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664A - 가스차단기 - Google Patents

가스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664A
KR20150000664A KR1020130073037A KR20130073037A KR20150000664A KR 20150000664 A KR20150000664 A KR 20150000664A KR 1020130073037 A KR1020130073037 A KR 1020130073037A KR 20130073037 A KR20130073037 A KR 20130073037A KR 20150000664 A KR20150000664 A KR 20150000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ember
chamber
main
main contact
a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3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성연
이동훈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3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0664A/ko
Publication of KR20150000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6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33/12Auxiliary contacts on to which the arc is transferred from the main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7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76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wherein arc-extinguishing gas is evolved from stationary parts; Selection of material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7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88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Landscapes

  • Circuit Breakers (AREA)

Abstract

가스차단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제1주접점부재가 구비된 고정부; 상기 제1주접점부재가 접촉하는 제2주접점부재가 구비된 챔버; 및 상기 챔버에 충진된 절연가스를 압축하여 상기 고정부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주접점부재와 제2주접점부재가 분리되도록 하는 피스톤; 을 포함하며, 상기 제2주접점부재는 상기 챔버에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가 형성되지 않아도 상기 챔버에 연결되어 크기가 소형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차단기{GAS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구비되어 고장전류가 흐르는 경우 이를 차단하는 가스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접점부재에 연결부가 형성되지 않아도 주접점부재가 챔버에 연결되도록 하여 주접점부재를 소형화할 수 있는 가스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가스절연 개폐장치(도시되지 않음, GIS; Gas Insulated Switchgear)는 옥내외 발전소나 변전소에 사용되는 전력 개폐장치로서, 사용조건 하에서 정상 상태의 개폐뿐만 아니라 전력사고, 단락 등의 이상상태에 있어서도 선로를 안전하게 개폐함으로써 전력계통을 보호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스차단기(10, GCB; Gas Circuit Breaker), 단로기((도시되지 않음), DS: Disconnecting Switch), 보수용 접지개폐기(도시되지 않음, Earthing Switch) 및, 변류기(도시되지 않음, CT; Current Transformer) 등을 구비한다.
이중, 가스차단기(10)는 고장전류가 가스절연 개폐장치로 흐르는 경우 이를 차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가스차단기(1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 등의 도전체로 이루어진 고정부(20), 챔버(30) 및, 피스톤(40)으로 이루어진다. 고정부(20)는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부(2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단부에 제1주접점부재(21)가 구비되고 중앙에 제1아크접점부재(22)가 구비된다.
또한, 챔버(30)에는 연통구멍(35a)이 형성된 축부재(35)가 구비된다. 축부재(35)에는 단면적이 좁아졌다가 넓어져서 목부가 있는 이동유로(33a)가 형성된 주노즐(33)이 구비된다. 그리고, 주노즐(33)의 외주에는 제2주접점부재(31)가 구비되며 주노즐(33)의 이동유로(33a)의 내에는 보조노즐(34)이 구비되고 보조노즐(34) 내에는 제2아크접점부재(32)가 구비된다.
피스톤(40) 또한 가스절연 개폐장치에 고정된다. 그리고, 피스톤(40) 단부에는 챔버(30)의 개방된 단부가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챔버(30)는 이를 이동시키는 이동유닛(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전시에는 챔버(30)의 제2주접점부재(31)와 제2아크접점부재(32)가 고정부(20)의 제1주접점부재(21)와 제1아크접점부재(22)에 접촉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30)의 제2주접점부재(31)가 고정부(20)의 개방된 단부에 삽입되어 고정부(20)의 제1주접점부재(21)에 접촉된다. 그리고, 고정부(20)의 제1아크접점부재(22)는 주노즐(33)의 이동유로(33a)를 통과하여 그 단부가 챔버(30)의 제2아크접점부재(32)의 개방된 단부에 삽입되어 접촉된다.
