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836A -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836A
KR20150001836A KR1020147032259A KR20147032259A KR20150001836A KR 20150001836 A KR20150001836 A KR 20150001836A KR 1020147032259 A KR1020147032259 A KR 1020147032259A KR 20147032259 A KR20147032259 A KR 20147032259A KR 20150001836 A KR20150001836 A KR 201500018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signal
power feeding
determination timing
receiv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2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6518B1 (ko
Inventor
나오키 이노우에
다이스케 우치모토
마사토시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01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02J7/02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B60C23/041Means for supplying power to the signal- transmitting means on the wheel
    • B60C23/0413Wireless charging of active radio frequency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6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foreign objects, e.g. detection of living be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0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 H02M7/06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with several outpu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45Authentication, i.e. circuits for checking compatibility between one component, e.g. a battery or a battery charger, and another component, e.g. a power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정류 회로(10)는, 수신 코일(L1)에 흐르는 전류 ICOIL을 정류한다. 평활 콘덴서(C1)는, 정류 회로(10)의 출력과 접속된다. 판정부(20)는, 급전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 개시 후의 판정 타이밍에 있어서의 평활 콘덴서(C1)의 전압 VRECT와, 소정의 역치 전압 VTH의 비교 결과에 따른 통지 신호 S1을 생성한다.

Description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기기{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SAME}
본 발명은, 와이어리스 급전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근년, 전자기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무접점 전력 전송(비접촉 급전, 와이어리스 급전이라고도 함)이 보급되기 시작했다. 상이한 제조회사의 제품간의 상호 이용을 촉진하기 위해서, WPC(Wireless Power Consortium)가 조직되고, WPC에 의해 국제 표준 규격인 Qi(치) 규격이 책정되었다.
Qi 규격에 의거한 와이어리스 급전은,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간의 전자 유도를 이용한 것이다. 급전 시스템은, 송신 코일을 갖는 급전 장치와 수신 코일을 갖는 수전 단말로 구성된다. 급전시에, 급전 장치와 수전 단말은 기계적으로 구속, 결합되어 있지 않고, 따라서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의 상대적인 위치는 자유이다. 또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 사이에, 금속편 등의 이물이 끼이는 것도 상정된다. 이들 요인에 의해,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의 결합도는 변화한다.
Qi 규격에 의거한 와이어리스 급전에서는, 코일의 결합도가 작은 상태에서도, 수전 단말과 급전 장치간의 통신에 의해서 급전 장치로부터의 송신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수전 단말에 대해 필요로 하는 전력을 공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급전 효율이 낮은 상태여도, 최선의 노력으로 급전하기 위해서, 전력 효율의 관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어느 한 양태의 예시적인 목적 중 하나는, 코일의 위치 어긋남이나 이물의 근접 등에 의해 급전 효율이 낮은 상태를 검출 가능한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의 제공에 있다.
본 발명의 어느 한 양태는,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는, 수신 코일과, 수신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정류하는 정류 회로와, 정류 회로의 출력과 접속된 평활 콘덴서와, 급전 장치로부터의 신호의 수신 개시 후의 판정 타이밍에 있어서 평활 콘덴서의 전압과 소정의 역치 전압의 비교 결과에 따른 통지 신호를 생성하는 판정부를 구비한다.
급전 장치로부터의 신호 송신 개시 직후는, 송신 전력의 제어는 행해지지 않고, 따라서 평활 콘덴서에 발생하는 전압은,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의 결합도에 따른 레벨을 취한다. 이 양태에 의하면, 급전 장치에 의한 송신 전력 제어가 개시하기 전의 판정 타이밍에 있어서, 평활 콘덴서의 전압을 감시함으로써, 수신 코일의 위치 어긋남이나 이물의 근접에 의해 급전 효율이 낮은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판정부는, 평활 콘덴서의 전압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A/D 컨버터와, 급전 장치로부터의 신호의 수신 개시 후의 판정 타이밍에 있어서의 디지털값을 소정의 역치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른 통지 신호를 생성하는 로직부를 포함해도 된다.
판정부는, 평활 콘덴서의 전압을 소정의 역치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콤퍼레이터와, 급전 장치에 의한 신호 송신 개시 후의 판정 타이밍에 있어서의 비교 신호에 의거해 통지 신호를 생성하는 로직부를 포함해도 된다.
