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873U - 공기 및/또는 수리액을 타이어에 주입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및/또는 수리액을 타이어에 주입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873U
KR20150002873U KR2020140003273U KR20140003273U KR20150002873U KR 20150002873 U KR20150002873 U KR 20150002873U KR 2020140003273 U KR2020140003273 U KR 2020140003273U KR 20140003273 U KR20140003273 U KR 20140003273U KR 20150002873 U KR20150002873 U KR 201500028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port
liquid
passage
tire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2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와이 칸 왕
Original Assignee
와이 칸 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 칸 왕 filed Critical 와이 칸 왕
Publication of KR201500028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87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12Puncture preven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10Arrangement of tyre-inflating pumps mounted o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공기 및/또는 수리액을 타이어에 주입하는 장치는, 본체 부재와 소켓 부재를 포함하고, 본체 부재는 수리액이 담겨 있는 수리액 수단, 압축 부재, 기체 유출 포트와 액체 유출 포트 및 연동 부재를 포함한다. 소켓 부재는 압축 공기 또는 수리액을 타이어에 주입하는 주입관 및 소켓을 포함한다. 소켓은 일단이 주입관에 연결되고, 타단이 기체 유출 포트 및/또는 액체 유출 포트에 연결되며, 연동 부재를 트리거하여 제1 통로, 제2 통로 중의 하나를 작동시킨다. 제1 통로는 압축 부재에 의해 발생된 압축 공기가 수리액 수단으로 유입되어 수리액을 액체 유출 포트로 밀어내는 통로이고, 제2 통로는 압축 부재로부터의 압축 공기가 기체 유출 포트로 유입되는 통로이다. 본 장치는 기계적 방식으로 공기 주입 및 펑크 수리 기능을 실현하고,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하기 편리하다.

Description

공기 및/또는 수리액을 타이어에 주입하는 장치{An apparatus used for pushing the air and/or the sealant into the tire}
본 고안은 타이어 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 및/또는 수리액을 타이어에 주입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페어 타이어는 몇 십년 동안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 자동차 및 기타 차량 도구에 스페어 타이어가 더 이상 갖춰져 있지 않다. 대신에 소형 압축기 수단과 밀봉물(sealing mass)이 들어 있는 소형 카세트가 갖춰져 있으며, 이를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라 한다.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는 스페어 타이어보다 더 저렴하고 가볍다. 자동 공기 주입 수리액은, PH값이 중성이고, 원재료가 다양한 고분자 화합물로 구성되며, 독이 없고, 난연성, 비점착성을 가진 액체이며, 응급 장비로도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는 각종 차량의 타이어에 적용되고, 어떤 보조 공구도 필요 없이, 8mm보다 작은 복수의 구멍 및 공기가 천천히 새는 것에 대해 짧은 시간 내에 펑크 수리, 공기 주입을 자동으로 완성할 수 있고, 펑크가 나면 바로 수리하며 반복 사용되며, 안전하고, 위생적이고, 편리하여, 타이어 고장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예방하고, 타이어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자동 공기 주입 수리액은 체적이 작고, 휴대하기 편리하며, 타이어 펑크 수리 시 어떤 공구도 필요하지 않고, 타이어를 해체할 필요가 없어, 전문 지식이 없는 여성이라도 1분 내에 타이어 펑크 수리 및 공기 주입을 자동으로 끝낼 수 있다. 또한 타이어를 교체하는 번거로움을 덜고, 트레일러 대기 시간과 소모되는 재력을 절약하며, 동시에 소화 기능이 좋아, 일반 소화기와 효과 차이가 거의 없다. 자동차에 수리액과 공기를 빨리 주입하고, 강온(降溫), 소화 기능을 갖는 새로운 과학기술 제품이 구비되면 여행, 외출 시 매우 편리할 것이다. 이러한 기능들은 모두 환경에 유익하다. 또한 무게가 보다 가벼워져 연료 소모를 줄이고, 동시에 자동차 트렁크를 더욱 잘 활용할 수 있다. 현재 흔히 보는 것은 자동차 트렁크에 구비된 압축기 어셈블리(또는 펌프 어셈블리라 함)와 밀봉물이 들어 있는 카세트를 포함하는 완전한 장치이며, 압축기가 작동된 후, 상기 장치는 타이어 밸브와 연결되어 상기 밀봉물을 타이어에 주입할 수 있을 뿐이다. 카세트가 비게 되면, 압축기로부터의 압축 공기는 타이어 내에 자동으로 직접 유입됨으로써, 타이어가 필요한 압력까지 팽창되게 한다.