가스절연 개폐장치는 밀폐되고 SF6(육불황화 가스) 등의 절연가스로 충진되어 있기 때문에, 가스차단기(10)의 챔버(30) 내부에도 절연가스로 충진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장전류 발생시에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유닛에 의해서 챔버(30)를 피스톤(40) 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챔버(30)의 이동에 따라 피스톤(40)에 의해서 챔버(30)에 충진된 절연가스가 압축된다.
이러한 피스톤(40)에 의한 절연가스의 압축에 의해서 챔버(30)에 충진된 절연가스가 주노즐(33)을 통해 고정부(20)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30)가 더 이동되어 챔버(30)의 제2주접점부재(31)와 제2아크접점부재(32)가 고정부(20)의 제1주접점부재(21)와 제1아크접점부재(22)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고장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플랜지 형상의 연결부(31a)에 의해서 챔버(30)의 제2주접점부재(31)가 챔버(30)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서, 제2주접점부재(31)의 연결부(31a)에는 볼트나 나사 등의 연결부재(B)가 통과하는 통과구멍(HP)이 형성된다. 또한, 챔버(30)에는 연결부재(B)가 결합되는 결합구멍(HC)이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부재(B)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결합구멍(HC)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B)가 제2주접점부재(31)의 통과구멍(HP)을 통과하여 챔버(30)의 결합구멍(HC)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제2주접점부재(31)가 챔버(30)에 연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제2주접점부재(31)의 연결을 위해서 제2주접점부재(31)에 연결부(31a)가 형성되어야 하므로, 제2주접점부재(31)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스차단기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가스차단기의 챔버에 연결되는 주접점부재에 연결부가 형성되지 않아도 챔버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가스차단기의 챔버에 연결되는 주접점부재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가스차단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주접점부재에 연결부가 형성되지 않아도 주접점부재가 챔버에 연결되도록 하여 주접점부재를 소형화할 수 있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가스차단기는 제1주접점부재가 구비된 고정부; 제1주접점부재가 접촉하는 제2주접점부재가 구비된 챔버; 및 챔버에 충진된 절연가스를 압축하여 고정부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제1주접점부재와 제2주접점부재가 분리되도록 하는 피스톤; 을 포함하며, 제2주접점부재는 챔버에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가 형성되지 않아도 챔버에 연결되어 크기가 소형화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챔버에는 연결부재가 통과하는 통과구멍이 형성되고 제2주접점부재에는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연결부재가 챔버의 내부로부터 통과구멍을 통과하여 결합구멍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주접점부재에는 연결부재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챔버에는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연결부재가 외부로부터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결합구멍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에는 제1아크접점부재가 더 구비되고, 챔버에는 제1아크접점부재가 접촉하는 제2아크점점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에는 충진된 절연가스가 이동되도록 이동유로가 형성된 주노즐이 더 구비되며, 제2주접점부재는 주노즐의 외주에 구비되고, 제1아크접점부재는 이동유로를 통과하여 제2아크접점부재에 접촉하고, 제1아크접점부재의 제2아크접점부재의 접촉시에 이동유로는 제1아크접점부재에 의해서 폐쇄되거나 제1아크접점부재와의 간극이 좁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아크접점부재의 단부가 제2아크접점부재의 개방된 단부에 삽입되어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은 고정되고 챔버가 이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스차단기의 챔버에 연결되는 주접점부재에 연결부가 형성되지 않아도 챔버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스차단기의 챔버에 연결되는 주접점부재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차단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I부분의 확대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차단기의 다른 실시예의 도2와 같은 확대도이다.
도4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차단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6은 종래의 가스차단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7은 도6의 J부분의 확대도이다.
