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598U - 교체형 스파이크가 형성된 건강 신발 - Google Patents

교체형 스파이크가 형성된 건강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598U
KR20150000598U KR2020140000259U KR20140000259U KR20150000598U KR 20150000598 U KR20150000598 U KR 20150000598U KR 2020140000259 U KR2020140000259 U KR 2020140000259U KR 20140000259 U KR20140000259 U KR 20140000259U KR 20150000598 U KR20150000598 U KR 201500005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ke
shoe
sole
replaceable
predetermined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02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진구
Original Assignee
노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진구 filed Critical 노진구
Publication of KR201500005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59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4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 A43B13/26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projecting beyond the sole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0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 A43B7/08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 A43B7/08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ventilated with air-holes, with or without closures the air being expelled to the outsid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5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 A43B7/14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with special properties provided with acupressure points or means for foot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16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 A43C15/161Studs or cleats for football or like boots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to the so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끄럼 방지를 가능하게 하면서 보행 또는 러닝 시에 발의 편안함을 가져다주며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해주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제1 형태는 특히 신발의 전반부에만 탈착이 가능한 교체형 스파이크가 소정 높이 이상 돌출 형성됨으로서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지며, 신발의 중반부 부분과 후반부에 스파이크가 소정 높이 이상 돌출 형성되어 있지 않아서 보행 시에 불편함이 없고 신발의 전반부 바닥창에 깊은 홈이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신발의 전반부가 격자형태의 홈에 따라 유연하게 휘어지도록 구성되어 지면의 굴곡 및 발가락 관절의 움직임에 따라 탈착 가능한 교체형 스파이크가 장착된 영역 각각의 부분이 굴곡진 지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편안함과 안정감을 동시에 제공하며 신발 전반부의 교체형 스파이크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또는 신발 전체에 지압돌기를 형성하고 신발 속 공기를 정화하는 통풍구, 에어펌프를 가지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제2 형태는 상기 제1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면서 신발 밑창에 형성된 스파이크의 배치에만 차이점을 가진다. 신발의 후반부에만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된 탈착 가능한 교체형 스파이크 형성됨으로서 점프 또는 착지와 같은 형태의 동작에서 미끄럼 방지와 더불어 충격을 완화해 주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신발의 후반부에만 탈착이 가능한 교체형 스파이크가 설치되고 신발의 전반부 및 중반부에는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된 스파이크가 부재하도록 구성되어서 러닝과 같은 동작 시에 발 앞꿈치를 주로 이용하는 경우 지면과 스파이크로 인해 발생하는 발바닥의 이물감이 없도록 하여 편안한 착화감 및 전진 동작 시 추진력을 증진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교체형 스파이크가 형성된 건강 신발{(health shoes having replaceable spike)}
본 고안은 미끄럼 방지를 가능하게 하면서 보행 또는 러닝 시에 발의 편안함을 가져다주며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해주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제1 형태는 특히 신발의 전반부에만 탈착이 가능한 교체형 스파이크가 소정 높이 이상 돌출 형성됨으로서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지며, 신발의 중반부 부분과 후반부에 스파이크가 소정 높이 이상 돌출 형성되어 있지 않아서 보행 시에 불편함이 없고 신발의 전반부 바닥창에 깊은 홈이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신발의 전반부가 격자형태의 홈에 따라 유연하게 휘어지도록 구성되어 지면의 굴곡 및 발가락 관절의 움직임에 따라 탈착 가능한 교체형 스파이크가 장착된 영역 각각의 부분이 굴곡진 지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편안함과 안정감을 동시에 제공하며 신발 전반부의 교체형 스파이크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또는 신발 전체에 지압돌기를 형성하고 신발 속 공기를 정화하는 통풍구, 에어펌프를 가지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제2 형태는 상기 제1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면서 신발 밑창에 형성된 스파이크의 배치에만 차이점을 가진다. 신발의 후반부에만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된 탈착 가능한 교체형 스파이크 형성됨으로서 점프 또는 착지와 같은 형태의 동작에서 미끄럼 방지와 더불어 충격을 완화해 주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신발의 후반부에만 탈착이 가능한 교체형 스파이크가 설치되고 신발의 전반부 및 중반부에는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된 스파이크가 부재하도록 구성되어서 러닝과 같은 동작 시에 발 앞꿈치를 주로 이용하는 경우 지면과 스파이크로 인해 발생하는 발바닥의 이물감이 없도록 하여 편안한 착화감 및 전진 동작 시 추진력을 증진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골프화를 포함하는 미끄럼 방지 신발은 바닥 전체에 교체형 스파이크가 형성되어 있거나, 밑창과 일체로 형성된 주물구조의 스파이크 창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스파이크가 밑창 전체에 교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신발은 미끄럼 방지에는 유용하나 일반 보행, 등산을 할 때에 밑창 전체에 형성된 스파이크로 인하여 바닥과 마찰이 심해지고, 사람의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이 커져서 이물감 및 불편함을 야기하게 된다. 또한, 스파이크가 밑창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신발은 스파이크의 마모가 쉽게 발생하여 그 기능을 다했을 경우 스파이크를 교체할 수 없기 때문에 신발 전체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특별히 등산화에 미끄럼 방지 아이젠을 탈착하는 기술이 개발되었고, 탈착 가능한 아이젠은 신발의 중간 부분 또는 뒷부분에 장착되어 한겨울 눈이 와 바닥이 미끄러울 때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고, 그 외의 상황에서는 아이젠 없이 신발을 사용하여 보행을 편하게 한다[참고: 등록실용신안 20-0248621]. 또 다른 기술 중 하나는 신발에 형성되어 있는 돌림스위치를 통해 밑창에 아이젠을 숨기는 기능이 형성된 신발이다. 미끄러울 때는 숨겨져 있던 아이젠을 밖으로 돌출시키고, 일반적인 보행 시에는 아이젠을 밑창 내부로 숨기는 것이 가능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참고: 등록특허 10-0589718]. 하지만 지금까지의 미끄럼 방지 신발은 바닥이 미끄러울 때 혹은 미끄럽지 않을 때에 따라 장치를 따로 부착하거나 탈착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숨김 기능이 있는 장치는 스위치 고장 등으로 인해 그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뿐더러 제작 과정과 밑창의 구조가 복잡하여 신발 가격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서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농구화를 포함하는 충격완화 신발은 바닥 전체 또는 일부에 에어층 또는 스프링층을 가지는 창으로 구성된다[참고: 등록실용 20-0330641]. 그러나 이러한 에어층 또는 스프링층이 일체로 형성된 아웃솔은 과도한 충격이 가해지면 에어층 또는 스프링층에 손상이 발생해 충격완화의 기능이 소멸하게 된다. 완충부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손상된 완충부의 교체가 불가능해 신발 전체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을 가진다.
