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690U - 위생컵 - Google Patents

위생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690U
KR20150002690U KR2020130010945U KR20130010945U KR20150002690U KR 20150002690 U KR20150002690 U KR 20150002690U KR 2020130010945 U KR2020130010945 U KR 2020130010945U KR 20130010945 U KR20130010945 U KR 20130010945U KR 20150002690 U KR20150002690 U KR 201500026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auxiliary
intake portion
sanitary cup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9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성
Original Assignee
최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성 filed Critical 최진성
Priority to KR20201300109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2690U/ko
Publication of KR201500026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69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코가 닿지 않도록 하여 위생 상태를 향상시키고 사용하기에 편리한 위생컵을 제공한다. 위생컵에는 상호 이격된 주 취수부 및 보조 취수부가 형성된다. 위생컵은 그 하부에 위치하여 위생컵을 지지하는 밑면이 형성된 본체 유닛을 포함한다. 주 취수부 및 보조 취수부는 밑면에 대해 경사져서 형성되고, 주 취수부 및 보조 취수부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한다.

Description

위생컵 {SANITARY CUP}
본 고안은 위생컵에 관한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컵의 취수부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컵에 담은 내용물을 마시는 경우, 코가 닿지 않도록 하여 위생을 향상시키고 사용하기에 편리한 위생컵에 관한 것이다.
물 또는 음료수를 마시기 위해 컵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컵은 유리, 플라스틱, 종이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컵에 물 또는 음료수 등의 내용물을 담은 후 컵에 입을 대고 컵을 기울여서 내용물을 입에 넣어서 마신다.
그러나 컵의 너비가 작은 경우, 입에 닿는 반대편이 코에 닿아서 불편함을 야기한다. 즉, 코가 컵에 닿아서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코가 컵에 닿아서 물이나 음료수를 마시기가 불편하다. 특히, 코가 컵에 닿지 않도록 목을 뒤로 젖혀서 물을 마셔야 할 수도 있다.
컵을 사용시 코가 닿지 않도록 하여 위생을 향상시키고 사용하기에 편리한 위생컵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컵에는 상호 이격된 주 취수부와 보조 취수부가 형성된다. 위생컵은 그 하부에 위치하여 컵을 지지하는 밑면이 형성된 본체 유닛을 포함한다. 주 취수부 및 보조 취수부는 밑면에 대해 경사져서 형성되고, 주 취수부 및 보조 취수부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며, 주 취수부는 보조 취수부보다 크다.
주 취수부는 주 취수부 중 보조 취수부와 가장 먼 제1 지점과 보조 취수부와 가장 가까운 제2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밑면으로부터 제1 지점까지의 높이는 밑면으로부터 제2 지점까지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보조 취수부는 보조 취수부 중 주 취수부와 가장 가까운 제3 지점과 주 취수부와 가장 먼 제4 지점을 포함할 수 있다. 밑면으로부터 제3 지점까지의 높이는 밑면으로부터 제4 지점까지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주 취수부가 향하는 제1 방향과 보조 취수부가 향하는 제2 방향은 20˚ 내지 80˚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좀더 바람직하게는, 주 취수부가 향하는 제1 방향과 보조 취수부가 향하는 제2 방향은 30˚ 내지 60˚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본체 유닛에 위생컵의 높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을 가지는 복수의 눈금들이 형성되고, 복수의 눈금들은 주 취수부의 아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컵은 본체 유닛과 연결되고 길게 뻗은 형태로 형성된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는 본체 유닛의 전면과 본체 유닛의 후면에 각각 부착된 연결부들을 포함하며, 손잡이와 본체 유닛 사이에 파지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컵은 보조 취수부가 형성되고 본체 유닛과 연결된 보조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 유닛과 보조 유닛은 각각 주 취수부 및 보조 취수부로부터 상기 밑면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 증가할 수 있다.
