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8256A - 기둥 기초 블럭 구조물 - Google Patents

기둥 기초 블럭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8256A
KR20140148256A KR1020130071984A KR20130071984A KR20140148256A KR 20140148256 A KR20140148256 A KR 20140148256A KR 1020130071984 A KR1020130071984 A KR 1020130071984A KR 20130071984 A KR20130071984 A KR 20130071984A KR 20140148256 A KR20140148256 A KR 20140148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block structure
foundation
support plat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1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2585B1 (ko
Inventor
박준홍
Original Assignee
박준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홍 filed Critical 박준홍
Priority to KR20130071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2585B1/ko
Publication of KR20140148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8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2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2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23Cast, i.e. in situ or in a mold or other form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땅속에 매설되어서, 가로등, CCTV, 신호등 및 도로표지판 등의 기둥의 기초 역할을 하는 기초구조물의 설치하기 위한 기둥 기초 블럭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다수 개의 콘크리트 판넬이 고정핀 또는 볼트를 통해 연결되어서 속이 빈 블록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앵글; 상기 앵글 내부에 콘크리트로 타설되되 상기 앵글 상부가 개방되어 장착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타설되는 다수 개의 콘크리트 블록; 상단부에 구비된 플랜지의 상부에 방사상으로 다수 개의 체결볼트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공간부에 수용되어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상부에 설치되는 앵커; 중앙부에 기둥이 삽입설치되게 하는 설치공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볼트가 삽입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하는 다수 개의 체결공을 구비하여서 상기 앵커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외부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는 기초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거푸집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설치가 용이하고 작업시간이 줄어들고, 결과적으로 원가가 절감됨과 함께 표준화된 제품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둥 기초 블럭 구조물{Post foundation block structure}
본 발명은 기둥 기초 블럭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땅속에 매설되어서, 가로등, CCTV, 신호등 및 도로표지판 등의 기둥의 기초 역할을 하는 기초구조물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기둥 기초 블럭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가로등, 보안등, 이정표 등의 기둥을 설치하기 위하여는 지하에 기초를 묻고, 기초의 상부는 땅위로 노출되도록 하고, 기초의 상부에 기둥을 설치하였다.
그러나, 최근 정부에서는 기둥의 하부 플레이트나 브라켓등이 지면(보도블럭, 아스콘 등)의 위로 노출되어 도시미관을 해치므로, 기둥의 하부 플레이트나 브라켓등이 지면위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일환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0553호(출원번호 10-2007-74177호)에는 가로 기둥 오목 기초(1)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로 기둥 오목 기초(1)는, 기초의 상부의 매립공간이 밀봉되지 않아 지하에 묻히는 기둥의 하부 베이스플레이트나 브라켓이 지하의 습기에 노출되며, 덮개(2)를 사용하므로 자재비가 많이 소요되며, 덮개(2)와 기초(1) 또는 덮개(2)와 기둥(3) 사이의 접촉면을 이용한 수분의 침투에 대응할 수 없으며, 시공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의 기초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을 해체하는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는 거푸집을 해체하고 다시 되메우기를 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기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양생된 기초 구조물을 직접 시공하는 경우에는 구조물의 크기와 무게 때문에 운반과 시공에 따른 부대비용이 과도하게 발생하게 되고, 아울러 양생 구조물의 운반의 제약 때문에 중대형 기초 구조물에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시내 도로변에 시공시 기존에 설치된 전선, 가스관 또는 수도관 등 지하매설물의 간섭 때문에 거푸집 설치 또는 양생 구조물로 시공하기는 어렵고, 이에 장소를 옮기거나 크기를 줄여서 시공해야 하므로 목적하는 바의 결과를 달성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기초 구조물 시공 후 지표면에 노출되는 부분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거푸집을 사용하고 미장과 같은 후처리를 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 숙련도에 따른 완성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또한 기둥을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를 노출하여 시공하는 방법과 플랜지가 보이지 않도록 매립하여 시공하는 방법은 시공방법에 있어서 차이가 많기 때문에 