또한 일반적인 신발의 밑창은 바닥과의 잦은 마찰로 인해 쉽게 마모가 되기 때문에 견고하고 단단한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사람의 발은 입체적으로 형성되어 지면과 맞닿을 때마다 지면의 형태에 따라 발바닥 및 발가락 관절이 움직여 평상시와 다른 형태의 입체적인 모양을 형성하게 되지만, 신발의 밑창은 견고하고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입체적인 사람의 발바닥 모양에 맞게 그 신발의 밑창 형태가 변형되기 힘들어 입체적인 형태의 발바닥에 무리를 주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발에 지압의 효과를 가져다주는 지압돌기가 형성된 신발은 단순히 지압돌기의 크기 및 배치를 통해 발바닥에 압력을 가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효율적으로 지압을 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지압 및 스파이크로 인해 발생하는 압력으로 신발 내부의 땀이 원활히 배출되지 못하는 단점 또한 가진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제1 형태는 사람의 발가락 관절에 대응하는 밑창의 전반부에만 교체형 스파이크를 소정 높이 이상으로 돌출 형성하는 것이다. 등산이나 골프와 같은 바닥과의 마찰을 필요로 하는 움직임 또는 빙판길을 종종걸음으로 가는 동작에선 사람의 무게중심이 발바닥 전반부에 실리게 되어 밑창의 전반부에 형성된 교체형 스파이크로 용이하게 마찰력을 가하면서도, 일반적인 보행 시에는 발바닥 중반부 및 후반부에 사람의 무게중심이 가해지고, 밑창의 중반부 및 후반부에는 스파이크가 돌출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보행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지면의 상태나 운동 상황에 따라 미끄럼 방지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발바닥에 편안함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탈착 가능한 교체형 스파이크를 장착하였기 때문에, 스파이크가 마찰 등에 의한 손상이 발생할 경우 다른 새 스파이크로 교체가 가능하여, 신발의 기능이 다할 때 까지 스파이크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신발의 밑창 전반부에 대응하는 발바닥의 관절부분은 발가락 관절로서 바닥의 상태 및 운동의 상황에 따라 관절의 움직임을 통해 발바닥의 입체적인 형태가 쉽게 변하게 되고, 이러한 형태의 변화에도 편안함을 보장하기 위해 신발의 밑바닥 전반부에는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깊은 홈이 형성되어 사람의 움직임에 따라 발바닥의 형태가 변형될 때, 발바닥의 형태와 함께 유연하게 휘어져 변형이 가능한 밑창을 통해 발바닥에 편안함을 가져다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지면의 형태와 발바닥 관절의 움직임 형태에 따라, 발바닥 전반부에 대응하는 밑창의 부분 부분과 지면이 맞닿는 각도는 밑창의 각 부분에 따라 달리 형성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굴곡진 지면이 교체형 스파이크 각각에 대응되는 입체적인 발바닥 앞의 각 부분과 평행하게 맞닿을 수 있도록 교체형 스파이크가 형성된 밑창이 쉽게 휘어지도록 각각의 교체형 스파이크 주위에 깊은 홈이 형성되어 마찰력과 보행의 편안함을 동시에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제2 형태로서 안출된 것으로서 밑창의 후반부에만 교체형 스파이크를 일정 높이 이상 돌출 형성하는 것이다. 점프와 같은 동작에서 바닥에 충격을 발생하는 움직임에서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은 뒷꿈치에 몰리게 되고, 달리기 동작의 경우에는 발바닥 전반부에 무게중심이 쏠리게 된다. 또한 일반 보행 시에는 발바닥의 중반부와 후반부가 지면과 접촉해 추진력을 얻게 된다. 따라서 점프 및 착지의 동작에서 충격을 완화하고 미끄럼방지를 통해 안전한 안착을 위해 발바닥 후반부에 교체형 스파이크를 장착하여 스파이크를 통한 충격 완화 및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가지며, 발바닥 전반부와 중반부에 돌출 형성된 교체형 스파이크의 부재로 발 앞꿈치를 많이 이용하는 러닝동작 시 스파이크의 부재로 인해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는 기능이 있다. 또한 일반 보행 시에 후반부에 형성된 스파이크를 통해 효율적인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운동 상황에 따라 충격 완화, 미끄럼 방지, 추진력 증진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발바닥에 편안함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신발 밑창에 존재하는 스파이크로 인해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을 이용해 스파이크 상부의 인솔에 지압돌기를 형성시켜, 미끄럼 방지 효과와 더불어 지압을 효율적으로 인가해 주는 목적이 있다.
또한 스파이크로 인한 미끄럼 방지 동작 및/또는 지압동작에 의해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한 땀이 신발 내부의 공기를 탁하고 습하게 하게 될 경우, 인솔 또는 인솔 상부에 형성된 깔창에 통기구를 설치하여 에어펌프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고 탁한 공기를 배출해 신발 내부 환경을 청결하게 하는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교체형 스파이크가 형성된 신발은 저면이 지면에 접촉하는 밑창과, 상기 바닥부를 가지는 밑창의 상면에 적층되는 한 개 이상의 창이 형성되고, 이 창은 발바닥과 접촉되는 안창을 포함하는 중창을 가지며, 상기 바닥부 또는 중창에 연결되어 발등을 보호하는 갑피부로 구성되고, 상기 밑창은 사람의 발바닥의 발가락 관절과 대응하는 위치인 밑창의 전반부에만 탈착 가능한 교체형 스파이크가 소정 높이 이상 돌출 형성되어 본 고안의 제1형태가 구성된다. 본 고안의 제2 형태는 상기 제1 형태의 신발의 밑창 구조에서만 차이를 가지며, 밑창의 후반부에만 탈착 가능한 교체형 스파이크가 소정 높이 이상 돌출 형성된다.
