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4340B1 - 허리보호대 - Google Patents

허리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4340B1
KR101714340B1 KR1020150123140A KR20150123140A KR101714340B1 KR 101714340 B1 KR101714340 B1 KR 101714340B1 KR 1020150123140 A KR1020150123140 A KR 1020150123140A KR 20150123140 A KR20150123140 A KR 20150123140A KR 101714340 B1 KR101714340 B1 KR 101714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waist
user
band por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5968A (ko
Inventor
서상구
최재금
Original Assignee
서상구
최재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상구, 최재금 filed Critical 서상구
Priority to KR1020150123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340B1/ko
Publication of KR20170025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25Loin or waist area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31Spin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5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5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 A41D13/0556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with releasable fastening means
    • A41D13/0568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with releasable fastening means with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61F13/148Abdomen bandages or bandaging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허리보호대는, 사용자의 허리 일측 및 타측을 감싸며, 중심부는 상기 사용자의 배부(背部)와 대면하는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 양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의 복부(腹部)와 대면하고, 상기 밴드부의 양 단부를 상호 탈착 결합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밴드부 일면에 적어도 두 개가 서로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허리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밴드부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로 고정된 상기 밴드부의 조임 상태를 더욱 조이는 조임끈부; 및 상기 밴드부의 외면에 구비되어 허리를 지지하는 보조지지부;를 포함하는 허리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허리보호대{WAIST PROTECTING BELT}
본 발명은, 허리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허리 균일한 지지력을 발현하고, 상하방향 위치이동 및 폭 조절이 가능하며 지지력을 발현하는 골조부재에 의해 원하는 허리 위치에 지지력을 발현하며, 밀착 조임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허리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허리보호대는 척추 질환자나 노약자들의 척추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허리보호대는, 통상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합성섬유 직조물을 주 소재로 하고, 척추 질환으로 인한 통증을 덜 수 있도록 착용자의 허리를 일정 정도로 압박하여 약화된 척추 주변의 근육과 인대 및 질환이 발생한 척추와 척추 사이의 병변 개소를 보완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한 허리보호대는 합성섬유 직조물과 탄성을 지닌 고무밴드를 혼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그 양단에 착탈이 용이한 벨크로 테이프를 부착하여 착용자 스스로 자신의 허리에 맞추어 착용함으로써 허리의 소정부분을 일정하게 가압하여 허리를 지지함으로써 허리를 보호한다.
그러나, 종래의 허리보호대는, 밴드에 의해 허리를 고정 지지하는 구조로써, 충분한 지지력을 발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에 따라 허리를 감싸며 지지하는 허리보호대의 허리 지지부분이 각각 다르게 나타남으로 사용자에 따라 불필요한 허리 부분을 지지하게 됨으로 사용상에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허문헌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9325호(2001.09.24.)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의 허리둘레에 걸쳐 균일한 지지력을 발휘하면서 밀착 조임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허리보호대를 제공하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골조부재의 위치를 변경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허리 위치에서 지지력을 발현할 수 있는 허리보호대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따라 골조부재의 폭 조절을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허리둘레에 맞춰 지지력을 발현할 수 있는 허리보호대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허리보호대는, 사용자의 허리 일측 및 타측을 감싸며, 중심부는 상기 사용자의 배부(背部)와 대면하는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의 복부(腹部)와 대면하고, 상기 밴드부의 양단부를 상호 탈착 결합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밴드부 일면에 적어도 두 개가 서로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허리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밴드부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로 고정된 상기 밴드부의 조임 상태를 더욱 조이는 조임끈부 및 상기 밴드부의 외면에 