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823U - 안대 - Google Patents

안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823U
KR20150000823U KR2020140005341U KR20140005341U KR20150000823U KR 20150000823 U KR20150000823 U KR 20150000823U KR 2020140005341 U KR2020140005341 U KR 2020140005341U KR 20140005341 U KR20140005341 U KR 20140005341U KR 20150000823 U KR20150000823 U KR 2015000082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outer frame
rings
support
ey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3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0631Y1 (ko
Inventor
이성권
이귀남
Original Assignee
이성권
이귀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권, 이귀남 filed Critical 이성권
Publication of KR201500008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8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6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6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6Paddings; Cushions; Fittings to the fa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착용자의 눈을 압박하지 않게 외대를 착용자의 눈 형태를 따라 전체적으로 곡면을 이루게 하더라도 외대에 끼움 결합되어 외대의 배면에 섬유면포를 고정하는 지지대가 외대의 내측 만곡면을 따라 굽어지지 않고 수평상태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섬유면포가 착용자의 눈과 멀어짐이 없이 눈을 밀착한 상태로 부드럽고 감싸 보호해줄 수 있도록 하고, 외부의 순간적인 충격에 의해서 외대가 움직여 피부를 긁어도 피부의 손상이 없게 한 안대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탄성을 갖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각 모서리 부분에 끈고정홀이 형성되며 표면에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외대와, 외대의 배면에 구비되어 눈을 밀착한 상태로 감싸 눈을 가려 보호하는 섬유면포와, 섬유면포가 외대의 배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고정 및 지지해주는 지지대로 구성되며, 지지대는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끼움돌기를 외대의 양측 한 쌍의 고리에 끼워 고정하도록 구성된 안대에 있어서, 상기 외대를 사면 가장자리에 라운딩부가 형성되고 전체면이 앞쪽 활 모양으로 굽어진 만곡면으로 형성하고, 외대의 양측 한 쌍의 고리가 한 쌍의 하부지지턱에 의해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외대의 고리에 상기 지지대의 끼움돌기가 끼워질 때, 외대의 내측 만곡면을 따라 굽어짐이 없이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안대{Eye patch}
본 고안은 안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눈을 압박하지 않게 외대를 착용자의 눈 형태를 따라 전체적으로 곡면을 이루게 하더라도 외대에 끼움 결합되어 외대의 배면에 섬유면포를 고정하는 지지대가 외대의 내측 만곡면을 따라 굽어지지 않고 수평상태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섬유면포가 착용자의 눈과 멀어짐이 없이 눈을 밀착한 상태로 부드럽고 감싸 보호해줄 수 있도록 하고, 외부의 순간적인 충격에 의해서 외대가 움직여 피부를 긁어도 피부의 손상이 없게 한 안대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안대는 눈병이 났을 때 아픈 눈을 가리는 위한 것으로서, 통상의 안대는 눈에 거즈를 대고 거즈 위에, 표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외대를 덧대어 거즈를 고정하며, 외대는 양쪽에 끈이 있어 끈으로 귀에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안대는 외대가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시 곡면을 이루는 눈을 압박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착용의 불편함과 함께 눈병으로 인한 고통을 더욱 가중시키는 문제점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 제208707호(2000.10.17) "안대"가 제안된 바 있는 것으로서, 상기 안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에 수개의 통공(10)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끈(12)가 연결될 수 있게 되어 있고 양측에 괘지구(14)(14')가 형성되어 거즈(16)내에 결합된 사각형 지지대(18)의 양측 괘지돌기(20)(20')가 삽입되는 외대(22)로 구성되는 안대에 있어서, 외대(22)에 곡면돌출부(24)를 형성하여 상기 곡면돌출부(24)에 의해 외대가 눈을 압박하지 않도록 하였으나, 곡면돌출부(24)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아직 평면을 이루고 있어 착용의 부자연스러움을 야기시키고, 외대가 두께가 얇은 경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외부의 힘에 의해 외대가 움직였을 때 피부의 손상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원인은 상기한 바와 같은 안대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13-0003638호(2013.05.09) "안대"를 제안한 바 있고, 그 구성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걸이용 