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6415A - 솜틀기계용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솜틀기계용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6415A
KR20140146415A KR1020130069076A KR20130069076A KR20140146415A KR 20140146415 A KR20140146415 A KR 20140146415A KR 1020130069076 A KR1020130069076 A KR 1020130069076A KR 20130069076 A KR20130069076 A KR 20130069076A KR 20140146415 A KR20140146415 A KR 201401464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water
pipe
conveyor belt
co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9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5427B1 (ko
Inventor
이경래
Original Assignee
이경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래 filed Critical 이경래
Priority to KR20130069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427B1/ko
Publication of KR20140146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9/00Opening or cleaning fibres, e.g. scutching cotton
    • D01G9/14Details of machines or apparatus
    • D01G9/20Framework; Casings; Coverings; Gri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11/00Disintegrating fibre-containing articles to obtain fibres for re-us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21/00Combinations of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e.g. for continuous process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GPRELIMINARY TREATMENT OF FIBRES, e.g. FOR SPINNING
    • D01G31/00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 mo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6Disintegrating fibre-containing textile articles to obtain fibres for re-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솜틀기계용 보조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보조장치는 솜틀기계의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이송되는 솜원료에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솜틀기계용 보조장치 {AUXILIARY APPARATUS FOR WILLOWING MACHINE }
본 발명은 솜틀기계용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발생을 억제하여 솜원료가 솜틀기계의 휠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솜틀기계용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솜(Cotton)은 목화송이 속에 달라붙은 털 모양의 흰 섬유질의 물질로서, 점퍼나 이불, 침낭 등의 보온성 제품이나 베개등의 쿠션을 제공하는 기능성 제품으로 가공되어 인간의 생활에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석유화학제품인 카시미론과 같은 인공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솜은 오랫동안 사용하거나 액체등의 이물질이 접촉한 후 마르게 되면 더러워지며 그 부피가 줄어들게 되어 푹신푹신한 느낌이 사라짐과 함께 보온의 효과도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되어 부피와 탄력성이 떨어진 솜은 솜틀기계(타면기계)를 이용하여 솜을 재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솜틀기계에 대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컨베이어 벨트(5)위에 올려진 재생할 솜원료는 한 쌍의 원료투입롤러(2,3)를 통해 고속으로 회전하는 휠(1) 쪽으로 투입되어, 휠(1)의 외주면에 형성된 톱날(미도시)이 솜원료를 뜯어서 부풀려주는 가공을 하게된다.
하지만, 종래의 솜틀기계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휠이 솜원료와 맞닿으면서 높은 열이 발생하고, 이 열에 의해 솜원료가 녹아 휠에 달라붙는 현상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열에 약한 인공솜을 가공할 경우 더욱 많이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솜틀기계를 사용함으로, 솜원료가 마찰열에 의해 휠에 녹아 달라붙어, 압축된 솜원료가 부드럽고 섬세하게 분리되지 않게 되어 양질의 제품을 생산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솜틀기계로 솜제품을 생산시, 톱날이 형성된 휠이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솜원료와 맞닿으면서 발생하는 마찰열을 줄일 수 있는 솜틀기계용 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솜틀기계용 보조장치는 솜틀기계의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이송되는 솜원료에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분사유닛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에 이격되게 설치되며, 하부가 개방된 사각 박스형상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이격되게 수평으로 설치되어, 물이 공급되는 제 1 배관; 상단이 상기 제 1 배관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 1 배관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수직 연장되고, 하단은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제 2 배관;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제 2 배관 하단에 각각 결합되어, 물을 상기 컨베이어 벨트 위에 놓여진 상기 솜원료에 분사시키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은 상기 케이스에 의해 측방으로 튀지 않고, 하방향으로만 분사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 