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717U - 이중 바닥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중 바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717U
KR20150000717U KR2020130006609U KR20130006609U KR20150000717U KR 20150000717 U KR20150000717 U KR 20150000717U KR 2020130006609 U KR2020130006609 U KR 2020130006609U KR 20130006609 U KR20130006609 U KR 20130006609U KR 20150000717 U KR20150000717 U KR 201500007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bar
bar
height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66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6822Y1 (ko
Inventor
김성훈
김경호
김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20201300066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822Y1/ko
Publication of KR201500007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7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8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8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04F15/0247Screw j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5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support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underlayer
    • E04F2015/02061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support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underlayer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under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 슬라브 바닥면에 구현되는 이중 바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판재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경량 철골 지지바 및 지지채널, 그리고 이중 바닥 시스템의 높이를 대폭 낮출 수 있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중 바닥 시스템{Double flooring system}
본 고안은 이중 바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람들이 아파트, 다세대 주택 등과 같은 공동 주택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런 공동 주택에서 바닥 충격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여기서, 바닥충격음은 사람들의 보행, 물건의 낙하, 어린이들의 뜀이나 달림, 가구의 이동 때문에 바닥면에 충격이 가해질 때, 슬라브의 진동이 공기 중에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바닥 충격음은 공동 주택에 거주하는 사람들 사이에 다툼의 원인이 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공동주택의 바닥 충격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중 바닥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이중 바닥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상판재와 지지대들로 이루어진다. 지지대들은 슬라브의 바닥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이때, 지지대의 높이는 바닥면의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판재는 바닥면에 설치된 지지대의 일 종단면 상에 위치한다. 이로 인해 슬라브의 바닥면에 이중 바닥 시스템이 적용된다.
한편, 상판재와 지지대가 접촉하는 방법은 크게 2가지로 나뉘어지는데, 즉 선 지지와 점 지지 방식으로 나뉘어진다. 선 지지 방식은 장선을 활용하여 상판재를 선 형태로 지지하는 방식으로, 상판재와의 접촉면적이 넓어 상판재의 손상을 줄이고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특성을 지닌다. 점 지지 방식은 지지대의 귀퉁이에 상판재가 직접적으로 면하여 상판재를 점 형태로 지지하는 방식으로, 접촉부위가 좁고 상판재 귀퉁이의 파손이 잦으나, 가격이 저렴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장선을 활용하여 상판재를 선 지지하는 구조의 경우, 지지대 위에 장선이 거치되는 것이 주된 방법이었다. 이것은 곧 바닥시스템의 높이 상승을 유발하였고, 국내 습식바닥 대비 높은 바닥층을 구성하게 되어 층고가 높아지고, 이에 따른 공사비 부담에 이중바닥 적용 실적이 극히 드물었다.
국내외에서 기존의 선 지지 방식에 사용되는 주요 소재는 각재로서, 각재 장선의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지지대가 시공되는 형태를 띠었다. 그러나, 목재 소재의 특성상 장기간 방치 시 휨이 발생하여 지지대가 바닥과 밀착되지 않고 뜨는 부위가 발생함으로써 구조적으로 취약한 단점이 있다. 또한,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하기 적용되는 볼트의 높이 조절을 위해 각재를 타공하였는데, 이에 따른 가공비가 비싸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국내 건설현장 실정에 맞도록 장기간의 야적에도 휨 또는 비틀림이 적고, 가공이 용이하여 대형 공동주택에 적용 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는 이중바닥 지지바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중 바닥 시스템의 전체 높이를 낮춰 경제성을 가질 수 있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중 바닥 시스템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이중 바닥 시스템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지지바를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오랜 시간 동안 변형이 적어 구조적 안정성을 