끈(111)이 양측에 연결되고, 표면에 다수의 통기공(112)이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곡면부(113)를 갖는 탄성의 연질 합성수지로 형성된 외대(110)와; 상기 외대(110)의 내측에 구비되는 화장솜(120)과; 상기 화장솜(120)을 외대(110)의 내측에 고정하는 화장솜 고정부(130);로 구성된 것이며, 상기 외대(11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화장솜 고정부(130)는 외대(11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는 삽입고정홀(131)과, 상기 삽입고정홀(131)에 양단이 삽입되는 두께가 얇은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탄성을 가지며 양단부에 고정돌기(132a)가 형성된 고정바(132)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바(132)에 화장솜(120)을 절반으로 접어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본원인의 선출원된 안대는 고정바에 화장솜을 걸어 고정한 후 상기 고정바 양단의 고정돌기를 외대의 삽입고정홀에 끼워 고정하면, 고정바 역시 탄성을 갖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외대의 내측면을 따라 곡면을 이루며 밀착되므로 화장솜과 눈의 거리가 멀어져 화장솜으로 눈을 정확히 감싸주지 못하게 되어 외부 병원균으로부터 눈을 확실히 지켜줄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하여 눈병을 보다 신속히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착용자의 눈을 압박하지 않게 외대를 착용자의 눈 형태를 따라 전체적으로 곡면을 이루게 하더라도 외대에 끼움 결합되어 외대의 배면에 섬유면포를 고정하는 지지대가 외대의 내측 만곡면을 따라 굽어지지 않고 수평상태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섬유면포가 착용자의 눈과 멀어짐이 없이 눈을 밀착한 상태로 부드럽고 감싸 보호해줄 수 있도록 하고, 외부의 순간적인 충격에 의해서 외대가 움직여 피부를 긁어도 피부의 손상이 없게 한 안대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안대의 한 형태는, 탄성을 갖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각 모서리 부분에 끈고정홀이 형성되며 표면에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외대와, 외대의 배면에 구비되어 눈을 밀착한 상태로 감싸 눈을 가려 보호하는 섬유면포와, 섬유면포가 외대의 배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고정 및 지지해주는 지지대로 구성되며, 지지대는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끼움돌기를 외대의 양측 한 쌍의 고리에 끼워 고정하도록 구성된 안대에 있어서, 상기 외대를 사면 가장자리에 라운딩부가 형성되고 전체면이 앞쪽 활 모양으로 굽어진 만곡면으로 형성하고, 외대의 양측 한 쌍의 고리가 한 쌍의 하부지지턱에 의해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외대의 고리에 상기 지지대의 끼움돌기가 끼워질 때, 외대의 내측 만곡면을 따라 굽어짐이 없이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하부지지턱은 각각의 상면에 수평면을 가지며, 상기 수평면 상의 각 고리 사이의 거리는 지지대의 가로폭에 대응되고, 상기 각각의 고리는 수평면에서 외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되어 고리를 제외한 나머지 수평면 상의 지지면으로 중앙부에 관통홀을 갖는 띠 형태의 지지대 양측 하부를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외대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외대는 LDPE와 PP를 9:1의 비율로 혼합한 합성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착용자의 눈을 압박하지 않게 외대를 착용자의 눈 형태를 따라 전체적으로 곡면을 이루게 하더라도 외대에 끼움 결합되어 외대의 배면에 섬유면포를 고정하는 지지대가 외대의 내측 만곡면을 따라 굽어지지 않고 수평상태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섬유면포가 착용자의 눈과 멀어짐이 없이 눈을 밀착한 상태로 부드럽고 감싸 보호해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용의 편안함과 자연스러움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섬유면포가 눈으로부터 들뜸현상없이 밀착한 상태로 부드럽게 감싸 보호해주어 눈병을 보다 신속히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안대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
도 3은 도 1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종래의 안대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원인이 선출원한 바 있는 안대의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5의 배면에 화장솜을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안대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로서, 통상의 안대와 마찬가지로 합성수지 재질의 판상으로 형성되고 각 모서리 부분에 끈고정홀이 형성되며 표면에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외대(210)와, 외대(210)의 배면에 구비되어 눈을 밀착한 상태로 감싸 눈을 가려 보호하는 섬유면포(220)와, 섬유면포(220)가 외대(210)의 배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고정 및 지지해주는 지지대(230)로 구성되며, 지지대(230)는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끼움돌기(232)(232a)를 외대의 양측 고리(214)(214a)에 끼워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안대에 있어, 본 고안은 