위의 솜원료에 분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물분사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측면과 상기 제 1 배관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케이스와 상기 제 1 배관과의 거리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기 컨베이어 벨트 위의 솜원료에 대해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물의 높낮이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높낮이 조절부는, 상기 제 1 배관이 삽입고정되는 고정링; 상기 고정링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연결봉;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연결봉이 관통 삽입되되, 상기 연결봉의 삽입정도를 조절하여 위치고정하는 고정멈치;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멈치는 상기 연결봉이 삽입된 높이를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하단의 면적이 조절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앞면과 뒷면각각은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 각도조절가능하도록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앞면과 뒷면에 각각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케이스의 앞면과 뒷면의 각도를 조절하는 핸들부재가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하부에 이격설치되어, 상기 물분사유닛으로부터 상기 솜원료로 분사된 후, 상기 솜원료로부터 밑으로 떨어지는 물을 받아내는 물받이부재;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물분사유닛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에 이격되게 설치되며, 하부가 개방된 사각 박스형상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관통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며, 물이 공급되는 제 1 배관; 상기 제 1 배관의 하단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평되게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제 2 배관; 제 2 배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설치되어, 물을 상기 컨베이어 벨트 위에 놓여진 상기 솜원료에 분사시키는 다수의 분사노즐;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솜틀기계로 솜원료를 분리가능할 때, 솜틀기계의 휠이 솜원료와 맞닿으면서 마찰로 인한 높은 열이 발생하게 되어, 솜원료가 잘 분리되지 않고 녹아서 휠에 달라붙어 뭉치게 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은 휠에 투입되는 솜원료에 물을 분사해 줌으로써, 솜원료가 물에 젖은 상태로 솜틀기계의 휠과 맞닿아 가공이 이루어져, 마찰열을 냉각시켜줌으로써, 솜원료가 부드럽고 섬세하게 잘 분리됨으로써 양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의 솜틀기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솜틀기계용 보조장치가 솜틀기계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솜틀기계용 보조장치의 물분사유닛을 구체적으로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케이스와 다른 형태를 갖는 케이스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3에 도시된 물분사유닛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타 실시 예에 따른 솜틀기계용 보조장치가 솜틀기계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솜틀기계용 보조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솜틀기계는 투입된 솜을 뜯어서 부풀려주는 통상의 솜틀기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휠(1)의 표면에 솜을 뜯어서 부풀려주는 톱날(발톱)이 도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휠(1)이 그 기능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솜틀기계용 보조장치는 도 2와 같이, 통상의 솜틀기계의 컨베이어 벨트(5) 상부에 이격 설치되어 컨베이어 벨트(5)를 통해 이송되는 솜원료에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유닛(10)을 구성된다.
물분사유닛(10)은 케이스(20), 제 1 배관(11), 제 2 배관(14), 분사노즐(15) 로 구성된다.
케이스(20)는 제 1 배관(1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컨베이어 벨트(5)의 상부에 이격설치된다. 케이스(20)는 하부가 개방된 사각 박스 형상을 갖으며, 도 3과 같이, 앞면(20a), 뒷몃(20b), 양측면(20c), 상면(d)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양측면(20c)은 하단길이가 상단길이보다 길고 양측이 대칭되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배관(11)은 원형 파이프형상으로 구성되며, 케이스(20)의 상부에 이격설치된며,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제 1 배관(11)의 양측단 중 일 측단은 마개(13)에 의해 폐쇄되고, 나머지 측단은 물 주입구(11a)가 형성된다. 이 물주입구(11a)는 통상의 수도관과 튜브에 의해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제 1 배관(11)상에는 물을 유동을 제어하는 밸브(12)가 설치된다.
제 2 배관(14)은 제 1 배관(11)의 하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2개 이상이 서로 이격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 2 배관(14)의 상단은 제 1 배관과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제 1 배관(11)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고, 제 2 배관(14)의 하단은 케이스(20)의 상면(20d)을 관통하여 케이스(20) 내부에 위치된다.
분사노즐(15)은 각각의 제 2 배관(14)의 하단에 결합된다. 분사노즐(15)은 제 2 배관(14)에 공급된 물을 작은입자료 고압분무시켜 분사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제 1 배관(11)의 주입구(11a)를 통해 공급된 물은 제 2 배관(14)을 거쳐 분사노즐(15)을 통해 분무형태로 컨베이어 벨트(5) 상의 솜원료(c)에 분사될 수 있다.
