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7976A - 어스피레이션 모터 및 이를 이용한 인카 센서 - Google Patents

어스피레이션 모터 및 이를 이용한 인카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7976A
KR20140147976A KR1020130071074A KR20130071074A KR20140147976A KR 20140147976 A KR20140147976 A KR 20140147976A KR 1020130071074 A KR1020130071074 A KR 1020130071074A KR 20130071074 A KR20130071074 A KR 20130071074A KR 20140147976 A KR20140147976 A KR 20140147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control pcb
coil
pcb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1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1051B1 (ko
Inventor
김병수
이동훈
김현우
박진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to KR20130071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051B1/ko
Publication of KR20140147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02K11/215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effect or magneto-resis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5Devices for sensing temperature, or actuated thereb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21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 B60H1/00428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electri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3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wiring boards, i.e. printed circuit boards or similar structure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8Optimized components or subsystems, e.g. lighting, actively controlled gla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스피레이션 모터 및 이를 이용한 인카 센서에 관한 것으로, 스테이터를 삽입하여 조립할 수 있는 삽입홀이 형성된 단면 제어용 PCB를 적용하여 부품 가격을 감소시키고 조립 공정을 개선할 수 있으며, 제어용 PCB의 공간 자유도 증가로 홀 소자를 제어용 PCB에 실장시킴으로써, 스테이터와 제어용 PCB의 조립과 동시에 홀 소자와 백요크가 자기적으로 정렬되고, 홀 소자의 실장 위치를 조정하는 간단한 리페어 공정으로, 홀 소자가 마그넷의 극성을 검출하지 못하는 기동 불량 현상에 의한 불량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어스피레이션 모터 및 이를 이용한 인카 센서{Aspiration motor and In-Car sens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어스피레이션 모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어스피레이션 모터 및 이를 이용한 인카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실내의 난방 또는 냉방을 위한 공조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자동차의 공조장치는 운전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자동화 장치로 전환되고 있고, 이를 위해 자동차 실내 온도를 자동으로 측정하기 위한 인카 센서(In-Car sensor)가 필수적으로 공조장치에 내장된다.
인카 센서(In-Car Sensor)는 자동차의 그릴 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의 배면에 설치되며, 어스피레이터(aspirator) 방식 또는 송풍 방식에 의해 자동차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자동차 외부 또는 실내로 공기를 배출시키고, 공기의 흐름 내에 설치된 인카 센서로 자동차 실내 공기의 온도를 감지한다.
여기서, 어스피레이터 방식의 인카 센서는 자동차의 실내 온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자동차 실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하여 어스피레이션 모터(Aspiration Motor)를 사용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 0364916 호는, 자동차 실내를 향해 개구된 그릴의 내측에 구비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장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내설되는 인카 센서를 포함하는 공조장치용 인카 센서 조립체의 고안으로, 상류로부터 하류까지 공기 유로의 단면적을 일정하게 하여 공기 흐름에 대한 저항 요소를 줄여 소음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으나, 인카 센서의 공기 저항과 관련된 고안으로 조립체에 범용적인 모터를 적용하여 어스피레이션 모터의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를 알 수 없다.
한편, 본 출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0887535 호에 기재된 인카 센서는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불량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나, 스테이터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스테이터 지지판의 저면이 제어용 PCB 상면에 결합됨으로써, 제어용 PCB의 상면의 공간 자유도를 부족하게 하여 부품 가격이 비싼 양면 제어용 PCB를 사용할 수 밖에 없으므로, 이 인카 센서는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데는 한계가 있는 구조적 모순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자들은 부품 비용을 줄이고, 불량 요소를 리페어할 수 있는 어스피레션 모터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획기적으로 단순화시킬 수 있는 어스피레션 모터의 구조적인 특징을 도출하여 발명함으로써, 인카 센서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다 경제적이고, 활용 가능하고 경쟁력있는 어스피레이션 모터 및 인카 센서인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일반적으로 로터의 위치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홀(Hall) 센서는 로터에 근접하여 배치되어야 하므로 제어용 PCB의 상부면에 실장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등록특허와 같이 스테이터 지지판의 저면이 제어용 PCB 상면에 결합되는 구조에서는 제어용 PCB의 상면에 부품을 실장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다.
상기 등록특허에서는 제어용 PCB에 실장되어 모터구동회로를 구성하는 능동 부품이 집적화된 부품이 아니라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같은 개별 부품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큰 실장면적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등록특허에서는 제어용 PCB의 상부면에 홀(Hall) 센서를 실장하고, 제어용 PCB의 하부면에 모터구동회로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을 실장할 수 있도록 고가의 양면 PCB를 채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등록특허에서는 모터구동회로를 구성하는 다수의 부품을 PCB의 양면에 SMD 실장하여야 하므로 이들 부품을 양면 실장하는 공정비용이 증가하고 생산성이 떨어지며 불량품 발생과 신뢰성이 낮아지게 된다.