판정 타이밍은, 급전 장치에 의한 신호 송신 개시 후, 소정의 시간 경과 후여도 된다.
판정 타이밍은, 급전 장치가 그 급전 표면 상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어떤지를 탐색하는 제1 페이즈가 완료되고, 다음 제2 페이즈로 이행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 후여도 된다.
판정 타이밍은, 급전 장치가, 선택한 물체가 급전 대상인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를 구비하는지 어떤지를 판정하는 제2 페이즈, 또는, 제2 페이즈에 이어지는,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의 정보를 취득하고, 급전의 준비를 행하는 제3 페이즈에 포함되어도 된다.
판정 타이밍은, 제3 페이즈가 종료되기 직전이어도 된다.
제2 페이즈 또는 제3 페이즈에서는, 평활 콘덴서의 전압이 안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 기간에 있어서의 전압을 감시함으로써, 정확하게 수신 코일의 위치 어긋남이나 이물의 근접을 검출할 수 있다.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는, Qi 규격에 준거해도 된다. 이 경우, 제1 페이즈는 선택(Selection) 페이즈, 제2 페이즈는 핑(Ping) 페이즈, 제3 페이즈는 인증·설정(Identification & Configuration) 페이즈, 제4 페이즈는 전력 전송(Power Transfer) 페이즈에 대응해도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는, 상술한 어느 한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다. 통지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자기기의 위치가 부적절한 것을 시사하는 화상이 표시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전자기기의 사용자는, 코일의 위치 어긋남을 인식할 수 있어, 전자기기의 최적의 위치를 찾는 단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도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는, 상술한 어느 한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를 구비한다. 전자기기는,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가 생성하는 통지 신호에 따른 신호를, 급전 장치에 송신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급전 장치에 있어서도, 통지 신호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급전 장치는, 전자기기의 위치가 부적절한 것을 시사하는 알람을 울리거나 급전을 정지해도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도,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는, 수신 코일과, 수신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정류하는 정류 회로와, 정류 회로의 출력과 접속된 평활 콘덴서와, 급전 장치로부터의 신호의 수신 개시 후의 판정 타이밍에 있어서의 평활 콘덴서의 전압에 따른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판정부를 구비한다.
급전 장치로부터의 신호 송신 개시 직후는, 송신 전력의 제어는 행해지지 않고, 따라서 평활 콘덴서에 발생하는 전압은,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의 결합도에 따른 레벨을 취한다. 이 양태에 의하면, 급전 장치에 의한 송신 전력 제어가 개시하기 전의 판정 타이밍에 있어서, 평활 콘덴서의 전압을 감시함으로써, 수신 코일의 위치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판정 타이밍은, 급전 장치로부터의 신호의 수신 개시 후, 소정의 시간 경과 후여도 된다.
판정 타이밍은, 급전 장치가 그 급전 표면 상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어떤지를 탐색하는 제1 페이즈가 완료되고, 다음 제2 페이즈로 이행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 후여도 된다.
판정 타이밍은, 급전 장치가, 선택한 물체가 급전 대상의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를 구비하는지 어떤지를 판정하는 제2 페이즈, 또는, 제2 페이즈에 이어지는,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의 정보를 취득하고, 급전의 준비를 행하는 제3 페이즈에 포함되어도 된다.
판정 타이밍은, 제3 페이즈가 종료되기 직전이어도 된다.
제2 페이즈 또는 제3 페이즈에서는, 평활 콘덴서의 전압이 안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 기간에 있어서의 전압을 감시함으로써, 정확하게 수신 코일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는, 상술한 어느 한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다. 전자기기는, 검출 신호에 따른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전자기기의 사용자는, 코일의 위치 어긋남을 인식할 수 있어, 전자기기의 최적의 위치를 찾는 단서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도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는, 상술한 어느 한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를 구비하고,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따른 정보를 급전 장치에 송신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급전 장치에 있어서도, 검출 신호에 따른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상의 구성요소의 임의의 조합이나, 본 발명의 구성요소나 표현을, 방법, 장치, 시스템 등의 사이에서 서로 치환한 것도,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유효하다.
본 발명의 어느 한 양태에 의하면, 급전 효율이 낮은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수전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전 장치의 동작 파형도이다.