GB2452137A는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를 공개하였고, 압축 공기용 유출구가 2개 있고, 하나는 밀봉물이 들어 있는 카세트와 연결되고, 밀봉물을 펑크 타이어에 주입하기 전에, 타이어 밸브에 나사 결합되고, 다른 하나는 다른 주입 작업 시 압축 공기 유출구로 사용된다. 사용 시, 밀봉물을 타이어에 주입시켜 유출구와 연결되고, 밀봉물만 주입되도록 허용하는 전자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 밖에, 제2 전자 스위치를 조작하여 압축 공기를 제2 유출구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상기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는 전자 스위치를 통해 타이어에 수리액을 주입하는 것을 제어하므로, 만일 전자 스위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없으면 작동하지 못하는 기술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타이어 펑크 수리 키트의 기능은 비교적 단일하여, 수리액을 타이어에 주입하는 기능뿐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공기가 빠진 타이어는 다시 공기를 넣어야 하고, 아직까지는 단지 기계적 수단만을 통해 공기 주입 및 펑크 수리 기능을 동시에 구비한 장치가 없다.
본 고안의 목적은 공기 및/또는 수리액을 타이어에 주입하는 장치를 제공하여, 종래기술에서 기계적 방식만을 통해 공기 주입 및 펑크 수리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장치가 없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공기 및/또는 수리액을 타이어에 주입하는 장치는,
본체 부재와 소켓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부재는,
수리액이 담겨 있는 수리액 수단;
압축 공기 또는 수리액을 주입하기 위해, 본체 부재에 유입된 공기를 압축하는 압축 부재;
기체 유출 포트와 액체 유출 포트; 및
기체 유출 포트와 액체 유출 포트 중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기체 유출 포트와 액체 유출 포트 중의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며, 압축 부재에 의해 발생된 압축 공기가 수리액 수단으로 유입되어 수리액을 액체 유출 포트로 밀어내는 제1 통로 또는 압축 부재로부터의 압축 공기가 기체 유출 포트로 유입되는 제2 통로를 작동시키는 연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 부재는,
압축 공기 또는 수리액을 타이어에 주입하는 주입관; 및
일단이 상기 주입관에 연결되고, 타단이 기체 유출 포트 및/또는 액체 유출 포트에 연결되며, 연동 부재를 트리거하여 제1 통로, 제2 통로 중의 하나를 작동시키는 소켓;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소켓은,
기체 유출 포트 또는 액체 유출 포트와 연결되는 연결 수단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삽입홀;
액체 유출 포트 또는 기체 유출 포트에 연결되고, 연동 부재를 트리거하여 제1 통로 또는 제2 통로를 작동시키기 위한 트리거 수단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2 삽입홀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가 공기 주입 모드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삽입홀은 기체 유출 포트에 연결되고, 제2 삽입홀은 액체 유출 포트에 연결되고 제2 통로가 작동한다.
상기 장치가 수리액 주입 모드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삽입홀은 액체 유출 포트에 연결되고, 제2 삽입홀은 기체 유출 포트에 연결되고, 제1 통로가 작동한다.
