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700U - 밸브 장치 - Google Patents

밸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700U
KR20150001700U KR2020130008771U KR20130008771U KR20150001700U KR 20150001700 U KR20150001700 U KR 20150001700U KR 2020130008771 U KR2020130008771 U KR 2020130008771U KR 20130008771 U KR20130008771 U KR 20130008771U KR 20150001700 U KR20150001700 U KR 201500017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body
mounting portion
connection hole
valv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7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호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87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1700U/ko
Publication of KR201500017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70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ps Or Cock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밸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밸브 본체부의 양 단부 측을 제1배관과, 제2배관에 각각 장착되는 제1밸브 장착부와 제2밸브 장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주변 다른 구조물들이 복잡하게 설치된 부분에서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고, 설치 시 각도의 제한 없이 설치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설치 가능하다.

Description

밸브 장치{Valve}
본 고안은 밸브 장치에 관한 고안으로, 더 상세하게는, 밸브의 각도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밸브 장치에 관한 고안이다.
선박에는 운항이나 거주 구역의 위생 및 환경 등을 위하여 다양한 배관들이 설치되며, 특히 전술한 전용 화물선인 유조선을 경우는 많은 배관이 사용되고 있으며 추진용 기관, 발전기 등의 운전에 필요한 연료, 윤활유, 냉각수 및 증기는 모두 배관에 의해서 공급 및 순환된다.
또한, 거주 구역의 세면용, 조리용 등의 청수와 그 밖의 여러 가지 세척 및 오수처리를 위한 해수를 공급하고 배수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배관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선박에는 용도에 따라 수많은 배관 들이 구비되는 데, 이러한 배관에는 공급되는 대상물을 공급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각각의 밸브가 설치되며, 이러한 밸브는 작업자가 직접 조작하여 개폐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밸브(1)는 양 측에 배관과 연결하기 위한 제1플랜지부(1a)를 각각 구비하여 양 측이 각각 배관(2)과 플랜지 결합되어 설치된다.
즉, 밸브(1)는 밸브 몸체에 일체로 고정되고, 복수의 볼트구멍이 형성된 제1플랜지부(1a)가 양 단부측에 구비되고, 밸브(1)에 연결되는 배관(2)의 단부에는 상기 제1플랜지부(1a)에 플랜지 결합되도록 복수의 볼트구멍이 형성된 제2플랜지부(2a)가 일체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1)는 상기 제1플랜지부(1a)를 각각 배관(2)의 단부에 구비된 상기 제2플랜지부(2a)에 볼트구멍을 일치시킨 후 상기 볼트구멍으로 고정볼트를 관통시킨 후 관통된 고정볼트(3)에 너트를 체결하여 설치된다.
상기 밸브(1)는 밸브 몸체에 일체로 고정된 제1플랜지부(1a)와 배관에 일체로 고정된 제2플랜지부(2a)를 고정볼트(3)를 관통시켜 플랜지 결합하므로, 설치된 상태에서 각도 조절이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밸브(1)가 설치된 후 다른 구조물의 설치에 의해 조작핸들(1b)을 조작할 수 없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밸브(1)는 설치 시 조작핸들(1b)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설치 각도를 조절하는 데 있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상기 밸브는 주변 다른 구조물들이 복잡하게 설치된 부분에서 배관에 설치되는 경우 조작 핸들의 위치를 설정하기 까다롭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제0277487호 '전자기형 독립작동 공압 제어 밸브'(2002년 5월 24일 공개)