(실용문헌 1) 한국등록실용 제 0364916 호 한국등록특허 제 0887535 호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모터구동회로를 구성하는 큰 실장면적을 요구하는 능동부품을 집적화된 부품을 채용하여 실장면적을 최소화함에 의해 홀(Hall) 소자와 모터구동회로 부품을 단면 제어용 PCB의 일면에 실장할 수 있어, 부품 가격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SMD 공정을 1회로 축소시킴에 따라 제조 경비를 줄이고, 조립 공정을 간단하게 개선할 수 있는 어스피레이션 모터 및 이를 이용한 인카 센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로터에서 발생된 진동 및 소음을 짧은 전달 경로로 방지 시트에서 흡수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여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어스피레이션 모터 및 이를 이용한 인카 센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어용 PCB의 공간 자유도를 증가시켜 홀(Hall) 소자를 제어용 PCB에 실장시킴으로써, 스테이터에 인서트 몰딩에 의하여 홀 소자와 백요크 간의 위치 정렬의 오류로 인한 불량 발생 및 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어스피레이션 모터 및 이를 이용한 인카 센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테이터와 제어용 PCB의 조립과 동시에 홀 소자와 백요크가 자기적(磁氣的)으로 정렬될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하는 어스피레이션 모터 및 이를 이용한 인카 센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어용 PCB에 실장된 홀 소자의 실장 위치를 조정하는 간단한 리페어(repair) 공정으로, 홀 소자가 마그넷의 극성을 검출하지 못하는 기동 불량 현상에 의한 불량을 해소하여 양품 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어스피레이션 모터 및 이를 이용한 인카 센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배출시키는 로터; 상기 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자계를 발생시켜 상기 마그넷을 회전시키는 스테이터 코일이 권선되어 있는 바디와, 그 바디에 연결된 스테이터 지지판을 포함하는 스테이터; 및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된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홀에 상기 스테이터의 바디가 삽입되고, 상기 하면이 상기 스테이터 지지판에 접촉되고, 상기 스테이터 코일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소자들이 실장되어 있는 제어용 PCB를 포함하는 어스피레이션 모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모터에 따르면, 진동 및 소음 방지 시트가 상기 스테이터 지지판과 상기 제어용 PCB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로터에 발생된 진동 및 소음을 흡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진동 및 소음 방지 시트는 상기 스테이터 지지판 또는 상기 제어용 PCB에 부착된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모터에 따르면, 상기 제어용 PCB의 결합홀에 상기 스테이터 지지판에 결합 돌기가 삽입된 상태에서 열융착 공정으로 상기 스테이터 지지판을 상기 제어용 PCB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모터에 따르면,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바디에 형성된 중앙 홀 하부에 위치하는 원형의 베어링 시트와, 상기 베어링 시트의 외주 상에 위치하며, 자기 회로를 형성하는 육각형의 백요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백요크가 형성하는 자기 회로에 따라 위치 설정되는 홀소자가 상기 제어용 PCB에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모터에 따르면, 상기 베어링 시트와 상기 백요크 중 하나는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상기 스테이터 바디 및 상기 스테이터 지지판과 사출 성형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모터에 따르면, 상기 제어용 PCB에 형성된 제1과 제2 장홀은 상기 삽입홀과 연통될 수 있고, 상기 스테이터 지지판에 돌출된 제1과 제2 코일 가이드가 상기 제1과 제2 장홀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1과 제2 코일 가이드 각각에는 코일 유도홈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과 제2 코일 가이드는 상기 제1과 제2 장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어용 PCB를 락킹(locking)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모터에 따르면, 다수의 핀과, 상기 스테이터 코일로부터 인출되는 시작/끝 배선이 접촉할 수 있는 단자가 각각 구비된 한쌍의 코일 터미널이 상기 스테이터 지지판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다수의 핀은 상기 제어용 PCB과 상기 스테이터 지지판 각각에 형성된 다수의 코일 터미널 핀 삽입홀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모터에 따르면, 상기 제어용 PCB에 돌출되어 있는 다수의 핀 중, 일부 핀이 상기 제어용 PCB의 회로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용 PCB는 상기 코일 터미널을 통해 구동 신호를 상기 스테이터 코일로 공급할 수 있고, 상기 스테이터 코일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소자들은 상기 제어용 PCB의 상면에 실장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임펠러와 축이 마그넷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공기를 유입/배출시키는 로터; 상기 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자계를 발생시켜 상기 마그넷을 회전시키는 스테이터 코일이 권선되어 있는 바디와, 그 바디에 연결된 스테이터 지지판을 포함하는 스테이터;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된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홀에 상기 스테이터의 바디가 삽입되고, 상기 하면이 상기 스테이터 지지판에 접촉되고, 상기 스테이터 코일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소자들이 실장되어 있는 제어용 PCB; 상기 로터로 인해 상기 공기가 유입되는 기류 경로 내에 위치하는 온도 센서; 상기 온도 센서가 검출하는 