도 3은 제1의 변형예에 따른 수전 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는 수전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적절한 실시형태를 기초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각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요소, 부재, 처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는 것으로 하여, 적절히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실시형태는,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라 예시이며, 실시형태에 기술되는 모든 특징이나 그 조합은, 반드시 발명의 본질적인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재 A가, 부재 B와 접속된 상태」란, 부재 A와 부재 B가 물리적으로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경우 외에, 부재 A와 부재 B가, 그들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혹은 그들의 결합에 의해 발휘되는 기능이나 효과를 해치지 않는, 그 밖의 부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부재 C가, 부재 A와 부재 B 사이에 설치된 상태」란, 부재 A와 부재 C, 혹은 부재 B와 부재 C가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경우 외에, 그들의 전기적인 접속 상태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혹은 그들의 결합에 의해 발휘되는 기능이나 효과를 해치지 않는, 그 밖의 부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1의 실시형태)
도 1은, 제1의 실시형태에 따른 수전 장치(100)를 구비하는 전자기기(1)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전자기기(1)는,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랩탑 PC, 휴대전화 단말, 디지털카메라, 디지털 비디오카메라, 휴대 오디오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다. 전자기기(1)는, 수전 장치(100)에 추가해, 이차 전지(2), 충전 회로(4), 마이크로 컨트롤러(6), 디스플레이 장치(8) 등을 구비한다.
수전 장치(100)는 도시하지 않은 급전 장치로부터 교류의 전력 신호를 받아 그것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충전 회로(4)에 공급한다. 충전 회로(4)는 수전 장치(100)로부터의 직류의 정류 전압 VRECT를 받아, 이차 전지(2)를 충전한다. 이차 전지(2) 대신에, 전기 2중층 커패시터 등 다른 축전 수단을 설치해도 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6)는, 전자기기(1) 전체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이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컨트롤러(6)는 디스플레이 장치(8)에 표시해야 하는 화상을 생성한다.
이상이 전자기기(1) 전체의 구성이다. 계속해서 수전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전 장치(100)는 Qi 규격에 준거하는 것으로 한다.
수전 장치(100)는, 수신 코일(L1), 정류 회로(10), 평활 콘덴서(C1), 판정부(20), 컨트롤러(30)를 구비한다.
수신 코일(L1)은 급전시에 있어서, 급전 장치의 송신 코일(도시하지 않음)과 근접하여 배치된다. 급전 장치에 있어서 송신 코일에 교류의 전류가 흐르면, 전자 유도에 의해서 수신 코일(L1)에 교류의 코일 전류 IL1이 흐른다. 정류 회로(10)는, 코일 전류 IL1을 전파정류한다. 정류 회로(10)는, 다이오드 브릿지 회로여도 되고, 트랜지스터 등의 스위치를 이용한 브릿지 회로여도 된다.
평활 콘덴서(C1)는, 정류 회로(10)의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으며, 정류 회로(10)에 의해 전파정류된 전압이 평활화된다. 평활 콘덴서(C1)에는, 직류의 정류 전압 VRECT가 발생한다. 수전 장치(100)는, 정류 전압 VRECT를 충전 회로(4)에 공급한다. 또한, 수전 장치(100)는, 정류 전압 VRECT를 승압 혹은 강압하고, 충전 회로(4)에 공급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를 더 구비해도 된다.
컨트롤러(30)는, 급전 장치 사이에서 쌍방향 통신을 행하고, 인증이나 급전의 시퀀스 제어를 실행한다.
판정부(20)는, 급전 장치로부터의 신호의 수신 개시 후의 판정 타이밍에 있어서의 평활 콘덴서(C1)의 전압 VRECT와 소정의 역치 전압 VTH의 비교 결과에 따른 통지 신호 S1을 생성한다. 일례로, VRECT>VTH일 때 통지 신호 S1은 하이 레벨, VRECT<VTH일 때 통지 신호 S1은 로우 레벨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 판정부(20)는, A/D 컨버터(22), 로직부(24)를 구비한다. A/D 컨버터(22)는, 컨트롤러(30)에 의해 지시된 타이밍으로, 평활 콘덴서(C1)의 전압 VRECT를 디지털값 DRECT로 변환한다. 로직부(24)는, 급전 장치로부터의 신호의 수신 개시 후의 판정 타이밍에 있어서, 디지털값 DRECT를 역치 전압 VTH에 대응하는 소정의 역치 DTH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른 통지 신호 S1을 생성한다. 역치 DTH는, 대응하는 레지스터의 설정값에 따라 변경 가능하게 해도 된다.