장기간 확보할 수 있고, 대량생산에 용이한 지지바를 포함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 이중 바닥 지지 시스템에 비해 시공성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 이중 바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판재의 하부에서 상판재를 선 형태로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바; 상기 상판재의 하부에서 상판재를 선 형태로 지지하고, 상기 지지바와 격자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채널; 및 상기 지지바의 하부에서 지지바를 높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바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양단에서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두 수직판으로 구성되는 ┌┐자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두 수직판의 안쪽으로 ㄴ자 형태로 연장되는 절곡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슬라브 바닥과 접하는 방진구, 상기 방진구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나사, 및 상기 나사와 결합하여 나사의 회전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지바를 지지하는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의 받침대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양단에서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두 수직판으로 구성되는 ┌┐자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두 수직판의 바깥쪽으로 ㄴ자 형태로 연장되는 절곡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바의 ┌┐자 구조 내부에 상기 지지대의 ┌┐자 구조가 삽입되고, 상기 지지바의 ㄴ자 절곡 구조는 상기 지지대의 ㄴ자 절곡 구조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지지바의 ┌┐자 구조 내부에 지지대의 ┌┐자 구조가 삽입됨으로써, 지지바와 지지대는 높이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며, 이에 따라 이중 바닥 시스템의 전체 높이를 대폭 낮출 수 있다. 또한, 지지바의 ㄴ자 절곡 구조는 지지대의 ㄴ자 절곡 구조에 삽입됨으로써, 지지바와 지지대의 결합력이 증가하고 지지바와 지지대의 체결이 용이해질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지지바의 ┌┐자 구조는 상부보다 하부의 폭이 좁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지바와 지지대의 체결 시 걸림 효과로 인해 지지바와 지지대의 결합력이 증가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지지대의 ㄴ자 절곡 구조에는 걸림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지바와 지지대의 체결 후 탈착이 방지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지지바 및 지지채널은 각각 경량 철골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지지바 및 지지채널은 경량 철골로 이루어짐으로써, 복수의 지지바와 지지채널을 격자 형태로 설치하고 지지대를 활용하여 테두리 부위의 지지바와 지지채널의 높이를 조절하여 지지하면, 경량 철골 본연의 강성으로 인해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테두리 안쪽 부위의 지지바와 지지채널도 테두리 부위의 높이로 유지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지지바는 상기 수평판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상향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스페이서 부재, 및 상기 스페이서 부재 사이에 형성되고 지지채널을 수용하는 복수의 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스페이서 부재의 높이는 상기 지지채널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지지바 및 지지채널에는 체결수단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 및 지지채널에는 지지대의 나사가 관통 가능하도록 지지대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지지바와 지지대가 결합한 상태에서 지지대 하단부터 지지바 상단까지의 높이는 52 내지 62 mm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라 경제성 향상을 위하여 이중 바닥 시스템의 전체 높이를 낮추도록 새로 개발된 이중 바닥 경량 철골용 지지대는 기존의 지지대가 상판재를 선 지지하기 위한 장선 구조체를 지지대 위에 거치하는 방법과 달리, ┌┐자 형태로 구성된 경량 철골 장선(지지바) 내부에 지지대를 삽입함으로써, 경쟁 구조인 습식 바닥구조와 동등 이하의 바닥 높이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방진 지지대는 슬라브의 불규칙한 표면 상태에도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서 지지바의 ┌┐자 구조 내부에 지지대의 ┌┐자 구조가 삽입됨으로써, 지지바와 지지대는 높이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며, 이에 따라 이중 바닥 시스템의 전체 높이를 대폭 낮출 수 있다. 또한, 지지바의 ㄴ자 절곡 구조는 지지대의 ㄴ자 절곡 구조에 삽입됨으로써, 지지바와 지지대의 결합력이 증가하고 지지바와 지지대의 체결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지지바의 ┌┐자 구조는 상부보다 하부의 폭이 좁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지바와 지지대의 체결 시 걸림 효과로 인해 지지바와 지지대의 결합력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 지지대의 ㄴ자 절곡 구조에는 걸림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지바와 지지대의 체결 후 탈착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이중 바닥 지지바(장선)는 슬라브의 불규칙한 표면 상태에서도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장기간의 야외 노출에도 자재의 변형이 극히 적어 장기간의 구조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지지바는 