신호를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신호용 PCB; 및 상기 자동차에 결합 고정되며, 상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로터, 스테이터, 제어용 PCB, 온도 센서 및 신호용 PCB를 내장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인카 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인카 센서에 따르면,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축이 지지보스에 형성된 중앙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측면상에 형성된 요홈에 스테이터 코일이 권선되어 있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제어용 PCB의 결합홀에 결합 고정되는 결합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제어용 PCB를 지지하는 스테이터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인카 센서에 따르면, 상기 제어용 PCB는 각각 상기 제어용 PCB의 삽입홀과 연통되어 연장된 제1 및 제2 장홀을 더 포함하며, 각각 상기 스테이터 지지판으로부터 스테이터 코일이 권선되는 요홈까지 돌출되며 상단부에 스테이터 코일이 삽입 장착되는 코일 유도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장홀에 대응되어 삽입되는 제1과 제2 코일 가이드를 더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어용 PCB의 삽입홀에 스테이터를 삽입 고정하여 제어용 PCB의 공간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스테이터 지지판과 제어용 PCB 사이에 진동 및 소음 방지 시트가 개재되어 있어, 로터에서 발생된 진동 및 소음을 진동 및 소음 방지 시트에서 직접 전달받을 수 있으므로, 진동 및 소음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스테이터 지지판의 결합 돌기를 제어용 PCB의 결합홀에 삽입시킨 후, 열융착하는 간단한 공정으로 스테이터 지지판을 제어용 PCB에 고정시킴으로써, 모터의 조립 공정을 개선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테이터 코일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소자들이 상기 제어용 PCB의 일면에 실장된 단면 PCB를 사용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홀 소자를 제어용 PCB에 실장시킴으로써, 스테이터에 인서트 몰딩에 의하여 홀 소자와 백요크 간의 위치 정렬의 오류로 인한 불량 발생 및 신뢰성 저하를 방지하여, 양품 생산의 수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결합관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백요크가 형성하는 자기 회로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제어용 PCB에 홀 소자가 실장됨으로써, 스테이터와 제어용 PCB의 조립과 동시에 홀 소자와 백요크 간의 자기적인 정렬을 달성할 수 있는 조립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홀 소자가 마그넷의 극성을 검출하지 못하는 기동 불량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제어용 PCB에 실장된 홀 소자의 실장 위치를 조정하는 간단한 리페어(repair) 공정을 수행하여 불량을 해소하여 양품 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레페어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스피레이션 모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스피레이션 모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된 제어용 PCB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된 스테이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와 제어용 PCB가 조립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터미널의 정면도,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 제어용 PCB 및 신호 터미널이 조립된 상태의 상부 및 하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스피레이션 모터를 사용하는 인카 센서가 조립된 정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어스피레이션 모터의 실시예로 스테이터가 제어용 PCB의 삽입홀에 삽입되는 구조를 적용하고, 홀소자가 실장된 단면 제어용 PCB를 사용하며, 이와 관련하여 모터의 부품의 조립 구조를 단순화시켜 조립과 동시에 홀 소자와 백요크 간의 자기적인 정렬시킬 수 있고 모터의 양품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자동차 공조에 사용되는 어스피레이션 모터를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방식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모터도 이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스피레이션 모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스피레이션 모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어스피레이션 모터는 로터(100), 스테이터(500), 제어용 PCB(200)를 포함한다.
제어용 PCB(200)에는 삽입홀(210)이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홀(210)에 스테이터(500)의 바디(590)가 삽입되고, 스테이터(500)의 슬리브(510)에는 로터(100)의 축(120)이 결합되어, 로터(100), 스테이터(500), 제어용 PCB(200)는 조립된다.
스테이터(500)는 바디(590)와 스테이터 지지판(550)으로 구성되고, 바디(590)는 슬리브(510), 백요크(540), 베어링 시트(530)를 포함하고, 바디(590)에는 스테이터 코일(520)이 권선되어 있다. 바디(590)는 스테이터 지지판(550)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어, 바디(590)가 제어용 PCB(200)의 삽입홀(210)에 삽입된 후, 스테이터 지지판(550)의 하면은 제어용 PCB(200)의 상면에 접촉된다. 베어링 시트(530)의 외주 상에 백요크(540)가 위치된다. 여기서, 백요크(540) 및 베어링 시트(530)는 바디(590) 또는 스테이터 지지판(550)에 내장될 수 있으며, 스테이터 지지판(550)은 제어용 PCB(200)가 접촉되는 바디(590)의 하부에 위치되어, 바디(590)의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스테이터(500)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590)의 일부 외주면은 보빈의 역할을 한다.
