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534A - 고농도 수산기 발생장치 및 고농도 수산기 발생 방법 - Google Patents

고농도 수산기 발생장치 및 고농도 수산기 발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534A
KR20150001534A KR1020130074923A KR20130074923A KR20150001534A KR 20150001534 A KR20150001534 A KR 20150001534A KR 1020130074923 A KR1020130074923 A KR 1020130074923A KR 20130074923 A KR20130074923 A KR 20130074923A KR 20150001534 A KR20150001534 A KR 20150001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zone
unit
mixing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4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철
허전
Original Assignee
한국환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환경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환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4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1534A/ko
Publication of KR20150001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5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14Plasma, i.e. ionis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61L2/183Ozone dissolved in a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lasma & Fus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농도 수산기 발생장치 및 고농도 수산기 발생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농도 수산기 발생장치는,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를 포함한다. 오존을 공급시키는 오존 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물 공급부로부터의 물과 오존 공급부로부터의 오존이 혼합되는 혼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부에서 물과 오존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오존수를 저축하고, 상기 오존수로부터 수산기(OH-radical)를 배출하는 수산기조를 포함한다. 상기 수산기조로부터 오존수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부로부터 가압된 오존수를 감압하는 감압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부 및 감압부 사이에 개재되어서, 상기 가압부로부터 송수된 오존수를 용해시키는 용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농도 수산기 발생장치 및 고농도 수산기 발생 방법{OH-Radical Generating Apparatus and OH-Radical Generating Method By The Same}
본 발명은 수산기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모든 오염물질의 산화, 살균, 소독에 사용되는 고농도 수산기 발생장치 및 고농도 수산기 발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산기(OH-Radical)는 거의 모든 오염물질의 산화, 살균, 소독에 관여하며 화학적으로 분해하고 제거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효과를 발휘하면서 인체에는 무해한 천연물질이다.
일반적인 수산기를 이용한 살균 및 소독 장치는, 기체상태에서 발생된 오존을 물속에 용존 시킨 다음, 상기 용존된 오존과 물의 반응에서 발생되는 수산기로 살균 및 소독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수산기 발생장치로는 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1030061호에 기재된 바와 같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수산기 발생장치는 수산기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오존이 용존된 물을 가압시켜서 토출하나, 이 경우 오존수를 단순히 흐르는 상태에서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가압(加壓) 정도가 미미(微微)하고, 시간이 너무 짧아 물과 오존이 혼합되지 못하며, 따라서 수산기를 충분히 발생시킬 수가 없다.
또한, 오존의 배출이 다량 발생하게 되어, 주위 오염 가능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오존 낭비가 크다.
배출오존을 처리하기 위해, 배출 전에 별도의 정화부를 통하도록 하나, 이 경우에는 정화부 설치 비용 및 사이즈가 증가하게 되고, 상기 정화부를 통해서도 완벽하게 주위 오염 또는 인체 오염을 막을 수는 없다.
또한, 물공급부와 가압부 사이의 경로에 오존 발생기로부터 오존을 투입하는데, 가압부에서 오존수 흐름의 정체로 인하여, 오존수가 오존발생기 쪽으로 역류하는 큰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1030061호
본 발명은, 오존수를 고압(高壓)으로 가압하며, 가압시간을 충분하도록 하여, 물과 오존이 혼합되도록 하는 고농도 수산기 발생장치 및 고농도 수산기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오존을 최소화하고, 오존수가 역류하지 않은 수산기 발생장치 및 고농도 수산기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농도 수산기 발생장치는,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를 포함한다. 오존을 공급하는 오존 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물 공급부로부터의 물과 오존 공급부로부터의 오존이 혼합되는 혼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부에서 물과 오존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오존수를 저축하고, 상기 오존수로부터 수산기(OH-radical)를 배출하는 수산기조를 포함한다. 상기 수산기조로부터 오존수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부로부터 가압된 오존수를 용해시키는 용해부를 포함한다. 용해부에 의해 용해된 고압의 오존수는 감압부에 의해 감압(減壓)된 오존수로서, 혼합부로 재 공급된다.