제1형태의 경우, 상기 밑창의 중반부 및 후반부는 사람의 발바닥의 발가락 관절 뒷부분과 맞닿는 부분으로 소정 높이 이상 돌출 형성된 교체형 스파이크가 부재하도록 구성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밑창의 전반부, 중반부 및 후반부에는 신발 밑창하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된 교체가 불가능한 스파이크, 교체가 불가능한 스파이크 대체부가 형성될 수 있고, 소정 높이 이하로 돌출되거나 소정 높이 이하로 함몰 형성된 탈착이 가능한 교체형 스파이크 및/또는 탈착이 가능한 교체형 스파이크 대체부가 장착될 수 있어서, 보행 시 지면과 신발 밑창사이의 압력 또는 마찰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본 고안의 목적과 부합하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구성 된다.
제2 형태의 경우, 밑창의 전반부 및 중반부에는 교체형 스파이크가 소정 높이 이상 돌출 형성된 교체형 스파이크가 부재하도록 형성된다.또한 제1 형태의 경우와 유사하게, 필요에 따라 밑창의 전체 영역에 걸쳐 신발 밑창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된 교체가 불가능한 스파이크, 교체가 불가능한 스파이크 대체부가 형성될 수 있고, 소정 높이 이하로 돌출되거나 소정 높이 이하로 함몰 형성된 탈착이 가능한 교체형 스파이크 및/또는 탈착이 가능한 교체형 스파이크 대체부가 장착될 수 있어서, 러닝 시 지면과 신발 밑창사이에서 스파이크로 인한 압력 또는 마찰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본 고안의 목적과 부합하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구성 된다.
또한, 교체형 스파이크가 형성된 밑창의 전반부에는 교체형 스파이크 각각의 주변에 홈이 형성되어 교체형 스파이크가 형성된 밑창과 지면이 만나는 각도에 따라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다.
여기서,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하는 홈은 밑창의 전반부에만 형성되어 있고, 밑창의 후반부에는 형성되지 않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교체형 스파이크 상부층에 건강 물질부를 장착하여 스파이크와 지면사이의 마찰 및 압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발바닥의 혈류 작용을 원활하게 하는 옥, 게르마늄, 황토, 세라믹 등의 물질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교체형 스파이크 상부의 인솔위에 지압돌기를 형성시켜, 교체형 스파이크와 지면사이의 1차 압력이 스파이크 상부의 지압돌기에 2차 압력을 가해주어 효율적으로 발바닥에 지압의 효과를 국부적으로 가해주도록 구성된다.
또한 바닥과의 마찰력과 압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탁하고 습한 공기를 신선한 공기로 교환해 주도록 인솔 상부에 통풍구를 배치시키고 통풍구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고 및/또는 탁한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에어로와 에어펌프를 장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교체형 스파이크가 형성된 신발은 제1 형태의 경우, 사람의 발바닥의 발가락 관절 부위에 대응하는 밑창의 전반부에만 소정 높이 이상 돌출되도록 탈착 가능한 교체형 스파이크가 형성되어 있어서, 미끄럼 방지가 필요한 동작에서 발가락에 순간적으로 무게중심이 가해지게 되고, 이러한 무게중심을 통해 지면과 마찰력을 최대화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2 형태의 경우 후반부에만 소정 높이 이상 돌출되도록 탈착 가능한 교체형 스파이크가 형성되어 있어서, 점프 또는 착지 동작에서 발 뒷꿈치에 무게중심 및/또는 충격이 가해지게 되고, 후반부에 설치된 스파이크가 충격을 완화하는 작용을 하며, 후반부에 가해지는 무게중심과 맞물려 스파이크를 통한 마찰력을 증가시켜 미끄럼 방지 기능이 수행된다. 또한 보행 동작 시 후반부에 설치된 스파이크가 지면과 마찰력을 증가시켜 추진력을 향상시키는 부가적인 기능도 수행한다.
또한, 일체형 스파이크의 경우 잦은 바닥면과의 마찰로 쉽게 마모되어 기능을 다하게 되나, 교체형 스파이크의 경우 마찰로 인해 손상된 스파이크는 저렴한 가격의 새로운 스파이크로 교체가 가능하여 신발의 사용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 형태의 경우, 보행 시 신발의 전반부가 살짝 들리고 신발의 중반부 및 후반부에 무게중심이 가해지는 상황이 주로 발생하게 되므로, 밑창의 전반부에만 형성된 교체형 스파이크는 보행 시와 같은 상태에서 바닥과의 마찰이 최소화되는 위치에 장착되어 교체형 스파이크의 형성으로 인한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하고 신발 후반부에는 스파이크와 지면사이의 마찰력 및 압력을 부재 및/또는 최소화해 발바닥에 편안함을 주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밑창의 전반부에 형성된 교체형 스파이크 주위로 밑창이 유연하게 휘어지도록 구성된 홈은 미끄럼방지가 필요한 동작이나 지면의 상황에 따라 발가락 관절이 움직일 때, 교체형 스파이크가 형성된 바닥부와 지면의 굴곡진 면 사이에 최대의 마찰력을 가져오도록 스파이크 각각이 지면의 부분과 맞닿는 면이 모두 굴곡진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미끄럼 방지를 최대화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교체형 스파이크가 장착된 밑창의 상층부에 건강물질부가 장착되어 지압으로 인해 발생하는 발바닥에 혈류 작용을 증진시킨다.
또한 교체형 스파이크가 장착된 밑창의 상부에 장착되는 인솔의 상부에 일정 영역 또는 전 영역에 걸쳐 지압돌기가 형성되어, 교체형 스파이크와 지면사이에 발생하는 국부적인 1차 압력이 교체형 스파이크가 형성되는 밑창에 국부적으로 2차 압력을 가해주며, 밑창의 상부에 형성되는 인솔 위 지압돌기에 3차 압력을 국부적으로 인가할 수 있는 효율적인 지압 제공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교체형 스파이크, 건강물질부, 지압돌기등과 같은 물질의 존재로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의 증가로 신발 내부에 땀으로 인한 습기 및 열기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도록 인솔의 상부에 통기구가 설치되며 통기구를 통해 신발 내부에 신선한 공기를 제공하거나 습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통기구는 에어로를 거쳐 1개 이상의 에어펌프를 통해 신발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신선한 공기를 충진하거나 내부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제1 형태의 신발의 전반부에만 교체형 스파이크가 형성된 바닥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제1 형태의 신발의 교체형 스파이크 각각의 주변부에 형성된 홈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제1 형태의 신발에 형성된 홈을 따라서 휘어지는 밑창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제2 형태의 신발의 후반부에만 교체형 스파이크가 형성된 바닥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제2 형태의 신발의 후반부에만 교체형 스파이크가 다수개 형성된 바닥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제2 형태의 신발의 후반부에만 다른 형태의 교체형 스파이크가 형성된 바닥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제1 형태의 신발의 전반부에만 교체형 스파이크가 소정 높이 이상 형성되고, 중반부 및 후반부에 걸쳐 소정 높이 이하 형성된 스파이크, 소정 높이로 함몰된 스파이크, 스파이크 대체부가 설치되는 것을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제2 형태의 신발의 후반부에만 교체형 스파이크가 소정 높이 이상 형성되고, 중반부 및 전반부에 걸쳐 소정 높이 이하 형성된 스파이크, 소정 높이로 함몰된 스파이크, 스파이크 대체부가 설치되는 것을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신발의 인솔 상부에 형성된 지압돌기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신발의 인솔 내부에 형성된 건강물질부가 바닥부의 전반부에만 형성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신발의 인솔 내부에 형성된 건강물질부가 바닥부 전체에 형성된 도면이다.