구비되어 허리를 지지하는 보조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 내측에는, 상기 사용자의 배부(背部)방향으로 반구형(半球形)으로 돌출되어 상단면이 영구자석으로형성되는 지압부와, 가요성을 가지는 형상 기억 합금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골조부재가 더 마련되고, 상기 골조부재의 외부를 감싸는 탄성 재질의 보호패드가 더 마련되며, 상기 골조부재는 상기 지압부 상단면에 마련되는 영구자석과 자력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밴드부에는, 상기 밴드부의 중심부 외면에 다수 개의 고정부재가 더 마련되고, 상기 보조지지부에는, 적어도 두 개가 서로 이격되게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가요성을 가지는 형상 기업 합금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제2 골조부재와, 상기 밴드부의 상기 고정부재와 체결되는 연결부재가 더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사용자의 허리둘레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와 체결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보조지지부의 허리를 지지하는 폭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밴드부에는, 상기 밴드부 일단부에 설치되는 고정링과, 상기 밴드부 타단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링이 더 마련되고, 상기 조임끈부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링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링을 통하여 노출되며, 상기 밴드부에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복수로 배치되는 섬유재 또는 합성수지재의 조임끈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지지부는, 상기 밴드부의 상기 고정부재와 체결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조임끈부의 상기 조임끈 중 적어도 하나는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허리보호대는 사용자의 허리둘레에 걸쳐 균일한 지지력을 발휘하면서 밀착 조임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골조부재의 위치를 변경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허리 위치에서 지지력을 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따라 골조부재의 폭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허리둘레에 맞춰 지지력을 발현할 수 있는 허리보호대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허리보호대를 나타낸 것으로, 착용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허리보호대의 보조지지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일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허리보호대를 나타낸 것으로, 착용 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허리보호대를 나타낸 것으로, 보조지지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인 허리보호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허리 일측 및 타측을 감싸는 밴드부(100)와, 상기 밴드부(100) 양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밴드부(100)의 양 단부를 상호 탈착 결합시키는 고정부(200)와, 상기 밴드부(100) 외측면에 적어도 두 개가 각각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허리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300) 상기 밴드부(10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로 고정된 상기 밴드부의 조임 상태를 더욱 조이는 조임끈부(400) 및 허리를 지지하는 보조지지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인 허리보호대에는, 밴드부(100)가 마련된다. 상기 밴드부(100)는, 사용자의 허리 일측 및 타측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밴드부(100)는, 사용자의 허리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될 고정부(200)에 의해 사용자의 허리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밴드부(100)의 중심부 외면에 다수 개의 고정부재(120)가 마련된다. 상기 고정부재(120)는 아래에서 설명될 보조지지부(500)의 연결부재(520)와 체결되어 보조지지부(500)를 밴드부(1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밴드부(100)에는, 고정부(20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밴드부(100) 양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밴드부(100)의 양 단부를 상호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밴드부(100)의 양 단부를 상호 탈착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밴드부(100)의 체결시 상기 고정부(200)의 위치는 사용자의 복부(腹部)와 대면되도록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200)는, 특별히 상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암수 벨크로, 후크 단추, 영구 자석 또는 턴버클 등과 같이 상기 밴드부(100)의 양 단부을 상호 용이하게 탈착 결합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것이든 무방하다.