주 취수부와 보조 취수부를 경사지게 형성하므로, 위생컵에 담긴 내용물을 마시는 경우, 코가 위생컵에 닿지 않는다. 따라서 위생 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고, 위생컵을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또한, 주 취수부 또는 보조 개구부 중 어느 한 개구부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위생컵에 담긴 내용물을 마실 수 있다. 그리고 본체 유닛에 눈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약 등을 먹을 때도 위생컵을 잘 사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컵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1의 위생컵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개재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좀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 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 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취수부"라는 용어는 위생컵에 형성되어 위생컵에 담기는 내용물이 유입 또는 유출되는 개구부를 의미한다. "취수부"의 형상은 변형 가능하므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컵(10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의 위생컵(100)의 구조는 단지 본 고안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위생컵(100)의 형태를 다르게 변형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생컵(100)은 본체 유닛(10)과 보조 유닛(20)을 포함한다. 위생컵(100)에는 상호 이격된 주 취수부(101)과 보조 취수부(201)가 형성된다. 주 취수부(101)는 본체 유닛(10)에 형성되고, 보조 취수부(201)는 보조 유닛(20)에 형성된다. 주 취수부(101)는 보조 취수부(201)보다 크다. 따라서 위생컵(100)에 담긴 내용물을 많이 마시는 경우에는 주 취수부(101)를 이용할 수 있고, 위생컵(100)에 담긴 내용물을 적게 마시는 경우에는 보조 취수부(201)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내용물의 섭취량에 따라 주 취수부(101) 또는 보조 취수부(201)를 선택적으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밑면(30)은 위생컵(1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위생컵(100)을 지지한다. 밑면(30)은 본체 유닛(10)과 보조 유닛(20)에 일체로 형성된다. 밑면(30)이 편평하게 형성되므로, 위생컵(100)을 바닥에 놓는 경우, 위생컵(100)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위생컵(100)에 든 내용물이 외부로 잘 넘치지 않는다. 주 취수부(101)와 보조 취수부(201)는 밑면(30)에 대해 경사져서 형성된다. 따라서 코가 주 취수부(101)와 보조 취수부(201)에 닿지 않은 상태로 위생컵(100)의 내용물을 마실 수 있다. 코가 주 취수부(101)와 보조 취수부(201)에 닿지 않으므로, 위생컵(100)을 매우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위생컵(100)을 사용시의 불쾌감이 느껴지지 않는다.
여기서, 주 취수부(101)와 보조 취수부(201)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한다. 즉, 예를 들면, 도 1에서 주 취수부(101)는 우측 상부 방향을 향하고, 보조 취수부(201)는 좌측 상부 방향을 향한다. 따라서 주 취수부(101)와 보조 취수부(201) 중 어느 한 취수부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마시는 경우, 마시지 않는 다른 취수부측으로 내용물이 흐르지 않는다. 그 결과, 위생컵(100) 안에 든 내용물을 안정감 있게 마실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취수부(101)는 보조 취수부(201)보다 크다. 따라서 위생컵(100)을 사용하는 사람이 필요에 따라 주 취수부(101) 또는 보조 취수부(201)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위생컵(100)의 내용물을 마실 수 있다. 즉, 병원에 입원한 환자의 경우, 거동이 불편하여 내용물을 흘릴 우려가 있으면, 보조 취수부(201)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마실 수 있다. 한편, 다량의 내용물을 좀더 빨리 마셔야 하는 경우, 주 취수부(101)를 이용하여 위생컵(100)에 든 내용물을 마실 수 있다.
그리고 환자가 다량의 물을 약과 함께 복용해야 하는 경우, 정확한 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본체 유닛(10)에는 복수의 눈금들(107)이 형성된다. 복수의 눈금들(107)은 위생컵(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동일한 간격을 가진다. 복수의 눈금들(107)은 주 취수부(101)의 아래에 형성된다. 위생컵(100)을 광투과성 소재로 형성할 수도 있으므로, 위생컵(100)에 담기는 내용물의 양을 쉽게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눈금들(107)을 이용하여 내용물의 양을 정확히 계량하여 마실 수 있다.