스테이터 지지판(550)에는 결합 돌기(560)가 형성되어 있고, 그 결합 돌기(560)가 삽입되는 결합홀(220)이 제어용 PCB(200)에 형성되어 있다. 제어용 PCB(200)의 결합홀(220)에 스테이터 지지판(550)의 결합 돌기(560)가 삽입된 후, 결합 돌기(560)를 초음파로 열융착시켜 스테이터(500)와 제어용 PCB(200)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바디(590)에는 중앙 홀(501)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 홀(501)에는 축(120)을 지지하기 위한 슬리브(510)가 위치되고, 축(120)이 중앙 홀(501)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축(120)에는 로터(100)가 일체로 결합되며, 로터(100)는 분할 착자 또는 분할 편 방식으로 이루어진, 예컨대 6극의 마그넷(150)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모터 구조에서는 마그넷(150)으로 Nd자석보다 부품가격이 저렴한 페라이트(ferrite)자석을 적용할 수 있고, 이 경우 Nd자석이 채택한 것과 동일한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바디의 중앙 홀(501) 하부에 위치된 원형의 베어링 시트(530) 및 자기 회로를 형성하기 위한 백요크(540)가 정해진 위치에 인서트되며, 인서트 몰딩 방식(insert molding)의 사출 성형으로 형성되는 스테이터(500)의 바디(590)에 의해 마련되는 공간에 절연 와이어가 권선되어 스테이터 코일(520)이 형성된다.
즉, 원형의 베어링 시트(530)는 중앙 홀(501)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육각형의 백요크(540)는 자기 회로에 따라 설정된 위치에 인서트하고,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하여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로터(100)는 중앙에 축(120)이 마련되어 있고, 축(120)의 회전력으로 회전되는 임펠러(130)는 로터(1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어용 PCB(200)는 스테이터 코일(520)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며, 제어용 PCB(200)의 삽입홀(210)에 스테이터(500)가 삽입된 후, 스테이터(500)는 제어용 PCB(200)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어스피레이션 모터의 스테이터 코일(520)에 전원이 공급되면, 로터(100)가 회전하게 되고, 로터(100)와 일체로 형성된 임펠러(130)가 중앙부의 슬리브(510)에 의해 축(120)이 지지되어 회전하게 되어 공기를 유입/배출시키게 된다.
도 2를 참고하면, 스테이터(500)의 바디(590)는 제어용 PCB(200)의 삽입홀(210)에 삽입되고, 제어용 PCB(200)의 하면은 스테이터 지지판(550)에 접촉된다. 이때, 스테이터 지지판(550)과 제어용 PCB(200) 사이에는 진동 및 소음 방지 시트(310,320)가 개재된다. 진동 및 소음 방지 시트(310,320)는 제어용 PCB(200) 하부면에 부착한 후, 스테이터(500)의 바디(590)를 제어용 PCB(200)의 삽입홀(210)에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진동 및 소음 방지 시트(310,320)는 스테이터 지지판(550)과 제어용 PCB(200) 사이에 위치되어, 로터(100)에서 발생된 진동 및 소음이 최단 짧은 경로로 진동 및 소음 방지 시트(310,320)에 전달됨으로써, 진동 및 소음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스테이터(500)가 제어용 PCB(200)에 삽입홀(210)에 삽입된 후 고정되면, 스테이터(500)의 바디(590)는 제어용 PCB(200) 상면으로부터 돌출됨으로써, 돌출된 스테이터(500) 바디(590)에 로터(100)를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로터(100)를 스테이터(500) 바디(590)에 조립한 후, 스테이터(500)와 제어용 PCB(200)의 조립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된 제어용 PCB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된 스테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와 제어용 PCB가 조립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제어용 PCB(200)에는 중심 영역에 스테이터의 바디가 삽입되는 삽입홀(210)이 형성되고, 삽입홀(210)과 연통된 길이가 긴 제1과 제2 장홀(261,262)이 형성되고, 제1과 제2 장홀(261,262) 각각에 인접되어 관통된 제1 내지 제4 코일 터미널 핀 삽입홀(231,232,233,2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삽입홀(210) 이격되어 결합홀(26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용 PCB(200)에는 터미널 핀이 삽입되는 다수의 터미널 핀 삽입홀(251,252,253,254,255,256)이 형성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스테이터(500)의 바디(590)로부터 연장된 제1과 제2 코일 가이드(571,572)가 스테이터 지지판(550) 상면에 돌출되고, 제1과 제2 코일 가이드(571,572)에는 코일이 삽입 장착되는 제1과 제2 코일 유도홈(571a,571b)이 형성된다. 제1과 제2 코일 가이드(571,572)에 인접된 스테이터 지지판(550)에는 다수의 코일 터미널 핀 삽입홀(281,282,283,284,285,286,287,288)이 형성되어 있다.