종래의 방법으로는 현장 상황에 맞추어 신속하게 시공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초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거푸집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설치가 용이하고 작업시간이 줄어들고, 결과적으로 원가가 절감됨과 함께 표준화된 제품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둥 기초 블럭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땅속에 매설되어서, 가로등, CCTV, 신호등 및 도로표지판 등의 기둥의 기초 역할을 하는 기초구조물의 설치하기 위한 기둥 기초 블럭 구조물은, 다수 개의 콘크리트 판넬이 고정핀 또는 볼트를 통해 연결되어서 속이 빈 블록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앵글; 상기 앵글 내부에 콘크리트로 타설되되 상기 앵글 상부가 개방되어 장착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타설되는 다수 개의 콘크리트 블록; 상단부에 구비된 플랜지의 상부에 방사상으로 다수 개의 체결볼트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공간부에 수용되어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상부에 설치되는 앵커; 중앙부에 기둥이 삽입설치되게 하는 설치공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볼트가 삽입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하는 다수 개의 체결공을 구비하여서 상기 앵커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외부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캡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콘크리트에 의해 일체로 양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캡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철재 원형판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상기 캡과 결합하여 일체로 양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캡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결합체의 하부에는 앵커의 플랜지를 수용하는 수용홈부가 구비되어서, 상기 결합체를 씌우는 형태에 따라 상기 플랜지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둥 기초 블럭 구조물을 이용하게 되면, 거푸집 없이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경량화된 조립식 구조물을 설치함으로써 시공 시간을 줄일 수 있고, 다양한 현장 상황에 대처할 수 있어 표준화된 제품의 대량생산을 통한 원가의 절감이 가능하며, 작업자의 숙련도와 관계없이 미려하고 튼튼한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기둥 기초구조물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둥 기초 블럭 구조물을 보인 부분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둥 기초 블럭 구조물을 보인 결합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3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둥 기초 블럭 구조물의 캡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둥 기초 블럭 구조물의 판넬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둥 기초 블럭 구조물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둥 기초 블럭 구조물을 보인 부분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둥 기초 블럭 구조물을 보인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둥 기초 블럭 구조물의 캡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둥 기초 블럭 구조물의 판넬을 보인 사시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땅속에 매설되어서, 가로등, CCTV, 신호등 및 도로표지판 등의 기둥의 기초 역할을 하는 기초구조물의 설치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둥 기초 블럭 구조물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100), 콘크리트 블록(200), 앵커(300), 지지플레이트(400) 및 캡(5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앵글(100)은 다수 개의 콘크리트 판넬(110)이 고정핀(120) 또는 볼트를 통해 연결되어서 속이 빈 블록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콘크리트 판넬(110)은 다수 개가 좌우 및 상하로 적층되어 구성되어 있고 그리고 서로가 고정핀(120)으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경량화되어 설치 작업이나 해체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판넬(110)은 콘크리트 블록(200)의 수용공간을 넓힐 수 있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홈을 구비하는게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판넬(110)의 결합은 고정핀(120) 및 볼트 이외에 필요시 철근을 보강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구조물의 소형화 경량화를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500㎜ X 500㎜ 규격으로 형성되어 콘크리트 조립품을 결합하여 시공할 수 있게 하였다.
따라서, 상기 기초 구조물이 소형 경량화 됨으로써 운반과 시공시 별도의 중장비가 필요치 않으며, 원하는 사이즈로 조립한 후 레미콘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거푸집 설치 및 해제 없이 설치 및 마무리되므로 시공시간이 절감된다.
그러나, 상기 규격은 기본 단위로 하고, 다양한 사이즈, 즉 500㎜, 1000㎜, 1500㎜, 2000㎜가 되게 연결하여 기초 구조물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블록(200)은 앵글(100) 내부의 공간부에,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로 콘크리트로 타설되되 앵글(100) 상부가 개방되어 다음에 기술된 앵커(3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장착공간부(210)가 형성되도록 타설된다.