컨트롤러(30)는, 급전 장치로부터의 신호의 수신 개시부터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고, 소정 시간 경과 후의 판정 타이밍에 있어서 어서트(assert)(예를 들면, 하이 레벨)되는 타이밍 신호 S2를 생성한다. A/D 컨버터(22)는, 타이밍 신호 S2와 동기하여, 정류 전압 VRECT를 받아들인다. 바람직하게는 판정 타이밍은, 급전 장치로부터의 신호의 수신 개시 후, 소정 시간 경과 후여도 된다.
Qi 규격에서는, 이하와 같은 시퀀스로 급전이 행해진다.
·선택(Selection) 페이즈
·핑(Ping) 페이즈
·인증·설정(Identification & Configuration) 페이즈
·전력 전송(Power Transfer) 페이즈
선택 페이즈에서는, 급전 장치가 그 급전 표면 상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어떤지를 탐색하고, 급전 대상이 되는 물체를 선택한다. 계속해서 핑 페이즈로 이행한다. 핑 페이즈에서는, 급전 장치는, 선택한 물체가, 급전 대상인 수전 장치(100)를 구비하는지 어떤지를 판정한다. 이어지는 인증·설정 페이즈에서는, 수전 장치(100)의 정보를 취득하고, 급전의 준비를 행한다. 이어지는 전력 전송 페이즈에서는, 전력 전송이 행해진다.
판정 타이밍은, Qi 규격으로 규정되는 핑(Ping) 페이즈 또는 인증·설정(Identification & Configuration) 페이즈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판정 타이밍은, 인증·설정 페이즈의 종료 직전에 설정된다. 핑 페이즈로 이행하면, 컨트롤러(30)는 시간 측정을 개시하고, 소정 시간 τ 경과 후에 타이밍 신호 S2를 어서트한다.
이상이 수전 장치(100)의 구성이다. 계속해서 수전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수전 장치(100)의 동작 파형도이다.
전압 VRECT에는 실선, 일점쇄선, 파선의 3개의 파형이 나타난다. 실선은, 수신 코일(L1)의 위치가 적절한 경우를, 일점쇄선은 수신 코일(L1)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 파선은 급전 불능일 정도로 수신 코일(L1)의 위치가 어긋나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처음에 선택 페이즈에 있어서, 급전 장치로부터 소정의 신호가 공급된다.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 코일(L1)의 위치가 적절한 경우, 선택 페이즈에 있어서 급전 장치가 생성하는 신호에 의해서, 평활 콘덴서(C1)가 충분히 충전된다.
이어지는 핑 페이즈 및 인증·설정 페이즈에서는, 전압 VRECT의 베이스라인은 거의 일정하게 된다. 그리고 인증이 완료되면, 전력 전송 페이즈로 이행하고, 전력이 공급되어 전압 VRECT가 시간과 함께 상승해간다.
또한, 정류 전압 VRECT가 짧은 기간, 시분할적으로 베이스라인에 대해 증대하고 있는데, 이것은 컨트롤러(30)가 급전 장치에 패킷을 송신함으로써 발생한다.
수신 코일(L1)의 위치가 적절하고, 이물 등도 근접하고 있지 않을 때, 판정 타이밍 t1에 있어서의 정류 전압 VRECT는 역치 전압 VTH를 넘고, 통지 신호 S1이 어서트된다(하이 레벨).
한편,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신 코일(L1)의 위치가 최적 위치로부터 어긋나 있는 경우, 혹은 이물이 근접하는 경우, 선택 페이즈에 있어서 급전 장치가 생성하는 신호에 응답하여, 평활 콘덴서(C1)는 충전되지만, 수신 코일(L1)에 유기되는 코일 전류, 즉 평활 콘덴서(C1)의 충전 전류가 작기 때문에, 판정 타이밍 t1에 있어서의 정류 전압 VRECT는 역치 전압 VTH보다 낮고, 통지 신호 S1은 어서트되지 않는다(로우 레벨).