한편, 위생컵(100)은 본체 유닛(10)과 연결된 손잡이(40)를 포함한다. 손잡이(40)는 길게 뻗은 형태로 형성되고, 그 양측에 형성된 연결부들(401)이 각각 본체 유닛(10)의 전면(103)과 후면(105)에 각각 부착된다. 여기서, 연결부들(401)은 리벳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들(401)을 이용하여 손잡이(40)를 어느 정도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손으로 손잡이(40)를 파지하기가 용이하다. 나아가, 손잡이(40)와 본체 유닛(10) 사이에 파지용 공간이 형성되므로, 손을 파지용 공간에 넣어서 본체 유닛(10)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유닛(20)에는 보조 취수부(201)가 형성된다. 보조 유닛(20)은 본체 유닛(10)과 연결된다. 본체 유닛(10)과 보조 유닛(20)은 각각 주 취수부(101)와 보조 취수부(201)로부터 밑면(30)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 증가한다. 따라서 내용물을 위생컵(100)에 안정적으로 담을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생컵(100)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취수부(101)는 제1 지점(101a)과 제2 지점(101b)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지점(101a)은 보조 취수부(201)에서 가장 멀리 위치한다. 반대로, 제2 지점(101b)은 보조 취수부(201)에서 가장 가깝게 위치한다. 이 경우, 밑면(30)으로부터 제1 지점(101a)까지의 높이(h1)는 밑면(30)으로부터 제2 지점(101b)까지의 높이(h2)보다 크다. 즉, 주 취수부(101)는 위생컵(100)의 외측보다 상대적으로 위생컵(100)의 내측을 향하여 경사진 형상을 가진다. 사람은 위생컵(100)의 외측에 입을 대고 주 취수부(101)를 통하여 위생컵(100)에 담긴 내용물을 섭취한다. 따라서 제2 지점(101b)이 사람의 코와 멀어지므로, 코가 주 취수부(101)에 닿지 않는다. 그 결과, 주 취수부(101)를 이용하여 위생적으로 위생컵(100)에 담긴 내용물을 섭취할 수 있다.
한편, 보조 취수부(201)는 제3 지점(201a)과 제4 지점(201b)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3 지점(201a)은 주 취수부(101)에서 가장 가깝게 위치한다. 반대로, 제4 지점(201b)은 주 취수부(101)에서 가장 멀리 위치한다. 이 경우, 밑면(30)으로부터 제3 지점(201a)까지의 높이(h3)는 밑면(30)으로부터 제4 지점(201b)까지의 높이(h4)보다 작다. 즉, 보조 취수부(201)는 위생컵(100)의 외측보다 상대적으로 위생컵(100)의 내측을 향하여 경사진 형상을 가진다. 사람이 위생컵(100)의 외측에 입을 대고 보조 취수부(201)를 통하여 위생컵(100)에 담긴 내용물을 섭취하는 경우, 제3 지점(201a)이 사람의 코와 멀어지므로, 코가 보조 취수부(201)에 닿지 않는다. 따라서 보조 취수부(201)를 이용하여 위생적으로 위생컵(100)에 담긴 내용물을 섭취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 취수부(101)가 향하는 제1 방향(d1)과 보조 취수부(201)가 향하는 제2 방향(d2)은 20˚ 내지 80˚의 각도(θ)를 이룰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방향(d1)과 제2 방향(d2)은 30˚ 내지 60˚의 각도(θ)를 이룰 수 있다. 제1 방향(d1)과 제2 방향(d2)은 교차점(C)에서 만나면서 전술한 각도(θ)를 형성한다. 각도(θ)가 너무 작은 경우, 주 취수부(101)와 보조 취수부(201)는 밑면(30)과 거의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위생컵(100)에 든 내용물을 마시는 경우, 코가 주 취수부(101) 또는 보조 취수부(201)에 닿을 수 있어서 비위생적이다. 한편, 각도(θ)가 너무 큰 경우, 주 취수부(101)와 보조 취수부(201)가 너무 경사져서 형성된다. 그 결과, 오히려 주 취수부(101)와 보조 취수부(201)를 이용하여 위생컵(100)에 든 내용물을 섭취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주 취수부(101)와 보조 취수부(201)를 통하여 위생컵(100)에 든 내용물이 새버릴 수 있다. 따라서 각도(θ)를 전술한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1의 위생컵(100)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좀더 구체적으로, 도 3은 도 1의 위생컵(100)의 주 취수부(101)를 이용하여 위생컵(100)에 담긴 내용물을 마시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생컵(100)을 기울여서 주 취수부(101)를 이용해 위생컵(100)에 담긴 내용물을 마실 수 있다. 이 경우, 손을 손잡이(40)에 삽입해 끼워서 위생컵(100)에 담긴 내용물을 마실 수 있으므로, 위생컵(100)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가 주 취수부(101)에 전혀 닿지 않는다. 따라서 위생컵(100)에 담긴 내용물을 위생적으로 마실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위생컵(100)의 또다른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좀더 구체적으로, 도 4는 도 1의 위생컵(100)의 보조 취수부(201)를 이용하여 위생컵(100)에 담긴 내용물을 마시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생컵(100)을 기울여서 보조 취수부(201)를 이용해 위생컵(100)에 담긴 내용물을 마실 수 있다. 이 경우, 손을 손잡이(40)에 삽입해 끼워서 위생컵(100)에 담긴 내용물을 마실 수 있으므로, 위생컵(100)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취수부(201)와 본체 유닛(10)이 코에 닿지 않는다. 따라서 위생컵(100)에 담긴 내용물을 위생적으로 마실 수 있다.
본 고안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다음에 기재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본체 유닛
20. 보조 유닛
30. 밑면
40. 손잡이
100. 컵
101. 주 취수부
101a. 제1 지점
101b. 제2 지점
103. 전면
105. 후면
107. 눈금
201. 보조 취수부
201a. 제3 지점
201b. 제4 지점
401. 연결부
C. 교차점
d1. 제1 방향
d2. 제2 방향
h1. 제1 높이
h2. 제2 높이
h3. 제3 높이
h4. 제4 높이
M. 교차점