상기 외대(210)를 사면 가장자리에 라운딩부(210a)가 형성되고 전체면이 앞쪽 활 모양으로 굽어진 만곡면(213)으로 형성하고, 외대(210)의 양측 고리(214)(214a)에 지지대(230)의 양측 끼움돌기(232)(232a)가 끼워질 때, 지지대(230)가 외대(210)의 내측 만곡면(213)을 따라 굽어지지 않게 하여 지지대(230)의 외측에 걸어진 섬유면포(220)와 눈 사이의 간격이 벌어짐이 없이 밀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외대(210)의 양내측에 형성된 한 쌍의 고리(214)(214a)가 외대(210)의 내측면을 따라 안쪽으로 굽어짐이 없이 수평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야 하는 것으로서, 그 수평상태의 유지를 위해 본 고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각각 수평면(215a)(216a)을 갖는 한 쌍의 하부지지턱()에 의해 한 쌍의 고리(214)(214a) 하부가 지지되도록 하고, 한 쌍의 고리(214)(214a) 사이의 거리는 지지대(230)의 세로폭에 대응되게 하며, 상기 하부지지턱(215)(216)의 수평면(215a)(216a) 상에 형성되는 한 쌍의 고리(214)(214a)는 각각 하부지지턱(215)(216) 각각의 수평면(215a)(216a) 외측으로 치우지게 형성하여 상기 한 쌍의 고리(214)(214a)를 제외한 나머지 수평면(215a)(216a) 상의 지지면(215b)(216b)으로 지지대(230)의 하부가 지지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외대(210)는 외부의 순간적인 충격에 의해 움직여 피부를 긁을 때 피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탄성을 갖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열성 및 내산화성, 각종 약품에 대한 저항, 발수 및 내수성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쉽게 손상되지 않아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섬유면포(220) 역시 거즈에 비해 매우 촉감이 부드러워 눈을 보다 편안하게 감싸주고 식약청에서 인정하고 멸균처리된 화장용 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외대(210)는 LDPE(Low Density Polyethylene)와 PP(Polypropylene)을 9:1의 비율로 혼합한 합성수지로 형성할 수 있다. LDPE는 에틸렌을 중합하여 제조하는 합성수지로서 상온에서 투명한 고체(밀도가 0.91~0.94의 것임)로 결정화가 낮아 가공성과 유연성, 투명성이 우수해 농업용, 포장용, 투명필름, 전선피복, 각종 랩 등의 원료로 사용한다. 그리고, PP는 석유 분해 가스 속에 포함되어 있으며, 폴리에틸렌의 중합(重合)과 같이 순수하게 만든 프로필렌 가스를 용제 속에서 특수한 유기 금속의 촉매로 상온, 상압에서 중합하여 만든 수지로서 밀도는 플라스틱 중에서도 가장 가볍고(0.90~0.91), 기계적 강도가 크며, 내열성이 우수하고 비교적 투명하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유연성이 우수하여 피부에 긁혀도 상처나 자국이 남지 않는 LDPE를 주원료로 하고 PP를 가미하여 외대의 형태 유지를 할 수 있도록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지지대(230)에 섬유면포(220)를 먼저 씌우고 지지대(230)의 양측 끼움돌기(232)(232a)를 외대(210)의 양측 고리(214)(214a)에 끼우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대(210)의 양측 고리(214)(214a)의 사이에 지지대(230)의 가로폭이 일치되고, 상기 고리(214)(214a)는 상면이 수평면(215a)(216a)으로 형성된 좌우 한 쌍의 하부지지턱(215)(216)에 의해 수평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중앙부에 관통홀(231)을 갖는 사각 띠 형태의 지지대(230)의 양측면 하부는, 하부지지턱(215)(216)의 수평면(215a)(216a)에서 상기 수평면(215a)(216a)의 외측으로 치우친 고리(214)(214a)를 제외한 나머지 지지면(215b)(216b)에 의해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지지되므로 섬유면포(220)가 씌워진 지지대(230)는 가장자리에 라운딩부(210a)가 형성되고 전체면이 앞쪽 활 모양으로 굽어진 만곡면(213)을 따라 굽어짐이 없이 수평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어 눈과 거리가 멀어지지 않고 눈을 밀착한 상태로 감싸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외대(210)는 전체면이 앞쪽 활 모양으로 굽어진 만곡면(213)으로 형성되어 눈을 압박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같이 본 고안은 외대를 전체적으로 곡면을 이루는 탄성의 연질 합성수지로 형성하여 외부의 충격에 의한 피부의 손상없이 눈의 압박을 최소화하고, 외대의 내측에 촉감이 부드러운 화장솜이 구비되어 눈을 부드럽게 감싸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용의 불편함이 없이 편안하게 안대를 착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외대와 화장솜을 간단하게 외대의 내측에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제품의 품질 향상과 함께 부품수 감소에 따른 경제성과 제조원가의 절감으로 가격 경쟁력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의한 안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200: 안대 210: 외대
210a: 라운딩부 211: 끈고정홀
212: 통기공 213: 만곡면
214,214a: 고리 215,216: 하부지지턱
215a,216a: 수평면 215b,216b: 지지면
220: 섬유면포 230: 지지대
231: 관통홀 232,232a: 끼움돌기

Claims (4)