경량 철골로 이루어지는데, 경량 철골의 특성상 롤 금형에서 생산되며, 가공 과정에서도 펀칭 금형을 통해 대량 생산이 용이하여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지지바 및 지지채널이 경량 철골로 이루어짐에 따라, 복수의 지지바와 지지채널을 격자 형태로 설치하고 지지대를 활용하여 테두리 부위의 지지바와 지지채널의 높이를 조절하여 지지하면, 경량 철골 본연의 강성으로 인해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테두리 안쪽 부위의 지지바와 지지채널도 테두리 부위의 높이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이중 바닥 시스템의 시공성은 기존 이중 바닥 지지 시스템들이 개별적으로 지지대를 높이 조절하는 것에 비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중 바닥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바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채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바와 지지채널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중 바닥 시스템의 사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바와 지지채널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대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대와 지지바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대와 지지바의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중 바닥 시스템의 평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이중 바닥 시스템은 상판재(10), 지지채널(20), 지지바(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판재(10)는 합판, 섬유판(MDF, HDF)과 같은 목재, 플라스틱, 세라믹, 금속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판재(10)는 지지채널(20) 및 지지바(30)와 같은 장선 위에 설치되며, 나사못 등을 통해 장선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채널(20) 및 지지바(30)는 장선으로서, 상기 상판재(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판재(10)를 선 형태로 지지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지지채널(20) 및 지지바(30)가 사용되어 격자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채널(20) 및 지지바(30)의 결합 형태나 구조는 도 1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지지채널(20) 및 지지바(30)는 바람직하게는 경량 철골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서 경량 철골은 아연 도금 강판(galvanized steel sheet)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연 도금 강판은 냉간 압연기로 압연한 얇은 강판을 아연으로 도금하여 부식에 잘 견디고 표면을 매끄럽게 만든 강판을 말하며, 종류로는 강판을 음극으로 하고 전기를 사용하여 도금하는 전기 아연 도금 강판, 아연을 녹인 상태에서 강판을 담가 만들어지는 용융 아연 도금 강판, 아연 도금한 강판을 열처리하여 표면을 철과 아연의 합금으로 만든 합금화 아연 도금 강판 등이 있다. 아연 도금 강판은 내식성, 내구성, 가공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고, 비중은 7 내지 8이다.
이와 같이, 지지채널(20) 및 지지바(30)로서 경량 철골 소재를 사용할 경우, 내구성 및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고, 슬라브의 불규칙한 표면 상태에서도 수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장기간의 야외 노출에도 자재의 변형이 극히 적어 장기간의 구조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경량 철골의 특성상 롤 금형에서 생산되며, 가공 과정에서도 펀칭 금형을 통해 대량 생산이 용이하여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지지채널(20) 및 지지바(30)가 경량 철골로 이루어짐에 따라, 복수의 지지채널(20) 및 지지바(30)를 격자 형태로 설치하고 지지대(40)를 활용하여 테두리 부위의 지지채널(20) 및 지지바(30)의 높이를 조절하여 지지하면, 경량 철골 본연의 강성으로 인해 지지대(40)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테두리 안쪽 부위의 지지채널(20) 및 지지바(30)도 테두리 부위의 높이로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이중 바닥 시스템의 시공성은 기존 이중 바닥 지지 시스템들이 개별적으로 지지대를 높이 조절하는 것에 비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지지채널(20)과 지지바(30)가 교차하는 지점에 지지대(40)가 설치될 수 있는데, 지지대(40)는 상기 지지바(30)의 하부에서 지지바(30)를 높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판재(10)의 상부에는 난방 모듈판이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바의 사시도로서, 이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바(30)는 단면이 대략 ┌┐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긴 경량 철골 구조물로서, 수평판(31), 스페이서 부재(32), 홈(33), 수직판(34), 지지대 체결공(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수평판(31)은 본체에 해당하는 것으로, 지지바(30)의 상부 쪽에 길게 판상으로 형성되고, 이 수평판(31) 상에 복수의 스페이서 부재(32) 및 복수의 홈(33)이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스페이서 부재(32)는 홈(33)을 제공하면서 지지채널(20)과의 단차를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스페이서 부재(32)는 수평판(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수평판(31)으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 부재(32)는 펀칭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 측면이 개방될 수 있다.