또, 수신 코일(L1)의 위치가 부적절하고, 혹은 수신 코일(L1)과 송신 코일 사이에 이물이 끼어 있으면, 송신 코일로부터의 신호 강도가 약해진다. 이 경우,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정류 전압 VRECT는 거의 상승하지 않는다. 이 경우, 판정부(20)에 의한 레벨 비교도 행해지지 않는다.
이상이 수전 장치(100)의 동작이다.
수전 장치(100)는 이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급전 장치로부터의 신호 송신 개시 직후는, 송신 전력의 제어는 행해지지 않고, 따라서 평활 콘덴서(C1)에 발생하는 전압 VRECT는,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L1)의 결합도에 따른 레벨을 취한다. 수전 장치(100)에 의하면, 급전 장치에 의한 송신 전력 제어가 개시하기 전의 판정 타이밍에 있어서, 평활 콘덴서(C1)의 전압 VRECT를 감시함으로써, 수신 코일(L1)의 위치 어긋남을 검출할 수 있다.
또, 핑 페이즈 또는 인증·설정 페이즈에서는, 평활 콘덴서(C1)의 전압 VRECT가 안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 기간에 있어서의 전압 VRECT를 감시함으로써, 정확하게 수신 코일(L1)의 위치 어긋남을 검출할 수 있다. 특히, 인증·설정 페이즈의 종료 직전은, 전압 VRECT의 베이스 레벨이 가장 안정되어 있고, 또한 패킷 통신도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판정 타이밍으로서 적절하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지 신호 S1은, 송신 코일과 수신 코일(L1)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1)에 있어서, 이하에서 통지 신호 S1에 따른 다양한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컨트롤러(6)는, 통지 신호 S1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8)에 소정의 정보를 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장치(8)에는, 사용자에 대해 전자기기(1)의 위치가 부적절한 것을 시사하는 화상이 표시된다. 화상은, 동화상이든 정지화상이든 불문하고, 또 아이콘, 텍스트 등의 종류를 불문한다.
디스플레이 장치(8)에 의한 표시에 추가해, 또는 그 대신에, 마이크로 컨트롤러(6)는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로부터, 사용자에 대해 전자기기(1)의 위치가 부적절한 것을 시사하는 음성을 출력해도 된다.
추가해, 전자기기(1)는, 통지 신호 S1에 따른 신호를, 급전 장치에 송신 가능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30)로부터, 통지 신호 S1에 따른 신호가, 급전 장치에 송신된다. 이에 의해, 급전 장치에 있어서, 통지 신호 S1에 따른 처리가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급전 장치는, 전자기기(1)의 위치가 부적절한 것을 시사하는 알람을 울리거나 급전을 정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계속해서, 도 1의 수전 장치(100)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제1의 변형예)
도 3은, 제1의 변형예에 따른 수전 장치(100a)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수전 장치(100a)의 판정부(20a)는, 도 1의 A/D 컨버터(22) 대신에, 콤퍼레이터(23)를 구비한다.
콤퍼레이터(23)는, 평활 콘덴서(C1)의 전압 VRECT를 소정의 역치 VTH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비교 신호 S3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비교 신호 S3은, VRECT>VTH일 때 하이 레벨, VRECT<VTH일 때 로우 레벨을 취한다.
로직부(24a)에는, 컨트롤러(30)로부터의 타이밍 신호 S2가 입력된다. 로직부(24a)는, 판정 타이밍에 있어서의 비교 신호 S3에 의거해, 통지 신호 S1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판정 타이밍에 있어서 비교 신호 S3이 하이 레벨일 때, 즉 VRECT>VTH일 때, 통지 신호 S1은 하이 레벨, 비교 신호 S3이 로우 레벨일 때, 즉 VRECT<VTH일 때 통지 신호 S1은 로우 레벨이 된다.
이 수전 장치(100a)에 의해서, 도 1의 수전 장치(100)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의 변형예)
도 1의 수전 장치(100)에 있어서, 역치 DTH는 이하와 같이 생성해도 된다. 판정부(20)에는, 외부로부터 역치 전압 VTH가 입력되어 있다. A/D 컨버터(22) 혹은 이것과는 별도로 설치된 A/D 컨버터(도시하지 않음)는, 컨트롤러(30)에 의해 지시된 설정 타이밍에 있어서, 역치 전압 VTH를 디지털값 DTH로 변환한다. 설정 타이밍은, 급전 장치로부터의 신호의 수신 개시 후, 판정 타이밍보다도 앞이 바람직하다. 설정 타이밍은, 선택 페이즈와 핑 페이즈의 경계 부근이어도 된다.