본 고안의 목적은, 배관에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이 자유로워 설치가 용이하고, 조작 핸들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밸브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과제는, 외측으로 돌출된 작동축을 조작하여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개폐하며 양 단부 측에 유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구비된 밸브 본체부;
상기 밸브 본체부의 유입구 측에 연결되는 제1배관에 장착되며 상기 밸브 본체부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밸브 장착부;
상기 밸브 본체부의 배출구 측에 연결되는 제2배관에 장착되며 상기 밸브 본체부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밸브 장착부를 포함한 밸브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상기 작동축의 돌출된 단부에는 조작 핸들이 구비된다.
상기 제1밸브 장착부는, 복수의 제1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제1배관에 플랜지 결합하고, 상기 제2밸브 장착부는, 복수의 제2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제2배관에 플랜지 결합한다.
상기 제1밸브 장착부는 상기 밸브 본체부의 일단부 측이 관통되어 결합하는 제1연결구멍이 되고, 상기 밸브 본체부의 일 단부에는 상기 제1연결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제1연결구멍에 걸리는 제1걸림부가 돌출되며, 상기 제2밸브 장착부는 상기 밸브 본체부의 일단부 측이 관통되어 결합하는 제2연결구멍이 되고, 상기 밸브 본체부의 일 단부에는 상기 제2연결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제2연결구멍에 걸리는 제2걸림부가 돌출된다.
상기 제1밸브 장착부에는 상기 제1걸림부가 삽입되는 제1걸림 삽입홈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밸브 장착부에는 상기 제2걸림부가 삽입되는 제2걸림 삽입홈부가 구비된다.
상기 제1 걸림 삽입홈부는 상기 제1밸브 장착부의 장착면에서 상기 제1연결구멍의 둘레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 삽입홈부는 상기 제1밸브 장착부의 장착면에서 상기 제1연결구멍의 둘레로 형성된다.
본 고안은 주변 다른 구조물들이 복잡하게 설치된 부분에서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고, 설치 시 각도의 제한 없이 설치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설치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주변 구조물에 의해 조작이 어려운 경우 조작 핸들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조작 핸들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밸브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밸브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밸브 장치가 설치된 예를 도시한 개략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밸브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밸브 장치는, 내부에 유로(15)가 형성되고, 유로(15)의 유입구와 배출구가 양 단부측에 형성된 밸브 본체부(10)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 본체부(10)는 외측으로 돌출된 작동축(13)을 구비하며, 상기 작동축(13)을 조작하여 내부에 형성된 유로(15)를 개폐한다. 상기 작동축(13)의 단부에는 조작을 위한 조작 핸들(13a)이 구비된다.
상기 밸브 본체부(10)는, 내부에 양 측에 유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되는 유로(15)가 형성된 밸브 몸체(11); 상기 밸브 몸체(11)에 결합되어 상기 밸브 본체부(10)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밸브커버(12); 상기 밸브커버(12)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밸브 몸체(11)의 외부로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에 조작 핸들(13a)이 구비된 작동축(13); 및 상기 작동축(13)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로(15) 내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축(13)의 작동에 의해 상기 유로(15)를 개폐하는 디스크(14)를 포함한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밸브 몸체(11)의 내부에는, 유출구와 배출구 사이에서 아래로부터 위를 향한 유로(15)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축(13)은 상기 밸브커버(12)를 관통하여 나사결합되어 회전 방식으로 승하강 된다. 상기 밸브 몸체(11)의 내부에는 상기 유로(15)를 상부측과 하부측으로 구분하며 구분된 유로(15)를 연통시키는 연통구멍(16a)이 형성된 밸브 시트(16)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크(14)는 상기 밸브 시트(16)의 연통구멍(16a)에 안착되어 상기 연통구멍(16a)을 개폐한다.
