324118B1 (ko) 케이슨 파이프를 구비한 선박을 이용한 유빙 관리 방법
KR20110120608A (ko) 해양 플랫폼용 심해 냉각수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해양 플랫폼
KR101346258B1 (ko) 케이슨 파이프를 구비한 선박
US8590471B2 (en) Oil leak containment system for a ship hard aground
KR101399605B1 (ko) 부유식 안벽장치 및 구조물 건조 방법
KR20160057843A (ko) 반잠수식 해양구조물
KR100873963B1 (ko) 선박의 스크루 보호장치
KR101281645B1 (ko) 케이슨 파이프를 구비한 선박용 메신저 부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