Claims (8)

  1. 상호 이격된 주 취수부와 보조 취수부가 형성된 위생컵으로서,
    상기 위생컵은 그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위생컵을 지지하는 밑면이 형성된 본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주 취수부 및 상기 보조 취수부는 상기 밑면에 대해 경사져서 형성되고, 상기 주 취수부 및 상기 보조 취수부는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며, 상기 주 취수부는 상기 보조 취수부보다 큰 위생컵.
  2. 제1항에서,
    상기 주 취수부는 상기 주 취수부 중 상기 보조 취수부와 가장 먼 제1 지점과 상기 보조 취수부와 가장 가까운 제2 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밑면으로부터 상기 제1 지점까지의 높이는 상기 밑면으로부터 상기 제2 지점까지의 높이보다 큰 위생컵.
  3. 제2항에서,
    상기 보조 취수부는 상기 보조 취수부 중 상기 주 취수부와 가장 가까운 제3 지점과 상기 주 취수부와 가장 먼 제4 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밑면으로부터 상기 제3 지점까지의 높이는 상기 밑면으로부터 상기 제4 지점까지의 높이보다 작은 위생컵.
  4. 제3항에서,
    상기 주 취수부가 향하는 제1 방향과 상기 보조 취수부가 향하는 제2 방향은 20˚ 내지 80˚의 각도를 이루는 위생컵.
  5. 제4항에서,
    상기 주 취수부가 향하는 제1 방향과 상기 보조 취수부가 향하는 제2 방향은 30˚ 내지 60˚의 각도를 이루는 위생컵.
  6. 제1항에서,
    상기 본체 유닛에 상기 위생컵의 높이 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을 가지는 복수의 눈금들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눈금들은 상기 주 취수부의 아래에 형성된 위생컵.
  7. 제1항에서,
    상기 본체 유닛과 연결되고 길게 뻗은 형태로 형성된 손잡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본체 유닛의 전면과 상기 본체 유닛의 후면에 각각 부착된 연결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와 상기 본체 유닛 사이에 파지용 공간이 형성된 위생컵.
  8. 제1항에서,
    상기 보조 취수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 유닛과 연결된 보조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 유닛과 상기 보조 유닛은 각각 상기 주 취수부 및 상기 보조 취수부로부터 상기 밑면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 증가하는 위생컵.
KR2020130010945U 2013-12-31 2013-12-31 위생컵 KR2015000269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945U KR20150002690U (ko) 2013-12-31 2013-12-31 위생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945U KR20150002690U (ko) 2013-12-31 2013-12-31 위생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690U true KR20150002690U (ko) 2015-07-08

Family

ID=53794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945U KR20150002690U (ko) 2013-12-31 2013-12-31 위생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269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117A (ko) * 2016-08-28 2018-03-08 이성국 과자를 찍어 먹기 편한 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117A (ko) * 2016-08-28 2018-03-08 이성국 과자를 찍어 먹기 편한 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1605B1 (en) Beverage container cap
US8915403B2 (en) Fixed-amount discharge squeeze container
US20140238985A1 (en) Beverage container cap
USD630532S1 (en) Portion control measuring devices and base unit set
US20100237107A1 (en) Pouring device with deformable spout
EP2203722B1 (en) Integrally formed receptacle with depth marks on the sidewall
US20150320628A1 (en) Ergo-male urinal
KR20150002690U (ko) 위생컵
US10589900B2 (en) Bottle
WO2011013741A1 (ja) 液体摂取用スプーン
JP6192225B2 (ja) 計量キャップ
CN102028380B (zh) 辅食用汤匙
KR20230136240A (ko) 생리컵
KR101871322B1 (ko) 촉감 젖병
WO2009145602A1 (es) Recipiente recolector de orina
CN206949576U (zh) 内置集乳器
CN104359544B (zh) 一种微量药品试剂称量套盒工具
WO2015178395A1 (ja) 食器
JP5820228B2 (ja) 容器および物品
JPWO2013121575A1 (ja) スプーンまたはフォーク、またはスプーンおよびフォーク
JP5820227B2 (ja) 容器および物品
JP2014004287A (ja) 携帯用トイレ
JP6039952B2 (ja) 粉体計量器、粉ミルク用計量器及び粉ミルク製品
JP3194418U (ja) 計量カップ
US20100236662A1 (en) Device for gauging dos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