즉, 상기 밸브 본체부(10)는 상기 작동축(13)을 회전시키면 상기 작동축(13)이 상, 하 이동하고, 이에 다라 상기 디스크(14)가 상, 하 이동하여 상기 연통구멍(16a)을 계폐하여 유로(15)를 개폐한다.
한편, 상기 밸브 본체부(10)는 양 단부 측이 각각 제1배관 및 제2배관에 연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밸브 본체부(10)의 유입구 측 일단부는 제1배관에 연결되고, 상기 밸브 본체부(10)의 유입구 측 일단부는 제2배관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 장치는, 상기 밸브 본체부(10)의 유입구 측에 연결되는 제1배관에 장착되며 상기 밸브 본체부(10)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밸브 장착부(20)와, 상기 밸브 본체부(10)의 배출구 측에 연결되는 제2배관에 장착되며 상기 밸브 본체부(10)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밸브 장착부(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밸브 장착부(20)는, 복수의 제1볼트구멍(22)이 형성되어 상기 제1배관에 플랜지 결합하고, 상기 제2밸브 장착부(30)는, 복수의 제2볼트구멍(32)이 형성되어 상기 제2배관에 플랜지 결합한다.
또한, 상기 제1밸브 장착부(20)는 상기 밸브 본체부(10)의 일단부 측이 관통되어 결합하는 제1연결구멍(21)이 되고, 상기 밸브 본체부(10)의 일 단부에는 상기 제1연결구멍(21)을 관통하여 상기 제1연결구멍(21)에 걸리는 제1걸림부(10a)가 돌출된다. 상기 제1걸림부(10a)는 상기 밸브 본체부(10)의 일단부 외주면 둘레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밸브 장착부(20)에는 상기 제1걸림부(10a)가 삽입되는 제1걸림 삽입홈부(23)가 구비된다. 상기 제1걸림 삽입홈부(23)는 상기 제1밸브 장착부(20)의 장착면 즉, 상기 제1배관에 접촉되어 장착되는 장착면에서 상기 제1연결구멍(21)의 둘레로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부(10a)가 삽입된다.
상기 제2밸브 장착부(30)는 상기 밸브 본체부(10)의 일단부 측이 관통되어 결합하는 제2연결구멍(31)이 되고, 상기 밸브 본체부(10)의 일 단부에는 상기 제2연결구멍(31)을 관통하여 상기 제2연결구멍(31)에 걸리는 제2걸림부(10b)가 돌출된다. 상기 제1걸림부(10a)는 상기 밸브 본체부(10)의 일단부 외주면 둘레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2밸브 장착부(30)에는 상기 제2걸림부(10b)가 삽입되는 제2걸림 삽입홈부(33)가 구비된다. 상기 제2걸림 삽입홈부(33)는 상기 제2밸브 장착부(30)의 장착면 즉, 상기 제2배관에 접촉되어 장착되는 장착면에서 상기 제2연결구멍(31)의 둘레로 형성되어 상기 제2걸림부(10b)가 삽입된다.
상기 밸브 본체부(10)는 상기 제1밸브 장착부(20)의 제1연결구멍(21) 및 상기 제2밸브 장착부(30)의 제2연결구멍(31)에 각각 양단부가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고, 관통된 양 단부에 각각 상기 제1걸림부(10a) 및 상기 제2걸림부(10b)에 의해 상기 제1밸브 장착부(20) 및 상기 제2밸브 장착부(30)가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1배관(40)의 단부에는 상기 제1밸브 장착부(20)에 플랜지 결합하는 제1장착 플랜지부(41)가 구비되고, 상기 제2배관(50)의 단부에는 상기 제2밸브 장착부(30)에 플랜지 결합하는 제2장착 플랜지부(51)가 구비된다.
상기 밸브 본체부(10)는 양 단부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된 상기 제1밸브 장착부(20)와 상기 제2밸브 장착부(30)를 상기 제1장착 플랜지부(41)와 상기 제2장착 플랜지부(51)에 각각 플랜지 결합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 본체부(10)는 양단부가 상기 제1밸브 장착부(20)의 제1연결구멍(21) 및 상기 제2밸브 장착부(30)의 제2연결구멍(31)에 각각 관통되어 결합되어 있으므로 회전되어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밸브 본체부(10)를 회전시켜 상기 작동축(13)의 단부에 구비된 조작 핸들(13a)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주변 다른 구조물들이 복잡하게 설치된 부분에서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고, 설치 시 각도의 제한 없이 설치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설치 가능하다.
본 고안은 주변 구조물에 의해 조작이 어려운 경우 조작 핸들(13a)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어 조작 핸들(13a)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고안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 : 밸브 본체부 20 : 제1밸브 장착부
21 : 제1연결구멍 22 : 제1볼트구멍
23 : 제1걸림 삽입홈부 30 : 제2밸브 장착부
31 : 제1연결구멍 32 : 제2볼트구멍
33 : 제1걸림 삽입홈부 40 : 제1배관
41 : 제1장착 플랜지부 50 : 제2배관
51 : 제2장착 플랜지부