스테이터(500)의 바디(590)는 도 3에 도시된 제어용 PCB(200)의 삽입홀(210)에 삽입되고, 스테이터 지지판(550)의 상면은 제어용 PCB(200)의 하면에 접촉된다. 이때, 스테이터 지지판(550)의 결합 돌기(560), 코일 가이드(571)는 제어용 PCB(200)의 결합홀(260), 제1과 제2 장홀(261,262) 각각에 대응하여 결합된다.
스테이터(500)와 제어용 PCB(200)의 물리적인 결합 및 정렬이 완료된 후, 결합 돌기(560)를 초음파로 열융착시켜 스테이터(500)와 제어용 PCB(200)를 고정시킨다. 여기서, 진동 및 소음 방지 시트(310,320)는 제어용 PCB(200) 하부면에 부착되어 있기에, 스테이터(500)의 바디(590)가 제어용 PCB(200)의 삽입홀(210)에 삽입된 후, 스테이터 지지판(550)의 상면이 제어용 PCB(200)의 하면에 접촉될 때, 진동 및 소음 방지 시트(310,320)는 스테이터(500)의 바디(590)와 제어용 PCB(200) 사이에 개재된다. 진동 및 소음 방지 시트(310,320)의 위치는 도 5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스테이터(500)의 바디(590)와 제어용 PCB(2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는 제어용 PCB(200) 하부면 중 어느 곳이든 관계 없고, 진동 및 소음 방지 시트(310,320)의 개수도 자유롭게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백요크(540)는 인서트 몰딩으로 스테이터(500)에 내장된다. 이때, 몰딩시 몰딩 컴파운드인 열경화 수지의 압력에 의해 백요크(540)가 휩쓸려 부적합한 위치로 몰딩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백요크(54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가이드핀(미도시)이 삽입되는 다수의 가이드홀(580)이 스테이터(500)의 바디(590) 상면에서 백요크(540)의 측면까지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핀으로 백요크(540)의 위치를 잡고, 열경화 수지가 완전 경화되기 전에 가이드핀을 이탈시키면, 성형된 스테이터(500)의 바디(590) 상면에는 가이드홀(580)이 형성된다. 이로써, 인서트 몰딩되는 백요크(540)를 스테이터(500) 내부에 적합하게 위치시켜 어스피레이션 모터의 성능 저하 및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용 PCB(200)의 하면은 스테이터(500)에 접촉되고, 상면에는 도 7의 회로도와 같은 회로도가 기반된 인쇄 회로가 형성되고, 그 인쇄 회로에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구동칩(610), 전압을 정전압화하여 구동칩에 안정된 전원을 제공하는 정전압 레귤레이터 칩(620) 및 다수의 수동 소자가 실장된다.
한편, 종래 기술에서는 스테이터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스테이터 지지판의 저면이 제어용 PCB 상면에 결합됨으로써, 제어용 PCB의 상면의 공간 자유도를 부족하게 하여 부품 가격이 비싼 양면 제어용 PCB를 사용할 수 밖에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모터 구동칩 및 정전압 레귤레이터 칩을 적용하여 부품수가 감소된 소자들이 배치된 단면 PCB를 사용함으로써, 부품 가격을 낮출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제어용 PCB(200)의 상부면에 대한 공간 자유도를 증가시켜, 홀 소자(미도시)도 작은 실장면적을 차지하는 모터 구동칩 및 정전압 레귤레이터 칩 등과 함께 제어용 PCB(200)에 실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스테이터(500)에 인서트 몰딩에 의하여 홀 소자(미도시)와 백요크(540)간에 발생될 수 있는 위치 정렬 오류로 인한 불량 발생 및 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양품 생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홀 소자는 백요크(540)가 형성하는 자기 회로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제어용 PCB(200)에 실장됨으로써, 스테이터(500)와 제어용 PCB(200)의 조립과 동시에 홀 소자와 백요크(540) 간의 자기적(磁氣的)인 정렬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홀 소자가 마그넷의 극성을 검출하지 못하는 기동 불량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제어용 PCB(200)에서 홀 소자의 실장 위치를 조정하는 간단한 리페어(repair) 공정을 수행하여 불량을 해소하여 양품 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종래에는 홀 소자와 백요크(540)가 스테이터(500)에 인서트 몰딩된 상태로 존재하기에, 홀 소자에 의한 기동 불량시 스테이터(500)가 불량으로 분류되어 스테이터(500)를 폐기 처분할 수 밖에 없었다.
한편, 홀 소자는 마그넷의 극성을 검출하지 못하는 데드 포인트에 위치하여 기동 불량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백요크(540)와 홀 소자가 상호 일정한 방향과 위치가 설정되어야 한다.
