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954A - 스마트 키를 통한 차량 내부의 멀티미디어 기기와 휴대 단말기의 블루투스 페어링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키를 통한 차량 내부의 멀티미디어 기기와 휴대 단말기의 블루투스 페어링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954A
KR20150002954A KR20130074706A KR20130074706A KR20150002954A KR 20150002954 A KR20150002954 A KR 20150002954A KR 20130074706 A KR20130074706 A KR 20130074706A KR 20130074706 A KR20130074706 A KR 20130074706A KR 20150002954 A KR20150002954 A KR 20150002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key
vehicle
portable terminal
module
multimedia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4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주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74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2954A/ko
Publication of KR20150002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9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키를 통한 차량 내부의 멀티미디어 기기와 휴대 단말기의 페어링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키에 NFC 컨트롤러 기능을 탑재하여, 스마트키와 휴대 단말기를 접촉하면 블루투스 페어링이 이루어지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키 정보를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이 구비된 스마트키;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상기 스마트키와 무선 통신하는 차량 내 멀티미디어 기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키를 통한 차량 내부의 멀티미디어 기기와 휴대 단말기의 블루투스 페어링 장치 및 그 방법 {Smart Key Bluetooth Paring Apparatus and the Method of Between Vehicle Multimedia Device and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 키를 통한 차량 내부의 멀티미디어 기기와 휴대 단말기의 페어링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키에 NFC 컨트롤러를 탑재하여, 스마트키와 휴대 단말기를 접촉하면 근거리 통신을 통해 블루투스 페어링이 이루어지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이 휴대 단말기에 탑재되면서, 휴대 단말기가 NFC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근거리 무선 통신)란, 13.56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을 응용해 근거리에서 낮은 전력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이다.
NFC 모듈을 탑재하는 휴대 단말기는 NFC 태그(Tag)로부터 정보를 리드(Read)하거나 NFC 모듈을 탑재하는 다른 휴대 단말기로 정보를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인위적인 조작 없이 두 개 이상의 단말기를 근접시키면 전화번호와 같은 기본적인 정보는 물론 MP3 파일이나 사진 등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러한 NFC기술을 통해, 휴대 단말기와 차량을 무선 연결을 하려면 많은 절차가 필요하던 블루투스 페어링 작업을 단순화 시킨 얼리 페어링 (Early Paring or Easy Paring) 방법이 등장하였다.
이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AVN 또는 오디오 기기의 블루투스 관련 정보를 NFC TAG 또는 컨트롤러 측에 담아 차량에 장착한 후, 차량 멀티미디어 기기와 블루투스 연결을 하려는 핸드폰을 이곳에 가져다 대면, 자동으로 차량의 멀티미디어 기기 정보를 NFC를 통해 전달 받아, 별도의 절차 없이 블루투스 페어링이 마무리 되는 방식이다.