Claims (6)

  1. 외측으로 돌출된 작동축을 조작하여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개폐하며 양 단부 측에 유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구비된 밸브 본체부;
    상기 밸브 본체부의 유입구 측에 연결되는 제1배관에 장착되며 상기 밸브 본체부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밸브 장착부;
    상기 밸브 본체부의 배출구 측에 연결되는 제2배관에 장착되며 상기 밸브 본체부의 타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밸브 장착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축의 돌출된 단부에는 조작 핸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 장착부는, 복수의 제1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제1배관에 플랜지 결합하고,
    상기 제2밸브 장착부는, 복수의 제2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제2배관에 플랜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 장착부는 상기 밸브 본체부의 일단부 측이 관통되어 결합하는 제1연결구멍이 되고, 상기 밸브 본체부의 일 단부에는 상기 제1연결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제1연결구멍에 걸리는 제1걸림부가 돌출되며,
    상기 제2밸브 장착부는 상기 밸브 본체부의 일단부 측이 관통되어 결합하는 제2연결구멍이 되고, 상기 밸브 본체부의 일 단부에는 상기 제2연결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제2연결구멍에 걸리는 제2걸림부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 장착부에는 상기 제1걸림부가 삽입되는 제1걸림 삽입홈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2밸브 장착부에는 상기 제2걸림부가 삽입되는 제2걸림 삽입홈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 삽입홈부는 상기 제1밸브 장착부의 장착면에서 상기 제1연결구멍의 둘레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걸림 삽입홈부는 상기 제1밸브 장착부의 장착면에서 상기 제1연결구멍의 둘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장치.
KR2020130008771U 2013-10-25 2013-10-25 밸브 장치 KR2015000170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771U KR20150001700U (ko) 2013-10-25 2013-10-25 밸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771U KR20150001700U (ko) 2013-10-25 2013-10-25 밸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700U true KR20150001700U (ko) 2015-05-06

Family

ID=53434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771U KR20150001700U (ko) 2013-10-25 2013-10-25 밸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1700U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0856A (ja) * 1999-09-24 2001-04-03 Sekisui Chem Co Ltd ボールバルブ
KR20020003769A (ko) * 2000-07-03 2002-01-15 원호봉 고무 버터플라이 밸브
KR200391526Y1 (ko) * 2005-05-17 2005-08-03 김두열 수도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0856A (ja) * 1999-09-24 2001-04-03 Sekisui Chem Co Ltd ボールバルブ
KR20020003769A (ko) * 2000-07-03 2002-01-15 원호봉 고무 버터플라이 밸브
KR200391526Y1 (ko) * 2005-05-17 2005-08-03 김두열 수도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3458B1 (ko) 콘트롤 버터플라이 밸브
US9970568B2 (en) Emergency shut-off valve
RU2009135809A (ru) Отверстие, размещенное внутри штока клапана
US7828005B2 (en) Freezeless hydrant
JP6118956B2 (ja) 配管装置
KR20150001700U (ko) 밸브 장치
KR200464589Y1 (ko) 볼 타입 앵글밸브 일체형 감압밸브
US10088074B2 (en) Fluid control valve
JP2014074483A (ja) 吸気弁装置
US9500284B2 (en) Gate valve
KR100764157B1 (ko) 더블 파일로트 밸브 붙이 버터플라이밸브의 누수차단장치
AU2017239590B2 (en) Stopcock valve
KR200403849Y1 (ko) 더블 파일로트 밸브 붙이 버터플라이밸브의 누수차단장치
JP2016084825A (ja) 既設弁の補修方法、既設弁、補修用止水部材および弁
KR101624229B1 (ko) 수밀 조절 가능 방식의 플랩 밸브
KR101021884B1 (ko) 워터햄머 흡수기용 밸브조립체
KR101301528B1 (ko) 볼 밸브
AU2011101764B4 (en) Isolating stop cock valve
KR200451459Y1 (ko) 매립형 가스 차단기의 수동 조작장치.
KR20150001758U (ko) 밸브 장치
KR20150001765U (ko) 에어 릴리즈 밸브
KR200478098Y1 (ko) 지수밸브
KR100465535B1 (ko) 볼 밸브 상에 액츄에이터 탑재를 고려한 핸들 잠금장치
JP3091453U (ja) ホース接続給水栓
KR100494176B1 (ko) 밸브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