상기 밴드부(100) 일변에는, 지지부(300)가 마련된다.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밴드부(100) 일변에 적어도 두 개가 서로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허리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밴드부(100)를 착용하였을 때, 아래에서 설명될 가요성을 가지는 제1 골조부재(340)에 의해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부(300) 내측에는, 지압부(320)가 마련된다. 상기 지압부(320)는, 상기 지지부(300) 내측에 마련되며, 사용자의 배부(背部) 방향으로 반구형(半球形)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지압부(320)는, 상기 밴드부(100)가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며 체결될 때, 반구형(半球形)의 구조적 특징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배부(背部)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사용자의 배부(背部)를 지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지압부(320)의 상단면은, 영구자석(미도시)으로 형성된다. 상기 영구자석(미도시)는, 자력을 가지는 자석으로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될 제1 골조부재(34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사용되는 상기 영구자석(미도시)은,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 의료용 영구자석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압부(320)는, 상기 지압부(320)의 상단면에 상기 영구자석(미도시)을 형성하거나, 상기 지압부(320) 전체를 상기 영구자석(미도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00) 내측에는, 제1 골조부재(340)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골조부재(340)은, 상기 지지부(300) 내측에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요성을 가지는 형상 기억 합금 또는 합성수지로 구성하여, 장시간 사용에도 변형되지 않고 균일한 지지력을 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골조부재(340)은, 상기 지지부(300)의 길이보다 작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300) 내측에서 상기 지지부(300) 상하방향으로 위치를 변경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상기 제1 골조부재(340)의 일면에, 상기 지압부(320)에 형성되는 상기 영구자석(미도시)과 고정 체결 가능한 영구자석(미도시)이 마련되어 상기 지지부(300) 내측에 고정된다. 이는, 상기 사용자에 따라 허리를 지탱해주는 지지력을 원하는 위치가 서로 다르게 되며, 이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으로 유동적으로 이동 가능한 상기 제1 골조부재(340)이 상기 지지부(300) 내측에서 상기 지지부(300)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허리 위치에 지지력을 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 골조부재(340) 외부에는, 보호패드(360)가 더 마련된다. 상기 보호패드(360)는, 상기 골조부재 외부를 감싸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장시간 사용에도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 골조부재(340)과 보호패드(360) 사이에는,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의료용 영구자석을 내장한다든가,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토르말린을 내장하는 등의 응용 및 변형 설계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밴드부(100)에는, 조임끈부(400)가 마련된다. 상기 조임끈부(400)는, 상기 밴드부(100) 일단부에 설치되는 고정링(420)과 상기 밴드부(100) 타단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링(440)을 통하여 노출되는 섬유재 또는 합성수지재의 조임끈(460)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조임끈부(400)는, 상기 밴드부(100) 및 고정부(200)에 의해 사용자 허리에 상기 밴드부(100)가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링(420)에 고정된 상기 조임끈(460) 일단과 상기 가이드링(440)에 삽입되어 노출되는 상기 조임끈(460) 타단이 서로 체결하여 상기 밴드부(100)의 조임상태를 조절하게 된다.
여기서, 조임끈(460)은, 사용자 허리의 상하방향으로 비교적 균일한 밀착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밴드부(100)에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복수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고정링(420) 및 가이드링(440)은, 상기 조임끈(460)이 상기 밴드부(100)에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복수로 배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밴드부(100)에는, 보조지지부(500)가 마련된다. 상기 보조지지부는, 양단부에 연결부재(520)가 더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재(520)는 상기 밴드부(100)의 중심부 외면에 마련되는 상기 고정부재(120)와 체결되며, 사용자의 허리둘레에 따라 체결위치를 다르게 함으로써, 허리둘레에 맞춰 허리를 지지하는 폭의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지지부(500)의 내측에는 제2 골조부재가 적어도 두 개가 서로 이격되게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골조부재는 상기 제1 골조부재와 같이,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요성을 가지는 형상 기억 합금 또는 합성수지로 구성하여, 장시간 사용에도 변형되지 않고 균일한 지지력을 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보조지지부(500)의 양단부를 상기 조임끈(460)을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밴드부의 고정부재와 체결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조임끈부의 조임끈이 적어도 하나는 삽입되어, 상기 조임끈(460)은 보조지지부(500)가 허리에 밀착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밴드부
120 : 고정부재
200 : 고정부
300 : 지지부
320 : 지압부
340 : 제1 골조부재
360 : 보호패드
400 : 조임끈부
420 : 고정링
440 : 가이드링
460 : 조임끈
500 : 보조지지부
520 : 연결부재
540 : 제2 골조부재

Claims (4)

  1. 사용자의 허리 일측 및 타측을 감싸며, 중심부는 상기 사용자의 배부(背部)와 대면하는 밴드부;
    상기 밴드부 양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사용자의 복부(腹部)와 대면하고, 상기 밴드부의 양 단부를 상호 탈착 결합시키는 고정부;
