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147A -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147A
KR20150001147A KR20130073895A KR20130073895A KR20150001147A KR 20150001147 A KR20150001147 A KR 20150001147A KR 20130073895 A KR20130073895 A KR 20130073895A KR 20130073895 A KR20130073895 A KR 20130073895A KR 20150001147 A KR20150001147 A KR 20150001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brazing
flux composition
flux
hydrofluor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3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5765B1 (ko
Inventor
정영균
Original Assignee
정영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균 filed Critical 정영균
Priority to KR20130073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765B1/ko
Publication of KR20150001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36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e.g. coatings, fluxes; 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conjoint with 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both selections being of interest
    • B23K35/3601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e.g. coatings, fluxes; 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conjoint with 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both selections being of interest with inorganic compounds as principal constitu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19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o be sold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36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e.g. coatings, fluxes; 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conjoint with selection of non-metallic compositions, both selections being of interest
    • B23K35/362Selection of compositions of flu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8Non-ferrous metals or alloys
    • B23K2103/10Aluminium or alloy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unds Of Alkaline-Earth Elements, Aluminum Or Rare-Earth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 번의 반응과정만을 거치고 다량의 알칼리성용액에 불산을 천천히 중화 반응시킴으로 일정한 반응속도를 유지할 수 있어 반응 과정 중에 화학 조성이 변화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방지 KF의 잔류 가능성을 배제시키며, 브레이징 모재 가공시 표면에 남은 잔류오일의 세척공정 없이 알루미늄 플럭스의 도포가 가능하며 세척공정 포함 시에도 불완전한 모재 표면에 알루미늄 브레이징 플럭스의 균일한 도포를 가능하게 하며, 작업장의 분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Flux Composition for Brazing of Aluminium}
본 발명은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 번의 반응과정만을 거치고 다량의 알칼리성용액에 불산 용액을 천천히 중화 반응시킴으로 일정한 반응속도를 유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중화반응 과정을 유지할 수 있으며, 알루미늄모재 가공시 모재표면에 작업오일이 남아있어 별도의 세척공정을 갖추어야 하며 세척시 완전 제거되지 않는 오일로 인하여 알루미늄 브레이징 플럭스의 균일한 도포가 되지않는 문제점이 있었는바, 이에 브레이징 플럭스 조성물에 계면활성제 수용액 0.1~30중량부를 혼합하여 분말 상태를 유지시켜 저장 및 사용의 편리성과 분진발생을 방지하는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라디에이터, 콘덴서, 히터, 증발기, 오일쿨러 또는 인터쿨러 등의 공조기기는 알루미늄 소재를 주로 사용하는데, 이러한 알루미늄 소재 표면은 산화 피막이 형성될 수 있고, 형성된 산화피막을 제거하기 위해서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불화물계 플럭스가 오래전부터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불화물계 플럭스(알루미늄 용융제)를 사용하여 공조기기를 브레이징할 때, 브레이징로에서 브레이징 온도를 640℃ 이하로 하여 브레이징하게 된다.