이 경우, 물은 상기 물 공급부로부터 상기 혼합부로 공급하는 급수라인과, 오존을 상기 오존 공급부로부터 상기 혼합부로 공급하는 급오존라인과, 상기 혼합부로부터 오존수를 상기 수산기조로 이동시키는 급오존수라인과, 상기 수산기조로부터 가압부로 오존수를 이동시키는 오존수 배출라인과, 상기 가압부로부터 상기 용해부를 거쳐 오존수를 감압부까지, 상기 오존수를 이동시키는 용해라인과, 상기 감압부로부터 오존수를 상기 혼합부로 회수시키는 제1 회수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라인은, 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혼합부로 이송하는 급수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의 가압펌프가 작동시에는, 상기 급수펌프는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산기조로부터 배출되는 배오존을 포집하는 오존 포집부와, 상기 오존 포집부로부터 배오존을 혼합부로 공급하는 제2 회수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급수라인은, 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혼합부로 이송하는 급수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펌프 및 오존 공급부는 연동하여서 동시에 ON/OFF 작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물 공급부 및 오존 공급부로부터 물과 오존을 각각 혼합부에 공급하여 서로 혼합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물과 오존이 혼합된 오존수를 수산기조에 저축하는 단계와, 상기 수산기조에 저축된 오존수를 용해부로 이송시키면서 가압하는 단계와, 상기 가압된 오존수의 흐름을 상기 용해부에서 정지시키면서 혼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용해부로부터 유입된 오존수를 감압시키는 단계와, 상기 감압된 오존수를 다시 상기 혼합부로 재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부로 재공급된 오존수로부터 고농도 수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농도 수산기 발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감압된 오존수가 혼합부로 재공급되는 단계에서, 상기 물공급부로부터 물은 상기 혼합부로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압된 오존수가 혼합부로 재공급되는 단계에서, 상기 오존 공급부로부터 오존을 상기 혼합부로 공급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산기조에 저축된 오존수에서 배출되는 배오존을 포집하는 단계와, 상기 배오존을 다시 상기 혼합부로 재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오존을 다시 상기 혼합부로 재 공급하는 단계에서, 상기 오존 공급부로부터 오존을 상기 혼합부로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존수가 충분히 가압된 상태에서, 오존의 용해 시간을 충분히 가지도록 함으로써, 오존수의 용해도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고농도의 수산기를 배출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오존의 용해를 반복적으로 행함으로써 보다 고농도의 수산기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배오존을 외부로 방출하지 않고, 이를 오존 포집기가 포집하여 혼합부로 재공급한다. 따라서 수산기조의 오존수에서 분리된 오존이 재활용됨으로써, 대기 오염 방지 및 오존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농도 수산기 발생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농도 수산기 발생장치의 회로도 이다.
도 3은 도 1의 고농도 수산기 발생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의 고농도 수산기 발생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농도 수산기 발생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고농도 수산기 발생장치의 회로도이며, 도 3은 도 1의 고농도 수산기 발생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농도 수산기 발생장치(1)는, 물 공급부(10)와, 오존 공급부(20)와, 혼합부(30)와, 수산기조(40)와, 가압부(50)와, 감압부(70)와, 용해부(60)를 포함한다.
물 공급부(10)는 물을 공급한다. 상기 물 공급부(10)는 수조(水槽)일 수 있다. 수조는 물이 저축된 저장조로서, 지하수 또는 상수 등의 물이 수조에 급수되어 있을 수 있다. 물 공급부(10)로부터의 물은 급수라인(L10)을 통하여 혼합부(30)로 공급된다.
오존 공급부(20)는 오존(O3)을 발생한다. 상기 오존 공급부(20)로부터의 오존은
급오존라인(L20)을 통하여 혼합부(30)로 공급된다.
혼합부(30)는 상기 급수라인(L10)을 통해서 공급된 물과, 급오존라인(L20)을 통하여 공급된 오존을 혼합한다. 이에 따라서 오존이 용존된 오존수가 만들어진다.
상기 오존수는 급오존수라인(L30)을 통하여 수산기조(40)로 이송된다. 수산기조(40)는 일종의 저장조(貯藏槽)로서, 그 사이즈는 상기 수산기조(40) 내에 저축된 오존수 량이 외부로 배출되는 량을 충당하는 크기가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수산기조(40)는 대기압 상태일 수 있다.