(제2의 실시형태)
제2의 실시형태에 따른 수전 장치(100)의 구성은 제1의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도 1을 참조한다.
제1의 실시형태에서는, 평활 콘덴서(C1)의 전압 VRECT를 소정의 역치 전압 VTH와 비교함으로써, 코일의 위치 어긋남이나 이물의 근접 등에 의해 급전 효율이 낮은 상태가 발생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통지 신호 S1을 생성했다. 이에 대해 제2의 실시형태에서는, 판정부(20)는, 평활 콘덴서(C1)의 전압 VRECT에 따른 레벨을 갖는 검출 신호 S1을 생성한다.
A/D 컨버터(22)는, 판정 타이밍에 있어서의 정류 전압 VRECT를 디지털값 DTH로 변환한다. 로직부(24)는, 디지털값 DTH에 따른 검출 신호 S1을 생성한다. 검출 신호 S1은, 디지털값 DTH 그 자체여도 되고, 디지털값 DTH를 소정의 연산에 의해, 혹은 테이블 참조에 의해, 인코드한 값이어도 된다. 검출 신호 S1이 2N 계조(N은 자연수)로 코일의 어긋남량을 나타내는 경우, 로직부(24)는 디지털값 DTH의 상위 N비트여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판정 타이밍에 있어서의 정류 전압 VRECT는 급전 효율에 의존한다. 즉, 판정 타이밍에 있어서의 전압 VRECT는, 수신 코일(L1)의 위치와 상관을 갖고 있으며, 수신 코일(L1)의 최적 위치로부터의 어긋남량을 나타낸다고도 할 수 있다. 제2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자기기(1)에 있어서, 수신 코일(L1)과 송신 코일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와 상관을 갖는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로 컨트롤러(6)는, 디스플레이 장치(8)에, 검출 신호 S1에 따른 정보를 표시해도 된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 컨트롤러(6)는, 디스플레이 장치(8)에, 급전 장치와 전자기기의 화상을 표시하고, 검출 신호 S1의 값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급전 장치와 전자기기의 위치 관계를 제어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검출 신호 S1의 값이 클 때, 즉 급전 효율이 높을 때, 전자기기가 급전 장치의 적절한 위치에 놓여 있는 것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고, 검출 신호 S1의 값이 작을 때, 즉 급전 효율이 낮을 때, 전자기기가 급전 장치의 적절한 위치로부터 어긋나 놓여 있는 것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해도 된다.
혹은 마이크로 컨트롤러(6)는, 디스플레이 장치(8)에, 검출 신호 S1의 값에 따른 형상의 오브젝트를 표시해도 되고, 혹은 오브젝트의 색, 밝기, 크기를 검출 신호 S1에 따라 제어해도 된다.
이들 처리에 의해 사용자는 시각에 의해서 직감적으로, 전자기기(1)와 급전 장치의 위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어, 전자기기(1)의 위치를 수정할 수 있다.
또 마이크로 컨트롤러(6)는,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로부터, 검출 신호 S1의 값에 따른 음성 신호를 출력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음성 신호의 주파수, 음량 혹은 종류,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검출 신호 S1에 따라 제어해도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청각에 의해서 직감적으로, 전자기기(1)와 급전 장치의 위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어, 전자기기(1)의 위치를 수정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2의 실시형태에 따른 수전 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제3의 변형예)
제2의 실시형태에 따른 수전 장치는, 도 3의 수전 장치(100a)와 동일하게 구성해도 된다. 즉, 콤퍼레이터(23)를 복수 설치하고, 복수의 콤퍼레이터(23)에 의해서, 정류 전압 VRECT를 상이한 복수의 역치 전압 VTH를 부여함으로써, 검출 신호 S1을 생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자기기(1)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도 4는, 수전 장치(100)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전자기기(500)는, 태블릿 PC나 휴대형 게임기, 휴대형 오디오 플레이어이며, 하우징(502)의 내부에는, 이차 전지(3), 충전 회로(4), 마이크로 컨트롤러(6), 수전 장치(100)가 내장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서, 제1, 제2의 실시형태를 기초로 설명했다. 이들 실시형태는 예시이며, 그들 각 구성요소나 각 처리 프로세스의 조합에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한 것, 또 그러한 변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이해되는 부분이다. 이하, 이러한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에서는, Qi 규격에 준거하는 수전 장치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앞으로 책정될 규격에 준거하는 수전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의거해, 구체적인 용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했는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원리, 응용을 나타내고 있음에 지나지 않고, 실시형태에는, 청구범위에 규정된 본 발명의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예나 배치의 변경이 인정된다.