블루투스 페어링 작업을 위해서는 접속자 자격인증 (Authentication) 및 사용권한 인증 (Authorization)이 필요하고 이 두 가지 인증절차를 통과하기 위해 근거리 통신 망에 접속 할 때마다 사용자가 개인정보나 인증정보 등을 입력하고, 사용자 인증 및 기기식별을 하는 절차가 필요한데, 얼리 페어링 방식은 블루투스 페어링 작업을 위해 연결하고자 하는 핸드폰을 차량에 가져다 대기만 하면 페어링 작업이 완료되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기존의 얼리 페어링 방식은, AVN 또는 오디오의 블루투스 정보를 담은 NFC TAG 또는 NFC컨트롤러를 차량 내부에 설치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차량 AVN/ AUDIO의 블루투스 정보가 바뀌는 경우, 이에 대한 정보 업데이트를 하기 위해서는 휴대폰의 NFC 장비와 통신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를 위한 별도의 연결장치가 필요하다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마트키에 NFC 컨트롤러 기능을 탑재하여 스마트키와 휴대 단말기를 접촉함으로써 차량 내 멀티미디어 기기와 휴대 단말기 간의 블루투스 페어링이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스마트키가 차량과 LF 신호로 차량 내의 정보를 주고받는 것을 통해, 별도의 연결장치 없이 차량 내 멀티미디어 기기의 블루투스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는 페어링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존재를 인식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로 페어링 정보를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이 구비된 스마트키, 스마트키와 무선 통신하는 차량 내부의 스마트키 모듈 및 차량 내 위치한 휴대 단말기와 페어링되는 멀티미디어 기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적외선(Infrared)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모듈, UWB(Ultra Wide band) 모듈, WLAN(Wireless LAN) 모듈 중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스마트키가 휴대 단말기와 접촉하는 단계, 스마트키에 접촉된 휴대 단말기가 상기 스마트키에 내장된 블루투스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요청된 정보를 스마트키가 휴대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 및 휴대 단말기와 상기 스마트키에 내장된 정보에 해당하는 차량 내 멀티미디어 기기의 페어링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키가 휴대 단말기와 접촉하는 단계는 휴대 단말기와 상기 스마트키의 NFC접촉 이벤트가 발생하는 단계 및 접촉 이후 상기 휴대 단말기와 스마트키의 NFC 연결이 활성화 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키에 접촉된 휴대 단말기가 상기 스마트키에 내장된 블루투스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는 스마트키가 스마트키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스마트키가 판단한 위치가 차량 내부일 경우, 스마트 키는 상기 차량 내부의 스마트키 모듈에 스마트키와 휴대 단말기의 접촉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접촉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전달받은 상기 차량 내부의 스마트키 모듈은
CAN (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 내 멀티미디어 기기에 이벤트 발생을 전달하는 단계, 차량 내 멀티미디어 기기는 블루투스 모듈로 활성화 되고 페어링 대기모드로 전환되는 단계, 차량 내 멀티미디어 기기가 페어링 대기모드로 전환되면, 페어링 준비 완료 메시지 및 상기 차량 내 멀티미디어 기기의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를 상기 차량 내부의 스마트키 모듈에 전달하는 단계 및 차량 내부의 스마트키 모듈은 상기 차량 내부의 스마트키 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를 상기 스마트키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접촉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전달받은 상기 차량 내 멀티미디어 기기는 블루투스 모듈로 활성화 되고 페어링 대기모드로 전환되는 단계는 차량 내 멀티미디어 기기의 페어링 대기모드 전환 성공 여부 판단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차량 내 멀티미디어기기의 페어링 대기모드 전환 성공 여부 판단 단계는 차량 내 멀티미디어기기의 블루투스 페어링 대기모드 전환 실패 시 특정 횟수(예컨대 2회)이상 페어링 대기모드 전환 재시도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차량 내 멀티미디어기기의 블루투스 페어링 대기모드 전환 실패 시 특정 횟수(예컨대 2회)이상 페어링 대기모드 전환 재시도를 진행하는 단계는 차량 멀티미디어 기기를 페어링 대기 모드로 전환하려는 재시도가 모두 실패 하였을 경우, 상기 차량 멀티미디어 기기의 블루투스 활성화 진행이 중단되는 단계,
차량 내부의 스마트키 모듈은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의 블루투스 활성화 진행 중단 정보를 상기 스마트 키로 전달하는 단계, 스마트키는 전달받은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달하는 단계 및 휴대 단말기와 상기 차량 내 멀티미디어 기기의 페어링 진행이 중단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페어링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의 페어링 장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페어링 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페어링 진행과정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페어링 진행과정 세부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키에 NFC 컨트롤러 기능을 탑재하여 차량 내부에 별도 공간의 필요 없이 스마트키와 휴대 단말기를 접촉함으로써 블루투스 페어링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또한, 스마트키가 차량과 LF 통신으로 차량 정보를 주고 받는 것을 이용해, 차량 내 멀티미디어 기기의 블루투스 정보를 별도의 연결장치 필요 없이 업데이트 할 수 있도록 하는 페어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페어링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10)와 스마트키(22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통신 모듈이 구비된 단말기이다.