이때, 분사노즐(15)을 통해 분사되는 물은 케이스(20) 내에서 분사되므로, 케이스(20)의 앞면(20a), 뒷면(20b), 측면(20c)에 의해 막혀 측방으로 튀지 않고, 하방향으로 분사되어, 컨베이어 벨트(5)위의 솜원료에만 분사될 수 있다 .
이처럼, 본 발명은 솜원료(c)에 물을 고압분무형태로 분사해줌으로써, 솜원료(c)의 내외부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물이 침투된다. 이와 같은 고압분무로 인해, 솜틀기계에서의 가공 분리전에 미세하게 일차분리가 이루어지고, 솜원료(c)에 침투된 물은 솜틀기계에서 솜원료가 잘 분리되도록 하는 윤활제 역할함으로써, 솜원료(c)가 솜틀기계에서 잘 가공될 수 있도록 해준다.
솜원료(c)가 솜틀기계의 회전하는 휠(1)의 톱날(미도시)에 닿을 때, 물에 젖은 솜원료(c)에 의해 높은 열을 식혀주기 때문에, 솜원료(c)가 달라붙지 않고, 부드럽고 섬세하게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 1 배관(11)은 한 쌍이 높낮이 조절부(A)를 통해 케이스(20) 상부에 이격되어 지지될 수 있다. 한 쌍의 높낮이 조절부(A) 각각은 제 1 배관(11)과 케이스(20)의 양측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높낮이 조절부(A)는 제 1 배관(11)이 삽입고정되는 고정링(33)과, 고정링(33)의 하방으로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연결봉(32)과, 상기 케이스(20)의 측면(20c)에 결합되어 연결봉(32)이 상하 관통삽입되되, 연결봉(32)의 삽입정도를 조절하여 위치고정하는 제 1 고정멈치(30)로 고정될 수 있다.
고정링(33)은 제 1 배관(11)이 삽입될 수 있는 원형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링(33)의 일측에는 조임볼트(34)가 관통하여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조임볼트(34)를 조여줌으로써, 고정링(33)을 제 1 배관(11)에 고정할 수 있다.
연결봉(32)은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갖는 원형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단이 고정링(33)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제 1 고정멈치(30)는 사각 블럭형태로 형성되며, 케이스(20)의 측면(20c)에 결합형성된다. 제 1 고정멈치(30)는 상하방향으로 삽입홀(30a)이 형성되어, 연결봉이(32)이 삽입홀(30a)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삽입되며, 측면에는 상기 삽입홀(30a)과 연결되는 스크류홀(30b)이 형성되어 고정볼트(31)가 나사결합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연결봉(32)이 삽입홀(30a)에 상하방향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볼트(31)를 스크류홀(30b)에 나사결합하여 조여주면, 연결봉(32)이 제 1 고정멈치(30)에 삽입된 위치가 고정된다.
아울러, 고정볼트(31)를 푼 다음, 연결봉(32)이 제 1 고정멈치(30)에 삽입된 정도를 조정한 후, 고정볼트(31)를 조여줌으로써, 연결봉(32)이 제 1 고정멈치(30)에 삽입된 위치를 조정하여 고정해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케이스(20)에 대한 제 1 배관(11)의 거리(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고, 이 경우, 컨베이어 벨트(5) 상의 솜원료(c)에 대하여 제 2 배관(14)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높낮이 조절부(A)의 조작을 통해, 컨베이어 벨트(5)위의 솜원료(c)에 대해 분사노즐(15)로부터 분사되는 물의 높낮이를 조절해 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3과 같이, 케이스(20)의 각 구성(20a,20b,20c,20d)이 서로 움직이지 않도록 결합고정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케이스(20) 하단의 개방부(s)의 면적이 조절되도록 케이스(20)의 앞면(20a)과 뒷면(20b) 각각은 회전각도조절부(B)에 의해 케이스(20)의 양측면(20c)에 대해 각도조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회전각도조절부(B)는 4개로 구성되어, 케이스(20)의 앞면(20a), 뒷면(20b), 양측면(20c)의 각각의 상단부 양단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4개의 회전각도조절부(B)는 동일한 구조를 갖으므로, 도 4를 참조하면, 케이스(20)의 앞면(20a) 상부 일측단과 케이스(20)의 측면(20c) 상부 일측단을 연결하는 하나의 회전각도 조절부(B)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회전각도조절부(B)는 제 2 고정멈치(34), 제 3 고정멈치(35), 핸들축(38)을 구비한 핸들(37), 한 쌍의 고정볼트(36a,36b)로 구성된다.