본 발명은, 와이어리스 급전 기술에 관한 것이다.
1: 전자기기 2: 이차 전지
4: 충전 회로 6: 마이크로 컨트롤러
8: 디스플레이 장치 100: 수전 장치
10: 정류 회로 L1: 수신 코일
C1: 평활 콘덴서 20: 판정부
22: A/D 컨버터 23: 콤퍼레이터
24: 로직부 30: 컨트롤러

Claims (16)

  1. 수신 코일과,
    상기 수신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정류하는 정류 회로와,
    상기 정류 회로의 출력과 접속된 평활 콘덴서와,
    급전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수신 개시 후의 판정 타이밍에 있어서의 상기 평활 콘덴서의 전압과, 소정의 역치 전압의 비교 결과에 따른 통지 신호를 생성하는 판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판정 타이밍에 있어서의 상기 평활 콘덴서의 전압을 디지털값으로 변환하는 A/D 컨버터와,
    상기 디지털값을 소정의 역치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른 상기 통지 신호를 생성하는 로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평활 콘덴서의 전압을 소정의 역치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나타내는 비교 신호를 생성하는 콤퍼레이터와,
    상기 급전 장치로부터의 신호의 수신 개시 후의 판정 타이밍에 있어서의 상기 비교 신호에 의거해, 상기 통지 신호를 생성하는 로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타이밍은, 상기 급전 장치로부터의 신호의 수신 개시 후, 소정 시간 경과 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타이밍은, 급전 장치가 그 급전 표면 상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어떤지를 탐색하는 제1 페이즈가 완료되고, 다음의 제2 페이즈로 이행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 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타이밍은, 상기 급전 장치가, 선택한 물체가 급전 대상인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를 구비하는지 어떤지를 판정하는 제2 페이즈, 또는, 상기 제2 페이즈에 이어지는, 상기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의 정보를 취득하고, 급전의 준비를 행하는 제3 페이즈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판정 타이밍은, 상기 제3 페이즈가 종료되기 직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통지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본 전자기기의 위치가 부적절한 것을 시사하는 화상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가 생성하는 상기 통지 신호에 따른 신호를, 상기 급전 장치에 송신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0. 수신 코일과,
    상기 수신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정류하는 정류 회로와,
    상기 정류 회로의 출력과 접속된 평활 콘덴서와,
    급전 장치로부터의 신호의 수신 개시 후의 판정 타이밍에 있어서의 상기 평활 콘덴서의 전압에 따른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판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판정 타이밍은, 상기 급전 장치로부터의 신호의 수신 개시 후, 소정 시간 경과 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
  12.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판정 타이밍은, 급전 장치가 그 급전 표면 상에, 물체가 존재하는지 어떤지를 탐색하는 제1 페이즈가 완료되고, 다음의 제2 페이즈로 이행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 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
  13.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판정 타이밍은, 상기 급전 장치가, 선택한 물체가 급전 대상인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를 구비하는지 어떤지를 판정하는 제2 페이즈, 또는, 상기 제2 페이즈에 이어지는, 상기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의 정보를 취득하고, 급전의 준비를 행하는 제3 페이즈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판정 타이밍은, 상기 제3 페이즈가 종료되기 직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
  15.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 신호에 따른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6.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로부터의 상기 검출 신호에 따른 정보를 상기 급전 장치에 송신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147032259A 2012-09-21 2013-09-09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기기 KR1017565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08830 2012-09-21
JP2012208830A JP6294581B2 (ja) 2012-09-21 2012-09-21 ワイヤレス受電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PCT/JP2013/005330 WO2014045544A1 (ja) 2012-09-21 2013-09-09 ワイヤレス受電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836A true KR20150001836A (ko) 2015-01-06
KR101756518B1 KR101756518B1 (ko) 2017-07-10

Family

ID=50340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2259A KR101756518B1 (ko) 2012-09-21 2013-09-09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43197B2 (ko)
JP (1) JP6294581B2 (ko)
KR (1) KR101756518B1 (ko)
CN (1) CN104584379B (ko)
TW (1) TWI583092B (ko)
WO (1) WO20140455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97614B2 (ja) * 2014-05-26 2019-04-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送電装置及び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