수산기조(40)에서 오존수로부터 수산기(OH-radical)를 생성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배출된 수산기는 강력한 산화력(살균, 소독, 분해)과 독성이 없는 인체에 무해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배출된 수산기는 악취제거, 폐수정화, 토양정화
는 물론 가정과 다중음식점, 단체급식소, 육가공 및 식품공장, 축산업(양돈, 양계, 축우 등), 영농업, 수경재배산업, 병원 등에서 살균이나, 소독 등 그 활용범위는 매우 넓다. 상기 수산기조(40)가 충분히 대기압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급수펌프에서 수산기조로 송수되는 과정에서 역류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급오존수라인(L30)에는 세단(細斷)부(3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단부(35)는 혼합부(30)에서 유입된 오존수를 초미분하며, 동시에 층류 흐름을 난류 흐름으로 변환하여서 물과 오존의 혼합을 극대화시킨다.
또한, 상기 급수라인(L10)에는 급수펌프(1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급수펌프(12)는 수조의 물을 수산기조(40)로 수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산기조(40)에서 오존수가 충만하게 되면 급수펌프(12)는 자동으로 가동이 중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라인(L10)에는 유량 조절부(1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량 조절부(14)는 정확한 유량으로 물을 수산기조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2 ㎥/hr 용량 수산기 발생장치의 경우, 수산기조(40)에 2 ㎥/hr의 물을 송수하여야 하며, 상기 정확한 유량을 유량 조절부(14)가 조절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급수라인(L10)에는 밸브(111)와, 체크밸브(13)와, 압력계(115) 등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수산기조(40)로부터의 오존수는 오존수 배출라인(L40)을 통하여 가압부(50)로 송수된다. 상기 오존수 배출라인(L40)에는 밸브(151)가 설치되어서 오존수가 가압부로 흐르는 것을 단속시킬 수 있다.
가압부(50)는 수산기조(40)에 저장된 오존수를 가압한다. 이 경우, 상기 가압부(50)는 가압펌프일 수 있다.
가압부(50)에서의 오존수는 용해라인(L60)을 통하여 감압부(70)로 송수된다.
감압부(70)는 고압의 오존수를 저압으로 변환시킨다. 이와 더불어 감압을 통하여 오존수의 흐름을 늦추게 함으로써 혼합되는 시간이 오래 지속되도록 한다.
상기 용해라인(L60)에는 용해부(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용해부(60)는 가압부(50)에 의해 가압된 고농도 오존수를 일정시간 이상 체류하도록 하여서, 물과 혼합된 오존의 용해를 극대화한다. 이 경우, 용해부(60)의 단면적은 다른 용해라인(L60)을 이루는 관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부(50)에 의하여 가압된 오존수의 흐름은, 상기 용해라인(L60)의 입구에서는 빠르다. 이와 달리 감압부(70)에서 오존수가 감압됨으로써, 상기 용해라인(L60)의 출구에서는 상기 오존수의 흐름의 속도가 늦어지게 된다.
상기 가압부(50)와 감압부(70) 사이에 용해부(60)가 존재함으로써, 상기 속도차이로 인하여 지체되는 오존수가 용해부(60)에 일정 시간 체류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가압부(50)에 의하여 가압된 오존수의 압력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종래의 가압방법은, 가압부에 구성된 작은홀을 통과하면서 압(壓)을 발생키는 구조이다. 이런 가압방법은 오존수의 흐름을 적정시간 지체시킬 수가 없으며, 충분한 압력도 가할 수 가없다. 이에 따라서 물과 혼합된 오존의 용해를 극대화시킬 수가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오존수가 용해부(60)에서 일정 시간 체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오존이 용해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용해부 입구에는 가압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압밸브는 낮은 토출압력의 펌프를 사용하더라도, 오존수를 높은 압력으로 가압시킬 수 있으며, 이를통하여 용해율을 배가시킬 수 있다.