  1. 탄성을 갖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각 모서리 부분에 끈고정홀이 형성되며 표면에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외대(210)와, 외대(210)의 배면에 구비되어 눈을 밀착한 상태로 감싸 눈을 가려 보호하는 섬유면포(220)와, 섬유면포(220)가 외대(210)의 배면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고정 및 지지해주는 지지대(230)로 구성되며, 지지대(230)는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끼움돌기(232)(232a)를 외대(210)의 양측 한 쌍의 고리(214)(214a)에 끼워 고정하도록 구성된 안대에 있어서,
    상기 외대(210)를 사면 가장자리에 라운딩부(210a)가 형성되고 전체면이 앞쪽 활 모양으로 굽어진 만곡면(213)으로 형성하고, 외대(210)의 양측 한 쌍의 고리(214)(214a)가 한 쌍의 하부지지턱(215)(216)에 의해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외대(210)의 고리(214)(214a)에 상기 지지대(230)의 끼움돌기(232)(232a)가 끼워질 때, 외대(210)의 내측 만곡면(213)을 따라 굽어짐이 없이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안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하부지지턱(215)(216)은 각각의 상면에 수평면(215a)(216a)을 가지며, 상기 수평면(215a)(216a) 상의 각 고리(214)(214a) 사이의 거리는 지지대(230)의 가로폭에 대응되고, 상기 각각의 고리(214)(214a)는 수평면(215a)(216a)에서 외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되어 고리(214)(214a)를 제외한 나머지 수평면(215a)(216a) 상의 지지면(215b)(216b)으로 중앙부에 관통홀(231)을 갖는 띠 형태의 지지대(230) 양측 하부를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안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대(21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안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대(210)는 LDPE와 PP를 9:1의 비율로 혼합한 합성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안대.





KR2020140005341U 2014-05-28 2014-07-16 안대 KR20048063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4082 2014-05-28
KR2020140004082 2014-05-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823U true KR20150000823U (ko) 2015-02-26
KR200480631Y1 KR200480631Y1 (ko) 2016-06-17

Family

ID=52579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341U KR200480631Y1 (ko) 2014-05-28 2014-07-16 안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63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940A (ko) 2020-08-23 2022-03-03 하현승 뜯어쓰는 안대
KR20220055504A (ko) * 2020-10-06 2022-05-04 박은옥 소프트 안전 위생 안대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0475Y1 (ko) * 1982-03-13 1985-03-23 이귀남 안 대
JPS63189221U (ko) * 1987-05-28 1988-12-05
KR200395881Y1 (ko) * 2005-06-24 2005-09-14 김충선 수면안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0475Y1 (ko) * 1982-03-13 1985-03-23 이귀남 안 대
JPS63189221U (ko) * 1987-05-28 1988-12-05
KR200395881Y1 (ko) * 2005-06-24 2005-09-14 김충선 수면안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940A (ko) 2020-08-23 2022-03-03 하현승 뜯어쓰는 안대
KR20220055504A (ko) * 2020-10-06 2022-05-04 박은옥 소프트 안전 위생 안대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631Y1 (ko) 201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741201A (zh) 水鏡面罩結構
KR102145645B1 (ko) 가요성 안경다리
US20190216648A1 (en) Sleep mask apparatus
KR20120088529A (ko) 스냅 브리짓를 갖는 확장 가능한 안경류
KR200457317Y1 (ko) 안면보호 및 자외선차단용 마스크, 및 마스크필름을 장착하는데 사용되는 안경프레임
KR101714193B1 (ko) 마스크
US20170055618A1 (en) Ergonomic headwear systems and apparatuses for reducing light exposure
KR200480631Y1 (ko) 안대
KR101706953B1 (ko) 허리 보호대용 의료기구
JP2015062450A (ja) 補助具
US20160258455A1 (en) Multifunctional strap
JP6826357B1 (ja) フェイスガード
KR200474269Y1 (ko) 안대
WO2007057470A1 (en) Flexible eyeglasses and process for making same
US6704935B1 (en) Clear tanning glasses with opaque eyepieces
JP3151488U (ja) 帽子用眼鏡
JP6690879B2 (ja) 使い捨て防塵マスク
KR200381634Y1 (ko) 굴곡 밀착구조를 갖는 마스크
KR102354144B1 (ko) 허리 보호대
KR20150000911U (ko) 넥 워머
US11531214B1 (en) Eyeglasses accessory for eyeglasses retention and associated methods
JP3228501U (ja) フェイスシールドおよびマスク付きフェイスシールド
US20220225704A1 (en) Face mask shield for prolonged use
KR101714340B1 (ko) 허리보호대
KR101741656B1 (ko) 원터치 착용 가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