제 2 고정멈치(34)는 사각 블럭형상으로 형성되어 케이스(20)의 측면(20c) 상부 일측단에 결합된다. 제 2 고정멈치(34)는 핸들축(38)이 관통삽입되는 삽입공(34a)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삽입공(34a)과 연결되는 스크류홀(34b)이 형성된다.
제 3 고정멈치(34)는 사각 블럭형상으로 형성되어, 케이스(20)의 앞면(20a) 상부 일측단에 결합된다. 제 3 고정멈치(34)는 제 2 고정멈치(34)의 삽입공(34a)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는 삽입공(35a)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상기 삽입공(35a)에 연결되는 스크류홀(35b)이 형성된다.
핸들(37)은 핸들축(38)과 직각으로 형성되며, 핸들출(38)은 제 2 고정멈치(34)의 삽입공(34a)에 관통삽입되고, 케이스(20)의 측면(20c) 일측 상단을 관통하여 제 3 고정멈치(35)의 삽입공(35a)에 삽입된다.
한 쌍의 고정볼트(36a,36b)는 각각 제 2 고정멈치(34)의 스크류홀(34b) 및 제 3 고정멈치(35)의 스크류홀(35b)에 나사결합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핸들축(38)이 제 2 고정멈치(34)의 삽입홀(34a) 및 케이스(20)의 측면(20c) 일측 상단을 관통하고 제 3 고정멈치(35)의 삽입홀(35a)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볼트(36a)를 제 3 고정멈치(35)의 스크류홀(35b)에 나사결합하여 조이면, 핸들축(38)이 제 3 고정멈치(35)이 고정된다. 이때, 고정볼트(36b)가 제 2 고정멈치(34)의 스크류홀(35b)에 나사결합되어 조여진 상태가 아니라면, 핸들(37)의 회전조작에 따라, 케이스(20a)의 앞면(20a)이 측면(20c)에 대해 회전가능상태가 되고, 고정볼트(36b)가 스크류홀(35b)에 나사결합되어 조여진 상태라면, 핸들축(38)이 제 2 고정멈치(35)와 고정됨으로써, 케이스(20a)의 앞면(20a)이 측면(20c)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고정볼트(36a)를 이용해, 핸들축(38)을 제 3 고정멈치(35)에 고정한 상태에서 핸들(37)을 일정각도로 비틀어서, 케이스(20)의 앞면(20a)을 일정각도로 위치시킨 다음, 고정볼트(36b)를 이용해 핸들축(38)을 제 2 고정멈치(34)에 고정해 줌으로써, 측면(20c)에 대한 앞면(20a)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뒷면(20b)도 각도 조절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앞면(20a)과 뒷면(20b)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케이스(20)의 개방된 하단 즉, 개방부(s)의 면적이 조절가능하게 되어, 분사노즐(15)로부터 분무형태로 배출되어 케이스(20)의 개방부(s)를 통해 솜원료(w)를 향해 분사되는 물의 분사면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솜틀기계용 보조장치는 도 1 과 같이, 컨베이어 벨트(5)의 하부에 이격되게 물받이 부재(51)를 설치할 수 있다.