상기 용해라인(L60)에는, 오존수의 흐름을 단속하는 각종 밸브(154, 161)나, 일방향 흐름을 제어하는 체크밸브(153, 162), 접점압력계(163)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감압부(70)에 의하여 감압된 오존수는 제1 회수라인(L70)을 통하여 혼합부(30)로 회수된다. 상기 혼합부(30)에 의하여 회수된 오존수는 다시 급오존수라인(L30)을 통하여 수산기조(40)로 송수됨으로써, 보다 고농도의 수산기 발생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회수라인(L70)에서 오존수가 혼합부(30)로 유입되는 경우에는 물 공급부(10)로부터 물이 급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동일한 오존수를 순환시키면서 가압 용해시킴으로써 보다 고농도의 수산기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물 공급부(10)로부터의 물 대신 상기 오존수가 혼합부(30)로 유입되어 용해부로 재순환되면, 보다 고농도 오존수 발생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 회수라인(L70)에 오존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164)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회수라인(L70)에 오존수가 흐르는 경우에는, 상기 급수라인(L10)에는 물이 흐르지 않도록 상기 급수라인(L10)을 폐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급수라인(L10)은 급수펌프(12)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펌프(12)와 가압부의 가압펌프(152)는 교대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급수펌프(12)와 가압펌프(152)는 교대로 작동시키는 제어방법의 일 예로, 급수펌프(12)는 물 공급부(1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혼합부(30)로 이송시킨다. 상기 물이 오존과 혼합되어서 오존수가 되며, 상기 오존수가 수산기조(40)에 차게 된다. 상기 수산기조(40)에 오존수가 미리 설정된 높이 이상 차게 되면, 급수펌프(12)는 작동을 멈춘다. 이와 동시에, 가압펌프가 작동하여서 수산기조(40)의 오존수를 용해라인(L60) 및 제1 회수라인(L70)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순환과정을 몇 회 실시하고 난 후에 생성된 고농도 수산기는, 수산기배출라인(L45)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급수 펌프, 가압펌프 그리고 외부로 배출하는 펌프가 교대로 사용하게 됨으로써 에너지 손실이 작다.
그 후에 다시 오존수가 공급되는 것이 필요하면, 급수펌프(12)가 작동되도록 하여서, 물 공급부(10)로부터 새로운 물을 혼합부(30)로 유입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수산기조(40)의 상부에는 오존 포집부(8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오존 포집부(80)는, 수산기조(40)에 충진된 오존수에서 기화로 발생되는 미량의 오존을 포집하여 재 사용한다.
상기 오존 포집부(80)는 제2 회수라인(L80)을 통하여 혼합부(30)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오존 포집부(80)에 포집된 미량의 오존은 재활용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오존 공급부(20)는 상기 급수펌프(12)와 연계하여 작동할 수 있다. 즉, 급수펌프(12)가 ON되어서 작동되는 경우에는, 오존 공급부(20)에도 ON되어서 오존을 발생 및 상기 오존을 혼합부(30)로 이송시킨다. 급수펌프(12)가 OFF이 되어서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오존 공급부(20)도 OFF가 되어서 오존을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이 때에는 상기 오존 포집부(80)에서 포집된 미량의 배오존이 혼합부(30)로 이송된다. 따라서 상기 급오존라인(L20) 및 제2 회수라인(L80)에는 각각 솔레노이드 밸브(121, 181)와 같은 차단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 공급부(10)와, 오존 공급부(20)와, 혼합부(30)와, 수산기조(40)와, 가압부(50)와, 감압부(70)와, 용해부(60)는, 하우징(5)에 수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하우징(5)의 하측에는 바퀴(7) 등의 이송부재가 장착되어서, 상기 고농도 수산기 발생장치가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5)에는 제어부(9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오존수의 흐름, 오존의 흐름, 및 물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의 고농도 수산기 발생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고농도 수산기 발생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물 공급부(10) 및 오존 공급부(20)로부터 물과 오존을 각각 혼합부(30)에 공급하여 서로 혼합하도록 하는 단계(S10)를 포함한다. 상기 물과 오존이 혼합된 오존수를 수산기조(40)에 저축하는 단계(S20)를 포함한다. 상기 수산기조(40)에 저축된 오존수를 공급받아서 가압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된 오존수를 감압시켜서, 용해부에서 상기 오존수를 혼합시키는 단계(S50)를 포함한다. 상기 감압된 오존수를 다시 상기 혼합부(30)로 재 공급하는 단계(S6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서, 각각의 단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물 공급부(10)에서 급수라인(L10)을 통하여 물을 혼합부(30)에 공급하고, 오존 공급부(20)로부터 급오존라인(L20)을 통하여 오존을 각각 혼합부(30)에 공급하는 단계(S10), 및 혼합부(30)에서 서로 혼합하도록 하는 단계(S20)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급수라인(L10)에는 급수펌프(12)가 설치되어서 물 공급부(10)의 물을 혼합부(30)를 거쳐 수산기조(40)로 이송시킨다. 또한, 상기 급수라인(L10)에는 유량 조절부(14)가 설치되어서, 정확한 유량의 물을 송수할 수 있다.