    상기 밴드부 일면에 적어도 두 개가 서로 이격되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의 허리를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밴드부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로 고정된 상기 밴드부의 조임 상태를 더욱 조이는 조임끈부; 및
    상기 밴드부의 외면에 구비되어 허리를 지지하는 보조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 내측에는,
    상기 사용자의 배부(背部)방향으로 반구형(半球形)으로 돌출되어 상단면이 영구자석으로 형성되는 지압부와,
    가요성을 가지는 형상 기억 합금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제1 골조부재와,
    상기 제1 골조부재의 외부를 감싸는 탄성 재질의 보호패드가 더 마련되고,
    상기 제1 골조부재는 상기 지압부 상단면에 마련되는 영구자석과 자력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제1 골조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보호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에는,
    상기 밴드부의 상기 중심부 외면에 다수 개의 고정부재가 더 마련되고,
    상기 보조지지부에는,
    적어도 두 개가 서로 이격되게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가요성을 가지는 형상 기억 합금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제2 골조부재와,
    상기 밴드부의 상기 고정부재와 체결되는 연결부재가 더 마련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사용자의 허리둘레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와 체결되는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보조지지부의 허리를 지지하는 폭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 보호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에는,
    상기 밴드부 일단부에 설치되는 고정링과,
    상기 밴드부 타단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링이 더 마련되고,
    상기 조임끈부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링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가이드링을 통하여 노출되며, 상기 밴드부에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복수로 배치되는 섬유재 또는 합성수지재의 조임끈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지지부는,
    상기 밴드부의 상기 고정부재와 체결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조임끈부의 상기 조임끈 중 적어도 하나는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보호대.
KR1020150123140A 2015-08-31 2015-08-31 허리보호대 KR101714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140A KR101714340B1 (ko) 2015-08-31 2015-08-31 허리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140A KR101714340B1 (ko) 2015-08-31 2015-08-31 허리보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968A KR20170025968A (ko) 2017-03-08
KR101714340B1 true KR101714340B1 (ko) 2017-03-09

Family

ID=58402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140A KR101714340B1 (ko) 2015-08-31 2015-08-31 허리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43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070Y1 (ko) * 2000-07-31 2001-03-15 손한영 허리보호용 코르셋
JP2009172032A (ja) 2008-01-22 2009-08-06 Yoko Naruiwa コルセット本体に指圧がわりのボウル、玉を装着し、ずり上がり防止用のバンド及び脱腸押さえを備えた医療用腰痛コルセッ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9325Y1 (ko) 2001-06-08 2001-11-16 박기상 척추 보조기
CN103052329B (zh) * 2010-07-23 2015-08-19 兴和株式会社 护具
KR101449243B1 (ko) * 2013-02-06 2014-10-08 강석만 허리보호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070Y1 (ko) * 2000-07-31 2001-03-15 손한영 허리보호용 코르셋
JP2009172032A (ja) 2008-01-22 2009-08-06 Yoko Naruiwa コルセット本体に指圧がわりのボウル、玉を装着し、ずり上がり防止用のバンド及び脱腸押さえを備えた医療用腰痛コルセ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968A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08354B1 (en) Adjustable knee support
KR101997789B1 (ko) 통증 완화용 손목 밴드
KR101723920B1 (ko) 어깨 및 상체 자세 교정이 가능한 압박 의류
KR101706953B1 (ko) 허리 보호대용 의료기구
JP2006247195A (ja) 身体用弛緩予防および改善具
KR200466476Y1 (ko) 척추 지압식 허리 보호대
KR101695276B1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KR101563149B1 (ko) 의료용 복대
KR200434837Y1 (ko) 허리 보호대
KR101801868B1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KR101714340B1 (ko) 허리보호대
KR100879630B1 (ko) 흉요추 보조기
KR101883805B1 (ko) 의료용 부목
KR200470311Y1 (ko) 무릎 보호대
KR101386713B1 (ko) 허리보호대
KR200279878Y1 (ko) 척추측만증 교정기
KR20160001493U (ko) 밴드교정용구
KR200476376Y1 (ko) 인체공학적 구조를 갖는 의료용 복대
KR20130000452U (ko) 허리보호대
KR20160050765A (ko) 허리 보호대
KR101895004B1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KR101666174B1 (ko) 기능성 척추 디스크 보호대
KR101447242B1 (ko) 허리 보호대
KR20160085980A (ko) 의료용 복대
CN219679836U (zh) 一种双重加压护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