바람직하게 휴대 단말기(210)는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Portable Multimedia Player-PMP),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PDA), 스마트 폰(Smart Phone),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근거리 통신 모듈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 적외선(Infra-red) 통신 모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와 이해의 증진을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210)는 NFC 모듈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고 기술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NFC 모듈 이외의 근거리 비접촉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NFC는 전자태그(RFID)의 일종으로, 근거리 통신(10km 이내)에 주로 사용되는 통신 서비스로서, 전자 결재 및 데이터 통신 등에 사용되며, 특정 주파수 영역(예컨대, 13.56Mhz)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210) 및 스마트키(220)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장치로서, NFC 태그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NFC 태그에 저장된 정보를 리드할 수 있는 NFC 모듈을 구비한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NFC 기능이 탑재된 휴대 단말기(210)와 스마트키(220)를 근접시키면, 접촉 시 휴대 단말기(210)는 스마트키의 NFC 컨트롤러에 기 저장된 차량 내부 멀티미디어 기기의 블루투스 정보를 읽어와 해당 기기와 페어링 작업을 시작 한다.
NFC 태그는 일종의 메모리 장치로서, 소정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NFC 태그에는 서비스 식별자(Unique Identifier) 및 서비스 데이터(NFC Data Exchange Format data)가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스마트키(220)의 NFC 컨트롤러 및 휴대 단말기(210)의 NFC 태그는 연결할 근거리 통신 기기에 관한 연결 정보, 실행할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전자 기기의 식별정보 등을 저장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NFC 태그는, 탈 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는 원하는 장소나 위치에 NFC 태그를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근거리 통신용 태그는 대표적으로 NFC 태그를 의미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근거리 통신에서 사용되는 모든 메모리 칩 형태의 태그를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키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키(300)는, 배터리(310), 입력부(320), 제어부(330), RF/LF 송수신부(340), 근거리 통신모듈 (350)을 포함하고, 근거리 통신모듈(350)은 NFC 컨트롤러 (315) 및 NFC 안테나(316)를 포함한다.
배터리(310)는 스마트키에 전원을 공급하고, 입력부(320)는 스마트키(300) 동작을 위한 사용자의 키 조작 신호를 입력 받아 제어부(330)로 전달한다.
입력부(320)는 3*4패드, Qwerty 패드 등 숫자키 문자키 방향키를 포함하는 키패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터치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입력부(312)는 버튼키(Button Key) 조그키(jog key), 휠키(wheel key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키(300)의 입력부(320)는 차량 제어 (예컨대, 시동 on off, 도어 및 윈도우 잠금 등) 를 하게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고, 휴대 단말기(210)와 차량 내부의 멀티미디어 기기간 페어링 작업을 시작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 내부의 멀티미디어 기기는 차량의 AVN/AUDIO 모듈 및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한다.
스마트키(300)는 휴대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데이터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RF/LF 송수신부(314)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고, 신호대잡음비 (Signal/Noise)를 개선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 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으로 구성된다.
RF/LF 송수신부(314)의 통신 데이터는 예컨대, 차량의 운행기록, 도어 및 윈도우의 개폐 여부와 차량 장비들의 세부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의 멀티미디어 기기와 통신해 획득한 차량의 정보 데이터를 스마트키(220)에서 휴대 단말기(21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210)를 통해 차량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키(300)는 NFC 안테나(352)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330)으로 출력하고, 출력된 데이터를 RF/LF 송수신부(34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NFC 컨트롤러 (351)는 NFC 태그와의 근접 또는 접촉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생성된 신호에 따라 NFC 태그에 정보를 입력하거나 NFC 태그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리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 페어링 장치의 구성도이다.