도8과 도9는 종래의 가스차단기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가스차단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주접점부재에 연결부가 형성되지 않아도 주접점부재가 챔버에 연결되도록 하여 주접점부재를 소형화할 수 있는 것을 기초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차단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2는 도1의 I부분의 확대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차단기의 다른 실시예의 도2와 같은 확대도이고, 도4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차단기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스차단기(100)는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고정부(200), 챔버(300) 및, 피스톤(40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200)는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부(200)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차단기(100)가 구비되는 가스절연 개폐장치(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되게 구비될 수 있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고정부(200)에는 제1주접점부재(2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주접점부재(210)는 후술할 챔버(300)에 구비되는 제2주접점부재(310)에 접촉할 수 있다. 제1주접점부재(21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방된 고정부(2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챔버(300)의 제2주접점부재(310)가 개방된 고정부(200)의 일측에 삽입되어 고정부(200)의 제1주접점부재(210)가 챔버(300)의 제2주접점부재(310)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전기가 통전될 수 있다.
그러나, 고정부(200)의 제1주접점부재(210)가 챔버(300)의 제2주접점부재(310)에 접촉하여 전기가 통전되는 구성은 전술하고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고정부(200)에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아크접점부재(2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아크접점부재(220)는 후술할 챔버(300)에 구비되는 제2아크접점부재(320)에 접촉할 수 있다. 고정부(200)의 제1아크접점부재(22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고정부(200) 내부공간의 중앙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챔버(300)의 제2아크접점부재(320)에는 고정부(200)의 제1아크접점부재(220)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고정부(200)의 제1아크접점부재(220)가 챔버(300)의 제2아크접점부재(320)에 접촉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전기가 통전될 수 있다.
그러나, 고정부(200)의 제1아크접점부재(220)가 챔버(300)의 제2아크접점부재(320)에 접촉하여 전기가 통전되는 구성은 전술하고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챔버(300)에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전술한 고정부(200)의 제1주접점부재(210)가 접촉하는 제2주접점부재(31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주접점부재(310)는 종래와 같이 챔버(300)에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31a)가 형성되지 않아도 챔버(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챔버(300)에 제2주접점부재(310)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31a)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2주접점부재(310)의 크기가 소형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2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챔버(300)에는 볼트나 나사 등의 연결부재(B)가 통과하는 통과구멍(HP)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주접점부재(310)에는 연결부재(B)가 결합되는 결합구멍(HC)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B)가 챔버(300)의 내부로부터 통과구멍(HP)을 통과하여 제2주접점부재(310)의 결합구멍(HC)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B)와 결합구멍(HC)의 결합을 위해서 연결부재(B)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결합구멍(HC)에는 연결부재(B)의 수나사산이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주접점부재(310)에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볼트나 나사 등의 연결부재(B)가 관통하는 관통구멍(HP')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구멍(HP')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공이 될 수 있다. 또한, 챔버(300)에는 연결부재(B)가 결합되는 결합구멍(HC)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B)가 외부로부터 관통구멍(HP')을 관통하여 결합구멍(HC)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연결부재(B)와 결합구멍(HC)의 결합을 위해서 연결부재(B)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결합구멍(HC)에는 연결부재(B)의 수나사산이 나사결합되는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챔버(30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아크접점부재(3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챔버(300)의 제2아크접점부재(320)에는 고정부(200)의 제1아크접점부재(310)가 접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챔버(300)의 제2아크접점부재(320)는 고정부(200)의 제1아크접점부재(220)의 단부가 삽입되어 접촉할 수 있도록 그 단부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챔버(300)에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주노즐(3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주노즐(330)을 통해서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300)에 충진된 절연가스, 예컨대 SF6(육불화황) 등이 고정부(200)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의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300)의 제2주접점부재(310)와 제2아크접점부재(320)가 고정부(200)의 제1주접점부재(210)와 제1아크접점부재(310)로부터 분리되도록 챔버(300)가 이동될 수 있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주노즐(330)에는 이동유로(3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동유로(331)는 일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졌다가 넓어지는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주노즐(330)의 이동유로(331)는 도면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졌다가 넓어지는 형상일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이동유로(331)에는 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주노즐(330)의 이동유로(331)에 챔버(300)의 제2아크접점부재(320)가 삽입되고 고정부(200)의 제1아크접점부재(220)가 주노즐(330)의 이동유로(331)를 통과하여 그 단부가 챔버(300)의 제2아크접점부재(320)의 단부에 삽입되어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고정부(200)의 제1아크접점부재(220)의 챔버(300)의 제2아크접점부재(320)에의 접촉시에 주노즐(330)의 이동유로(331)는 제1아크접점부재(220)에 의해서 폐쇄되거나 제1아크접점부재(220)와의 간극이 좁게 될 수 있다. 즉, 제1아크접점부재(220)가 주노즐(330)의 이동유로(331)의 목부에 밀착되어 주노즐(330)의 이동유로(331)가 폐쇄되거나 제1아크접점부재(220)와의 간극이 이동유로(331)의 목부에서 좁게 될 수 있다.