그 후에 상기 물과 오존이 혼합된 오존수를 수산기조(40)에 저축한다.
이 경우, 상기 혼합부(30)와 수산기조(40) 사이에는 세단부(35)가 배치되어서, 상기 혼합부(30)에서 유입된 오존수를 초미분 하며, 동시에 층류 흐름을 난류
흐름으로 변환시켜서 혼합을 배가시킬 수 있다.
상기 수산기조에 오존수가 설정된 높이까지 찰 때까지 상기 S10단계 및 S20단계가 계속된다(S30).
상기 수산기조에 오존수가 설정된 높이까지 차게 되면, 상기 수산기조(40)에 저축된 오존수를 용해부(60) 방향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오존수를 가압하는 단계(S40)를 거친다. 이 경우, 상기 수산기조(40)와 용해부(60) 사이에 가압펌프가 배치되어서, 상기 가압펌프를 통하여 상기 오존수를 일정 압력, 예를 들어 10kg/㎠ 이상의 압력으로 가압시킨다. 상기 가압펌프는 상기 오존수를 후술하는 혼합부(30)까지 이송시키는 기능도 한다.
그 후에, 상기 가압된 오존수를 용해부(60)에서 일정 기간 머물도록 하는 단계(50)를 거친다. 상기 용해부(60)에 머무르는 오존수는 예를 들어 10kg/㎠ 이상의 압력을 받으면서 일정시간, 예를 들어 1분 이상 머물도록 하여서, 물과 혼합된 오존의 용해를 극대화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존수가 가압된 상태로 일정시간 이상 체류된다. 이를 통하여 오존의 용해가 극대화될 수 있다.
그 후에, 상기 가압된 오존수를 감압하는 단계(S60)를 거친다. 가압된 오존수를
감압함으로써 상기 가압부(50)와 감압부(70) 사이에서 상기 오존수가 체류할 수 있는 시간을 갖게 되어서, 용해부에서 충분한 체류 시간을 가지며 용해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감압부(70)에서 감압된 저압의 오존수는 다시 혼합부(30)로 송수된다.
이 경우, 상기 가압펌프가 작동되는 경우에는 급수펌프(12)는 작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수산기조에 오존수가 설정 높이까지 저장되는 경우에, 물공급부로부터 물이 혼합부로 이송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S42)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급수펌프(12)로부터 유입되어서, 오존 공급부(20)로부터 공급된 오존이 혼합된 오존수는, 가압펌프가 작동하면서 상기 오존수는 급오존수라인(L30), 오존수 배출라인(L40) 용해라인(L60), 및 제1 회수라인(L70)을 적어도 한번 이상 순환하게 되어서 고농도 수산기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에 상기 오존 공급부(20)는 급수펌프(12)와 연동되어 작동된다. 즉, 급수펌프(12)가 작동되어서 물을 급수하는 동안에는, 오존 공급부(20)가 작동하여서 오존을 혼합부(30)에 공급한다. 반면 급수펌프(12)가 작동하지 않으면, 오존 공급부(20) 또한 작동하지 않아서 오존을 혼합부(30)에 공급하지 않는다(S44).