차량 내 페어링 장치(400)는 스마트키 모듈(410)과 AVN/AUDIO 모듈(420)을 포함한다.
스마트키 모듈(410)은 전원 제어부(411), RF/LF 송수신부(412), 제어부(413), CAN통신부(414)를 포함하고, 멀티미디어 모듈(420)은 CAN통신부(421), 제어부(422), 오디오 처리부(423), 블루투스(424), 메모리(425), 어플리케이션 제어부(426) 및 출력부(427)를 포함한다.
차량 내부의 스마트키 모듈(410)은 차량 내부의 멀티미디어 기기(400)과 휴대용 단말기(210)의 블루투스 연결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키(3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 제어부(411)는 휴대용 단말기(210)와 스마트키(220)의 접촉이 발생하고, 스마트키(210)가 차량 AVN/AUDIO 기기와 근접해 있을 시, 스마트키(310)로부터 접촉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전달 받는다.
전원 제어부(411)는 이벤트 발생 정보를 CAN 통신부(414)로 전달하고 스마트키 모듈의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부(314)는 AVN/AUDIO 모듈 (420)에 접촉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전달한다.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은 차량 내 지능형 디바이스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시리얼 버스 기기로 대표적인 차량 네트워크 방식이다.
정보를 전달받은 AVN/AUDIO모듈(420)은 내부의 블루투스 모듈(424)을 활성화 시키고, 페어링 대기모드로 전환한다.
AVN/AUDIO 모듈(420)이 페어링 대기모드로 전환 되면, 페어링 준비 완료 메시지 및 차량 내 AVN/AUDIO 모듈(420)의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차량 내 스마트키 모듈(410)로 전달하고, 차량 내부의 스마트키 모듈(410)은 해당 정보를 스마트키(300)로 전달한다.
스마트키(300)는 차량 내부의 스마트키 모듈(41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를 휴대용 단말기(210)로 전송하여 페어링 작업을 시작한다.
또한 RF/LF 송수신부(412)는 차량 내 정보를 스마트키(300)로 전송하여 AVN/AUDIO 모듈(420)의 블루투스 정보를 무선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게 한다.
AVN/AUDIO 모듈 (420)의 오디오 처리부(423)는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Packet)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423)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고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다.
출력부(427)은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AVN/오디오(420)의 메뉴, 입력된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기타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출력부(427)은 AVN/오디오 (420)의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통화 화면, 기타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페어링 진행과정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키(220)를 이용해 휴대 단말기(210)와 멀티미디어 기기를 페어링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멀티미디어 기기는 차량의 AVN/AUDIO 모듈 (420) 및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한다.
휴대 단말기와 스마트키 접촉(S510) 이전에 스마트키(220)에 차량 내 멀티미디어 기기 및 휴대용 단말기의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 등을 저장한다 (도면 미도시).
스마트키(220)에 저장하는 정보는 스마트키의 제어부(313)가 근거리 통신모듈(350)의 NFC 컨트롤러(352)의 기능 수행 관련 정보이고, 이 정보는 스마트키(220)가 수행할 기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연결할 멀티미디어 기기의 블루투스 페어링을 위해 필요한 정보인 기기의 연결 정보, 실행할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제어부(313)는 스마트키의 NFC 컨트롤러(315)가 휴대 단말기(210)의 NFC 태그에 근접 또는 접촉된 상태에서 기능 수행 관련 정보를 NFC 컨트롤러(315)에 저장한다.
기능 수행 관련 정보를 NFC 컨트롤러(315)에 저장한 후, 스마트키(220)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210)와 차량 내 멀티미디어 기기의 페어링 방법은 스마트키가 휴대 단말기와 접촉하는 단계 (S510), 스마트키(220)에 접촉된 휴대 단말기(210)로부터 스마트키에 내장된 블루투스 정보를 요청받는 단계(S520), 요청된 정보를 스마트키(220)가 휴대 단말기(210)로 전달하는 단계(S530) 및 휴대 단말기(210)와 멀티미디어 기기의 페어링을 진행하는 단계(S540)를 포함한다.