도 12은 본 고안에 의한 신발의 인솔 상부에 발가락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지압돌기를 보인 도면이다.
도 13은 본 고안에 의한 신발의 인솔 상부에 형성된 지압돌기 주위에 배치되는 통기구를 보인 도면이다.
도 14은 본 고안에 의한 신발의 인솔에 형성된 통기구 주위로 에어로가 연결되어 있고, 에어로를 통해 인솔의 중앙측면에 형성된 에어펌프를 통해 공기가 유통되는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15은 본 고안에 의한 신발의 인솔에 형성된 다수의 통기구 주위로 에어로가 연결되어 있고, 에어로를 통해 인솔의 앞부분 중간부분 뒷부분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에어펌프를 통해 공기가 유통되는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16은 본 고안에 의한 신발에 형성된 교체형 스파이크, 스파이크가 장착되기 위한 홈을 가지는 아웃솔, 아웃솔 상부에 지압돌기가 형성된 인솔의 적층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교체형 스파이크가 형성된 신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서 본 고안에 의한 신발의 제1 형태로서 바닥부 전반부에만 부분적으로 교체형 스파이크가 소정 높이 이상 돌출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며, 중반부 및 후반부에는 교체형 스파이크가 부재하도록 구성된다.
도 2 및 도3에서 본 고안에 의한 신발의 교체형 스파이크 각각의 주변부에 형성된 홈을 통해 교체형 스파이크 주변부 각각이 지면의 굴곡에 따라 유연하게 휘어져 마찰력을 증진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4에서 본 고안에 의한 신발의 제2 형태로서 바닥부 후반부에만 부분적으로 교체형 스파이크가 소정 높이 이상 돌출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며, 중반부 및 전반부에는 교체형 스파이크가 부재하도록 구성된다.
도 5에서 본 고안에 의한 신발의 제2 형태로서 바닥부 후반부에만 부분적으로 교체형 스파이크가 소정 높이 이상 다수개 돌출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며, 중반부 및 전반부에는 교체형 스파이크가 부재하도록 구성된다.
도 6에서 본 고안에 의한 신발의 제2 형태로서 바닥부 후반부에만 부분적으로 다른 형태의 교체형 스파이크가 소정 높이 이상 돌출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며, 중반부 및 전반부에는 교체형 스파이크가 부재하도록 구성된다.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제1 형태의 신발의 전반부에만 교체형 스파이크가 소정 높이 이상 형성되고, 중반부 및 후반부에 걸쳐 소정 높이 이하 형성된 스파이크, 소정 높이로 함몰된 스파이크, 스파이크 대체부가 설치되는 것을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제2 형태의 신발의 후반부에만 교체형 스파이크가 소정 높이 이상 형성되고, 중반부 및 전반부에 걸쳐 소정 높이 이하 형성된 스파이크, 소정 높이로 함몰된 스파이크, 스파이크 대체부가 설치되는 것을 보인 도면이다.
도 9에서 교체형 스파이크가 형성된 부분과 대응되도록 인솔 상부의 전반부에만 부분적으로 지압돌기가 형성된다.
도 10 및 도 11은 인솔 내부에 형성된 건강물질부가 전반부 및 바닥 전체에 형성된 도면이다.
도 12에서 인솔 상부에 발가락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지압돌기가 형성된다.
도 13에서 인솔의 앞부분에 형성된 지압돌기 주위에 배치되어 공기가 유통하는 통기구를 보여준다.
도 14에서 통기구가 에어로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에어로는 인솔의 중앙측면에 형성된 에어펌프와 연결되어 공기가 유통되는 구성을 보인다.
도 15에서 인솔에 형성된 다수의 통기구가 각각 에어로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다수의 통기구 무리들은 에어로를 통해 인솔의 전반부, 중반부, 후반부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에어펌프를 거쳐 공기가 유통되는 구성을 보여준다.
도 16에서 교체형 스파이크 또는 스파이크 대체부가 장착되기 위한 홈을 가지는 아웃솔 및 아웃솔 상부에 지압돌기가 형성된 인솔의 적층 구조를 통해 지면과 신발 사이의 압력 및 마찰력이 스파이크를 거쳐 아웃솔에 전달되고, 아웃솔에 전달된 압력은 상부의 지압돌기에 전달되어, 국부적인 압력의 효율적 전달을 통해 지압기능을 발생시키는 구성을 보인다.
본 고안에 의한 교체형 스파이크가 형성된 신발은 바닥부(100)와, 상기 바닥부(100)의 앞부분에 형성된 교체형 스파이크(110)가 1개 이상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교체형 스파이크(110)가 설치되는 위치는 사람의 발가락 끝에서 발가락관절부의 시작부분으로 전체 밑창 길이의 2/5 지점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4지점에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교체형 스파이크는 지면과 밑창이 접하는 표면에 형성된 홈에 결합 장착될 수 있다. 스파이크의 개수는 1개 이상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2~4개의 스파이크가 형성된다. 교체형 스파이크의 종류는 교체형 골프 스파이크를 포함하여, 미끄럼방지용 스파이크, 스파이크형 아이젠, 징, 축구화용 스파이크, 야광 스파이크, 스파이크 대체부 등 교체가 가능한 스파이크를 요구한다. 스파이크의 소재는 우레탄 계열, 금속, 듀라맥스, 플라스틱, 폴리합성계열, 그 밖의 스파이크에 이용되는 모든 소재를 포함한다. 업계에서 대표적으로 알려진 부틸스파이크를 포함하여 부드러운 소프트 재질, 마모에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 미끄럼 방지에 적합한 재질 등의 특징을 가지는 등 그 종류 및 재질의 범위에 한정됨이 없다. 또한, 신발의 종류는 등산화, 골프화, 러닝화, 트래킹화, 워킹화, 신사화, 구두, 레져화, 축구화, 농구화, 테니스화, 슬리퍼, 센달, 캐쥬얼화, 아쿠아슈즈 등의 신발 종류를 포함한다. 바닥부(100)를 포함하는 신발 밑창 위에는 1개 이상의 층을 가지는 중창(200)이 구비 되며, 중창(200)은 사람의 발과 접촉되는 부위인 안창(300)을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중창(200)은 안창(300)과 동일한 창이 될 수 있다. 밑창 위에 적층된 안창(300)을 포함하는 중창(200)의 상부에 사람의 발등을 보호하는 갑피부가(400) 적층되며, 갑피부(400)는 발목을 제외하고 발 윗부분을 전부 덮을 수 있으며, 슬피퍼나 샌들과 같이 발등의 일부분만을 덮을 수 있다.