JP2015231252A (ja) * 2014-06-03 2015-12-21 ローム株式会社 ワイヤレス送電装置、ワイヤレス受電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ワイヤレス給電システム、ワイヤレス給電方法
KR20170024406A (ko) * 2015-08-25 2017-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온도 제어 방법
US9815342B2 (en) * 2015-11-20 2017-11-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positioning to charge TPMS batteries
US10128698B2 (en) * 2016-06-20 2018-11-13 Hyundai America Technical Center, Inc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n object within a wireless charging region
KR102561570B1 (ko) 2016-10-06 2023-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EP4207557A4 (en) * 2021-01-18 2024-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 TRANSMISSION OF ENERGY, WIRELESS ENERGY RECEIVING DEVICE FOR WIRELESS RECEPTION OF ENERGY,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
KR20220104592A (ko) * 2021-01-18 2022-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전자 장치와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2164174A1 (ko) * 2021-01-26 2022-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pde 분기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5004B2 (ja) * 2007-02-20 2012-02-29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送電装置、無接点電力伝送システム
JP4600462B2 (ja) * 2007-11-16 2010-12-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送電制御装置、送電装置、電子機器及び無接点電力伝送システム
JP5188211B2 (ja) * 2008-03-07 2013-04-24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及び給電方法
JP2010045960A (ja) * 2008-07-16 2010-02-25 Seiko Epson Corp 送電制御装置、送電装置、受電制御装置、受電装置、電子機器、及び無接点電力伝送方法
KR20100093429A (ko) 2009-02-16 2010-08-25 유니스트림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의 최대 전송효율 위치 감지 장치
JP5417907B2 (ja) * 2009-03-09 2014-02-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送電制御装置、送電装置、受電制御装置、受電装置、電子機器および無接点電力伝送システム
JP2011229265A (ja) * 2010-04-19 2011-11-1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非接触電力伝送装置
JP5755066B2 (ja) * 2010-07-30 2015-07-2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無線給電システム、及び無線給電方法
JP5713714B2 (ja) * 2011-02-10 2015-05-07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電装置及び制御方法
US9553485B2 (en) * 2011-10-13 2017-01-24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 foreign object in an inductive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based on input po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584379A (zh) 2015-04-29
CN104584379B (zh) 2018-08-28
US20150162755A1 (en) 2015-06-11
JP6294581B2 (ja) 2018-03-14
JP2014064414A (ja) 2014-04-10
WO2014045544A1 (ja) 2014-03-27
TWI583092B (zh) 2017-05-11
US9843197B2 (en) 2017-12-12
TW201415754A (zh) 2014-04-16
KR101756518B1 (ko) 201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518B1 (ko) 와이어리스 수전 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기기
US9450444B2 (en) Charging apparatus
JP6226019B2 (ja) 送電装置、送電方法、受電装置、受電方法、及び、ワイヤレス給電システム
US8198754B2 (en) Power transmission control device, power transmitting device, electronic instrument, and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system
JP5489819B2 (ja) 給電装置及び給電方法
US8004118B2 (en) Power transmission control device, power transmitting device, electronic instrument, and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system
JP2017038509A (ja) 送電装置および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
JP2014158416A (ja) 異物を検出する無線電力送信装置および異物を検出する方法
US20170149287A1 (en) Power receiving device, power feed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TWI445290B (zh) 交流轉直流適配裝置及自適應電壓輸出方法
JP2018078754A (ja) ワイヤレス送電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送電制御回路
JP6186373B2 (ja) 無線電力送信装置及び無線電力送信装置における無線電力信号送信制御方法
US10158235B2 (en) Non-contact power transmitting device
US20160126747A1 (en) Non-contact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CN105634144A (zh) 电子装置与侦测充电质量的方法
JP2008206325A (ja) 受電制御装置、無接点電力伝送システム、受電装置および電子機器
WO2011118376A1 (ja) 非接触送電装置及び非接触充電システム
JP2016032349A (ja) 携帯端末、制御方法及び充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