주노즐(330)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챔버(300)에 구비되는 축부재(35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축부재(350)에는 주노즐(330)의 이동유로(331)와 챔버(300)의 내부공간을 연통시키는 연통구멍(351)이 형성될 수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300)의 이동, 즉 도면에서 보아 좌측에서 우측으로의 챔버(300)의 이동으로 피스톤(400)에 의해서 챔버(300) 내부에 충진된 절연가스가 압축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챔버(300)에 충진된 절연가스는 축부재(351)의 연통구멍(351)을 통과하여 주노즐(330)의 이동유로(331)를 통해 이동되려고 한다. 따라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300)가 더 이동되고, 이러한 챔버(300)의 이동에 의해서 챔버(300)의 제2주접점부재(310)와 제2아크접점부재(320)가 고정부(200)의 제1주접점부재(210)와 제1아크접점부재(3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고장전류가 흐르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피스톤(400)은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300)에 충진된 절연가스를 압축하여 고정부(200)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챔버(300)의 제2주접점부재(310)와 고정부(200)의 제1주접점부재(210)가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400)은 고정되고 챔버(300)가 이동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챔버(300)의 개방된 단부가 피스톤(400)의 단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피스톤(400)은 고정되고 챔버(300)는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챔버(300)는, 예컨대 이동유닛(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챔버(300)가 이동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챔버(300)가 이동되지 않고 피스톤(400)이 이동되어 챔버(300)에 충진된 절연가스가 압축되어 고정부(200)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챔버(300)의 제2주접점부재(310)와 고정부(200)의 제1주접점부재(210)가 먼저 분리되고 상대적으로 저항이 커서 아크에 강한 챔버(300)의 제2아크접점부재(320)와 고정부(200)의 제1아크접점부재(220)가 나중에 분리됨으로써 제1,2주접점부재(210,310)를 아크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챔버(300)의 제2아크접점부재(320)와 고정부(200)의 제1아크접점부재(220)의 분리시 발생되는 아크에 의해서 가열된 절연가스는 보조노즐(340)을 통해서 이동되어 챔버(300)의 고정부(200)로부터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스차단기를 사용하면, 가스차단기의 챔버에 연결되는 주접점부재에 연결부가 형성되지 않아도 챔버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가스차단기의 챔버에 연결되는 주접점부재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가스차단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100 : 가스차단기 20,200 : 고정부
21,210 : 제1주접점부재 22,220 : 제1아크접점부재
30,300 : 챔버 31a : 연결부
31,310 : 제2주접점부재 32,320 : 제2아크접점부재
33,330 : 주노즐 33a,331 : 이동유로
34,340 : 보조노즐 35,350 : 축부재
35a,351 : 연통구멍 40,400 : 피스톤
B : 연결부재 HP : 통과구멍
HC : 결합구멍 HP' : 관통구멍

Claims (7)

  1. 제1주접점부재가 구비된 고정부;
    상기 제1주접점부재가 접촉하는 제2주접점부재가 구비된 챔버; 및
    상기 챔버에 충진된 절연가스를 압축하여 상기 고정부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주접점부재와 제2주접점부재가 분리되도록 하는 피스톤; 을 포함하며,