한편, 고안의 제1형태로서, 밑창의 바닥부(100)의 전반부에는 발가락 관절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게 홈(500)이 형성된다. 홈(500)의 형태는 격자형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교체형 스파이크가 형성된 주위를 두르는 직선형, 유선형으로 형성되며, 사각형, 마름모, 사다리꼴 등의 다각형 형태 또는 타원형, 원형 등과 같은 닫힘꼴 형태로 구획되어 진다. 홈이 형성되는 부위는 사람의 발가락 끝에서 발가락관절부의 시작부분으로 전체 밑창 길이의 2/5 지점 이내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4지점 이내에서 형성된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 바닥의 전반부에 구애받지 않고 바닥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고안의 제1형태의 가장 큰 특징은 상기 밑창의 전반부에만 교체형 스파이크(110)가 소정 높이 이상 돌출 형성되고, 밑창의 중반분 및 후반부에는 교체형 스파이크(110)가 상기 소정 높이 이상 설치되지 말아야 하며, 밑창 전체에 걸쳐 일체형으로 형성된 미끄럼 방지 홈, 혹은 디자인적 요소를 가미한 홈으로 형성된 문양, 교체가 불가능한 밑창에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스파이크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전반부, 중반부, 후반부 중 어느 한곳 이상에는 상기 소정 높이 보다 낮은 높이 이하로 돌출된 교체형 스파이크(120) 및 또는 일체형 스파이크가 형성되거나, 밑창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몰되어 형성되는 교체형 스파이크(130) 및/또는 일체형 스파이크가 선택적으로 형성되어, 이렇게 필요에 따라 형성된 스파이크(120, 130)와 지면사이에 발생하는 압력 및 마찰력이 전반부에 소정 높이 이상 형성된 교체형 스파이크(110)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 및 마찰력보다 작도록 설계되어서 발바닥에 발생하는 이물감을 최소화 하도록 한다. 상기 소정 높이 이상 돌출형성된 교체형 스파이크(110)는 2mm이상 밑창 바닥에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소정 높이 보다 낮은 높이 미만으로 돌출된 교체형 스파이크(120)는 밑창 바닥으로부터 2mm미만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신발구조는 앞꿈치가 살짝 들려 있어서 평상시에 걸을 때에는 앞꿈치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스파이크가 형성되어도 움직임에 불편함이 없으나, 넘어지거나 무게중심을 낮추는 자세, 혹은 안정적인 자세를 요하는 골프나 등산 등과 같은 운동을 할 때에는 앞꿈치에 무게중심이 실리기 때문에 앞꿈치에 스파이크가 달리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균형 잡힌 자세를 쉽게 유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반부에만 형성된 스파이크를 가지는 신발은 일반 보행 시에 발바닥에 압력을 가하지 않는 구조이나, 특별히 개개인의 보행 형태에 따라서 느껴지는 압력이 다르므로, 이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교체형 스파이크와 밑창과의 연결 부위는 탄성을 가지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구조는 스프링, 고무, 합성 탄성재 등 탄성의 성질을 가지는 모든 재료 및 구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탄성기능을 가지는 스파이크 연결부는 보행형태에 따라 신발 전반부의 교체형 스파이크로 인한 발가락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 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교체형 스파이크는 신발 착용자의 운동 종류에 따라 교체되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골프운동 시, 골프에 적합한 골프용 스파이크로 교체 설치하고, 등산 시에는 등산에 적합한 형태와 재질로 형성된 골프 스파이크 또는 등산용 스파이크를 교체 설치하도록 하여, 운동 형태에 관계없이 착용 가능한 다목적 신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교체용 스파이크의 부착 방법은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나사결합, 트리락 결합, 큐락 결합, 원터치 결합 등의 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스파이크를 교체할 수 있는 모든 결합 구조가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상기 바닥부의 중반부와 후반부에는 지면방향으로 돌출된 교체형 스파이크가 부재하도록 형성시켜 바닥과 스파이크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 및 압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특별히 중반부와 후반부를 포함하여 바닥의 일정 부분에 마찰력 및 압력이 최소화되는 범위 안에서 상기 중반부, 후반부, 전반부 중 어느 한곳 이상에 밑창 속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홈 속에 교체형 스파이크 또는 스파이크 대체부가 설치되어, 교체형 스파이크 또는 스파이크 대체부가 지면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시키거나, 상기 소정 높이 이상 돌출 형성된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부분들에서 발에 가해지는 압력과 마찰력을 줄이도록 구성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신발의 밑창은 지면과의 마찰로 인하여 마모가 심하며, 신발의 중반부 및 후반부에 무거운 무게가 가해지고, 발바닥의 중반부부터 후반부까지는 관절의 움직임이 거의 없기 때문에 판판하고 단단한 형태의 신발 밑창이 요구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밑창의 경우, 바닥 전체가 판판하고 단단하도록 신발 밑창이 형성되어 발가락 관절 부위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유연하게 휘어지는데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러나 스파이크 주변을 따라 홈이 있는 신발은 발가락 관절의 꺾임과 동시에 스파이크 주변의 홈을 따라 유연하게 밑창이 휘어져서 발가락 부분의 관절에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휘어진 바닥 부위에 대응하는 스파이크 및 평평한 부위에 대응하는 스파이크가 각각 지면의 굴곡진 형태와 수평하게 만날 수 있기 때문에 지면과 더 큰 마찰력을 가지게 되어 안정적인 자세를 잡을 수 있다. 특별히, 홈에 의해 유연하게 휘어지는 정도는 90°까지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바닥에 형성된 홈을 따라 20°까지 휘어지는 것이 최적의 편안함을 보장한다.