일례를 들어, 육각형 백요크(540)의 모서리 및 자극의 경계면으로부터 대략 1/4 자극폭, 즉 15도만큼 편이시켜서 홀 소자를 위치 설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마그넷에서 자력 세기가 가장 센 부분이 마그넷의 자성 경계면의 1/4 또는 3/4 부분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백요크(540)와 홀 소자를 설정 위치하면, 어스피레이션 모터의 구동이 정지되면, 로터의 마그넷과 백요크(540) 사이의 자기 현상에 의해 마그넷의 센터가 백요크(540)의 실효면적(마그넷과 백요크(540)가 겹치는 부분의 면적) 폭이 가장 넓은 지점, 즉 백요크(540)의 모서리 부분이 마그넷의 센터를 향하도록 위치된 각도에서 정지하게 된다.
그 결과, 홀 소자는 자동적으로 자극의 경계면으로부터 15도만큼 벗어난 지점에서 정지하게 되어, 홀 소자가 마그넷의 극성을 검출하지 못하는 데드 포인트에 위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호 터미널의 정면도이고,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테이터, 제어용 PCB 및 신호 터미널이 조립된 상태의 상부 및 하부 사시도이다.
도 7, 도 8a와 도 8b를 참조하면, 신호 터미널(722)은 다수의 터미널 핀(722a)과 각 터미널 핀(722a)을 일체로 고정 지지하기 위한 고정 부재(722b)를 구비한다.
로터(100), 스테이터(500)와 제어용 PCB(200)를 조립한 후, 신호 터미널(722)의 다수의 터미널 핀(722a)은 제어용 PCB(200)의 다수의 터미널 삽입홀(250)에 삽입되고, 제어용 PCB(200)의 인쇄 회로에 솔더링 고정하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다수의 터미널 핀(722a) 중 일부는 신호용 PCB(미도시)의 인쇄 회로에 접촉하여 신호용 PCB로부터 제어 장치로 온도 감지 신호가 전송되도록 하고, 나머지 터미널 핀(722a)은 제어용 PCB(200)에 접촉하여 제어용 PCB(200)가 어스피레이션 모터를 구동 제어한다.
어스피레이션 모터를 자동차에 장착되는 인카 센서에 적용한 경우, 다수의 터미널 핀(722a)의 일측이 상기 신호용 PCB의 인쇄 회로에 연결되고, 타측이 자동차의 제어 장치로 연결되어 온도 센서가 검출하는 신호를 제어 장치로 전송한다.
스테이터 지지판(550)의 하면에는 한쌍의 코일 터미널(581,582)이 각각 결합되고, 한쌍의 코일 터미널(581,582) 각각은 스테이터 지지판(550)의 코일 터미널 핀 삽입홀(미도시)에 각각 삽입되는 4개의 핀과 스테이터 코일로부터 인출되는 시작/끝 배선이 접촉할 수 있는 단자(도 8b에 도시된 스테이터 지지판(550)으로부터 돌출된 코일 터미널(581)의 끝단 영역)를 구비한다. 이러한, 코일 터미널(581,582)은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전도체로 구현될 수 있다.
코일 터미널(581,582)의 단자에 스테이터 코일의 시작/끝 배선이 권선되면, 배선의 풀림 방지 및 접촉 유지를 위해 솔더링(Soldering)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테이터 지지판(550)에 코일 터미널(581,582)을 결합하여 스테이터 코일의 시작/끝 배선을 코일 터미널(581,582)의 단자에 접촉시킨 다음, 스테이터(500)의 바디를 제어용 PCB(200)의 삽입홀에 삽입하여 결합한다.
코일 터미널(581,582)의 핀은 도 4에 도시된 스테이터 지지판(550)의 코일 터미널 핀 삽입홀(281,281,283,284)에 삽입되고, 도 3에 도시된 제어용 PCB(200)의 제1 내지 제4 코일 터미널 핀 삽입홀(231,232,233,234)에 삽입되어, 제어용 PCB(2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제어용 PCB(200)의 삽입홀(210)에 인접한 제1과 제3 코일 터미널 핀 삽입홀(231,233)에 돌출된 핀들은 코일 터미널(581,582)과 스테이터 지지판(550)이 고정을 위한 것으로, 제1과 제3 코일 터미널 핀 삽입홀(231,233)에 의해 핀들이 제어용 PCB(200)에 접촉되지 않아 제어용 PCB(200)와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제어용 PCB(200)의 외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제2과 제4 코일 터미널 핀 삽입홀(232,234)로부터 돌출된 핀들에 솔더링됨으로써, 코일 터미널(581,582)과 제어용 PCB(200)의 회로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므로, 제어용 PCB(200)는 코일 터미널(581,582)을 통해 구동 신호를 스테이터 코일로 공급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스피레이션 모터를 사용하는 인카 센서가 조립된 정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인카 센서(1000)의 상부에는 공기(예를 들어, 자동차 실내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00)와 측면에는 유입구(1100)로 유입되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200)가 마련된다.