스마트키(220)가 휴대 단말기(210)와 접촉하는 단계 (S510)는, 휴대 단말기(210)와 스마트키(220)의 NFC접촉 이벤트가 발생하면, 접촉 이후 상기 휴대 단말기와 스마트키의 NFC 연결이 활성화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블루투스 페어링에 필요한 휴대 단말기(210)와 차량 내부의 멀티미디어 기기의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를 스마트키의 근거리 통신 모듈(350)에 저장한 후, 휴대 단말기(210)와 스마트키(220)를 접촉하면, 휴대용 단말기가 스마트키를 인식한다.
휴대용 단말기가 스마트키를 인식하는 것은, 스마트키의 제어부(330)가 근거리통신모듈(350)의 NFC컨트롤러(351)를 통해 휴대 단말기(210)의 NFC 태그(200)로의 근접 또는 접촉을 인식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NFC 태그가 부착된 장소 또는 장치에 휴대 단말기(210)를 가까이 가져가거나 접촉시키면, NFC 컨트롤러(351)은 NFC 태그와의 근접 또는 접촉을 감지하고, 감지 신호를 제어부(330)로 송신하여, 제어부(330)가 NFC 컨트롤러(315)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NFC 태그와의 근접 또는 접촉을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스마트키(220)에 접촉된 휴대 단말기(210)가 스마트키(220)에 내장된 블루투스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S520)는, 스마트키(220)가 차량 내부에 있을 경우, 스마트키(220)는 차량 내 스마트키 모듈(410)에 스마트키(220)와 휴대 단말기(210)의 접촉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전달한다
이후, 차량 내부의 AVN/AUDIO 모듈(420)은 블루투스 모듈로 활성화 되고 페어링 대기모드로 전환된다.
차량 내 멀티미디어 기기가 페어링 대기모드로 전환되면, 페어링 준비 완료 메시지 및 차량 내 멀티미디어 기기의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를 스마트키에 전달 하는 것을 포함한다.
스마트키(220)가 휴대용 단말기(210)의 접촉을 인식하면, 스마트키(220)에서 휴대용 단말기(210)로 차량 내부 멀티미디어 기기의 블루투스 정보를 전달하고, 휴대용 단말기(210)는 스마트키의 페어링 정보를 획득한다.
페어링 정보는 스마트키에 저장된 차량 내부의 멀티미디어 기기의 블루투스 주소, PIN 코드와 같은 블루투스 기기연결 정보, 보안 타입 및 패스워드와 같은 기기 연결 정보이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210)는 스마트키(220)로부터 차량의 AVN/AUDIO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와 차량의 상태정보(예컨대, 운행기록, 장비들의 세부정보 등)를 획득할 수 있다.
아울러, 휴대 단말기(210)가 획득한 전자 기기 식별 정보에 따라 해당 전자 기기를 검색한 후, 검색된 전자 기기로 소정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스마트키(220)로부터 휴대 단말기(210)로의 기능 수행 정보 등의 전송은 NFC 통신에 의하거나 기타 다른 근거리 비접촉 통신 방식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렇게 스마트키(220)가 휴대 단말기(210)로 요청된 정보를 전달하면 (S530), 휴대 단말기(210)와 차량 내 멀티미디어 기기의 페어링을 시작한다(S540).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와 스마트키 페어링 진행 과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휴대 단말기와 차량 내부의 멀티미디어 기기간 페어링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로서,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휴대 단말기를 스마트폰으로 표기하였다.
먼저, NFC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폰(210)과 스마트키(220)를 접촉시키면(S601), 두 기기에 장착된 NFC통신 모듈 간 접촉 이벤트가 발생한다(S602).
두 기기(210,220)의 접촉 이벤트로 인해 두 기기(210,220)의 NFC 연결이 활성화 되면(S603), 스마트폰(210)은 스마트키(220)에 내장된 블루투스 정보를 요청한다(S604).