상기 앵커(300)는 상단부에 구비된 플랜지(320)의 상부에 방사상으로 다수 개의 체결볼트(310)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공간부(210)에 수용되어서 콘크리트 블록(200)의 상부에 설치되며, 기둥(미도시)의 하부가 삽입되어 세워질 수 있게 하는 수용공간부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400)는 세워진 기둥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중앙부에 기둥이 삽입설치되게 하는 설치공(410)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볼트(310)가 삽입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하는 다수 개의 체결공(420)을 구비하여서 앵커(300)의 상부에 설치된다.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기 캡(500)은 지지플레이트(400)의 외부에 일체형으로 결합되어서 기초구조물의 설치 후 미관성이 향상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캡(500)은 지지플레이트(400)와 콘크리트에 의해 일체로 양생되어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캡(500)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게 하고 지지플레이트(400)는 철재 원형판으로 이루어지게 하여서, 상기 지지플레이트(400)를 캡(500)과 결합하여 일체로 양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캡(500)과 상기 지지플레이트(400)의 결합체의 하부에는 앵커(300)의 플랜지(320)를 수용하는 수용홈부(510)가 구비되어서, 상기 결합체를 씌우는 형태에 따라 플랜지(320)가 노출 또는 노출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즉, 상기 결합체를 앵커(300)의 플랜지(320)에 삽입하는 방향에 따라 플랜지(320)가 수용홈부(510)에 삽입 또는 비삽입되어 플랜지(320)가 노출되는 타입 또는 비노출 타입으로 변경하여 시공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둥 기초 블럭 구조물의 제조방식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수 개의 콘크리트 판넬(110)을 고정핀(110)을 이용하여 앵글(100) 형태로 결합시켜서 내부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앵글(100)이 완성되면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수용공간부 내에서 큰크리트 블록(200)이 형성되게 하되, 그의 상부에는 장착공간부(210)가 형성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타설된 콘크리트 블록(200)은 양생이 되는데, 이때 빠른 양생을 위해서 급결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콘크리트 블록(200)의 양생이 완료되면 장착공간부(210)의 바닥부에 앵커(300)를 견고하게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앵커(300)는 콘크리트 블록(200)의 타설시 상부에 얹혀진 상태에서 타설하여 콘크리트 블록(200)의 양생에 의존하여 설치될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다음,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상기 지지플레이트(400) 및 캡(500)을 앵커(300)의 상부로 덮어씌우되, 앵커(300)의 상부로 돌출된 다수 개의 체결볼트(310)가 지지플레이트(400)에 구비된 체결공(420)으로 삽설됨으로써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하여 기초 블록 구조물이 완성이 되면, 가로등, CCTV, 신호등 및 도로표지판 등의 기둥을 설치하기 위한 적절한 장소로 옮겨서 구조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만큼 땅을 판 다음 매설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구조물이 땅에 매설되어 설치가 완료되면, 기둥을 지지플레이트(400)의 설치공(410)과 앵커(300)의 수용공간부로 삽입되게 한 후, 체결볼트(310)에 볼트 등을 체결하여 세우면 된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 앵글 110: 콘크리트 판넬
120: 고정핀
200: 콘크리트 블록 210: 장착공간부
300: 앵커 310: 체결볼트
320: 플랜지
400: 지지플레이트 410: 설치공
420: 체결공 500: 캡
510: 수용홈부

Claims (4)

  1. 땅속에 매설되어서, 가로등, CCTV, 신호등 및 도로표지판 등의 기둥의 기초 역할을 하는 기초구조물의 설치하기 위한 기둥 기초 블럭 구조물에 있어서,
    다수 개의 콘크리트 판넬(110)이 고정핀(120) 또는 볼트를 통해 연결되어서 속이 빈 블록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앵글(100);
    상기 앵글(100) 내부에 콘크리트로 타설되되 상기 앵글(100) 상부가 개방되어 장착공간부(210)가 형성되도록 타설되는 다수 개의 콘크리트 블록(200);
    상단부에 구비된 플랜지(320)의 상부에 방사상으로 다수 개의 체결볼트(310)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공간부(210)에 수용되어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앵커(300);
    중앙부에 기둥이 삽입설치되게 하는 설치공(410)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볼트(310)가 삽입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하는 다수 개의 체결공(420)을 구비하여서 상기 앵커(3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400);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400)의 외부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캡(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기초 블럭 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500)은 상기 지지플레이트(400)와 콘크리트에 의해 일체로 양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기초 블럭 구조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500)은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플레이트(400)는 철재 원형판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지지플레이트(400)를 상기 캡(500)과 결합하여 일체로 양생하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기초 블럭 구조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캡(500)과 상기 지지플레이트(400)의 결합체의 하부에는 앵커(300)의 플랜지(320)를 수용하는 수용홈부(510)가 구비되어서, 상기 결합체를 씌우는 형태에 따라 상기 플랜지(320)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 기초 블럭 구조물.