즉, 인카 센서(1000)의 선단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1100)로부터 측면의 다수 배출구(1200)로 통하는 기류 경로로 공기가 유입/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인카 센서(1000)의 외형을 형성하는 상부 하우징(1010) 및 하부 하우징(1020)과 유입구(1100)에서 유입되어 배출구(1200)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 센서(미도시)와, 일측면 상에 위치하며, 온도 센서에서 센싱한 신호를 자동차의 제어 장치(예를 들어, 자동차 공조 제어 시스템)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용 PCB(미도시)와, 신호용 PCB와 접촉하여 신호를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신호 터미널(1900)을 구비한다. 신호용 PCB는 신호 터미널(1900)과 접촉되어 신호 터미널(1900)을 통해 신호를 자동차의 제어 장치로 전송한다. 인카 센서(1000)는 공기를 유입/배출시키기 위해 스테이터와 로터로 구성되는 어스피레이션 모터를 구비한다.
온도 센서는 서미스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어스피레이션 모터가 구동하여 임펠러(130)의 회전에 따라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1100) 상에 위치하고, 신호용 PCB는 온도 센서가 센싱한 온도 값의 전송 또는 습도 센싱 등과 같은 기능을 처리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로터 120:축
130:임펠러 150:마그넷
200:제어용 PCB 210:삽입홀
310,320:진동 및 소음 방지 시트 500:스테이터
510:슬리브 520:스테이터 코일
530:베어링 시트 540:백요크
1000:인카센서 1100:유입구
1200:배출구

Claims (14)

  1. 임펠러와 축이 마그넷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공기를 유입/배출시키는 로터;
    상기 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자계를 발생시켜 상기 마그넷을 회전시키는 스테이터 코일이 권선되어 있는 바디와, 그 바디에 연결된 스테이터 지지판을 포함하는 스테이터; 및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된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홀에 상기 스테이터의 바디가 삽입되고, 상기 하면이 상기 스테이터 지지판에 접촉되고, 상기 스테이터 코일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소자들이 실장되어 있는 제어용 PCB를 포함하는 어스피레이션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지지판과 상기 제어용 PCB 사이에 진동 및 소음 방지 시트가 개재되어 있는 어스피레이션 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지지판에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 돌기가 상기 제어용 PCB의 결합홀에 삽입된 후, 열융착되어 상기 스테이터 지지판이 상기 제어용 PCB에 고정되는 어스피레이션 모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바디에 형성된 중앙 홀 하부에 위치하는 원형의 베어링 시트와, 상기 베어링 시트의 외주 상에 위치하며, 자기 회로를 형성하는 육각형의 백요크를 포함하는 어스피레이션 모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백요크가 형성하는 자기 회로에 따라 위치 설정되는 홀소자가 상기 제어용 PCB에 실장되는 어스피레이션 모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시트와 상기 백요크 중 하나는 인서트 몰딩 방식으로 상기 스테이터 바디 및 상기 스테이터 지지판과 사출 성형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어스피레이션 모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과 연통된 제1과 제2 장홀이 상기 제어용 PCB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테이터 코일이 삽입 장착되는 코일 유도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과 제2 장홀에 대응되어 삽입되는 제1과 제2 코일 가이드가 상기 스테이터 지지판에 돌출되어 있는 어스피레이션 모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지지판의 하면에 한쌍의 코일 터미널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한쌍의 코일 터미널 각각은 다수의 핀과, 상기 스테이터 코일로부터 인출되는 시작/끝 배선이 접촉할 수 있는 단자가 구비된 어스피레이션 모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핀은 상기 제어용 PCB과 상기 스테이터 지지판 각각에 형성된 다수의 코일 터미널 핀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제어용 PCB에 돌출되는 어스피레이션 모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PCB에 돌출되어 있는 다수의 핀 중, 일부 핀이 상기 제어용 PCB의 회로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용 PCB는 상기 코일 터미널을 통해 구동 신호를 상기 스테이터 코일로 공급하는 어스피레이션 모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코일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소자들은상기 제어용 PCB의 상면에 실장되어 있는 어스피레이션 모터.
  12. 임펠러와 축이 마그넷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공기를 유입/배출시키는 로터;
    상기 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전자계를 발생시켜 상기 마그넷을 회전시키는 스테이터 코일이 권선되어 있는 바디와, 그 바디에 연결된 스테이터 지지판을 포함하는 스테이터;
    상면에서 하면으로 관통된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홀에 상기 스테이터의 바디가 삽입되고, 상기 하면이 상기 스테이터 지지판에 접촉되고, 상기 스테이터 코일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소자들이 실장되어 있는 제어용 PCB;
    상기 로터로 인해 상기 공기가 유입되는 기류 경로 내에 위치하는 온도 센서;
    상기 온도 센서가 검출하는 신호를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신호용 PCB; 및
    상기 자동차에 결합 고정되며, 상기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하며, 상기 로터, 스테이터, 제어용 PCB, 온도 센서 및 신호용 PCB를 내장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인카 센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는,
    상기 축이 지지보스에 형성된 중앙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측면상에 형성된 요홈에 스테이터 코일이 권선되어 있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제어용 PCB의 결합홀에 결합 고정되는 결합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제어용 PCB를 지지하는 스테이터 지지판을 포함하는 인카 센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PCB는 각각 상기 제어용 PCB의 삽입홀과 연통되어 연장된 제1 및 제2 장홀을 더 포함하며,
    각각 상기 스테이터 지지판으로부터 스테이터 코일이 권선되는 요홈까지 돌출되며 상단부에 스테이터 코일이 삽입 장착되는 코일 유도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장홀에 대응되어 삽입되는 제1과 제2 코일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인카 센서.