홈(33)은 지지채널(20)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홈(33)은 스페이서 부재(32) 사이에 형성되는데, 수평판(31)을 일부러 파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스페이서 부재(32)가 형성됨에 따라 수평판(31) 상에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것이다.
수직판(34)은 수평판(31)의 길이 방향 양단에서 수평판(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판(31)의 아래 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바(30)는 수평판(31)과 2개의 수직판(34)에 의해 그 단면이 대략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지지바(30)의 ┌┐자 구조는 상부보다 하부의 폭이 좁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즉 두 수직판(34)이 수평판(31)으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면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각도는 수평판(31)과 직교하는 가상의 평면을 기준으로 1 내지 30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바(30)의 ┌┐자 구조가 상부에서 하부 쪽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경우, 지지바(30)와 지지대(40)의 체결 시 걸림 효과로 인해 지지바(30)와 지지대(40)의 결합력이 증가할 수 있다.
도시에 바와 같이, 지지바(30)는 두 수직판(34)의 안쪽으로 ㄴ자 형태로 연장되는 절곡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향 연장된 수직판(34)의 말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후, 다시 수직방향으로 한번 더 절곡됨으로써, ㄴ자 형태의 절곡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지지대(40)와의 결합력이 증가하고 지지대(40)와의 체결이 용이해질 수 있다.
지지대 체결공(35)은 지지대(40)의 상부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대 체결공(35)은 수평판(31)을 천공하여 형성되고, 주로 홈(33)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 체결공(35)은 지지대(40)의 상부, 예를 들어 나사(42)가 관통 가능하도록 나사(42)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지지대 체결공(35)의 둘레에는 지지채널(20)과의 체결을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수단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수단은 나사못, 볼트 등일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채널의 사시도로서, 이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채널(20)은 지지바(30)와 유사하게 긴 경량 철골 구조물로서, 대략 수평판으로 이루어지되,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판의 양단에 하향 절곡 후 상향 절곡되는 이중 절곡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향 절곡구조는 수평판의 양단으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도는 수평판과 직교하는 가상의 평면을 기준으로 1 내지 30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도일 수 있다. 상기 이중 절곡 구조는 수평판의 바깥쪽으로, 즉 벌어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중 절곡 구조에 의해 지지바(30)와의 체결 시 걸림 효과로 인해 지지바(30)와의 결합력이 증가할 수 있다.
지지채널(20)의 높이는 지지바(30) 중 스페이서 부재(32)의 높이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지지채널(20)과 지지바(30)가 결합된 후 전체적으로 평탄해야 하기 때문이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지지채널(20)에는 지지바(30)와 유사하게 복수의 지지대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지지대 체결공은 지지바(30)의 지지대 체결공(35)과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 또는 유사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바(30)와 마찬가지로, 지지채널(20)의 지지대 체결공의 둘레에는 지지바(30)와의 체결을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수단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바와 지지채널의 결합 사시도로서, 지지채널(20)은 지지바(30)의 스페이서 부재(32)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면서 지지바(30)의 홈(33)에 삽입될 수 있고, 지지채널(20)과 지지바(30)는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중 바닥 시스템의 사진으로, 경량 철골 소재로 이루어진 다수의 지지채널(20)과 지지바(30)가 격자 형태로 설치되고, 지지채널(20)과 지지바(30)의 각 교차점에는 지지대(40)가 설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바와 지지채널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진으로, 여기서 지지채널(20)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지지바(30)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지지채널(20)에는 복수의 지지대 체결공(큰 구멍)이 형성되고, 지지대 체결공의 둘레에는 복수의 체결수단 체결공(작은 구멍)이 형성되며, 나사못 또는 볼트로 지지채널(20)과 지지바(30)를 체결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지지채널과 지지바는 나사못 또는 볼트 등으로 체결되지 않고, 홈과 돌기에 의한 끼움 결합구조, 레일 형태의 슬라이딩 결합구조로 체결될 수도 있다.