상기 트리거 수단은 압입 기둥일 수 있다. 상기 연동 부재는 피스톤 수단; 압축 공기의 흐름 방향을 바꿔 제1 통로 또는 제2 통로가 작동하도록, 피스톤을 움직이는 트리거 수단을 포함한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본 고안은 아래의 장점이 있다.
우선, 본 고안은 공기를 주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리액을 주입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하나의 장치를 휴대하면 두 가지 기능을 실현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아주 편리하다. 또한 본 고안은 구조가 아주 간단하고, 제작이 쉬우며, 휴대하기 간편하다.
그리고, 본 고안은 간단한 기계적 구조만을 통해 상기 기능을 실현하므로, 전기 스위치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사용 범위를 크게 넓혔다.
도 1은 본 고안의 공기 및/또는 수리액을 타이어에 주입하는 장치의 입체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공기 및/또는 수리액을 타이어에 주입하는 장치의 사용 상태 1을 나타낸 입체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공기 및/또는 수리액을 타이어에 주입하는 장치의 사용 상태 2를 나타낸 입체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공기 및/또는 수리액을 타이어에 주입하는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공기 및/또는 수리액을 타이어에 주입하는 장치의 사용 상태 1의 기체 흐름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공기 및/또는 수리액을 타이어에 주입하는 장치의 사용 상태 2의 기체 흐름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을 결합하여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공기 및/또는 수리액을 타이어에 주입하는 장치는 본체 부재(1)와 소켓 부재(2)를 포함하고,
본체 부재(1)는,
수리액이 담겨 있는 수리액 수단(11);
압축 공기 또는 수리액을 주입하기 위해, 본체 부재에 유입된 공기를 압축하는 압축 부재(12);
기체 유출 포트(13)와 액체 유출 포트(14); 및
기체 유출 포트(11)와 액체 유출 포트(14) 중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기체 유출 포트(11)와 액체 유출 포트(14) 중의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며, 압축 부재에 의해 발생된 압축 공기가 수리액 수단(11)으로 유입되어 수리액을 액체 유출 포트(14)로 밀어내는 제1 통로 또는 압축 부재(12)로부터의 압축 공기가 기체 유출 포트(13)로 유입되는 제2 통로를 작동시키는 연동 부재;를 포함한다.
본체 부재(1)는 하우징일 수 있고, 압축 부재(12)와 수리액 수단(11)은 하우징 내에 각각 설치되고, 기체 유출 포트(13)와 액체 유출 포트(14)는 하우징의 측면에서 아래 위로 엇갈리게 위치할 수 있고, 압축 부재(12)와 수리액 수단(11)은 기체 유출 포트(13)와 액체 유출 포트(14)의 좌, 우 양 부분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미관상, 사용 편의상 하우징의 측면은 작은 호형을 이루고, 기체 유출 포트(13)와 액체 유출 포트(14)는 상기 작은 호형 내에 각각 위치하고, 기체 유출 포트(13)와 액체 유출 포트(14)의 단부는 하우징의 기타 측 부분과 나란히 배치된다. 그 밖에, 수리액 수단(11)은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다.
소켓 부재(2)는,
압축 공기 및/또는 수리액을 타이어에 주입하는 주입관(22); 및
일단이 상기 주입관(22)에 연결되고, 타단이 기체 유출 포트(13) 및/또는 액체 유출 포트(14)에 연결되며, 연동 부재를 트리거하여 제1 통로 및 제2 통로 중의 하나를 작동시키는 소켓(21);을 포함한다.
또한 소켓(21)은,
기체 유출 포트(13) 또는 액체 유출 포트(14)와 연결되는 연결 수단(214)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삽입홀(211); 및
액체 유출 포트(14) 또는 기체 유출 포트(13)에 연결되고, 연동 부재를 트리거하여 제1 통로 또는 제2 통로를 작동시키기 위한 트리거 수단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2 삽입홀(212);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가 공기 주입 모드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삽입홀(211)은 기체 유출 포트(13)에 연결되고, 제2 삽입홀(212)은 액체 유출 포트(14)에 연결되고, 제2 통로가 작동한다(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음).