    상기 제2주접점부재는 상기 챔버에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가 형성되지 않아도 상기 챔버에 연결되어 크기가 소형화될 수 있는 가스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에는 연결부재가 통과하는 통과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2주접점부재에는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챔버의 내부로부터 상기 통과구멍을 통과하여 상기 결합구멍에 결합되는 가스차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주접점부재에는 연결부재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챔버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외부로부터 상기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구멍에 결합되는 가스차단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제1아크접점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챔버에는 상기 제1아크접점부재가 접촉하는 제2아크점점부재가 더 구비되는 가스차단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에는 충진된 절연가스가 이동되도록 이동유로가 형성된 주노즐이 더 구비되며,
    상기 제2주접점부재는 상기 주노즐의 외주에 구비되고, 상기 제1아크접점부재는 상기 이동유로를 통과하여 상기 제2아크접점부재에 접촉하고,
    상기 제1아크접점부재의 상기 제2아크접점부재의 접촉시에 상기 이동유로는 상기 제1아크접점부재에 의해서 폐쇄되거나 상기 제1아크접점부재와의 간극이 좁게 되는 가스차단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크접점부재의 단부가 상기 제2아크접점부재의 개방된 단부에 삽입되어 접촉하는 가스차단기.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고정되고 상기 챔버가 이동되는 가스차단기.
KR1020130073037A 2013-06-25 2013-06-25 가스차단기 KR201500006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037A KR20150000664A (ko) 2013-06-25 2013-06-25 가스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037A KR20150000664A (ko) 2013-06-25 2013-06-25 가스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664A true KR20150000664A (ko) 2015-01-05

Family

ID=52474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3037A KR20150000664A (ko) 2013-06-25 2013-06-25 가스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06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73445A (zh) * 2018-07-12 2021-04-16 西门子能源全球有限公司 气体绝缘开关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73445A (zh) * 2018-07-12 2021-04-16 西门子能源全球有限公司 气体绝缘开关
US20210319966A1 (en) * 2018-07-12 2021-10-14 Siemens Aktiengesellschaft Gas-insulated switch
US11676785B2 (en) * 2018-07-12 2023-06-13 Siemens Energy Global GmbH & Co. KG Gas-insulated switch
CN112673445B (zh) * 2018-07-12 2024-04-05 西门子能源全球有限公司 气体绝缘开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76175B (zh) 一种高压双断口断路器
CN104025234B (zh) 用于针对由切换电弧所产生的粒子的防护装置
CN104576176A (zh) 一种灭弧室串联结构的断路器
CN104835679A (zh) 具有长度减少的固定部件的气体绝缘开关设备的断路器
US7986061B2 (en) Electrical switching device
KR101635418B1 (ko) 가스절연 차단기
KR101972872B1 (ko) 아크 에너지 활용율을 향상시킨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차단기
CN104064397A (zh) 腰支旋转式均压带接地屏蔽高压真空灭弧室固封极柱
KR20150000664A (ko) 가스차단기
CN106571264B (zh) 一种固体绝缘断路器
KR100888541B1 (ko) 에폭시 몰딩 절연형 지중 배선용 개폐기 및 차단기의개폐차단부
CN203895353U (zh) 一种具有插入式接地工位的三工位真空灭弧室
CN103117189B (zh) 一种固封极柱及固体绝缘环网柜
KR101605142B1 (ko) 가스절연 차단기
CN114899059A (zh) 开断装置、断路器及电气设备
CN105957768A (zh) 一种新型六氟化硫断路器
CN202120805U (zh) 柜式气体绝缘开关装置
CN217691037U (zh) 开断装置、断路器及电气设备
CN104037012A (zh) 一种具有插入式接地工位的三工位真空灭弧室
CN103165337B (zh) 断路器及其绝缘方法
KR101697627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가스차단기
CN108695122A (zh) 电路断路器
KR101438870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가스절연 개폐장치
CN201311870Y (zh) 真空断路器
US20240072522A1 (en) Compressed gas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