KR20130071984A 2013-06-22 2013-06-22 기둥 기초 블럭 구조물 KR101482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1984A KR101482585B1 (ko) 2013-06-22 2013-06-22 기둥 기초 블럭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1984A KR101482585B1 (ko) 2013-06-22 2013-06-22 기둥 기초 블럭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8256A true KR20140148256A (ko) 2014-12-31
KR101482585B1 KR101482585B1 (ko) 2015-01-29

Family

ID=52592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1984A KR101482585B1 (ko) 2013-06-22 2013-06-22 기둥 기초 블럭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25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138B1 (ko) * 2020-01-14 2020-08-28 홍민화 조경시설 설치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9895B1 (ko) * 2017-03-30 2019-05-17 (주)동명기술공단종합건축사사무소 조립식 토류판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4770B2 (ja) 2002-12-16 2006-06-14 フジプレコン株式会社 踏切警報機用基礎
KR101041173B1 (ko) * 2009-07-16 2011-06-14 현수건설 주식회사 가로등 및 휀스용 기초구조물
KR101251173B1 (ko) 2011-09-01 2013-04-04 주식회사 디유에이엔아이 승강장용 조립식기둥 및 이에 의한 기둥설치 방법
KR20130066094A (ko) * 2011-12-12 2013-06-20 이수익 구조물의 버팀대용 베이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138B1 (ko) * 2020-01-14 2020-08-28 홍민화 조경시설 설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2585B1 (ko) 201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8593B1 (ko) 가교의 시공방법
KR100943062B1 (ko) 강관전주의 기초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873266B1 (ko) 조립식 기둥 구조물
KR101408770B1 (ko) 가로등 또는 통합폴 설치용 조립식 지주 장치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168235B1 (ko) 지주 고정용 기초 조립체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1459003B1 (ko) 무량판 원-웨이 구조식 와이드 거더
KR101482585B1 (ko) 기둥 기초 블럭 구조물
KR101421212B1 (ko) 파워 모노레일의 기초 구조물
KR101066388B1 (ko) 조립이 쉽고 수직 설치가 정확한 가로등주 매립형 설치구조틀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1370163B1 (ko) 콘크리트주택 시공방법
KR200354125Y1 (ko) 조립식 기초구조
KR101594785B1 (ko) 삽입식 교통시설물 철주 고정구조물
KR101482584B1 (ko) 지하매설물 회피용 기둥 기초 블럭 구조물
KR200257289Y1 (ko) 전철주의 기초콘크리트 시공용 거푸집
KR100645024B1 (ko) 기둥부재 고정용 프리캐스트 구조물
KR101772938B1 (ko) 도로시설물의 지주 매입형 프리캐스트 기초 구조물 및 이의 시공 공법
KR101576215B1 (ko) 건축물 시공용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KR200375997Y1 (ko) 기둥부재 고정용 프리캐스트 구조물
KR101980152B1 (ko) 지주의 파일기초 합성구조물의 시공방법
JP2002047662A (ja) 可搬柱状基礎体及びその設置方法
KR20220001271A (ko) 모듈블럭을 이용한 방음벽 및 그 시공시스템
KR101826246B1 (ko) T형 단면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체를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시공 방법
KR20160035243A (ko) 철판 콘크리트 기초
KR20240047607A (ko) 교량 가로등의 기초 시공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기초 시공방법
KR200492369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