본 고안의 제2 형태는 제1형태와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된 교체형 스파이크의 장착 위치에 차이점을 가진다. 밑창의 후반부에만 교체형 스파이크(110)가 소정 높이 이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밑창의 중반부 및 전반부에는 교체형 스파이크(110)가 상기 소정 높이 이상으로 돌출 설치되지 말아야 하며, 밑창 전체에 걸쳐 또는 밑창의 일부분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미끄럼 방지 홈, 혹은 디자인적 요소를 가미한 홈으로 형성된 문양, 교체가 불가능한 밑창에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 스파이크, 또는 함몰 형성되어 지면방향으로 상기 소정 높이 이상으로 돌출되지 않는 교체형 스파이크 등이 형성될 수 있다. 특별히 중반부와 전반부를 포함하여 바닥의 일정 부분에 마찰력 및 압력이 최소화되는 범위 안에서 상기 중반부, 후반부, 전반부 중 어느 한곳 이상에 밑창 속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홈 속에 교체형 스파이크 또는 스파이크 대체부가 설치되어, 교체형 스파이크 또는 스파이크 대체부가 지면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시키거나, 상기 소정 높이 이상 돌출 형성된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부분들에서 발에 가해지는 압력과 마찰력을 줄이도록 구성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점프 동작이나 높은 곳에서 떨어져 착지하는 자세의 경우 발 뒷꿈치에 가장 큰 충격 및 압력이 작용하여 뒷부분에 장착된 스파이크를 통해 충격을 완화하고 미끄럼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점프 동작을 제외한 러닝 동작 시에는 보통 앞꿈치만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때 전반부 및 중반부에 스파이크가 소정 높이 이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지 않아서, 스파이크로 인한 이물감을 느끼지 않아 러닝 시 편안하고 안락한 느낌을 보장한다. 또한 보행 시에는 중반부와 후반부로 마찰력을 발생시켜 추진력을 얻는데, 후반부에 소정 높이 이상으로 돌출 형성된 스파이크를 통해 추진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후반부에만 소정 높이 이상 돌출 형성된 스파이크를 가지는 신발은 러닝 동작시에 발뒷꿈치에 압력을 가하지 않는 구조이나, 특별히 개개인의 러닝 형태에 따라서 느껴지는 압력이 다르므로, 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교체형 스파이크 자체가 탄성을 가지거나 교체형 스파이크와 밑창과의 연결 부위에 탄성을 가지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구조는 스프링, 고무, 합성 탄성재 등 탄성의 성질을 가지는 모든 재료 및 구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탄성기능을 가지는 스파이크 연결부는 보행형태에 따라 신발 뒷부분의 교체형 스파이크로 인한 발뒤꿈치에 가해지는 압력 및 충격을 최소화 하는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1 형태와 제2형태의 구조상 차이점은 소정 높이 이상으로 돌출 형성된 교체형 스파이크의 장착 위치가 전반부에 형성되느냐 혹은 후반부에 형성되느냐에 있고, 이러한 차이점으로 인해 신발의 기능성 및 효과가 미끄럼 방지 및 충격 완화에 특화되는 비중이 달라지게 된다.
인솔(200a)의 표면부분에는 지압용 돌기(210a)가 1개 이상 설치되어 있다. 지압용 돌기의 개수는 다수 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지압용 돌기의 형태는 사각형, 삼각형, 원형, 다이아몬드형, 피라미드형, 반구형 등으로 다각기둥을 포함하는 닫힘꼴 입체 형태로서 발에 압력을 가하는 형태라면 앞서 제시한 형태 이외의 제작 가능한 모든 형태가 가능하다. 지압용 돌기가 여러 구획으로 나누어져 구획별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지압용 돌기의 소재는 고무, 플라스틱, 우레탄 계열, 폴리합성 계열 및 건강 물질부의 재료인 자석, 세라믹, 황토, 게르마늄, 옥, 은나노 그 밖의 업계에서 지압돌기로 이용되는 모든 소재 및 상기 물질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부드러운 소프트 재질, 견고하고 딱딱한 재질 등의 특징을 가지는 등 그 종류 및 재질의 범위에 한정됨이 없다.
지압의 기능을 국부적이면서 효율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신발 적층구조를 도면 16에서 보여준다. 아웃솔 하부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교체형 스파이크가 장착되어 지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지면과 스파이크 사이의 제1 압력이 스파이크상부의 탄력을 가지는 아웃솔에 인가되고, 아웃솔에 인가된 제2 압력은 아웃솔 상부의 인솔에 형성된 돌기에 제3 압력으로 전해지고, 이는 돌기를 통해 발바닥에 지압의 효과를 가져온다. 스파이크와 아웃솔 및 인솔에 형성된 돌기의 적층 구조는 발바닥의 일정 부위만 부분적으로 압력을 발생시켜 효율적인 지압 효과를 보장하는 적층구조이다.
또한 상부 인솔 하부에 건강 물질부의 추가 설치가 가능해서 지압의 효과를 증폭하는 기능도 가진다. 건강 물질부가 지압 돌기가 설치된 영역의 하부에만 선택적으로 설치된 경우 지압의 효과는 증폭 가능하다. 또한 인솔의 재질, 비용 및 제작 공정에 따라 건강 물질부를 발바닥 전체에 대응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발바닥 전체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발바닥 건강과 착용 시 편안함의 선호도 및 제작 공정조건에 따라 건강 물질부가 설치되는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건강 물질부 제작 시 탄성의 기능을 추가하여 돌기에 의한 과도한 압력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하부 인솔과 상부 인솔은 일체로 또는 분리 접합되어 형성될 수 있고, 추가의 새로운 층이 상부 인솔과 하부 인솔 사이에 일체로 또는 분리 접합되어 적층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상부 인솔과 하부인솔 사이에는 건강 물질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건강 물질부는 지압 돌기가 형성되는 영역의 하부에 발바닥 전체에 배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설치된 지압 돌기의 배치 형태에 대응되도록 건강 물질부의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지압의 효과를 극대화 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건강 물질부의 재질은 게르마늄, 옥, 황토, 자석, 은나노, 세라믹 및 이들 물질의 조합물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건강 물질부의 형태는 원형, 사각형, 마름모, 다각형 등의 일반적으로 닫힘꼴 도형의 모양을 가지며, 그 형태에 제약이 없다.