이러한 플럭스에 대한 종래 기술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0-203395에서 "불산에 Al:F의 비율이 1 : 4~4.5인 범위로 하여 수산화알루미늄을 용해하고 칼륨화합물(수산화칼륨수용액)을 첨가하여 Al : F : K의 비율이 1: 4~4.5 : 1~1.5인 알루미늄 부재의 브레이징용 플럭스를 개시하고 있고, 또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94-0013676호는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용제에서 Al : F : K = 1 :4~4.5 :1.5의 부피 비율로 조성되고, 이 같은 조성물이 8~80㎛ 크기의 미립자 상태로 분쇄되어 있는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용제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는 반응공정, 탈수공정, 파쇄공정, 건조공정 및 분쇄공정을 거쳐 생산한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종래의 건조형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은 그 제조공정 중에 건조공정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통상 함수율이 2% 이하로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제10-0740636호가 있고, 여기에는 "불산(HF)에 수산화알루미늄[Al(OH)3]을 가하여 반응시킨 산성용액 조건하에서 수산화칼륨(KOH)과 탄산칼륨(K2CO3)중 어느 하나를 가하여 중화 반응시켜서 K : Al : F = 1 ~ 1.5 : 1 : 4 ~ 4.5의 몰 비가 되도록 제조되며, 함수율을 5 내지 70% 범위로 하여 분진의 발생을 최소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형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과 "불산(HF)에 수산화알루미늄[Al(OH)3]을 가하여 반응시킨 산성용액 조건하에서 수산화칼륨(KOH)과 탄산칼륨(K2CO3) 중 어느 하나를 가하여 중화 반응시켜서 K : Al : F = 1 ~ 1.5 : 1 : 4 ~ 4.5의 몰 비가 되도록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반응물을 탈수하여 고체와 액체를 분리시키는 단계; 상기 분리된 고체를 파쇄하여 제품으로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파쇄된 최종물은 함수율이 5 내지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습식형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과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건조 단계를 거치지 않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절감될 수는 있으나, 불산(HF)에 수산화알루미늄[Al(OH)3]을 가하여 반응시켜 산성용액을 제조하는 하나의 반응을 거친 다음, 수산화칼륨(KOH)과 탄산칼륨(K2CO3)중 어느 하나를 가하여 중화 반응시키는 두 번째 반응을 거쳐 플럭스 조성물을 제조하기 때문에 중화반응 중에 일부의 KF가 소량 잔류할 가능성이 있고, 탈수공정만 거쳐 제품으로 제조하기 때문에 플럭스 함수량의 정확한 유지가 어렵고 거칠고 큰 반응 입자가 생길 수 있으며 일부는 케이크로 남아 분말 형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0-203395 한국 등록특허 제10-074063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번의 반응과정만을 거치고 다량의 알칼리성용액에 불산을 천천히 중화 반응시킴으로 일정한 반응속도를 유지할 수 있어 반응 과정 중에 화학 조성이 변화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알루미늄 가공 시 모재 표면에 잔류 오일이 남아있어 별도의 세척 공정이 필요하였으나 알루미늄 브레이징 플럭스에 계면활성제 수용액을 일정량 균일하게 혼합하여 모재 표면에 균일한 브레이징 플럭스 도포를 하도록 하며 수용성 첨가제를 혼합한 분말 상태를 유지하여 작업장의 분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수산화칼륨[KOH] 또는 탄산칼륨(K2CO3)과 수산화알루미늄[Al(OH)3] 및 불산(HF)을 중화반응시켜 K : Al : F = 1~1.5 : 1 : 3.5~4.5의 몰 비율의 반응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와, 상기 반응물을 탈수하여 고체를 분리시키는 제2단계와, 상기 탈수된 고체를 건조시키는 제3단계와, 상기 건조된 고체를 분쇄하여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단계의 중화반응은 60~70℃로 유지되는 반응조에서 이루어지고, 수산화칼륨[KOH] 또는 탄산칼륨(K2CO3)과 수산화알루미늄[Al(OH)3]을 혼합한 알칼리성 용액에 불산(HF)을 가함으로써 중화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단계는 일정한 반응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알칼리성 용액에 30분 이상의 투입시간을 통해 상기 불산을 천천히 투입하여 중화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탈수된 고체는 20~25%의 수분을 함유하고, 상기 제3단계는 80~150℃의 건조실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의 함수율을 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4단계에서 제조된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 100중량 대비 0.1 내지 30중량부의 계면활성제 수용액을 더 첨가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계면활성제 수용액은 계면활성제와 물의 중량비율이 1 : 1~1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번의 반응과정만을 거치고 다량의 알칼리성 용액에 불산을 천천히 중화 반응시킴으로 일정한 반응속도를 유지할 수 있어 반응 과정 중에 화학 조성이 변화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알루미늄 모재 가공 시 표면에 잔류 오일이 남아있어 세척 공정이 필요하나 알루미늄 브레이징 플럭스에 계면활성제 수용액을 0.1 내지 30 중량부 혼합하여 모재에 균일한 브레이징 플럭스 도포가 가능하며, 작업장의 분진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공정도인 도 1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알칼리성 용액에 불산을 가함으로써 중화반응시켜 반응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S201)와, 상기 반응물을 탈수하여 고체를 분리시키는 제2단계(S202)와, 상기 탈수된 고체를 건조시키는 제3단계(S203)와, 상기 건조된 고체를 분쇄하여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 즉 불화알루미늄칼륨(KAlF4와 K2AlF5·H2O) 플럭스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4단계(S204)를 포함한다.