이후, 블루투스 정보 요청을 받은 스마트키(220)는 자신이 차량 내부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05).
스마트키(220)가 차량 내부에 있어 스마트키(220)와 차량 AVN/AUDIO 모듈이 근접해 있으면 (S607), 스마트키는 차량의 스마트키 모듈에 접촉 이벤트 발생 신호를 전달한다(S608).
사용자가 차량 외부에 있어 스마트키(220)와 차량의 AVN/AUDIO 모듈이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S606), 페어링 진행 작업이 중단된다(S625).
스마트키(220)와 차량 AVN/AUDIO 모듈이 근접해 있으면 (S607), 차량의 스마트키 모듈은 CAN (Controller Area Network)통신으로 차량의 AVN/AUDIO 모듈에, 스마트키(220)와 스마트폰(210)의 접촉 이벤트 발생 신호를 전달한다(S608).
차량의 AVN/AUDIO 모듈(420)에서 상기 두 기기의 접촉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면, 차량의 AVN/AUDIO 모듈(420)은 블루투스 모듈을 활성화하고, 페어링 대기모드로 전환한다(S610).
차량의 AVN/AUDIO 모듈(420)이 페어링 대기모드로 전환되면(S610), 페어링 준비 완료 메시지 및 AVN/AUDIO 모듈(420)의 블루투스 장치 정보를 차량의 스마트키 모듈(410)로 전달하고(S612), 차량의 스마트키 모듈(410)은 스마트키에 블루투스 페어링을 위한 정보를 전달한다(S613).
블루투스 장치 정보는 블루투스 주소(BD_ADDR), PIN(Personal Identity Number) 코드와 같은 블루투스 기기 연결 정보 또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보안 타입(Security Type) 및 패스워드(Password)등의 기기 연결 정보 등이다.
스마트키(220)는 근거리 통신(예컨대, NFC)을 통해 해당 정보를 스마트폰(210)에 전달하고(S614), 스마트폰(210)은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페어링을 진행한다(S615).
만약, AVN/AUDIO 모듈(410)이 페어링 대기모드로 전환되지 않으면(S611), 정해진 횟수이상 페어링 대기모드로의 전환을 시도하고, 대기 모드로 전환이 완료되면, 앞서 설명한 페어링 단계를 동일하게 거친다(S612 이후 과정 동일).
페어링 대기모드로 정해진 횟수 이상 시도하여 모두 실패했을 경우에는, 차내 멀티미디어 모듈(420)의 블루투스가 활성화 되지 않는다(S622).
차량의 스마트키 모듈(410)은 차내 멀티미디어 모듈(420)의 블루투스 활성화 실패 정보를 스마트키(220)에 전달하고(S623), 스마트키(220)는 같은 정보를 스마트폰(210)에 전달하면(S624) 스마트폰(210)과 멀티미디어 모듈(420)간의 페어링 작업 진행이 중단된다(S625).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휴대 단말기의 존재를 인식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로 페어링 정보를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이 구비된 스마트키;
    상기 스마트키와 무선 통신하는 차량 내부의 스마트키 모듈; 및
    차량 내 위치한 휴대 단말기와 페어링되는 멀티미디어 기기; 를 포함하는 페어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모듈, 적외선(Infrared)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DSRC(Dedicated Short Range Communication)모듈, UWB(Ultra Wide band) 모듈, WLAN(Wireless LAN) 모듈 중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하는 것인 페어링 장치.