KR20130071074A 2013-06-20 2013-06-20 어스피레이션 모터 및 이를 이용한 인카 센서 KR101491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1074A KR101491051B1 (ko) 2013-06-20 2013-06-20 어스피레이션 모터 및 이를 이용한 인카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1074A KR101491051B1 (ko) 2013-06-20 2013-06-20 어스피레이션 모터 및 이를 이용한 인카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976A true KR20140147976A (ko) 2014-12-31
KR101491051B1 KR101491051B1 (ko) 2015-02-23

Family

ID=52593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1074A KR101491051B1 (ko) 2013-06-20 2013-06-20 어스피레이션 모터 및 이를 이용한 인카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0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3923A1 (ko) * 2015-09-09 2017-03-16 주식회사 아모텍 공조장치용 인카센서 조립체
KR20170084654A (ko) * 2016-01-12 2017-07-20 주식회사 만도 모터 조립체
WO2018080164A1 (ko) * 2016-10-26 2018-05-03 주식회사 아모텍 다층 기판을 이용한 적층형 스테이터와 이를 이용한 인카 센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161B1 (ko) 2015-06-30 2019-04-11 주식회사 아모텍 공조장치용 인카센서 어셈블리 및 그 제어방법
KR102563692B1 (ko) 2016-12-22 2023-08-04 주식회사 아모텍 다층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한 적층형 스테이터, 이를 이용한 단상 모터와 인카 센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7540Y1 (ko) 2002-09-05 2002-12-11 주식회사 아모텍 진동절감구조를 갖는 어스피레이션 모터
KR200431180Y1 (ko) * 2006-09-07 2006-11-15 주식회사 모아텍 브러시리스 팬 모터의 베어링 지지구조
KR100887535B1 (ko) * 2007-04-10 2009-03-09 주식회사 아모텍 어스피레이션 모터용 스테이터, 이를 이용한 어스피레이션모터 및 인카 센서
KR100881853B1 (ko) 2007-08-10 2009-02-06 주식회사 아모텍 어스피레이션 모터용 축지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3923A1 (ko) * 2015-09-09 2017-03-16 주식회사 아모텍 공조장치용 인카센서 조립체
KR20170084654A (ko) * 2016-01-12 2017-07-20 주식회사 만도 모터 조립체
WO2018080164A1 (ko) * 2016-10-26 2018-05-03 주식회사 아모텍 다층 기판을 이용한 적층형 스테이터와 이를 이용한 인카 센서
US10778071B2 (en) 2016-10-26 2020-09-15 Amotech Co., Ltd. Stacking-type stator using multi-layered substrate, and in-car sensor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1051B1 (ko) 201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1051B1 (ko) 어스피레이션 모터 및 이를 이용한 인카 센서
KR100887535B1 (ko) 어스피레이션 모터용 스테이터, 이를 이용한 어스피레이션모터 및 인카 센서
US8957553B2 (en) Electric motor apparatus with equi-potentialized brackets
US7772946B2 (en) Electric power connection part of electromagnetic clutch field coil assembly
US20200232690A1 (en) Electronic expansion valve
US9077231B2 (en) Motor
US9419497B2 (en) Double-rotor motor
CN106953496B (zh) 步进电机线圈装置及电子阀
JP2013207824A (ja) ポンプ装置
JP6615003B2 (ja) 空調用ブロアモータユニット
JP3615477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
KR100334341B1 (ko) 모터구동장치및자기센서고정구조
WO2020166344A1 (ja) モータ装置
JP2002320366A (ja) ブラシレスモータ
JP6626212B2 (ja) 自動車用電動式流体ポンプ
KR100592712B1 (ko) 단일 인쇄회로기판을 갖는 어스퍼레이션 모터
USRE47564E1 (en) Motor
KR102563692B1 (ko) 다층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한 적층형 스테이터, 이를 이용한 단상 모터와 인카 센서
KR20150032470A (ko) 모터 및 모터의 제조방법
US20210376674A1 (en) Motor, f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otor
JP5948220B2 (ja) モータ
KR20180066350A (ko)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WO2021255990A1 (ja) 電制スロットル装置
JP7182254B2 (ja) モータアクチュエータ
KR101927854B1 (ko) 공조장치용 인카센서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