물분사유닛(10)으로부터 솜원료(c)로 분사된 물은 대부분 솜원료(c)에 흡수되고, 일부는 솜원료(c) 밑으로 떨어지게 되며, 이렇게 솜원료(c) 밑으로 떨어지는 물은 물받이 부재(51)에 떨어져 저장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솜틀기계용 보조장치는 물받이 부재(51)의 하부에 정화통(53)을 설치함으로써, 물받이 부재(51)의 물이 정화통(53)에서 정화된 후, 정화된 물은 다시 재활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물분사유닛(10)은 제 1 배관(11)이 수평되게 설치되고, 적어도 2개 이상의 제 2 배관(14)이 제 1 배관(11)의 하부로 수직하게 설치되는 구성이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5와 같이, 제 1 배관(11')을 케이스(20)의 상면을 관통하도록 수직형태로 설치하고, 제 2 배관(14')을 케이스(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제 1 배관(11')의 하단에 수평형태로 설치하며, 제 2 배관(14')에 다수의 분사노즐(15')을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분사노즐(15')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케이스(20)의 상면에 제 1 배관(11')이 관통삽입되는 고정멈치(40)를 설치하고, 이 고정멈치(40)에 고정볼트(41)를 나사결합하여 조이거나 풀어줌으로써, 제 1 배관(11')을 고정멈치(40)에 고정시키거나 움직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물분사유닛(10) 이외에 추가적어도 2차 물분사유닛(60)을 통상의 솜틀기계의 본체(7) 내부에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차 물분사유닛(60)은 물공급배관(61)과, 물공급배관(61)의 끝단에 연결된 분사노즐(63)로 구성되며, 이때, 분사노즐(63)은 휠(1)의 표면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2차 물분사유닛(60)은 회전하는 휠(1) 표면에 물을 고압으로 분무하여 열을 냉각시키는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2차 물분사유닛(60)에 적용될 경우, 본 발명은 휠(1)의 하부에 물받이(71)를 설치하고, 배출유로(73)를 통해 물받이(71)와 연결된 정화통(75)을 솜틀기계의 본체(7)에 설치함으로써, 휠(1)에 분사되어 떨어지는 물은 물받이(71)를 통해 모여 정화통(75)에서 정화된 후 재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본 발명은 2차 물분사유닛(60)을 이용해, 휠(1)의 표면에 물을 분무형태로 고압분사하여 냉각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 이외에 2차 공기분사유닛을 설치하여 휠(1) 표면에 고압의 압축공기를 분사함으로써, 공냉식으로 냉각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1...제1배관
12...밸브
14...제2배관
15...분사노즐
20...케이스
30...고정멈치
31...고정볼트
32...연결봉
33...고정링
37...핸들
51...물받이
53...정화통

Claims (10)

  1. 솜틀기계의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이송되는 솜원료에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솜틀기계용 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유닛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에 이격되게 설치되며, 하부가 개방된 사각 박스형상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이격되게 수평으로 설치되어, 물이 공급되는 제 1 배관;
    상단이 상기 제 1 배관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 1 배관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수직 연장되고, 하단은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에 위치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제 2 배관;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제 2 배관 하단에 각각 결합되어, 물을 상기 컨베이어 벨트 위에 놓여진 상기 솜원료에 분사시키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솜틀기계용 보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은 상기 케이스에 의해 측방으로 튀지 않고, 하방향으로만 분사되어 상기 컨베이어 벨트 위의 솜원료에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솜틀기계용 보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측면과 상기 제 1 배관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케이스와 상기 제 1 배관과의 거리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상기 컨베이어 벨트 위의 솜원료에 대해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물의 높낮이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솜틀기계용 보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부는,
    상기 제 1 배관이 삽입고정되는 고정링;
    상기 고정링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연결봉;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연결봉이 관통 삽입되되, 상기 연결봉의 삽입정도를 조절하여 위치고정하는 고정멈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솜틀기계용 보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멈치는 상기 연결봉이 삽입된 높이를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솜틀기계용 보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하단의 면적이 조절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앞면과 뒷면각각은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 각도조절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솜틀기계용 보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앞면과 뒷면에 각각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케이스의 앞면과 뒷면의 각도를 조절하는 핸들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솜틀기계용 보조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하부에 이격설치되어, 상기 물분사유닛으로부터 상기 솜원료로 분사된 후, 상기 솜원료로부터 밑으로 떨어지는 물을 받아내는 물받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솜틀기계용 보조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유닛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상부에 이격되게 설치되며, 하부가 개방된 사각 박스형상을 갖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관통하도록 수직으로 설치되며, 물이 공급되는 제 1 배관;
    상기 제 1 배관의 하단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평되게 배치되도록 설치되는 제 2 배관;
    제 2 배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설치되어, 물을 상기 컨베이어 벨트 위에 놓여진 상기 솜원료에 분사시키는 다수의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솜틀기계용 보조장치.