  3. 스마트키가 휴대 단말기와 접촉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키에 접촉된 휴대 단말기로부터 상기 스마트키에 내장된 블루투스 정보를 요청받는 단계;
    상기 요청된 정보를 스마트키가 휴대 단말기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스마트키에 내장된 정보에 해당하는 차량 내 멀티미디어 기기가 페어링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페어링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가 휴대 단말기와 접촉하는 단계; 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스마트키의 NFC접촉 이벤트가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접촉 이후 상기 휴대 단말기와 스마트키의 NFC 연결이 활성화 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페어링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에 접촉된 휴대 단말기가 상기 스마트키에 내장된 블루투스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는
    상기 스마트키가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키가 판단한 위치가 차량 내부일 경우, 상기 스마트 키는 상기 차량 내부의 스마트키 모듈에 상기 스마트키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접촉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접촉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전달받은 상기 차량 내부의 스마트키 모듈은
    CAN 통신을 통해 상기 차량 내 멀티미디어 기기에 이벤트 발생을 전달하는 단계;
    상기 차량 내 멀티미디어 기기는 블루투스 모듈로 활성화 되고 페어링 대기모드로 전환되는 단계;
    상기 차량 내 멀티미디어 기기가 페어링 대기모드로 전환되면, 페어링 준비 완료 메시지 및 상기 차량 내 멀티미디어 기기의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를 상기 차량 내부의 스마트키 모듈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내부의 스마트키 모듈은 상기 차량 내부의 스마트키 모듈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블루투스 페어링 정보를 상기 스마트키에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페어링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이벤트 발생 정보를 전달받은 상기 차량 내 멀티미디어 기기는 블루투스 모듈로 활성화 되고 페어링 대기모드로 전환되는 단계; 는
    상기 차량 내 멀티미디어 기기의 페어링 대기모드 전환 성공 여부 판단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페어링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 멀티미디어기기의 페어링 대기모드 전환 성공 여부 판단 단계; 는
    상기 차량 내 멀티미디어기기의 블루투스 페어링 대기모드 전환 실패 시 특정 횟수(예컨대 2회)이상 페어링 대기모드 전환 재시도를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페어링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 멀티미디어기기의 블루투스 페어링 대기모드 전환 실패 시 특정 횟수(예컨대 2회)이상 페어링 대기모드 전환 재시도를 진행하는 단계; 는
    상기 차량 멀티미디어 기기를 페어링 대기 모드로 전환하려는 재시도가 모두 실패 하였을 경우, 상기 차량 멀티미디어 기기의 블루투스 활성화 진행이 중단되는 단계;
    상기 차량 내부의 스마트키 모듈은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의 블루투스 활성화 진행 중단 정보를 상기 스마트 키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키는 전달받은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기와 상기 차량 내 멀티미디어 기기의 페어링 진행이 중단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페어링 방법.





KR20130074706A 2013-06-27 2013-06-27 스마트 키를 통한 차량 내부의 멀티미디어 기기와 휴대 단말기의 블루투스 페어링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029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4706A KR20150002954A (ko) 2013-06-27 2013-06-27 스마트 키를 통한 차량 내부의 멀티미디어 기기와 휴대 단말기의 블루투스 페어링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4706A KR20150002954A (ko) 2013-06-27 2013-06-27 스마트 키를 통한 차량 내부의 멀티미디어 기기와 휴대 단말기의 블루투스 페어링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954A true KR20150002954A (ko) 2015-01-08

Family

ID=52475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4706A KR20150002954A (ko) 2013-06-27 2013-06-27 스마트 키를 통한 차량 내부의 멀티미디어 기기와 휴대 단말기의 블루투스 페어링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2954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650B1 (ko) * 2015-08-31 2016-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내의 암전류 저감 방법 및 이를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9706471B1 (en) 2016-01-07 2017-07-11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controlling freebooting of vehicle head unit using geofence beacon,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WO2020054942A1 (ko) * 2018-09-14 2020-03-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액세서리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10933647A (zh) * 2019-11-28 2020-03-27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载蓝牙控制方法、系统及车辆
CN112291739A (zh) * 2019-07-11 2021-01-29 上海擎感智能科技有限公司 智能终端与车载终端WiFi联机方法、系统、介质及T-BOX