상기 오존수가 정해진 횟수만큼 순환하였거나, 충분한 고농도의 수산기가 발생된 경우, 가압부의 작동을 중지하고, 혼합부로부터 가압부 사이의 밸브를 차단한다(S70). 그 후에, 고농도의 수산기를 수산기 배출라인(L45)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한다(S80). 상기 수산기 배출라인은 수산기조(40)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그 후에, 새로운 물 및 오존을 물 공급부(10) 및 오존 공급부(20)로부터 혼합부로 공급하는 단계를 다시 거치게 된다.
한편, 수산기조(40)에 저장되어 있는 오존수 중에, 상기 오존수에 용해되지 않은 오존 기체가 오존수로부터 빠져서 상부로 이동된다. 이를 배오존이라 한다. 상기 배오존을 수산기조(40) 상측에 배치된 오존 포집부(80)에서 포집하여서, 이를
혼합부(30)로 회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존수가 충분히 가압된 상태에서, 오존의 용해 시간을 충분히 가지도록 함으로써, 오존수의 용해도가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고농도의 수산기를 배출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오존의 용해를 반복적으로 행함으로써 보다 고농도의 수산기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배오존을 외부로 방출하지 않고, 이를 오존 포집부(80)가 포집하여
혼합부(30)로 재공급한다. 따라서 수산기조(40)에서 오존수에서 분리된 미량의
오존이 재활용됨으로써, 대기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고농도 수산기 발생장치 10: 물 공급부
12: 급수펌프 20: 오존 공급부
30: 혼합부 40: 수산기조
50: 가압부 60: 용해부
70: 감압부 80: 오존 포집부
L10: 급수라인 L20: 급오존라인
L30: 급오존수라인 L40: 오존수 배출라인
L60: 용해라인 L70: 제1 회수라인

Claims (10)

  1.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
    오존을 공급시키는 오존 공급부;
    상기 물 공급부로부터의 물과 오존 공급부로부터의 오존이 혼합되는 혼합부;
    상기 혼합부에서 물과 오존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오존수를 저축하고, 상기 오존수로부터 수산기(OH-radical)를 배출하는 수산기조;
    상기 수산기조로부터 오존수를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로부터 가압된 오존수를 감압하는 감압부; 및
    상기 가압부 및 감압부 사이에 개재되어서, 상기 가압부로부터 송수된 오존수를 용해시키는 용해부;
    를 포함하는 고농도 수산기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물을 상기 물 공급부로부터 상기 혼합부로 공급하는 급수라인;
    오존을 상기 오존 공급부로부터 상기 혼합부로 공급하는 급오존라인;
    상기 혼합부로부터 오존수를 상기 수산기조로 이동시키는 급오존수라인;
    상기 수산기조로부터 가압부로 오존수를 이동시키는 오존수 배출라인;
    상기 가압부로부터 상기 용해부를 거쳐 오존수를 감압부까지, 상기 오존수를 이동시키는 용해라인; 및
    상기 감압부로부터 오존수를 상기 혼합부로 회수시키는 제1 회수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수산기 발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라인은, 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혼합부로 이송하는 급수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의 가압펌프가 작동시에는, 상기 급수펌프는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수산기 발생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기조로부터 배출되는 배오존을 포집하는 오존 포집부; 및
    상기 오존 포집부로부터 배오존을 혼합부로 공급하는 제2 회수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수산기 발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라인은, 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혼합부로 이송하는 급수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펌프 및 오존 공급부는 연동하여서 동시에 ON/OFF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수산기 발생장치.
  6. 물 공급부 및 오존 공급부로부터 물과 오존을 각각 혼합부에 공급하여 서로 혼합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물과 오존이 혼합된 오존수를 수산기조에 저축하는 단계;
    상기 수산기조에 저축된 오존수를 용해부로 이송시키면서 가압하는 단계;
    상기 가압된 오존수의 흐름을 상기 용해부에서 정지시키면서 용해시키는 단계;
    상기 용해부로부터 유입된 오존수를 감압시키는 단계;
    상기 감압된 오존수를 다시 상기 혼합부로 재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부로 재공급된 오존수로부터 고농도 수산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수산기 발생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된 오존수가 혼합부로 재공급되는 단계에서, 상기 물공급부로부터 물은 상기 혼합부로 공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수산기 발생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된 오존수가 혼합부로 재공급되는 단계에서, 상기 오존 공급부로부터 오존을 상기 혼합부로 공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수산기 발생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기조에 저축된 오존수에서 배출되는 배오존을 포집하는 단계; 및
    상기 배오존을 다시 상기 혼합부로 재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수산기 발생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오존을 다시 상기 혼합부로 재 공급하는 단계에서, 상기 오존 공급부로부터 오존을 상기 혼합부로 공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농도 수산기 발생 방법.