그리고, 교체형 스파이크 및 지압돌기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력과 압력은 돌기와 대응하는 발부분에 열과 땀을 발생시키며, 이는 신발 속 환경을 청결하지 못하게 하여 피부병 및 불쾌함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신발 속 환경을 청결하고 상쾌한 상태로 만들고자, 도면13, 14와 같이 돌기가 형성된 주변 또는 도면 15과 같이 상부 인솔 전체 면에 구역을 나누어 통기구(220a)가 설치될 수 있다. 통기구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신발 내부로 공급하거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출입구의 기능을 한다. 다수의 통기구들은 각각 에어로를 통해 연결되어 이고, 에어로(230a)를 통해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통기구로 제공되거나 내부의 공기가 통기구를 통해 에어로(230a)로 배출된다. 에어로(230a)의 수는 한 개 이상으로 신발의 사이즈 및 돌기의 배치상태 또는 통기구의 설치 위치 및 개수에 따라 다수 개 형성 될 수 있다. 통기구와 반대쪽에 위치한 에어로의 끝부분은 에어펌프(240a)에 연결되어 있다. 에어펌프의 위치는 신발 내부 및 외부 어느 위치에도 공간이 허용한다면 배치가 가능하다. 특별히 도면14에서, 한 켤레의 신발의 옆쪽 측면 중 다리와 다리 사이의 안쪽 부분에는 발바닥이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이 존재하고 이 공간을 이용하면 신발의 외관상 또는 신발 제작 공정상 편리하게 에어펌프를 배치할 수 있다. 특별히 도면 15에서, 에어펌프를 발의 앞부분, 중간부분 및 뒷부분에 배치할 경우 효율적인 환기 효율을 보장한다. 에어펌프는 보행 시 신발바닥과 지면과 접촉하는 순간 에어 펌프에 압력이 가해지고 이 압력은 에어 펌프에 충전된 신선한 외부 공기를 에어로(230a)를 통해 통기구(220a)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에어 펌프의 공기 공급 동작과 동기를 이루어 신발과 지면이 떨어지는 순간에는 내부의 공기가 에어 펌프 밖으로 배출되는 역할이 수행되거나 에어 펌프에 공기를 충전하는 동작이 수행된다.
전반부에 소정 높이 이상 돌출 형성된 교체형 스파이크가 달린 신발 착용 20인 대상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도보 시, 스파이크로 인해 불편함이 없다. : 95%
2. 자세를 낮추었을 때 앞꿈치에 무게중심이 실린다. : 100%
3. 등산 시, 앞꿈치에 스파이크가 달린 신발을 신었을 때 덜 미끌린다. : 90%
4. 하산 시, 앞꿈치에 스파이크가 달린 신발을 신었을 때 덜 미끌린다. : 100%
5. 골프 시, 앞꿈치에 스파이크가 달린 신발이 스파이크리스 신발에 비해 안정적이다: 100%
전반부에 소정 높이 이상 돌출 형성된 교체형 스파이크 주변으로 홈이 형성되어 유연하게 휘어지는 신발을 착용한 20인 대상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러닝 시, 홈이 있는 앞꿈치 스파이크 신발이 홈이 없는 앞꿈치 스파이크 신발에 비해 편하다. : 100%
2.등산 시, 홈이 있는 앞꿈치 스파이크 신발이 홈이 없는 앞꿈치 스파이크 신발에 비해 발이 편하다. : 90%
3.골프 시, 스윙 마지막 자세에서 홈이 있는 앞꿈치 스파이크 신발이 홈이 없는 스파이크 신발을 포함하는 일반 골프화에 비해 더 안정적이며 부드럽다. 100%
교체형 스파이크가 장착된 아웃솔 및 지압 돌기, 통기구가 선택적으로 형성된 건강 인솔이 장착된 신발 착용 20인 대상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보행 시, 교체형 스파이크 및 지압 돌기로 인한 불편함이 없다. : 90%
2. 운동할 때 지압의 효과가 보행 시 보다 더 크게 느껴진다 : 100%
3. 운동할 때 교체형 스파이크 대체부 및 지압 돌기로 인한 편안함이 일반 지압돌기 인솔의 경우에 비해 월등하다. : 100%
4. 발에 땀이 날 때 시원하고 쾌적한 느낌을 얻는다. :90%
5. 고안 건강 신발을 착용할 시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100%
후반부에 소정 높이 이상 돌출 형성된 교체형 스파이크가 달린 신발 착용 20인 대상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러닝 시, 스파이크로 인해 불편함이 없다. : 85%
2. 점프 동작 시, 충격 완화 효과를 가진다. : 100%
3. 점프 동작 시, 미끄럼 방지 효과를 가진다. : 95%
4. 보행 시, 스파이크로 인해 추진력이 증진된다. : 95%
라는 고안에 따른 각별한 효과를 가지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상기 실험 결과와 같이 본 고안에서 상술한 전반부에만 혹은 후반부에만 소정 높이 이상 돌출 형성된 교체형 스파이크를 가지는 구조에 특화된 신발은 다양한 종류의 운동 시 및 보행 및 러닝 시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자세를 요구할 때에는 미끄럼 방지의 기능을 최대화 할 수 있고, 일반적인 자세를 요구할 때에는 발바닥에 압력으로 인한 부담이 가해지지 않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하는 동작에서는 충격 완화 기능을 최대화 할 수 있고, 러닝의 운동 자세에서는 발가락 및 발의 중반부에 스파이크로 인한 이물감이 가해지지 않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보행 시에는 뒷꿈치에 형성된 스파이크로 추진력이 증진되며, 또한 교체형 스파이크와 함께 지압 돌기가 형성된 인솔의 신발은 지압의 효과를 충분히 느끼면서 동시에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을 적절하게 유지하여 편안함을 제공하며, 교체형 스파이크를 통해 완충작용으로 충격을 흡수하고, 마찰력 강화작용으로 미끄럼을 방지하고, 건강 물질부를 통해 지압을 통한 건강 증진 효과를 증가시키고 신발 내부의 환경을 쾌적하게 하는 통기구를 통해 발 피부 건강을 증진시키는 각별한 효과가 있다.