제1단계(S201)는 수산화칼륨[KOH] 또는 탄산칼륨(K2CO3)과 수산화알루미늄[Al(OH)3] 및 불산(HF)을 중화반응시켜 K : Al : F = 1~1.5 : 1 : 3.5~4.5의 몰 비율의 반응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제1단계의 중화반응은 60~70℃로 유지되는 반응조에서 이루어지고, 수산화칼륨[KOH] 또는 탄산칼륨(K2CO3)과 수산화알루미늄[Al(OH)3]을 혼합한 알칼리성 용액에 불산(HF)을 가함으로써 중화반응시켜, 즉 한번만의 중화반응으로 K : Al : F = 1~1.5 : 1 : 3.5~4.5의 몰 비율의 반응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불산(HF)에 수산화알루미늄[Al(OH)3]을 가하여 반응시켜 산성용액을 제조하는 하나의 반응을 거친 다음, 수산화칼륨(KOH)과 탄산칼륨(K2CO3) 중 어느 하나를 가하여 중화 반응시키는 두 번째 반응을 거쳐 플럭스 조성물을 제조하는 종래기술의 경우 반응과정 중에 플럭스 조성물의 화학 조성이 변화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미 혼합된 알칼리성 용액에 한 번의 중화반응과정만을 거침으로써 반응과정 중에 화학조성이 변화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제조 공정관리의 단순화를 이룰 수 있다. 이를 위해 K : Al : F = 1~1.5 : 1 : 3.5~4.5의 몰 비율을 얻기 위한 알칼리성 용액과 불산을 반응조에 넣은 후 교반하면서 반응시킨다.
또한 제1단계는 중화반응이 진행되는 반응조의 온도를 60~70℃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60℃ 미만일 경우에는 중화반응이 너무 느리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떨어지고 제조 원가가 높아진다. 이와 반대로 70℃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품의 균일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즉 KAlF4 외에 K3AlF6가 많이 생성되어 제품의 균일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온도로 유지하는 것은 온도가 높을수록 화학반응에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활성화 에너지)보다 큰 에너지를 가진 입자들이 반응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반응속도가 빨라지므로,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여 일정한 반응속도를 유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안정된 화학조성물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1단계는 일정한 반응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알칼리성 용액에 30분 이상의 투입시간을 통해 불산을 천천히 투입하여 중화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대량의 알칼리성 용액에 불산을 30분 이상의 투입시간을 통해 천천히 중화 반응시킴으로써 일정한 반응속도를 유지할 수 있어 반응과정 중에 화학 조성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반응물에 KF 화합물이 잔류할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2단계(S202)는 상기 반응물을 탈수하여 고체를 분리시키는 단계로서 탈수기를 이용하여 반응물을 고체와 액체로 분리시켜 탈수된 고체를 획득하게 된다. 탈수된 고체는 20~25%의 수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종래기술의 경우 탈수 작업만 진행하므로, 함수율 면에서는 높은 반면 함수량의 정확한 유지가 어렵고 조대한 반응 입자가 있고 일부는 케이크로 남아 분말형태를 유지하기 어렵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하기 제3단계와 제4단계를 거치게 되는 것이다.
제3단계(S203)는 제2단계에서 획득한 탈수된 고체를 건조시키는 단계로서 80~150℃의 온도를 유지하고 있는 건조기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단계(S204)는 제3단계에서 건조된 고체를 분쇄하여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최종적으로 불화알루미늄칼륨(KAlF4와 K2AlF5·H2O) 플럭스 조성물을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최종적인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은 제3단계의 건조 단계를 거치게 되므로 함수율이 2% 이하로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최종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은 2~30%의 함수율을 갖도록 수용액을 투여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건조 후 분쇄 단계를 거치므로 분말형태의 제품을 완벽히 유지하여 취급과 보관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4단계에서 제조된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 100중량 대비 0.1 내지 30중량부의 계면활성제 수용액을 더 첨가하는 제5단계(S20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계면활성제 수용액은 계면활성제와 물의 중량비율이 1 : 1~100로 이루어진다.