상기 장치가 수리액 주입 모드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삽입홀(211)은 액체 유출 포트(14)에 연결되고, 제2 삽입홀(212)은 기체 유출 포트(13)에 연결되고, 제1 통로가 작동한다(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음).
상기 수단들을 통해, 본 장치는 공기 주입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이어 펑크 수리도 실현할 수 있다.
소켓(21)은 양용 소켓일 수 있으며, 트리거 수단은 압입 기둥(213)일 수 있다.
연동 부재는 피스톤 수단; 압축 공기의 흐름 방향을 바꿔 제1 통로 또는 제2 통로가 작동하도록, 피스톤을 움직이는 트리거 수단을 포함한다.
도 4를 참고하면, 피스톤 수단은 피스톤(32)과 탄성 수단(35)을 포함하고, 피스톤(32)과 탄성 수단(35)은 본체 부재의 코어부(34) 내에 각각 설치되고, 탄성 수단(35)은 피스톤(32)의 후단에 설치되어 피스톤(32)과 연결된다.
피스톤 본체는 적어도 제1 돌출체(322), 평탄체(321), 제2 돌출체(323)를 포함하고, 평탄체(321)와 코어부(34) 사이에는 압축 부재의 기체 유출 부분과 연통된 평탄체 공간을 형성한다.
피스톤이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돌출체(323)와 코어부의 하우징은 밀착되어 밀봉을 형성하므로, 평탄체 공간의 압축 공기는 기체 유출 포트에 직접 유입되고, 제2 통로가 작동한다(도 6을 참고, 화살표로 표시되는 통로가 제2 통로임).
피스톤이 가압된 상태에서, 제1 돌출체(321)와 코어부의 하우징은 밀착되어 밀봉을 형성하므로, 평탄체 공간의 압축 공기는 수리액 수단에 유입되어 수리액을 액체 유출 포트로 밀어내고, 제1 통로가 작동된다(도 5를 참고, 화살표로 표시되는 통로가 제1 통로임).
제1 돌출체의 외부에 밀봉 수단(예를 들면 O형 링)이 설치되어 있다. 제2 돌출체의 외부에 밀봉 수단(예를 들면 O형 링)이 설치되어 있다.
즉, 공기 및/또는 수리액을 타이어에 주입하는 장치는, 양용 소켓, 피스톤(32), 코어부(34) 및 수리액 수단(11)(예를 들면, 수리액 병)을 포함하고, 본 장치는 피스톤 위치의 이동을 통해 압축 공기의 흐름 방향을 바꾸며, 작동 모드가 2가지이다.
1) 수리액 주입 모드(도 5): 양용 소켓의 연결 수단(214)을 통해 소켓을 수리액 병의 기체 유출 병 마개에 고정시키고, 양용 소켓의 압입 기둥에 의해 피스톤이 코어부의 깊은 곳에 압입되어, 피스톤 왼쪽의 O형 링이 피스톤과 연결 헤드의 간극을 밀봉하면, 압축 공기는 피스톤과 코어부의 간극을 통해 수리액 병에 유입되어(제1 통로 또는 일부 제1 통로), 수리액이 양용 소켓 및 주입관(22)을 통해 유출되게 한다. 화살표 방향은 압축 공기 및 수리액의 흐름 방향이다.
2) 공기 주입 모드(도 6): 양용 소켓의 연결 수단(214)을 통해 소켓을 연결 헤드(31)에 고정시키고, 피스톤의 탄성 수단(스프링)의 작용으로, 피스톤(32)은 피스톤 스프링(35)에 의해 연결 헤드(31)의 전단으로 밀려, 피스톤 오른쪽의 O형 링(33)은 피스톤(32)과 코어부(34)의 간극을 밀봉하면, 압축 공기는 피스톤(32)과 연결 헤드(31)의 간극을 통해 흐르고(즉 제2 통로), 양용 소켓 및 주입관(22)을 통해 유출된다. 화살표 방향은 압축 공기의 흐름 방향이다.