100: 바닥부
110: 소정 높이 이상 돌출 형성된 교체형 스파이크
120: 소정 높이 미만 돌출 형성된 교체형 스파이크
130: 함몰 형성된 교체형 스파이크
200: 중창 300: 안창
400: 갑피부 500: 홈
600: 전반부 700: 중반부
800: 후반부
400a: 아웃솔 410a: 상부 아웃솔 420a: 하부 아웃솔
200a: 인솔 210a: 지압돌기 220a: 통기구
230a: 에어로 240a: 에어펌프 250a: 하부 인솔
100a: 인솔바닥부 300a:교체형스파이크 310a:교체형스파이크대체부

Claims (5)

  1. 교체형 스파이크가 형성된 상기 미끄럼 방지 건강 신발에 있어서,
    저면이 지면에 접촉되는 밑창과;
    상기 밑창과 지면에 맞닿는 부위에 형성되는 바닥부(100);
    상기 밑창 위에 형성되는 안창(300)을 포함하는 중창(200)과;
    상기 중창(200) 위에 형성되어 발등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싸는 갑피부(400)로 구성되며;
    상기 교체형 스파이크가 형성된 미끄럼 방지 건강 신발의 바닥부(100)에 한 개 이상 형성된 탈착 가능한 교체형 스파이크(110)를 구비하되;
    상기 바닥부(100)의 전반부(600)에는 상기 바닥부(100)로부터 소정 높이 이상으로 돌출된 탈착 가능한 교체형 스파이크(110)가 구비되고;
    상기 바닥부(100)의 중반부(700)와 후반부(800)에는 상기 바닥부(100)로부터 소정 높이 이상으로 돌출된 탈착 가능한 교체형 스파이크(100)가 부재하도록 구성되는 것 및/또는 상기 소정 높이보다 낮은 높이 이하로 돌출된 탈착 가능한 교체형 스파이크(1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스파이크가 형성된 건강 신발.
  2. 교체형 스파이크가 형성된 상기 미끄럼 방지 및 충격 완화 건강 신발에 있어서,
    저면이 지면에 접촉되는 밑창과;
    상기 밑창과 지면에 맞닿는 부위에 형성되는 바닥부(100);
    상기 밑창 위에 형성되는 안창(300)을 포함하는 중창(200)과;
    상기 중창(200) 위에 형성되어 발등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싸는 갑피부(400)로 구성되며;
    상기 교체형 스파이크가 형성된 미끄럼 방지 건강 및 충격 완화 건강 신발의 바닥부(100)에 한 개 이상 형성된 탈착 가능한 교체형 스파이크(110)를 구비하되;
    상기 바닥부(100)의 후반부(800)에는 상기 바닥부(100)로부터 소정 높이 이상으로 돌출된 탈착 가능한 교체형 스파이크(110)가 구비되고;
    상기 바닥부(100)의 중반부(700)와 전반부(600)에는 상기 바닥부(100)로부터 소정 높이 이상으로 돌출된 탈착 가능한 교체형 스파이크(110)가 부재하도록 구성되는 것 및/또는 상기 소정 높이보다 낮은 높이 이하로 돌출된 탈착 가능한 교체형 스파이크(1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스파이크가 형성된 건강 신발.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00)의 중간부(700), 후반부(800), 전반부(600) 어느 한 곳 이상에는 상기 바닥부(100)로부터 소정 높이 이하 돌출 및/또는 소정 높이 이하 함몰된 탈착 가능한 교체형 스파이크(120 및/또는 1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스파이크가 형성된 건강 신발.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탈착 가능한 교체형 스파이크(110, 120, 130)는 암나사 및 숫나사의 구조 결합, 트리락 결합, 원터치 결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스파이크가 형성된 건강 신발.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00)로부터 소정 높이 이상 돌출된 상기 탈착 가능한 교체형 스파이크(110)는 상기 바닥부(100)로부터 2mm 이상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바닥부(100)로부터 소정 높이 이하 돌출 형성된 탈착 가능한 교체형 스파이크(120 및/또는 130)는 상기 바닥부(100)로부터 2mm 미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체형 스파이크가 형성된 건강 신발.

KR2020140000259U 2013-07-29 2014-01-13 교체형 스파이크가 형성된 건강 신발 KR20150000598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9904 2013-07-29
KR1020130089904 2013-07-2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872U Division KR20150002032U (ko) 2013-07-29 2015-05-06 교체형 스파이크가 형성된 건강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598U true KR20150000598U (ko) 2015-02-06

Family

ID=525712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0259U KR20150000598U (ko) 2013-07-29 2014-01-13 교체형 스파이크가 형성된 건강 신발
KR2020150002872U KR20150002032U (ko) 2013-07-29 2015-05-06 교체형 스파이크가 형성된 건강 신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2872U KR20150002032U (ko) 2013-07-29 2015-05-06 교체형 스파이크가 형성된 건강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50000598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032U (ko)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5042B2 (ja) 分離可能なアッパーおよびソール構造を有する履物
KR101423025B1 (ko) 무릎 부하를 경감시키는 미드솔
AU2010352681B2 (en) High foot mobility shoe
ES2624137T3 (es) Calzado
KR101006923B1 (ko) 신발 중창
JP5601593B2 (ja) 衝撃分散機能と転がり歩行機能を有する履物の中敷き
US20130145650A1 (en) Propulsive sole for impact distribution and round walking
JP5431554B2 (ja) ボウリングシューズ
JP2012075864A (ja) 履物の中敷き
KR101047352B1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력을 강화시킨 신발창
AU2010352681A1 (en) High foot mobility shoe
JP2009101139A (ja) ハイヒール用の機能性中敷
WO2015056958A1 (ko) 중족과 중족골의 압력을 분산시키는 중창과 이를 구비한 신발
KR20170053782A (ko) 충격 완화 기능을 구비하는 신발밑창
KR20150021765A (ko) 길이조절이 용이한 신발 깔창
KR200467057Y1 (ko) 신발용 깔창
JP2020534126A (ja) 履物のアウトソール
KR101131280B1 (ko) O형, x형 다리의 예방 및 체중맞춤형 쿠션신발
KR20150002032U (ko) 교체형 스파이크가 형성된 건강 신발
KR101288905B1 (ko) 보행기능을 향상시킨 신발창
KR20150062930A (ko) 교체형 스파이크가 형성된 미끄럼 방지 건강 신발
KR101263614B1 (ko) 신발
KR20110004571A (ko) 신발 밑창
KR101222850B1 (ko) 경도조절 및 교체가 용이한 뒷굽체를 구비한 신발
KR200475665Y1 (ko) 다기능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