또한,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지지채널과 지지바의 길이방향 중앙 부위는 강성 개선 등의 목적으로 아래쪽으로 함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대의 정면도이고, 도 8은 사시도로서, 이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대(40)는 크게 구분하여 방진구(41), 나사(42) 및 받침대(43)로 구성되고, 받침대(43)는 수평판(44), 나사 결합부재(45), 수직판(46), ㄴ자 절곡구조(47), 나사 홈(48)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방진구(41)는 슬라브 바닥과 접하는 부분으로 하부 받침대 역할을 하고, 또한 바닥에서 발생하는 충격량을 완충하는 기능을 한다. 방진구(41)는 바닥 충격음 저감을 위해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바닥 충격음 저감을 위해 하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사(42)는 불규칙한 슬라브를 흡수할 수 있도록 받침대(43)의 높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나사(42)는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사(42)는 방진구(41)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도 1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나사(42)의 헤드 부분이 방진구(41) 상부에 삽입될 수 있다. 나사(42)의 표면에는 길이(높이) 방향으로 다수의 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받침대(43)는 나사(42)와 결합하여 나사(42)의 회전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지바(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받침대(43)는 지지바(30)와 유사하게 단면이 대략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양측에 지지바(30)의 절곡구조를 수용하기 위해 형성되는 돌출된 절곡구조(47)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43)는 목재, 금속, 플라스틱, 세라믹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평판(44)은 지지바(30)의 수평판(31)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할 수 있다.
나사 결합부재(45)는 수평판(44)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수평판(44)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수평판(44)에 결합될 수 있다. 나사 결합부재(45)는 일종의 너트로서, 나사(42)와 나사 결합하여 받침대(43)의 높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나사 결합부재(45)는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내표면에는 나사(42)와의 나사 결합을 위한 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수직판(46)은 수평판(44)의 양단에서 하향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받침대(43)는 수평판(44)과 2개의 수직판(46)에 의해 그 단면이 대략 ┌┐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절곡구조(47)는 홈을 형성하여 지지바(30)의 절곡구조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절곡구조(47)는 수직판(46)의 하부 말단에서 바깥쪽 측면으로 연장되다가 상향 절곡되어 ㄴ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향 연장된 수직판(46)의 말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후, 다시 수직방향으로 한번 더 절곡됨으로써, ㄴ자 형태의 절곡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지지바(30)와의 결합력이 증가하고 지지바(30)와의 체결이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지지대(40)의 ㄴ자 절곡 구조(47)에는 걸림턱이 구비될 수 있다. 걸림턱은 예를 들어 ㄴ자 절곡 구조(47) 중 수직부재의 말단에서 안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곡 구조(47)에 걸림턱이 구비됨으로써, 지지바(30)와 지지대(40)의 체결 후 탈착이 방지될 수 있다.
나사 홈(48)은 나사(42)의 상면에 형성되어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를 통해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나사 홈(48)은 도시된 십자 형태 또는 일자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대와 지지바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대와 지지바의 결합 단면도로서, ┌┐자 형태의 경량철골 지지바(30)에 ┌┐자 형태의 지지대(40)가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함으로써, 바닥 전체 시스템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지지바(30)와 지지대(40)가 결합한 후에도, 지지바(30)에 천공된 지지대 체결공(35)을 통해 지지대(40)의 나사(42)가 관통하여 노출될 수 있고, 십자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나사(42)를 회전시켜 지지대(40)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바(30)의 중앙 부위 높이를 높여서 나사(42)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지지바(30)의 ┌┐자 구조 내부에 지지대(40)의 ┌┐자 구조가 삽입됨으로써, 지지바(30)와 지지대(40)는 높이방향으로 서로 겹쳐지며, 이에 따라 이중 바닥 시스템의 전체 높이를 대폭 낮출 수 있다. 또한, 지지바(30)의 ㄴ자 절곡 구조는 지지대(40)의 ㄴ자 절곡 구조(47)에 삽입됨으로써, 지지바(30)와 지지대(40)의 결합력이 증가하고 지지바(30)와 지지대(40)의 체결이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0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본 고안에서 지지바와 지지대가 결합한 상태에서 지지대 하단부터 지지바 상단까지의 높이는 52 내지 62 mm일 수 있다.