KR20130069076A 2013-06-17 2013-06-17 솜틀기계용 보조장치 KR101495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9076A KR101495427B1 (ko) 2013-06-17 2013-06-17 솜틀기계용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9076A KR101495427B1 (ko) 2013-06-17 2013-06-17 솜틀기계용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415A true KR20140146415A (ko) 2014-12-26
KR101495427B1 KR101495427B1 (ko) 2015-02-23

Family

ID=52594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9076A KR101495427B1 (ko) 2013-06-17 2013-06-17 솜틀기계용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4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548A (ko) 2015-02-05 2016-08-16 이삼구 항산화, 항노화 및 피부미용 개선 효과가 증진된 귀뚜라미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8468094A (zh) * 2018-05-30 2018-08-31 南充盛达鸿科技有限公司 一种引导纤维换辊及走向的方法
CN110485003A (zh) * 2019-08-12 2019-11-22 广州纯元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除金属杂质功能的高效型开松机
CN111727279A (zh) * 2018-01-19 2020-09-29 阿德勒佩尔泽控股有限公司 回收纤维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92826A (ja) * 1988-01-20 1989-08-02 Irie Hekizai:Kk 短繊維の凝集体を単繊維状に分散する方法及び装置
JPH05171526A (ja) * 1991-12-26 1993-07-09 Kodama Tec:Kk 紡績用原料の湿度調整装置を有する製造工程
CN201016126Y (zh) 2007-03-23 2008-02-06 王维洪 一种打麻机
CN201605370U (zh) 2010-02-02 2010-10-13 杭州晓行纺织有限公司 单打手成卷机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548A (ko) 2015-02-05 2016-08-16 이삼구 항산화, 항노화 및 피부미용 개선 효과가 증진된 귀뚜라미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1727279A (zh) * 2018-01-19 2020-09-29 阿德勒佩尔泽控股有限公司 回收纤维的方法
CN111727279B (zh) * 2018-01-19 2022-06-07 阿德勒佩尔泽控股有限公司 回收纤维的方法
CN108468094A (zh) * 2018-05-30 2018-08-31 南充盛达鸿科技有限公司 一种引导纤维换辊及走向的方法
CN110485003A (zh) * 2019-08-12 2019-11-22 广州纯元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除金属杂质功能的高效型开松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5427B1 (ko) 201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5427B1 (ko) 솜틀기계용 보조장치
US20080210363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pun-bonded fabric
CN102950075B (zh) 喷水量均衡的洗瓶机喷针装置
CN202779212U (zh) 主动气流场控制式五机架冷轧连轧板面清洁装置
CN102671967B (zh) 主动气流场控制式五机架冷轧连轧板面清洁装置
CN102671968B (zh) 主动气流场控制式五机架冷轧连轧板面清洁方法
JPH0329357Y2 (ko)
KR101756205B1 (ko) 스카핑장치의 고압수 분사장치
US9297119B2 (en) Sheet edge trimming and removal from a structured paper fabric
CN205683773U (zh) 一种火电厂输煤系统自加热喷雾除尘装置
KR101795227B1 (ko) 에어 나이프
CN205310564U (zh) 一种切割机床用喷嘴装置
CN105215004B (zh) 电脑针织横编机的剪刀清洁机构
CN107227575A (zh) 一种特殊改进结构的纺织面料清洗机
CN104153135B (zh) 纱线喷染机吸尘支撑装置
JP4575011B2 (ja) 線材表面研削装置
CN116439402A (zh) 一种用于压梗机的喷雾装置及压梗机
CN102671976A (zh) 主动气流场控制式单机架冷轧板面清洁方法
CN203343105U (zh) 一种轴承清洗机的喷淋装置
CN102671965B (zh) 主动气流场控制式单机架冷轧板面清洁装置
KR101030088B1 (ko) 찬넬 형상 부재의 하부 커팅용 워터제트 노즐 장치 및 워터제트 절단 방법
KR101514655B1 (ko) 압연기의 이물질 확산 방지 장치
CN202910085U (zh) 主动气流场控制式单机架冷轧板面清洁装置
CN104002385A (zh) 一种带自动喷水装置的石材切割机
KR101495402B1 (ko) 휴대용 세그먼트 노즐 진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