KR1020130074923A 2013-06-27 2013-06-27 고농도 수산기 발생장치 및 고농도 수산기 발생 방법 KR201500015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4923A KR20150001534A (ko) 2013-06-27 2013-06-27 고농도 수산기 발생장치 및 고농도 수산기 발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4923A KR20150001534A (ko) 2013-06-27 2013-06-27 고농도 수산기 발생장치 및 고농도 수산기 발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534A true KR20150001534A (ko) 2015-01-06

Family

ID=52475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4923A KR20150001534A (ko) 2013-06-27 2013-06-27 고농도 수산기 발생장치 및 고농도 수산기 발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153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0452A (ko) * 2017-04-27 2018-11-06 (주)진진이앤티 플라즈마 오존 살균장치
KR20200047100A (ko) * 2018-10-26 2020-05-07 후이 탕 류 이중 혼합기를 갖는 기체 용해 시스템
KR102520261B1 (ko) * 2022-10-14 2023-04-10 이승헌 수도관 직결식 관로 살균세정장치
IT202200005246A1 (it) * 2022-03-17 2023-09-17 Yvonne Massari Dispositivo mobile per la produzione di acqua ozonizzata per sanificazione ambiental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0452A (ko) * 2017-04-27 2018-11-06 (주)진진이앤티 플라즈마 오존 살균장치
KR20200047100A (ko) * 2018-10-26 2020-05-07 후이 탕 류 이중 혼합기를 갖는 기체 용해 시스템
IT202200005246A1 (it) * 2022-03-17 2023-09-17 Yvonne Massari Dispositivo mobile per la produzione di acqua ozonizzata per sanificazione ambientale
KR102520261B1 (ko) * 2022-10-14 2023-04-10 이승헌 수도관 직결식 관로 살균세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2062B2 (ja) 水素ガス溶解洗浄水の製造方法、製造装置及び洗浄装置
US61326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or intermittent supply of ozonated water
CN106268386B (zh) 一种连续式制备高浓度臭氧水的方法及装置
KR20150001534A (ko) 고농도 수산기 발생장치 및 고농도 수산기 발생 방법
JPH1157752A (ja) Toc成分除去の制御方法及び装置
US20220170196A1 (en) Washing systems
TW201821371A (zh) 水處理方法及水處理裝置
TW201829321A (zh) 水處理方法及水處理裝置
JPWO2009082008A1 (ja) 過酸化水素除去方法およびその装置、オゾン水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並びに洗浄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2377390B1 (ko) 유기물 함유 배수의 처리 방법 및 장치
JP2015073923A (ja) 超純水製造方法及び超純水製造システム
WO20000233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or intermittent supply of ozonated water
JP5678436B2 (ja) 超純水製造方法及び装置
EP2747789B1 (en) Treatment of water to extend half-life of ozone
JP4242315B2 (ja) 排水処理装置
JP6107987B1 (ja) 超純水製造システムの洗浄方法
RU2636076C2 (ru) Способ фотохим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вод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4835498B2 (ja) 超純水製造用水処理装置及び超純水製造用水処理システム
JPH03278882A (ja) 水中の溶存酸素の除去方法および装置
JP5982165B2 (ja) 洗浄排水の処理装置および洗浄排水の処理方法
CN214270556U (zh) 一种脱盐水供水系统
US11814304B2 (en) Ultraviolet treatment method and system
JP7489689B2 (ja) 紫外線処理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1240344A (ja) 超純水製造用水処理装置
JP7188942B2 (ja) 膜ろ過システムおよび膜ろ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