일반 습식구조는 완충재 20 mm + 기포 몰탈 40 mm + 마감 몰탈 40 mm로 구성되어 총 100 mm의 높이를 가진다. 또한, 유사한 이중 바닥 시스템의 경우 지지대 65 내지 75 mm + 상판재 35 mm + 난방 모듈판 10 mm로 구성되어 120 mm의 전체 시스템 높이를 가지면서 10 mm 가량의 불규칙한 슬라브면 흡수가 가능하였다.
본 고안에서는 경량 철골 장선(지지바)을 활용하여 내부에 지지대를 삽입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을 지지대 52 내지 62 mm + 상판재 35 mm + 모듈판 10 mm로 구성하여 97 mm의 전체 시스템 높이와 10 mm의 슬라브면 흡수 높이를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이중 바닥 전체 시스템의 높이를 현행 습식바닥 수준인 100 mm 이하로 구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이중 바닥 시스템은 바닥 슬라브의 평활도가 뛰어날 경우 하부의 지지대 없이 지지바를 설치하여 이중 바닥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대다수의 건설 현장의 슬라브 평활도를 고려하여 지지대를 통한 높낮이 구현 또한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이중 바닥 시스템을 설치할 경우, 먼저 방의 전면적에 지지바와 지지채널을 예를 들어 600 mm 간격으로 배치한 후, 볼트 등으로 지지바와 지지채널을 체결하여 일체화한 후, 테두리 부위부터 지지대를 활용하여 높이를 조절한다. 테두리 부위의 높이 조절이 완료되면, 경량 철골 본연의 강성으로 인해 지지되지 않는 부위도 일정 높이로 유지되므로, 나머지 부위는 바닥에 밀착되도록 지지대 높이를 조절한다. 이처럼 본 고안에 따른 이중 바닥 시스템의 시공성은 기존 이중 바닥 지지 시스템들이 개별적으로 지지대를 높이 조절하는 것에 비해 월등히 향상될 수 있다.
10: 상판재
20: 지지채널
30: 지지바
31: 수평판
32: 스페이서 부재
33: 홈
34: 수직판
35: 지지대 체결공
40: 지지대
41: 방진구
42: 나사
43: 받침대
44: 수평판
45: 나사 결합부재
46: 수직판
47: 절곡구조
48: 나사 홈

Claims (8)

  1. 상판재의 하부에서 상판재를 선 형태로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바;
    상기 상판재의 하부에서 상판재를 선 형태로 지지하고, 상기 지지바와 격자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채널; 및
    상기 지지바의 하부에서 지지바를 높이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바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양단에서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두 수직판으로 구성되는 ┌┐자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두 수직판의 안쪽으로 ㄴ자 형태로 연장되는 절곡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슬라브 바닥과 접하는 방진구, 상기 방진구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나사, 및 상기 나사와 결합하여 나사의 회전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지바를 지지하는 받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의 받침대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양단에서 하향 연장되어 형성되는 두 수직판으로 구성되는 ┌┐자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두 수직판의 바깥쪽으로 ㄴ자 형태로 연장되는 절곡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바의 ┌┐자 구조 내부에 상기 지지대의 ┌┐자 구조가 삽입되고, 상기 지지바의 ㄴ자 절곡 구조는 상기 지지대의 ㄴ자 절곡 구조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의 ┌┐자 구조는 상부보다 하부의 폭이 좁은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ㄴ자 절곡 구조에는 걸림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 및 지지채널은 각각 경량 철골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상기 수평판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상향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스페이서 부재, 및
    상기 스페이서 부재 사이에 형성되고 지지채널을 수용하는 복수의 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부재의 높이는 상기 지지채널의 높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 및 지지채널에는 체결수단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 및 지지채널에는 지지대의 나사가 관통 가능하도록 지지대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지지바와 지지대가 결합한 상태에서 지지대 하단부터 지지바 상단까지의 높이는 52 내지 62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바닥 시스템.