CN112291740A (zh) * 2019-07-11 2021-01-29 上海擎感智能科技有限公司 智能终端与车载终端蓝牙互联方法、系统、介质及t-box
CN112986697A (zh) * 2019-12-02 2021-06-18 联合汽车电子有限公司 智能钥匙的标定方法、标定系统及可读存储介质
CN114148286A (zh) * 2021-11-03 2022-03-08 中山市澳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蓝牙和nfc的汽车控制系统
CN114148285A (zh) * 2021-10-21 2022-03-08 中山市澳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蓝牙技术的汽车开关锁控制方法及系统
CN114945218A (zh) * 2022-07-25 2022-08-26 绵阳优森科技有限公司 大规模无线通讯应用中的设备配对方法及系统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650B1 (ko) * 2015-08-31 2016-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내의 암전류 저감 방법 및 이를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9706471B1 (en) 2016-01-07 2017-07-11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controlling freebooting of vehicle head unit using geofence beacon,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WO2020054942A1 (ko) * 2018-09-14 2020-03-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액세서리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00031275A (ko) * 2018-09-14 2020-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세서리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N112291740A (zh) * 2019-07-11 2021-01-29 上海擎感智能科技有限公司 智能终端与车载终端蓝牙互联方法、系统、介质及t-box
CN112291739A (zh) * 2019-07-11 2021-01-29 上海擎感智能科技有限公司 智能终端与车载终端WiFi联机方法、系统、介质及T-BOX
CN110933647A (zh) * 2019-11-28 2020-03-27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载蓝牙控制方法、系统及车辆
CN110933647B (zh) * 2019-11-28 2022-09-30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载蓝牙控制方法、系统及车辆
CN112986697A (zh) * 2019-12-02 2021-06-18 联合汽车电子有限公司 智能钥匙的标定方法、标定系统及可读存储介质
CN112986697B (zh) * 2019-12-02 2024-04-26 联合汽车电子有限公司 智能钥匙的标定方法、标定系统及可读存储介质
CN114148285A (zh) * 2021-10-21 2022-03-08 中山市澳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蓝牙技术的汽车开关锁控制方法及系统
CN114148286A (zh) * 2021-11-03 2022-03-08 中山市澳多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蓝牙和nfc的汽车控制系统
CN114945218A (zh) * 2022-07-25 2022-08-26 绵阳优森科技有限公司 大规模无线通讯应用中的设备配对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2954A (ko) 스마트 키를 통한 차량 내부의 멀티미디어 기기와 휴대 단말기의 블루투스 페어링 장치 및 그 방법
US9042817B2 (en) Method and system to automatically establish NFC link between NFC enabled electronic devices based on proximate distance
US863058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with external interface device using contactless
CN102783223B (zh) 减少无线设备的电力消耗
US9754431B2 (en) Method and system for a key fob base station enabling remote car access using a nomadic device
KR101807286B1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 및 장치
WO2015155604A2 (zh) 一种智能手机、具有该智能手机的车辆控制系统及控制方法
US9480095B2 (en) Simplified pairing of a second device in a vehicle vi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S10091633B2 (en) Passive entry passive start systems employing consumer mobile devices as portable remote control units
US9875649B2 (en) Remote control systems for vehicles
CN107182035B (zh) 使用基于位置的服务的无线车辆充电通信系统和方法
WO2017068560A1 (ja) 通信装置
US10075575B2 (en) Device for connecting a phone to a vehicle
KR101792097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차량 도어를 개폐하는 장치 및 방법
JP2012215047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KR20140115631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32622A (ko)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동하는 차량용 어플리케이션 구동 장치 및 방법
JP2019153984A (ja)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装置
JP2016076899A (ja) 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153280A (ja) 携帯端末キー登録システム
JP6244176B2 (ja) 車載通信システム
KR20090047144A (ko)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블루투스통신 방법
JP6244215B2 (ja) 車載通信システム
KR101921207B1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휴대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 및 장치
KR20070002574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자동차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