이는, 종래의 경우 알루미늄기기들을 브레이징할 때 모재 표면에 잔류 오일이 남아 있어 세척공정이 필요하였으나 알루미늄 브레이징 플럭스 자체에 계면활성제 수용액을 첨가함으로써 모재 표면에 알루미늄 브레이징 플럭스 도포를 원활하게 하여 별도의 세척하는 작업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작업공정상의 번거로움을 없애고 작업장의 분진억제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플럭스 화학 조성 시 반응시킨 수분은 모두 증발시킴으로 안정된 플럭스를 제조한 후 희석된 계면활성제 소용액을 넣어 보다 안정적인 제품을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의 제조방법에서 계면활성제와 물의 중량비율이 1 : 1~100로 이루어진 계면활성제 수용액, 즉 계면활성제를 희석시켜서 사용하는 것은 다량 투여 시에도 계면활성제의 높은 점도로 인한 응집현상 없이 안정적이고 고르게 첨가할 수 있기 때문이며, 첨가 시 10~1800rpm으로 속도로 플럭스를 교반하면서 노즐을 사용하여 분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6)

  1. 제1항에 있어서,
    수산화칼륨[KOH] 또는 탄산칼륨(K2CO3)과 수산화알루미늄[Al(OH)3] 및 불산(HF)을 중화반응시켜 K : Al : F = 1~1.5 : 1 : 3.5~4.5의 몰 비율의 반응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와,
    상기 반응물을 탈수하여 고체를 분리시키는 제2단계와,
    상기 탈수된 고체를 건조시키는 제3단계와,
    상기 건조된 고체를 분쇄하여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단계의 중화반응은 60~70℃로 유지되는 반응조에서 이루어지고, 수산화칼륨[KOH] 또는 탄산칼륨(K2CO3)과 수산화알루미늄[Al(OH)3]을 혼합한 알칼리성 용액에 불산(HF)을 가함으로써 중화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일정한 반응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알칼리성 용액에 30분 이상의 투입시간을 통해 상기 불산을 천천히 투입하여 중화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된 고체는 20~25%의 수분을 함유하고,
    상기 제3단계는 80~150℃의 건조실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의 함수율을 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제조된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 100중량 대비 0.1 내지 30 중량부의 계면활성제 수용액을 더 첨가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 수용액은 계면활성제와 물의 중량비율이 1 : 1~1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30073895A 2013-06-26 2013-06-26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495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3895A KR101495765B1 (ko) 2013-06-26 2013-06-26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3895A KR101495765B1 (ko) 2013-06-26 2013-06-26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147A true KR20150001147A (ko) 2015-01-06
KR101495765B1 KR101495765B1 (ko) 2015-02-25

Family

ID=52474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3895A KR101495765B1 (ko) 2013-06-26 2013-06-26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7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9564A (ko) *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알커미스 폐냉매를 이용한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3026A1 (de) * 1996-10-18 1998-04-23 Solvay Fluor & Derivate Niedrigschmelzendes Kaliumfluoraluminat
KR100507613B1 (ko) * 1997-05-06 2005-11-22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알루미늄재 납땜용 플럭스조성물 및 알루미늄재의 납땜방법
KR100740636B1 (ko) * 2006-04-27 2007-07-18 주식회사 제이씨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31424A (ko) * 2011-05-25 2012-12-05 주식회사 제이씨 알루미늄브레이징용 습식 플럭스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9564A (ko) *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알커미스 폐냉매를 이용한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5765B1 (ko)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47538B (zh) 造粒体的制造方法、熔融玻璃的制造方法及玻璃物品的制造方法
CN104291787B (zh) 一种复合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
JP2022133456A (ja) 高出力アプリケーション用のナノスケールポア構造のカソードおよび材料合成方法
JP6032411B2 (ja) リン酸第二鉄含水和物粒子粉末の製造方法
CN106927495A (zh) 一种氧化铈的制备方法及其cmp应用
CN101623898A (zh) 一种线切割工艺中砂浆的化学回收方法
KR101495765B1 (ko)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EP0207663B1 (en) A method for producing lithium aluminate powders
CN109004267A (zh) 硫化物固体电解质材料的制造方法
WO2012050144A1 (ja) 食用油用脱酸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使用済み食用油の再生方法
JP2010168271A (ja) アルミナの製造方法
JP5771300B1 (ja) リン酸マンガンリチウム正極活物質及びその製造方法
CN106799217A (zh) 一种Al2O3‑Ce2O3/SBA‑15介孔硅基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297988B1 (ko) 비표면적이 높은 고농도 액상소석회 제조방법
WO2012067226A1 (ja) 洗剤粒子群の製造方法
KR101109185B1 (ko)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내식성 플럭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7383446B2 (ja) バナジウム化合物の製造方法
KR100740636B1 (ko) 알루미늄 브레이징용 플럭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27593A (ko) 친환경 제설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제설제
JP7035054B2 (ja) 炭素の添加による炭素非含有カンラン石の脱リチウム化
CN111518600B (zh) 泛碱抑制剂、含有泛碱抑制剂的兰炭基型碳及其制备方法
WO2015037312A1 (ja) 水素添加用触媒粒子の製造方法及び水素添加用触媒粒子
US20160186099A1 (en) Process for preparing detergent composition particles
KR20170020648A (ko) 형광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형광체를 포함하는 발광소자
JP2020172479A (ja) カルボン酸亜鉛塩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カルボン酸亜鉛溶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