KR2020130006609U 2013-08-08 2013-08-08 이중 바닥 시스템 KR2004868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609U KR200486822Y1 (ko) 2013-08-08 2013-08-08 이중 바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609U KR200486822Y1 (ko) 2013-08-08 2013-08-08 이중 바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717U true KR20150000717U (ko) 2015-02-24
KR200486822Y1 KR200486822Y1 (ko) 2018-07-04

Family

ID=52579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609U KR200486822Y1 (ko) 2013-08-08 2013-08-08 이중 바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8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8040A (zh) * 2018-05-08 2018-09-11 北京蜀韵东方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架空地面结构及其施工工艺以及一种餐饮前厅地面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567U (ja) * 1991-09-30 1993-04-27 株式会社イトーキクレビオ 二重床の耐震装置
JPH10152972A (ja) * 1996-11-26 1998-06-09 Sanyo Kogyo Kk 床下地構造
JP2006152615A (ja) * 2004-11-26 2006-06-15 Takayama Metal Industrial Co Ltd 大引載架用鋼製束及びその装着方法
KR20100085000A (ko) * 2010-05-11 2010-07-28 주식회사 미래공간 마루바닥 하부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567U (ja) * 1991-09-30 1993-04-27 株式会社イトーキクレビオ 二重床の耐震装置
JPH10152972A (ja) * 1996-11-26 1998-06-09 Sanyo Kogyo Kk 床下地構造
JP2006152615A (ja) * 2004-11-26 2006-06-15 Takayama Metal Industrial Co Ltd 大引載架用鋼製束及びその装着方法
KR20100085000A (ko) * 2010-05-11 2010-07-28 주식회사 미래공간 마루바닥 하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8040A (zh) * 2018-05-08 2018-09-11 北京蜀韵东方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架空地面结构及其施工工艺以及一种餐饮前厅地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822Y1 (ko) 201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3017B1 (en) Rapid hanging curtain wall unit for a wall assembling structure
JP6348557B2 (ja) ガラス突き合わせ壁パネルのための可動式の解体可能な壁パネルシステムの設置方法
KR102285238B1 (ko) 건축물 내외장재 및 트러스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CN108589984A (zh) 一种装配式隔墙钢龙骨系统及装配方法
KR101310889B1 (ko) 건축용 외장패널의 연결구조
KR101759705B1 (ko) 커튼 박스
KR200486822Y1 (ko) 이중 바닥 시스템
CN204311616U (zh) 一种带自适应踢脚线的新型隔墙
CN205777624U (zh) 一种施工洞口、临边安全防护用的“e”形夹
JP5882267B2 (ja) 床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CN203475675U (zh) 一种结构简单的装饰吊顶组件
KR20140019182A (ko)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KR101846366B1 (ko) 조립식 데크 구조체
CN205077620U (zh) 一种拼装组合方便的活动板房
CN210947276U (zh) 一种装配式轻钢龙骨的隔墙地面找平安装结构
KR100637861B1 (ko) 발코니 슬래브 거푸집 수평 받침대와 이를 이용한 발코니슬래브 거푸집 구조
KR100704933B1 (ko) 내구성이 향상된 마루틀시스템
KR200345764Y1 (ko) 벽판넬 높이 조절장치
JP2005290708A (ja) 二重床構造及び床施工方法
CN210597828U (zh) 一种新型吊顶
WO2014089643A1 (en) Support and construction for facade panels in a curtain wall and curtain wall
CN204804136U (zh) 斜面扣板及复式吊顶中倾斜面的安装结构
JP6542521B2 (ja) 間仕切り装置におけるパネルの接合構造と、それを使用する間仕切り装置
CN218668177U (zh) 一种房梁支撑结构
CN210947295U (zh) 一种高强度可调式墙板固定地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