이상, 한 가지 구현예만 공개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통로와 제2 통로는 여러 가지 형식으로 설계될 수 있고, 도면에 공개된 형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밖에, 본 실시예에서 연동 부재는 피스톤이나, 개폐를 구현할 수 있는 기타 구조일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연동 부재는 액체 유출구에 설치될 수도 있고, 이런 것들은 모두 기계 변환을 통해 실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일 뿐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모든 세부 사항을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았으며, 본 고안이 상기 구체적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의 내용에 따라 여러 가지 수정과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분명하다. 본 명세서는 이런 실시예를 선택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의 원리와 실제 응용을 더욱 잘 설명하여, 본 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더 잘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은 단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제한만 받는다.
1: 본체 부재
2: 소켓 부재
11: 수리액 수단
12: 압축 부재
13: 기체 유출 포트
14: 액체 유출 포트
21: 소켓
22: 주입관
211: 제1 삽입홀
212: 제2 삽입홀
213: 압입 기둥
214: 연결 수단
32: 피스톤
35: 탄성 수단
321: 평탄체
322: 제1 돌출체
323: 제2 돌출체

Claims (8)

  1. 본체 부재와 소켓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부재는,
    수리액이 담겨 있는 수리액 수단;
    압축 공기 또는 수리액을 주입하기 위해, 상기 본체 부분에 유입된 공기를 압축하는 압축 부재;
    기체 유출 포트와 액체 유출 포트; 및
    상기 기체 유출 포트와 액체 유출 포트 중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기체 유출 포트와 액체 유출 포트 중의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며, 상기 압축 부재에 의해 발생된 압축 공기가 상기 수리액 수단으로 유입되어 수리액을 액체 유출 포트로 밀어내는 제1 통로 또는 상기 압축 부재로부터의 압축 공기가 기체 유출 포트로 유입되는 제2 통로를 작동시키는 연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 부재는,
    압축 공기 또는 수리액을 타이어에 주입하는 주입관; 및
    일단이 상기 주입관에 연결되고, 타단이 기체 유출 포트 및/또는 액체 유출 포트에 연결되며, 상기 연동 부재를 트리거하여 상기 제1 통로 및 상기 제2 통로 중의 하나를 작동시키는 소켓;을 포함하는,
    공기 및/또는 수리액을 타이어에 주입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상기 기체 유출 포트 또는 액체 유출 포트와 연결되는 연결 수단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삽입홀; 및
    상기 액체 유출 포트 또는 기체 유출 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연동 부재를 트리거하여 상기 제1 통로 또는 제2 통로를 작동시키기 위한 트리거 수단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2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가 공기 주입 모드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삽입홀은 기체 유출 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삽입홀은 액체 유출 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통로가 작동하고,
    상기 장치가 수리액 주입 모드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제1 삽입홀은 액체 유출 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삽입홀은 기체 유출 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통로가 작동하는, 공기 및/또는 수리액을 타이어에 주입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수단은 압입 기둥인, 공기 및/또는 수리액을 타이어에 주입하는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부재는, 피스톤 수단; 및 압축 공기의 흐름 방향을 바꿔 상기 제1 통로 또는 제2 통로가 작동하도록, 피스톤을 움직이는 트리거 수단을 포함하는, 공기 및/또는 수리액을 타이어에 주입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수단은 피스톤과 탄성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과 탄성 수단은 상기 본체 부재의 코어부 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탄성 수단은 피스톤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는, 공기 및/또는 수리액을 타이어에 주입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본체는 적어도 제1 돌출체, 평탄체, 제2 돌출체를 포함하고, 평탄체와 코어부 사이에는 압축 부재의 기체 유출 부분과 연통된 평탄체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이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2 돌출체와 코어부의 하우징은 밀착되어 밀봉을 형성하므로, 상기 평탄체 공간의 압축 공기는 기체 유출 포트에 직접 유입되고, 상기 제2 통로가 작동하고;
    상기 피스톤이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돌출체와 코어부의 하우징은 밀착되어 밀봉을 형성하므로, 상기 평탄체 공간의 압축 공기는 수리액 수단에 유입되어 수리액을 액체 유출 포트로 밀어내고, 상기 제1 통로가 작동하는, 공기 및/또는 수리액을 타이어에 주입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체의 외부에 밀봉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공기 및/또는 수리액을 타이어에 주입하는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체의 외부에 밀봉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공기 및/또는 수리액을 타이어에 주입하는 장치.
KR2020140003273U 2014-01-13 2014-04-23 공기 및/또는 수리액을 타이어에 주입하는 장치 KR20150002873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20018652.3 2014-01-13
CN201420018652 2014-01-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873U true KR20150002873U (ko) 2015-07-22

Family

ID=53255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273U KR20150002873U (ko) 2014-01-13 2014-04-23 공기 및/또는 수리액을 타이어에 주입하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002873U (ko)
CN (2) CN1047729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873U (ko) * 2014-01-13 2015-07-22 와이 칸 왕 공기 및/또는 수리액을 타이어에 주입하는 장치
ITUA20164200A1 (it) 2016-06-08 2017-12-08 Tek Global Srl Contenitore multiuso di liquido sigillante per un kit di riparazione di articoli gonfiabili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48295B2 (en) * 2007-02-23 2010-07-06 Active Tools International (Hk) Ltd. Tire-repair bottle
DE102008027024A1 (de) * 2008-06-06 2009-12-10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Kobe Vorrichtung zum Einbringen von Luft und/oder Abdichtmittel in einen Reifen
CN101408155B (zh) * 2008-11-10 2010-09-22 周文三 修补轮胎的充气装置
CN102744894B (zh) * 2011-04-20 2015-06-03 周文三 补胶及充气的空气压缩机装置
KR20150002873U (ko) * 2014-01-13 2015-07-22 와이 칸 왕 공기 및/또는 수리액을 타이어에 주입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4354495U (zh) 2015-05-27
CN104772916A (zh) 2015-07-15
CN104772916B (zh) 201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4445U (ja) 車載用空気圧縮機の直列接続フレキシブル管の継手構造
US9902375B2 (en) Device used for pressing air and/or tire sealant into a tire and a compression part
JP2007182036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セット
CN202217616U (zh) 一种断路器用充气装置及使用这种充气装置的断路器
US20130306174A1 (en) Quick Connection and Separation Device of Tire Repair Machine
JP5021242B2 (ja)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CN104295891B (zh) 气瓶用充气、供气接头及使用该装置的高压气瓶
KR20150002873U (ko) 공기 및/또는 수리액을 타이어에 주입하는 장치
CN203264104U (zh) 一种气体灭火器气门芯瓶头阀
CN102336187B (zh) 胶轮车手动制动阀
CN212055857U (zh) 自动助吹阀
KR20100021073A (ko) 피스톤 방식 에어건
CN201551751U (zh) 一种自动转换逃生器
CN103470813B (zh) 混合阀
JP2007076104A (ja)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JP2009208343A (ja)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CN203309154U (zh) 气动天然气瓶阀
JP2009269322A (ja)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及び、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方法。
JP2010167742A (ja)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CN204254258U (zh) 一种气瓶用充气、供气接头及使用该装置的高压气瓶
CN202708279U (zh) 用于消防器材的瓶头阀
KR200421459Y1 (ko) 자동소화기용 씨오투 실린더밸브
JP2006117193A (ja) シーリング・ポンプアップ装置
CN216519612U (zh) 一种气体快排机构
CA2810034C (en) Sealant bottle for tire repair of gas pressure ty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